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391B1 - 와이어 계지 풀리 - Google Patents

와이어 계지 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391B1
KR100869391B1 KR1020020030975A KR20020030975A KR100869391B1 KR 100869391 B1 KR100869391 B1 KR 100869391B1 KR 1020020030975 A KR1020020030975 A KR 1020020030975A KR 20020030975 A KR20020030975 A KR 20020030975A KR 100869391 B1 KR100869391 B1 KR 100869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ulley
groove
insertion grooves
rad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5089A (ko
Inventor
오와준지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5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lley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구속부재를 사용하지 않아 와이어부착이 간단하고 풀리로부터 빠지기 어려우며 또 와이어 고정길이에 불균일이 적은 고정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와이어(13)를 이끄는 V홈(15)은 풀리(11)의 둘레부 절반에 걸쳐 형성되고, 남은 둘레부 절반 영역에 와이어 계지구조체(10)를 배치한다. 와이어 단말(13a)에 압착고정한 계지슬리브(14)를 풀리 뒷면 포켓(16)에 결합시키고, 와이어 자유단은 앞면 삽입홈(17)에 권회되고 나서 뒷면 삽입홈(18) 및 앞면 삽입홈(19)에 걸어 돌리고 각 홈에 끼워넣으며, V홈(15)의 둘레에 감겨서 외부로 유도된다. 풀리 전후면 F,R에서 번갈아 오목하게 배치한 와이어 끼워넣는 홈(17)(18)(19)은 V홈(15)을 포함하는 회전축(C)에 직각인 일 평면을 따라 굴곡시켜 와이어(13)의 길이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또 와이어(13)는 풀리(11)의 전후면 F,R을 번갈아 놓고 있기 때문에 작용대상의 급격한 회전/정지에 의한 충격적 조작의 영향을 받아도 풀리(11)로부터 빠지는 경우는 없다.

Description

와이어 계지 풀리{WIRE ENGAGE PULLEY}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와이어의 계지구조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풀리편면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와이어의 계지구조의 도 1과 반대면의 풀리의 평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관한 와이어의 계지구조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풀리 각 부의 단면도로서, (a)는 도 2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b)는 도 2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c)는 도 2의 O-D선을 따른 단면도, (d)는 도 2의 O-E선을 따른 단면도, 그리고 (e)는 도 2의 O-F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기계적 원격조작으로 작용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 와이어의 단말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세탁기의 브레이크 조작이나 지수전(止水栓) 조작에 사용하는 와이어 단말을 고정시키는 와이어 계지 풀리에 관한 것이다.
풀리에 와이어를 고정하는 제1수단으로서는 풀리의 편면내에 꾸불꾸불한 모양으로 지그재그홈이 새겨지고, 그 홈을 따라 와이어를 풀리의 편면에 삽입함으로써 특히 와이어 단말을 구속하는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고 마찰결합으로 고정한다. 또 풀리에 와이어를 고정하는 제 2수단으로서는 풀리의 양면에 와이어 고정용의 홈을 번갈아 새겨 장착하고, 와이어를 풀리의 외주로부터 그 홈을 따라 양 면을 번갈이 지그재그로 걸어 삽입한다. 이 경우도 삽입된 와이어 형상은 풀리의 둘레부를를 따라 축방향으로 굴곡하여 꾸불꾸불한 모양이 되고, 지그재그형의 마찰결합에 의한 고정수단이 된다.
그러나 상기 제 1수단의 편면에서 와이어를 삽입할 경우는 와이어가 간단히 빠질 염려가 있다. 그래서 와이어를 완전히 고정용 홈의 안쪽까지 밀어넣도록 고정용 홈 폭을 넓히면 오히려 쉽게 빠진다. 또 쉽게 빠지지 않도록 역으로 홈 폭을 좁게 하면 홈의 안쪽까지 밀어넣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이 경우도 빠지기 쉬워진다.
한편 상기 제 2수단의 와이어를 양면에서 삽입할 경우에는 빠지기 쉬운 것에 관해서는 개선되지만 와이어가 축방향으로 굴곡하여 이루어진 꾸불꾸불한 통로는 평면적으로 전개하는 것이 아닌 입체적이 되어 와이어 조립시의 길이의 불균일은 더욱 커진다. 이와같이 와이어의 꾸불꾸불한 통로 형상이 입체적이 되면 와이어 자체의 강성으로 번갈은 홈 사이 걸침에 의해 와이어가 형성하는 곡률은 안정되지 않아 재현성이 좋지 않으므로 소요의 길이가 파악되기 어려워 설정이나 조정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들면 세탁기의 브레이크 조작기구에 적용하면 불완전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지수전 조작기구에 적용하면 폐쇄불완전으로 누수되거나 역으로 뚜껑이 열리지 않는 사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풀리로부터 와이어가 잘 빠지지 않고 또한 와이어 고정길이에 불균일이 적은 고정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풀리의 양면에서 와이어를 삽입하는 고정수단을 적용하고, 또한 와이어의 중심을 일평면내에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와이어 계지 풀리는 축선에 직각으로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제 1면과 제 2면(R),(F)을 구비하는 풀리로서, 상기 제1면(R)의 방사상방향 중간 위치에 와이어의 한쪽 단말을 고정하는 계지부를 배치하고, 이 계지부로 고정한 상기 와이어 단말로부터 연결하여 이어지는 와이어의 자유단을 상기 풀리의 주변 둘레부분이 되는 둘레부로 유도하는 중간에 상기 풀리의 반지름 방향이 되는 방사상 방향 중간위치에 상기 와이어의 일부를 끼워넣는 삽입홈을 형성하고, 인접하는 최소한 한쌍의 상기 삽입홈중 한쪽의 삽입홈을 상기 제1면(R)에 개방하도록 축방향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한쌍의 삽입홈 중 다른 쪽 삽입홈을 상기 제2면(F)에 개방하도록 축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과 상기 계지부 중간에는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들 중 한 연결부는 상기 한쌍의 삽입홈을 서로 연결시키며, 상기 한쌍의 삽입홈의 깊이는 이들 삽입홈에 감긴 와이어가 상기 풀리의 둘레부에 감긴 와이어와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일 평면내에 정합하도록 하는 깊이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은 상기 평면내에서 풀리의 반지름 방향이 되는 방사상 방향으로 굴곡하여 꾸불꾸불한 모양으로 진행하고, 상기 와이어의 인장하중이 상기 계지부로 직접 영향을 주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상기 인접하는 한쌍의 삽입홈은 한쪽을 풀리의 반지름 방향이 되는 방사상 방향으로 개방하여 와이어를 풀리 외주로부터 삽입홈에 끼워넣기 쉽게 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면과 제 2면에 연결시키고, 풀리의 반지름 방향이 되는 방사상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큰 폭으로 개방구멍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와이어를 축방향으로 번갈아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하는 조작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이와같이 와이어를 길이 전체에 걸쳐 관리가능한 평면적 꾸불꾸불한 통로로 가이드 하여 꾸불꾸불한 통로의 면 접촉에 의한 마찰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삽입홈에 대해서는 축의 양 면에서 번갈아 결합시키는 것으로 축방향으로 와이어가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와이어의 계지구조의 실시예를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1은 부호 10으로 도시하는 본 발명에 관한 와이어의 계지구조를 풀리(11)에 적용한 일 실시예로 풀리(11)를 보스(12)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동 풀리(11)의 반대측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설명의 사정상 보스(12)측을 앞면 F로 하고, 반대측을 뒷면 R로 한다. 와이어(13)의 계지측 단말(13a)에는 관모양 계지슬리브(14)를 피복하고, 그 측면을 압착하여 와이어 단말(13a)에 고착한다.
풀리(11)에는 와이어(13)가 감기는 것을 가이드하는 V홈(15)이 풀리(11)의 중심각 180°의 범위에 걸쳐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V홈(15)은 도 2의 A-A선을 따라 도 3(a)에 단면도로 도시하는 형상으로 홈 저면(15a)이 풀리(11)의 반경 r의 약 절반에 달하는 깊이에서 외주(11a)를 따라 풀리의 중심각 180°의 범위로 둘레에 형성 되지만 V홈(15)은 전달에 필요한 하중 및 소요스트로크 등의 사양에 따라 여러가지 형상설정이 가능하다.
풀리(11)의 뒷면 R에서 V홈(15) 한쪽의 단부(15f) 근방에 계지슬리브(14)를 수용하는 포켓(16)을 오목하게 배치한다. 계지슬리브(14)와 포켓(16)은 함께 계지부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관한 와이어의 계지구조(10)는 V홈(15)을 형성한 풀리(11)의 남겨진 범위에 형성된다. 즉 풀리축 중심선(11c)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서로 평행으로 대향하는 풀리의 앞면 F 및 뒷면 R에 대해 둘레방향으로 서로 떨어진 위치에 와이어(13)를 끼워넣는 삽입홈(17)(18)(19)이 각각 번갈아 배치된다.
삽입홈(17)(18)(19)의 깊이는 도 2에 도시하는 B-B선, O-D선, O-E선, O-F선을 따른 각부 단면도가 각각 도 3(b)(c)(d)(e)와 같이 도 3(a)에 도시하는 V홈 중심(15c)에 정합시켜 배치한다. 즉 V홈(15)에 삽입되어 홈 저면(15a)에 정착한 와이어 중심(13c-1)과 삽입홈(17)(18)(19)에 삽입되어 각각의 저면(17a)(18a)(19a)에 정착한 와이어 중심(13c-2)은 V홈 중심(15c)과 동일 면상에 정합한다(도 3참조).
풀리(11) 뒷면 R에 배치된 계지슬리브(14)의 수용 포켓(16)과 둘레방향으로 근접하는 위치에서 풀리(11) 앞면 F을 향하는 연결부(20a)가 형성되고(도 3(b)참조), 앞면 F에 배치되어 꾸불꾸불하게 진행하는 제 1삽입홈(17)에 접속한다(도 1 및 도 3(c)참조). 제 1삽입홈(17)에서 둘레방향으로 이간하는 뒷면 R에 제 1삽입홈(17)과 쌍을 이루는 제 2삽입홈(18)이 배치된다(도 2참조). 쌍을 구성하는 한쪽의 제 2삽입홈(18)의 홈 바닥은 뒷면 R측을 풀리의 반지름방향이 되는 방사상 방향으로 개방면(18a)을 형성하고, 와이어(13)의 끼워넣음을 용이하게 한다(도 3(d)참조). 또한 제 2삽입홈(18)에서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둔 위치에 앞면 F에 제 3삽입홈(19)이 배치된다(도 3(c)참조).
포켓(16)과 제 1삽입홈(17)을 연결시키는 연결부(20a)에 덧붙여 제 1삽입홈(17)과 제 2삽입홈(18)을 연결시키고, 또한 제 2삽입홈(18)과 제 3삽입홈(19)을 연결시켜 V홈(15)에 접속하는 연결부(20b)(20c)(20d)를 배치한다. 연결부(20a)(20b)(20c)(20d)는 중심이 제 1, 제 2, 제 3삽입홈(17)(18)(19) 및 포켓(16)의 각 중심선과 동일면을 공유하도록 배치한다.
포켓(16)에서 제 1삽입홈(17)으로의 연결부(20a)에는 방사상방향으로 개방되고, 뒷면 R에서 앞면 F에 걸치는 개방구멍(21a)이 형성되며, 제 1삽입홈(17)과 제 2삽입홈(18)을 연결하는 연결부(20b)에 형성된 개방구멍(21b)은 방사상방향으로 개방하여 앞면 F에서 뒷면 R에 걸쳐 형성된다. 또한 제 2삽입홈(18)과 제 3삽입홈(19)을 연결하는 연결부(20c)에 형성된 개방구멍(21c)은 뒷면 R에서 앞면 F에 걸친다. 그리고 연결부(20d)는 앞면 F만의 개방구멍(21d)으로 제 3삽입홈(19)을 V홈 단부(15c)에 접속한다. 각 개방구멍(21a)(21b)(21c)(21d)의 개방구멍의 폭은 와이어(13)의 직경 φd보다 크게 하여 유연성이 부족한 와이어(13)가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된다.
각 삽입홈(17)(18)(19) 및 연결부(20a)(20b)(20c)(20d)의 홈 폭(w)은 φd(와이어 외경) +α로, α에는 사양에 적합하여 용이하게 와이어(13)가 각 삽입홈(17)(18)(19)의 안쪽까지 삽입가능하도록 적당한 간극공차를 설정한다. 연결부(20a)(20b)(20c)(20d)가 각 삽입홈(17)(18)(19)을 연결시켜 형성하는 형상은 풀리 축선(11c)에 직교하고, V홈 중심선(15c)을 포함하는 평면내에서 꾸불꾸불한 모양으로 진행한다. 이 꾸불꾸불한 부분 전체 영역에 걸쳐 고정되는 와이어(13) 사이의 면접촉이 풀리(11)와의 마찰결합에 기여한다.
와이어(13)를 짜 넣을 때는 우선 와이어 단말(13a)에 압착한 계지슬리브(14)를 풀리 뒷면 R에 오목하게 배치된 포켓(16)에 끼운다. 포켓(16)에서부터 연결되어 이어지는 와이어(13)를 방사상 방향으로 개방하는 개방구멍(21a)에 풀리 외주(11a)측으로부터 삽입하고, 뒷면 R에서 앞면 F에 걸치는 연결부(20a)에 의해 앞면 F측에 감아 제 1삽입홈(17)에 끼워넣는다.
다음에 와이어(13)는 방사상 방향으로 개방하는 개방구멍(21b)에 풀리외주(11a)로부터 삽입하고, 제 1삽입홈(17)과 제 2삽입홈(18)에 연결하여 앞면 F에서 뒷면 R에 걸치는 연결부(20b)에 의해 뒷면 R측에 감아 제 2삽입홈(18)에 끼워넣는다. 또한 와이어(13)는 마찬가지로 형성된 개방구멍(21c)에 풀리외주(11a)로부터 연결부(20c)에 삽입하고, 뒷면 R에서 앞면 F에 감아 제 3삽입홈(19)에 끼워넣는다. 그리고 나서 와이어(13)는 개방구멍(21d) 및 연결부(21d)를 거쳐 V홈 단부(15e)로 인도되고, V홈(15)을 둘레방향으로 감은 후 V홈 단부(15f)에서 접선방향을 따라 풀리(11)밖으로 연결하여 이어지도록 하여 와이어 자유단(13f)을 대응하는 관련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는 와이어(13)는 그 자체의 강성에 따라 자유로운 거동이 허락되고 내부응력왜곡에 의한 자연의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와이어의 계지구조(10)의 삽입홈(17)(18)(19)의 중심과 와이어(13)의 중심과는 일치하지 않고, 와이어(13)의 자세는 V자홈 중심(15c)을 포함하는 동일 평면내에 정합하고 있지 않다. 그래서 와이어(13)의 강성을 넘는 하중으로 와이어(13)의 출력측 자유단(13f)에 장력(t)를 가한다. 이 조작에 의해 삽입홈(17)(18)(19) 및 연결부(20a)(20b)(20c)(20d)를 경유하는 와이어 중심은 V홈 중심(15c)을 포함하는 동일 평면상에 일치시킬 수 있다.
와이어(13)는 풀리(11)의 양면 F,R측에서 번갈아 삽입홈(17)(18)(19)에 삽입하고 있기 때문에 축방향에서 와이어(13)를 벗기는 작용력이 작용해도 와이어(13)를 측면에서 번갈아 규제하고 있는 풀리면에 저지되어 와이어(13)가 풀리(11)에서 빠지지 않는다.
또 삽입홈(17)(18)(19)과 연결부(20a)(20b)(20c)(20d)가 구성하는 와이어(13)의 경로를 일 평면내에서 굴곡시켰기 때문에 최초의 굴곡부(k1)에는 와이어의 자유단(13f)에 작용하는 장력이 직접 걸리지만 다음의 굴곡부(k2)에서 그 이후의 굴곡부(k3)에 걸리는 장력은 순차 체감하여 계지단말(13a)에 전달되는 작용력은 극히 약해진다. 따라서 와이어(13)의 단부를 고정하는 계지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풀리(11)에는 V홈(15)의 단부(15e)의 근방에 풀리 외주(11a)로부터 돌출시켜 스토퍼(22)가 배치되고, 풀리(11)를 축지지하는 장치의 회전멈춤(도시하지 않음)에 충접(衝接)시켜 풀리회전이 특정위치에서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포켓(16)과 스토퍼(22) 사이에서 삽입홈(17)(18)(19)과 연결부(20a)(20b)(20c)(20d)가 형성하는 꾸불꾸불한 통로의 굴곡은 일 평면내에 규제되므로 와이어(13)는 길이가 안정되고, 풀리(11)가 작용력을 미치는 또는 미치게 되어 스토퍼(22)로 위치결정되는 이동거리 즉 풀리(11)의 회전각에 대한 와이어(13)의 길이는 거의 일정하게 된다.
이와같이 제어에 필요로 하는 와이어(13)의 길이가 안정되면 풀리(11)의 조립시의 와이어(13)의 길이의 설정이나 유지관리는 용이하게 되고, 와이어(13)의 길이조정에 필요로 하는 노력이나 시간은 완화된다. 풀리(11)의 보스(12)에는 스플라인홈(12a)을 배치한 관통공(12b)이 배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회전축의 대응하는 스플라인톱니에 맞물려 회전방향에 대한 상호관계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회전축에 계지된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와이어의 계지구조의 실시예를 세탁기의 브레이크 또는 지수전 조작용 풀리에 적용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는 와이어의 빠짐방지와 와이어 구속부의 길이의 안정화이기 때문에 풀리의 와이어 안내홈은 V홈 이외의 형상 예를들면 직사각형, U자형 또는 특히 림을 배치하지 않고 평탄해도 좋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1구성특징의 와이어의 계지 풀리에 의하면 방사상 방향으로의 와이어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방사상방향으로의 와이어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길이의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구성특징에 의하면 와이어 고정용 삽입홈을 일 평면내에서 꾸불꾸불한 모양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와이어의 계지부에 인장응력이 집중하지 않아 강도적으로 유리하다.
또 제3구성특징에 의하면 와이어를 풀리 둘레부로부터 삽입홈에 끼워넣기 쉬워지게 된다.
또한 제4구성특징에 의하면 축방향으로 번갈아 와이어를 삽입홈에 삽입하는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5)

  1. 축선(11c)에 직각으로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제 1면과 제 2면(R)(F)을 구비하는 풀리(11)로서,
    상기 제1면(R)의 방사상 방향 중간 위치에 와이어(13)의 한쪽 단말(13a)을 고정하는 계지부(14)(16)를 배치하고, 이 계지부(14)(16)로 고정한 상기 와이어 단말(13a)로부터 이어지는 와이어(13)의 자유단을 상기 풀리(11)의 주변 둘레부분이 되는 둘레부로 유도하는 중간에 상기 풀리(11)의 반지름방향이 되는 방사상방향 중간위치에 상기 와이어(13)의 일부를 끼워넣는 삽입홈(17)(18)(19)을 형성하고, 인접하는 최소한 한쌍의 상기 삽입홈(17)(18)중 한쪽의 삽입홈(18)을 상기 제1면(R)에 개방하도록 축방향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한쌍의 삽입홈 중 다른 쪽 삽입홈(17)을 상기 제2면(F)에 개방하도록 축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17)(18)(19)과 상기 계지부(14)(16) 중간에는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20a)(20b)(20c)(20d)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들 중 한 연결부(20b)는 상기 한쌍의 삽입홈(17)(18)을 서로 연결시키며, 상기 한쌍의 삽입홈(17)(18)의 깊이는 이들 삽입홈에 감긴 와이어(13)가 상기 풀리(11)의 둘레부에 감긴 와이어와 상기 축선(11c)에 직교하는 일 평면내에 정합하도록 하는 깊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계지 풀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7)(18)(19)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일 평면내에서 상기 풀리(11)의 반지름 방향이 되는 방사상 방향으로 굴곡하도록 꾸불꾸불한 모양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계지 풀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한쌍의 삽입홈(17)(18) 중 어느 한쪽 삽입홈(18)은 상기 풀리(11)의 반지름 방향이 되는 방사상 방향 외측으로 열린 개방면(18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계지 풀리.
  5. 제 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0a)(20b)(20c)(20d)는 상기 제 1면과 제 2면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풀리(11)의 반지름 방향이 되는 방사상 방향 외측으로 열린 개방구멍(21a)(21b)(21c)(21d)을 포함하며, 상기 개방구멍의 폭은 상기 와이어(13)의 직경 보다 큰 폭의 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계지 풀리.
KR1020020030975A 2001-06-13 2002-06-03 와이어 계지 풀리 KR100869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78815A JP4004751B2 (ja) 2001-06-13 2001-06-13 ワイヤの係止構造
JPJP-P-2001-00178815 2001-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089A KR20020095089A (ko) 2002-12-20
KR100869391B1 true KR100869391B1 (ko) 2008-11-21

Family

ID=19019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975A KR100869391B1 (ko) 2001-06-13 2002-06-03 와이어 계지 풀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004751B2 (ko)
KR (1) KR100869391B1 (ko)
CN (1) CN126042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4410A (ja) * 2011-07-26 2013-02-04 Nidec Sankyo Corp ストッパ付ワイヤ、駆動装置、および弁体駆動装置
CN103671800A (zh) * 2014-01-05 2014-03-26 周佩龙 一种传动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3757U (ko) * 1978-12-23 1980-06-28
JPS5622829U (ko) * 1979-07-31 1981-02-28
JPS5970959U (ja) * 1982-11-04 1984-05-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プ−リとワイヤロ−プの組合せ構造
JPS6029960U (ja) * 1983-08-04 1985-02-28 オンキヨー株式会社 駆動ロ−プ掛けプ−リ
JPH0557332U (ja) * 1991-12-27 1993-07-30 日本ケーブル・システム株式会社 アジャスト機構付ガバナプ−リ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3757U (ko) * 1978-12-23 1980-06-28
JPS5622829U (ko) * 1979-07-31 1981-02-28
JPS5970959U (ja) * 1982-11-04 1984-05-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プ−リとワイヤロ−プの組合せ構造
JPS6029960U (ja) * 1983-08-04 1985-02-28 オンキヨー株式会社 駆動ロ−プ掛けプ−リ
JPH0557332U (ja) * 1991-12-27 1993-07-30 日本ケーブル・システム株式会社 アジャスト機構付ガバナプ−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0424C (zh) 2006-06-21
JP2002372109A (ja) 2002-12-26
KR20020095089A (ko) 2002-12-20
JP4004751B2 (ja) 2007-11-07
CN1391001A (zh) 200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94241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用ストレンリリーフ
US6511230B1 (en) Fiber optic connection system
US6554489B2 (en) Fiber optic cable guide and method of application
US6422764B1 (en) Clamping mechanism for an optical fiber
US7390979B1 (en) Conduit connector assembly
KR100248971B1 (ko) 광 섬유 커넥터용 어댑터 조립체
US5044719A (en) Cable connector
EP0677756B1 (en) Combined beam waveguide and metal cable plug connector
US20170085067A1 (en) Wire cover
JP2003344701A (ja) 光コネクタ
KR20030051681A (ko) 광섬유 연결 하우징
US5952908A (en) Coil bobbin and an exciting coil assembly
US20130058615A1 (en) Cable Carrier Device
JP5934595B2 (ja) 電線保護部材
KR100869391B1 (ko) 와이어 계지 풀리
KR100230035B1 (ko) 전기 케이블 커넥터
JP6483786B1 (ja) 把持部材
US20220107009A1 (en) Pulley and cable arrangement
JP5621580B2 (ja) 光ケーブルコネクタおよび光ケーブルコネクタと光ケーブルの組立方法
US6976512B2 (en) Wire comb
JP3332642B2 (ja) 光コネクタ
JP3081665U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ためのコネクタ
KR200266438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구조
JP2015122890A (ja) 駆動装置
JP2709826B2 (ja) ケーブルの固定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