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316B1 -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316B1
KR102394316B1 KR1020210152172A KR20210152172A KR102394316B1 KR 102394316 B1 KR102394316 B1 KR 102394316B1 KR 1020210152172 A KR1020210152172 A KR 1020210152172A KR 20210152172 A KR20210152172 A KR 20210152172A KR 102394316 B1 KR102394316 B1 KR 102394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ature
area
node
link
virtual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동권
김병기
장호연
김동기
박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스펙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스펙트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스펙트라
Priority to KR1020210152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316B1/ko
Priority to KR1020220052750A priority patent/KR102473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07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현실로 구현된 3차원 좌표 공간 내에서 지형 정보에 기초한 실외 환경과 지물 정보에 기초한 실내 환경을 연결하여 연속적 보행이 가능한 보행 경로 네트워크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Method for implementing walking path network in virtual reality, server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본 발명은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가상현실로 구현된 3차원 좌표 공간 내에서 지형 정보에 기초한 실외 환경과 지물 정보에 기초한 실내 환경을 연결하여 연속적 보행이 가능한 보행 경로 네트워크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를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 혹은 그 기술 자체를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이라고 한다.
특히 최근에는 가상현실 기술 중에서도, 현실세계의 기계나 장비, 사물 등을 컴퓨터 속 가상세계에 구현한 디지털 트윈 기술의 사용이 확산되고 있다.
디지털 트윈과 같은 가상현실 공간에서 아바타의 보행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지형 정보와 지물 정보에 기반하여 아바타의 보행이 가능한 경로를 정의하는 보행 경로 네트워크의 설정이 필요하다.
디지털 트윈에 관한 기술은 아니지만 보행 경로와 관련된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62227 (2013년05월02일 등록)은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교차로에서 종래의 T자 형태의 경로 안내 방식이 아닌 삼각 형태의 노드를 구성하여 이를 통해 보행자의 보행 경로와 유사한 안내를 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또다른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05808 (2012년01월06일 등록)은 단일 도로 체계를 이용한 보행경로 내비게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 인도, 횡단보도, 지하보행로, 육교 등 보행 이동이 가능한 교통시설물들의 교통 특성을 단일도로 체계를 이용하여 더욱 간단한 데이터 구조로 실현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드웨어 리소스 등을 감소시킴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보행 경로의 연산 및 사용자 제공이 가능한 구성을 제안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실외 환경에서의 보행 경로를 제공하는데 주안점을 두었으며, 실외 환경 및 실내 환경을 심리스(seamless)하게 연결하는 보행 경로를 제공하는데 한계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62227 (2013년05월02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05808 (2012년01월06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가상현실로 구현된 3차원 좌표 공간 내에서 지형 정보에 기초한 실외 환경과 지물 정보에 기초한 실내 환경을 연결하여 연속적 보행이 가능한 보행 경로 네트워크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감안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형 정보와 지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가상현실 서버에서 실행하는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으로서, 1)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형 영역 격자를 설정하는 단계; 2) 지물 정보에 기초하여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물 영역 격자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지물은 사람의 보행이 가능한 면적을 갖는 인공 지물이며, 상기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는 상기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설정됨-; 및 3) 상기 지형 영역 노드, 지형 영역 링크, 지물 영역 노드 및 지물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가상현실 공간에서 연속적 보행이 가능한 보행 경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형 영역 격자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복수의 지형 기초 노드를 배치하고 인접한 지형 기초 노드 상호 간을 지형 기초 링크로 연결한 지형 기초 격자를 생성하고, 수치표고모형에 기초하여 각각의 지형 기초 노드에 높이값을 부여하여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치표고모형은 단위 격자별로 지형의 표고값이 부여된 표고값 격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형 기초 격자를 상기 표고값 격자와 중첩시키고, 각각의 지형 기초 노드에 중첩된 위치의 단위 격자의 표고값을 해당 지형 기초 노드의 높이값으로 부여하여 상기 지형 영역 격자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물 영역 격자는, 각각의 지물 영역 내에,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복수의 지물 영역 노드를 배치하고, 인접한 지물 영역 노드 상호 간을 지물 영역 링크로 연결한 형태로 설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물 영역 노드는 상기 지형 영역 노드와 중첩되거나 또는 상기 지형 영역 링크의 일지점에 중첩되도록 설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물 영역 격자는 상기 지형 영역 격자와 서로 다른 격자 크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지물의 외벽을 정의하는 지물 경계선이 설정되고, 상기 지물 영역 노드는 상기 지물 경계선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물 영역 격자는 상기 지물 경계선 중 보행이 가능한 통행 가능 경계 구간을 통해서만 지물 경계선 외부의 지형 영역 격자에 상호 링크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물은 n개의 층을 포함하는 건물이며, 상기 지물 영역 격자와 상기 지형 영역 격자의 상호 링크 연결은 건물 1층에서 이뤄진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지물에 대하여 상기 지물 영역 격자는 상기 지형 영역 격자보다 작은 격자 크기를 갖도록 기본 설정되며,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각각의 지물에 대하여 상기 지물 경계선의 내부에 출입한 아바타의 출입 회수를 누적 산출하고, 산출된 아바타의 누적 출입 회수가 미리 설정된 조건 이상인 지물에 대하여는 지물 경계선 외측의 미리 설정된 주변 영역에 대해 지형 영역 격자의 크기를 지물 영역 격자의 크기와 동일하게 되도록 축소 변경 설정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지물의 외벽을 정의하는 지물 경계선이 설정되고, 상기 지물 경계선의 내부에는 지물의 내벽을 정의하는 지물 구획선이 설정되고, 상기 지물 영역 노드는 상기 지물 경계선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물 영역 격자는 상기 지물 구획선 중 보행이 가능한 통행 가능 구획 구간을 통해서만 또다른 지물 영역 격자와 상호 링크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물은 n개의 층을 포함하는 건물이며, 건물 내부 영역 중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영역에서는 상층의 지물 영역 노드와 하층의 지물 영역 노드가 상하방향의 지물 영역 링크를 통해 상호 링크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물은 n개의 층을 포함하는 건물이며, 건물 내부 영역 중 계단이 설치된 영역에서는 상층의 지물 영역 노드와 하층의 지물 영역 노드가 상하 경사를 갖는 경사 지물 영역 링크를 통해 상호 링크 연결되되, 상기 경사 지물 영역 링크는, 상층의 지물 영역 노드로부터 하향 경사를 갖도록 연장되며 상층의 지물 영역 격자의 구성요소로서 관리되는 하향 경사 지물 영역 링크와, 하층의 지물 영역 노드로부터 상향 경사를 갖도록 연장되며 하층의 지물 영역 격자의 구성요소로서 관리되는 상향 경사 지물 영역 링크가, 상층과 하층의 중간 높이에서 노드 병합되는 방식으로 상호 링크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노드 병합은, 상층의 하향 경사 지물 영역 링크의 가장 낮은 높이를 갖는 노드와, 하층의 상향 경사 지물 영역 링크의 가장 높은 높이를 갖는 노드를 하나의 노드로 병합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지형 정보와 지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되,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형 영역 격자를 설정하고, 지물 정보에 기초하여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물 영역 격자를 설정하며- 상기 지물은 사람의 보행이 가능한 면적을 갖는 인공 지물이며, 상기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는 상기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설정됨-, 상기 지형 영역 노드, 지형 영역 링크, 지물 영역 노드 및 지물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가상현실 공간에서 연속적 보행이 가능한 보행 경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지형 정보와 지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가상현실 서버에서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은,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형 영역 격자를 설정하는 단계; 지물 정보에 기초하여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물 영역 격자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지물은 사람의 보행이 가능한 면적을 갖는 인공 지물이며, 상기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는 상기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설정됨-; 및 상기 지형 영역 노드, 지형 영역 링크, 지물 영역 노드 및 지물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가상현실 공간에서 연속적 보행이 가능한 보행 경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가상현실로 구현된 3차원 좌표 공간 내에서 지형 정보에 기초한 실외 환경과 지물 정보에 기초한 실내 환경을 연결하여 연속적 보행이 가능한 보행 경로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버의 전체 연결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버의 하드웨어 관점의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버의 전체 연결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버의 하드웨어 관점의 구성도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네비게이션의 길찾기 기능은 3차원 세계를 2차원으로 추상화한 지도 위에 길을 찾을 수 있도록 특별한 정보(노드링크)를 구축해야만 길찾기가 수행 가능하다.
노드는, 이동체(예, 차량)가 도로를 이동함에 있어서 속도의 변화가 발생되는 지점을 표시한 것이며, 차량의 경우를 예로 들면 교차로, 교량시종점, 고가도로시종점, 도로의 시종점, 지하차도시종점, 터널시종점, 행정경계, IC/JC 등이 노드가 될 수 있다.
링크는 속도변화 발생점인 노드와 노드를 연결한 선을 의미하며, 차량의 경우를 예로 들면 도로, 교량, 고가도로, 지하차도, 터널 등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 네비게이션의 노드링크와 유사한 개념으로, 디지털 트윈과 같은 가상현실 환경에서 사람이 도보로 다닐 수 있는 모든 곳에 대한 정보를 3차원 노드링크로 표현하고 이를 보행 경로 네트워크로 설정한다. 가상현실 내의 아바타의 보행은 보행 경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지형 영역 노드, 지형 영역 링크, 지물 영역 노드 및 지물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이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N) 구현방법은, 지형 정보와 지리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가상현실 서버(100)에서 실행한다.
지형 정보(지리 정보)는 공간자료(spatial data)와 속성자료로 이루어진다. 공간자료는 지형요소에 대한 유형, 위치, 크기, 다른 지형요소와의 공간적 위상관계 등을 포함하며, 속성자료는 지형요소의 속성에 대한 자료로서 수학적 의미를 포함하는 정량적 자료와 지도명, 주기, 라벨 등 대상물 설명에 필요한 정성적 자료 등을 포함한다. 일예로, 지형 정보는 국토교통부 산하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3차원 공간정보 등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지물은 하천, 계곡, 저수지, 도로, 철도, 가옥, 도로, 교량 등의 자연적 또는 인공적 시설물을 총칭한다. 지물은 지형도상에서는 일반적으로 평면 형태(planimetric feature)로 나타난다.
지물의 크기, 위치, 방향 등에 관한 정보는 지리 정보를 통해 수득할 수 있다.
지물이 건물인 경우, 실내공간 정보는 건축물의 설계를 위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3차원 설계정보) 정보 가운데 실내 구조물의 형상과 간략한 속성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하에 설명에 있어서, 지물 정보는 지물의 크기, 위치, 방향 등에 관한 정보와 실내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가 설정되는 지물은 사람의 보행이 가능한 면적을 갖는 인공 지물이며, 일예로, 1층 이상의 층을 갖는 건물 또는 인공 시설물(예, 지하도, 지하철역, 육교 등)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가상현실은 현실세계의 지형과 지물을 컴퓨터 속 가상세계에 구현한 디지털 트윈 기술에 기반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가상현실 서버(10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 및 관리자 클라이언트(300)와 연동한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가상현실 서버(100)에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 등의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하여 가상현실에 기반한 각종 서비스(예, 보행 시뮬레이션 등)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클라이언트이다. 사용자는 통상의 사용자 회원 등록 프로세스를 통해 가상현실 서버(100)에 등록된 사용자일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상현실을 구성하는 지형과 지물 환경에서 사용자의 아바타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보행이 가능하며, 아바타의 보행은 가상현실의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설정된 보행 경로 네트워크 상에서 이뤄질 수 있다.
관리자 클라이언트(300)는 가상현실 서버(100)에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 등의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하여, 가상현실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관리 및 사용자 등록 관리 등을 실행하는 관리자의 클라이언트이다.
본 실시예의 가상현실 서버(100)는 기능적 관점에서, 지형 정보와 지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 또는 관리자 클라이언트(300)의 화면에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가상현실 구현 모듈(102), 본 실시예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에 기반하여 아바타가 보행 가능한 보행 경로 네트워크를 설정하여 제공하는 보행 경로 구현 모듈(104), 보행 경로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가상현실 공간에서 아바타의 보행 시뮬레이션 처리를 실행하는 보행 시뮬레이션 구현 모듈(106), 회원등록 및 각종 회원 관리 모드, 관리자 모드 등 가상현실 서버(100)의 전반적인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운영 모듈(108)을 포함한다.
일예로, 상기 기능 모듈 중의 일부는 가상현실 서버(100)와 네트워크 연동하는 별도의 서버의 형태로 분산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가상현실 서버(100)는, 가상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지형 정보를 저장 및 갱신 관리하는 지형 정보 DB(112), 가상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지물 정보를 저장 및 갱신 관리하는 지물 정보 DB(114), 본 실시예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에 기반하여 설정된 보행 경로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를 저장 및 갱신 관리하는 보행 경로 정보 DB(116), 사용자 정보를 저장 및 갱신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DB(118)를 포함한다.
일예로, 지형 정보 DB(112) 및/또는 지물 정보 DB(114)는 가상현실 서버(100)와 네트워크 연동하는 별도의 지리정보제공서버(예, 국토지리정보원 서버)로부터 전부 또는 일부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지물 정보 중 실내공간 정보는 건축물의 설계를 위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3차원 설계정보) 정보 가운데 실내 구조물의 형상과 간략한 속성정보를 추출하여 지물 정보 DB(114)에 입력 관리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드웨어적 관점에서, 본 실시예의 가상현실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2) 및 상기 메모리(2)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서(4)를 포함하며,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을 실행하도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컴퓨팅 장치이다. 본 실시예의 가상현실 서버(100)는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6)와 통신 인터페이스(8), 데이터 표시 수단(3), 데이터 저장 수단(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1)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지형 영역 노드(12)와 지형 영역 링크(14)로 구성된 지형 영역 격자(10)를 설정한다(도 4 참조).
일예로, 상기 지형 영역 격자(10)는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먼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복수의 지형 기초 노드(12')를 배치하고 인접한 지형 기초 노드(12') 상호 간을 지형 기초 링크(14')로 연결한 지형 기초 격자(10')를 생성한다(도 5의 (a) 우측). 미리 설정된 조건의 일예로, 지형 기초 격자(10')를 구성하는 하나의 격자의 한변의 크기는 1 m 정도가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격자는 정사각형의 격자 형태를 예시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격자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사각형을 포함한 다양한 다각형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치표고모형에 기초하여 각각의 지형 기초 노드(12')에 높이값을 부여하여 지형 영역 격자(10)를 생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수치표고모형은 단위 격자(22)별로 지형의 표고값이 부여된 표고값 격자(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5의 (a) 좌측). 일예로, 표고값 격자(20)를 구성하는 단위 격자(22)의 한변의 크기는 크게는 30~50m 정도가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상현실 서버(100)는, 상기 지형 기초 격자(10')를 상기 표고값 격자(20)와 중첩시키고(도 5의 (b)), 각각의 지형 기초 노드(12')에 중첩된 위치의 단위 격자(22)의 표고값을 해당 지형 기초 노드(12')의 높이값으로 부여하여 상기 지형 영역 격자(10)를 생성한다(도 5의 (c)). 이러한 과정에 따라, 지형 영역 격자(10)를 구성하는 각각의 지형 영역 노드(12)는 도 5의 (c)와 같이 표고값에 기초한 높이값이 부여된 상태가 된다.
지형 기초 격자(10')의 크기, 표고값 격자(20)의 크기는 서버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2)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지물 정보에 기초하여 지물 영역 노드(102)와 지물 영역 링크(104)로 구성된 지물 영역 격자(100)를 설정한다(도 6).
바람직하게, 상기 지물(B)은 사람의 보행이 가능한 면적을 갖는 인공 지물(B)이다.
상기 지물 영역 노드(102)와 지물 영역 링크(104)는 상기 지형 영역 노드(12)와 지형 영역 링크(14)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즉, 상기 지물 영역 노드(102)는 상기 지형 영역 노드(12)와 중첩되거나 또는 상기 지형 영역 링크(14)의 일지점에 중첩되도록 설정된다.
일예로, 지물 영역 링크(104)의 크기는 지형 영역 링크(14)의 크기를 균분한 크기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나의 지형 영역 격자(10)를 구성하는 지형 영역 링크(14)의 크기가 1 m인 경우, 지물 영역 링크(104)의 크기는 이를 2등분한 0.5 m가 되거나 이를 4등분한 0.25 m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상기 지물 영역 격자(100)는, 각각의 지물 영역(BA) 내에,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복수의 지물 영역 노드(102)를 배치하고, 인접한 지물 영역 노드(102) 상호 간을 지물 영역 링크(104)로 연결한 형태로 설정된다. 지물 영역(BA)은 예를 들어, 건물의 외벽을 나타내는 경계선, 건물 주위의 울타리를 나타내는 경계선 등에 의해 구분되는 내부 영역이 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조건은 요구되는 아바타의 보행 정밀도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밀한 보행 구현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지물 영역 링크(104)의 크기가 0.25 m가 되도록 복수의 지물 영역 노드(102)를 배치하고, 이보다 덜 정밀한 보행 구현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지물 영역 링크(104)의 크기가 0.5 m가 되도록 복수의 지물 영역 노드(102)를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지물 영역 링크(104)의 크기의 설정은 서버의 리소스 소요, 요구되는 보행 시뮬레이션의 정밀도 등을 감안하여 관리자 클라이언트(300) 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입력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도 6을 예로 들면, 1)단계에 따라 지형 영역 노드(12)와 지형 영역 링크(14)를 포함하는 지형 영역 격자(10)가 설정된 상태에서, 지물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지물(예, 건물)이 차지하는 영역이 지형 영역 격자(10) 상에 지물 영역(BA)으로 설정된다.
지물 영역(BA) 내에 위치하는 지형 영역 노드(12)와 지형 영역 링크(14)는 지물 영역 노드(102)와 지물 영역 링크(104)로 식별되며, 이에 기초하여 지물 영역 노드(102)와 지물 영역 링크(104)가 설정된다.
설정 조건에 따라, 상기 지물 영역 격자(100)는 상기 지형 영역 격자(10)와 서로 다른 격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물 영역 격자(100)는 0.25 m * 0.25 m 의 단위 격자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지형 영역 격자(10)는 1 m * 1 m 의 단위 격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외 보행 환경에서는 특정 지물을 향해 도로를 보행하는 상태로 아바타의 보행이 이뤄지므로, 보행 경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격자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도 좋다. 그런데, 건물과 같은 지물의 실내 보행 환경에서는 좁은 실내 공간에서 디테일한 아바타의 동작 구현이 이뤄지므로 보행 경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격자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고 정밀한 것이 좋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N)에서 지물 영역 격자(100)와 지형 영역 격자(10)는 서로 다른 격자 크기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적응적 격자 크기 설정에 의해, 실외 및 실내를 일률적으로 동일한 격자 크기로 설정하는 방식에 비해 보행 경로 네트워크(N) 설정 및 아바타의 보행 시뮬레이션에 소요되는 가상현실 서버(100)의 리소스를 절감할 수 있다.
다만, 지물 영역 격자(100)와 지형 영역 격자(10)가 반드시 서로 다른 격자 크기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미리 설정된 조건 또는 설정 입력에 의해 동일한 격자 크기를 갖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3)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상기 지형 영역 노드(12), 지형 영역 링크(14), 지물 영역 노드(102) 및 지물 영역 링크(104)에 기초하여, 가상현실 공간에서 연속적 보행이 가능한 보행 경로 네트워크(N)를 설정한다.
도 6을 예로 들면, 지물 영역(BA) 외측의 실외 환경에서는 아바타가 지형 영역 링크(14)를 따라 보행 이동을 하다가 지형 영역 노드(12)에서 속도의 변화 또는 방향 전환을 할 수 있으며, 지물 영역(BA) 내측의 실내 환경에서는 아바타가 지물 영역 링크(104)를 따라 보행 이동을 하다가 지물 영역 노드(102)에서 속도의 변화 또는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지물(B)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보행 경로 네트워크(N)는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지물 정보에 기초하여 지물(B)의 외벽을 정의하는 지물 경계선(BB)이 설정된다. 지물 경계선(BB)은 도 6의 지물 영역(BA)을 설정하는 경계선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지물 영역 노드(102)는 상기 지물 경계선(BB)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지물 영역 격자(100)는 상기 지물 경계선(BB) 중 보행이 가능한 통행 가능 경계 구간(BB1)을 통해서만 지물 경계선(BB) 외부의 지형 영역 격자(10)에 상호 링크 연결된다. 일예로, 통행 가능 경계 구간(BB1)은 실내 공간과 실외 공간이 상호 연결되는 건물 현관 출입문, 비상구 등이 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지물(B)이 n개의 층을 포함하는 건물인 경우, 상기 지물 영역 격자(100)와 상기 지형 영역 격자(10)의 상호 링크 연결은 건물 1층에서 이뤄진다.
일예로, 상기 설정은, 지물 영역 격자(100)와 지형 영역 격자(10)를 연결하는 링크 중 상기 지물 경계선(BB)과 중첩되는 링크를 삭제 처리하는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지물(B)의 내부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N)는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지물(B)의 외벽을 정의하는 지물 경계선(BB)이 설정된다.
상기 지물 경계선(BB)의 내부에는 지물(B)의 내벽을 정의하는 지물 구획선(BC)이 설정된다.
상기 지물 영역 노드(102)는 상기 지물 경계선(BB)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지물 영역 격자(100)는 상기 지물 구획선(BC) 중 보행이 가능한 통행 가능 구획 구간(BC1)을 통해서만 또다른 지물 영역 격자(100)와 상호 링크 연결된다. 일예로, 통행 가능 구획 구간(BC1)은 건물의 각 호실과 복도를 연결하는 복도 출입문, 엘리베이터 출입문 등이 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설정은, 지물 영역 격자(100)와 지물 영역 격자(100) 상호 간을 연결하는 링크 중 상기 지물 구획선(BC)과 중첩되는 링크를 삭제 처리하는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지물(B)이 n개의 층을 포함하는 건물인 경우, 지물(B)의 내부에서 상층 및 하층 상호 간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N)는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건물 내부 영역 중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영역(EA)에서는 상층의 지물 영역 노드(102-2)와 하층의 지물 영역 노드(102-1)가 상하방향의 지물 영역 링크(104H)를 통해 상호 링크 연결된다. 일예로,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영역(EA)은 지물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탑승이 가능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3차원 좌표 공간을 기준으로 x-y 좌표는 동일하면서 z 좌표(높이값)가 서로 다른 노드들을 갖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각층별 지물 영역 노드(102-1,102-2)는 지물 정보에 포함된 건물의 각 층별 바닥 높이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또는 설정될 수 있다.
건물 내부 영역 중 계단이 설치된 영역(SA)에서는 상층의 지물 영역 노드(102-2)와 하층의 지물 영역 노드(102-1)가 상하 경사를 갖는 경사 지물 영역 링크(104S)를 통해 상호 링크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경사 지물 영역 링크(104S)는, 상층의 지물 영역 노드(102-2)로부터 하향 경사를 갖도록 연장되며 상층의 지물 영역 격자(100-2)의 구성요소로서 관리되는 하향 경사 지물 영역 링크(104S-2)와, 하층의 지물 영역 노드(102-1)로부터 상향 경사를 갖도록 연장되며 하층의 지물 영역 격자(100-1)의 구성요소로서 관리되는 상향 경사 지물 영역 링크(104S-1)가, 상층과 하층의 중간 높이(HH)에서 노드 병합되는 방식으로 상호 링크 연결된다.
일예로, 상기 노드 병합은, 상층의 하향 경사 지물 영역 링크(104S-2)의 가장 낮은 높이를 갖는 노드(102-2')와, 하층의 상향 경사 지물 영역 링크(104S-1)의 가장 높은 높이를 갖는 노드(102-1')를 하나의 노드로 병합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계단이 설치된 영역(SA)에서의 이러한 노드링크 설정에 따라, 상층과 하층을 그 중간 공간에서 연결하는 계단의 각각의 스텝의 노드 정보 및 이를 연결하는 링크 정보를 상층 또는 하층의 지물 정보로 일괄적으로 구분 관리가 가능하며, 계단을 위한 별도의 지물 정보를 설정 관리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형 영역 격자(10)의 격자 크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우선, 각각의 지물(B)에 대하여 상기 지물 영역 격자(100)는 상기 지형 영역 격자(10)보다 작은 격자 크기를 갖도록 기본 설정된다. 이러한 상태는 도 7의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예, 1개월, 6개월 등) 동안 각각의 지물(B)에 대하여 각각의 지물 경계선(BB)의 내부에 출입한 아바타의 출입 회수를 누적 산출한다.
다음으로, 산출된 아바타의 누적 출입 회수가 미리 설정된 조건 이상인 지물(B)에 대하여는 지물 경계선(BB) 외측의 미리 설정된 주변 영역에 대해 지형 영역 격자(10)의 크기를 지물 영역 격자(100)의 크기와 동일하게 되도록 축소 변경 설정한다. 이러한 상태는 도 11의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일예로, 미리 설정된 조건 이상은, 1개월당 1만명 이상 방문, 반경 1km 이내의 다른 건물과 비교하여 건물연면적 대비 누적 방문자수 상위 20% 이내 등의 조건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주변 영역은, 해당 지물의 지물 경계선(BB)을 기준으로 30m 씩 외측으로 확장된 영역, 또는 해당 지물의 지물 경계선(BB)을 기준으로 기본 설정된 지형 영역 격자(10)의 n칸씩 확장된 영역 등과 같이 다양한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산출된 아바타의 누적 출입 회수가 미리 설정된 조건 이상인 지물(B)은, 아바타의 보행을 통한 방문이 빈번한 지물(B)로 볼 수 있으므로, 해당 지물(B) 외부의 인근 영역에도 아바타의 보행이 빈번하게 이뤄진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해당 지물(B) 외부의 인근 영역에서도 실내 공간과 유사한 정도로 디테일한 아바타의 동작 구현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보행 경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격자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고 정밀한 것이 좋다. 그러므로, 이러한 지물(B) 외부의 주변 인근 영역은 실외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지형 영역 격자(10)의 크기를 지물 영역 격자(100)의 크기와 동일하게 되도록 축소 변경 설정하여, 디테일한 아바타의 동작 구현이 실외 영역에서도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감시 영역 설정을 이용한 영상 관제 방법을 다양한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USB 드라이브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100: 가상 현실 서버
200: 사용자 클라이언트
300: 관리자 클라이언트

Claims (18)

  1. 지형 정보와 지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가상현실 서버에서 실행하는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으로서,
    1)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형 영역 격자를 설정하는 단계;
    2) 지물 정보에 기초하여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물 영역 격자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지물은 사람의 보행이 가능한 면적을 갖는 인공 지물이며, 상기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는 상기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설정됨-; 및
    3) 상기 지형 영역 노드, 지형 영역 링크, 지물 영역 노드 및 지물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가상현실 공간에서 연속적 보행이 가능한 보행 경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형 영역 격자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복수의 지형 기초 노드를 배치하고 인접한 지형 기초 노드 상호 간을 지형 기초 링크로 연결한 지형 기초 격자를 생성하고,
    수치표고모형에 기초하여 각각의 지형 기초 노드에 높이값을 부여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치표고모형은 단위 격자별로 지형의 표고값이 부여된 표고값 격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형 기초 격자를 상기 표고값 격자와 중첩시키고, 각각의 지형 기초 노드에 중첩된 위치의 단위 격자의 표고값을 해당 지형 기초 노드의 높이값으로 부여하여 상기 지형 영역 격자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3. 지형 정보와 지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가상현실 서버에서 실행하는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으로서,
    1)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형 영역 격자를 설정하는 단계;
    2) 지물 정보에 기초하여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물 영역 격자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지물은 사람의 보행이 가능한 면적을 갖는 인공 지물이며, 상기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는 상기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설정됨-; 및
    3) 상기 지형 영역 노드, 지형 영역 링크, 지물 영역 노드 및 지물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가상현실 공간에서 연속적 보행이 가능한 보행 경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물 영역 격자는,
    각각의 지물 영역 내에,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복수의 지물 영역 노드를 배치하고, 인접한 지물 영역 노드 상호 간을 지물 영역 링크로 연결한 형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4. 지형 정보와 지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가상현실 서버에서 실행하는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으로서,
    1)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형 영역 격자를 설정하는 단계;
    2) 지물 정보에 기초하여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물 영역 격자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지물은 사람의 보행이 가능한 면적을 갖는 인공 지물이며, 상기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는 상기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설정됨-; 및
    3) 상기 지형 영역 노드, 지형 영역 링크, 지물 영역 노드 및 지물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가상현실 공간에서 연속적 보행이 가능한 보행 경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물 영역 노드는 상기 지형 영역 노드와 중첩되거나 또는 상기 지형 영역 링크의 일지점에 중첩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물 영역 격자는 상기 지형 영역 격자와 서로 다른 격자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6. 지형 정보와 지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가상현실 서버에서 실행하는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으로서,
    1)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형 영역 격자를 설정하는 단계;
    2) 지물 정보에 기초하여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물 영역 격자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지물은 사람의 보행이 가능한 면적을 갖는 인공 지물이며, 상기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는 상기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설정됨-; 및
    3) 상기 지형 영역 노드, 지형 영역 링크, 지물 영역 노드 및 지물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가상현실 공간에서 연속적 보행이 가능한 보행 경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지물의 외벽을 정의하는 지물 경계선이 설정되고,
    상기 지물 영역 노드는 상기 지물 경계선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물 영역 격자는 상기 지물 경계선 중 보행이 가능한 통행 가능 경계 구간을 통해서만 지물 경계선 외부의 지형 영역 격자에 상호 링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물은 n개의 층을 포함하는 건물이며,
    상기 지물 영역 격자와 상기 지형 영역 격자의 상호 링크 연결은 건물 1층에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지물에 대하여 상기 지물 영역 격자는 상기 지형 영역 격자보다 작은 격자 크기를 갖도록 기본 설정되며,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각각의 지물에 대하여 상기 지물 경계선의 내부에 출입한 아바타의 출입 회수를 누적 산출하고,
    산출된 아바타의 누적 출입 회수가 미리 설정된 조건 이상인 지물에 대하여는 지물 경계선 외측의 미리 설정된 주변 영역에 대해 지형 영역 격자의 크기를 지물 영역 격자의 크기와 동일하게 되도록 축소 변경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9. 지형 정보와 지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가상현실 서버에서 실행하는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으로서,
    1)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형 영역 격자를 설정하는 단계;
    2) 지물 정보에 기초하여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물 영역 격자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지물은 사람의 보행이 가능한 면적을 갖는 인공 지물이며, 상기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는 상기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설정됨-; 및
    3) 상기 지형 영역 노드, 지형 영역 링크, 지물 영역 노드 및 지물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가상현실 공간에서 연속적 보행이 가능한 보행 경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지물의 외벽을 정의하는 지물 경계선이 설정되고, 상기 지물 경계선의 내부에는 지물의 내벽을 정의하는 지물 구획선이 설정되고,
    상기 지물 영역 노드는 상기 지물 경계선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물 영역 격자는 상기 지물 구획선 중 보행이 가능한 통행 가능 구획 구간을 통해서만 또다른 지물 영역 격자와 상호 링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물은 n개의 층을 포함하는 건물이며,
    건물 내부 영역 중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영역에서는 상층의 지물 영역 노드와 하층의 지물 영역 노드가 상하방향의 지물 영역 링크를 통해 상호 링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물은 n개의 층을 포함하는 건물이며,
    건물 내부 영역 중 계단이 설치된 영역에서는 상층의 지물 영역 노드와 하층의 지물 영역 노드가 상하 경사를 갖는 경사 지물 영역 링크를 통해 상호 링크 연결되되,
    상기 경사 지물 영역 링크는,
    상층의 지물 영역 노드로부터 하향 경사를 갖도록 연장되며 상층의 지물 영역 격자의 구성요소로서 관리되는 하향 경사 지물 영역 링크와,
    하층의 지물 영역 노드로부터 상향 경사를 갖도록 연장되며 하층의 지물 영역 격자의 구성요소로서 관리되는 상향 경사 지물 영역 링크가,
    상층과 하층의 중간 높이에서 노드 병합되는 방식으로 상호 링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병합은,
    상층의 하향 경사 지물 영역 링크의 가장 낮은 높이를 갖는 노드와, 하층의 상향 경사 지물 영역 링크의 가장 높은 높이를 갖는 노드를 하나의 노드로 병합하는 방식으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13. 하나 이상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지형 정보와 지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되,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형 영역 격자를 설정하고,
    지물 정보에 기초하여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물 영역 격자를 설정하며- 상기 지물은 사람의 보행이 가능한 면적을 갖는 인공 지물이며, 상기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는 상기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설정됨-,
    상기 지형 영역 노드, 지형 영역 링크, 지물 영역 노드 및 지물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가상현실 공간에서 연속적 보행이 가능한 보행 경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형 영역 격자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복수의 지형 기초 노드를 배치하고 인접한 지형 기초 노드 상호 간을 지형 기초 링크로 연결한 지형 기초 격자를 생성하고,
    수치표고모형에 기초하여 각각의 지형 기초 노드에 높이값을 부여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버.
  14. 하나 이상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지형 정보와 지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되,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형 영역 격자를 설정하고,
    지물 정보에 기초하여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물 영역 격자를 설정하며- 상기 지물은 사람의 보행이 가능한 면적을 갖는 인공 지물이며, 상기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는 상기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설정됨-,
    상기 지형 영역 노드, 지형 영역 링크, 지물 영역 노드 및 지물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가상현실 공간에서 연속적 보행이 가능한 보행 경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물 영역 격자는,
    각각의 지물 영역 내에,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복수의 지물 영역 노드를 배치하고, 인접한 지물 영역 노드 상호 간을 지물 영역 링크로 연결한 형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버.
  15. 하나 이상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지형 정보와 지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되,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형 영역 격자를 설정하고,
    지물 정보에 기초하여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물 영역 격자를 설정하며- 상기 지물은 사람의 보행이 가능한 면적을 갖는 인공 지물이며, 상기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는 상기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설정됨-,
    상기 지형 영역 노드, 지형 영역 링크, 지물 영역 노드 및 지물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가상현실 공간에서 연속적 보행이 가능한 보행 경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물 영역 노드는 상기 지형 영역 노드와 중첩되거나 또는 상기 지형 영역 링크의 일지점에 중첩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버.
  16. 하나 이상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지형 정보와 지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되,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형 영역 격자를 설정하고,
    지물 정보에 기초하여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물 영역 격자를 설정하며- 상기 지물은 사람의 보행이 가능한 면적을 갖는 인공 지물이며, 상기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는 상기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설정됨-,
    상기 지형 영역 노드, 지형 영역 링크, 지물 영역 노드 및 지물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가상현실 공간에서 연속적 보행이 가능한 보행 경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지물의 외벽을 정의하는 지물 경계선이 설정되고,
    상기 지물 영역 노드는 상기 지물 경계선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물 영역 격자는 상기 지물 경계선 중 보행이 가능한 통행 가능 경계 구간을 통해서만 지물 경계선 외부의 지형 영역 격자에 상호 링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버.
  17. 하나 이상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지형 정보와 지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되,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형 영역 격자를 설정하고,
    지물 정보에 기초하여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로 구성된 지물 영역 격자를 설정하며- 상기 지물은 사람의 보행이 가능한 면적을 갖는 인공 지물이며, 상기 지물 영역 노드와 지물 영역 링크는 상기 지형 영역 노드와 지형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설정됨-,
    상기 지형 영역 노드, 지형 영역 링크, 지물 영역 노드 및 지물 영역 링크에 기초하여, 가상현실 공간에서 연속적 보행이 가능한 보행 경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지물의 외벽을 정의하는 지물 경계선이 설정되고, 상기 지물 경계선의 내부에는 지물의 내벽을 정의하는 지물 구획선이 설정되고,
    상기 지물 영역 노드는 상기 지물 경계선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물 영역 격자는 상기 지물 구획선 중 보행이 가능한 통행 가능 구획 구간을 통해서만 또다른 지물 영역 격자와 상호 링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버.
  18.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제3항, 제4항, 제6항 및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52172A 2021-11-08 2021-11-08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94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172A KR102394316B1 (ko) 2021-11-08 2021-11-08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52750A KR102473980B1 (ko) 2021-11-08 2022-04-28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172A KR102394316B1 (ko) 2021-11-08 2021-11-08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750A Division KR102473980B1 (ko) 2021-11-08 2022-04-28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316B1 true KR102394316B1 (ko) 2022-05-04

Family

ID=815841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172A KR102394316B1 (ko) 2021-11-08 2021-11-08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52750A KR102473980B1 (ko) 2021-11-08 2022-04-28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750A KR102473980B1 (ko) 2021-11-08 2022-04-28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943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202B1 (ko) * 2022-07-22 2023-07-31 박상규 디지털 트윈 3d 공간상의 레이어 별 아바타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666A (ko) * 2004-11-23 2006-05-2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아이에스 객체 위치 표시 방법
KR101105808B1 (ko) 2011-10-17 2012-01-12 (주)자올소프트 단일 도로 체계를 이용한 보행경로 내비게이션
KR101262227B1 (ko) 2011-12-07 2013-05-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KR20130123340A (ko) * 2013-09-06 2013-11-12 (주)자올소프트 3차원 매칭을 이용한 영상 기반의 보행 경로 poi표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666A (ko) * 2004-11-23 2006-05-2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아이에스 객체 위치 표시 방법
KR101105808B1 (ko) 2011-10-17 2012-01-12 (주)자올소프트 단일 도로 체계를 이용한 보행경로 내비게이션
KR101262227B1 (ko) 2011-12-07 2013-05-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보행자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KR20130123340A (ko) * 2013-09-06 2013-11-12 (주)자올소프트 3차원 매칭을 이용한 영상 기반의 보행 경로 poi표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202B1 (ko) * 2022-07-22 2023-07-31 박상규 디지털 트윈 3d 공간상의 레이어 별 아바타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980B1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eo et al. BIM-oriented indoor network model for indoor and outdoor combined route planning
JP5814501B2 (ja) ガイダンス付き公開エリア地図
CN109979006B (zh) 室内路网模型构建方法及装置
JP5684976B2 (ja) 公開エリア地図
JP3370555B2 (ja) 歩行者情報提供システム
Rahaman et al. CAPRA: A contour-based accessible path routing algorithm
JP5571920B2 (ja) コストベースの公開エリア地図
JP5702527B2 (ja) エンドユーザ画像の公開エリア地図
JP5730475B2 (ja) 制約コンテンツを備えた公開エリア地図
JP5968583B2 (ja) 公開エリア地図の位置付け
US9142051B2 (en) Method for generating digital interior map
Lin et al. Intelligent generation of indoor topology (i-GIT) for human indoor pathfinding based on IFC models and 3D GIS technology
US11421993B2 (en) Human vision-empowered 3D scene analysis tools
Ma et al. Modeling pedestrian space in complex building for efficient pedestrian traffic simulation
Fu et al. Generating straight skeleton-based navigation networks with Industry Foundation Classes for indoor way-finding
Musliman et al. Implementing 3D network analysis in 3D-GIS
KR102394316B1 (ko)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Elias Pedestrian Navigation-Creating a tailored geodatabase for routing
Wang et al. Combining building and behavior models for evacuation planning
Lin et al. Automating the generation of indoor space topology for 3D route planning using BIM and 3D-GIS techniques
Yan et al. Finding outdoor boundaries for 3D space‐based navigation
Morrow Efficiently using micro-simulation to inform facility design–a case study in managing complexity
Song et al. A grid-based graph data model for pedestrian route analysis in a micro-spatial environment
Xu et al. Infrastructures for research on multimodal moving objects
Yamamoto et al. Partitioning vertical evacuation areas in Umeda underground mall to minimize the evacuation completion ti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