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227B1 -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227B1
KR101262227B1 KR1020110130050A KR20110130050A KR101262227B1 KR 101262227 B1 KR101262227 B1 KR 101262227B1 KR 1020110130050 A KR1020110130050 A KR 1020110130050A KR 20110130050 A KR20110130050 A KR 20110130050A KR 101262227 B1 KR101262227 B1 KR 101262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route
link
pedestria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미
황은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0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2/00Measuring distance traversed on the ground by vehicles, persons, animals or other moving solid bodies, e.g. using odometers, using pedo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의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차로에서 보행 경로 안내를 위한 삼각 형태의 전용 노드 및 링크를 구성하여 경로를 탐색함으로써 교차로에서의 네트워크 구성이 용이하며 동시에 보행자의 실제 보행 경로에 가까운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여 보행자의 실제 경로 예상 시간 및 거리를 신속하면서도 정밀하게 제공하며, 교차로에 설치된 보행시설의 종류에 따른 속성을 관리함으로써 보행시설의 속성에 따라 경로를 탐색하고 그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여 보행자의 실제 경로 예상 시간 및 거리를 더욱 정확하게 제공하고, 주행 또는 보행에 따른 각각의 전용 노드 및 링크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경로를 탐색함으로써 경로의 선행 탐색 또는 이동 수단의 변경이 필수적인 경로의 안내에 적용하도록 하여 해당 경로 안내를 더욱 자세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PEDESTRIAN GUIDE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차로에서 종래의 T자 형태의 경로 안내 방식이 아닌 삼각 형태의 노드를 구성하여 이를 통해 보행자의 보행 경로와 유사한 안내를 하도록 한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로 안내 방법은 차량 위주로 적용되어, 보행자가 해당 경로 안내 방법을 적용한 경로 안내 장치를 보행 경로의 안내에 이용하는 경우 실제의 보행 경로와 차이가 존재하였다.
이는, 종래의 경로 안내 방법이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를 기준으로 상기 도로상에 가상 배치된 링크 및 노드에 의해 그 경로를 탐색하고 안내하기 때문으로, 교차로의 경우에는 차량의 주행 경로와 보행자의 보행 경로의 차이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때, 상기의 링크(Link)는 도로 정보를 전자지도화 하기 위해 선과 점의 정보로 표현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상기 노드(Node)는 링크의 교차점 정보를 표현하는 데이터로서 교차 도로의 속성을 포함한다.
도 1은 이와 같은 차량의 주행 경로를 중심으로 한 종래의 일반적인 경로 안내의 예시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교차로(10)에서 경로를 안내하는 경우 교차로(10)의 교차 지점 중앙에 노드(2)가 배치되고 상기 노드(2)를 기준으로 T자 형태로 링크(5,6,7)가 형성되었다.
따라서, 경로 안내에 교차로(10)가 포함되는 경우 해당 교차로에서의 안내는 T자 형태로 형성되는 링크(5,6,7)를 이용하여 제공되었다.
예를 들어, 교차로상의 일 직진로의 3번 지점(3)에서 1번 지점(1)으로 직진(50)하는 안내를 하는 경우는 상기 노드(2)를 통과하여 직진하도록 제 6링크(6)와 제 5링크(5)를 지나도록 직진 안내를 하였다.
또한, 교차로상의 3번 지점(3)에서 4번 지점(4)으로 이동(60)하는 경우는 상기 노드(2)를 기준으로 형성되는 제 6링크(6) 및 제 7링크(7)를 지나도록 안내하며, 4번 지점(4)에서 1번 지점(1)으로 이동(70)하는 경우는 제 7링크(7)와 제 5링크(5)를 지나도록 안내하였다.
이는, 도로상의 차량 주행 경로를 위주로 설계된 경로 안내 기법으로서 교차로에서 실제 차량의 직진 또는 좌,우회전의 경로와 거의 근접하므로 차량의 주행 경로 안내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한편, 최근에는 보행자들이 소지한 이동 단말에 내비게이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주변의 가까운 곳을 이동하는 경우에 이러한 경로 안내를 받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보행자가 상기의 경로 안내 방법을 이용하여 경로 안내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소프트웨어를 구비한 이동 단말과 같은 경로 안내 장치는 차량을 중심으로 한 설계 방법을 적용한 경로 안내를 제공하여 불편함이 많았다.
즉, 보행자는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도로(10)상을 보행할 수 없는 관계로 도로 옆 건물(20,30) 주변의 인도(50,60)나 도로상에 설치된 보행시설(40)을 이용하여 안내받은 경로를 따라가야 하기 때문에 실제 보행자가 보행하는 경로와 상기 경로 안내 장치가 안내하는 경로와는 차이가 매우 크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교차로(10)에서 더욱 확연하게 나타난다.
이처럼, 종래의 일반적인 경로 안내는 차량에는 정확하나 보행자가 이용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았다.
그러나, 보행자를 위한 보행 경로 안내를 지원하기 위해 종래의 경로 안내 방식과 완전히 상이한 경로 안내 방식으로 경로 안내 장치를 구성한다면 종래의 경로 안내 장치에는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실효성이 없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경로 안내의 설계 방법을 최대한 유지하여 기존의 경로 안내 장치의 큰 변경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보행자의 실제 보행 경로에 가까운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된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6-0030214호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목적은 교차로에서 보행 경로 안내를 위한 삼각 형태의 전용 노드 및 링크를 구성하여 경로를 탐색함으로써 교차로에서의 네트워크 구성이 용이하며 동시에 보행자의 실제 보행 경로에 가까운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 보행자의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다른 목적은 교차로에 설치된 보행시설의 종류에 따른 속성을 관리함으로써 보행시설의 속성에 따라 경로를 탐색하고 그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 보행자의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또 다른 목적은 주행 또는 보행에 따른 각각의 전용 노드 및 링크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경로를 탐색함으로써 경로의 선행 탐색 또는 이동 수단의 변경이 필수적인 경로의 안내에 적용하도록 한 보행자의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은 경로 안내 장치의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으로서, 교차로의 일 직진로를 기준으로 좌,우측 중 일측에 위치한 도로상 보행시설에 제 1노드를 설정하고 상기 제 1노드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일 직진로 상의 양측에 각각 제 2노드 및 제 3노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 1노드 및 상기 제 2노드를 연결한 제 1링크와 상기 제 1노드 및 상기 제 3노드를 연결한 제 2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 2노드 및 제 3노드를 포함하는 경로의 탐색시에 상기 제 1링크 및 제 2링크를 경유하는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한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로 탐색 단계는 상기 일 직진로의 양측 중 어느 일측 및 상기 보행시설 측 도로를 포함하는 경로의 탐색시에 상기 제 1링크 또는 제 2링크를 경유하는 경로를 탐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은 상기 제 1노드에 대응하는 상기 보행시설의 종류에 따라 그 속성을 구분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로 안내 단계는 상기 보행시설의 경유 안내시에 상기 속성에 따라 기 설정된 보행 안내 내용으로 경로를 안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안내 장치는 교차로의 일 직진로를 기준으로 좌,우측 중 일측에 위치한 도로상 보행시설에 설정된 제 1노드, 상기 제 1노드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일 직진로 상의 양측에 각각 설정된 제 2노드 및 제 3노드, 상기 제 1노드 및 상기 제 2노드를 연결한 제 1링크 및 상기 제 1노드 및 상기 제 3노드를 연결한 제 2링크를 관리하는 보행 경로 정보부, 상기 제 2노드 및 제 3노드를 포함하는 경로의 탐색시에 상기 제 1링크 및 제 2링크를 경유하는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부 및 상기 탐색한 경로를 안내하는 경로 안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경로 탐색부는 상기 일 직진로의 양측 중 어느 일측 및 상기 보행시설 측 도로를 포함하는 경로의 탐색시에 상기 제 1링크 또는 제 2링크를 경유하는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행자 경로 안내 장치는 상기 교차로에서 상기 보행 경로 정보부의 노드 및 링크 설정과 상이한 차량 주행용 노드 및 링크를 관리하는 주행 경로 정보부를 더 포함하고, 이때 상기 경로 탐색부는 보행 또는 주행에 따라 상기 보행 경로 정보부의 노드 및 링크 또는 상기 주행 경로 정보부의 노드 및 링크를 선택하여 조합한 경로를 탐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의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는 교차로에서 보행 경로 안내를 위한 삼각 형태의 전용 노드 및 링크를 구성하여 경로를 탐색함으로써 교차로에서의 네트워크 구성이 용이하며 동시에 보행자의 실제 보행 경로에 가까운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여 보행자의 실제 경로 예상 시간 및 거리를 신속하면서도 정밀하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의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는 교차로에 설치된 보행시설의 종류에 따른 속성을 관리함으로써 보행시설의 속성에 따라 경로를 탐색하고 그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여 보행자의 실제 경로 예상 시간 및 거리를 더욱 정확하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의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는 주행 또는 보행에 따른 각각의 전용 노드 및 링크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경로를 탐색함으로써 경로의 선행 탐색 또는 이동 수단의 변경이 필수적인 경로의 안내에 적용하도록 하여 해당 경로 안내를 더욱 자세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경로 안내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경로 안내의 제 1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경로 안내의 제 2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안내 장치의 구성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 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경로 안내의 제1 예시도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안내 방법은 교차로에서 단일 노드를 구성하여 이를 중심으로 하는 T자 형태의 링크를 형성하는 종래의 경로 안내 방법과 달리, 교차로(10)에서 삼각형의 노드(1,2,3)를 구성하고 각 노드 간 연결 링크(23,24,25)를 이용한 경로를 안내한다.
이때, 상기 삼각형의 노드(1,2,3)는 교차로(10)의 일 직진로를 기준으로 좌,우측 중 일측에 위치한 도로상 보행시설(40)에 제 1노드(1)를 설정하고, 상기 제 1노드(1)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일 직진로 상의 양측에 각각 제 2노드(2) 및 제 3노드(3)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드 간 연결 링크는 상기 제 1노드(1) 및 상기 제 2노드(2)를 연결한 제 1링크(25)와 상기 제 1노드(1) 및 상기 제 3노드(3)를 연결한 제 2링크(24)를 포함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경로 안내 방법은 도로상의 노드와 링크를 사용하는 종래의 경로 안내 방식의 설계 방법을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보행자의 실제 보행 경로에 가까운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안내 장치는 보행자가 보행 경로 모드를 선택하여 경로를 검색하면, 5번 지점(5)에서 4번 지점(4)으로 이동하는 직진 경로의 경우에 상기 5번 지점(5)에서 제 2노드(2) 방향으로 형성된 제 4링크(21), 상기 제 1링크(25), 상기 제 2링크(24) 및 상기 제 3노드(3)에서 상기 4번 지점(4) 방향으로 형성된 제 5링크(20)를 순서대로 경유(26)하도록 안내한다.
또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6번 지점(6)에서 4번 지점(4)으로 이동하는 보행자의 경우 상기 6번 지점(6)에서 상기 제 1노드(1) 방향으로 형성된 제 6링크(22), 상기 제 2링크(24) 및 상기 제 5링크(20)를 순서대로 경유하도록 안내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5번 지점(5)에서 6번 지점(6)으로 이동하는 보행자의 경우 상기 제 4링크(21), 상기 제 1링크(25) 및 상기 제 6링크(22)를 순서대로 경유하도록 안내한다.
이를 통해, 상기 교차로(10)가 위치한 건물(20,30)의 주변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는 인도(50,60) 및 도로상 보행 시설(40)을 경유하는 보행 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어 실제의 도로 주변에서 보행하는 경로와 매우 유사한 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는 교차로에서 보행 경로 안내를 위한 삼각 형태의 전용 노드(1,2,3) 및 링크(23,24,25)를 구성하여 경로를 탐색하여 교차로에서의 네트워크 구성이 용이하며 동시에 보행자의 실제 보행 경로에 가까운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어 보행자의 실제 경로 예상 시간 및 거리를 신속하면서도 정밀하게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경로 안내의 제 2예시도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경로 안내 방법은 교차로의 5번 지점(5)에서 6번 지점(6)으로 이동하여 목적지(60)까지 도착하려는 보행자에게 상기 5번 지점(5)에서 제 2노드(2) 방향으로 형성된 제 4링크(19), 상기 제 2노드(2)와 제 4노드(4)로 형성된 제 1링크(21), 상기 제 4노드(4)와 제 3노드(3)로 형성된 제 2링크(22), 상기 제 3노드(3)와 제 1노드(1)로 형성된 제 3링크(23) 및 상기 제 1노드(1)에서 상기 6번 지점(6) 방향으로 형성된 제 5링크(24)를 순서대로 경유(70)하도록 하는 경로를 안내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도(20,30)나 상기 교차로 주변의 건물, 시설물 및 보행로 등의 세부 속성을 반영하여 더욱 사실적으로 경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노드의 보행시설(40,50)에 건널목 속성을 부여하고 상기 제 4노드(4) 및 제 3노드(3)에서 건널목을 건너라는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의 경로 안내 방법은 교차로에 설치된 보행시설의 종류에 따른 속성을 관리하고 보행시설의 속성에 따라 경로를 탐색하고 그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여 보행자의 실제 경로 예상 시간 및 거리를 더욱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의 순서도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은 경로 안내 장치의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으로서, 교차로의 일 직진로를 기준으로 좌,우측 중 일측에 위치한 도로상 보행시설에 제 1노드를 설정하고 상기 제 1노드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일 직진로 상의 양측에 각각 제 2노드 및 제 3노드를 설정하는 단계(S41), 상기 제 1노드 및 상기 제 2노드를 연결한 제 1링크와 상기 제 1노드 및 상기 제 3노드를 연결한 제 2링크를 설정하는 단계(S42), 상기 제 2노드 및 제 3노드를 포함하는 경로의 탐색시에 상기 제 1링크 및 제 2링크를 경유하는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S43) 및 상기 탐색한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S4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로 탐색 단계(S43)는 상기 일 직진로의 양측 중 어느 일측 및 상기 보행시설 측 도로를 포함하는 경로의 탐색시에 상기 제 1링크 또는 제 2링크를 경유하는 경로를 탐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은 상기 제 1노드에 대응하는 상기 보행시설의 종류에 따라 그 속성을 구분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로 안내 단계(S44)는 상기 보행시설의 경유 안내시에 상기 속성에 따라 기 설정된 보행 안내 내용으로 경로를 안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은 상기 교차로 주변의 보행로 위치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때, 상기 경로 안내 단계(S44)는 상기 보행로를 이용한 경로 안내의 요청시에, 상기 경로 탐색 단계(S43)에서 탐색한 보행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안내 장치(100)의 구성도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보행자 경로 안내 장치(100)는 교차로의 일 직진로를 기준으로 좌,우측 중 일측에 위치한 도로상 보행시설에 설정된 제 1노드, 상기 제 1노드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일 직진로 상의 양측에 각각 설정된 제 2노드 및 제 3노드, 상기 제 1노드 및 상기 제 2노드를 연결한 제 1링크 및 상기 제 1노드 및 상기 제 3노드를 연결한 제 2링크를 관리하는 보행 경로 정보부(150), 상기 제 2노드 및 제 3노드를 포함하는 경로의 탐색시에 상기 제 1링크 및 제 2링크를 경유하는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부(160) 및 상기 탐색한 경로를 안내하는 경로 안내부(18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로 탐색부(160)는 상기 일 직진로의 양측 중 어느 일측 및 상기 보행시설 측 도로를 포함하는 경로의 탐색시에 상기 제 1링크 또는 제 2링크를 경유하는 경로를 탐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행자 경로 안내 장치(100)는 상기 교차로에서 상기 보행 경로 정보부(150)의 노드 및 링크 설정과 상이한 차량 주행용 노드 및 링크를 관리하는 주행 경로 정보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경로 탐색부(160)는 사용자가 보행 또는 주행의 모드를 선택하거나 혹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보행 또는 주행을 선별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보행 경로 정보부(150)의 노드 및 링크 또는 상기 주행 경로 정보부(170)의 노드 및 링크를 선택하여 조합한 경로를 탐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안내 장치(100)는 주행 또는 보행에 따른 각각의 전용 노드 및 링크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경로를 탐색하여 경로의 선행 탐색 또는 이동 수단의 변경이 필수적인 경로의 안내에 적용할 수 있어 해당 경로 안내를 더욱 자세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보행 경로 정보부(150)는 상기 교차로 주변의 보행로 위치를 관리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경로 안내부(180)는 상기 보행로를 이용한 경로 안내의 요청시에 상기 경로 탐색 단계에서 탐색한 보행 경로를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보행자 경로 안내 장치(100)는 GPS 신호를 수신받는 GPS 신호 수신부(110), 전자 지도를 관리하는 지리 정보부(120), 상기 GPS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정보부(1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보행자 경로 안내 장치(100)는 출발지 및 목적지와 같은 사용자의 선택 사항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140)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보행자 경로 안내 장치(100)는 상기 노드 및 링크를 설계하여 이를 전자지도에 매핑하는 경로 안내 생성 장치 또는 시스템일 수 있으며 혹은 이러한 구성을 내장한 독립적 내비게이션 장치이거나 서버 클라이언트의 구성을 통해 보행자 경로를 안내 받는 내비게이션 안내 시스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0: 보행자 경로 안내 장치
110: GPS 신호 수신부
120: 지리 정보부
130: 위치 정보부
140: 사용자 입력부
150: 보행 경로 정보부
160: 경로 탐색부
170: 주행 경로 정보부
180: 경로 안내부

Claims (6)

  1. 경로 안내 장치의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에 있어서,
    a) 교차로의 일 직진로를 기준으로 좌,우측 중 일측에 위치한 도로상 보행시설에 제 1노드를 설정하고 상기 제 1노드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일 직진로 상의 양측에 각각 제 2노드 및 제 3노드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제 1노드 및 상기 제 2노드를 연결한 제 1링크와 상기 제 1노드 및 상기 제 3노드를 연결한 제 2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제 2노드 및 제 3노드를 포함하는 경로의 탐색시에 상기 제 1링크 및 제 2링크를 경유하는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및
    d) 상기 탐색한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일 직진로의 양측 중 어느 일측 및 상기 보행시설 측 도로를 포함하는 경로의 탐색시에 상기 제 1링크 또는 제 2링크를 경유하는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노드에 대응하는 상기 보행시설의 종류에 따라 그 속성을 구분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보행시설의 경유 안내시에 상기 속성에 따라 기 설정된 보행 안내 내용으로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
  4. 경로 안내 장치에 있어서,
    교차로의 일 직진로를 기준으로 좌,우측 중 일측에 위치한 도로상 보행시설에 설정된 제 1노드, 상기 제 1노드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일 직진로 상의 양측에 각각 설정된 제 2노드 및 제 3노드, 상기 제 1노드 및 상기 제 2노드를 연결한 제 1링크 및 상기 제 1노드 및 상기 제 3노드를 연결한 제 2링크를 관리하는 보행 경로 정보부;
    상기 제 2노드 및 제 3노드를 포함하는 경로의 탐색시에 상기 제 1링크 및 제 2링크를 경유하는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부;및
    상기 탐색한 경로를 안내하는 경로 안내부;를 포함하는 보행자 경로 안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부는
    상기 일 직진로의 양측 중 어느 일측 및 상기 보행시설 측 도로를 포함하는 경로의 탐색시에 상기 제 1링크 또는 제 2링크를 경유하는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경로 안내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로에서 상기 보행 경로 정보부의 노드 및 링크 설정과 상이한 차량 주행용 노드 및 링크를 관리하는 주행 경로 정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 탐색부는 보행 또는 주행에 따라 상기 보행 경로 정보부의 노드 및 링크 또는 상기 주행 경로 정보부의 노드 및 링크를 선택하여 조합한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경로 안내 장치.
KR1020110130050A 2011-12-07 2011-12-07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KR101262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050A KR101262227B1 (ko) 2011-12-07 2011-12-07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050A KR101262227B1 (ko) 2011-12-07 2011-12-07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2227B1 true KR101262227B1 (ko) 2013-05-15

Family

ID=4866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050A KR101262227B1 (ko) 2011-12-07 2011-12-07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2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316B1 (ko) 2021-11-08 2022-05-04 주식회사 네오스펙트라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3526A (ja) 2003-06-12 2005-01-06 Denso Corp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7017192A (ja) 2005-07-05 2007-01-25 Zenrin Co Ltd 歩行者用経路探索装置
JP2007078655A (ja) 2005-09-16 2007-03-29 Zenrin Co Ltd 歩行者用経路案内装置のデータ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3526A (ja) 2003-06-12 2005-01-06 Denso Corp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7017192A (ja) 2005-07-05 2007-01-25 Zenrin Co Ltd 歩行者用経路探索装置
JP2007078655A (ja) 2005-09-16 2007-03-29 Zenrin Co Ltd 歩行者用経路案内装置のデータ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316B1 (ko) 2021-11-08 2022-05-04 주식회사 네오스펙트라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73980B1 (ko) 2021-11-08 2022-12-05 주식회사 네오스펙트라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496B1 (ko) 정보 수집 및 검색을 통한 루트의 제공 기법
KR20210137197A (ko) 경로 생성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및 기억 매체
US8965692B2 (en) Follow me navigation system
US10989553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likelihood of a route
KR20160122267A (ko) 자동으로 결정된 스타팅 포인트들과 선택된 목적지들 사이의 네비게이션 경로들
CN105651290A (zh) 一种导航引擎的快速重新规划路径的方法
JP5794453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US9568330B2 (en) Method of generating a suggested navigation route using off-road trail data provided by user, and related navigation device
KR102045885B1 (ko) 차선 기반 도로 네트워크상에서의 최단경로 탐색 방법
CN105865482A (zh) 一种地图导航的方法及装置
JP6912859B2 (ja) 地図更新装置、地図更新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1262227B1 (ko)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US111875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pooled route to extend a service area of a shared vehicle
KR101039902B1 (ko) 우회비용을 고려한 주변 poi 정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KR20140089105A (ko) 보행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US20160054127A1 (en) Short-path fuzzy navigation method
JP2020026987A (ja) 信号機取得システム、対応関係生成システムおよび信号機取得プログラム
JP6626262B2 (ja) 経路探索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472040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サーバ装置
JP2010054754A (ja) 地図データのデータ構造
JP2007279005A (ja) 車両用走行案内装置および地図記憶媒体
JP5342291B2 (ja) 地図データ更新システム、地図データ更新方法
JP6020708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221123A (ja) 経路提示装置及び方法
JP2016173246A (ja) 引継情報送信システム、引継情報送信装置、案内端末、引継情報送信方法、及び引継情報送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