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808B1 - 단일 도로 체계를 이용한 보행경로 내비게이션 - Google Patents

단일 도로 체계를 이용한 보행경로 내비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808B1
KR101105808B1 KR1020110105644A KR20110105644A KR101105808B1 KR 101105808 B1 KR101105808 B1 KR 101105808B1 KR 1020110105644 A KR1020110105644 A KR 1020110105644A KR 20110105644 A KR20110105644 A KR 20110105644A KR 101105808 B1 KR101105808 B1 KR 101105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poi
cross
zon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표
이승택
강경훈
김기우
Original Assignee
(주)자올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올소프트 filed Critical (주)자올소프트
Priority to KR1020110105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808B1/ko
Priority to PCT/KR2012/008221 priority patent/WO20130584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01C21/30Map- or contour-matching
    • G01C21/32Structuring or formatting of map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09B29/007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using computer metho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단일 도로체계를 이용한 보행경로 내비게이션은 단일 도로 라인이 교차되는 지점인 노드, 상기 노드가 양단부를 이루는 분절된 도로 라인인 레인(lane) 및 상기 레인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역인 존(zone)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데이터 생성부; 보행 경로의 지형지물인 POI를 상기 레인 상에 연계시킨 레인POI를 해당 POI가 속한 존의 정보와 연계하여 생성하는 레인POI 생성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최단 거리를 이루는 상기 레인들의 조합을 연산하여 최단 레인 경로를 생성하는 최단 레인 생성부; 상기 목적지 도달 과정에 필요한 존간 크로스를 연산하고 상기 최단 레인 경로를 형성하는 각 레인에 존재하는 레인POI 중 상기 연산된 존간 크로스에 해당되는 레인POI인 크로스POI를 추출하는 크로스정보 생성부; 및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 및 상기 크로스 POI를 목적지 방향으로 정렬시킨 보행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경로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보행 경로 생성 및 제공에 관련된 데이터의 구축, 유지 및 보수 등에 대한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어 모바일 환경 등에서 최적화된 보행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일 도로 체계를 이용한 보행경로 내비게이션{Navigation for walking route with single street infra-structure}
본 발명은 보행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내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로, 인도, 횡단보도, 지하보행로, 육교 등 보행 이동이 가능한 교통시설물들의 교통 특성을 단일 도로 체계를 이용하여 더욱 간단한 데이터 구조로 실현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드웨어 리소스 등을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더욱 신속하고 정확한 보행 경로의 연산 및 사용자 제공이 가능한 사용자 지향적 단일 도로 체계를 이용한 보행경로 내비게이션에 관한 것이다.
내비게이션 장치 내지 시스템은 사용자가 지정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다양한 방법으로 안내함으로써 사용자가 목적지까지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장치 내지 시스템을 의미한다.
내비게이션은 통상적으로 차량을 대상으로 차량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근자에는 보행자의 보행 경로를 제공하는 방법도 점차적으로 구현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경우 차량의 도로 주행 특성을 단일 도로의 양 방향에 대한 데이터에 적용하여 그 주행 경로를 제공하게 되며, 보행용 내비게이션의 경우 도로, 인도, 횡단보도, 지하보행로, 육교 등 보행이 가능한 모든 교통시설물을 대상으로 보행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 종래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행용 경로 생성과 관련된 종래 기법은 도로를 기준으로 한 양 방향 보행로에 기초하여 경로를 생성하기 때문에 각 보행로를 양 방향성 마다 개별적이고 독립적으로 생성하고 구축하여 하므로 기초 데이터에 대한 상당히 과도한 DB가 요구되고, 이러한 DB구축에 상당한 시간과 인력 투자가 필요하여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일차적인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즉, 도로를 기준으로 양 방향에서의 보행자 통행 특성을 모두 고려하고 반영하기 위해서는 첨부된 도 1과 같이 양 방향에 따른 각각의 변수를 모두 고려하여야 하므로 경로 생성을 위한 기초 네트워크 데이터의 형상이 상당히 복잡해지며, 이를 모두 데이터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크기의 DB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복잡하고 과도한 데이터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의 보행 경로를 연산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상당한 시간 딜레이(time delay)가 발생하게 되므로 시시각각 변화될 수 있는 보행자 환경을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비롯하여 스마트 폰 등을 이용한 모바일 환경에서 특히, 즉시성을 구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보행로 등의 특성은 도로 특성과는 본질적인 차이가 있으므로 차량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실제 도로를 전수 검사 내지 탐색하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되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보행로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단일 도로 체계에 간단히 통합 반영하고 보행 경로 생성에 필요한 부분만을 선별적으로 연산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하드웨어 리소스를 간단히 구현하고, 연산 효율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사양에 관계없이 즉시적으로 그 보행 경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보행 경로에 최적화된 내비게이션 장치 내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일 도로체계를 이용한 보행경로 내비게이션은 단일 도로 라인이 교차되는 지점인 노드, 상기 노드가 양단부를 이루는 분절된 도로 라인인 레인(lane) 및 상기 레인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역인 존(zone)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데이터 생성부; 보행 경로의 지형지물인 POI를 상기 레인 상에 연계시킨 레인POI를 해당 POI가 속한 존의 정보와 연계하여 생성하는 레인POI 생성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최단 거리를 이루는 상기 레인들의 조합을 연산하여 최단 레인 경로를 생성하는 최단 레인 생성부; 상기 목적지 도달 과정에 필요한 존간 크로스를 연산하고 상기 최단 레인 경로를 형성하는 각 레인에 존재하는 레인POI 중 상기 연산된 존간 크로스에 해당되는 레인POI인 크로스POI를 추출하는 크로스정보 생성부; 및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 및 상기 크로스 POI를 목적지 방향으로 정렬시킨 보행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경로정보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최단 레인 경로를 형성하는 각 레인에 존재하는 레인POI 중 상기 크로스 POI를 기준으로 크로스 전 존에 해당하는 레인POI 및 크로스 후 존에 해당하는 레인POI를 선별하는 선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경로정보 생성부는 상기 크로스 전후 존에 따라 선별된 레인POI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크로스POI를 기준으로 목적지 방향으로 정렬시킨 정보를 상기 보행 경로 정보에 포함하여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의 상기 레인POI생성부는 상기 레인POI가 속한 레인 또는 해당 레인 양 노드에서 레인POI까지의 거리에 대한 속성정보를 포함하여 레인POI정보를 생성하고, 이 때, 상기 경로정보 생성부는 상기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 경로 정보에 포함된 도로명 정보 또는 보행 이동 거리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보행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단일 도로 라인은 도로명 주소 체계 데이터에서 추출된 정보로 구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레인의 시작 노드, 끝 노드, 각 레인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레인POI정보가 일 방향 순서로 정렬된 정렬 데이터 및 상기 정렬 데이터와 반대 방향 순서로 정렬된 리버스 데이터를 각 레인마다 생성하는 데이터 정렬부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최단 레인 생성부는 상기 정렬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이용하되, 이전 레인의 끝 노드와 다음 레인의 시작 노드가 일치되지 않는 경우 해당 레인의 리버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레인이 연결되도록 최단 레인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로스정보 생성부는 상기 존간 크로스에 해당되는 레인POI가 복수 개인 경우 최단 거리를 가지는 레인POI를 크로스 POI로 생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레인POI 생성부는 해당 레인POI가 속한 존에서 크로스 가능한 존에 대한 크로스존 속성정보를 생성하고, 이 때, 상기 크로스정보 생성부는 상기 크로스존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 도달 과정에 필요한 존간 크로스를 연산하고 연산된 존간 크로스에 해당되는 레인POI를 크로스POI로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상기 경로정보 생성부는 동일 레인 상에 존재하는 레인POI가 복수 개인 경우 우선순위가 부여된 레인POI만을 선별하여 경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행 경로 내비게이션은 보행 경로 제공을 위한 기초 네트워크 데이터를 단일 도로 체계에 모두 통합적으로 반영시키고 통합된 단일 도로 체계에 의하여 목적지 도달에 필요한 POI를 선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기초 네트워크 데이터 구축 및 이를 유지 보수하기 위하여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 인력 및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행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보행 경로에 필요한 이정표가 될 POI를 선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간단한 데이터 구조에도 불구하고 더욱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보행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의 효과에 기초하여 보행 경로 생성 및 제공에 필요한 연산을 더욱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어 인터넷 접속에 의한 단말은 물론, 모바일 환경에서도 사용자에게 필요한 보행 경로를 즉시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더욱 사용자 지향적인 보행 경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양 방향 보행 경로를 반영한 보행 경로용 네트워크 형상 데이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내비게이션에 관련된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내비게이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보행 경로 생성을 위한 기초 데이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기초 데이터를 네트워크 데이터로 생성하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POI의 형상과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POI를 단일 도로 체계에 연계시킨 레인POI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최단 레인 보행 경로를 생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보행 경로 제공을 위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단일 도로 체계를 이용한 보행 경로 내비게이션(100)(이하 보행 경로 내비게이션이라 칭한다)에 관련된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은 사용자 단말 자체에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이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운용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연동되도록 하는 방법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보행 경로 생성 및 제공에 필요한 네트워크 데이터는 데이터 량이 방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에 모두 탑재된 후 후속 프로세싱에 의하여 보행 경로를 제공하는 방법보다는 스마트 폰(10), 노트북(12), PC(15) 등에 기본적인 프로세싱 데이터 및 인터페이싱(interfacing)에 필요한 앱(app) 또는 프로그램을 탑재시키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출발지, 목적지 등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경로 생성 등에 대한 연산 및 이를 위한 전체 네트워크 데이터는 서버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100)에 의하여 수행되거나 저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 단말(10, 12, 15)에 탑재된 소정 프로그램이 구동되고, 그 구동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보행 경로에 대한 출발지/목적지 정보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20)를 통하여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 서버(100)로 입력되면,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 서버(100)는 입력된 출발지 및 목적지를 기초로 후술되는 바와 같은 경로 생성의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그 결과인 보행 경로를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 12, 15)로 제공한다.
실시 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 서버(100)는 맵 데이터 또는 교통 특성에 대한 정보 등을 관장하는 소정 관공서 등의 기관 서버(50)와 통신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연결되어 필요한 데이터들을 제공받거나 또는 네트워크 데이터들의 업데이트 등을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보행 경로 내비게이션(100)이 상술된 바와 같은 서버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중심으로 한 실시예 등을 설명하나, 본 발명의 보행 경로 내비게이션(100)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단일 단말을 통하여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보행 경로 내비게이션(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행 경로 내비게이션(100)은 기초데이터 저장부(110), 네트워크 데이터 생성부(120), 레인POI생성부(130), 최단 레인 생성부(140), 크로스정보 생성부(150), 경로정보 생성부(160), 선별부(170) 및 데이터 정렬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기초데이터 저장부(1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 경로 생성을 위한 기초 데이터(raw data)가 저장되는데, 이러한 기초 데이터는 앞서 간략히 언급된 바와 같이 국가 기관 서버 또는 민간 서버(50) 등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는 국가 기본도, 도로명 주소 데이터, 기타 지도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도 4에 예시된 기초 데이터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도로 명을 포함하는 도로 라인을 중심으로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네트워크 데이터 생성부(120)는 상기 기초 데이터를 도 5에 예시된 형태 내지 형상의 선형 데이터인 네트워크 데이터로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볼 때, 본 발명의 네트워크 데이터 생성부(120)는 단일 도로 라인(도 4의 가로길, 신청사로, 순환로, 진평로, 사진대로, 우창대로 등)이 교차되는 지점에 대한 데이터인 노드 데이터(도 5의 A)를 생성한다. 상기 노드(node) 데이터는 노드를 지칭하는 아이디(ID) 정보, 위치 정보, 기초 데이터에서의 교차로 명 또는 기타 사용자 정의 정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노드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 단일 도로 라인이 노드들에 의하여 분절된 개별 도로 라인을 레인(lane)으로 정의하는데, 이러한 레인(도 5의 B)은 노드가 양단부 즉, 그 시작과 끝을 이루게 된다. 예를 들어, 기초 데이터에서 가로수 길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레인 즉, a0, a2, a2 및 a3로 분절되며, a1 레인은 no, n1이 양 단부 즉, 시작과 끝이 되며, a2 레인은 n1 및 n2가 양단부가 된다.
레인 데이터는 아이디 정보, 시작 및 끝 노드 정보, 레인이 속하는 도로 정보 등으로 그 속성 데이터가 구성될 수 있다.
단일 도로 라인의 각 분절된 레인(B)들에 의하여 구획되는 영역은 존(zone)(도 5의 C)이 되며, 본 발명의 네트워크 데이터 생성부(120)는 이러한 존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a1, e1, b1 및 d1 레인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역 정보가 존(z1)이 된다. 이와 같이 생성되는 존에 대한 데이터는 존을 식별하는 고유 아이디 정보 및 기타 존에 대한 사용자 정의 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데이터 생성부(120)가 기초 데이터를 가공하여 레인, 노드 및 존에 대한 네트워크 데이터를 생성(S900)하면, 본 발명의 레인POI생성부(130)는 보행 경로의 지형지물인 POI(POI, Point Of Interest)를 네트워크 데이터 생성부(120)가 생성된 레인 데이터 상에 연계시키는 프로세싱을 수행한다(S910).
내비게이션 또는 지리 정보 관련 기술 분야에는 통상적으로 도로, 지도상에 위치하는 지형지물을 POI로 지칭하는데 이러한 POI는 통행, 경로 등과 관련한 이정표 또는 경로 식별 내지 인지를 위한 지형지물로서 건물, 교차로, 횡단보도, 육교 등이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POI가 건물인 경우 해당 건물이 위치하는 존에 건물을 상징하는 C로 형상화되어 있으며, 횡단보도는 h로, 지하보행로는 g로 표기하여 각 POI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POI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내용의 강조와 설명의 효율성을 위하여 다소 상징적이고 간단히 도시되어 있을 뿐, 실제 POI에 대한 데이터 구축은 이보다 복잡하고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로 양측에 형성되는 각각의 보행 경로를 대상으로 경로 정보를 복잡하게 형성하는 방법을 지양하기 위하여 단일 도로 라인에 기초하여 보행 경로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POI들을 해당 POI가 기초데이터 상에서 관계를 맺는 레인 또는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레인 경로 상에 연계시킨다.
즉, 도 6에 도시된 각각의 POI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데이터 상에서 관계를 갖고 있는 레인 또는 최근접한 레인 상으로 연계되는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를 POI와 개념상 구분하기 위하여 레인POI로 지칭한다(도 7의 D).
이와 같이 레인 상에 위치한 레인 POI는 레인POI의 아이디, 레인POI의 명칭, 레인POI가 속한 레인 아이디/명칭, 레인 상의 좌표, 해당 레인의 시작 노드까지의 거리, 해당 레인의 끝 노드까지의 거리, 레인POI가 원래 속하였던 존의 아이디, 레인POI를 통하여 크로스 이동 가능한 존의 아이디 등의 속성 정보가 부여될 수 있다. 속성 정보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구체성, DB구축의 효율성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의 건물 c1의 경우 아래 표 1과 같은 속성 정보가 부여될 수 있다.
Figure 112011080650791-pat00001
즉, 상기 건물 1은 Z2 존에 속한 POI로서, e1 레인에 연계된(linked) 레인POI에 해당하며, 시작 노드에서의 거리는 60, 끝 노드에서의 거리는 40에 해당한다. 크로스 존이 건물 1이 속한 존과 동일하므로 이는 건물 1에서는 존간 이동이 불가함을 의미한다.
이와 유사한 관점에서 e1 레인 상에 위치하는 레인POI로서, 횡단보도 h1의 속성정보는 아래 표2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Figure 112011080650791-pat00002
횡단보도 1(h1)의 경우, e1 레인상에 위치하는 레인 POI이며, Z1 존은 물론, Z2 존에도 속한다. 이러한 경우 속성정보 zone항목은 레인의 진행방향 왼쪽 존(zone), 그 다음 오른쪽 존(zone)의 순서로 입력하여 저장한다. 상기 h1은 존간 이동이 가능한 레인POI로서, 크로스zone에 대한 속성정보와 같이 Z1과 Z2 사이의 존간 크로스 이동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지하보행로 1(g1)의 경우, 구체적으로 지하보행로 입구(g1)는 존 12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레인 a1, e0에서 이용이 가능하며, 지하보행로 1을 통해 g1, g2, g3, g4로의 이동이 가능하다면 지하보행로 1(g1)의 속성정보는 아래 표 3과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하보행로(해당 존에 위치하는 지하철 입구 등)의 속성정보에는 지하보행로가 포함되는 존과 포함되는 존의 표기순서를 레인 진행 방향의 왼쪽 존-오른쪽 존으로 정하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최단 경로의 조합 및 그 순서와 관련하여 리버스 데이터가 생성될 필요가 있는 경우 그 표시순서는 반대로 설정된다.
Figure 112011080650791-pat00003
존간 크로스는 횡단보도, 지하 보행로 등 교통시설물을 통한 이동도 가능하지만 차량 통행이 없거나 금지되어 있는 도로 등과 같이 보행자의 횡단보행이 자유로운 도로도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질적인 도로의 특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하여 이러한 도로(길)를 통해 존간 이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레인POI가 존재하지 않는 레인의 특정점에 존간 이동이 가능한 보행횡단POI를 기 생성하고 상기 보행횡단POI(표 4 및 도 7의 k1 등)를 통하여 존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에게 보행 경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행횡단POI의 속성정보는 아래 표 4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Figure 112011080650791-pat00004
이와 같이 존간 크로스 이동(보행 경로를 통하여 건너감)이 가능한 통행 특성을 가지는 레인POI에는 크로스 가능한 존의 정보가 포함된 속성정보가 생성된다(S920). 이와 같이 존간 이동이 가능한 레인POI는 이하에서 크로스POI로 지칭한다.
표 1 내지 표 4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보행 경로의 지형지물인 레인 POI는 원 POI가 속한 존과 자신을 통하여 존간 크로스 이동이 가능한 정보가 속성 정보로 생성되며, 육교 또는 지하로 등도 예시된 방법과 대응되는 방법으로 각 속성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도 6에 도시된 각 POI에 대한 데이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데이터에서 관계를 갖는 레인 또는 가장 근접한 레인 상에 위치한 레인POI가 생성된다.
한편, 실제 도로 상황을 고려할 때, 도로와 도로가 교차되는 사거리에는 횡단보도 또는 지하보행로 등이 거의 대부분 구비되며, 각 방향의 도로에 구비되는 횡단보도, 지하보행로 등을 이용하여 네 방향 모두로 보행 이동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제 도로 상황을 충실히 반영하기 위하여 레인과 레인이 교차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횡단보도(레인POI), 지하보행로(레인POI) 등에 대한 속성정보 중 크로스 존에 대한 속성정보 즉, 크로스가 가능한 존에 대한 정보로 네 방향 모두에 대한 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모든 POI를 레인 상에 위치시킨 레인POI에 대한 데이터가 생성된 후 사용자 단말 등으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S930) 본 발명의 최단 레인 생성부(140)는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최단 거리를 이루는 레인들의 조합을 연산하여 최단 레인 경로를 생성한다(S960).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 등을 통하여 입력되는 출발지 및 목적지에 대한 속성 정보는 앞서 설명된 레인 POI 등과 대응되게 생성되는데, 만약 입력된 출발지 및 목적지에 대한 정보가 레인POI에 매칭되면(S940), 해당 레인POI를 그대로 사용하며, 만약 매칭되는 레인POI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출발지 또는 목적지에 가장 가까운 직선 거리에 있는 레인 상의 위치로 출발지 또는 목적지 레인POI를 생성한다(S950).
최단 레인 경로 생성과 관련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를 이룰 수 있는 레인들의 조합을 최단 레인 생성부(140)가 연산하게 되는데, 이러한 연산으로 다이스트라 알고리즘 또는 A star 알로리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본 발명의 핵심적 특징에 대한 내용이 아니므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효율성과 집중도를 높이기 위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연산된 최단 레인 경로는 도 8에서 예시된 출발지와 목적지에 기초할 때, a1, e1, b2 및 f2 레인이 그 순서대로 연결되는 경로가 된다.
본 발명의 크로스정보 생성부(150)는 출발지 및 목적지가 속한 존 정보를 분석하여 출발지에서 목적지 도달까지의 필요한 존간 크로스를 연산한다(S970). 바람직한 실시예로 크로스정보 생성부(150)는 출발지와 목적지 좌표를 양 끝점으로 한 직선이 거치는 존이 무엇인지 파싱하여 출발지에서 목적지 도달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존간 크로스를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발지가 실제 속한 존은 Z1이며, 목적지는 Z7에 속한다면, 출발지와 목적지를 연결하는 직선은 Z1, Z2, Z6 및 Z7를 순차적으로 지나가게 된다. 즉, 출발지에서 출발하여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존간 크로스가 3번 즉, Z1에서 Z2, Z2에서 Z6 및 Z6에서 Z7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방법과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최단 레인 경로에 해당하는 일련의 레인POI 들의 존간 이동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연산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크로스정보 생성부(150)는 존간 크로스를 연산한 후, 앞서 생성된 최단 레인 경로를 형성하는 각 레인에 존재하는 레인POI들 중에서 상기 연산된 존간 크로스에 해당하는 레인POI(크로스 POI) 즉, 존간 크로스가 가능한 크로스POI를 추출한다(S970).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경로정보 생성부(160)는 출발지, 목적지 및 상기 크로스POI 정보를 출발지에서 목적지 방향으로 정렬시킨 보행 경로를 생성(S980)하며, 생성된 보행 경로는 후속 프로세싱 예를 들어, 크로스POI를 기준으로 존 크로스 전까지는 직진 보행 안내, 해당 크로스 POI에서의 존 이동 안내, 존 이동 후 직진 보행 안내, 후속 크로스 POI에서 존 이동 안내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후속 프로세싱 공정을 통하여 좀 더 사용자 인터페이싱된 정보가 생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사용자의 보행 경로 인지성과 보행 경로 확인에 대한 편의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선별부(170)는 상기 최단 레인 경로를 형성하는 각 레인에 존재하는 레인 POI 중 상기 크로스 POI를 기준으로 크로스 전 존에 해당하는 레인POI 및 크로스 후 존에 해당하는 레인POI를 선별한다.
이와 같이 특정 레인POI가 선별되면 본 발명의 상기 경로정보 생성부(160)는 상기 크로스 전후 존에 따라 선별된 레인POI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크로스 POI를 기준으로 목적지 방향을 정렬시킨 정보를 상기 보행 경로에 포함하여 보행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존간 크로스 전 또는 후에도 사용자는 특정 존을 따라 보행하면서 특정 존에 위치한 레인POI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보행 경로에 대한 인지성과 경로 확인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레인POI생성부(130)는 각 레인POI 데이터의 생성 시, 레인POI가 속한 레인 정보 또는 양 노드에서 레인POI까지의 거리에 대한 속성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본 발명의 경로정보 생성부(160)는 상기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 경로에 포함된 레인, 그 레인이 속한 도로명 정보 또는 보행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보행 경로 정보에 포함하여 생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보행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사용자는 현재 자신이 보행하고 있는 길에 대한 명칭 등의 정보를 실제 거리에서 확인하여 보행할 수 있음은 물론, 제공된 보행 시간 내지 보행 거리 정보를 통하여 다음 레인POI, 크로스POI 및 목적지 도착에 소요되는 시간 내지 거리를 예측할 수 있어 더욱 사용자 지향적인 보행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된 본 발명에 의한 보행 경로 내비게이션 방법은 단일 도로 라인 체계 및 통행의 지형지물인 POI정보를 그대로 가공하여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는 경우, 현재 국가 시책에 의하여 구축된 도로명 체계 및 도로명 주소 체계에 연계된 각 건물 등의 정보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데이터 구축 및 보행 정보 제공과 관련한 비용과 인력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내비게이션의 기초 프레임(frame)이 되는 레인, 노드 및 존에 대한 정보는 모두 단일 도로 라인에 기초하며, 이 단일 도로 라인은 도로명 주소 체계 데이터에서 추출될 수 있으므로 데이터 구축, 유지 보수 및 관리 등에 현저한 비용 절감과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표 등을 통하여 존간 크로스 연산 방법, 단일 레인 상에 하나 이상의 레인POI를 연계시키는 방법 등을 포함한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데이터를 구축함에 있어 각 레인 경로 상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레인POI를 이미 정해진 방향에 따라 일련의 정렬된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여 두면 데이터 액세스 내지 호출 등에 더욱 신속한 프로세싱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정렬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방향성이 항상 동일한 것은 아니며 사용자마다 시시각각 변화될 수 있으므로 랜덤하게 또는 프로그래머의 선택에 의한 방향으로 데이터가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1, b2 레인은 남쪽에서 북쪽으로(아래에서 위 방향) 데이터가 정렬되어 있다면, a1 레인의 레인POI는 순차적으로 no, g1, g2, n1이 되며, b2 레인의 레인POI는 순차적으로 n4, c6, c7, h5, h6, c8, c9, n5가 된다. 또한, e1 레인은 동쪽에서 서쪽으로(우측에서 좌측으로) 데이터가 정렬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e1 레인의 레인POI는 순차적으로 n4, c5, c2, c4, h1, c3, c1, g2, g4, n1 이 되며, f2 레인은 서쪽에서 동쪽으로(좌측에서 우측으로) 데이터가 정렬되어 있다면 f2 레인의 레인POI는 순차적으로 n5, c10, h7, n8이 된다.
정리하면 각 레인은 아래 표와 같은 순차 정렬된 형태를 가지는 레인POI가 집합된 데이터 형태로 저장된다.
Figure 112011080650791-pat00005
이와 같이 각 레인POI에 대한 데이터 집합이 정렬된 형태로 저장된 후,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최단 레인 생성부(140)에서 최단 레인 경로에 대한 조합이 연산되면 출발지와 목적지를 포함한 해당 레인별 레인POI들이 아래와 같이 정렬된다.
Figure 112011080650791-pat00006
이와 같이 기 정렬된 레인POI가 일련의 데이터를 형성하는 경우, 시작 노드와 끝 노드가 각 레인에서 일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레인 간 연결지점이 되는 노드가 매칭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본 발명의 데이터 정렬부(180)는 매칭되지 않는 레인의 정렬된 레인POI들을 반대 방향으로 다시 정렬하는 리버스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이전 레인의 끝 노드와 다음 레인의 시작 노드가 일치되지 않는 경우 해당 레인의 양단 노드를 서로 바꾸는 프로세싱을 전 레인에 걸쳐 반복적으로 순환하여 수행하여 이전 레인의 끝 노드와 다음 레인의 시작 노드가 일치되도록 하며, 전부 일치되는 경우, 최초 정렬에서 노드가 바뀐 레인을 대상으로 원래 정렬 데이터와 반대 방향의 리버스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리버스 데이터가 생성되면 본 발명의 최단 레인 생성부(140)는 모든 레인의 끝과 다음 레인의 시작이 일치되는 일련의 레인POI를 출발지에서 목적지 방향으로 다음과 같이 생성하게 된다.
Figure 112011080650791-pat00007
실제 데이터 구조에서는 e1에 해당하는 각 레인POI들의 식별 표지는 n1-1, g4-1 등과 같이 리버스 데이터임이 식별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레인의 방향과 관계된 존, 시작 노드까지의 거리, 끝 노드까지의 거리 등을 최초 정렬데이터와 반대가 되도록 수정한다. 예를 들어 h1의 리버스 데이터인 h1-1의 속성정보는 아래 표 8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Figure 112011080650791-pat00008
이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기초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경유하여야 하는 존에 대한 정보 즉, 크로스 존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데 이를 위하여 우선 출발지 즉, 경로 시작 이전의 레인POI와 목적지 즉, 경로 완료 이후의 레인 POI는 경로 생성에 무관하므로 이를 삭제한다. 그 후, 아래 표 9와 같이 출발지, 목적지 및 존간 이동이 가능한 크로스 POI를 추출하고, 추출된 크로스 POI에 해당하는 존 정보를 배열한다. 출발지는 Z1 존에 위치하며, 목적지는 Z7 존에 위치함을 전제로 한다.
Figure 112011080650791-pat00009
일련의 레인POI 중 존간 크로스 가능한 레인POI들을 중심으로 존간 크로스가 이루어지는 것을 순차적으로 배열한 것이 상기 표 9의 순열이다. 즉, 각 존마다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인데, 처음 존 1에서 존 12로 이동한 뒤, 다시 존 1로 이동하고 다시 존 2로 이동하는 그런 방식이 된다. 그러나, 존 1에서 다른 존으로 이동한 후 다시 존 1로 이동한다는 것은 전혀 이동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처음 존 1에서 출발하여 존 1이 마지막 나타나는 7번째 존 1까지는 존간 이동이 필요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8번째 존 즉, 존 2의 경우도 존 6으로 이동한 뒤 다시 존 2로 이동하는 것이 되므로 10번째 존 2까지 이동이 필요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일한 존이 마지막 나타날 때까지는 존간 이동을 하지 않고 해당 존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순열은 아래 표 10과 같은 존간 이동에 대한 최종 결과 즉, 목적지 도달까지 경유하여야 하는 존 크로스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 9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g4, g2 및 h1의 경우 최초 정렬 데이터에서 리버스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Figure 112011080650791-pat00010
즉, 상기 표 10과 같이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3번의 존크로스가 발생하며, 그 3번은 z1에서 z2, z2에서 z6, z6에서 z7에서 각각 이루어짐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인POI이 속한 존 및 그 레인POI에서 이동 가능한 존의 속성정보를 연산하는 방법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z1에 속한 레인 POI 중 z1에서 z2로 이동 가능한 레인POI, z2에 속한 레인 POI 중 z6으로 이동 가능한 레인POI 및 z6에 속한 레인POI 중 z7로 이동 가능한 레인 POI가 바로 출발지에서 목적지 경로 상에 필요한 존 크로스가 가능한 크로스POI가 되며, 이 정보가 보행 경로에 주요한 정보가 된다.
이와 관련하여, 횡단보도 중 일부 또는 지하철 보행로 등은 존을 횡단하는 것뿐만 아니라 대각선으로 가로질러 건널 수 있으므로 상기 레인POI 중 지하철 보행로가 있다면 반드시 z1에서 z2가 아니라 z6으로도 크로스 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이 존간 횡단 이동뿐만 아니라 존간 점핑이 가능한 레인POI도 선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시 상기 예에서 존간 이동이 가능한 크로스POI를 선별해 보면, 우선, 존1에 해당하면서 존 2로 이동가능한 레인POI를 분석한다. 본 예의 경우, g2, h1이 이에 해당되며, 상기 2개의 레인POI가 크로스POI가 된다.
다음으로, 존 2에 해당하면서 존 6으로 이동가능한 레인 POI는 h5 및 h6이며, 마지막으로 존 6에 해당하면서 존 7로 이동가능한 레인POI는 h7이 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최단 경로 제공을 위하여 존 1에서 존 2로 이동가능한 레인 POI는 h1이, 존 2에서 존 6으로 이동가능한 레인 POI는 보행 시간의 단축을 고려하여 h6이 선정될 수 있다.
존간 크로스가 이루어지는 크로스POI는 앞서 상술된 바와 같이 보행에 의하여 직접 횡단이 가능한 도로로서 보행 횡단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설정된 보행횡단(k1)이 상기 크로스POI로 설정되어 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보행경로 정보가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존간 이동이 가능한 경우 가장 최단 거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최초 레인POI정보를 생성할 때, 해당 레인POI가 존간 이동이 가능한 POI인 경우, 보행 등에 소요되는 시간 정보 또는 거리 정보를 함께 속성 정보로 생성하고 생성된 속성정보를 활용하여 복수 개 존간 이동이 가능한 크로스 POI가 존재하는 경우 최단 크로스 POI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크로스 POI가 생성되면, 사용자에게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 배치되는 크로스 POI정보만을 제공하여도 사용자는 훌륭히 목적지까지의 보행 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게 된다. 즉, 앞서 간략히 설명된 바와 같이 출발지에서 출발하여 달리 특별한 안내가 없는 한 직진 보행을 하며, 크로스POI에 도착하면, 안내된 크로스POI인 횡단보도를 통하여 길을 건너고 다시 직진 보행을 하는 즉, 안내된 크로스 POI에서만 존간 이동을 수행하면 충분히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존간 크로스가 이루어지는 크로스POI에 대한 정보만을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되어도 사용자에게 목적지 도달에 이르는 최단 경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경로 정보 생성부(160)는 사용자에게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가 보행 경로를 인지하거나 확인하는데 있어 최적합한 레인POI를 우선 순위에 따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앞서 표 5에 나타난 각 레인의 모든 레인POI를 모두 제공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나, 사용자의 인지성과 정보 효율성을 모두 충족시키기 위하여 사용자 인지성이 건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정식 교차로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정보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표 5에 열거된 레인 POI 중 각 레인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정보만을 선별적으로 제공하는 경우, 레인a1에서는 교차로에 해당하는 n1을, 레인 e1에서는 존간 크로스를 안내하기 위한 h1과 n4에 대한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하고, 레인b2에서는 존간 크로스를 안내하기 위한 h6(h5보다 짧은 거리임을 전제로 함)과 n5를 선별하여 제공하고, 레인 f2에서는 교차로가 없으므로 건물인 c10과 존간 크로스를 위한 h7에 대한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측면에서는 "출발지에서 출발하여 n1 교차로가 나오면, 이를 끼고 동일 존으로 계속 보행하고, 이어 h1 횡단보도가 나오면 길을 건넌 후(존 크로스) 걸어온 방향으로 계속 보행한 뒤 이어 n4 교차로가 나오면 이를 끼로 동일 존으로 계속 걸어가며, h6 횡단보도가 나오면 길을 건너(존 크로스) n5 교차로가 나타날 때까지 직진한 후, n5 교차로에서 턴하여 c10건물을 지난 후 h7 횡단보도에서 길을 건너면 목적지에 도달한다"는 형태의 정보가 제공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 시스템(100)에 대한 각 구성요소 또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기초로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12, 15: 사용자 단말 50 : 관공서 서버
100 : 보행경로 내비게이션 시스템 110 : 기초데이터 저장부
120 : 네트워크 데이터 생성부 130 : 레인POI 생성부
140 : 최단 레인 생성부 150 : 크로스정보 생성부
160 : 경로정보 생성부 170 : 선별부
180 : 데이터 정렬부

Claims (8)

  1. 단일 도로 라인이 교차되는 지점인 노드, 상기 노드가 양단부를 이루는 분절된 도로 라인인 레인(lane) 및 상기 레인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역인 존(zone)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데이터 생성부;
    보행 경로의 지형지물인 POI를 상기 레인 상에 연계시킨 레인POI를 해당 POI가 속한 존의 정보와 연계하여 생성하는 레인POI 생성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최단 거리를 이루는 상기 레인들의 조합을 연산하여 최단 레인 경로를 생성하는 최단 레인 생성부;
    상기 목적지 도달 과정에 필요한 존간 크로스를 연산하고 상기 최단 레인 경로를 형성하는 각 레인에 존재하는 레인POI 중 상기 연산된 존간 크로스에 해당되는 레인POI인 크로스POI를 추출하는 크로스정보 생성부; 및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 및 상기 크로스 POI를 목적지 방향으로 정렬시킨 보행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경로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단일 도로체계를 이용한 보행경로 내비게이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단 레인 경로를 형성하는 각 레인에 존재하는 레인POI 중 상기 크로스 POI를 기준으로 크로스 전 존에 해당하는 레인POI 및 크로스 후 존에 해당하는 레인POI를 선별하는 선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정보 생성부는,
    상기 크로스 전후 존에 따라 선별된 레인POI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크로스POI를 기준으로 목적지 방향으로 정렬시킨 정보를 상기 보행 경로 정보에 포함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도로체계를 이용한 보행경로 내비게이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POI 생성부는,
    상기 레인POI가 속한 레인 또는 해당 레인 양 노드에서 레인POI까지의 거리에 대한 속성정보를 포함하여 레인POI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경로정보 생성부는,
    상기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 경로 정보에 포함된 도로명 정보 또는 보행 이동 거리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보행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도로체계를 이용한 보행경로 내비게이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도로 라인은,
    도로명 주소 체계 데이터에서 추출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도로체계를 이용한 보행경로 내비게이션.
  5. 제 2항에 있어서,
    각 레인의 시작 노드, 끝 노드, 각 레인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레인POI정보가 일 방향 순서로 정렬된 정렬 데이터 및 상기 정렬 데이터와 반대 방향 순서로 정렬된 리버스 데이터를 각 레인마다 생성하는 데이터 정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단 레인 생성부는,
    상기 정렬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이용하되, 이전 레인의 끝 노드와 다음 레인의 시작 노드가 일치되지 않는 경우 해당 레인의 리버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레인이 연결되도록 최단 레인 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도로체계를 이용한 보행경로 내비게이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정보 생성부는,
    상기 존간 크로스에 해당되는 레인POI가 복수 개인 경우 최단 거리를 가지는 레인POI를 크로스 POI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도로체계를 이용한 보행경로 내비게이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POI 생성부는,
    해당 레인POI가 속한 존에서 크로스 가능한 존에 대한 크로스존 속성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크로스정보 생성부는,
    상기 크로스존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 도달 과정에 필요한 존간 크로스를 연산하고 연산된 존간 크로스에 해당되는 레인POI를 크로스POI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도로체계를 이용한 보행경로 내비게이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정보 생성부는,
    동일 레인 상에 존재하는 레인POI가 복수 개인 경우 우선순위가 부여된 레인POI만을 선별하여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도로 체계를 이용한 보행경로 내비게이션.
KR1020110105644A 2011-10-17 2011-10-17 단일 도로 체계를 이용한 보행경로 내비게이션 KR101105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644A KR101105808B1 (ko) 2011-10-17 2011-10-17 단일 도로 체계를 이용한 보행경로 내비게이션
PCT/KR2012/008221 WO2013058495A1 (ko) 2011-10-17 2012-10-10 단일 도로 체계를 이용한 보행경로 내비게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644A KR101105808B1 (ko) 2011-10-17 2011-10-17 단일 도로 체계를 이용한 보행경로 내비게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5808B1 true KR101105808B1 (ko) 2012-01-12

Family

ID=45614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644A KR101105808B1 (ko) 2011-10-17 2011-10-17 단일 도로 체계를 이용한 보행경로 내비게이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05808B1 (ko)
WO (1) WO201305849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923B1 (ko) * 2014-06-03 2016-03-18 주식회사 미래엔에스 사용자 모바일 단말과 연동하는 탄소포인트 제공 방법
CN110132260A (zh) * 2019-05-28 2019-08-16 南京大学 一种面向复杂地表空间的行人步行导航路径规划方法
KR102084955B1 (ko) * 2018-12-13 2020-04-20 네이버 주식회사 입구점 추출방법,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내비게이션 장치
KR102394316B1 (ko) 2021-11-08 2022-05-04 주식회사 네오스펙트라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4093A (ja) 2002-05-31 2003-12-03 Equos Research Co Ltd 歩行者用経路案内データ配信装置、歩行者用経路案内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歩行者用経路案内データ配信プログラム
JP2007078655A (ja) 2005-09-16 2007-03-29 Zenrin Co Ltd 歩行者用経路案内装置のデータ構造
KR20090004252A (ko) * 2007-07-06 2009-01-12 주식회사 엘비씨소프트 보행자 길 안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4093A (ja) 2002-05-31 2003-12-03 Equos Research Co Ltd 歩行者用経路案内データ配信装置、歩行者用経路案内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歩行者用経路案内データ配信プログラム
JP2007078655A (ja) 2005-09-16 2007-03-29 Zenrin Co Ltd 歩行者用経路案内装置のデータ構造
KR20090004252A (ko) * 2007-07-06 2009-01-12 주식회사 엘비씨소프트 보행자 길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923B1 (ko) * 2014-06-03 2016-03-18 주식회사 미래엔에스 사용자 모바일 단말과 연동하는 탄소포인트 제공 방법
KR102084955B1 (ko) * 2018-12-13 2020-04-20 네이버 주식회사 입구점 추출방법,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내비게이션 장치
CN110132260A (zh) * 2019-05-28 2019-08-16 南京大学 一种面向复杂地表空间的行人步行导航路径规划方法
KR102394316B1 (ko) 2021-11-08 2022-05-04 주식회사 네오스펙트라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73980B1 (ko) 2021-11-08 2022-12-05 주식회사 네오스펙트라 가상현실 내에서의 보행 경로 네트워크 구현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58495A1 (ko)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93032B2 (ja) 道案内方法及び装置
CN110795514B (zh) 道路元素的识别和路网构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5661782B2 (ja) Gps軌跡を用いた付加的マップ生成、改良および拡張
JP2005515513A (ja) 概略図の生成
JP6601947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177424A (ja) 信号制御装置、信号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030982B2 (en) Generalising topographical map data
JP2004347420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105808B1 (ko) 단일 도로 체계를 이용한 보행경로 내비게이션
US20150185026A1 (en) Generating a sequence of lane-specific driving directions
CN112665606A (zh) 步行导航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08921173A (zh) 一种结合osm和遥感影像提取人行天桥的深度学习方法
JP2014228526A (ja) 情報告知装置、情報告知システム、情報告知方法、及び、情報告知装置用プログラム
CN107504978A (zh) 一种导航方法及系统
CN114973687A (zh) 一种交通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03900596A (zh) 基于路段的导航路径规划方法及其装置
JP6655038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JP2014081225A (ja) 案内地図作成装置、案内地図作成方法および案内地図作成プログラム
CN112923941A (zh) 路线规划方法、数据挖掘方法、相应的装置及电子设备
KR20190066806A (ko) 차선 기반 도로 네트워크상에서의 최단경로 탐색 방법
JP6765333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JP2020026987A (ja) 信号機取得システム、対応関係生成システムおよび信号機取得プログラム
KR102377652B1 (ko) 제어된 교통신호정보를 이용한 보행자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174804B (zh) 一种道路检测车行驶路径规划系统及方法
JP6556687B2 (ja) 地理ネットワークデータ更新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