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996B1 - 해상추모공원 - Google Patents

해상추모공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996B1
KR101269996B1 KR1020110058797A KR20110058797A KR101269996B1 KR 101269996 B1 KR101269996 B1 KR 101269996B1 KR 1020110058797 A KR1020110058797 A KR 1020110058797A KR 20110058797 A KR20110058797 A KR 20110058797A KR 101269996 B1 KR101269996 B1 KR 101269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furnace
space
sea
memo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9158A (ko
Inventor
이웅규
Original Assignee
이웅규
(주)씨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웅규, (주)씨펀 filed Critical 이웅규
Priority to KR1020110058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996B1/ko
Publication of KR20120139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1Accessories for grave sites, e.g. liners, covers, vault low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8Memorials for cremation as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1/00Furnaces for cremation of human or animal carc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에서 장례에 대한 모든 절차를 원스톱으로 이행할 수 있는 해상추모공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수면을 부유하는 해상부유구조물의 상면에는 장례를 치르는 분향시설을 구성하고, 상기 분향시설과 연결되어 유가족이 추모객을 접견하는 접객시설을 구성하며, 유골함을 봉안하는 추모시설을 구성하고, 유가족과 추모객이 산책과 휴식을 할 수 있는 조경공원시설을 구성하며, 상기 해상부유구조물의 내부에는 장례를 치르는 동안 고인의 관을 임시보관하는 빈소시설을 구성하고, 상기 빈소시설과 관을 이송하는 이송수단으로 연결되어 장례를 마친 관을 화장하는 화장시설을 구성하며, 상기 해상부유구조물의 외부에는 상기 해상부유구조물과 항구를 왕래하는 셔틀선박이 선착할 수 있는 접안시설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빈소시설은 일측 벽면에 소정크기의 공간을 형성해 관을 보관하도록 하는 안치공간부를 구성하고, 상기 안치공간부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상부와 힌지로 연결한 안치공간개폐문을 구성하며, 상기 안치공간부의 내측면에 구성되어 상기 안치공간개폐문과 연결되어 안치공간개폐문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성하고, 상기 안치공간부의 내부에 구성되며, 안치공간부의 벽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냉기를 주입하여 시체의 부패를 방지하는 냉장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안치공간부의 내부에 회전축에 의해 스윙되어 출몰하도록 구성되어 관을 안치하는 안치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화장시설에는 고인이 안치된 관을 소각하는 화로를 구성하는데, 화로개폐문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화로의 입구 전단에 구성한 장출입롤러를 구성하고, 상기 화로의 내부에 구성되어 관이 적재되는 적재플레이트를 구성하며, 상기 화로의 내측면에 구성되어 적재플레이트에 적재된 관에 고온의 화염을 분사하는 버너를 구성하고, 상기 화로 내의 하부에 구성되어 버너에서 분사되는 화염을 순환하도록 하는 송풍장치를 구성하며, 상기 화로의 일단에 구성되어 관이 연소할 시 발생하는 연기를 배출하는 배기관을 구성하고, 상기 화로의 입구 반대측에 구성되어 버너에 의해 연소되고 남은 유골을 외부로 퇴출하는 퇴출구를 구성하며,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상면에 연소 후 남은 유골을 퇴출구로 운송하는 스틸브러쉬를 구성하고, 상기 퇴출구로 통해 관을 연소한 후 남은 유골을 분쇄하는 분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해 육지에서 혐오시설로 분류되는 추모공원을 해상으로 이동 시킴으로서, 추모공원의 육지 설치 및 운용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와, 육지와 동일한 장례 및 화장, 납골함 봉안까지의 절차를 원스톱으로 마칠 수 있어 새로운 장례문화를 제공하는 효과와, 육지로부터 벗어난 해상에서 화장이 이루어질 경우 육지에 거주하는 거주민들에게 영향을 주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장례를 절차를 거행할 수 있는 효과와, 육지에서 발생하는 교통 및 혼잡발생을 줄여 시간 및 물적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고, 또한 빈소시설의 관이 안치되는 안치트레이를 회전축에 회동되어 출몰하도록 해 공간 활용성을 증대하는 효과와, 화로시설의 화로 내부에 화염유도편을 구성하여, 소각효율성을 증대하고, 스틸브로쉬로 적재플레이트를 청소함과 동시에 유골을 분쇄장치로 운송하도록 해, 화장에 따른 절차를 원스톱으로 이행하도록 하는 해상추모공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상추모공원{Sea cherishing the memory of a deceased person park}
본 발명은 해상에서 장례에 대한 모든 절차를 원스톱으로 이행할 수 있는 해상추모공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수면을 부유하는 해상부유구조물의 상면에는 장례를 치르는 분향시설을 구성하고, 상기 분향시설과 연결되어 유가족이 추모객을 접견하는 접객시설을 구성하며, 유골함을 봉안하는 추모시설을 구성하고, 유가족과 추모객이 산책과 휴식을 할 수 있는 조경공원시설을 구성하며, 상기 해상부유구조물의 내부에는 장례를 치르는 동안 고인의 관을 임시보관하는 빈소시설을 구성하고, 상기 빈소시설과 관을 이송하는 이송수단으로 연결되어 장례를 마친 관을 화장하는 화장시설을 구성하며, 상기 해상부유구조물의 외부에는 상기 해상부유구조물과 항구를 왕래하는 셔틀선박이 선착할 수 있는 접안시설을 포함하여 구성한 해상추모공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 민족은 장례를 통해 조상을 섬기는 자세는 전통미덕이요, 정신문화의 귀중한 유산이며, 인생의 대사라고 생각해 왔었다.
그러나, 오늘날 장례에서 의례의 형식은 다양화되는 반면 정성스럽게 조상을 모시는 장례의 본질적인 면은 점차 사라지고 있으며, 특히 사회 경제적 발전과 더불어 일부 계층에서 행해지고 있는 과시적 행태의 장례가 사회 전반적으로 확산되어 국민적인 위화감을 조성하는 등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현재와 같은 매장 위주의 사설 개인묘지의 난립은 자연환경을 훼손하고 국토이용의 효율화를 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조상숭배를 이유로 한 매장선호 의식과 묘지존중의 관념은 아름다운 우리 강산을 궁극적으로 묘지강산으로 바꾸는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장묘문제는 관습이라는 측면을 넘어서 그 실행에 있어서 호화 분묘, 불법 및 무연고 묘지, 묘지 부족 등 장묘관행을 둘러싼 여러 가지 사회적 폐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우리 나라 장묘법은 '매장과 묘지 등에 관한 법률'이 근간이 되어 묘지설치 기준, 분묘면적, 각종 장묘 시설의 설치 및 사용 및 관리 등에 관한 제반사항을 규정하고 있으며, 보건위생상의 위해를 방지하고, 국토의 효율적 이용 및 공공복리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장묘법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살아 계실 때의 부모에게 효심을 다하기 보다는 명당자리에 묘지를 조성하는 것이 자식된 도리이며, 돌아가신 조상에 대한 예의이고 자손들이 입신양명할 수 있다는 뿌리깊은 인식이 지배하고 있음에도 조상묘소에 대한 인지도는 점차 낮아지고 조부모 이상의 조상묘지는 성묘도 하지 못하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즉 전국 묘지의 40%가(800만기 정도) 제대로 관리되지 않은 채 무연고 묘지로 방치되고 있다는 사실은 묘지문제에 관한 우리의 이중적 가치구조의 단면을 입증해 준다.
보건복지부의 자료에 의하면 전국에 조성된 1천9백30여만 기(基)의 분묘 면적은 국토의 1%에 이르고, 여기에 해마다 서울 여의도 면적의 3배에 달하는 20여만기의 묘가 추가된다. 국민 1인당 평균주택면적은 4·3평으로 분묘평균면적 15평의 3분의1도 안된다.
산 사람 주거면적이 죽은 사람 묘지면적에 훨씬 못 미치는 셈이다.
이 같은 추세로 가다가는 자연경관의 훼손은 물론 경작지 공장부지 등 산업용지를 확보하기도 어렵게 될 것이다.
그리고 종래 우리의 장묘시스템은 묘지에 너무 넓은 면적이 요구되고, 집단묘지의 사용기간이 무제한 적으로 길기 때문에 전국토의 대부분이 묘지화되어 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호화 분묘, 불법 및 무연고 묘지 등 장묘관행을 둘러싼 여러 가지 사회적 폐해를 증대시키고 있다.
또, 묘를 형성하면서 봉분을 형성하고 묘 영역에 전면적으로 잔디를 심어 치장하는 구조적인 이유 때문에 소요되는 경비가 서민들에게는 큰 부담을 주고, 해마다 수차례에 걸쳐 벌초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묘지 관리가 번거롭고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해마다 반복되는 장마철 및 태풍 등의 영향으로 폭우가 쏟아지면 전국의 묘지 중 상당 부분이 유실 또는 파손되어 관리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예전에는 친족들이 서로 가까운 영역에 거주하고 조상의 묘들도 근거리에 형성되어 조상의 묘에 성묘 등의 예를 올리면서 많은 친족들이 서로 모여 화합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았으나, 산업발달에 따라 친족들이 서로 원거리에 분산되고 서로 떨어져 형성되는 묘들이 많아져 친족들이 모이는 기회가 줄어들고, 벌초, 유실 등의 이유로 묘지를 양호한 상태로 관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서로 미루면서 불화하고 반목하게 되는 기회가 많아지고 있으며, 무연고묘 및 방치묘가 증가되어 조상을 기리는 미풍을 점차 잃게 되고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에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들어, 장묘 제도의 인식 변화로 인해 시신의 매장보다는 화장(火葬)을 하여 사체의 유골을 납골함에 넣어 특정 시설에 안치하는 납골 문화가 서서히 자리잡고는 있으나 아직 화장률은 약 20% 정도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인데, 이러한 이유로는 납골함을 대규모로 봉안하는 추모공원은 접근성이 용이한 위치에 시설하여 이용 불편이 없도록 적합한 위치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는 위치 선정의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지는 위치 선정으로는 도로 시설 기반 등이 우수하고, 접근성이 용이한 주택가 등의 인구 밀집지역에 설해야 하나 이러하기에는 추모공원이 부적합한 혐오시설로 분류되고 있다.
따라서 추모공원이 혐오시설로 분류되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 및 주거 등의 주변 여건을 검토하여 설치가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친환경적이고 주거에 영향을 주지 않는 추모공원을 확보하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육지에서 혐오시설로 분류되는 추모공원을 해상에 상주하도록 건립하여, 육지와 동일한 장례 및 화장, 납골함 봉안까지의 절차를 원스톱으로 마칠 수 있어 새로운 장례문화를 제공하는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친환경적인 장례를 절차를 거행할 수 있고, 교통 및 혼잡발생을 줄여 시간 및 물적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해상추모공원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수면을 부유하는 해상부유구조물의 상면에는 장례를 치르는 분향시설을 구성하고, 상기 분향시설과 연결되어 유가족이 추모객을 접견하는 접객시설을 구성하며, 유골함을 봉안하는 추모시설을 구성하고, 유가족과 추모객이 산책과 휴식을 할 수 있는 조경공원시설을 구성하며, 상기 해상부유구조물의 내부에는 장례를 치르는 동안 고인의 관을 임시보관하는 빈소시설을 구성하고, 상기 빈소시설과 관을 이송하는 이송수단으로 연결되어 장례를 마친 관을 화장하는 화장시설을 구성하며, 상기 해상부유구조물의 외부에는 상기 해상부유구조물과 항구를 왕래하는 셔틀선박이 선착할 수 있는 접안시설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빈소시설은 일측 벽면에 소정크기의 공간을 형성해 관을 보관하도록 하는 안치공간부를 구성하고, 상기 안치공간부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상부와 힌지로 연결한 안치공간개폐문을 구성하며, 상기 안치공간부의 내측면에 구성되어 상기 안치공간개폐문과 연결되어 안치공간개폐문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성하고, 상기 안치공간부의 내부에 구성되며, 안치공간부의 벽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냉기를 주입하여 시체의 부패를 방지하는 냉장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안치공간부의 내부에 회전축에 의해 스윙되어 출몰하도록 구성되어 관을 안치하는 안치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화장시설에는 고인이 안치된 관을 소각하는 화로를 구성하는데, 화로개폐문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화로의 입구 전단에 구성한 장출입롤러를 구성하고, 상기 화로의 내부에 구성되어 관이 적재되는 적재플레이트를 구성하며, 상기 화로의 내측면에 구성되어 적재플레이트에 적재된 관에 고온의 화염을 분사하는 버너를 구성하고, 상기 화로 내의 하부에 구성되어 버너에서 분사되는 화염을 순환하도록 하는 송풍장치를 구성하며, 상기 화로의 일단에 구성되어 관이 연소할 시 발생하는 연기를 배출하는 배기관을 구성하고, 상기 화로의 입구 반대측에 구성되어 버너에 의해 연소되고 남은 유골을 외부로 퇴출하는 퇴출구를 구성하며,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상면에 연소 후 남은 유골을 퇴출구로 운송하는 스틸브러쉬를 구성하고, 상기 퇴출구로 통해 관을 연소한 후 남은 유골을 분쇄하는 분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육지에서 혐오시설로 분류되는 추모공원을 해상으로 이동 시킴으로서, 추모공원의 육지 설치 및 운용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와, 육지와 동일한 장례 및 화장, 납골함 봉안까지의 절차를 원스톱으로 마칠 수 있어 새로운 장례문화를 제공하는 효과와, 육지로부터 벗어난 해상에서 화장이 이루어질 경우 육지에 거주하는 거주민들에게 영향을 주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장례를 절차를 거행할 수 있는 효과와, 육지에서 발생하는 교통 및 혼잡발생을 줄여 시간 및 물적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신규한 발명이다.
또한 빈소시설의 관이 안치되는 안치트레이를 회전축에 회동되어 출몰하도록 해 공간 활용성을 증대하는 효과와, 화로시설의 화로 내부에 화염유도편을 구성하여, 소각효율성을 증대하고, 스틸브로쉬로 적재플레이트를 청소함과 동시에 유골을 분쇄장치로 운송하도록 해, 화장에 따른 절차를 원스톱으로 이행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 신규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 해상추모공원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해상추모공원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빈소시설을 나타낸 예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빈소시설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화장시설의 화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화장시설의 화로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4c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화장시설의 화로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4d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화장시설의 화로에 구성된 스틸브로쉬와 유골받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봉안시설을 보인 예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상추모공원을 구성함에 있어서,
해수면을 부유하는 해상부유구조물(100)의 상면에는 장례를 치르는 분향시설(200)과;
상기 분향시설(200)과 연결되어 유가족이 추모객을 접견하는 접객시설(300)과;
해수면을 부유하는 해상부유구조물(100)의 내부에는 장례를 치르는 동안 고인의 관을 임시보관하는 빈소시설(400)과;
상기 빈소시설(400)과 이송수단으로 연결되어 장례를 마친 관을 화장하는 화장시설(500)과;
해수면을 부유하는 해상부유구조물(100)의 상면에는 유골함을 봉안하는 추모시설(600)과;
상기 해상부유구조물(100)의 상면에 구성되어 유가족과 추모객이 산책과 휴식을 할 수 있는 조경공원시설(700)과;
해수면을 부유하는 해상부유구조물(100)의 외부에는 상기 해상부유구조물(100)과 항구를 왕래하는 셔틀선박이 선착할 수 있는 접안시설(8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빈소시설(400)은 일측 벽면에 소정크기의 공간을 형성해 관을 보관하도록 하는 안치공간부(410)와;
상기 안치공간부(410)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상부와 힌지로 연결한 안치공간개폐문(420)과;
상기 안치공간부(410)의 내측면에 구성되어 상기 안치공간개폐문(420)과 연결되어 안치공간개폐문(420)을 지지하는 지지대(422)와;
상기 안치공간부(410)의 내부에 구성되고, 안치공간부(410)의 벽면에 형성된 통공(411)을 통해 냉기를 주입하여 시체의 부패를 방지하는 냉장장치(430)와;
상기 안치공간부(410)의 내부에 회전축(441)에 의해 스윙되어 출몰하도록 구성되어 관(A)을 안치하는 안치트레이(4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화장시설(500)에는 고인이 안치된 관(A)을 소각하는 화로(510)를 구성하는데, 화로개폐문(520)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화로(510)의 입구 전단에 구성한 장출입롤러(521)와;
상기 화로(510)의 내부에 구성되어 관(A)이 적재되는 적재플레이트(530)와;
상기 화로(510)의 내측면에 구성되어 적재플레이트(530)에 적재된 관(A)에 고온의 화염을 분사하는 버너(540)와;
상기 화로(510) 내의 하부에 구성되어 버너(540)에서 분사되는 화염을 순환하도록 하는 송풍장치(550)와;
상기 화로(510)의 일단에 구성되어 관(A)이 연소할 시 발생하는 연기를 배출하는 배기관(560)과;
상기 화로(510)의 입구 반대측에 구성되어 버너(540)에 의해 연소되고 남은 유골을 외부로 퇴출하는 퇴출구(570)와;
상기 적재플레이트(530)의 상면에 연소 후 남은 유골을 퇴출구(570)로 운송하는 스틸브러쉬(580)와;
상기 퇴출구(570)로 통해 관(A)을 연소한 후 남은 유골을 분쇄하는 분쇄장치(59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해수면을 부유하는 해상부유구조물(100)에서 장례의 절차인 입관에서부터 납골함 봉안까지 원스톱으로 이루어지도록 제반시설들이 해상부유구조물(100)의 상면이나 내부에 구성하는데,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상부유구조물(100)은 상면이 평평한 광장을 이루도록 하고, 내부에는 격판으로 구획되어 다층을 이루도록 한다.
다층으로 이루어진 내부에는 호이스트,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그 내부를 유가족 및 추모객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또한 관의 운구를 편리하게 하도록 해 상기 해상부유구조물(100) 내에서 장례에 필요한 모든 절차를 원스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광장을 이루는 상기 해상부유구조물(100)의 상면 일부에는 장례를 치르는 분향시설(200)을 구성하는데, 상기 분향시설(200)은 추모객이 고인에게 분향할 수 있는 통상적인 분향소(도시하지 않음)를 다수개로 구성한다.
따라서 분향소는 통상적인 관례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에 분향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겠다.
또한 상기 분향시설(200)의 일측에는 접객시설(300)을 연결하여 구성하는데, 분향을 마친 추모객과 유가족의 왕래가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객시설(300)은 유가족이 추모객을 접견하는 곳으로, 통상적으로 추모객을 위한 상차림을 할 수 있도록, 유동이 가능한 벽체로 일률적으로 구획하여 응접공간을 구성하고, 상기 응접공간에는 다수개의 테이블을 구성하고, 음식을 제공할 수 있는 주방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객시설(300)도 통상적인 접객시설과 같은 구성으로 접객시설(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겠다.
그리고 상기 해상부유구조물(100)의 내부에는 장례를 치르는 동안 고인의 관(A)을 임시보관하는 빈소시설(400)를 구성하는데, 그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빈소시설(400)은 도 3a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을 하기 전 고인이 안치된 관(A)을 임시보관하는 시설로, 빈소시설(400)의 벽면에는 전방이 개구된 소정크기의 공간인 안치공간부(410)를 다수개 형성해 각각의 안치공간부(410)에 고인이 안치된 관(A)을 보관하도록 한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안치공간부(410)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안치공간개폐문(420)을 구성하는데, 상기 안치공간개폐문(420)은 개구부의 상부와 힌지(421)로 연결하여, 안치공간개폐문(420)이 상측으로 여닫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안치공간부(410)의 내측면에는 지지대(422)를 구성하여, 안치공간개폐문(420)을 열어 개방된 안치공간부(410)가 안치공간개폐문(420)의 하중에 의해 다시 폐쇄되도록 않도록 지지대(422)가 지지한다.
상기 지지대(422)의 일측단은 상기 안치공간부(410)의 내측면에 형성한 가이드홈(412)에 가이드롤러(423)로 결합해 상기 가이드롤러(423)에 의해 상기 지지대(422)가 가이드홈(412)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대향측단에는 상기 안치공간개폐문(420)과 관절구(424)로 결합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412)의 일측 종단에는 상기 지지대(422)의 종단부가 받쳐지는 받침턱(412a)을 형성하는데, 관(A)을 안치공간부(410)에 안치하도록 안치공간부(410)를 개방하기 위해 안치공간개폐문(420)을 힌지(421)를 축으로 회동시켜 상향으로 열면, 상기 지지대(422)가 가이드홈(412)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된 지지대(422)의 종단부가 받침턱(412a)에 안착되는데, 이때 상기 안치공간개폐문(420)의 하중에 의해 지지대(422)의 종단부가 받침턱(412a)에 걸려 받쳐져, 안치공간개폐문(420)이 하중에 의해 다시 회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상기 지지대(422)가 고정턱(412a)에 걸릴 것을 해지할 시에는 다시 안치공간개폐문(420)을 상향으로 열면서 지지대(422)의 종단부가 받침턱(412a)에서 벗어나도록 손으로 유도한 후 안치공간개폐문(420)을 하향으로 회동시켜 안치공간부(410)를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안치공간부(410)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통공(411)을 구성하고 있는데, 상기 안치공간부(410)의 내부에 구성한 냉장장치(430)에 냉기를 생성하면, 상기 통공(411)을 통해 냉기를 주입하여, 안치공간부(410)에 수납된 관(A)속의 시체가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치공간부(410)의 내부에는 회전축(441)을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441)의 상단부에 관(A)을 안치하는 안치트레이(440)의 일측을 결합하여, 상기 안치트레이(440)가 회전축(441)에 의해 스윙되어 출몰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안치트레이(440)에는 관(A)을 고정하는 고정구(442)를 구성하여, 해상부유구조물(100)이 파도에 의해 유동하여도 안치트레이(440)에 안치된 관(A)이 유동하지 못하도록 단속한다. 상기 고정구(442)는 가이드(도시하지 않음)를 따라 유동하도록 하여, 관(A)의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향을 마친 관(A)은 화장시설(500)로 이송되어 화장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화장시설(5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화장시설(500)은 도 4a와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인을 안치한 관(A)을 고온으로 화장하는 시설로, 구획하여 고인이 안치된 관(A)을 화장하는 화로(510)를 다수개로 구성한다.
상기의 화로(510)들은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되어, 내부에 수용된 관(A)을 소각하도록 한다.
각각의 상기 화로(510)는 화로개폐문(520)에 의해 그 내부가 개폐되고, 화로(510)의 입구 전단에는 장출입롤러(521)을 구성하여, 상기 화로(510) 내부로 관(A)을 진입시킬 시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화로(510)의 내부에는 적재플레이트(530)를 구성하는데, 상기 적재플레이트(530)의 좌,우측에는 상향으로 절곡한 절곡편(531)을 구성하여, 파도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관(A)의 유동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화장을 할시 잔재가 열풍에 의해 흩어지지 않도록 단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화로(510)의 내측면에 구성되어 적재플레이트(530)에 적재된 관(A)에 고온의 화염을 분사하는 버너(540)를 구성하는데, 소각의 효율성을 증대하도록 다수개의 버너(540)를 상기 화로(510)의 내측면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화로(510) 내의 하부에는 송풍장치(550) 구성하여, 버너(540)에서 분사되는 화염을 화로(510) 내에 순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화로(510)의 내측면에 화염유도편(511)을 구성해 버너(540)에서 방출되는 화염이 화염유도편(511)을 따라 적재플레이트(530)에 적재된 관(A)을 휘감도록 해 소각 효율을 높임은 물론, 연소가스 및 연기가 화로(510) 내에서 배기관(560)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상기 화로(510)의 일단에는 배기관(560)를 구성하여, 화로(510) 내에서 관(A)이 연소할 시 발생하는 연기를 배출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화로(510) 입구의 반대측에는 퇴출구(570) 구성하여, 상기 버너(540)에 의해 소각작업 받치고 남은 유골을 외부로 퇴출한다.
상기 퇴출구(570)에는 유골받이(571)를 구성하고 있는데, 상기 유골받이(571)는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하되,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와 기어로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해 유골받이(571)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화로(510) 내부 상측에는 이송장치(581)에 의해 전/후로 유동하는 스틸브러쉬(580)를 구성하여, 상기 적재플레이트(530)의 상면에 연소 후 남은 유골을 퇴출구(570)로 운송함과 동시에 적재플레이트(530)를 청소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장치(581)는 고온에도 견딜 수 있도록 스틸체인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스틸체인 또한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한다.
상기 퇴출구(570)로 통해 퇴출된 유골은 분쇄장치(590)에 의해 분쇄되어 별도로 준비된 유골함(B)에 수용되어 포장된다.
포장된 유골함(B)은 유가족에게 인계되어 상기 해상부유구조물(100)의 상면에 분향시설(200)과 별도로 구성된 추모시설(600)에 봉안한다.
상기 추모시설(60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당형태의 구조물로 구성하고, 그 내부에는 유골함(B)을 봉안하는 다수개의 봉안함(610)을 구성한다.
상기 봉안함(610)은 유골함을 수용하는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조명장치를 구성하고 있으며, 수용공간의 바닥면에는 자력이 강한 고정자성체(611)를 매립하여 금속 또는 자성체를 바닥면에 구비한 유골함(B)을 파도에 의해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해상부유구조물(100)의 상면에 구성한 분향시설(200)과 추모시설(600)의 주변에는 조경공원시설(700)을 구성하는데, 다양한 초목을 식재하여 환경을 조성하고, 분수대와 벤치 등을 부분적으로 구성하여 유가족과 추모객이 산책과 휴식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해상부유구조물(100)은 통상 해상에 부유하는 만큼 그에 따른 별도의 교통수단을 갖는데, 상기 해상부유구조물(100)과 육지 간에 오가는 셔틀선박이 운영된다.
이러한 셔틀선박이 상기 해상부유구조물(100)에 선착할 수 있도록 상기 해상부유구조물(100)의 외부에 접안시설(800)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주요도면부호에 관한 설명♠
100: 해상부유구조물 200: 분향시설 300: 접객시설
400: 빈소시설 410: 안치공간부 411: 통공
420: 안치공간개폐문 422: 지지대 430: 냉장장치
440: 안치트레이 441: 회전축 500:화장시설
510: 화로 520: 화로개폐문 521: 장출입롤러
530: 적재플레이트 540: 버너 550: 송풍장치
560: 배기관 570: 퇴출구 580: 스틸브러쉬
590: 분쇄장치 600: 추모시설 700: 조경공원시설
800: 접안시설

Claims (3)

  1. 해상추모공원을 구성함에 있어서,
    해수면을 부유하는 해상부유구조물(100)의 상면에는 장례를 치르는 분향시설(200)과;
    상기 분향시설(200)과 연결되어 유가족이 추모객을 접견하는 접객시설(300)과;
    해수면을 부유하는 해상부유구조물(100)의 내부에는 장례를 치르는 동안 고인의 관을 임시보관하는 빈소시설(400)과;
    상기 빈소시설(400)과 이송수단으로 연결되어 장례를 마친 관을 화장하는 화장시설(500)과;
    해수면을 부유하는 해상부유구조물(100)의 상면에는 유골함을 봉안하는 추모시설(600)과;
    상기 해상부유구조물(100)의 상면에 구성되어 유가족과 추모객이 산책과 휴식을 할 수 있는 조경공원시설(700)과;
    해수면을 부유하는 해상부유구조물(100)의 외부에는 상기 해상부유구조물(100)과 항구를 왕래하는 셔틀선박이 선착할 수 있는 접안시설(80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빈소시설(400)은 일측 벽면에 소정크기의 공간을 형성해 관을 보관하도록 하는 안치공간부(410)와;
    상기 안치공간부(410)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상부와 힌지로 연결한 안치공간개폐문(420)과;
    상기 안치공간부(410)의 내측면에 구성되어 상기 안치공간개폐문(420)과 연결되어 안치공간개폐문(420)을 지지하는 지지대(422)와;
    상기 안치공간부(410)의 내부에 구성되고, 안치공간부(410)의 벽면에 형성된 통공(411)을 통해 냉기를 주입하여 시체의 부패를 방지하는 냉장장치(430)와;
    상기 안치공간부(410)의 내부에 회전축(441)에 의해 스윙되어 출몰하도록 구성되고, 관(A)을 고정하는 고정구(442)를 구성하여, 관(A)을 안치하는 안치트레이(44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추모공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시설(500)에는 고인이 안치된 관(A)을 소각하는 화로(510)를 구성하는데, 화로개폐문(520)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화로(510)의 입구 전단에 구성한 장출입롤러(521)와;
    상기 화로(510)의 내부에 구성되어 관(A)이 적재되되, 좌·우측에 상향으로 절곡한 절곡편(531)이 구성되는 적재플레이트(530)와;
    상기 화로(510)의 내측면에 구성되어 적재플레이트(530)에 적재된 관(A)에 고온의 화염을 분사하는 버너(540)와;
    상기 화로(510) 내의 하부에 구성되어 버너(540)에서 분사되는 화염을 순환하도록 하는 송풍장치(550)와;
    상기 화로(510)의 일단에 구성되어 관(A)이 연소할 시 발생하는 연기를 배출하는 배기관(560)과;
    상기 화로(510)의 입구 반대측에 구성되어 버너(540)에 의해 연소되고 남은 유골을 외부로 퇴출하는 퇴출구(570)와;
    상기 적재플레이트(530)의 상면에 연소 후 남은 유골을 퇴출구(570)로 운송하는 스틸브러쉬(580)와;
    상기 퇴출구(570)로 통해 관(A)을 연소한 후 남은 유골을 분쇄하는 분쇄장치(59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추모공원.
KR1020110058797A 2011-06-17 2011-06-17 해상추모공원 KR101269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797A KR101269996B1 (ko) 2011-06-17 2011-06-17 해상추모공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797A KR101269996B1 (ko) 2011-06-17 2011-06-17 해상추모공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158A KR20120139158A (ko) 2012-12-27
KR101269996B1 true KR101269996B1 (ko) 2013-06-04

Family

ID=47905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797A KR101269996B1 (ko) 2011-06-17 2011-06-17 해상추모공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9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1319A (zh) * 2016-06-14 2016-09-28 江西师范大学 一种环保公园地面的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5019B1 (ko) * 1998-04-29 2000-05-01 조성만 이동식 시신 냉동장치
KR200280522Y1 (ko) * 1999-03-08 2002-07-04 조성만 영구차
KR100619479B1 (ko) * 2006-04-07 2006-09-06 최윤화 선체 내에 화장 및 장례시설을 구비한 선박
JP2008030663A (ja) * 2006-07-31 2008-02-14 Ihi Marine United Inc 水上浮体葬儀施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5019B1 (ko) * 1998-04-29 2000-05-01 조성만 이동식 시신 냉동장치
KR200280522Y1 (ko) * 1999-03-08 2002-07-04 조성만 영구차
KR100619479B1 (ko) * 2006-04-07 2006-09-06 최윤화 선체 내에 화장 및 장례시설을 구비한 선박
JP2008030663A (ja) * 2006-07-31 2008-02-14 Ihi Marine United Inc 水上浮体葬儀施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158A (ko)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7066E1 (en) Cremated remains remembrance and burial system
US10604959B2 (en) Columbarium with inner ossuary
US20190040648A1 (en) Burial complex
KR101269996B1 (ko) 해상추모공원
US20130019544A1 (en) Modern green environmental public mausoleum/cemetery
Mumford Settlements–distribution, structure, architecture: Pharaonic
Larkin An analysis of land use planning policies for cemeteries in Ontario
KR101252901B1 (ko) 지하 복합 장사 시설
KR101261681B1 (ko) 지하 봉안시설
LIVITSANIS The Archaeological Work of the 35th Ephorate for Prehistoric and Classical Antiquities at Ithaca: A Brief Presentation
Bardoňová Grain Storage in Ancient Egypt (2600-1650 BC). Typology and socio-economic implications
Knight Better ways to dispose of a body
Kearl Cremation: Desecration, purification, or convenience?
KR200455892Y1 (ko) 가계용 지하 수직 다층 봉안시설
Neustein Death by design
CN212201527U (zh) 隧道式集约形覆土生态陵园
KR200185323Y1 (ko) 배수·환기구가 설치된 납골묘
KR20110080722A (ko) 다목적 녹색장사 방법
Smith Glorious, Somber Decay: Living with Death in the 21st Century
KR200380745Y1 (ko) 평장 납골묘 유골함 보관장치
Nešporová Crematoria and Cremation
Nebhut Culture and Carbon and Cremation, Oh My!
KR101452627B1 (ko) 프라이버시 지하봉안시설
KR200392056Y1 (ko) 납골묘
JP2007111081A (ja) 紙製骨壺及びこれを用いた自然埋葬方法並びに自然埋葬墓地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