KR20070054976A -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 - Google Patents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4976A
KR20070054976A KR1020050113146A KR20050113146A KR20070054976A KR 20070054976 A KR20070054976 A KR 20070054976A KR 1020050113146 A KR1020050113146 A KR 1020050113146A KR 20050113146 A KR20050113146 A KR 20050113146A KR 20070054976 A KR20070054976 A KR 20070054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height
unit
generation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신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113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4976A/ko
Publication of KR20070054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05Modulation co-ord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하층으로 이루어진 2 개의 단위세대로서, 하층 세대의 천정 일부는 나머지 부분보다 일정 높이 층고가 높은 고층고부를 갖고, 상층 세대의 바닥은 상기 고층고부에 해당하는 바닥부분이 다른 바닥보다 상기 일정 높이만큼 더 높은 바닥구조를 가지는 제1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위세대 쌍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종래 플랫 아파트의 획일화된 평면구조 개선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다양하고 입체적인 공간 체험이 가능한 평면을 구성하게 한다. 특히, 주거의 중심이 되는 공간인 거실의 높이가 다른 공간에 비해 높아짐으로써 단독주택에서 느낄 수 있는 개방감이 형성되고, 거실 외의 높은 공간은 다양한 수납공간, 다락방 등의 설치가 가능하여 더욱 개성 있고 입체적인 공간을 이루게 된다.
층고, 다층주택

Description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MULTI-FLOOR HOUSE STRUCTURE HAVING CHANGE IN HEIGHT WITHIN ONE HOUSEHOLD}
도 1은 본 발명의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에 적용되는 단위세대 쌍에 대한 일 실시예의 평면도 및 각 부분에 대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일 실시예에 대한 골조 아이소 메트릭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하층의 내부 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2의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상층의 내부 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 플랫 아파트의 획일화된 평면구조 개선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다양하고 입체적인 공간 체험이 가능한 평면을 구성하게 한다. 특히, 주거의 중심이 되는 공간인 거실 의 높이가 다른 공간에 비해 높아짐으로써 단독주택에서 느낄 수 있는 개방감이 형성되고, 거실 외의 높은 공간은 다양한 수납공간, 다락방 등의 설치가 가능하여 더욱 개성 있고 입체적인 공간을 이루게 하는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에 관한 것입니다.
즉,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서 단위세대의 층고를 공간별로 다르게 계획함으로써 한 세대 내 높은 공간과 낮은 공간을 함께 갖는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아파트는 모든 층의 바닥이 평탄한 하나의 연속된 면으로 이루어져 모든 단위세대는 균일한 층고를 갖는다. 이러한 플랫슬래브 유형의 아파트는 수평적인 평면 설계만 가능하여 획일적인 평면구조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일부 거실이 위로 열린 복층형 아파트나 다락방이 있는 오피스텔 등 수직방향의 공간 변화를 시도한 사례가 있으나 층고가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이 큰 중층 이상의 공동주택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층고가 경제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어 널리 보급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아파트나 연립주택과 같은 다층 주택의 경우에도 모든 단위세대가 단독주택에서 보이는 것처럼 천장이나 바닥에 단이 지면서 다양한 입체적 공간 체험을 형성할 수 있는 주택구조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획일적인 아파트 평면구조를 개선하는데 있어 수평적 변화로는 한계가 있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간의 성격에 따라 단면상 높이에 차이 를 줌으로써 모든 단위세대가 높은 공간과 낮은 공간을 함께 가지면서 입체적인 공간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주택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하층으로 이루어진 2 개의 단위세대로서, 하층 세대의 천정 일부는 나머지 부분보다 일정 높이 층고가 높은 고층고부를 갖고, 상층 세대의 바닥은 상기 고층고부에 해당하는 바닥부분이 다른 바닥보다 상기 일정 높이만큼 더 높은 바닥구조를 가지는 제1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위세대 쌍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층으로 이루어진 2 개의 단위세대로서, 하층 세대의 바닥 일부는 나머지 부분보다 높이가 일정 높이 낮은 저바닥부를 갖고, 상층 세대의 천정은 상기 저바닥부에 해당하는 천정부분이 다른 천정보다 상기 일정 높이만큼 더 낮은 바닥구조를 가지는 제2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위세대 쌍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를 제공한다.
이외에 본 발명은
상하층으로 이루어진 2 개의 단위세대로서, 하층 세대의 천정 일부는 나머지 부분보다 일정 높이 층고가 높은 고층고부를 갖고, 상층 세대의 바닥은 상기 고층고부에 해당하는 바닥부분이 다른 바닥보다 상기 일정 높이만큼 더 높은 바닥구조 를 가지는 제1조절부와, 하층 세대의 바닥 중 다른 일부는 나머지 부분보다 높이가 일정 높이 낮은 저바닥부를 갖고, 상층 세대의 천정은 상기 저바닥부에 해당하는 천정부분이 다른 천정보다 상기 일정 높이만큼 더 낮은 바닥구조를 가지는 제2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위세대 쌍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를 제공한다.
즉,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과 같은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공동주택에서 층고가 높은 공간과 낮은 공간을 함께 포함하는 단위세대의 내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모든 세대가 평탄한 슬래브로 이루어져 균일한 층고를 갖는 것과 달리 층단형 아파트는 슬래브에 단이 지면서 층고가 높은 공간과 낮은 공간을 함께 갖는 단위세대가 수직적으로 2개 층의 단위세대 쌍을 이루어 반복적으로 적층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는 단위세대 쌍을 이루는 각 층의 기준 층고에 추가로 일정한 높이의 공간을 수평적으로 더하고, 이를 단위세대 쌍을 이루는 단위세대들이 나눠가짐으로써 천장 또는 바닥에 단차가 생긴다. 따라서 단위 세대 내에서는 기준 층고 보다 높은 공간을 일부분의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단차가 생기는 층단부에는 계단을 두어 수직 동선을 연결하고 높은 공간에 거실을 우선적으로 배치하여 평면을 완성하면 단독주택에서 볼 수 있는 형태의 입체적이고 다양한 공간체험이 가능하다. 높은 공간이 수직적으로 분배되기 때문에 다양하고 개성 있는 입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도 1의 중간에 도시한 단면과 같이 상하층으로 이루어진 2 개의 단위세대로서, 하층 세대의 천정 일부는 나머지 부분보다 일정 높이 층고가 높은 고층고부를 갖고, 상층 세대의 바닥은 상기 고층고부에 해당하는 바닥부분이 다른 바닥보다 상기 일정 높이만큼 더 높은 바닥구조를 가지는 제1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위세대 쌍을 형성하고 이와 같은 단위세대 쌍은 쌍 내에서는 층고의 변화가 있으나 쌍의 상부 및 하부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단위세대 쌍을 적층하여 고층의 주택을 건설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도 1의 아래 부분에 도시한 단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층으로 이루어진 2 개의 단위세대로서, 하층 세대의 바닥 일부는 나머지 부분보다 높이가 일정 높이 낮은 저바닥부를 갖고, 상층 세대의 천정은 상기 저바닥부에 해당하는 천정부분이 다른 천정보다 상기 일정 높이만큼 더 낮은 바닥구조를 가지는 제2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위세대 쌍을 형성하고 이와 같은 단위세대 쌍은 그 상부 및 하부의 면이 서로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계속적인 적층이 가능하고 이를 적층하여 다층의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 등을 건설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을 혼용한 것이 도 1에 도시된 것으로 도 1의 섹션 셋 1은 상기 먼저 기술한 방법으로 구성하고, 섹션 셋 2는 상기 나중에 기술한 방법으 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상하층으로 이루어진 2 개의 단위세대로서, 하층 세대의 천정 일부는 나머지 부분보다 일정 높이 층고가 높은 고층고부를 갖고, 상층 세대의 바닥은 상기 고층고부에 해당하는 바닥부분이 다른 바닥보다 상기 일정 높이만큼 더 높은 바닥구조를 가지는 제1조절부와, 하층 세대의 바닥 중 다른 일부는 나머지 부분보다 높이가 일정 높이 낮은 저바닥부를 갖고, 상층 세대의 천정은 상기 저바닥부에 해당하는 천정부분이 다른 천정보다 상기 일정 높이만큼 더 낮은 바닥구조를 가지는 제2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위세대 쌍을 형성하고 이와 같은 단위세대 쌍은 그 상부 및 하부의 면이 서로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계속적인 적층이 가능하고 이를 적층하여 다층의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 등을 건설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는 2개 층을 묶어 하나의 블록으로 만들고 차등적 층고를 적용하여 높은 공간과 낮은 공간을 배분한 다음 반복적으로 적층함으로써 아파트 단위세대 내 수직적인 공간 변화를 도입하여 거주자의 다양한 주거공간에 대한 욕구와 라이프스타일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혼합구조의 경우에 각 세대별로 층고가 높게 이루어지는 부분이 주택의 거실에 해당되도록 하는 것이 주택의 구조상 바람직하며, 소비자들도 이러한 구조를 선호하므로 상기 제1조절부와 제2조절부의 경계면이 주택의 전면부분과 만나도록 제1조절부와 제2조절부가 구획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좋다. 즉,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항상 층고가 높은 부분이 어느 정도는 전면부와 접하는 형태로 내부 구조가 형성되므로 이 부분을 거실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상부에는 일반 판상형 아파트의 단위세대를 간략하게 표현한 평면 다이아그램이 표현되어 있다. 이 단위세대의 평면은 서로 다른 두개의 단면으로 구성되는데, 그것이 도 1의 하부에 두 단면 다이아그램으로 표현되어 있다. 즉 위의 평면 다이아그램에 표현된 Section Set-1의 영역에서는 아래의 단면 다이아그램에 표현된 Section Set-1의 단면이 사용되고, 위의 평면 다이아그램에 표현된 Section Set-2의 영역에서는 아래의 단면 다이아그램에 표현된 Section Set-2의 단면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층단 세트는 2개의 서로 다른 아파트 내부 공간을 갖게 되는데, 그 내용을 3차원의 형태로 아이소매트릭 도면에 표현한 것이 도 2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하층의 아파트 골조의 내부 투시도이며, 이곳에서는 일부 영역의 바닥이 내려 앉아 높은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중의 일부는 전면 유리창과 접하여 형성되므로 이 부분을 거실로 배치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상층의 아파트 골조의 내부 투시도이며, 이곳에서는 일부 영역(우측 끝단) 천장이 낮게 형성되고, 일부 영역의 바닥이 올라가서 기준 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도 관측자와 가장 가까운 공간이 전면 유리창과 접하여 형성되고 가장 층고가 높게 형성되어 이 부분을 거실로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층단형 아파트의 구체적인 예로는 약 2.3 m ~ 2.4 m 정도의 기준 층고를 갖는 아파트에 각 층 사이에 높은 공간을 조성할 높이만큼 추가 삽입하여 이 높이대에 인접한 상하층이 수평적으로 이러한 높이대를 적절하게 나누어 가지게 할 수 있다. 이 높이대 부분을 층단이라 부르고 그 높이는 원하는 대로 설정이 가능하나 일반적인 중대형 평형의 아파트의 경우 대략 45 cm에서 90 cm 사이가 적당하다. 이렇게 나눠가진 높이는 높이대 아래층의 경우 기준공간보다 천정이 높은 공간으로, 위층의 경우는 기준공간에서 바닥이 내려간 높은 공간으로 조성되어 한 단위세대 내에 기준공간과 그에 비해 높은 공간이 함께 나타나게 된다. 각 층마다 높은 공간의 면적 비율에 대한 형평성을 맞추기 위해 거실 외에도 높은 공간을 갖는 실을 거실과 연속하여 또는 단절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은 일반 침실이나 부엌에 비해 높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거실의 공간 높이를 높이는 것을 전제로 고안되었기 때문에 세트를 이루는 층마다 거실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높은 공간을 갖는 거실의 위치는 향 조건에 의해 전면에 주로 배치하나 아파트 입지 여건상 후면의 조망이 탁월할 경우 전면과 후면 모두에 높은 공간을 분배하여 선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기술한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에 따르면, 본 발명인 층단형 아파트는 단위 세대 내 단면상 높이 변화를 줌으로써 종래 플랫 아파트의 획일화된 평면구조 개선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다양하고 입체적인 공간 체험이 가능한 평면을 구성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주거의 중심이 되는 공간인 거실의 높이가 다른 공간에 비해 높아짐으로써 단독주택에서 느낄 수 있는 개방감이 형성되고, 거실 외의 높은 공간은 다양한 수납공간, 다락방 등의 설치가 가능하여 더욱 개성 있고 입체적인 공간을 이루게 된다. 또한, 층단부에 설치되는 실내계단과 난간 등의 가구는 그 크기와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실내장식의 요소로서 적극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층단을 이루는 높이대의 높이는 원하는 대로 설계가 가능하므로 그 높이를 충분히 주면 종래의 아파트에선 층고의 제약으로 불가능했던 활동 등이 가능해지면서 거주자의 개성 있는 주거공간에 대한 욕구와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층단형 아파트는 높은 공간과 낮은 공간의 분배로 인해 인접한 층간의 거실 등의 위치가 바뀌므로 아파트 전·후면에 노출되는 공간의 높이가 달라지면서 기존의 획일적이고 단조로운 아파트 입면과 달리 개성 있고 입체적인 아파트 입면 구성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Claims (4)

  1. 상하층으로 이루어진 2 개의 단위세대로서, 하층 세대의 천정 일부는 나머지 부분보다 일정 높이 층고가 높은 고층고부를 갖고, 상층 세대의 바닥은 상기 고층고부에 해당하는 바닥부분이 다른 바닥보다 상기 일정 높이만큼 더 높은 바닥구조를 가지는 제1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위세대 쌍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
  2. 상하층으로 이루어진 2 개의 단위세대로서, 하층 세대의 바닥 일부는 나머지 부분보다 높이가 일정 높이 낮은 저바닥부를 갖고, 상층 세대의 천정은 상기 저바닥부에 해당하는 천정부분이 다른 천정보다 상기 일정 높이만큼 더 낮은 바닥구조를 가지는 제2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위세대 쌍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
  3. 상하층으로 이루어진 2 개의 단위세대로서, 하층 세대의 천정 일부는 나머지 부분보다 일정 높이 층고가 높은 고층고부를 갖고, 상층 세대의 바닥은 상기 고층고부에 해당하는 바닥부분이 다른 바닥보다 상기 일정 높이만큼 더 높은 바닥구조를 가지는 제1조절부와, 하층 세대의 바닥 중 다른 일부는 나머지 부분보다 높이가 일정 높이 낮은 저바닥부를 갖고, 상층 세대의 천정은 상기 저바닥부에 해당하는 천정부분이 다른 천정보다 상기 일정 높이만큼 더 낮은 바닥구조를 가지는 제2조절 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위세대 쌍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와 제2조절부의 경계면이 주택의 전면부분과 만나도록 제1조절부와 제2조절부가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
KR1020050113146A 2005-11-24 2005-11-24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 KR20070054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146A KR20070054976A (ko) 2005-11-24 2005-11-24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146A KR20070054976A (ko) 2005-11-24 2005-11-24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976A true KR20070054976A (ko) 2007-05-30

Family

ID=38276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146A KR20070054976A (ko) 2005-11-24 2005-11-24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49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110B1 (ko) * 2012-08-31 2013-06-13 (주)이앤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두 가구용 주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110B1 (ko) * 2012-08-31 2013-06-13 (주)이앤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두 가구용 주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12589B2 (ja) 集合住宅
US20050115166A1 (en) Multi-level apartment building
JP2010523860A (ja) 多層建築設計
KR20070054976A (ko)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
KR20190090169A (ko) 공용주택
JP5378783B2 (ja) 壁式ラーメン構造建物
KR101958876B1 (ko)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
JPH0972114A (ja) カーポート付建物
JP2009074361A (ja) 建物の構造
JP2009041224A (ja) 集合住宅
JP4413243B2 (ja) 二世帯住宅構造
KR200423410Y1 (ko) 건축물의 단위세대 구조
JP6101381B2 (ja) 集合住宅ユニット
JP2000320167A (ja) 集合住宅
CN2660034Y (zh) 复式单元住宅房
JP2006183424A (ja) 集合住宅
JPS60141938A (ja) ユニツト建物
KR102337883B1 (ko)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에서 공용부의 중심에 마당을 배치하는 공간구조
KR102500200B1 (ko) 단위세대별 단독 돌출 테라스 제공을 위한 공동주택 건축 방법과 이를 통해 형성된 건물 내 단위세대 구조
JP7500186B2 (ja) 共同住宅
KR20180134042A (ko) 펜트하우스형 단위세대 적용이 가능한 아파트
JP3494372B2 (ja) 建 物
JPH11217946A (ja) 集合住宅建築物
KR101080931B1 (ko) 무량판 구조 아파트
Johansson RESILIENT MODULES Adaptable housing and modular timber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