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522Y1 - 영구차 - Google Patents

영구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522Y1
KR200280522Y1 KR2019990003657U KR19990003657U KR200280522Y1 KR 200280522 Y1 KR200280522 Y1 KR 200280522Y1 KR 2019990003657 U KR2019990003657 U KR 2019990003657U KR 19990003657 U KR19990003657 U KR 19990003657U KR 200280522 Y1 KR200280522 Y1 KR 2002805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rear decorative
flowers
present
decorativ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2155U (ko
Inventor
조성만
Original Assignee
조성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만 filed Critical 조성만
Priority to KR2019990003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522Y1/ko
Publication of KR199900221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1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5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522Y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인의 품위를 유지하기 위해 격조있는 영정 받침대(20)와 장식 판넬(6)(8)을 갖춘 영구차(1)로서, 장송곡 및 안내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12)와 운전석(2)의 지붕 위에 고인의 영정(21)을 고정하기 위한 영정고정대(20)와, 꽃을 용이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적재함(4)의 좌ㆍ우 측면과 후면에 설치된 사이드 및 리어 장식판넬(6)(8)과, 상기 사이드 및 리어 장식판넬(6)(8)을 전개시 전개상태를 지지하는 지지수단(70)과, 적재함(4)의 바닥판에 설치되어 관(41)을 수납ㆍ고정시키는 관 고정수단(40)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꽃을 용이하게 장식할 수 있고, 꽃 이외에는 폐기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례비용을 절약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신이 안치된 관을 유가족과 독립시켜 장지까지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구차 {A heares}
본 고안은 고인의 품위를 유지하기 위해 격조있는 영정 받침대와 음향장치 및 장식판넬을 갖춘 영구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영구차는 일반적으로 외측면이 특정 페인트로 도색되어 있을 뿐, 외측면에 꽃을 꽂아서 장식하려면, 영구차의 외측에 꽃을 꽂을 수 있는 프레임을 별도로 제조해서 부착한 다음, 상기 프레임에 조화 또는 생화를 꽂아서 영구차를 장식하여야만 했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영구차에 있어서는 장례식을 종료한 후에, 상기 영구차의 외측면에 부착 고정된 꽃장식용 프레임을 제거하여야 하므로, 장식에 소요된 폐기물 처리가 곤란하고, 꽃장식에 많은 경비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영구차에 꽃장식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고인의 영정은 영구차 앞범퍼에 달거나 유가족이 들고 탑승하여 영정이 떨어질 염려가 있었고 유가족에 불편을 준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장례비용을 줄이면서 시신이 안치된 관을 유가족과 독립시켜 장지까지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영구차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운전석 지붕 위에 영정을 고정할 수 있으며, 꽃장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영구차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영구차는 고인의 사망을 애도하는 음악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고인의 영정을 고정하도록 운전석 지붕 위에 설치된 영정고정대와, 꽃을 꽂아서 장식할 수 있는 사이드 및 리어 장식판넬과, 상기 사이드 및 리어 장식판넬을 전개 하였을 때 전개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와,적재함의 바닥에 설치되어 관을 고정하는 관 고정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장식판넬을 모두 열었을때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장식판넬을 모두 열었을때의 배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장식판넬의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의 장식판넬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영정 받침대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관 고정용 가이드의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판넬의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영구차 2: 운전석
4: 적재함 5: 지지프레임
6: 사이드 장식판넬 8: 리어 장식판넬
12: 스피커 14: 냉각장치
20: 영정 고정대 21: 영정
22: 밑받침 24: 상단 고정쇠
26: 가로활대 28: 좌측 고정쇠
29: 우측 고정쇠 40: 관 고정부재
41: 관 42: 절결부
44: 프레임 46: 제1클램프부재
48: 제2클램프부재 49: 볼트
52: 고정구 54,55: 밴드
56: 암체결부재 58: 수체결부재
62: 판넬본체 64: 발포스티로폴
66: 도어 68: 투명판
69: 도어 프레임 70: 지지부재
72: 제1경첩 74: 제2경첩
76: 손잡이 78: 시건장치
79: 힌지핀 82: 상부 리어 장식판넬
84: 하부 리어 장식판넬
이하, 본 고안의 영구차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운전석(2)과 적재함(4)으로 이루어진 영구차(1)로서, 운전석(2)의 지붕 위에는 장송곡 및 안내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12)와, 고인의 영정을 고정하기 위한 영정고정대(20)가 설치되어 있고, 적재함(4)의 좌ㆍ우 측면과 후면에는 꽃을 장식할 수 있도록 사이드 장식판넬(6) 및 리어 장식판넬(8)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적재함(4)의 지붕 위에는 시신의 부패를 방지하고, 또 장지까지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한 냉각장치(14)가 설치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구차의 좌우 측면과 뒤쪽에 설치된 사이드 장식판넬(6) 및 리어 장식판넬(8)은 제1 경첩(72)을 개재해서 적재함(4)의 지붕에 설치되어 적제함(4)의 양측부 및 후부를 개방하거나 폐쇄가능하게 설치된 판넬본체(62)와, 꽃을 꽂을 수 있도록 상기 판넬본체(62)의 내측면 전체에 부착되는 발포스티로폴(64)과, 상기 판넬본체(62)의 개방부에 제2 경첩(74)을 개재해서 개방 및 폐쇄가능하게 설치된 투명한 도어(66)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도어(66)는 발포스티로폴(64)에 꽂힌 꽃을 볼 수 있도록 유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투명판(68)과, 상기 도어(66)를 열기 위한 손잡이(76)와 상기 도어(66)의 개방을 방지하는 시건장치(78)가 고정된 도어프레임(69)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적재함(4)의 지붕은 적재함(4)의 각각의 모서리에 설치된 지지프레임(5)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고, 이들 지지프레임(5) 내에는 적재함(4)의 양측부 및 후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사이드 및 리어 장식판넬(6)(8)의 판넬본체(62)가 제1 경첩(72)에 의해 지붕의 양측부 및 후부에 선회가능하게 각각 부착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 및 리어 장식판넬(6)(8)은 전개상태를 유지하도록 판넬본체(62)의 일측과 지지프레임(5) 사이에는 힌지핀(79)으로 고정한 지지부재(7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영정고정대(20)는 영정(21)의 밑판을 받혀주는 밑받침(22)과, 상기 밑받침(22)에 삽입되어 상하로 움직이며 영정(21)의 상단을 파지하는 상단 고정쇠(24)와, 상기 밑받침(22)에 가로 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는 가로활대(26)와, 상기 가로활대(26)를 따라 움직이며 영정의 하단부분 모서리를 파지하기 위한 좌측 및 우측 고정쇠(28)(29)로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적재함(4)에 설치된 관 고정부재(40)는 관(41)을 고정하도록 상부에 절결부(42)가 형성되며 적재함(4)에 형성된 다수개의 볼트공(도시하지 않음)에 볼트(49)로 고정된 프레임(44)과, 상기 프레임(44)의 절결부(42)내에 감입된 관(41)의 좌ㆍ우 이동을 규제하는 다수의 제1 클램프부재(46)와, 상기 관(41)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클램프부재(48)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클램프부재(46) 및 제2 클램프부재(48)는 관 고정부재(40)의 프레임(44)의 가장자리에 각각 부착된 고정구(52)와, 상기 고정구(52)에 각각 일단이 결합고정되는 밴드(54)(55)와, 상기 일측 밴드(54)의 말단에 결합고정된 암체결부재(56)와, 상기 타측 밴드(55)의 말단에 결합고정된 수체결부재(58)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영구차(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영구차를 장례식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영구차의 각 사이드 장식판넬(6)(8)의 손잡이(76)를 잡고 도어(66)를 열고, 판넬본체(62)에 설치된 발포스티로폴(64)에 꽃(조화 또는 생화)을 꽂음과 동시에, 리어 장식판넬(8)의 도어(66)도 개방하여 판넬본체(62)에 설치된 발포스티로폴(64)에 꽃을 꽂아서 장식한다.
이와 같이 사이드 장식판넬(6) 및 리어 장식판넬(8)에 꽃을 꽂은 후에, 제2 경첩(74)을 중심으로 선회시켜 도어(66)를 닫고 시건장치(78)로 도어프레임(69)을 판넬본체(62)에 고정시킨 다음 상가에 보낸다.
상가에서는 영정고정대(20)에 영정(21)을 고정시킨 다음 사이드 장식판넬(6) 또는 리어 장식판넬(8)을 열고 관(41)을 관고정부재(40)의 절결부(42)내에 관(41)을 안치시킨 다음, 관(41)이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제1 클램프부재(46)를 체결함과 동시에, 관(41)의 길이 방향으로 관(41)이 이동되지 않도록 제2 클램프부재(48)를 체결하고 나서, 상기 사이드 장식판넬(6) 또는 리어 장식판넬(8)을 제1 경첩(72)을 중심으로 하부를 향해 선회시켜서 폐쇄시켜 장지로 간다.
장지로 가면서 유가족들의 애도를 위해 운전석(2) 지붕 위에 설치된 스피커(12)를 통해서 장송곡을 출력하고, 또한 장지에서 도착해서도 관을 묻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장송곡을 출력해서 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족에게 애도감을 더욱 갖도록 하며, 안내방송도 스피커(12)를 통해서 할 수 있다.
한편 사이드 장식 판넬(6) 및 리어 장식판넬(8)에 조화를 꽂을 경우에는 장례식마다 꽂을 필요가 없으므로, 장례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어장식판넬(8)로서, 상기 리어 장식판넬(8)은 상부 리어 장식판넬(82)과, 상기 상부 리어 장식판넬(82)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된 하부 리어 장식판넬(84)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영구차의 리어 장식판넬(8)은 접철가능하므로서, 하부 리어 장식판넬(84)만을 들어 올려서 관을 용이하게 수납하고 출납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고안에 따른 영구차에 의하면, 고인의 사망을 애도하는 음악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고인의 영정을 고정하도록 운전석 지붕 위에 설치된 영정고정대와, 꽃을 장식할 수 있도록 된 사이드 및 리어 장식판넬과, 상기 사이드 및 리어 장식판넬을 전개 하였을 때 전개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적재함의 바닥에 설치되어 관을 고정하는 관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시신이 안치된 관을 유가족과 독립시켜 장지까지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고, 꽃장식을 위한 별도의 프레임이 필요 없으므로, 장식에 소요된 폐기물을 처리할 필요가 없고, 꽃장식에 소요되는 경비와 시간이 절약되어서, 장례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3)

  1. 관(41)을 적재해서 운반하는 영구차(1)에 있어서, 장송곡 및 안내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12)와, 고인의 영정을 고정하도록 운전석(2) 지붕 위에 설치된 영정고정대(20)와, 꽃을 장식할 수 있도록 된 사이드 및 리어 장식판넬(6)(8)과, 상기 사이드 및 리어 장식판넬(6)(8)을 전개 하였을 때 전개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70)와, 적재함(4)의 바닥에 설치되어 관을 고정하는 관 고정부재(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및 리어 장식판넬(6)(8)은 제1 경첩(72)을 개재해서 적재함(4)의 지붕 양측부 및 후부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적재함(4)의 지붕 양측부 및 후부를 개방하거나 폐쇄가능하게 설치되는 판넬본체(62)와, 꽃을 꽂을 수 있도록 상기 판넬본체(62)의 내측면 전체에 부착되는 발포스티로폴(64)과, 상기 판넬본체(62)의 개방부에 제2 경첩(74)을 개재해서 개방 및 폐쇄가능하게 설치된 투명한 도어(6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 고정부재(40)는 관(41)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부에 절결부(42)가 형성되며 적재함(4)에 볼트(49)로 고정되는 프레임(44)과, 상기 프레임(44)의 절결부(42)내에 감입된 관(41)의 좌ㆍ우 이동을 규제하는 다수의 제1 클램프부재(46)와, 상기 관(41)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클램프부재(4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차.
KR2019990003657U 1999-03-08 1999-03-08 영구차 KR2002805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657U KR200280522Y1 (ko) 1999-03-08 1999-03-08 영구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657U KR200280522Y1 (ko) 1999-03-08 1999-03-08 영구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155U KR19990022155U (ko) 1999-06-25
KR200280522Y1 true KR200280522Y1 (ko) 2002-07-04

Family

ID=5475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657U KR200280522Y1 (ko) 1999-03-08 1999-03-08 영구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5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996B1 (ko) * 2011-06-17 2013-06-04 이웅규 해상추모공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996B1 (ko) * 2011-06-17 2013-06-04 이웅규 해상추모공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155U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8757A (en) Casket assembly
EP0957881B1 (en) Casket having memorabilia compartment
USD436725S1 (en) Container
US5823328A (en) Hatbox with a concealable storage box
HK1036389A1 (en) Case for bar shaped objects
USD376578S (en) Portable "minikitchen storage box for vehicles"
CA2031172A1 (en) Head immobilizer and method for immobilizing
US6976294B2 (en) Casket having memorabilia compartment
US5586376A (en) Decorative casket carrying and presentation tray
KR200280522Y1 (ko) 영구차
AU2003271262A1 (en) Device at a box for a car
US20080230338A1 (en) Travel case formable into a wardrobe when opened
US5590925A (en) Utility fixture for a truck
USD337951S (en) Small clock
USD371330S (en) Mobile display pavilion
USD330503S (en) Cargo storage support
USD470165S1 (en) Telescoping multipod support apparatus
US5771813A (en) Utility table for removing, storing and installing vehicle seat
USD356415S (en) Lockable cradle for hand truck
JPH01101928A (ja) おむつ取替え用ベッド
CN210101792U (zh) 皮卡车货箱扶手结构及皮卡车
CN205381235U (zh) 一种固定于驾驶座轴承的锁链式的方向盘锁
USD463759S1 (en) Modern pick-up truck body
KR200263879Y1 (ko) 지지대가 외부에 장착된 플라스틱 낚시바구니
USD341160S (en) Loose-leaf notebook with extensible support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