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339B1 - 멀티 비행 놀이기구 - Google Patents

멀티 비행 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339B1
KR101262339B1 KR1020110061938A KR20110061938A KR101262339B1 KR 101262339 B1 KR101262339 B1 KR 101262339B1 KR 1020110061938 A KR1020110061938 A KR 1020110061938A KR 20110061938 A KR20110061938 A KR 20110061938A KR 101262339 B1 KR101262339 B1 KR 101262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vehicle
hydraulic cylinder
central shaf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054A (ko
Inventor
안영남
Original Assignee
안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남 filed Critical 안영남
Priority to KR1020110061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339B1/ko
Priority to PCT/KR2012/004833 priority patent/WO2012177030A1/ko
Publication of KR20130001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00Roundabouts
    • A63G1/30Roundabouts with seats moving up-and-down, e.g. figure-sea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3/00Rotating or rocking pots, e.g. by moving the whol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16Amusement arrangements creating illusions of travel

Landscapes

  • Toy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비행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물(비행기 등)을 승차 후 탑승자들이 자유자재로 상하좌우 각도를 조절이 가능하고, 이와 동시에 중심축이 회전함과 탑승물 전체가 승·하강이 이루어져 탑승자들에게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탑승자가 탑승물을 직접 작동시키므로 손에 자극을 주게 되고, 이와 동시에 두뇌에 자극을 주어 두뇌발달에 효과적인 멀티 비행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멀티 비행 놀이기구(1)는 탑승자가 탑승물(각종 비행기)(4)에 탑승하여 중심축(2)에 따라 승강하여 놀이의 재미를 느끼도록 하였으며, 상기 탑승물(4)에 설치된 버튼(53)으로 자유자재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회전 속도감을 느낄 수 있도록 프로펠러(4a)를 작동시켜 탑승자에게 속도의 재미를 제공하며, 조절핸드(51)를 이용하여 좌우로 움직이게 하여 비행기를 조절하는 듯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흥미와 재미를 유발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관제실에서도 단독 조절이 가능하며, PC자동 작동 조절도 가능하다.

Description

멀티 비행 놀이기구{Multi flight 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멀티 비행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탑승물(비행기 등)을 탑승한 후 상하좌우 임의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중심축이 회전하는 동시에 탑승물 전체가 승·하강이 이루어져 탑승자의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탑승자들이 탑승물을 직접 작동시키므로 두뇌자극이 이루어져 두뇌발달에 효과적인 멀티 비행 놀이기구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놀이기구는 놀이공원, 유원지 등에서 타고 놀 수 있도록 설치해 놓은 것으로 회전식으로 작동하는 것은 회전그네 및 회전목마 등이 있다.
상기 회전그네는 중심축에 매달린 그네를 타고 상기 중심축이 회전함으로 이와 동시에 원심력이 발생하여 그네가 하늘을 나는 듯한 기분을 느끼도록 하여 어린이들에게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목마는 회전하는 중심축의 상간에 탑승물(각종 말, 마차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상판을 형성하고, 상기 탑승물이 승·하강 할 수 있도록 봉을 일체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회전목마는 탑승물을 타고 봉을 잡은 상태에서 중심축이 회전함과 동시에 봉이 승·하강하여 유아들에게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선행문헌 KR 20-344102에 기재된 놀이기구는 중심축의 방사상으로 의자를 설치하여 상기 중심축이 회전하면서 의자가 상하로 요동운동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하지만 종래 놀이기구는 단순히 중심축의 회전으로 만 놀이를 행함으로 시작하는 동시에는 즐거움을 줄 수 있으나, 탑승 시간이 길어질수록 지루함이 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단순한 기계적 작동으로 인해 탑승자가 반복적으로 다시 타고 싶은 욕구가 적은편이어서 놀이기구의 사용빈도가 줄고 운용자 입장에서는 수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344102 Y1 2004.02.26. 공고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놀이기구의 문제점을 해소코자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소형 비행기 형태로서 프로펠러를 가동하여 중심축을 회전시키고, 상기 중심축의 회전 시 상하좌우 수직수평 각도 운동이 가능하여 탑승자들에게 친근감과 흥미 및 스릴을 만끽하고, 재미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손잡이와 각종 동작버튼을 이용하여 탑승자들이 직접 작동하므로 손 운동이 이루어지며 두뇌를 자극하여 두뇌발달에 효과적인 멀티 비행 놀이기구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피스톤로드가 형성된 중심유압실린더를 바닥에 설치한다.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부에는 중심축이 구성되며, 중간에는 고정판이 형성된다.
상기 중심축의 상간(上間)에는 회전하는 중심축이 회전하는 것을 멈추게 하는 브레이크 드럼과 기어 및 원판, 실린더결합판으로 구성한다.
상기 고정판은 상부 일측에는 전기가 공급되는 입력단자와 회전력을 보조해주는 회전보조 모터가 구성되고, 반대쪽에는 브레이크 드럼을 잡아주는 패드가 구성되며, 하부에는 안전체인을 연결하여 바닥에 고정시킨다.
상기 기어는 회전보조 모터의 축에 연결된 래칫기어와 치차결합된다.
상기 중심축 상부에는 제1유압실린더 내지 제4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해주는 제1유압펌프가 구성된다.
상기 제1유압펌프의 하부에는 제1관절을 구동시키는 제1유압실린더가 조인트 핀으로 연결된 유압결합판이 구성된다.
상기 유압결합판 하부에는 탑승물과 관절부가 구성된 원판이 구성된다.
상기 제1관절과 제2관절은 조인트 핀으로 축 연결하고, 상기 제1,2관절 사이에 제2유압실린더를 구성한다.
상기 제2관절은 중공관을 삽입하고, 단부 일측으로는 연결바를 구성한다.
상기 연결바의 단부에는 제4유압실린더를 축 설치한다.
상기 중공관의 상부에는 회동축과 작동바가 구성되고, 끝단에는 제3유압실린더를 구성한다.
상기 회동축은 하부에 조인트 핀으로 중공관과 축 설치하고, 상부에는 탑승물을 고정 설치하며, 중간에는 제3유압실린더을 연결 구성한다.
상기 작동바는 상측 단부에 제4유압실린더를 연결 구성한다.
그리고 탑승물의 내부에는 조절핸들과 레버 및 버튼으로 구성된 조작부가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멀티 비행 놀이기구는 관절형태로 연결구성하여 탑승물을 상하좌우 수평수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들에게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각자가 원하는 동작을 자유자재로 손으로 작동시켜 두뇌를 자극하는 운동을 행함으로 두뇌개발에 효과적인 발명이다.
그리고 종래의 회전식 놀이기구는 중심축을 모터로 구동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관제실에서 놀이기구를 조절하였으나, 본 발명은 탑승자가 자유자재로 프로펠러를 구동시켜 중심축을 회전시키고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에게 흥미와 재미 및 스릴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더 높은 회전이 필요할 시에는 회전보조 모터를 구동하여 중심축을 회전시켜 흥미와 재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펠러를 작동하지 않을 경우 수동으로 중심축을 회전시키도록 모터를 구비하여 놀이가 이루어짐으로 탑승자들에게 재미를 느끼게 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판과 설치바닥에 체인으로 고정시켜 태풍 또는 비바람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멀티 비행 놀이기구의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멀티 비행 놀이기구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탑승물의 대시보드를 나타낸 구성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멀티 비행 놀이기구의 중심축의 작동구성으로 보인 정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멀티 비행 놀이기구의 탑승물의 작동 구성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멀티 비행 놀이기구의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탑승자들이 탑승물(각종 비행기)에 탑승하여 놀이를 행하는 놀이기구(1)로서 중심축(2)과 관절부(3) 및 탑승물(4)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심축(2)을 승강시키기 위해 하부에 피스톤로드(6)가 내장된 중심유압실린더(5)를 지면에 설치한다.
상기 중심유압실린더(5)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 외주면과 지면에 와이어(5a)로 한 개 이상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중심유압실린더(5)는 하부에 피스톤로드(6)를 승강시키기 위해 제2유압펌프(27)에서 제공되는 유압을 주입 및 제거하기 위해 주입구(5b)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유압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패킹(5c)을 구성한다.
상기 피스톤로드(6)는 원통으로 형성하며, 중간에는 고정판(7)을 구성한다.
상기 고정판(7)은 중심축(2)을 더욱더 회전력을 증가할 수 있도록 일측에 회전보조 모터(8)와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입력단자(9)를 설치하고, 반대쪽에는 회전하고 있는 중심축(2)을 멈출 수 있도록 디스크 브레이크(15)와 연접하고 있는 패드(10)를 구성하며, 하부에는 안전체인(11)을 연결 구성한다.
상기 고정판(7)에 연결된 안전체인(11)의 반대쪽 단부에는 지면에 고정시키면 태풍이나 비바람에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강도를 제공하도록 설계한 것이다.
상기 안전체인(11)은 도 2와 같이 사방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개수를 증감할 수 있다.
상기 중심축(2)은 피스톤로드(6)로 승강시키고, 탑승물(4)의 고속회전모터(4b)로 구동되는 프로펠러(4a)의 회전속도에 따라 회전하거나 회전보조 모터(8)로 구동한다.
상기 중심축(2)의 하부에는 피스톤로드(6)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베어링(12)을 설치하고, 하부 외주면에 탑승물 등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고정단자(13)를 한 개 또는 수개 설치하며, 상부에는 탑승물(4)에 부착된 조절핸들(51)과 레버(52) 및 버튼(53)의 작동으로 탑승물(4)과 관절부(3)가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유압을 공급하는 제1유압펌프(14)를 설치하며, 상간(上間)에는 디스크 브레이크(15) 및 기어(16), 원판(17), 실린더결합판(18)을 순서대로 고정한다.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15)는 중심축(2)이 회전을 멈출 수 있도록 일측에 상기 패드(10)를 근접 설치한다.
상기 기어(16)는 회전보조 모터(8)의 축에 연결된 래칫기어(ratchet)(8a)과 치차(齒車)결합 된다.
상기 원판(17)에는 방사상으로 관절부(3)와 탑승물(4)을 설치한다.
상기 관절부(3)는 탑승물(4)이 승강하도록 제1관절(3a)과 제2관절(3b)로 구성하며, 상기 관절부(3)가 각도 조절되도록 제1,2유압실린더(19,20)를 설치한다.
상기 원판(17)과 제1축(3a)을 조인트 핀(30)으로 연결하여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하고, 특히 탑승물(4)에 어린이들이 탑승하거나 내릴 때 주로 사용하면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탑승물(4)의 조작부(50)로 승강가능하다.
상기 제1유압실린더(19)는 제1관절(3a)의 끝단부와 반대쪽은 실린더결합판(18)에 조인트 핀(30)으로 연결 구성하여 상하로 각도조절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압실린더(20)는 제1관절(3a)의 바깥쪽 끝단부와 제2관절(3b)에 조인트 핀(30)으로 연결 구성한다.
도 3과 같이 상기 제2관절(3b)은 중공관(25)을 삽입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단부 일측으로는 제4유압실린더(22)를 축 설치할 수 있도록 연결바(26)를 형성한다.
상기 중공관(25)의 상부에는 회동축(23)과 작동바(24)를 설치하고, 끝단에는 제3유압실린더(21)를 조인트 핀(30)으로 연결 구성한다.
상기 회동축(23)은 하부에 조인트 핀(30)으로 중공관(25)과 연결 구성하여 좌우로 회동하고, 상부에는 탑승물(4)을 고정 설치하며, 중간에는 제3유압실린더(21)를 조인트 핀(30)으로 연결 구성한다.
상기 작동바(24)는 개략 'ㄱ'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 단부에 제4유압실린더를 조인트 핀(30)으로 연결 구성한다.
상기 연결바(26)는 단부에 제4유압실린더(22)를 조인트 핀(30)으로 축 연결한다.
상기 탑승물(4)의 내부에는 어린이가 앉을 수 있도록 의자가 구비되는 것은 당연한 사실이며, 도 4와 같이 조절핸들(51)과 레벌(52) 및 버튼(53)으로 구성된 조작부(50)를 설치한다.
상기 조절핸들(50)은 좌우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조작하는 것이다.
상기 레버(52)는 프로펠러(4a)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버튼(53)은 탑승물을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멀티 비행 놀이기구(1)는 도 5a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린이들이 탑승물(각종 비행기 형태)(4)에 탑승하여 중심축(2)에 따라 승강하여 놀이의 재미를 느끼도록 하였으며, 상기 탑승물(4)에 설치된 버튼(53)을 사용하여 자유자재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고속회전모터(4b)로 구동되는 프로펠러(4a)를 작동시켜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도록 하여 탑승자들에게 속도의 재미를 제공하며, 조절핸드(51)를 이용하여 상하좌우로 움직이게 하여 비행기를 조절하는 듯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흥미와 재미를 유발시키는 것이다.
종래의 회전목마 및 회전그네는 탑승자가 임의적으로 회전을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놀이기구의 관리자가 속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탑승자에게 지루함을 느끼게 하는 반면에 본 발명은 탑승물(4)에 설치된 고속회전모터(4b)의 작동으로 중심축(2)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탑승자가 자유자재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삭제
먼저 탑승자를 탑승물(4)에 탑승시키기 위해서는 원판(17)에 축 결합된 제1관절(3a)이 제1유압실린더(19)에 의해 하강하고, 이와 동시에 탑승물(4)이 수평이 되도록 제1관절(3a)에 축 결합된 제2관절(3b)이 조금씩 상승하면서 바닥에 제2관절(3b)이 안착한 후 탑승물(4)에 탑승자를 탑승시키면 탑승이 완료되는 것이며, 이와 반대로 작동하면 탑승물(4)이 상승하여 놀이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탑승자가 조작부(50)의 버튼(53)을 이용하여 관절부(3)를 작동시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탑승자가 프로펠러(4a)를 작동시켜 중심축(2)의 중심에서 중심축(2)과 탑승물(4)이 회전되면서 놀이가 이루어지나 더욱더 회전이 필요할 시 탑승자 또는 관제실에서 회전보조 모터(8)를 구동하여 더 높은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놀이의 재미를 배가시킨 것이다.
그리고 피스톤로드(6)의 중간에 구성된 고정판(7)과 지면에 안전체인(11)으로 연결하여 태풍이나 비바람이 불어 중심축(2)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디스크 브레이크(15)와 패드(10)를 구성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 했을 때 놀이기구(1)의 회전을 멈출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조절핸들(51)의 조작방법을 살펴보면, 좌우로 상기 조절핸들(51)을 회동시킬 경우 도 6과 같이 제3유압실린더(21)가 회동축(23)을 당기거나 밀어 탑승물(4)이 좌우로 움직이고, 상기 조절핸들(51)을 잡고 당길 경우 도 7과 같이 제4유압실린더(22)의 작동으로 제2관절(3b)에 삽입된 중공관(25)과 작동바(24)를 당겨 상기 중공관(25)이 제2관절(3b)의 중심에서 회동되어 상기 탑승물(4)이 기울어져 상기 탑승물(4)이 상승하는 느낌을 탑승자들에게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모든 기계 기구의 조작 작동은 관제실 단독으로 탑승자와 유무선 통신하여 조절이 가능하며, PC 자동 작동도 가능하다.
그리고 탑승물(4)의 형상을 어느 한 형상을 한정하여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는 바,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정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상의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관련되는 균등수단에 대해서는 그 보호범위가 미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멀티 비행 놀이기구(1)는 탑승물의 형상을 다양하게 제작하여 상하좌우로 자유자재로 작동되는 놀이기구(1)로 사용할 수 있으며, 비행사 조절연습 훈련용으로도 적합한 시설물이다.
1: 놀이기구 2: 중심축
3: 관절부 3a: 제1관절
3b: 제2관절 4: 탑승물
4a: 프로펠러 5: 중심유압실린더
5a: 와이어 6: 피스톤로드
7: 고정판 8: 회전보조 모터
8a: 래칫기어(ratchet) 9: 입력단자
10: 패드 11: 안전체인
12: 베어링 13: 고정단자
14: 제1유압펌프 15: 디스크 브레이크
16: 기어 17: 원판
18: 실린더결합판 19: 제1유압실린더
20: 제2유압실린더 21: 제3유압실린더
22: 제4유압실린더 23: 회동축
24: 작동바 25: 중공관
26: 연결바 27: 제2유압펌프
30: (조인트) 핀 50: 조작부
51: 조절핸들 52: 레버
53: 버튼

Claims (4)

  1. 승강 기능을 갖는 놀이기구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된 중심유압실린더(5)에 의해 승강되며, 피스톤로드(6)의 상단에 베어링(12)으로 결합되어 자유 회전하는 중심축(2)과;
    상기 피스톤로드(6)의 중간에 고정되며 안전체인(11)으로 바닥과 연결된 고정판(7)과;
    상기 중심축(2)에 설치된 디스크 블레이크(15) 및 이를 잡아주도록 고정판(7)에 고정 설치한 패드(10)와;
    상기 디스크 블레이크(15) 상측의 중심축(2)에 설치된 기어(16) 및 기어(16)와 치차(齒車)결합되며 회전보조모터(8)에 의해 구동되는 래칫기어(8a)과;
    상기 기어(16) 상측의 중심축(2)에 설치된 원판(17) 및 원판(17) 상측으로 중심축(2)에 설치된 실린더결합판(18)과,
    상기 원판(17)에 방사상으로 핀(30) 결합되는 제 1관절(3a) 및 제1관절에 핀(30) 결합되는 제2관절(3b)로 구성된 관절부(3)와;
    상기 제1관절(3a)을 관절 운동하도록 실린더결합판(18)과 제1관절(3a)에 핀(30)으로 결합한 제1유압실린더(19) 및 제2관절(3b)을 관절 운동하도록 제1관절(3a)과 제2관절(3b)에 핀으로 결합한 제2유압실린더(20)와;
    상기 중심축(2)의 상단에 설치되어 제1유압실린더(19)와 제2유압실린더(20)를 제어하는 제1유압펌프(14)와;
    상기 제2관절(3b)의 말단에 설치한 탑승물(4) 및 탑승물(4)의 내부에 설치된 조작부(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비행기 놀이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물(4)은 제2관절(3b)에 결합한 중공관(25)에 핀(30)으로 결합된 회동축(23)상에 설치하고,
    상기 중공관(25)과 회동축(23)의 중상단에는 제3유압실린더(21)를 핀으로 설치하여 제2관절(3b)을 중심으로 탑승물(4)이 회동되게 구성하고,
    상기 제2관절(3b)의 말단에 축직각방향으로 부착한 연결바(26) 및 상기 중공관(25)에 고정된 작동바(24)와 연결바(26) 사이에 설치하여 탑승물(4)을 전후 회동시키는 제4유압실린더(2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비행기 놀이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물(4)의 내부에는 관절부(3), 중공관(25) 및 프로펠러(4a)를 조작하는 조작부(50)를 구성하되,
    상기 조작부(50)는 탑승물(4)이 상하좌우 수직수평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조절핸들(51)과 고속회전모터(4b)로 작동되는 프로펠러(4a)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레버(52) 및 탑승물(4)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관절부(3)를 제어하는 버튼(5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비행기 놀이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2)의 회전은 고속회전모터(4b)로 작동되는 탑승물(4)의 프로펠러(4a) 회전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되,
    상기 중심축(2)에는 기어(16)를 설치하고, 고정판(7)에 설치된 회전보조 모터(8)의 래칫기어(8a)와 기어(16)를 치차결합하여 중심축(2)의 회전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비행기 놀이기구.
KR1020110061938A 2011-06-24 2011-06-24 멀티 비행 놀이기구 KR101262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938A KR101262339B1 (ko) 2011-06-24 2011-06-24 멀티 비행 놀이기구
PCT/KR2012/004833 WO2012177030A1 (ko) 2011-06-24 2012-06-19 멀티 비행 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938A KR101262339B1 (ko) 2011-06-24 2011-06-24 멀티 비행 놀이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054A KR20130001054A (ko) 2013-01-03
KR101262339B1 true KR101262339B1 (ko) 2013-05-08

Family

ID=47422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938A KR101262339B1 (ko) 2011-06-24 2011-06-24 멀티 비행 놀이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62339B1 (ko)
WO (1) WO201217703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518B1 (ko) * 2015-12-10 2017-05-1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상체 배치위치 조절용 관절형 암
CN106669157A (zh) * 2017-01-16 2017-05-17 浙江旺得福车业有限公司 一种电动摇摇车驱动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508B1 (ko) * 2013-04-10 2014-09-12 안영남 멀티 비행 놀이기구
CN106139595B (zh) * 2015-04-02 2018-08-03 江苏金刚文化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立体轨道车
JP5978361B1 (ja) * 2015-07-24 2016-08-24 サノヤス・ライド株式会社 乗客参加型旋回遊戯機
CN105435456B (zh) * 2015-12-29 2017-04-12 西安翔辉仿真科技有限公司 双轴360度全方位高速动感模拟仿真设备
CN107213645B (zh) * 2017-08-10 2023-01-13 郑州市奇乐迪游乐设备有限公司 一种可上下左右倾翻的旋转游乐设备
CN109621433A (zh) * 2019-01-16 2019-04-16 广州大学 一种带空中旋转杯的游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8893A (en) 1946-03-19 1949-05-03 Orance Albert Airplane amuseme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0329B2 (ja) * 1993-10-15 1997-08-13 泉陽興業株式会社 旋回遊戯乗物装置
JPH10137448A (ja) * 1996-11-11 1998-05-26 Banjii Japan:Kk 回転遊戯装置
JP3045876U (ja) * 1997-05-21 1998-02-20 チン フア リン 遊戯装置
ITMI20062185A1 (it) * 2006-11-14 2008-05-15 Zamperla Antonio Spa Dispositivo per divertimento a giostra rotan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8893A (en) 1946-03-19 1949-05-03 Orance Albert Airplane amusement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518B1 (ko) * 2015-12-10 2017-05-1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상체 배치위치 조절용 관절형 암
CN106669157A (zh) * 2017-01-16 2017-05-17 浙江旺得福车业有限公司 一种电动摇摇车驱动装置
CN106669157B (zh) * 2017-01-16 2018-07-27 浙江旺得福车业有限公司 一种电动摇摇车驱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054A (ko) 2013-01-03
WO2012177030A1 (ko)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339B1 (ko) 멀티 비행 놀이기구
CN101797434B (zh) 轮毂乘坐者传送装置
EP3291901B1 (en) Simulator ride
CN101121075B (zh) 一种娱乐用动作模拟设备、系统及方法
JP2016538038A (ja) 移動可能な軌道セクションを有するアミューズメント装置
CN105005321B (zh) 跳楼机及其动感乘骑运动系统
US8303426B2 (en) Round ride with passenger-initiated motion profile
CN106457048B (zh) 模拟悬挂式滑翔的娱乐坐骑
KR101768808B1 (ko) 승강 회전식 놀이기구
CN204883382U (zh) 跳楼机及其动感乘骑运动系统
CN209734955U (zh) 游乐设备
RU2430766C1 (ru) Вертолетный аттракцион
US1791227A (en) Merry-go-round
US8480501B2 (en) Round ride with vehicle suspended from support arm
KR101460864B1 (ko) 통돌이 놀이기구 장치
CN211705892U (zh) 一种观览车的观光舱
CN206463494U (zh) 三自由度动感控制平台装置
ES2929543T3 (es) Atracción para juego de oscilación con medios de control para controlar la oscilación
KR101439508B1 (ko) 멀티 비행 놀이기구
CN215538380U (zh) 一种儿童游乐转椅
CN211357760U (zh) 一种儿童游乐场用玩具塔吊
CN212974141U (zh) 外盘内盘分动游乐装置
KR200244785Y1 (ko) 누드식 본체 구조를 갖는 스윙식 놀이기구
CN217661461U (zh) 一种大型飞行游艺机驱动装置
CN109876461B (zh) 一种穿越太空游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