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824B1 -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모터 차량의 조절 가능한 부분을 조절하기 위한 모터 차량 조절수단 및 결합요소를 로프에 대해서 부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모터 차량의 조절 가능한 부분을 조절하기 위한 모터 차량 조절수단 및 결합요소를 로프에 대해서 부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824B1
KR101272824B1 KR1020107029879A KR20107029879A KR101272824B1 KR 101272824 B1 KR101272824 B1 KR 101272824B1 KR 1020107029879 A KR1020107029879 A KR 1020107029879A KR 20107029879 A KR20107029879 A KR 20107029879A KR 101272824 B1 KR101272824 B1 KR 101272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coupling element
synthetic fiber
coupling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1932A (ko
Inventor
우베 클리페르트
스테펜 브로시우스
알빈 마흐트
한스-울리히 카르쉬
유에르겐 슐렘바흐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00810026804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8026804A1/de
Priority claimed from DE200910021055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9021055A1/d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Publication of KR20110031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2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parts deformable to grip the cable or cables; 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4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 F16G11/044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friction clamps deforming the cable, wire, rope or cord
    • F16G11/046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friction clamps deforming the cable, wire, rope or cord by bending the cable around a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4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 F16G11/044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friction clamps deforming the cable, wire, rope or cord
    • F16G11/048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friction clamps deforming the cable, wire, rope or cord by moving a surface into the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4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 F16G11/05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by using conical plugs insertable between the stran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Flexible Sha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 요소를 통하여 로프에 연결될 조절 가능한 부분으로 조절력을 전송하기 위한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로서, 상기 결합 요소(3, 4, 5, 6, 6', 7, 8, 9, 9')가 상기 로프(1)와는 분리된(separate) 요소로서 상기 로프(1)에 부착되는 것인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에 관한 것이다. 상기 결합 요소(3, 4, 5, 6, 6', 7, 8, 9, 9')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로프(1)의 내부에서 맞물리고, 합성 섬유들로 이루어진 로프 성분(14, 14a, 14b, 15) 뒤에 도달한다.

Description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모터 차량의 조절 가능한 부분을 조절하기 위한 모터 차량 조절수단 및 결합요소를 로프에 대해서 부착하는 방법{SYNTHETIC FIBER ROPE WITH COUPLING ELEMENT, MOTOR VEHICLE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ADJUSTABLE PART OF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ATTACHING COUPLING ELEMENT TO ROPE}
본 발명은 로프 상에 작용(act)하는 조절력[adjustment force, 인장력(tensile force)]을 청구항 제1항의 포괄적(generic) 부분에 따라서 결합 요소(coupling element)를 통하여 로프 상에 연결되는 조절 파트에게로 전송하기 위한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에 관한 것이다.
드라이브에 의해서, 예컨대 수동(hand-operated) 드라이브(크랭크 드라이브) 또는 전력-동작 드라이브(전동 드라이브)에 의해서 생성된 구동 토크 또는 연관된 조절력이 로프에 연결된 조절 가능한 부분에 대해서, 예컨대 모터 차량의 조절 가능한 요소에 대해서 그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어서, 조절 가능한 부분을 특정 가능한(specifiable) 조절된 위치로 이송(transfer)하기 위해서, 유연성 풀링 수단(flexible pulling means)으로서 로프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된다.
조절 가능한 부분을 로프에 대해서 연결하기 위해서, 로프와는 분리된(separate) 요소, 본 명세서에서는 결합 요소로 지칭되는 요소가, 로프에 대해서 부착되고,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추가적인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통하여 차례로, 로프에 연결될 조정 가능한 부분과 연결된다는 것은 일반적인 사항이다.
조절 가능한 부분을 형성하는 모터 차량의 조절 가능한 윈도우 판유리 내의 모터 차량 윈도우 승강기(lifter)들 내에서, 윈도우 승강기 드라이브에 의해서 생성된 조절력을 조절 가능한 윈도우 판유리에 대해서 전송하는 로프에 예컨대 소위 로프 니플(rope nipple)을 부착하기 위해서, 로프 니플이 연결 포션(portion)으로 지칭되는 로프의 포션의 원주를 따라서 연장하고, 로프에 대해서 연결될 조절 가능한 부분이 예컨대 로프 니플이 (확실하게) 조절 가능한 부분 내에서 맞물리도록 부착된다. 이를 위해서, 그 내에 로프 니플이 삽입되어 윈도우 승강기의 동작이 그 내부에서 확실하게 유지되는 예컨대 소위 니플 챔버(nipple chamber)를 포함할 수 있다. 니플 챔버는 조절 가능한 윈도우 판유리 자체가 아니라 (하부 판유리 에지의 구역 내에서) 윈도우 판유리에 연결되는 소위 캐리어에 주로 제공되고, 각각의 조절 이동(movement) 동안에 윈도우 판유리를 따라서 취급(carry)된다.
대응하여, 로프 형태의 유연성 풀링 수단을 사용하여 모터 차량의 좌석 부분을 조절하기 위해서, 로프 내에서 한편으로는 조절력을 생성하기 위해서 드라이브에 가동되게(operatively)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로프에서 제공되는 결합 요소를 통하여 조절 가능한 좌석 부분과 결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합성 섬유 로프를 사용하는 경우, 즉 합성 섬유들로 제조되는 로프(플라스틱 로프)를 로프에 연결될 조절 가능한 부분에 대해서 조절력을 전송하기 위한 풀링 수단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조절 수단(adjusting means)의 연속적인 동작 내에서의 큰 힘들의 영향 하에서, 조절 가능한 부분을 확실하게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로프 니플이 이러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로프의 연결 포션에서 의도된 장착 위치 내에 유지하기 위해서 주목할 만한(notable)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것은 조절 수단의 동작시 발생하는 부하(load)를 영구적으로 견딜 수 있을 정도로 로프 니플과 로프 사이의 연결이 충분한 안정성을 가지지 못하며, 따라서 [특히 로프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의 미끄러짐(slip)에 의해서] 로프 니플이 로프에서의 의도된 장착 위치를 상실(lose)한다는 사실 때문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절 수단을 위하여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를 개선하여, 결합 요소 및 이에 연결될 수 있는 추가적인 인터페이스 요소가 매우 큰 부하 하에서도 조절 수단의 동작 시 로프에서 의도된 장착 위치를 상당히(rather)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는 본 발명의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가지는 합성 섬유 로프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 요소가 로프에서 제공되고, 이를 통하여 조절 가능한 부분이 로프에 대해서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로프의 내부에 맞물리고(engage), 합성 섬유들로 제조된 로프 성분들 뒤에서 맞물린다.
로프 성분들은 예컨대 로프의 [잡아 늘인(spun)] 스레드(thread)들 일 수 있고, 여러 개의 스레드들을 (서로 꼬여져서) 각각 형성되는 로프 가닥(strand)들 그리고/또는 합성 섬유들로 형성될 수 있으며, 꼬여져서 로프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은, 결합 요소를 로프 내부로 맞물리는 것 때문에, 전자가 로프의 가닥들 및/또는 스레드들과 같은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 로프 성분들 뒤에서 맞물리고, 특히 결합 요소와 로프 사이에 확고하고 내구성 있는 연결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로프에 연결되는 조절 가능한 부분과 결합 요소가, 큰 조절력들을 가지는 경우조차도, 로프에서 한정된 위치 내에서 신뢰성 있게 유지될 수 있다.
특히 강철 로프와 같은 금속 로프와 비교하면, 조절 수단 내에서의 유연성 풀링 수단으로서 플라스틱 로프(합성 섬유 로프)를 사용하면, 비교적 큰 탄성과 유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매우 작은 곡률 지름으로 플라스틱 로프가 권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조절 수단의 드라이브 트레인(train) 내의 기어 비율(gear ratio)를 선택할 때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다. 특히 전송 스테이지를 절감하기 위해서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무게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예컨대 충분히 유연하고 탄성인 플라스틱 로프는 조절 드라이브의 출력 샤프트(output shaft) 상에 또는 그 위에 배열된 권선 요소(winding element) 상에 직접적으로 권선될 수 있다. 반면 비교적 보다 견고한 강철 로프를 권선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큰 지름을 가지는 로프 드럼(rope drum)이 제공되어야 하며, 이를 통하여 추가적인 전송 요소들이 조절 수단의 연관된 출력 샤프트와 가동되게 연결된다.
로프의 외곽 표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로프 내로 결합 요소의 관통 깊이가, 로프를 형성하는 합성 섬유들로 만들어지는 스레드들의 평균 지름의 적어도 3배, 특히 적어도 5배일 때, 로프와 결합 요소 사이의 특히 안정적인 연결이 얻어진다.
손상을 주지 않고 로프의 가닥들 또는 스레드들 사이에 놓이도록, 로프 내로 맞물려지는 결합 요소의 구조적 요소들은 설계된다. 이를 위해서, 예컨대 구조적 요소들의 자유 단부(free end)들은, 날카로운 에지(edge)들이 없게 하기 위해서 경사진 표면들 또는 원뿔형 표면들을 가지도록 제공된다.
또한 비교적 가늘고(finer) 또한 비교적 거친(coarser) 구조적 요소들의 조합이 결합 요소와 연관될 수 있고, 전자는 개별적인 스레드들 사이에서 후자는 로프의 가닥들 사이에서 맞물려진다.
바람직한 관통 깊이는 구조적 요소들의 형상, 크기 및 개수에 따르고, 또한 로프와 결합 요소 사이의 연결의 원하는 안정성에 따른다.
한편으로는, 결합 요소는 삽입을 구성할 수 있고, 로프 포션(로프의 연결 포션) 내로 삽입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연장 방향을 가로질러서 로프를 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즉 로프의 내부로부터 로프의 외곽 표면의 대향하는 구역들까지 연장할 수 있다.
또한 결합 요소는 로프의 외주(outer circumference)에서 제공될 수 있다. 즉 결합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요소, 특히 복수의 구조적 요소들이 로퍼의 외곽 표면을 따라서 연장하는 베이스 본체로부터 연장하고 로프의 내부로 맞물려질 수 있도록 예컨대 로프 지름의 저어도 30% 또는 적어도 50%의 관통 깊이를 가지도록, 결합 요소는 그 외각 표면을 따라서 에워쌀 수 있다. 적어도 50%의 관통 깊이를 가지는 경우, 외곽 표면으로부터 로프 내부로 돌출하는 구조적 요소들은 서로에 대해서 로프의 내부에서 맞물려질수 있다. 즉 서로에 대해서 얽히게(entangled) 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 요소와 로프 사이의 보다 확고한 연결이 생성된다.
결합 요소의 견고한 기하학적 설계와는 독립적으로, 로프의 내부로부터 보았을 때, 바라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 요소는 로프의 외곽 표면을 넘어서 돌출한다. 이러한 것은, 로프의 연방 방향에서 연장하는 중앙선(center line)에 기초하여, 결합 요소가 방사상 방향으로 로프의 외주를 넘어서 돌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 요소는 (로프로부터 돌출하는 구역들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즉 로프의 성분들과 중첩하지 않으면서도, 승계(succeeding) 성분과 접촉할 수 있고, 따라서 로프 상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결합 요소에 의해서 의도된 대로 전송될 수 있다.
결합 요소 다음에 제공되고 이에 직접 접촉하는 성분은, 한편으로는 직접적으로 조절 가능한 부분 자체일 수 있고, 그 위치는 로프 상에 작용하는 조절력들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또한 인터페이스 요소일 수 있고, 그를 통하여 조절 가능한 부분이 결합 요소와 연결된다. 예컨대 결합 요소 다음에 제공되는 성분은, 그 원주(circumference)에서 (연결 포션에서) 로프를 에워싸고 이후 로프에 연결될 조절 가능한 부분이 달성될 수 있는, 예컨대 로프 니플이 조절 가능한 부품의 니플 챔버(nipple chamber) 내에서 확실하게 맞물려질 수 있는, 로프 니플(rope nipple)일 수 있다. 그러한 로프 니플은 주로 관상(tubular) 방식으로 (결합 요소와 함께 제공될 로프 포션/연결 포션 내에서) 로프를 에워싸고, 그 안에서 결합 요소에 작용하고 내곽 표면을 가지는 로프 상에서 확실하게 작용한다.
예컨대 로프 니플 형태의, 결합 요소 다음에 제공되는 성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몰딩(mold)될 수 있고, 따라서 그 사이에서 마찰적인(frictional)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확실한 연결이 존재한다. 이 경우에서, 플라스틱은 승계 성분을 위한 재료로서 부분적으로 유용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결합 요소로부터 분리된 요소로서의 승계 성분은, 마찰적으로 및/또는 확실하게 결합 요소와 연결되고, 특히 그에 압입(press-fit)될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은 결합 요소의 영역 내에서 로프를 압축(compact)하여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결합 요소 및 결합 요소 이후에 제공되는 성분은 장착 방향 내에서, 즉 로프 상에 작용하는 인장력들이 결합 요소로부터 승계 성분으로 전송될 수 있는 예컨대 결합 요소에서 대응하는 (로프의 외곽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지지 포션이 제공되고 승계 성분이 지지할 수 있는, 장착 방향 내에서, 서로를 지지한다.
결합 요소는 로프, 특히 금속 또는 충분히 강한 플라스틱 재료인 로프보다 보다 치수적으로(dimensionally) 안정된 물질로 구성된다. 따라서 로프의 개별적인 가닥들 또는 스레드들 뒤에서 맞물릴 때, 로프와 결합 요소 사이의 충분히 확고한 연결이 만들어 질 수 있고, 결합 요소는 또한 충분한 강도를 가져서, 손상없이 로프 상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승계 성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결합 요소는 로프에 고정(fix)된 클램프(clamp)일 수 있다. 또한 결합 요소는, (개방 링의 방식으로) 우선 로프 상에 놓여지는, 권축(crimp)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기에는 360° 보다 작은 각도 하에서) 에워싸고 이후에는 로프의 외곽 표면에 대해서 눌려지고(pressed), 이 경우 로프의 내부 방향에서 결합 요소의 베이스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구조적 요소들은 로프 내로 눌려지고 로프의 가닥들/스레드들 뒤에서 맞물려진다. 또한 결합 요소의 (개방 링으로 설계된) 자유 단부들은 로프 내로 관통할 수도 있다.
결합 요소는 예컨대 와이어 형상, 냉간-성형(cold-formed) 부분, 경금속 압출 성형된(extruded) 부분, 주물(casting) 또는 소위 압연-권축(roll-and-crimp) 부분으로 구성할 수 있다.
결합 요소를 합성 섬유 로프에 부착하는 방법은 청구항 제29항의 특징에 의해서 특화된다(characterized).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들은 종속항들에서 명시된다.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사항과 장점들은 도면을 참조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 요소를 로프 내부로 맞물리는 것 때문에, 전자가 로프의 가닥들 및/또는 스레드들과 같은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 로프 성분들 뒤에서 맞물리고, 특히 결합 요소와 로프 사이에 확고하고 내구성 있는 연결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로프에 연결되는 조절 가능한 부분과 결합 요소가, 큰 조절력들을 가지는 경우조차도, 로프에서 한정된 위치 내에서 신뢰성있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결합 요소는 클램프 형태의 삽입을 구성하고 로프에 대해서 인터페이스 요소 형태의 추가적인 성분을 연결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대한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대한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도 1의 실시예에 대한 제3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대한 제4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실시예에 대한 제5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결합 요소가 로프를 그 외곽 표면 상에서 에위싸고, 로프 내에서 맞물리는 구조적 요소를 포함하며, 결합 요소를 통하여 로프에 대해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요소 형태의 추가적인 성분을 포함한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대한 제1 변형예를 단면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실시예에 대한 제2 변형예를 단면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실시예들의 변형을 측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는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와 로프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요소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상세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c는 도 11a의 결합 요소의 평면도이다.
도 11d는 도 11a의 결합 요소의 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의 추가적인 실시예이다.
도 13은 모터 차량 윈도우 승강기 형태의 모터 차량을 위한 조절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조절 수단에서 사용되는 로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예컨대 전동 드라이브 형태의 드라이브(A)를 구비하거나 대안적으로 유연성 풀링 수단(Z)을 구동하는 수동 드라이브 형태일 수 있는 모터 차량 도어(door)의 조립체 캐리어(assembly carrier)와 같은, 모터 차량 지지 부분(T) 상에 배열되는 윈도우 승강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이를 위해서 드라이브(A)의 츨력-측 전송 요소 주위에서 권선되어(wound), 전송 요소의 회전 이동의 경우[드라이브(A)에 의해서 영향을 받음]에, 유연성 풀링 수단(Z)이 그 연장 방향을 따라서 이동된다.
유연성 풀링 수단(Z)은 두 개의 굴절 요소(deflecting element)들(U1, U2)에 의해서 굴절되어서, 풀링 수단 포션(Z)이 윈도우 승강기의 유도 레일(guide rail)(S)를 따라서 연장하며, 이는 윈도우 승강기에 의해서 조절될 윈도우 판유리(F)의 조절 방향(V)을 따라서 연장한다. 유도 레일(S) 상에서, 캐리어(M)는 윈도우 판유리(F)의 조절 방향(V)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유도되며, 이는 한편으로는 유연성 풀링 수단(Z) 보다 정확하게는 그 풀링 수단 포션(ZA)에 로프 니플(N)을 통하여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조절 가능한 윈도우 판유리(F)를 취급한다. 이를 위해서, 유연성 풀링 수단(Z)에 부착되는 로프 니플(N)은 한편으로는 캐리어(M)의 관련된 니플 챔버 내에 확실하게 수용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캐리어(M)는 그 하부 에지(lower edge, U)의 구역 내에서 윈도우 판유리(F)를 클램핑 수용(clampingly receive)할 수 있다.
소위 로프 윈도우 승강기 형태의 모터 차량을 위한 그러한 조절 수단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예컨대 DE 196 19 057 A1, DE 196 54 851 C1, DE 101 47 452 A1, DE 103 31 001A1 및 DE 103 31 003 A1 등의 특허 공보에 의해서 공지된다. 동력 전송 요소로서 풀링 수단을 구비하는 조절 수단은 슬라이딩 루프들(sliding roofs), 좌석 부분들, 잠금 부분들(lock parts) 등을 조절하기 위하여 모터 차량 내에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인장력을 조절 가능한 부분으로 전송하기 위해서 유연성 풀링 수단이 또한 모터 차량의 외측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연성 풀링 수단(Z)은 합성 섬유를 기초로 제조된 로프, 특히 합성 섬유 또는 플라스틱 로프를 의미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적합한 재료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이다.
통상적으로 모터 차량 내에서 조절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금속 로프, 특히 강철 로프와 비교하면, 플라스틱 로프는 매우 작은 곡률 지름(radius of curvature) 및 비교적 큰 유연성 및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대응하는 작은 지름을 가지로 권선 요소(winding element) 주위에서 권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비해서, 금속 로프, 특히 강철 로프는 비교적 큰 지름을 가지는 로프 드럼(rope drum) 주위에서 권선된다. 플라스틱 로프를 유연성 풀링 수단들로 사용하는 경우, 금속 로프, 특히 강철 로프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교해서, 하나의 전송 스테이지, 즉 조절 드라이브의 드라이브 모터로부터의 진행이, 따라서 절약될 수 있고, 드라이브 측(side) 상에서 플라스틱 로프가 비교적 빠르게 회전하는 작은 지름의 권선 요소(예컨대 모터 샤프트 상에 배열됨) 주위에서 권선될 수 있다. 이에 비해서, 드라이브 측 상에서 금속 또는 강철 로프는 비교적 느리게 회전하는 대응하는 큰 지름의 권선 요소(로프 드럼) 주위에서 권선되어야 한다.
로프의, 특히 합성 섬유 로프의 기본 구조는 도 14에 도시된다. 로프(1)는 스레드들(14a, 14b)이 형성된[잡아 늘인(spun)] 합성 섬유들로부터 제조되고, 그 지름은 예컨대 1 mm이다. 개별적인 스레드들(14a, 14b)은 이후 결합되어서(서로 꼬아져서) 복수의 소위 가닥(strand)들이 되고, 이는 서로 꼬아져서 로프를 형성한다.
이 예에서, 인접하는 가닥들(15)의 스레드들(14a, 14b)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꼬아져 있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의 가닥들을 구비하는 로프가 도 14에 도시되며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다. 여기에서, 이러한 것은 단지 서로에 대해서 인접하는 로프 가닥들(15)을 보다 명확하게 한정하기 위해서 영향을 준다. 로프(1)는 마찬가지로 랭 레이(Lang lay) 로프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접하는 가닥들의 스레드들은 동일한 공간 지형성(spatial orientation)을 가진다. 랭 레이 로프들은 일반적으로 소위 반전 레이(reverse lay) 로프들보다 보다 잘 휘어지고(pliable) 유연하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로프(1) 각각은 합성 섬유 로프이고, 각 개별적인 성분들(14a, 14b, 15)이 상세하여 설계되는 것과는 무관하게, 그 성분들(14a, 14b, 15)은 합성 섬유들로 제조되는 것을 가정한다. 단지 예시로서, 합성 섬유들로부터 잡아 늘여진 스레드들이, 이후 서로 합쳐져서 복수의 로프 가닥들(15)을 형성하고, 이를 비틀어서 로프(1)가 형성된다.
도 14에 보다 구조적으로 도시되듯이, 여기서는 윈도우 판유리를 취급하는 캐리어(M) 형태의 조절 가능한 성분을 로프(1)에 연결하여, 소위 로프 니플(N)을 각 로프(1)에 부착할 수 있고, 이는 로프(1)를 그 외주(outer circumference), 즉 그 외곽 표면(12) 상에서 에워싸며, 예컨대 캐리어(M)의 소위 니플 챔버(nipple chamber)(K) 내에서 확실하게 맞물려서, 캐리어(M)와 로프 니플(N) 사이에서 확실한 연결을 도출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캐리어(M)는 로프 니플(N)[그 니플 챔버(K) 내에서 맞물리는]을 통하여 로프(1)에 연결된다. 로프 니플(N) 또는 다른 결합 요소가 부착되는 로프 포션은, 여기서는 또한 연결 포션(10)이라고도 지칭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특히 합성 섬유 로프들에 있어서, 가동 시에 즉 큰 인장력들의 영향 하에서, 로프 니플(N)과 로프(1) 사이의 연결은 큰 인장력들의 영향 하에서 발생하는 부하들을 견디기에 충분할 정도로 안정적이지 않으며, 따라서 로프 니플(N)은 로프의 길이 방향(x)에서 로프(1)에 대해서 미끄러질 수 있다.
이후에, 로프를 (모터 차량의) 다음의 조절 가능한 부분에 결합하기 위해서 작용하는 결합 요소를, 매우 큰 부하 하에서도 로프(1)의 의도된 장착 위치를 유지하도록, 보다 정확히는 이를 위해서 제공되는 로프(1)의 연결 포션(10)에서, 합성 섬유 로프 형태의 로프(1)에 대해서 어떻게 부착하는 지에 대한 평가(measures)가 표시된다.
도 1은, 그 중심 라인(L)을 따라서 연장하고[적어도 부분적으로 굴곡되어(curved) 연장하는], 각각 국부적으로 로프의 길이 방향(x)을 따라서 연장하고, 조절 가능한 부분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관련된 드라이브에 의해서 인가되는 토크(torque) 또는 조절력을 조절할 때, 대응하는 큰 힘들이 로프(1) 상에서 작용할 수 있도록, 수동 또는 전동 드라이브와 조절 가능한 부분, 특히 도 13에서 예시하듯이 모터 차량의 조절 가능한 부분 사이의 동력 전송의 역할을 하는, 합성 섬유 로프 또는 플라스틱 로프 형태의 로프(1)의 섹션을 도시한다.
도 14에서 예시하듯이, 로프(1)는 보통 이후 합성 섬유들로 제조되는 로프 가닥들 또는 가닥 번들(bundle)들(15)을 꼬아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합성 섬유들은 잡아 늘여져서 도 14의 스레드들(14a, 14b)이 되고, 서로 꼬아져서 가닥들(15)을 형성한다.
여기서는 연결 포션(10)이라고도 지칭되는 로프(1)의 포션에 대해서, 관상(tubular) 또는 공동(hollow) 실린더형(cylindrical) 로프 니플(2)이 부착되어, 고리 모양으로(annularly) 로프를 에워싸고 제1 단부면(end face)(21) 및 제2 단부면(22) 사이에서 로프(1)의 연장 방향(x)을 따라서 연장한다. 로프 니플(2)은 또한 로프(1)로부터 빗나가는(facing away) 외곽 표면(20)과 로프(1)를 마주보는 내곽 표면(25, 내곽 )을 더 포함하고, 후자를 통하여 로프 니플(2)이 로프(1)에 대해서 연결된다.
외곽 표면(20)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면(21, 22)을 통하여, 조절가능한 부분을 로프에 연결하기 위해서, 로프 니플(2)은 예컨대 도 13의 윈도우 판유리의 캐리어, 모터 차량의 좌석 부분, 슬라이팅 루프의 캐리어 또는 잠금 부분 등의 관련된 조절 가능한 부분과 (확실하게) 맞물려진다. 이를 위해서, 도 14에 도시되듯이 조절 가능한 부분은 소위 니플 챔버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안으로 로프 니플(2)이 삽입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로프 니플(2)은 로프(1)와 관련된 조절 가능한 부분 사이의 인터페이스 요소를 형성한다.
로프(1)가 조절 수단 내에서 사용될 때 큰 인장력들의 영향 하에서도 로프(1)의 특정 지점, 즉 그 연결 포션(10)에서의 로프 니플(2), 그리고 관련된 조절 가능한 부분의, 한정되고 영구적인 배치 및 고정을 보장하기 위해서, 예컨대 금속과 같은 로프(1)의 재료와 비교할 때 보다 치수적으로 안정된 재료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제조되는, 여기서는 삽입 형태인 결합 요소(3)가 로프(1)의 연결 포션(10) 내로 삽입된다.
이 실시예에서, 결합 요소(3)는 [선(wire)으로 제조되는] (금속) 클램프 또는 선 형상으로서 설계되며, 이는 베이스(base) 구역(30)[로프(1)의 연장 방향(x)으로 연장함]과 함께 그로부터 돌출하는 두 개의 구조적 요소들(서로에 대해서 로프(1)의 연장 방향(x)을 따라서 이격되어 있음)(31, 32)을 포함한다. 각각은 다리(leg)의 형태이며, 연장 방향(x)에 대해서 가로지르는(transverse) 방향(r)(방사 방향)을 따라서 (완전하게) 로프(1)를 관통한다. 베이스 구역(30)은 로프(1)의 외곽 표면(12)의 포션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연장한다. 다리 형태의 두 개의 구조적 요소들(31, 32)은 각각의 자유 단부(free end)(31a, 32a)에서 구부러져서, 결합 요소(3)의 자유 단부들(31a, 32a)이, 특히 베이스 구역(30)에 대향하는 로프(1)의 외곽 표면(12)의 포션에서, 베이스 구역(30)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이 실시예에서, 로프(1)의 연장 방향(x) 각각은 단지 국부적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유연성) 풀링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로프(1)는 조절 드라이브 내에서 일반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굴곡되어 연장한다.
로프(1)를 [연장 방향(x)에 대해서 가로지르고 완전하게] 관통하는 결합 요소(3)의 구조적 요소들(31, 32)은, 도 14를 참조하면 구조적 요소들(31, 32)의 단면적의 크기에 따라서, 로프(1)의 내부에서 인접하는 스레드들(14) 및/또는 인접하는 가닥들(15a) 사이에서 맞물리고, 특히 확고하고(firm) 확실하고 마찰적인(frictional) 연결이 로프(1)의 내부에서 로프(1)와 결합 요소(3) 사이에 만들어진다. 또한, 베이스 구역(30) 및 방사상으로 대향하는 구조적 요소들(31, 32)의 구부러진 자유 단부들(31a, 32a)[로프(1)의 연장 방향(x)에 대해서 가로질러서]을 구비하는 결합 요소(3) 각각은 로프(1)의 외곽 표면(12)을 넘어서 돌출하여서, 도 14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요소로서의 로프 니플(2)을 승계하는(succeeding) 조절 가능한 부분(M)에 대해서 연결할 수 있다.
클램프 형태의 결합 요소(3)가 로프(1) 내로, 길이 방향(x)에 대해서 수직으로 즉 방사상 방향(r)으로 삽입되고 이후 구조적 요소들(31, 32)의 자유 단부들(31a, 32a)이 구부러질 때, 로프(1)의 스레드들이 크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구조적 요소들(31, 32) 및 특히 그의 자유 단부들(31a, 32a)은 날카로운 에지(edge)들이 없도록 그리고 가능하면 그 단부들에서 경사지는 표면들[원뿔형(conical) 표면들]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클램프 형태의 결합 요소(3)를 로프(1)의 연결 포션(10) 내로 통합(integrate)한 후, 로프 니플(2)이 로프(1)의 연결 포션(10)에 대해서 부착된다.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니플(2)이 결합 요소(3)의 구역 내에서 로프(1)와 압입(press-fit)되거나/압착(squeeze)되며, 또는 그에 대해서 몰딩되고, 여기에서 로프 니플(2)의 재료 중 일부가 결합 요소(3)의 주위에서 흐르거나(flow) 또는 변형(deform)된다. 로프 니플(2)의 내곽 포면(25)이, 특히 그 베이스 구역(30) 그리고 구부저린 자유 단부들(31a, 32a)에서, 로프(1)의 외곽 표면을 넘어서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결합 요소(3)의 일부 구역 뒤에서 맞물려져서, 로프(1)의 연장 방향(x)을 따라서의 그 내곽 표면(25)의 구역 내에서, 로프 니플(2)은 결합 요소(3) 상에서, 보다 정확하게는 그 베이스 구역(30) 및/또는 그 구부러진 자유 단부들(31a, 32a) 상에서, 지지할 수 있다.
로프 니플(2)을 형성하기 위해서 결합 요소(3)의 구역 내에서 로프(1)를 오버몰딩(overmolding)할 때 또는 압입에 의해서 결합 요소(3)의 구역 내에서 로프 니플(2)을 로프(1)에 대해서 부착할 때, 스레드들(14)과 가닥들(15)과 같은 로프(1)의 성분들은 각각 결합 요소의 구역 내에서 압축(compact)되고, 따라서 결합 요소(3)와 로프(1) 사이의 연결이 더욱 강화된다. 한편, 로프 니플(2)을 장착하기 이전에, 연결의 사전 검사를 제공하기 위해서, 결합 요소(3)와 로프(1) 사이의 연결이 충분히 내구성이 있는(durable)(즉 손실에 대해서 안전한) 것이 유리하다. 로프 니플(2)을 장착한 후에는, 결합 요소(3)와 로프(1) 사이의 연결은 더 이상 품질 확인을 위해서 용이하게 접근 가능하지 않다.
로프의 연장 방향(x)에서의 클램프형태의 결합 요소(3) 상에 전술한 로프 니플(2)의 지지에 의해서, 로프 니플(2)은, 로프의 연장 방향(x)을 따라서 작용하는 큰 힘들의 영향 하에서 조차도, 결합 요소(3)에서의 의도된 위치 내에서 유지된다.
(클램프 형태의) 결합 요소(3) 자체는 로프(1) 내에 통합된 후, 큰 인장력들 및 관련된 부하들의 영향 하에서 조차도, 의도된 위치에서 유지되고, 이는 결합 요소(3)가 다리들(31, 32)을 가지는 로프(1)의 스레드들(14) 및/또는 가닥들(15)에 도달하고 따라서 로프(1) 내에서 이동 불가능하게 통합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본 예에서의 결합 요소(3)의 부분들, 다리들로서 형성되는 구조적 요소들(31, 32)은 로프의 연장 방향(x)을 가로질러서 연장한다.
그 결과로서, 확고하고 확실하고 가능하게는 마찰적인 연결이 한편으로는 결합 요소(3)와 로프(1) 사이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로프 니플(2)과 결합 요소(3) 사이에서 획득되며, 따라서 로프 니플(2)은, 결합 요소(3)를 통하여 한정되고 내구성 있는 방식으로 특정 위치 내에서 로프(1)에 대해서,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로프 니플(2)은 승계하는 조절 가능한 부분과 연결되어야 하는 인터페이스 요소를 형성하고, 따라서 로프 상에 작용하는 인장력들이 결합 요소(3) 및 인터페이스 요소(2)를 통하여 조절 가능한 부분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전술하듯이, 로프 니플(2)은, 힘의 영향 하에서 유연하게 변형 가능하거나 몰딩 가능한 재료로, 예컨대 플라스틱이나 금속, 특히 경금속(light metal) 등의 재료로 구성된다.
본원에서는 클램프로서 형성되는 결합 요소(3)를 위해서, 충분히 확고하고 동시에 변형 가능한 재료가 사용되며, 특히 금속[예컨대 강철, 경금속, 특히 경금속 합금, 발포성(foamed) 및 가능하게는 다공성(porous) 금속] 또는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가 사용된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결합 요소(3)가 클램프 형태로 로프(1)에서 제공되고, 그 구조 내에서 주로 도 1의 결합 요소(3)에 대응하고, 차이점은 결합 요소(3)의 제2 구조적 요소(32)의 자유 단부(31a')가 구부러지지 않지만, 뚜렷하게 로프(1) 및 그 외곽 표면(12)을 넘어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점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표면(large-surface) 정지부(stop)가 생성되고, 이를 통해서 로프 니플(2)이 그 단부면(end face, 22)에서 결합 요소(3) 상에서 지지한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클램프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 요소(3)의 설계 측면에서,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로프(1)의 연장 방향(x) 내에서 연장하는 제1 베이스 구역(40)과, 그로부터[방사상 방향(r) 내에서] 가로질러서 돌출하는 구조적 요소(42)와, 제1 베이스 구역(40)과 대향하며 다리 형태의 구조적 요소(42)를 통하여 제1 베이스 구역(40)과 연결되는 제2 베이스 구역(45)으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베이스 구역(40, 45)은 그 연장 방향(x)을 따라서 로프(1)의 외곽 표면(12)의 대향하는 포션들 상에서 서로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두 개의 베이스 영역들(40, 45)을 구비하는 결합 요소(3) 각각은, 방사상 방향(r) 내에서, 로프(1)의 외곽 표면(12)을 넘어서 돌출하고, 거기에서 예컨대 로프 니플 형태의 인터페이스 요소(2)와 같은 승계하는 성분의 확고한 대응하는 연결이 만들어지며, 도 1을 참조로 이미 설명하였듯이, 또한 확실하고 가능하게는 마찰적인 연결에 기초한다.
도 4a는 U-클램프 또는 V-클램프 형태의 결합 요소(5)를 구비하는 합성 섬유 로프(1)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하나의 다리 형태의 두 개의 구조적 요소들(51, 52)은, 로프(1)의 외곽 표면(12) 상에서 제공되는 베이스(50)로부터 각각 돌출한다. 두 개의 구조적 요소들(51, 52)은 로프(1)의 연장 방향(x)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r)을 따라서 로프(1)를 관통하지만, 연장 방향(x)에 대해서 수직으로 연장하지는 않는다. 그 자유 단부들(51a, 52a)에서, 구조적 요소들(51, 52) 각각은 구부러지며, 비록 로프(1)의 외곽 표면 상에서 평평하게 놓이지는 않지만, (비스듬히 기울어져서) 그로부터 돌출한다.
도 4a의 클램프-유사 결합 요소(5) 내에서 그 베이스(50) 및 그 다리들(51, 52)의 자유 단부들(51a, 52a) 모두가 각각 로프(1)의 외곽 표면(12)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그러한 결합 요소는 특히 결합 요소(5)의 구역 내에서 로프(1)를 오버몰딩하는 것에 의해서 로프 니플(2)을 로프(1)에 대해서 부착하는 데 적합하다. 또한 베이스(50) 및 결합 요소(5)의 자유 단부들(51a, 52a) 모두가 각각 주입(injection) 몰딩에 의해서 생성되는 니플(2) 내로 실질적으로 돌출하고 따라서 그를 로프(1)에 대해서 고정한다.
도 4b에 도시된 구성은, 도 4a에 도시된 구성에 비해서, 베이스(50) 및 결합 요소(5)의 자유 단부들(51a, 52a) 각각이 로프의 외곽 표면(10)에 대해서 팽팽하게(tightly) 안정(rest)되는 점에서, 즉 도 4a의 경우보다 더 작은 정도로 돌출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한 구성은 우선 결합 요소(5)의 구역 내에서 로프(1)에서 로프 니플(2)을 압입하기에 적합하고, 따라서 결합 요소(5) 및 그 자유 단부들(51a, 52a)의 구역 내에서, 결합 요소(5)를 로프 니플(2)이 확실하고 마찰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도 5는 로프(1)의 연장 방향(x) 내에서 로프(1)의 외곽 표면(12) 상에서 연장하는 베이스(50)를 구비하는 클램프 형태의 결합 요소(6)를 도시하며, 그로부터 복수의 구조적 요소들(61, 62, 63)이 로프(1)의 연장 방향(x)에 대해서 가로질러서 돌출하고, 서로 옆에 배열되고 로프의 연장 방향(x)을 따라서 서로에 대해서 이격된다. 두 개의 외곽 구조적 요소들(61, 62) 사이에, 복수의 내곽 구조적 요소들(63)이 배치되어 있다.
구조적 요소들(61, 62, 63) 각각은, 연장 방향(x)에 대해서 가로지르는 방향(r)을 따라서 완전하게 로프(1)를 관통하고, 각각의 자유 단부들(61a, 62a, 63a)에서 구부러져서, 구조적 요소들(61, 62, 63)의 자유 단부들(61a, 62a, 63a) 각각이 마찬가지로 고리-유사(hook-like) 방식으로 로프(1)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가로질러서 맞물리는[원뿔형으로 테이퍼진(tapered)] 단부 포션을 구비하도록 그리고 실질적으로 U-형상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 요소(6)와 로프(1) 사이의 연결의 내구성이 더욱 증가된다.
자유 단부들(61a, 62a, 63a)에서 구조적 요소들(61, 62, 63)의 원뿔형 설계에 의해서, 결합 요소(6)가 초기에 로프의 연장 방향(x)을 가로질러서 로프에 도입될 때, 로프(1)의 스레드들의 손상이 또한 방지되며, 따라서 그 베이스(60)가 최종적으로 로프(1)의 외곽 표면(12)에 대해서 안정될 때까지. 구조적 요소들(61, 62, 63)이 로프(1)를 관통하고, 그리고 후속하여 구조적 요소들(61, 62, 63)의 자유 단부들(61a, 62a, 63a)이 구부러진다.
도 5에 도시된 유형의 빗-유사(comb-like) 설계의 결합 요소(6)는 예컨대 압인된(stamped) 시트-금속(sheet-metal) 부분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다리들 형태의 두 개의 외곽 구조적 요소들(61, 62)이 로프(1)의 연장 방향(x)(길이 방향)을 따라서 서로에 대해서 이격되며, 한편으로는 클램프에 의해서 형성되는 결합 요소(6')의 베이스(60)[그 연장 방향(x)을 따라서 로프(1)의 외곽 표면(12) 상에서 연장함]로부터 돌출하며, 그 자유 단부들(61a, 62a) 각각이, 도 5의 실시예에서와 대응하는 한에서, 베이스(60)에 대향하는 로프(1)의 외곽 표면(12)의 포션 상에서, 로프 내로 구부려지지만, 그러나 두 개의 자유 단부들(61a, 62a)은 상호 간에 대향하는 방향들로 구부려지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결합 요소(6')의 두 개의 다리-형상 구조적 요소들(61, 62)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U-형상의 압입부(indentation)(65)가 또한, 베이스(60)에 대향하는 로프(1)의 외곽 표면(12)의 포션에 대해서 까지, 베이스(60)로부터 연장한다. 압입부(65)의 두 개의 다리들은 부가적인 구조적 요소들을 형성하고, 처음에 언급된 구조적 요소들(61, 62)과 마찬가지로, 각각이 그 연장 방향(x)에 대해서 가로질러서 로프(1)를 관통한다.
도 7에서, 그 외곽 표면(12)에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80°를 넘지만 360° 보다는 작은 각도로) 로프(1)를 에워싸는 외피(shell)를 포함하는 베이스 본체(body)로서, 결합 요소(7)가 도시된다. 그로부터 복수의 핀-유사(pin-like) 구조적 요소들(71, 72)이 로프 내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하고, 각각이 로프(1)의 내부로 관통하고 따라서 로프(1)의 가닥들(15) 및/또는 개별적인 스레드들 사이에 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로프(1)의 외곽 표면(12)으로부터] 로프(1) 내부로의 핀-유사 돌출부(protrusion)들(71, 72)의 관통 깊이는 로프(1)의 지름의 50% 보다는 약간 작고, 따라서 핀-유사 구조적 요소들(71, 72)이 로프(1) 내부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된다. 그러나, 핀-유사 구조적 요소들(71, 72)의 관통 깊이가 특히 로프(1)의 지름의 50% 보다도 크게 제공될 수 있어서, 커플링 요소(7)의 외피-유사(shell-like) 베이스 본체(70)가 로프(1)의 외곽 표면(12)에서 압착될 때 핀-유사 구조적 요소들(71, 72)이 서로에 대해서 접촉할 수 있고, 또한 예컨대 서로에 대해서 얽히게(entangled) 될 수 있다.
구조적 요소들(71, 72)이 로프(1)의 내부에서 맞물려지고 또한 서로에 대해서 지지할 때, 여기서는 로프 니플 형태의 승계하는 성분(2)의 대향하는 포션들(지지 표면들)에 대해서, 지지 교각들(supporting bridges)이 형성되고, 이후 결합 요소(7) 상에서 지지한다.
도 5 내지 도 7의 실시예들 모두에서, 또한 도 1 내지 도 3의 구성들의 경우에서, 결합 요소(6, 6', 7)의 각각의 구역 내에서 제공되고 그 외곽 표면 상에서 로프(1)를 에워싸는 인터페이스 요소(2)는, 제공되는 결합 요소(6, 6', 7) 및 로프(1)의 연결 포션(10) 상에 각각 몰딩되거나, 또는 제공되는 결합 요소(6, 6', 7) 및 로프(1)의 연결 포션(10)와 압입될 수 있다.
도 7로부터의 결합 요소(7)의 베이스 본체(70)가, 360° 보다 작은 각도로 그 외곽 표면 상에서 로프(1)를 둘러싸는, 개방된(open) 링-유사 외피를 초기에 형성할 때, 로프(1)와 함께 결합 요소(7)를 압입한 후[권축(crimp) 부분 방식으로], 단면적에서 링-형상인 개방 베이스 본체(70)의 두 개의 자유 단부들은 서로 접촉하며, 따라서 결합 요소(7)의 베이스 본체(70)는 궁극적으로 단면적에서 폐쇄된(closed) 링을 형성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세한 사항은 다음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대안적으로, 도 7의 결합 요소(7)는 또한 로프(1)의 외곽 표면(12) 상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열된 두 개의 부분적인 외피들에 의해서 형성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두 개의 부분적인 외피들이 서로 반대 방향[로프(1)의 연장 방향(x)에 대해서 가로지르는]에서 로프(1)의 외곽 표면(12)에 대해서 각각 눌려질(pressed) 때, 두 개의 부분적인 외피들의 핀-유사 구조적 요소들(71, 72)의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핀-유사 구조적 요소들이 서로 접촉하고 얽히게 되도록 선택된다.
도 8은 로프(1)에 부착된 결합 요소(8)가 즉시, 그를 통하여 도 13의 윈도우 판유리의 캐리어(M)와 같은 모터 차량의 조절 가능한 성분이 로프(1)에 대해서 연결될 수 있는, 로프 니플 형태의 인터페이스 요소(2)를 형성하는 실시예에서의 단면을 도시한다.
이를 위해서, 결합 요소(8)는 그 외곽 표면 상에서 고리 모양으로 로프(1)를 에워싸는 베이스 본체(80)를 포함하고, 이는 로프(1)의 방사상 방향(r)에서 확장되어, 외곽 표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돌출하고, 따라서 예컨대 확실한 연결이 만들어지도록 관련된 조절 가능한 부분의 니플 챔버 내에서 삽입될 수 있다
단면에서, 결합 요소(8)가 로프(1) 상에 놓여진 이후에, 결합 요소(8)의 베이스 본체(80)는, 360° 보다 작은 각도로 그 외곽 표면 상에서 로프(1)를 둘러싸는 개방 링을 형성한다.
결합 요소(8)의 충분한 탄성에 의해서, 로프(1) 상에 결합 요소를 놓는 것은, 연장 방향에 대해서 수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결합 요소(8)는 벌려져서(spread apart), 그 사이에 로프를 도입하기 위해서 충분한 슬롯을 형성하기 위해서, 그의 대향하는 자유 단부들(80a, 80b)이 서로에 대해서 충분히 움직일 수 있다. 예컨대 로프를 도입할 때 발생하는 바이어스에 지원을 받아서(assisted), 결합 요소(8)는 이후 도 8에 도시된 결합 요소(8)가 360° 보다 조금 작은 각도로 로프(1)를 둘러싸고 따라서 그의 두 개의 자유 단부들(80a, 80b)이 서로에 대해서 조금 이격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결합 요소(8)는 예컨대 권축에 의해서 로프(1)와 압입될 수 있고, 여기서 베이스 본체(80)를 구비하는 결합 요소(8)는 로프(1)의 외각 표면에 대해서 눌려지고, 두 개의 자유 단부들(80a, 80b)은 서로 접근한다.
마찬가지로, 결합 요소(8)가 초기에 관련된 로프(1)를 단지 360° 보다 현저하게 작은 예컨대 270° 정도의 각도로 에워쌀 수 있어서, 로프(1) 상에 결합 요소(8)를 놓는 것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 요소(8)의 두 개의 자유 단부들(80a, 80b)은, 로프(1)에서 결합 요소(8)를 압입하는 것에 의해서 로프(1)를 삽입한 이후에, 서로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어서, 서로로부터 단지 조금 이격되어 있던지 또는 서로에 대해서 맞물릴 수도 있다.
또한 치아(tooth) 구역들 또는 다른 확실한 연결 구역들은 결합 요소(8)의 자유 단부들(80a, 80b)에서 제공될 수 있고, 확실한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서 권축시 서로 맞물려진다.
로프(1)의 내부의 방향 내에서 결합 요소(8)의 베이스 본체(80)로부터 돌출하는 구조적 요소들(81, 82)은, 압인에 의해서 형성된 가장자리 구멍들(rim holes)로서 설7될 수 있어서, 동심 개구부(concentric opening, 83, 84) 각각이 내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각 구조적 요소(81, 82)에 상응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 부호 81 또는 82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구조적 요소들은 각각 공통 단면 내에서 있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요소(2)로서의 역할을 또한 하는 결합 요소(8)의 베이스 본체(80)의 내부 상에서, 핀-유사 구조적 요소들(81)이 로프(1)의 내부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로프(1)의 내부에서 개별적인 로프(1)의 가닥들 및/또는 스레드들 사이에서 서로 맞물린다.
도 8의 (가장자리 구멍들에 의해서 형성되는) 구조적 요소들(81, 82)의 관통 깊이와 유사하게, 도 9의 (핀-유사) 구조적 요소들(81, 82)의 관통 깊이는 로프(1)의 지름의 50%보다 현저하게 작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10%에서 20%일 수 있다.
또한, 돌출부(8)는 결합 요소(8)의 외측으로부터 로프(1)로부터 멀어지는 외측으로 돌출하여, 도 13의 캐리어(M)와 같은 연관된 조절 가능한 부분과의 확실한 연결을 제조하기 위한 형태-맞춤(form-fit) 요소로서 역할을 한다.
도 10은 도 8에서 도시된 유형의 결합 요소(8)를 가지는 로프(1)의 평면도이다. 여기에서, 특히 결합 요소(8)의 관통 개구부(through opening)들(83, 84)이 도시되며, 이는 도 8을 참조하면, 결합 요소(8)로부터 돌출하여 내부로 향하는 가장자리 구멍들을 형성할 때 획득된다.
또한 도 10의 결합 요소(8)는 그 외주(outer circumference) 상에서의 형태-맞춤 요소로서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두 개의 돌출부(88)를 포함한다. 따라서 결합 요소(8)는 또한 예컨대 로프 니플 형태의 인터페이스 요소(2)로서 작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도 13의 캐리어(M)와 같은 조절 가능한 부분이 로프(1)에 대해서 연결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의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결합 요소(8)는 대안적으로 예컨대 로프 니플 형태의 승계 인터페이스 요소와 함께 제공될 수 있고, 이후 모터 차량의 조절 가능한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결합 요소(8)는 예컨대 인터페이스 요소와 오버몰딩될 수 있다. 결합 요소(8)로부터 돌출하는 형태-맞춤 요소들(88)은 결합 요소(8) 및 연관된 인터페이스 요소 사이에서 확고한 연결을 제공한다.
도 8 내지 도 10에서의 결합 요소(8)는 예컨대 연속 캐스트(cast) 또는 압출 성형된(extruded)(경금속) 부분으로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의 기반 상에서 제조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의 실시예에서, 삽입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결합 요소(9)가 로프(1) 내에서 배열되고, 여기에서 그로부터 치아-유사 구조적 요소들(91)이 외측으로 돌출하는 디스크-형상 베이스 본체(90)를 구비하는 요소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한 결합 요소(9)는 이미 제조 도중에 로프(1) 내에 통합될 수 있다. 로프의 스레드들(14)은 구조적 요소들(91)에 의해서 형성되는 치아들의 틈 사이에서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조적 요소(9)와 로프(1) 사이의 특히 확고하고 내구성 있는 연결이 얻어진다.
로프(1)가 심(core)을 가지도록 구성된 경우, 결합 요소(9)는 그 디스크-형상 베이스 본체(90) 내에 (중앙) 관통(through) 개구부(95)를 가질 수 있으며, 로프의 심은 그를 통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로프(1)의 스레드들/가닥들과 같은 다른 로프 성분은 결합 요소(9)의 관통 개구부(95)를 통과할 수 있다.
결합 요소(9)의 구조적 요소들(91)은 로프(1)의 외곽 표면(12)을 넘어서 방사상으로 돌출하여서, 로프 니플(2)과 같은 연관된 인퍼페이스 요소와의 연결이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서로에 대해서 배열되는 두 개의 결합 요소들(9)을 가지도록 도 11a 및 도 11b에서 도시되듯이, 로프(1)의 연장 방향(x)을 따라서 서로에 대해서 배열되는 복수의 결합 요소들(9)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a 및 도 11b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며, 결합 요소(9')는, 그로부터 돌출하는 치아-유사 구조적 요소들(91)을 구비하는 비교적 큰-부피의 베이스 본체(90')를 가진다.

Claims (32)

  1. 결합 요소(coupling element)를 통하여 로프에 연결될 조절 가능한 부분(part)으로 조절력(adjustment force)을 전송하기 위한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로서, 상기 결합 요소(3, 4, 5, 6, 6', 7, 8, 9, 9')가 상기 로프(1)와는 분리된(separate) 요소로서 상기 로프(1)에 부착(attach)되는 것이고,
    상기 결합 요소(3, 4, 5, 6, 6', 7, 8, 9, 9')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로프(1)의 내부(interior)에서 맞물리고(engage), 합성 섬유들로 이루어진 로프 성분(rope component)들(14, 14a, 14b, 15) 뒤에서 맞물리되,
    상기 결합 요소(3, 4, 5, 6, 6', 9, 9')는, 국부(local) 연장 방향(x)에 대해서 가로지르는 상기 로프(1)를 통하여 완전하게 도달(reach)하고, 상기 로프(1)의 외각 표면(12)에 대해서 안정(rest)하며 상기 로프(1)의 상기 외곽 표면(12)의 포션(portion)을 따라서 연장하는 상기 결합 요소의 베이스(base)(30, 40, 50, 60)인, 상기 로프(1)의 상기 외곽 표면(12)을 넘어서(beyond) 돌출(protrude)하며,
    상기 승계 성분(2, M)은, 상기 결합 요소와 압입(press-fit)되어, 상기 결합 요소(3, 4, 5, 6, 6', 9, 9')에 대해서 부착되어, 상기 승계 성분(2, M)의 재료가 변형되고, 상기 로프 성분들(14, 14a, 14b, 15)이 상기 결합 요소(3, 4, 5, 6, 6', 9, 9')의 구역 내에서 압축(compac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성분들(14, 14a, 14b, 15)은, 합성 섬유들로 형성된 스레드(thread)들(14, 14a, 1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성분들(14, 14a, 14b, 15)은, 상기 스레드들(14, 14a, 14b)로 형성되고 꼬여져서(twisted) 상기 로프(1)를 생성하는 가닥(strand)들(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1)의 상기 내부의 상기 결합 요소(3, 4, 5, 6, 6', 7, 8, 9, 9')는, 상기 로프(1)의 개별적인(individual) 가닥들(15) 사이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1)의 상기 내부의 상기 결합 요소(3, 4, 5, 6, 6', 7, 8, 9, 9')는, 상기 로프(1)의 개별적인 스레드들(14, 14a, 14b) 사이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3, 4, 5, 6, 6', 7, 8, 9, 9')는, 상기 로프(1)의 외곽(outer) 표면(12)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로프(1)의 상기 스레드들(14, 14a, 14b)의 지름의 적어도 3배의 깊이까지 관통하여 상기 로프(1)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의 상기 내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요소(structural element)(31, 32; 41; 51, 52; 61, 62, 63; 71, 72; 81, 82)는 상기 로프(1)의 국부(local) 연장 방향(x)에 대해서 가로질러서(transverse)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3, 4, 5, 6, 6', 9, 9')는, 상기 로프(1) 내에서 삽입(insert)으로서 배열(arrang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7, 8)는, 상기 로프(1)의 외곽 표면(12)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요소(71, 72; 81, 82)와 상기 로프(1)의 상기 내부에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7, 8)는, 상기 로프(1)의 상기 외곽 표면(12)을 따라서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구조적 요소들(71, 72; 81, 82)과 상기 로프(1)의 상기 내부에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3, 4, 5, 6, 6', 7, 8, 9, 9')의 상기 로프(1)의 상기 내부로의 관통(penetration) 깊이는, 상기 로프(1)의 상기 표면(12)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로프의 지름의 적어도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3, 4, 5, 6, 6', 7, 8, 9, 9')의 상기 로프(1)의 상기 내부로의 상기 관통 깊이는, 상기 로프(1)의 상기 표면(12)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로프의 지름의 적어도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1)의 상기 내부의 적어도 두 개의 구조적 요소들(71, 72)은, 서로 맞물려서, 서로에 대해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7, 8)는, 그 외곽 표면(12)에서 상기 로프(1)를 에워싸는(enclose)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1)의 상기 외각 표면(12)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region)을 통하여, 상기 결합 요소(3, 4, 5, 6, 6', 7, 8, 9, 9')는 승계(succeeding) 성분(2, M)과 직접 접촉될 수 있고, 상기 로프(1) 상에 작용하는 인장력(tensile force)은 상기 결합 요소(3, 4, 5, 6, 6', 7, 8, 9, 9')에 의해서 상기 승계 성분에 대해서 전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계 성분(2, M)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결합 요소(3, 4, 5, 6, 6', 7, 8, 9, 9') 뒤에서 맞물리고, 상기 로프(1)의 상기 연장 방향(x)에서 그 위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3, 4, 5, 6, 6', 7)는, 상기 로프(1)를 통하여 도달하고,
    상기 승계 성분(2, M)은, 적어도 하나의 표면 포션(portion)(22, 25)에 의해서 상기 로프(1)의 상기 외곽 표면(12)으로부터 서로 돌출하는 상기 결합 요소의 대향하는(opposed) 구역들(30, 31a, 32a; 40, 45; 50,51a, 52a; 60, 61a, 62a, 63a; 70, 75) 상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3, 4, 5, 6, 6', 7, 8, 9, 9')는 상기 로프(1)보다 좀 더 치수적으로(dimensionally) 안정된 물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3, 4, 5, 6, 6', 7, 8, 9, 9')는,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3, 4, 5, 6, 7)는 상기 로프(1)에 대해서 고정(fix)된 클램프(clamp)를 구성(constitute)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1)는, 조절 드라이브(A)에 의해서 생성된 조절력을 모터 차량의 조절 가능한 성분(M)으로 전송하기 위한 풀링 수단(pulling means)로서 형성되고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24. 모터 차량의 조절 가능한 부분(M)을 조절하기 위한 모터 차량 조절 수단으로서,
    한편으로는 상기 조절 수단의 조절 드라이브(A)에 가동되게(operatively)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조절 가능한 부분(M)이 연결되는, 로프(2) 형태의 유연성 풀링 수단을 포함하고,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서 상기 로프(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차량 조절 수단.
  25. 결합 요소(3, 4, 5, 6, 6', 7, 8, 9, 9')를 로프(1)에 대해서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로프(1) 상에 작용하는 조절력을 상기 로프(1)와 연관된 조절 가능한 부분(M)으로 전송하는 역할(serve)을 하며, 상기 결합 요소(3, 4, 5, 6, 6', 7, 8, 9, 9')가 상기 로프(1)의 연결 포션(10) 상에 배열되며, 이에 대해서 상기 조절 가능한 성분(M)이 연결되되,
    a) 상기 결합 요소(3, 4, 5, 6, 6', 7, 8, 9, 9')가 상기 로프(1)의 연결 포션(10)에서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요소(31, 32; 41, 42; 51, 52; 61, 62, 63; 71, 72; 81, 82; 91)가 상기 로프 내에 도입(introduce)되어, 상기 로프(1)의 내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로프 성분(14, 14a, 14b, 15) 뒤에서 맞물리는 것과,
    b) 상기 로프 상의 상기 결합 요소(3, 4, 5, 6, 6', 7, 8, 9, 9')의 위치가 특정한 의도된 위치에 대응하는지 검사(examination)하는 것과,
    c) 상기 결합 요소(3, 4, 5, 6, 6', 7, 8, 9, 9')가 후속하여 상기 승계 성분(2, M)과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를 로프에 대해서 부착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를 로프에 대해서 부착하는 방법.
  2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3, 4, 5, 6, 6', 7, 8, 9, 9')의 상기 로프(1)의 상기 내부로의 관통(penetration) 깊이는, 상기 로프(1)의 상기 표면(12)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로프의 지름의 적어도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1)는, 조절 드라이브(A)에 의해서 생성된 조절력을 모터 차량의 좌석 부분의 윈도우 판유리(pane)의 캐리어(carrier)로 또는 슬라이딩 루프(sliding roof)의 윈도우 판유리(pane)의 캐리어(carrier)로 전송하기 위한 풀링 수단(pulling means)로서 형성되고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107029879A 2008-06-03 2009-06-02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모터 차량의 조절 가능한 부분을 조절하기 위한 모터 차량 조절수단 및 결합요소를 로프에 대해서 부착하는 방법 KR1012728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26804.6 2008-06-03
DE200810026804 DE102008026804A1 (de) 2008-06-03 2008-06-03 Seil für einen Fensterheber eines Kraftfahrzeuges
DE200910021055 DE102009021055A1 (de) 2009-05-08 2009-05-08 Seil
DE102009021055.5 2009-05-08
PCT/EP2009/056744 WO2009147140A1 (de) 2008-06-03 2009-06-02 Kunstfaserseil mit koppel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932A KR20110031932A (ko) 2011-03-29
KR101272824B1 true KR101272824B1 (ko) 2013-06-10

Family

ID=41105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879A KR101272824B1 (ko) 2008-06-03 2009-06-02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모터 차량의 조절 가능한 부분을 조절하기 위한 모터 차량 조절수단 및 결합요소를 로프에 대해서 부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75691B2 (ko)
EP (1) EP2297419A1 (ko)
JP (1) JP5325287B2 (ko)
KR (1) KR101272824B1 (ko)
CN (1) CN102057122B (ko)
RU (1) RU2461695C2 (ko)
WO (1) WO20091471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57122B (zh) 2008-06-03 2014-04-09 布罗泽汽车部件制造科堡有限公司 具有耦联元件的合成纤维绳索
CN102689146B (zh) * 2012-06-09 2014-04-30 山西经纬合力机械制造有限公司四厂 用于细纱机粗纱循环中的半圆导轨的制造方法
US11039650B1 (en) 2013-03-12 2021-06-22 Theresa F. Remmey Elastic strap for apparel use
US9932878B2 (en) 2016-02-08 2018-04-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rticulate matter sensor
CN109642435B (zh) * 2016-06-08 2021-01-29 诺迪斯科股份有限公司 用于帐篷的拉线元件以及包括这种拉线元件的帐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05252A2 (de) * 1996-05-03 1997-11-0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Seilfensterheber mit vergrössertem Hub
WO1998002675A1 (en) 1996-07-12 1998-01-22 Talurit Ab A clamping joint for interconnection of a clamping lock with at least one wire and a method for producing such a clamping joint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28620C (de) 1931-07-01 Hermann Schwerin Seilbefestiger
US1197078A (en) 1913-01-10 1916-09-05 Robeson L Low Machine for the manufacture of corrugated cardboard.
US1197073A (en) 1914-09-24 1916-09-05 Albert Henry Smith Nipple for bowden wire mechanism and the like.
GB166797A (en) 1920-06-10 1921-07-28 George Gale Thomas Improvements in and connected with bowden wire mechanism
GB229116A (en) 1924-03-13 1925-02-19 James Dohert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connection of bowden cables to operating levers
US1808075A (en) * 1930-05-07 1931-06-02 Rothschild Sidney Cord or rope holding device
US2607094A (en) * 1950-12-16 1952-08-19 Larry F Nicosia Rope connector
CH304123A (de) 1952-07-30 1954-12-31 Trieb Eduard Endmuffe an einem Bowden- oder andern Zugkabel.
US3267539A (en) 1964-06-30 1966-08-23 Edward R Mark Cable fitting
US3466712A (en) * 1967-11-28 1969-09-16 Robert J Behney Rope clamp
US3704488A (en) * 1972-01-20 1972-12-05 Line & Rope Clamps Inc Line clamp
JPS5867143U (ja) * 1981-10-29 1983-05-07 株式会社ユニオン装飾金物部 手摺り用ロ−プ
US4534097A (en) * 1982-03-19 1985-08-13 Mason James R Method of making a police restraint device
DE3413100A1 (de) 1984-04-06 1985-10-1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8630 Coburg Seil-fensterheber
JPS643310A (en) 1987-06-23 1989-01-09 Asahi Chemical Ind End retaining method for ultra-high stretched polyoxymethylene member
US4955750A (en) * 1989-09-05 1990-09-11 Leo Goran Rope fastener
JP2524611Y2 (ja) * 1991-10-07 1997-02-05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ワイヤ式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装置
DE59403041D1 (de) 1993-06-30 1997-07-10 Kuester & Co Gmbh Seilzug-fensterheber
US5582447A (en) * 1995-02-24 1996-12-10 E. J. Brooks Company Locking device with serpentine gripping member
US5813790A (en) * 1995-09-29 1998-09-29 Goran, Jr.; Leo Rope fastener
DE19654851C1 (de) 1996-12-30 1998-06-10 Brose Fahrzeugteile Seilfensterheber mit einer Führungsschiene
JPH10234432A (ja) * 1997-02-28 1998-09-08 Ykk Corp 紐固定具
DE19711046A1 (de) * 1997-03-04 1998-09-10 Brose Fahrzeugteile Seilfensterheber
US5987710A (en) * 1997-06-04 1999-11-23 Paul; Dan Rope securement clip for forming a break-away connection
ZA200002574B (en) 1999-06-11 2000-12-01 Inventio Ag Synthetic fiber rope to be driven by a rope sheave.
DE10147452A1 (de) 2001-09-19 2003-04-03 Brose Fahrzeugteile Fensterheber
DE10151068B4 (de) * 2001-10-05 2005-09-2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r von einem doppelsträngigen Seilfensterheber bewegten Fensterscheibe eines Kraftfahrzeugs
US6829963B2 (en) 2002-09-03 2004-12-14 Yung Sung Lin Handlebar shifter device for operating bicycle derailleur system
DE20214668U1 (de) 2002-09-18 2003-10-23 Brose Fahrzeugteile Mitnehmer für einen Kraftfahrzeugfensterheber
CN1926299A (zh) * 2004-03-04 2007-03-07 英提尔汽车系统公司 窗户调节器
FR2881488B1 (fr) * 2005-01-31 2012-03-30 Joubert Productions Crochet pour cable et notamment cable elastique et cable muni d'un tel crochet
DE202005006942U1 (de) 2005-04-28 2006-09-07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Schiebetür für ein Kraftfahrzeug
FR2906586B1 (fr) * 2006-09-29 2013-07-05 Joubert Productions Embout de fixation universel et ensemble de fixation comprenant un tel embout
DE102007046916A1 (de) 2006-11-09 2008-05-15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ß
AT505512B1 (de) 2007-07-03 2009-09-15 Teufelberger Gmbh Anordnung zum verbinden eines länglichen elements mit einer weiteren komponente
CN102057122B (zh) 2008-06-03 2014-04-09 布罗泽汽车部件制造科堡有限公司 具有耦联元件的合成纤维绳索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05252A2 (de) * 1996-05-03 1997-11-0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Seilfensterheber mit vergrössertem Hub
WO1998002675A1 (en) 1996-07-12 1998-01-22 Talurit Ab A clamping joint for interconnection of a clamping lock with at least one wire and a method for producing such a clamping jo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94370A1 (en) 2011-04-28
WO2009147140A1 (de) 2009-12-10
JP5325287B2 (ja) 2013-10-23
CN102057122B (zh) 2014-04-09
CN102057122A (zh) 2011-05-11
KR20110031932A (ko) 2011-03-29
US8375691B2 (en) 2013-02-19
RU2010152037A (ru) 2012-07-20
RU2461695C2 (ru) 2012-09-20
EP2297419A1 (de) 2011-03-23
JP2011522143A (ja) 201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824B1 (ko) 결합 요소 구비 합성 섬유 로프, 모터 차량의 조절 가능한 부분을 조절하기 위한 모터 차량 조절수단 및 결합요소를 로프에 대해서 부착하는 방법
CN101287396B (zh) 牵引线设置和使用所述牵引线设置的可调式支撑组合件
US4225172A (en) Flexible connection for cable wire rope ends
US20050116124A1 (en) Suspension for elongated objects, in particular cables
CN107829622B (zh) 用于锁模块的鲍登拉线密封件
DE202015009443U1 (de) Beleuchtungsvorrichtung
FR2558930A1 (fr) Ensemble a cable retordu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6061879A (en) Epoxy type termination for flexible flat termination member
JP2011522143A5 (ko)
US20220228316A1 (en) Rope having an end connector segment comprising two rope-branches for making noosed connections
US7406751B2 (en) Line tensioning systems and methods
US10422411B2 (en) Synthetic rope termination
US20170167515A1 (en) Connecting Element for Securing Two Half-Shells of a Belt Buckle
KR101062788B1 (ko) 케이블 레이드 슬링 및 그 제조방법
JPH0523849Y2 (ko)
EP2700842B1 (en) Device for securing a rope
KR100869391B1 (ko) 와이어 계지 풀리
RU2241877C2 (ru)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троса и скоб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EP0787101B1 (en) Ferrule
CN108513601B (zh) 鲍登缆线的弯曲部保形结构
EP1884683A3 (de) Zugmittelanordnung
FR3132921A3 (fr)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fermoir de menotte automatique
CN105324279B (zh) 卷带轴和安全带卷收器
EP0857628A3 (de) Gurtschloss mit daran befestigtem Zugseil
JPH05504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