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022B1 - 무정전 전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정전 전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022B1
KR101258022B1 KR1020117021922A KR20117021922A KR101258022B1 KR 101258022 B1 KR101258022 B1 KR 101258022B1 KR 1020117021922 A KR1020117021922 A KR 1020117021922A KR 20117021922 A KR20117021922 A KR 20117021922A KR 101258022 B1 KR101258022 B1 KR 101258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uninterruptible power
units
swit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8824A (ko
Inventor
에드와르도 카즈히데 사토
마사히로 기노시타
유신 야마모토
다츠아키 암보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8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1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an auxiliary transmission l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12Energy storage unit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e.g. in the last power distribution st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8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정전 전원 시스템에서는, 3대의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의 제어부(11)를 통신 케이블(C1, C2)에 의해 접속하여 하나의 종합 제어부(13)를 구성한다. 이 종합 제어부(13)는, 임의의 하나인 조작부(10)에 의해 바이어스 급전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3개의 스위치(S1)를 도통시키고, 인버터 급전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3개의 스위치(S2)를 도통시킨다. 따라서 전(全)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를 조작 및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 및 제어부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무정전 전원 시스템{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무정전 전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병렬 접속된 복수의 무정전 전원 장치를 구비한 무정전 전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컴퓨터 시스템 등의 중요 부하에 교류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장치로서, 무정전 전원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무정전 전원 장치는, 통상 동작시는, 상용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그 직류 전력을 배터리에 공급함과 함께, 그 직류 전력을 상용 주파수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하고, 정전시는, 배터리의 직류 전력을 상용 주파수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한다. 따라서 정전시라도, 부하에 상용 주파수의 교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병렬 접속된 복수의 무정전 전원 장치를 구비한 무정전 전원 시스템도 있다. 이 무정전 전원 시스템에서는, 1대의 무정전 전원 장치가 고장이 나도 나머지 무정전 전원 장치에 의해 부하를 구동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8-182806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무정전 전원 시스템에서는, 각 무정전 전원 장치에 해당 무정전 전원 장치를 조작 및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 및 제어부를 마련함과 함께, 전체 무정전 전원 장치를 조작 및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 및 제어부를 별도로 마련하고 있었기 때문에, 시스템이 대형화되고, 고비용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소형이며 저비용의 무정전 전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무정전 전원 시스템은, 병렬 접속된 N대(N은 2 이상의 정수이다)의 무정전 전원 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각 무정전 전원 장치는, 각각이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의 제 1의 교류 전력을 받는 제 1 및 제 2의 입력 단자와, 부하에 접속되는 출력 단자와, 제 1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제 1의 스위치와, 제 2의 입력 단자를 통하여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제 1의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력을 제 2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제 1의 교류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경우는 컨버터로부터 전력 저장 장치에 직류 전력을 공급하고, 제 1의 교류 전력의 공급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는 전력 저장 장치로부터 인버터에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초퍼와, 인버터의 출력 노드와 출력 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제 2의 스위치와, 제 1의 교류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는 제 1의 급전 모드와, 제 2의 교류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는 제 2의 급전 모드중의 어느 하나의 급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와, 조작부의 선택 결과에 의거하여 제 1 및 제 2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N대의 무정전 전원 장치의 N개의 제어부는, 통신 회선을 통하여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종합 제어부를 구성한다. 종합 제어부는, N대의 무정전 전원 장치의 N개의 조작부 중의 어느 하나의 조작부에 의해 제 1의 급전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N대의 무정전 전원 장치의 N개의 제 1의 스위치를 도통시키고, N개의 조작부 중의 어느 하나의 조작부에 의해 제 2의 급전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N대의 무정전 전원 장치의 N개의 제 2의 스위치를 도통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종합 제어부는, 제 1의 급전 모드로부터 제 2의 급전 모드로의 전환시는, N조의 제 1 및 제 2의 스위치의 양쪽을 미리 정하여진 시간만큼 도통시킨 후에 N개의 제 1의 스위치를 비도통으로 하고, 제 2의 급전 모드로부터 제 1의 급전 모드로의 전환시는, N조의 제 1 및 제 2의 스위치의 양쪽을 미리 정하여진 시간만큼 도통시킨 후에 N개의 제 2의 스위치를 비도통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통신 회선은, 각각 N개의 제어부의 (N-1)개의 사이에 마련된 (N-1)조의 M개(M은 자연수이다)의 통신 케이블을 포함하고, 각 2개의 제어부는, M개의 통신 케이블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통신 회선은, N개의 제어부를 루프형상으로 접속하는 N조의 M개(M은 자연수이다)의 통신 케이블을 포함하고, 각 2개의 제어부는, M개의 통신 케이블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무정전 전원 시스템에서는, N대의 무정전 전원 장치의 N개의 제어부는 통신 회선을 통하여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종합 제어부를 구성한다. 이 종합 제어부는, N대의 무정전 전원 장치의 N개의 조작부 중의 어느 하나의 조작부에 의해 제 1의 급전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N대의 무정전 전원 장치의 N개의 제 1의 스위치를 도통시키고, 제 2의 급전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N대의 무정전 전원 장치의 N개의 제 2의 스위치를 도통시킨다. 따라서 전 무정전 전원 장치를 조작 및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 및 제어부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스템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의한 무정전 전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무정전 전원 시스템의 제어에 관련되는 부분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조작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무정전 전원 시스템의 바이패스 급전 모드를 도시하는 회로 블록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무정전 전원 시스템의 급전 모드의 전환 기간의 상태를 도시하는 회로 블록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무정전 전원 시스템의 인버터 급전 모드를 도시하는 회로 블록도.
도 7은 실시의 형태의 변경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실시의 형태의 다른 변경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9는 실시의 형태의 또다른 변경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무정전 전원 시스템은, 입력 단자(T1, T2), 브레이커(B1 내지 B14), N대(도면에서는 3대)의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 및 N개(도면에서는 3개)의 배터리(BA1 내지 BA3)를 구비한다. 단,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입력 단자(T1, T2)의 각각은, 상용 교류 전원(1)으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받는다.
브레이커(B1, B3, B5)의 일방단자는 모두 입력 단자(T1)에 접속되고, 그들의 다른측 단자는 각각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의 입력 단자(T4)에 접속된다. 브레이커(B2, B4, B6)의 일방단자는 모두 입력 단자(T2)에 접속되고, 그들의 다른측 단자는 각각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의 입력 단자(T5)에 접속된다.
브레이커(B7 내지 B9)의 일방단자는 각각 배터리(BA1 내지 BA3)의 정전극에 접속되고, 그들의 다른측 단자는 각각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의 배터리 단자(T6)에 접속된다. 브레이커(B10 내지 B12)의 일방단자는 각각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의 출력 단자(T7)에 접속되고, 그들의 다른측 단자는 브레이커(B13)의 일방단자에 공통 접속된다. 브레이커(B13)의 다른측은, 출력 단자(T3)에 접속된다. 브레이커(B14)는, 입력 단자(T1)와 출력 단자(T3)의 사이에 접속된다. 출력 단자(T3)에는, 부하(2)가 접속된다.
무정전 전원 시스템의 통상 운전시는, 브레이커(B1 내지 B13)가 온 됨과 함께 브레이커(B14)가 오프 되고,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로부터 부하(2)에 상용 주파수의 교류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이 무정전 전원 시스템에서는, (N-1)대의 무정전 전원 장치로 부하(2)를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서는, 3대의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중의 1대의 무정전 전원 장치(예를 들면 U1)가 고장 나도 2대의 무정전 전원 장치(이 경우는 U2, U3)로 부하(2)를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장난 무정전 전원 장치(U1)를 유지 보수하는 경우는, 브레이커(B1, B2, B7, B10)를 오프 함에 의해, 2대의 무정전 전원 장치(U2, U3)으로부터 부하(2)에 상용 주파수의 교류 전력을 공급하면서, 무정전 전원 장치(U1)를 떼어내서 유지 보수할 수 있다.
또한, 무정전 전원 시스템 전체의 유지 보수시에는, 브레이커(B1 내지 B13)를 오프 함과 함께 브레이커(B14)를 온 함에 의해, 상용 교류 전원(1)으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브레이커(B14)를 통하여 부하(2)에 공급하면서,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를 떼어내서 유지 보수할 수 있다.
무정전 전원 장치(U1)는, 상기 입력 단자(T4, T5), 배터리 단자(T6), 및 출력 단자(T7)외, 컨버터(3), 인버터(4), 초퍼(5), STS(6), 및 전자 스위치(S1, S2)를 포함한다. 컨버터(3)는, 상용 교류 전원(1)으로부터 입력 단자(T5)를 통하여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컨버터(3)에서 생성된 직류 전력은, 인버터(4) 및 초퍼(5)에 공급된다.
인버터(4)는, 직류 전력을 상용 주파수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초퍼(5)는, 통상 동작시는, 컨버터(3)에서 생성된 직류 전력을 배터리 단자(T6) 및 브레이커(B7)를 통하여 배터리(BA1)의 정전극에 공급하고, 상용 교류 전원(1)의 정전시는, 배터리(BA1)의 직류 전력을 인버터(4)에 공급한다. 스위치(S2)의 일방단자는 인버터(4)의 출력 전력을 받고, 그 다른측 단자는 출력 단자(T7)에 접속된다. STS(6)는 입력 단자(T4)와 출력 단자(T7)의 사이에 접속되고, 스위치(S1)는 STS(6)에 병렬 접속된다.
무정전 전원 장치(U1)는, 상용 교류 전원(1)으로부터 입력 단자(T4)를 통하여 공급된 교류 전력을 스위치(S1)를 통하여 출력 단자(T7)에 출력하는 바이패스 급전 모드와, 인버터(4)에서 생성된 교류 전력을 스위치(S2)를 이용하여 출력 단자(T7)에 출력하는 인버터 급전 모드를 갖는다. 바이패스 급전 모드에서는 스위치(S1)가 온 되고, 인버터 급전 모드에서는 스위치(S2)가 온 되고, 바이패스 급전 모드와 인버터 급전 모드의 전환 기간에서는 스위치(S1, S2)의 양쪽이 온 된다. STS(6)는, 인버터 급전 모드로의 급전중에 인버터(4)가 고장난 경우에 온 하여, 상용 교류 전원(1)으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출력 단자(T7)에 순식간에 준다. 무정전 전원 장치(U2, U3)도, 무정전 전원 장치(U1)와 같은 구성이다.
도 2는, 무정전 전원 시스템의 제어에 관련되는 부분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의 각각은, 조작부(10), 제어부(11), 전원 회로부(12), 입력 단자(T4, T5), 배터리 단자(T6), 출력 단자(T7), 및 통신 단자(T8, T9)를 포함한다. 전원 회로부(12)는, 도 1에서 도시한 컨버터(3), 인버터(4), 초퍼(5), STS(6), 및 스위치(S1, S2)를 포함하고, 단자(T4 내지 T7)에 접속되어 있다.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의 조작부(10)는, 각각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의 조작부(10)의 각각은, 무정전 전원 시스템 전체를 조작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조작부(1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로 구성된다. 조작부(10)의 화면에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이패스 급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10a)과, 인버터 급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10b)이 표시된다. 또한, 같은 화면에는, 무정전 전원 시스템의 현재의 상태(급전 모드의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와, 급전 모드의 전환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문자도 표시된다.
바이패스 급전 모드시에 있어서, 전환 가능시에 아이콘(10b)에 터치하면, 바이패스 급전 모드로부터 인버터 급전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인버터 급전 모드 지령 신호가 조작부(10)로부터 제어부(11)에 출력된다. 또한, 인버터 급전 모드시에 있어서, 전환 가능시에 아이콘(10a)에 터치하면, 인버터 급전 모드로부터 바이패스 급전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바이패스 급전 모드 지령 신호가 조작부(10)로부터 제어부(11)에 출력된다.
또한, 같은 화면에는, 다른 페이지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도시 생략)도 표시된다. 다른 페이지에는,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무정전 전원 장치의 상태(운전중인지의 여부,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 등이 표시된다. 또한, 또다른 페이지에는, 대응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만을 조작하기 위한 아이콘도 표시된다.
도 2로 되돌아와, 각 제어부(11)는, 대응하는 조작부(1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대응하는 전원 회로부(12), 즉 컨버터(3), 인버터(4), 초퍼(5), STS(6), 및 스위치(S1, S2)를 제어한다. 또한, 각 제어부(11)는, 통신 단자(T8, T9)에 접속된다. 무정전 전원 장치(U1)의 통신 단자(T9)와 무정전 전원 장치(U2)의 통신 단자(T8)는 통신 케이블(C1)에 의해 접속되고, 무정전 전원 장치(U2)의 통신 단자(T9)와 무정전 전원 장치(U3)의 통신 단자(T8)는 통신 케이블(C2)에 의해 접속되고,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의 제어부(11)는 하나의 종합 제어부(13)를 구성하고 있다.
종합 제어부(13)는, 3개의 조작부(10)중 임의의 하나인 조작부(10)로부터 바이패스 급전 모드 지령 신호가 주어진 경우는, 3개의 전원 회로부(12)를 제어하여 바이패스 급전 모드를 실행한다. 또한, 종합 제어부(13)는, 3개의 조작부(10)중의 임의의 하나의 조작부(10)로부터 인버터 급전 모드 지령 신호가 주어진 경우는, 3개의 전원 회로부(12)를 제어하여 인버터 급전 모드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무정전 전원 장치(U1)의 조작부(10)로부터 출력된 바이패스 급전 모드 지령 신호 또는 인버터 급전 모드 지령 신호는, 무정전 전원 장치(U1)의 제어부(11)에 주어짐과 함께, 통신 케이블(C1, C2)을 통하여 무정전 전원 장치(U2, U3)의 제어부(11)에 주어진다. 각 제어부(11)는, 바이패스 급전 모드 지령 신호 또는 인버터 급전 모드 지령 신호에 응하여, 대응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의 스위치(S1, S2)를 제어한다.
또한, 무정전 전원 장치(U2)의 조작부(10)로부터 출력된 바이패스 급전 모드 지령 신호 또는 인버터 급전 모드 지령 신호는, 무정전 전원 장치(U2)의 제어부(11)에 주어짐과 함께, 통신 케이블(C1, C2)을 통하여 무정전 전원 장치(U1, U3)의 제어부(11)에 주어진다. 각 제어부(11)는, 바이패스 급전 모드 지령 신호 또는 인버터 급전 모드 지령 신호에 응하여, 대응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의 스위치(S1, S2)를 제어한다.
또한, 무정전 전원 장치(U3)의 조작부(10)로부터 출력된 바이패스 급전 모드 지령 신호 또는 인버터 급전 모드 지령 신호는, 무정전 전원 장치(U3)의 제어부(11)에 주어짐과 함께, 통신 케이블(C1, C2)을 통하여 무정전 전원 장치(U1, U2)의 제어부(11)에 주어진다. 각 제어부(11)는, 바이패스 급전 모드 지령 신호 또는 인버터 급전 모드 지령 신호에 응하여, 대응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의 스위치(S1, S2)를 제어한다.
도 4는, 바이패스 급전 모드에서의 전류 경로를 도시하는 회로 블록도이다. 도 4에서, 바이패스 급전 모드에서는, 브레이커(B1 내지 B13)가 온 되고, 브레이커(B14)가 오프 되고, 스위치(S1)가 온 되고, 스위치(S2)가 오프 된다. 상용 교류 전원(1)으로부터 입력 단자(T1), 브레이커(B1, B3, B5), 입력 단자(T4), 스위치(S1), 출력 단자(T7), 브레이커(B10 내지 B13), 및 출력 단자(T3)를 통하여 부하(2)에 교류 전류가 공급된다. 또한, 상용 교류 전원(1)으로부터 입력 단자(T2), 브레이커(B2, B4, B6), 및 입력 단자(T5)를 통하여 컨버터(3)에 교류 전력이 공급되고, 컨버터(3)로부터 인버터(4)에 직류 전력이 공급되고, 인버터(4)는 상용 주파수의 교류 전력을 생성하고 있다.
또한, 바이패스 급전 모드에서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10)의 화면에 「바이패스 급전」의 아이콘(10a)과 「인버터 급전」의 아이콘(10b)이 표시되어 있다. 3개의 조작부(10)중 임의의 하나인 조작부(10)의 「인버터 급전」의 아이콘(10b)에 터치하면, 조작부(10)로부터 종합 제어부(13)에 인버터 급전 모드 지령 신호가 주어진다.
종합 제어부(13)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버터 급전 모드 지령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 시간만큼 스위치(S1, S2)의 양쪽을 온 시킨다. 스위치(S1, S2)의 양쪽이 온 하고 있는 기간은, 상용 교류 전원(1)으로부터의 교류 전력과 인버터(4)에서 생성된 교류 전력의 양쪽이 부하(2)에 공급된다. 다음에, 종합 제어부(13)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S1)를 오프 시킨다. 이에 의해, 인버터(4)로부터의 교류 전력이 스위치(S2), 브레이커(B10 내지 B13), 및 출력 단자(T3)를 통하여 부하(2)에 공급되고, 상용 교류 전원(1)으로부터 입력 단자(T1), 브레이커(B1, B3, B5) 및 입력 단자(T4)를 통하여 공급되는 교류 전력은 스위치(S1)에서 차단된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인버터 급전 모드로부터 바이패스 급전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는, 임의의 하나인 조작부(10)에서 현재의 상태가 「인버터 급전」이고, 전환이 「가능」한 것을 확인한 다음, 「바이패스 급전 모드」의 아이콘(10a)에 터치한다. 이에 의해, 그 조작부(10)로부터 종합 제어부(13)에 바이패스 급전 모드 지령 신호가 주어진다.
종합 제어부(13)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이패스 급전 모드 지령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 시간만큼 스위치(S1, S2)의 양쪽을 온 시킨다. 스위치(S1, S2)의 양쪽이 온 하고 있는 기간은, 상용 교류 전원(1)으로부터의 교류 전력과 인버터(4)로부터의 교류 전력과의 양쪽이 부하(2)에 공급된다. 다음에, 종합 제어부(13)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S2)를 오프 시킨다. 이에 의해, 인버터(4)로부터의 교류 전력은 스위치(S2)에서 차단되고, 상용 교류 전원(1)으로부터 입력 단자(T1), 브레이커(B1, B3, B5), 입력 단자(T4), 스위치(S1), 브레이커(B10 내지 B13), 및 출력 단자(T3)를 통하여 교류 전력이 부하(2)에 공급된다.
또한, 바이패스 급전 모드로부터 인버터 급전 모드로의 전환은 무정전 전원 시스템의 시작시에 행하여지고, 인버터 급전 모드로부터 바이패스 급전 모드로의 전환은 무정전 전원 시스템이 종료시에 행하여진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3대의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의 제어부(11)는 통신 케이블(C1, C2)을 통하여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종합 제어부(13)를 구성한다. 이 종합 제어부(13)는, 임의의 하나인 조작부(10)에 의해 바이패스 급전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3개의 스위치(S1)를 도통시키고, 인버터 급전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3개의 스위치(S2)를 도통시킨다. 따라서 전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를 조작 및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 및 제어부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스템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의 형태의 변경예를 도시하는 블록도로서, 도 2와 대비되는 도면이다. 이 변경예에서는, 무정전 전원 장치(U1)의 통신 단자(T9)와 무정전 전원 장치(U2)의 통신 단자(T8)가 통신 케이블(C1)로 접속되고, 무정전 전원 장치(U2)의 통신 단자(T9)와 무정전 전원 장치(U3)의 통신 단자(T8)가 통신 케이블(C2)로 접속되고, 무정전 전원 장치(U3)의 통신 단자(T9)와 무정전 전원 장치(U1)의 통신 단자(T8)가 통신 케이블(C3)로 접속된다. 3개의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의 3개의 제어부(11)는, 3개의 케이블(C1 내지 C3)로 루프형상으로 접속되어 하나의 종합 제어부(13)를 구성한다. 이 변경예로도, 실시의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8은, 실시의 형태의 다른 변경예를 도시하는 블록도로서, 도 2와 대비되는 도면이다. 이 변경예에서는,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의 각각은, 4개의 통신 단자(T8a, T8b, T9a, T9b)를 포함하고, 각 제어부(11)는 대응하는 4개의 통신 단자(T8a, T8b, T9a, T9b)에 접속되어 있다. 무정전 전원 장치(U1)의 통신 단자(T9a, T9b)와 무정전 전원 장치(U2)의 통신 단자(T8a, T8b)가 통신 케이블(C1a, C1b)로 접속되고, 무정전 전원 장치(U2)의 통신 단자(T9a, T9b)와 무정전 전원 장치(U3)의 통신 단자(T8a, T8b)가 통신 케이블(C2a, C2b)로 접속된다. 3개의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의 3개의 제어부(11)는, 2조의 2개의 케이블(C1a, C1b ; C2a, C2b)로 접속되어 하나의 종합 제어부(13)를 구성한다. 이 변경예로도, 실시의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3개의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의 3개의 제어부(11)를, 2조의 3개 이상의 케이블로 접속하여도 좋다.
도 9는, 실시의 형태의 또다른 변경예를 도시하는 블록도로서, 도 8과 대비되는 도면이다. 이 변경예에서는, 3개의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의 3개의 제어부(11)는, 3조의 2개의 케이블(C1a, C1b ; C2a, C2b ; C3a, C3b)로 루프형상으로 접속되어 하나의 종합 제어부(13)를 구성한다. 이 변경예로도, 실시의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3개의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의 3개의 제어부(11)를, 3조의 3개 이상의 케이블로 루프형상으로 접속하여도 좋다.
금회 개시된 실시의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 상용 교류 전원
2 : 부하
3 : 컨버터
4 : 인버터
5 : 초퍼
6 : STS(Static Transfer Switch)
10 : 조작부
10a, 10b : 아이콘
11 : 제어부
12 : 전원 회로부
13 : 종합 제어부
T : 단자
B : 브레이커
U : 무정전 전원 장치
BA : 배터리
S : 스위치
C : 통신 케이블

Claims (4)

  1. 병렬 접속된 N대(N은 2 이상의 정수이다)의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를 구비한 무정전 전원 시스템으로서,
    각 무정전 전원 장치는,
    각각이 상용 교류 전원(1)으로부터의 제 1의 교류 전력을 받는 제 1 및 제 2의 입력 단자(T4, T5)와,
    부하(2)에 접속되는 출력 단자(T7)와,
    상기 제 1의 입력 단자(T4)와 상기 출력 단자(T7)의 사이에 접속된 제 1의 스위치(S1)와,
    상기 제 2의 입력 단자(T5)를 통하여 상기 상용 교류 전원(1)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 1의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3)와,
    상기 직류 전력을 제 2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4)와,
    상기 제 1의 교류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경우는 상기 컨버터(3)로부터 전력 저장 장치(BA)에 직류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 1의 교류 전력의 공급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전력 저장 장치(BA)로부터 상기 인버터(4)에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초퍼(5)와,
    상기 인버터(4)의 출력 노드와 상기 출력 단자(T7)의 사이에 접속된 제 2의 스위치(S2)와,
    상기 제 1의 교류 전력을 상기 부하(2)에 공급하는 제 1의 급전 모드와, 상기 제 2의 교류 전력을 상기 부하(2)에 공급하는 제 2의 급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급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10)와,
    상기 조작부(10)의 선택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치(S1, S2)를 제어하는 제어부(11)를 포함하고,
    상기 N대의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의 N개의 상기 제어부(11)는, 통신 회선(C1, C2)을 통하여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종합 제어부(13)를 구성하고,
    상기 종합 제어부(13)는,
    상기 N대의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의 N개의 상기 조작부(10)중 어느 하나인 상기 조작부(10)에 의해 상기 제 1의 급전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상기 N대의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의 N개의 상기 제 1의 스위치(S1)를 도통시키고, N개의 상기 조작부(10)중 어느 하나인 상기 조작부(10)에 의해 상기 제 2의 급전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상기 N대의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의 N개의 상기 제 2의 스위치(S2)를 도통시키며,
    상기 제 1의 급전 모드로부터 상기 제 2의 급전 모드로의 전환시는, N조의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치(S1, S2)의 양쪽을 미리 정하여진 시간만큼 도통시킨 후에 N개의 상기 제 1의 스위치(S1)를 비도통으로 하고, 상기 제 2의 급전 모드로부터 상기 제 1의 급전 모드로의 전환시는, N조의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치(S1, S2)의 양쪽을 미리 정하여진 시간만큼 도통시킨 후에 N개의 상기 제 2의 스위치(S2)를 비도통으로 하고,
    상기 통신 회선은, 각각 상기 N개의 상기 제어부(11)의 (N-1)개의 사이에 마련된 (N-1)조의 M개(M은 자연수이다)의 통신 케이블(C1, C2)을 포함하고,
    각 2개의 상기 제어부는, M개의 통신 케이블(C1 또는 C2)로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시스템.
  2. 삭제
  3. 병렬 접속된 N대(N은 2 이상의 정수이다)의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를 구비한 무정전 전원 시스템으로서,
    각 무정전 전원 장치는,
    각각이 상용 교류 전원(1)으로부터의 제 1의 교류 전력을 받는 제 1 및 제 2의 입력 단자(T4, T5)와,
    부하(2)에 접속되는 출력 단자(T7)와,
    상기 제 1의 입력 단자(T4)와 상기 출력 단자(T7)의 사이에 접속된 제 1의 스위치(S1)와,
    상기 제 2의 입력 단자(T5)를 통하여 상기 상용 교류 전원(1)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 1의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3)와,
    상기 직류 전력을 제 2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4)와,
    상기 제 1의 교류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경우는 상기 컨버터(3)로부터 전력 저장 장치(BA)에 직류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 1의 교류 전력의 공급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전력 저장 장치(BA)로부터 상기 인버터(4)에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초퍼(5)와,
    상기 인버터(4)의 출력 노드와 상기 출력 단자(T7)의 사이에 접속된 제 2의 스위치(S2)와,
    상기 제 1의 교류 전력을 상기 부하(2)에 공급하는 제 1의 급전 모드와, 상기 제 2의 교류 전력을 상기 부하(2)에 공급하는 제 2의 급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급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10)와,
    상기 조작부(10)의 선택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치(S1, S2)를 제어하는 제어부(11)를 포함하고,
    상기 N대의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의 N개의 상기 제어부(11)는, 통신 회선(C1, C2)을 통하여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종합 제어부(13)를 구성하고,
    상기 종합 제어부(13)는,
    상기 N대의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의 N개의 상기 조작부(10)중 어느 하나인 상기 조작부(10)에 의해 상기 제 1의 급전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상기 N대의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의 N개의 상기 제 1의 스위치(S1)를 도통시키고, N개의 상기 조작부(10)중 어느 하나인 상기 조작부(10)에 의해 상기 제 2의 급전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상기 N대의 무정전 전원 장치(U1 내지 U3)의 N개의 상기 제 2의 스위치(S2)를 도통시키며,
    상기 제 1의 급전 모드로부터 상기 제 2의 급전 모드로의 전환시는, N조의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치(S1, S2)의 양쪽을 미리 정하여진 시간만큼 도통시킨 후에 N개의 상기 제 1의 스위치(S1)를 비도통으로 하고, 상기 제 2의 급전 모드로부터 상기 제 1의 급전 모드로의 전환시는, N조의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치(S1, S2)의 양쪽을 미리 정하여진 시간만큼 도통시킨 후에 N개의 상기 제 2의 스위치(S2)를 비도통으로 하고,
    상기 통신 회선은, 상기 N개의 상기 제어부(11)를 루프형상으로 접속하는 N조의 M개(M은 자연수이다)의 통신 케이블(C1 내지 C3)을 포함하고,
    각 2개의 상기 제어부는, M개의 통신 케이블(C1, C2 또는 C3)로 서로 접속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시스템.
  4. 삭제
KR1020117021922A 2009-04-17 2009-04-17 무정전 전원 시스템 KR1012580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7752 WO2010119564A1 (ja) 2009-04-17 2009-04-17 無停電電源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824A KR20110118824A (ko) 2011-11-01
KR101258022B1 true KR101258022B1 (ko) 2013-04-25

Family

ID=42982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922A KR101258022B1 (ko) 2009-04-17 2009-04-17 무정전 전원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013063B2 (ko)
EP (1) EP2421118B1 (ko)
JP (1) JP5461529B2 (ko)
KR (1) KR101258022B1 (ko)
CN (1) CN102396130B (ko)
CA (1) CA2761022C (ko)
ES (1) ES2651273T3 (ko)
MX (1) MX2011009260A (ko)
WO (1) WO20101195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8630B2 (en) 2009-03-18 2017-01-17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s Corporation Compact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pparatus with cooling units
CN102549879B (zh) 2009-09-25 2014-09-03 东芝三菱电机产业系统株式会社 不间断供电电源装置
WO2011039865A1 (ja) 2009-09-30 2011-04-07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電力変換システム
US8373949B2 (en) * 2010-06-16 2013-02-12 Transocean Sedco Forex Ventures Limited Hybrid power plant for improved efficiency and dynamic performance
CN103620912A (zh) * 2011-06-09 2014-03-05 东芝三菱电机产业系统株式会社 不间断电源系统
US9172271B2 (en) * 2011-09-19 2015-10-27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Parallel control and protection for UPS
US9425650B2 (en) * 2012-01-31 2016-08-23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 of multimode UPS
US10193358B2 (en) * 2012-04-23 2019-01-29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Deep-charging power resources of power resource group having identifier corresponding to range within which modulo falls based on charging time
EP2843799B1 (en) * 2012-04-27 2017-12-2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Wiring switching system
US10263459B2 (en) 2012-07-25 2019-04-16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s Corporation Power supply system
US9806560B2 (en) * 2012-10-04 2017-10-31 Eaton Corporation UPS with multiple independent static switches
US9337690B2 (en) * 2012-10-26 2016-05-10 Eaton Corporation UPS systems and methods using mode-dependent grounding
WO2015009741A1 (en) * 2013-07-18 2015-01-22 Ainet Registry Llc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power distribution and backup
US20150200566A1 (en) * 2014-01-10 2015-07-16 Zippy Technology Corp. Redundant power supply system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US9735616B2 (en) * 2014-03-13 2017-08-15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creased fault current capability i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s
JP6092800B2 (ja) * 2014-03-19 2017-03-08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無停電電源システム
US10381829B2 (en) * 2014-05-08 2019-08-13 Astronics Advanced Electronic Systems Corp. Direct current power distribution and fault protection
JP6190059B2 (ja) * 2014-06-26 2017-08-30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無停電電源装置
KR20160004764A (ko) 2014-07-04 2016-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장 허용 제어 시스템
CN107112794B (zh) * 2014-12-25 2020-12-22 东芝三菱电机产业系统株式会社 不间断电源系统
CN105991080B (zh) * 2015-02-26 2021-09-10 伊顿智能动力有限公司 一种用于电机和供电网的连接装置
KR101739181B1 (ko) * 2015-04-27 2017-05-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106160176A (zh) * 2015-04-28 2016-11-23 台达电子企业管理(上海)有限公司 配电系统和电气系统
WO2016194126A1 (ja) * 2015-06-02 2016-12-08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無停電電源装置
GB2544510A (en) * 2015-11-19 2017-05-24 Ge Oil & Gas Uk Ltd Conditioning electrical power
FR3045973B1 (fr) * 2015-12-17 2019-05-24 Socomec Dispositif de distribution redondante d'alimentation sans interruption et procede de commande associe
KR101730825B1 (ko) * 2016-02-03 2017-04-27 조기하 듀얼 라인 유피에스 시스템
JP6585833B2 (ja) * 2016-04-27 2019-10-02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無停電電源装置
CN106100118B (zh) * 2016-06-17 2019-08-20 国网浙江省电力公司绍兴供电公司 基于变电站数据通信网关机的主子站远方程序化控制方法
CN105958650A (zh) * 2016-06-17 2016-09-21 国网浙江省电力公司绍兴供电公司 基于电力通讯规约扩展的主子站远方程序化控制方法
CN106059073A (zh) * 2016-06-17 2016-10-26 国网浙江省电力公司绍兴供电公司 一种基于主子站协同防误的程序化控制方法
KR102342101B1 (ko) 2017-06-28 2021-12-22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무정전 전원 시스템
WO2020055136A1 (ko) * 2018-09-13 2020-03-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원 공급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515332B1 (ko) * 2018-09-13 2023-03-29 엘에스일렉트릭(주) 전원 공급 시스템의 제어방법
US11054481B2 (en) * 2019-03-19 2021-07-06 Battelle Energy Alliance, Llc Multispectral impedance determination under dynamic load conditions
EP3772154A1 (en) * 2019-07-31 2021-02-03 ABB Schweiz AG A power supply system, and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ncluding the power supply system
CN113131598A (zh) * 2020-01-15 2021-07-16 太阳能安吉科技有限公司 多功能不间断电源供应器
CA3179153A1 (en) * 2020-05-18 2021-11-25 Prasad Pmsvvsv Methods of fuel cell operation with bi-directional inverters
JP7027576B1 (ja) * 2020-07-03 2022-03-01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無停電電源システム
JP7452741B1 (ja) 2023-06-13 2024-03-19 富士電機株式会社 無停電電源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7366A (ja) * 2003-05-27 2004-12-16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 Corp 無停電電源装置の並列運転システム
JP2006054953A (ja) * 2004-08-11 2006-02-23 Densei Lambda Kk 無停電電源装置、無停電電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無停電電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6799B2 (ja) * 1995-02-27 2002-10-21 新神戸電機株式会社 交流無停電電源装置
JP3690158B2 (ja) * 1998-12-28 2005-08-31 富士電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無停電電源システム及びその給電方法
JP2003052134A (ja) * 2001-08-07 2003-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無停電電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用いた無停電電源装置
JP3851584B2 (ja) * 2002-03-28 2006-11-29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無停電電源装置の並列運転方法
US20050036253A1 (en) * 2003-08-13 2005-02-17 Shou-Long Tian Modular AC power supply system with fault bypass and method of switching output modes
US7105949B2 (en) * 2004-01-22 2006-09-12 Delta Electronics, Inc. Emergent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of achieving input current balance in such system
US7400066B2 (en) * 2004-06-23 2008-07-15 Eato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UPS bypass monitoring and control
US7456518B2 (en) 2004-08-31 2008-11-25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nterruptible power
US7737580B2 (en) * 2004-08-31 2010-06-15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nterruptible power
US7274112B2 (en) 2004-08-31 2007-09-25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nterruptible power
US7939968B2 (en) 2004-08-31 2011-05-10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nterruptible power
US7456520B2 (en) * 2005-03-31 2008-11-25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 system, method and product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S7265458B2 (en) * 2005-04-08 2007-09-04 Eaton Power Qualit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ordinated static switch operations for load transfers i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s
TW200721635A (en) * 2005-11-18 2007-06-01 Delta Electronics Inc Parallel-typ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JP4626619B2 (ja) 2007-01-24 2011-02-09 富士電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無停電電源システムおよび無停電電源装置の系統切替方法
TWI326148B (en) * 2007-03-02 2010-06-11 Delta Electronics Inc Parallel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US8127243B2 (en) * 2007-12-11 2012-02-28 Toshiba International Corporation Uninterruptible power system (UPS) with improved manual user interface having a touch screen with main tabs separating pages, sub-menus identifying sub-pages related to certain main tabs, and links to pages or sub-pages
KR101158455B1 (ko) 2009-03-05 2012-06-19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무정전 전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7366A (ja) * 2003-05-27 2004-12-16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 Corp 無停電電源装置の並列運転システム
JP2006054953A (ja) * 2004-08-11 2006-02-23 Densei Lambda Kk 無停電電源装置、無停電電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無停電電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824A (ko) 2011-11-01
US9013063B2 (en) 2015-04-21
JPWO2010119564A1 (ja) 2012-10-22
CA2761022C (en) 2015-08-18
CA2761022A1 (en) 2010-10-21
CN102396130A (zh) 2012-03-28
EP2421118A4 (en) 2014-10-29
EP2421118A1 (en) 2012-02-22
EP2421118B1 (en) 2017-11-22
ES2651273T3 (es) 2018-01-25
JP5461529B2 (ja) 2014-04-02
MX2011009260A (es) 2011-09-26
US20120013193A1 (en) 2012-01-19
WO2010119564A9 (ja) 2011-09-01
CN102396130B (zh) 2015-06-24
WO2010119564A1 (ja)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022B1 (ko) 무정전 전원 시스템
CN101013823B (zh) 用于使不间断电源同步的设备
EP3020118B1 (en) Ups systems and methods using variable configuration modules
CN104508942A (zh) 电源系统
CN101755375A (zh) 使用不间断电源过渡到发电机供电运行的电力系统和方法
KR20200019986A (ko) 무정전 전원 시스템
JP2013512650A (ja) 無停電電源供給システム及び無停電電源装置
JP6092800B2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
CN113196612A (zh) 具有不间断电力供应的微电网系统
KR101818969B1 (ko) 그리드 전원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핫 스왑 장치
JP2013090524A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
JP5926673B2 (ja) 無停電電源装置
JP6450508B2 (ja) ヒステリシス電動機用ドライブ装置
JP2008172864A (ja) 無停電電源設備及びその増設方法
CN112703657A (zh) 供电装置以及供电系统
CN112703656A (zh) 供电装置以及供电系统
KR20140084791A (ko) 전원 절환 장치
KR101081583B1 (ko) 단일 정류부를 이용한 듀얼인버터 방식의 선택적 부하 이중화 방식의 무정전 전원장치
JP2005218200A (ja) 共通予備無停電電源システム
CN109088543B (zh) 具有电源电路及负载的保护电路的单元
JP2010035364A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
JP5379985B2 (ja) 電力変換システム
JP2007151297A (ja) 無停電電源装置の並列運転システム
JP6589491B2 (ja) 電源装置、電源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20090055661A1 (en) Always-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