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115B1 -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115B1
KR101261115B1 KR1020110014671A KR20110014671A KR101261115B1 KR 101261115 B1 KR101261115 B1 KR 101261115B1 KR 1020110014671 A KR1020110014671 A KR 1020110014671A KR 20110014671 A KR20110014671 A KR 20110014671A KR 101261115 B1 KR101261115 B1 KR 101261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
tea
beard
extract
roa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5168A (ko
Inventor
박철수
우문제
이상훈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광동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동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4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115B1/ko
Publication of KR20120095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6Addition of, or treatment with,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F3/40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tea flavour or tea oi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수수수염차의 제조 공정 중에 발생하는 침전물 및 불순물을 제거시키고, 맛과 향미를 증가시킬 수 있는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수염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옥수수수염 추출물을 규조토로 여과처리하며, 옥수수의 로스팅을 가장 맛과 향미를 느낄 수 있는 조건으로 로스팅하고, 볶은 옥수수 함유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을 효소처리를 함으로써 제조되는 볶은 옥수수 함유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에는 침전물이 형성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분물질을 잘게 분해해서 구수한 맛과 향미를 향상시켜 기호도가 높은 옥수수수염차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drink of corn silk}
본 발명은 옥수수수염차의 제조 공정 중에 발생하는 침전물 및 불순물을 제거시키고, 맛과 향미를 증가시킬 수 있는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옥수수수염은 옥수수의 열매 부분을 싸고 있는 실 같은 부분으로 옥수수(Zea mays L.)의 꽃술이다. 옥수수수염은 예로부터 ‘옥촉수(玉蜀鬚)’ 또는 ‘옥미수(玉米鬚)’,‘옥촉서예(玉蜀黍)’로 불리며, 이뇨작용, 강압작용, 지혈작용 등이 있어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차(茶), 또는 음료로서 많이 달여서 복용하고 있다.
옥수수수염은 실 또는 머리카락과 같은 모양으로 이것들이 다량 뭉쳐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일반세균 및 내열성 포자균, 대장균, 효모, 곰팡이 등의 미생물의 오염이 다른 생약재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어 일반적인 살균 또는 멸균법에 의해서 잘 제거되지 않으므로 옥수수수염을 이용한 추출물 및 농축물 제품의 경우 쉽게 부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7-30908호로 특허출원하여 특허등록 된 바 있다.
한편, 옥수수수염차와 관련된 다수의 특허가 출원되어 있는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107100호에는 옥수수수염 및 둥굴레를 함유하는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915249호에는 둥굴레와 옥수수를 가압 배전처리하여 옥수수수염과 함께 티백형으로 제조한 향미가 개선된 티백형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838250호에는 옥수수 및 옥수수수염을 원료로 한 티백차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994243호에는 알카로이드 성분이 강화된 옥수수수염을 원료로 하는 티백차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759064호에는 옥수수수염을 로스팅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이 알려져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733142호에는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이 알려져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466550호에는 옥수수수염을 증렬시켜 제조되는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492628호에는 엔돌핀의 분해를 억제하는 기능이 강화된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487695호에는 옥수수수염의 떫은맛을 제거시킨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들은 옥수수수염의 기능을 강화시킨 옥수수수염차를 제조한 것일 뿐, 옥수수수염을 함유하는 음료에 있어서, 제조공정 중에 형성되는 침전물이나 불순물을 제거시키고자 하는 기술은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옥수수수염차에는 옥수수수염 추출물의 양이 너무 적어 볶은 옥수수 추출물을 혼합한 제제 형태로 제조되고 있는데, 볶은 옥수수 추출물의 제조 과정 중에 침전물이 많이 발생하여 차의 기호도를 떨어트리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볶은 옥수수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침전물은 매우 미세하여 일반적인 여과에 의해서는 쉽게 침전물을 제거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여과장치를 필요로 하며, 종래기술에서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옥수수수염차의 제조 공정 중에 발생하는 침전물 및 불순물을 제거시키고,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있는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을 연구하던 중에 옥수수수염 추출물을 규조토를 이용하여 여과시킴으로써, 제조공정 중에 침전물 형성을 억제하고 옥수수수염 특유의 이치와 풀취를 제거하고 제품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또한 옥수수수염차에 함께 함유되는 옥수수 추출물에서도 형성되는 침전물을 효소처리함으로써, 제조공정 중에 침전물 형성을 쉽게 억제하고 옥수수 추출물에 함유된 옥수수 전분물질을 잘게 분해해서 구수하면서 달콤한 맛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맛과 향미를 증가시켜 기호도를 높인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옥수수수염차의 제조 공정 중에 발생하는 침전물 및 불순물을 제거시키고, 맛과 향미를 증가시킬 수 있는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 공지의 방법에 의해 세척 및 살균 처리된 옥수수수염을 정제수로 추출한 다음 규조토을 이용하여 옥수수수염 추출물을 여과시킨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옥수수수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 별도로 생옥수수를 로스팅 및 팽화시켜 볶은 옥수수를 제조하는 단계 ;
⒞ 정제수에 탄산수소나트륨을 가하여 pH 중성 상태로 만든 후, ⒜ 단계에서 제조된 옥수수수염 농축액, ⒝ 단계에서 제조된 볶은 옥수수와 현미 농축액, 글리신을 함께 추출기에 넣고 93~98℃에서 유속 500ℓ/min으로 15~40분 동안 스프레이볼식 추출법으로 추출하여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 상기 ⒞ 단계에서 제조된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에α-아밀리아제 효소를 투입하여 85℃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15℃ 이하로 냉각 및 여과하여 효소처리 된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 상기 ⒟ 단계에서 제조된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을 원심분리 및 여과를 하고 옥미수 분말, 현미향을 혼합한 후 탄산수소나트륨을 가하여 pH 5.5~7.0으로 조정된 옥수수수염차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 상기 옥수수수염차 조성물을 130℃, 30초간 살균하고, 충진 ,밀봉 및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옥수수수염 농축액’은 ⒜ 단계에서 옥수수수염을 추출하여 제조된 농축액을 의미하며, ‘볶은 옥수수’는 ⒝ 단계에서 생옥수수를 로스팅 및 팽화시킨 것을 의미하고,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은 ⒞ 단계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의미하고, ‘옥수수수염차 조성물’은 ⒠ 단계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 : 옥수수수염 농축액의 제조
옥수수수염 원료를 약 3~5분간 흐르는 물에 세척한 후 135℃에서 1시간 멸균시키는 제1과정; 멸균된 옥수수수염 원료를 약 3~5분간 흐르는 물에 2차 세척 후 정제수를 가하여 98~100℃ 에서 추출하는 제2과정; 추출액을 40℃로 냉각하여 여과하고 총 여과액량 대비 1.0∼1.5%의 규조토를 여과액에 투입 교반하여 규조토 보디피트를 진행하여 여과시키는 제3과정; 및 여과액을 60℃이하에서 고형분이 40% 이상 되도록 감압농축 하여 농축액을 125℃에서 8초간 살균시키는 제4과정을 포함하여 옥수수수염 농축액을 제조한다.
본 발명은 옥수수수염 농축액의 제조에 있어서, 침전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불순물을 제거하는 데 특징이 있다.
규조토는 백색 또는 회백색으로 수㎛부터 수십㎛의 미세한 조류의 화석으로 규산이 주성분이다. 분말입자는 다수의 조그만 구멍이 있어 이런 성질을 이용하여 여과재, 흡착제 등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규조토 여과기는 이러한 규조토의 성질을 이용하여 금광과 여포 등의 여재 표면에 규조토를 층 모양으로 부착시켜서 여과하는 프리코트 여과법과, 여과하는 액에 소량의 규조토를 혼입해 여과하는 보디피드 여과법이 있는데 주로 가압식이다.
본 발명에서는 옥수수수염 농축액의 제조시에 형성되는 침전물 및 불순물을 규조토 여과를 통해 옥수수수염 추출물로부터 0.5micrometer 보다 적은 입자까지 제거가 가능하며, 또한 규조토 여과를 통하여 침전물 형성을 억제하고 불순물을 제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료 특유의 이치와 풀취를 제거해 줌으로써 옥수수수염차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단계 : 볶은 옥수수의 제조
제1단계와는 별도로 생옥수수를 약 220~300℃를 유지하면서 압력을 5kgf/cm2 에서 13~16kgf/cm2까지 올려 약 15~25분 동안 로스팅 및 팽화시키고, 압력을 제거하며 열을 가하지 않고 5분 정도 공회전시키는 제1과정; 및 볶은 옥수수를 30℃에서 냉각시키는 제2과정을 포함하여 볶은 옥수수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볶은 옥수수는 L 값(명도값)이 45~55일 때, 향미 및 맛이 가장 우수하며,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되는 볶은 옥수수는 옥수수수염차의 제조시에 함께 배합되며, 가장 맛과 향미를 느낄 수 있도록 로스팅되는 조건을 관능시험을 통해 확인한 것으로서, 옥수수만의 구수한 맛과 향을 이용하여 기호도가 높은 옥수수수염차를 제조할 수 있다.
제3단계 :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의 제조
일정량의 정제수에 탄산수소나트륨을 가하여 pH 중성 상태로 만든 다음 옥수수수염 농축액, 볶은 옥수수, 현미농축액 및 글리신을 추출기에 넣고 온도 93~98℃에서 분당 90~500ℓ 유속으로 스프레이볼식 추출법으로 15~40분 동안 추출하여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을 제조한다.
제4단계 :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의 효소처리
상기 제3단계에서 제조된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에 효소를 이용하여 85℃, 10분간 효소처리를 하여 전분물질을 잘게 분해시키고, 열에 의해 효소를 불활성화 시키고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을 15℃ 이하로 냉각 여과하여 효소처리 된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의 효소처리는 중성조건 및 고온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중성 pH 조건 및 고온에서 활성을 나타내는 효소를 선택하여야 한다. 또한, 옥수수는 대부분이 탄수화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분질이 가장 많이 추출되기 때문에 전분질 분해력이 우수한 효소이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효소처리 후에 100℃ 이상의 열로 효소를 불활성화 시킬 수 있다.
전분을 분해시키는 효소로는 아밀라아제가 있다. 아밀라아제에는 α-아밀리아제, β-아밀라아제, 이소아밀라아제, 글루코아밀라아제, 올리고당생성 아밀라아제 등도 포함되며, 이외에 가인산분해효소(phosphorylase) 등도 전분 분해작용을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제3단계에서 사용 되어진 효소는 전분을 완전히 분해하는 효소로서 α-아밀리아제이며, 전분 중의 알파 1,4 결합을 랜덤하게 끊어 락토스. 덱스트린 등을 생성시키며, 전분분해 한도는 글루코스 기준 최고 70%까지 분해되고, 작용 최적 pH는 4~7이다.
반면, 베타 아밀라아제는 비환원성 말단에서 1,4 결합을 끊어서 말토스로 분해하며 전분으로부터 주로 말토스를 생성한다. 그러나 전분분해 한도가 최고 30%정도에 지나지 않으며 작용 최적 pH는 5~6으로 작용 범위가 좁아 본 발명의 효소처리에 적합하지 못하다.
또한, 감마 아밀라아제는 전분 분해도는 최고 100%이지만 작용 최적 pH가 4~5이기 때문에 옥수수수염차에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며, 그 외 이소-아밀라아제, 글루코아밀라아제, 올리고당생성 아밀라아제, 가인산분해효소 등도 본 발명의 전분분해 효소로는 적합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볶은 옥수수 함유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을 α-아밀리아제 효소로 처리함으로써, 옥수수수염차 추출물 제조시에 형성되는 침전물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옥수수 전분물질을 잘게 분해해서 옥수수수염차 제조시 구수한 맛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제5단계 : 원료 혼합된 옥수수수염차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4단계에서 효소처리 된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을 원심분리 및 여과를 하고 옥수수수염차의 기능과 기호도를 높일 수 있는 통상적인 혼합물, 예를 들면 옥미수 분말, 현미향 등을 혼합하고 탄산수소나트륨을 가하여 pH 5.5~7.0으로 조정된 옥수수수염차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제5단계에서 향취선호도와 감미도를 높일 수 있도록 추출물의 pH를 5.5~7.0으로 조정한다.
제6단계 : 살균, 충진 ,밀봉 및 포장
상기 단계에서 130℃, 30초간 살균하고, 충진 ,밀봉 및 포장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옥수수수염 추출물을 규조토로 여과 처리하여 불순물, 침전물을 최대한 제거하고, 생옥수수의 로스팅 및 팽화를 통해 가장 우수한 맛과 향미를 느낄 수 있는 조건으로 로스팅 및 팽화하여 볶은 옥수수를 제조하고, 볶은 옥수수 함유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을 효소처리를 함으로써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에는 침전물이 형성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분물질을 잘게 분해해서 구수한 맛과 향미를 향상시켜 기호도가 높은 옥수수수염차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은 옥수수수염차의 제조 공정 중에 발생하는 침전물 및 불순물을 제거시키고, 맛과 향미를 증가시킬 수 있는 옥수수수염차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옥수수수염차는 옥수수수염 및 옥수수의 구수한 맛과 향미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수염 농축액의 제조시에 형성되는 침전물 및 불순물을 규조토 여과로 제거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볶은 옥수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볶은 옥수수 함유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의 효소처리 전후의 전분 분해여부를 흡광도로 측정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용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의한 옥수수수염차의 제조
제1단계 : 옥수수수염 농축액의 제조
옥수수수염 300kg을 약 3~5분간 흐르는 물에 세척한 후 135℃에서 1시간 멸균시켰다. 멸균된 옥수수수염을 다시 약 3~5분간 흐르는 물에 2차 세척 후 정제수약 25배량 정도를 가하여 98~100℃에서 추출하고, 추출액을 40℃로 냉각하여 300메쉬로 여과하였다. 규조토 85~90kg(총 여과액량 대비 1.0∼1.5%의 규조토)를 여과액에 투입 교반하여 1 시간 정도 규조토 보디피트를 진행하여 여과시켰다. 여과액에는 여과포를 통과한 미세한 작은 입자들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여과액을 1 마이크로필터로 여과한 다음 60℃이하에서 고형분이 40% 이상 되도록 감압농축 하고 농축액을 125℃에서 8초간 살균시켜 옥수수수염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제2단계 : 볶은 옥수수의 제조
제1단계와는 별도로 생옥수수 50kg을 온도 약 220~300℃에서 압력을 13~16kgf/cm2까지 올려 20분 동안 로스팅 한 후 압력을 제거하는 순간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로스팅 된 옥수수를 최적조건에 맞는 상태로 팽화시키고 105℃ 열을 가하지 않고 5분 정도 공회전 시켰다. 상기 로스팅 및 팽화된 옥수수를 30℃에서 냉각시켜 볶은 옥수수를 제조하였다.
제3단계 : 볶은 옥수수 함유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의 제조
정제수 4000 ~4500 L에 탄산수소나트륨을 가하여 pH 중성 상태로 만든 후 옥수수수염 농축액 약 60kg, 볶은 옥수수 약 400kg, 현미농축액 약 18kg 및 글리신 약 1.5kg을 추출기에 넣고 온도 95℃에서 분당 90~500L 유속으로 스프레이식 추출법으로 30분 동안 추출하여 볶은 옥수수 함유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4단계 : 볶은 옥수수 함유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의 효소처리
추출액을 조합기(6000L/용해탱크)에 넣고 알파아밀라아제 효소를 이용하여 85℃, 10분간 효소처리를 하여 전분물질을 잘게 분해시켰다. 열에 의해 효소를 불활성화 시키고 추출액을 15℃이하로 냉각 여과하여 효소처리 된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5단계 : 원료 혼합된 옥수수수염차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4단계에서 효소처리 된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을 원심분리 및 여과를 하고 옥수수수염차의 기능과 기호도를 높일 수 있는 통상적인 혼합물, 예를 들면 옥미수 분말, 현미향 등을 혼합하고 탄산수소나트륨을 가하여 pH 5.5~7.0으로 조정된 옥수수수염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6단계 : 살균, 충진 ,밀봉 및 포장
상기 제5단계에서 제조된 옥수수수염차 조성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130℃, 30초간 살균하고 충진 ,밀봉 및 포장하여 옥수수수염차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내지 6> 본 발명에 의한 옥수수수염차의 제조
제1단계, 제3단계 내지 제6단계는 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2단계는 하기 표 1의 로스팅 조건으로 하여 실시예 1의 제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볶은 옥수수를 제조하고 각각 실시예 2 내지 6으로 하였다.
Figure 112011011892614-pat00001
< 비교예 1 및 2> 볶은 옥수수의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건으로 실시예 1의 제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볶은 옥수수를 제조하여 각각 비교예 1 및 2로 하였다.
Figure 112011011892614-pat00002
< 실험예 1> 옥수수수염 농축액의 침전물 및 불순물 제거 확인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옥수수수염 추출액에서 침전물 및 불순물이 제거되었는지를 규조토 여과 전후의 여과액으로 확인하였다. 규조토 일정량을 옥수수수염 추출액과 골고루 섞은 다음 필터프레스 여과장치와 여과포를 이용하여 여과장치를 통과 시킨 후 여과 전후에 따른 침전물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규조토 량에 따른 관능 및 여과 비교 실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 관능평가 : 성인 남녀 20여명 기준 5점법으로 진행 (냄새 및 맛을 종합평가 하여 5점 : 매우 좋음, 4점 : 좋음, 3점 : 보통, 2점 : 나쁨, 1점 : 매우나쁨)
* 침전 실험 : 규조토 여과 전 옥수수수염 추출액 기준으로 하여 발생한 침전율 비교(원심분리 후 침전양 비교)
Figure 112011011892614-pat00003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옥수수수염 농축액의 제조에 있어서, 용매(정제수) 대비 규조토 1~2% 투입하여 여과함으로써 침전물 형성을 억제하고 옥수수수염 특유의 이치와 풀취를 제거하고 제품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2> 볶은 옥수수의 L 값, 향미, 맛 비교 실험
옥수수를 로스팅하여 볶은 옥수수를 제조함에 있어서, 로스팅 조건에 따른 볶은 옥수수의 향미 및 맛을 비교하기 위한 실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에 의해 제조된 볶은 옥수수와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볶은 옥수수를 색차계를 이용하여 L 값(명도값)을 측정하고 L 값의 변화에 따른 향미 및 맛을 관능 검사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 Spectrophometer(색차계)를 이용하여 L값(명도측정, 검은색 0 ↔ 흰색 100) 측정
* 관능평가(향미, 맛) : 관능평가에 적합한 성인 남녀 각각 20명 대상, Blind 테스트 5점법으로 실시
→ 향미 3.5이상, 맛 3.5이상 기준 채택
Figure 112011011892614-pat00004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볶은 옥수수의 L 값 45~55에서 향미 및 맛이 가장 우수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볶은 옥수수를 옥수수수염차에 혼합함 추출함으로써, 옥수수만의 구수한 맛과 향을 이용하여 기호도가 높은 옥수수수염차를 제조할 수 있다.
< 실험예 3> 효소처리를 통한 내전분의 응집 및 침전물 형성 억제 효과
본 발명에 의한 효소처리 된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전분질의 분해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대조군으로는 효소 처리하지 않은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전분의 구성성분인 아밀라아제는 알파-helix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iodine분가는 helix 구조의 안으로 들어가 진한 보라색을 띠게 되며 이 색상을 요오드반응(iodine reaction)법을 이용한 분광분석기로 측정하였다. 전분 분해가 많이 이루어 졌으면 helix구조가 줄어들어 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 OD값을 측정 하였을 경우 값이 낮아진다.
본 발명과 대조군의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에 전분분해 효소를 투입하고, 85℃에서 0.5, 1, 2, 3, 5, 10, 15분 반응시킨 다음 Iodine 용액을 넣고 반응시간을 두고 형광분석장치를 이용하여 660nm에서 OD값 측정하고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효소 무첨가구(대조구)의 경우 전분이 분해되지 않으므로 OD값 크고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나, 본 발명에 의한 효소 처리군의 의 경우에는 효소에 의해 전분이 분해되어 OD값이 줄어들었으며, 초기 반응에서 전분이 모두 분해되어 OD값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을 효소처리를 함으로써 침전물이 형성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분물질을 잘게 분해해서 구수한 맛 유지할 수 있어 기호도가 높은 옥수수수염차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3)

  1.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 공지의 방법에 의해 세척 및 살균 처리된 옥수수수염을 정제수로 추출한 다음 규조토을 이용하여 옥수수수염 추출물을 여과시킨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옥수수수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 별도로 생옥수수를 로스팅 및 팽화시켜 볶은 옥수수를 제조하는 단계 ;
    ⒞ 정제수에 탄산수소나트륨을 가하여 pH 중성 상태로 만든 후, ⒜ 단계에서 제조된 옥수수수염 농축액, ⒝ 단계에서 제조된 볶은 옥수수와 현미 농축액, 글리신을 함께 추출기에 넣고 93~98℃에서 유속 500ℓ/min으로 15~40분 동안 스프레이볼식 추출법으로 추출하여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 상기 ⒞ 단계에서 제조된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에α-아밀리아제 효소를 투입하여 85℃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15℃ 이하로 냉각 및 여과하여 효소처리 된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 상기 ⒟ 단계에서 제조된 옥수수수염차 추출물을 원심분리 및 여과를 하고 옥미수 분말, 현미향을 혼합한 후 탄산수소나트륨을 가하여 pH 5.5~7.0으로 조정된 옥수수수염차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 상기 옥수수수염차 조성물을 130℃, 30초간 살균하고, 충진 ,밀봉 및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 단계에서 규조토를 옥수수수염 추출액량 대비 1.0∼1.5%(v/v%)으로 투입하여 여과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 단계에서 볶은 옥수수는 온도 220~300℃에서 압력을 5kgf/cm2 에서 13~16kgf/cm2까지 올리면서 15분~25분까지 2차 로스팅 하고, 압력 제거하여 팽화시킨 다음, 열을 가하지 않고 공회전 한 다음 냉각시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
KR1020110014671A 2011-02-18 2011-02-18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 KR101261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671A KR101261115B1 (ko) 2011-02-18 2011-02-18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671A KR101261115B1 (ko) 2011-02-18 2011-02-18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168A KR20120095168A (ko) 2012-08-28
KR101261115B1 true KR101261115B1 (ko) 2013-05-06

Family

ID=46885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671A KR101261115B1 (ko) 2011-02-18 2011-02-18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1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78832A (zh) * 2013-09-10 2014-01-01 铜陵市天屏山调味品厂 一种降血压山楂一把伞露
KR102048845B1 (ko) * 2017-11-07 2019-11-27 대한민국 항산화능이 증진된 옥수수차의 제조방법
KR102074390B1 (ko) * 2019-10-22 2020-02-07 주식회사 성진바이오 환형의 차 제조방법 및 환형의 차
KR102074392B1 (ko) * 2019-10-22 2020-02-07 주식회사 성진바이오 환형의 차 제조방법 및 환형의 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695B1 (ko) 2005-03-30 2005-05-03 (주)엔돌핀에프앤비 옥수수 수염 추출액을 함유한 음료의 제조방법
KR100733142B1 (ko) 2006-12-12 2007-06-28 녹차원(주)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옥수수 수염차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695B1 (ko) 2005-03-30 2005-05-03 (주)엔돌핀에프앤비 옥수수 수염 추출액을 함유한 음료의 제조방법
KR100733142B1 (ko) 2006-12-12 2007-06-28 녹차원(주)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옥수수 수염차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168A (ko) 201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1235B2 (ja) 穀物含有飲食品用呈味改善剤
KR101261115B1 (ko) 옥수수수염차의 제조방법
TWI510193B (zh) 茶類萃取物之製造方法
TW201325467A (zh) 非發酵啤酒風味飲料及其製造方法
JP5981234B2 (ja) 茶含有飲食品用呈味改善剤
JP5161725B2 (ja) ホップ苞ポリフェノール入り飲料
CN106939273A (zh) 一种有效改善黑果腺肋花楸发酵果酒苦涩味的生产工艺
JP2013252112A (ja) コーヒー含有飲食品用呈味改善剤
KR101320082B1 (ko) 감미질 개선을 위한 천연유래 감미료 및 이를 이용한 주류의 제조법
KR20120001893U (ko) 커피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407732A (zh) 茶类提取物的制造方法
CN106866604A (zh) 一种马铃薯花青素的提取方法
JP5636026B2 (ja) トウモロコシの毛茶の製造方法
CN105524784B (zh) 一种提高格瓦斯饮料风味稳定性的方法
JP6775489B2 (ja) 非発酵ビールテイスト飲料
CN103564097B (zh) 玉米须茶的制造方法
JP4986375B2 (ja) 容器詰め茶飲料の透過率の変化抑制方法
EP2754352B1 (en) Enzyme-treated tea extract, and tea beverage
JP2014028773A (ja) マルトオリゴ糖組成物
TWI406634B (zh) 茶類萃取物
JP6453418B2 (ja) 嗜好飲料原料エキスの製造方法
KR101986825B1 (ko) 저감미 맥아엑기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풍미가 향상된 무알코올 맥주맛 음료
CN107801779A (zh) 一种海红果ad钙奶饮料的生产方法
KR20120090903A (ko) 커피양갱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044474A1 (ja) 脱色された茶抽出液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