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762B1 - 산삼녹차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삼녹차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762B1
KR101261762B1 KR1020110127849A KR20110127849A KR101261762B1 KR 101261762 B1 KR101261762 B1 KR 101261762B1 KR 1020110127849 A KR1020110127849 A KR 1020110127849A KR 20110127849 A KR20110127849 A KR 20110127849A KR 101261762 B1 KR101261762 B1 KR 101261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leaves
wild ginseng
minutes
tea l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경
Original Assignee
이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경 filed Critical 이은경
Priority to KR1020110127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삼녹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삼잎과 녹차잎을 혼합한 후 덖고 건조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산삼잎을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는 제 1단계와, 100 내지 140℃ 온도에서 녹차 8 내지 12중량부와 상기 산삼잎 0.8 내지 1.2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10분 내지 30분 동안 덖는 제 2단계와, 상기 혼합된 잎을 고온의 솥에서 건조시키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산삼녹차 및 이의 제조방법{A Wild Ginseng Green Tea and A Method for Producing Wild Ginseng Green Tea}
본 발명은 산삼녹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삼잎과 녹차잎을 혼합한 후 덖고 건조하여 제조하는 산삼녹차의 제조방법과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산삼녹차에 관한 것이다.
녹차는 일반 다류로서의 기능은 물론 추출 및 분쇄를 통한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녹차는 카테킨류, 카페인, 폴리페놀류, 플라보노이드, 비타민류, 기능성 당류 등의 건강기능식품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지만 이러한 성분의 활용은 아직까지 30% 수준을 밑돌고 있다.
녹차 성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식이섬유(다당류)는 가류녹차를 제외한 일반적인 가공식품상으로는 섭취하기 어려우며, 섭취시 체내에 흡수되지 않고, 배출되어 영양학적으로 활용도가 낮은 실정이다.
녹차의 식이섬유를 인체내에서 흡수되는 성분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가공기술을 접목시켜 수율극대화 및 성분강화를 달성할 필요가 있다.
한편, 고려인삼(Panax ginseng)은 두릅나무과(Araliacea)에 속하는 식물로서, 생육환경에 따라 자연상태에서 자생한 인삼인 산삼과, 인공적으로 기른인삼인 재배인삼으로 크게 나눌 수 있고, 산삼은 다시 그 파종 기원에 따라 천연산삼과 산양삼으로 나뉘는데, 산양삼은 천연산삼의 종자를 산중에 파종하여 가꾸는 것, 천연산삼의 유근을 심산에서 채취하여 작덩한 위치의 산림 중에 재이식하여 가꾸는 것, 재배인삼의 종자를 산림 중에 파종하여 가꾸는 것 등으로 분류할 수 있고, 장뇌삼이라고도 불린다.
그런데, 약재로 사용되는 인삼은 대부분 뿌리부분이며, 잎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인삼수확시 거의 폐기처분되는 인삼잎에도 인삼의 유효성분이 미량이지만 거의 모두 포함되어 있어서, 한방에서는 항이뇨작용, 혈당강하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인삼잎이 이용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인삼잎에는 사포닌과 각종 효소들이 함유되어 있는데, 사포닌 종류는 주로 진세노이드-Rd(ginsenoid-Rd), 진세노이드-Re(ginsenoid-Re) 및 진세노이드-Rg1(ginsenoid-Rg1)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외에 -Rb1, Rb2, Rc, Rf, Rg2 등이 미량사포닌 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다. 또한, 인삼잎에는 진세노이드-F1, F2, F3, F6bc 등 인삼잎에만 있는 사포닌 화합물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외에도 죽절인삼 Ia-L3c, -L3bc1, -L5, -L8, -L9bc, -L10 등 사포닌 화합물들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실제로는 거의 활용되지 못하고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참살이(Well-being) 문화의 확대로 건강에 대한 관심과 다양한 기호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기호와 유용한 약리효과를 갖는 식품이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강에도 도움이 되면서 기호성도 우수한 제품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여러가지 제조방법이 기술되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녹차와 산삼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산삼녹차의 제조방법이 전무하여, 산삼과 녹차를 함께 차로 섭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공개 제 10-2011-0056361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산삼과 녹차가 혼합되어 산삼의 특유의 맛과 향미가 증진되고, 특히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을 파괴하지 않고 녹차로 가공한 산삼녹차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산삼녹차의 제조방법은, 산삼잎과 녹차잎을 혼합한 후 덖고 건조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산삼녹차의 제조방법은, 산삼잎을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는 제 1단계와, 100 내지 140℃ 온도에서 녹차 8 내지 12중량부와 상기 산삼잎 0.8 내지 1.2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10분 내지 30분 동안 덖는 제 2단계와, 상기 혼합된 잎을 고온의 솥에서 건조시키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인 산삼녹차의 제조방법은, 녹차잎을 채취하고 새순과 잎을 제외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녹차잎을 펴서 널어 수분을 증발시키는 제 2단계와, 상기 숙성된 녹차잎을 230 내지 270℃에서 5분 내지 15분간 덖는 제 3단계와, 상기 덖은 녹차잎을 자연바람으로 냉각시키고, 비빔기에서 10분 내지 30분간 유념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유념한 녹차잎을 해괴기에서 풀고, 130 내지 170℃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30분간 건조시키는 제 4단계와, 산삼잎을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는 제 5단계와, 100 내지 140℃ 온도에서 상기 녹차잎 8 내지 12중량부와 상기 산삼잎 0.8 내지 1.2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10분 내지 30분 동안 덖는 제 6단계와, 상기 혼합된 잎을 고온의 솥에서 건조시키는 제 7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산삼녹차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산삼녹차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기존의 녹차에 비해 떫은맛과 쓴맛이 감소되고, 우수한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을 함유하는 산삼성분을 첨가함으로써 산삼의 특유한 맛과 향미가 가미될 뿐만 아니라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을 함유하여 종래의 녹차에 비해 소비자들의 영양적 요구와 기호도가 향상된 홍차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삼녹차를 제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산삼녹차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산삼녹차의 제조방법은, 산삼의 부산물과 녹차잎을 혼합한 후 덖고 건조하여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인 산삼녹차에는 산삼의 부산물이 포함된다. 상기 산삼의 부산물에는 산삼잎, 산삼줄기, 산삼뿌리 등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삼의 잎이 될 수 있다.
상기 산삼잎은 산양삼잎, 장뇌삼잎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인삼잎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산삼잎과 상기 녹차잎으로 산삼녹차를 제조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녹차잎을 채취하여 새순과 잎을 제외한 불순물을 제거한다. 불순물이 모두 제거된 상기 녹차잎을 펴서 수분을 증발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녹차잎을 펴서 널어 시들게 하면서 수분을 제거한다.
일정하게 건조된 상기 녹차잎을 230 내지 270℃의 온도에서 덖는 공정이 진행된다. 상기 덖는 공정은 드럼형 살청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 5분 내지 15분간 덖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녹차잎을 250℃에서 10분간 덖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덖은 녹차잎을 자연바람으로 냉각시키고, 10분 내지 30분간 유념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녹차잎을 비빔기에 넣어 진이 나올정도로 압력을 가하면서 치댄다.
상기 유념한 녹차잎들 서로 분리시킨다. 즉, 상기 유념과정에서 서로 붙어 있는 녹차잎들을 서로 때어주고 이파리의 크기에 따라 분리시키는데, 이때 해괴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해괴기에서 분리된 상기 녹차잎들을 건조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녹차잎들을 130 내지 170℃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30분간 건조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녹차잎들을 150℃에서 20분간 1차 건조시키며, 상기 드럼형 살청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녹차잎에 수분이 전체 중량의 30%상태가 될 때까지 건조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 녹차잎에서 구수한 맛과 향이 돌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산삼잎을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한 후, 상기 산삼잎과 상기 녹차잎을 혼합하여 덖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때, 상기 산삼잎과 상기 녹차잎의 비율은, 상기 산삼잎이 0.8 내지 1.2중량부일때, 상기 녹차잎은 8 내지 12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삼잎이 1중량부일때, 상기 녹차잎은 1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삼잎을 0.8중량부 이하로 첨가할 경우 산삼의 향이 전혀 느껴지지 않고, 상기 산삼잎을 1.2중량부 이상으로 첨가할 경우 녹차고유의 맛과 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산삼잎과 상기 녹차잎을 혼합하여 덖을 때, 100 내지 140℃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30분 동안 덖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된 잎들을 120℃에서 20분 동안 덖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조건으로 덖음으로써 산삼잎의 향과 맛을 증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덖은 혼합잎의 1차 건조작업이 진행된다. 이는 상기 덖은 솥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혼합잎에서 수분의 함유량이 전체 중량의 10% 이내가 될때까지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혼합잎에서 녹차와 산삼의 향과 맛이 극대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차 건조작업 후, 상기 혼합잎의 2차 건조작업이 진행된다. 이는 상기 혼합잎을 상기 건조기에서 다시 건조시키는 것으로, 상기 혼합잎에서 수분의 함유량이 전체 중량의 5%이내가 될때까지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혼합잎이 일정한 형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조예 1: 산삼녹차의 제조방법(기계식)
1. 산삼잎을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한 후 120℃ 온도의 드럼형 살청기에 넣어 녹차 10kg, 산삼잎 1kg을 20분간 작동하여 덖고 혼합한 후, 솥에서 건조시킨다.
2. 상기의 건조된 잎을 농산물전기건조기에서 수분함유량이 전체 중량의 5% 이하가 되도록 완전건조하여 저온에서 보관한다.
제조예 2: 산삼녹차의 제조방법(수제식)
1. 산삼잎을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한 후 120℃ 온도의 솥에 넣어 녹차 2000g, 산삼잎 200g을 20분간 작동하여 덖고 혼합한 후, 솥에서 건조시킨다.
2. 상기의 건조된 잎을 농산물전기건조기에서 수분함유량이 전체 중량의 5% 이하가 되도록 완전건조하여 저온에서 보관한다.
제조예 3: 산삼녹차의 제조방법(기계식)
1. 차잎을 채취하고 선별하여 차나무의 새순과 잎을 제외한 나머지 불순물을 제거한다.
2. 차잎을 펴 널어 수분을 증발시켜 시들린다.
3. 상기의 숙성된 차잎 10kg을 250℃의 온도에서 10분간 드럼형 살청기에 넣어 덖는다.
4. 상기의 덖은 차잎을 자연바람으로 냉각하고, 비빔기에서 15 내지 20분간 유념한다.
5. 상기의 유념한 잎을 찻잎털이기(해괴기)에 넣어 풀고, 150℃의 온도에서 다시 드럼형 살청기에 넣고 20분간 작동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건조한다. 이때, 녹차잎의 수분함유량이 전체 중량의 30%인 상태로 만든다.
6. 산삼잎을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한 후, 120℃ 온도의 드럼형 살청기에 넣어 녹차 10kg과 산삼잎 1kg을 20분간 작동하여 덖고 혼합하여 솥에서 건조한다. 이때, 녹차잎과 산삼잎의 수분함유량이 전체 중량의 30%인 상태로 만든다.
7. 상기의 건조된 녹차잎과 산삼잎을 농산물전기건조기에서 완전건조하여 수분을 전체 중량의 5%이내의 상태로 만든 후 저온에서 보관한다.
제조예 4: 산삼녹차 제조방법(수제식)
1. 차잎을 채취하고 선별하여 차나무의 새순과 잎을 제외한 나머지 불순물을 제거한다.
2. 차잎을 펴 널어 수분을 증발시켜 시들린다.
3. 상기의 숙성된 차잎 2000g을 250℃의 온도에서 300초동안 솥에 넣어 덖는다.
4. 상기의 덖은 차잎을 자연바람으로 냉각하고, 비빔기에서 15 내지 20분간 유념한다.
5. 상기의 유념한 잎을 찻잎털이기(해괴기)에 넣어 풀고, 150℃의 온도에서 다시 드럼형 살청기에 넣고 20분간 작동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건조한다. 이때, 녹차잎의 수분함유량이 전체 중량의 30%인 상태로 만든다.
6. 산삼잎을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한 후, 120℃ 온도의 솥에 넣어 녹차 2000g과 산삼잎 200g을 20분간 작동하여 덖고 혼합하여 솥에서 건조한다. 이때, 녹차잎과 산삼잎의 수분함유량이 전체 중량의 30%인 상태로 만든다.
7. 상기의 건조된 녹차잎과 산삼잎을 농산물전기건조기에서 완전건조하여 수분을 전체 중량의 5%이내의 상태로 만든 후 저온에서 보관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녹차잎을 채취하고 새순과 잎을 제외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 1단계;
    상기 불순물을 제거한 녹차잎을 펴서 널어 수분을 증발시키는 제 2단계;
    상기 수분을 증발시킨 녹차잎을 230 내지 270℃에서 5분 내지 15분간 덖는 제 3단계;
    상기 덖은 녹차잎을 자연바람으로 냉각시키고, 비빔기에서 10분 내지 30분간 유념하는 제 4단계;
    상기 유념한 녹차잎을 해괴기에서 풀고, 130 내지 170℃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30분간 건조시키는 제 5단계;
    산삼잎을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는 제 6단계;
    100 내지 140℃ 온도에서 상기 제 5단계의 녹차잎 8 내지 12중량부에 대해, 상기 제 6단계의 산삼잎 0.8 내지 1.2중량부를 혼합하여 10분 내지 30분 동안 덖는 제 7단계; 그리고,
    상기 7단계의 덖은 잎을 건조시키는 제 8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산삼녹차의 제조방법.
  4. 제 3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산삼녹차.
KR1020110127849A 2011-12-01 2011-12-01 산삼녹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61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849A KR101261762B1 (ko) 2011-12-01 2011-12-01 산삼녹차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849A KR101261762B1 (ko) 2011-12-01 2011-12-01 산삼녹차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1762B1 true KR101261762B1 (ko) 2013-05-07

Family

ID=48665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849A KR101261762B1 (ko) 2011-12-01 2011-12-01 산삼녹차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7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55973A (zh) * 2014-09-14 2015-01-07 罗庆华 一种棕香型绿茶及其制备方法
KR101541596B1 (ko) * 2013-08-28 2015-08-03 이은경 산삼녹차 라떼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750B1 (ko) 1999-07-26 2002-09-11 김석순 인삼엽을 주원료로 하는 인삼녹차의 제조방법
KR100540881B1 (ko) 2004-10-07 2006-01-11 한국식품연구원 장뇌삼 잎 덖음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09341B1 (ko) * 2005-10-13 2007-04-20 한국식품연구원 장뇌삼 잎을 포함하는 혼합 덖음차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750B1 (ko) 1999-07-26 2002-09-11 김석순 인삼엽을 주원료로 하는 인삼녹차의 제조방법
KR100540881B1 (ko) 2004-10-07 2006-01-11 한국식품연구원 장뇌삼 잎 덖음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09341B1 (ko) * 2005-10-13 2007-04-20 한국식품연구원 장뇌삼 잎을 포함하는 혼합 덖음차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596B1 (ko) * 2013-08-28 2015-08-03 이은경 산삼녹차 라떼의 제조방법
CN104255973A (zh) * 2014-09-14 2015-01-07 罗庆华 一种棕香型绿茶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82471B (zh) 一种黄秋葵果花茶及其生产工艺
CN101156638B (zh) 蒲公英绿茶的生产方法
CN102696839B (zh) 一种杜仲雄花茶的加工方法
CN102987034A (zh) 一种金花茶红茶的加工方法
CN103262920A (zh) 一种调味金花茶叶的加工方法
CN101006815A (zh) 一种枸杞叶茶的加工工艺
CN107518097A (zh) 一种白茶的生产方法
CN104012734A (zh) 酸枣叶茶的制备方法
CN104839394B (zh) 一种加工茶树花的方法
CN106728949A (zh) 一种铁皮石斛的加工方法
CN104130863B (zh) 一种玛卡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在卷烟中的应用
CN104247853A (zh) 一种果脯及其制作方法
KR101259422B1 (ko) 산삼홍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산삼홍차
KR101261762B1 (ko) 산삼녹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66304B1 (ko) 숙성 홍도라지 제조방법
KR101222710B1 (ko) 다래나무 순을 이용한 녹차제조방법
CN103283896A (zh) 一种杜仲雄花茶的制备方法
CN110692758A (zh) 一种绿茶加工制备工艺
CN108902411A (zh) 一种青钱柳复合保健茶及加工方法
CN104782838A (zh) 一种牡丹绿茶及其生产方法
KR101282960B1 (ko) 기호성이 우수한 녹차 제조방법
CN108432911A (zh) 一种有机桂花红茶的加工方法
KR101330824B1 (ko) 단호박 초콜릿 및 그 제조방법
CN104738269A (zh) 一种茉莉花枸杞茶的加工方法
CN100493366C (zh) 一种复合型柿叶茶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