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791A - 전원 절환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절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791A
KR20140084791A KR1020120154661A KR20120154661A KR20140084791A KR 20140084791 A KR20140084791 A KR 20140084791A KR 1020120154661 A KR1020120154661 A KR 1020120154661A KR 20120154661 A KR20120154661 A KR 20120154661A KR 20140084791 A KR20140084791 A KR 20140084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reaker
control unit
switching
switch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복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4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4791A/ko
Publication of KR20140084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02J3/144Demand-response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8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절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절환 장치는, 제1 부하에 인입되는 제1 교류 전원에 직렬 연결되어 제1 교류 전원의 연결을 절환하는 복수의 제1 전원차단기와; 제2 부하에 인입되는 제2 교류 전원에 직렬 연결되어 제2 교류 전원의 연결을 절환하는 복수의 제2 전원차단기와; 상기 제1 전원차단기에 흐르는 제1 교류 전원을 감시하여 이상 상태 검출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전원 차단기를 제어함과 아울러 전원 절환 제어부에 절환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 차단기 감시 제어부와; 상기 제2 전원차단기에 흐르는 제2 교류 전원을 감시하여 이상 상태 검출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전원 차단기를 제어함과 아울러 전원 절환 제어부에 절환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 차단기 감시 제어부와; 상기 제1 및 제2 차단기 감시 제어부로부터의 절환제어신호에 따라 전원 절환부를 제어하는 전원 절환 제어부와; 상기 전원 절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부하 및 제2 부하 사이의 교류 전원 연결 경로를 절환하는 전원 절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류 전원을 부하에 공급하는 중에 해당 교류 전원에 이상이 발생하여 전원차단기가 차단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다른 교류 전원을 신속히 연결하므로 부하에 교류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Description

전원 절환 장치{Apparatus for Electric Power Switching}
본 발명은 전원 절환에 관한 것으로, 교류 전원을 부하에 공급하는 중에 해당 교류 전원에 이상이 발생하여 전원차단기가 차단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다른 교류 전원을 신속히 연결함으로써 부하에 교류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 절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류 전원을 사용하여 생산 활동을 수행하는 공장 등에서는 교류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필요가 있다.
특히, 화학 공장 등과 같이 안정적으로 설비를 구동해야 하는 경우에는 교류 전원을 공급 중단없이 지속적으로 공급해 줄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공장 설비 등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중에 해당 교류 전원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전원차단기에 의해 전원 공급을 자동 차단하고, 수동으로 전원 절환 스위치를 구동하여서 다른 교류 전원을 연결하여 전원 공급함으로써, 교류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공장 설비 등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에 이상이 발생되어 전원차단기에 의해 전원 공급이 자동 차단되는 경우에 수동으로 전원 절환 스위치를 구동하여서 다른 교류 전원을 연결하여 공급함에 기인하여, 다른 교류 전원으로 절환하여 공급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서 공장 설비에 교류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교류 전원을 부하에 공급하는 중에 해당 교류 전원에 이상이 발생하여 전원차단기가 차단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다른 교류 전원을 신속히 연결함으로써 부하에 교류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 절환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절환 장치는, 제1 부하에 인입되는 제1 교류 전원에 직렬 연결되어 제1 교류 전원의 연결을 절환하는 복수의 제1 전원차단기와; 제2 부하에 인입되는 제2 교류 전원에 직렬 연결되어 제2 교류 전원의 연결을 절환하는 복수의 제2 전원차단기와; 상기 제1 전원차단기에 흐르는 제1 교류 전원을 감시하여 이상 상태 검출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전원 차단기를 제어함과 아울러 전원 절환 제어부에 절환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 차단기 감시 제어부와; 상기 제2 전원차단기에 흐르는 제2 교류 전원을 감시하여 이상 상태 검출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전원 차단기를 제어함과 아울러 전원 절환 제어부에 절환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 차단기 감시 제어부와; 상기 제1 및 제2 차단기 감시 제어부로부터의 절환제어신호에 따라 전원 절환부를 제어하는 전원 절환 제어부와; 상기 전원 절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부하 및 제2 부하 사이의 교류 전원 연결 경로를 절환하는 전원 절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절환 장치에 의하면, 상기 제1 차단기 감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차단기에 흐르는 제1 교류 전원에 이상 상태가 발생 됨을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전원 차단기를 제어하여 제1 전원 차단기에 의해 제1 부하에 인입되는 제1 교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전원 절환 제어부에 절환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전원 절환 제어부로 하여금 전원 절환부에 의해 상기 제2 부하 측의 제2 교류 전원을 상기 제1 부하 측에 연결케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절환 장치에 의하면, 상기 제1 차단기 감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차단기에 흐르는 제1 교류 전원의 이상 상태가 복구됨을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전원 차단기를 제어하여 제1 전원 차단기에 의해 제1 교류 전원을 제1 부하에 연결하고, 상기 전원 절환 제어부에 절환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전원 절환 제어부로 하여금 전원 절환부에 의해 상기 제1 부하 측에 연결되었던 제2 부하 측의 제2 교류 전원을 차단케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절환 장치에 의하면, 상기 제2 차단기 감시 제어부는 상기 제2 전원차단기에 흐르는 제2 교류 전원에 이상 상태가 발생 됨을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전원 차단기를 제어하여 제2 전원 차단기에 의해 제2 부하에 인입되는 제2 교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전원 절환 제어부에 절환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전원 절환 제어부로 하여금 전원 절환부에 의해 상기 제1 부하 측의 제1 교류 전원을 상기 제2 부하 측에 연결케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절환 장치에 의하면, 상기 제2 차단기 감시 제어부는 상기 제2 전원차단기에 흐르는 제2 교류 전원의 이상 상태가 복구됨을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전원 차단기를 제어하여 제2 전원 차단기에 의해 제2 교류 전원을 제2 부하에 연결하고, 상기 전원 절환 제어부에 절환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전원 절환 제어부로 하여금 전원 절환부에 의해 상기 제2 부하 측에 연결되었던 제1 부하 측의 제1 교류 전원을 차단케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류 전원을 부하에 공급하는 중에 해당 교류 전원에 이상이 발생하여 전원차단기가 차단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다른 교류 전원을 신속히 연결하므로 부하에 교류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절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절환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차단기(10A, 10B, 20A, 20B), 차단기 감시 제어부(30, 40), 전원 절환 제어부(50) 및 전원 절환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원차단기(10A, 10B)는 차단기 감시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부하A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A을 절환하고, 전원차단기(20A, 20B)는 차단기 감시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부하B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B를 절환한다.
그리고, 차단기 감시 제어부(30)는 부하A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A의 상태를 감시하되, 전원차단기(10A)에 인입되는 교류 전원A 또는 전원차단기(10B)를 통해 부하A측에 인입되는 교류 전원A에 순간적인 과도전류 또는 전압강하 등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전원차단기(10A, 10B)를 제어하여 해당 전원차단기(10A, 10B)에 의해 교류 전원A의 인입을 차단함과 아울러 절환제어신호를 전원 절환 제어부(50)에 출력하여서 전원 절환 제어부(50)로 하여금 전원 절환부(60)를 제어하여 전원 절환부(60)에 의해 교류 전원B를 부하A에 연결케 한다.
또한, 차단기 감시 제어부(30)는 전원 절환부(60)에 의해 부하A에 교류 전원B를 연결한 상태에서, 전원차단기(10A)에 인입되는 교류 전원A 또는 전원차단기(10B)를 통해 부하A측에 인입되는 교류 전원A에 발생하였던 이상 상태가 복구되는 경우 해당 이상 상태 복구를 검출하여서, 전원차단기(10A, 10B)를 제어하여 해당 전원차단기(10A, 10B)에 의해 교류 전원A의 인입을 연결함과 아울러, 절환제어신호를 전원 절환 제어부(50)에 출력하여서 전원 절환 제어부(50)로 하여금 전원 절환부(60)를 제어하여 전원 절환부(60)에 의해 부하A에 대한 교류 전원B의 연결을 차단케 한다.
마찬가지로, 차단기 감시 제어부(40)는 부하B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B의 상태를 감시하되, 전원차단기(20A)에 인입되는 교류 전원B 또는 전원차단기(20B)를 통해 부하B측에 인입되는 교류 전원B에 순간적인 과도전류 또는 전압강하 등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전원차단기(20A, 20B)를 제어하여 해당 전원차단기(20A, 20B)에 의해 교류 전원B의 인입을 차단함과 아울러 절환제어신호를 전원 절환 제어부(50)에 출력하여서 전원 절환 제어부(50)로 하여금 전원 절환부(60)를 제어하여 전원 절환부(60)에 의해 교류 전원A를 부하B에 연결케 한다.
또한, 차단기 감시 제어부(40)는 전원 절환부(60)에 의해 부하B에 교류 전원A를 연결한 상태에서, 전원차단기(20A)에 인입되는 교류 전원B 또는 전원차단기(20B)를 통해 부하B측에 인입되는 교류 전원B에 발생하였던 이상 상태가 복구되는 경우 해당 이상 상태 복구를 검출하여서, 전원차단기(20A, 20B)를 제어하여 해당 전원차단기(20A, 20B)에 의해 교류 전원B의 인입을 연결함과 아울러, 절환제어신호를 전원 절환 제어부(50)에 출력하여서 전원 절환 제어부(50)로 하여금 전원 절환부(60)를 제어하여 전원 절환부(60)에 의해 부하B에 대한 교류 전원A의 연결을 차단케 한다.
그리고, 전원 절환 제어부(50)는 차단기 감시 제어부(30, 40)로부터 입력되는 절환제어신호에 따라 전원 절환부(60)를 제어하여서 전원 절환부(60)의 전원 절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전원 절환부(60)는 전원 절환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전원 절환 동작을 수행하되, 부하A에 인입되는 교류 전원A를 부하B에 연결하거나 부하B에 인입되는 교류 전원B를 부하A에 연결하여줌으로써 전원을 절환 한다.
평상시에, 부하A는 전원차단기(10A, 10B)의 접점이 연결되어서 교류 전원A를 공급받고, 부하B는 전원차단기(20A, 20B)의 접점이 연결되어서 교류 전원B를 공급받는다.
이와 같이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중에, 예를 들어, 전원차단기(20A)에 인입되는 교류 전원B 또는 전원차단기(20B)를 통해 부하B측에 인입되는 교류 전원B에, 순간적인 과도전류 또는 전압강하 등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차단기 감시 제어부(40)는 해당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서, 전원차단기(20A, 20B)를 제어하여 해당 전원차단기(20A, 20B)에 의해 교류 전원B의 인입을 차단한다. 그와 함께, 차단기 감시 제어부(40)는 절환제어신호를 전원 절환 제어부(50)에 출력하여서 전원 절환 제어부(50)로 하여금 전원 절환부(60)를 제어하여 전원 절환부(60)에 의해 교류 전원A를 부하B에 연결케 한다.
이처럼, 전원 절환부(60)에 의해 부하B에 교류 전원A를 연결하여서 부하B에 교류 전원A를 공급하는 중에, 전원차단기(20A)에 인입되는 교류 전원B 또는 전원차단기(20B)를 통해 부하B측에 인입되는 교류 전원B에 발생하였던 이상 상태가 복구되는 경우, 차단기 감시 제어부(40)는 해당 이상 상태 복구를 검출하여서, 전원차단기(20A, 20B)를 제어하여 해당 전원차단기(20A, 20B)에 의해 교류 전원B의 인입을 연결한다. 그와 함께, 차단기 감시 제어부(40)는 절환제어신호를 전원 절환 제어부(50)에 출력하여서 전원 절환 제어부(50)로 하여금 전원 절환부(60)를 제어하여 전원 절환부(60)에 의해 부하B에 대한 교류 전원A의 연결을 차단케 한다.
한편, 부하A가 전원차단기(10A, 10B)의 접점이 연결되어서 교류 전원A를 공급받고, 부하B가 전원차단기(20A, 20B)의 접점이 연결되어서 교류 전원B를 공급받는 중에, 예를 들어, 전원차단기(10A)에 인입되는 교류 전원A 또는 전원차단기(10B)를 통해 부하A측에 인입되는 교류 전원A에, 순간적인 과도전류 또는 전압강하 등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차단기 감시 제어부(30)는 해당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서, 전원차단기(10A, 10B)를 제어하여 해당 전원차단기(10A, 10B)에 의해 교류 전원A의 인입을 차단한다. 그와 함께, 차단기 감시 제어부(30)는 절환제어신호를 전원 절환 제어부(50)에 출력하여서 전원 절환 제어부(50)로 하여금 전원 절환부(60)를 제어하여 전원 절환부(60)에 의해 교류 전원B를 부하A에 연결케 한다.
이처럼, 전원 절환부(60)에 의해 부하A에 교류 전원B를 연결하여서 부하A에 교류 전원B를 공급하는 중에, 전원차단기(10A)에 인입되는 교류 전원A 또는 전원차단기(10B)를 통해 부하A측에 인입되는 교류 전원A에 발생하였던 이상 상태가 복구되는 경우, 차단기 감시 제어부(30)는 해당 이상 상태 복구를 검출하여서, 전원차단기(10A, 10B)를 제어하여 해당 전원차단기(10A, 10B)에 의해 교류 전원A의 인입을 연결한다. 그와 함께, 차단기 감시 제어부(30)는 절환제어신호를 전원 절환 제어부(50)에 출력하여서 전원 절환 제어부(50)로 하여금 전원 절환부(60)를 제어하여 전원 절환부(60)에 의해 부하A에 대한 교류 전원B의 연결을 차단케 한다.
이에, 부하A에 교류 전원A을 정상적으로 공급함과 아울러 부하B에 교류 전원B를 정상적으로 공급하는 중에, 어느 한쪽 교류 전원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검출하여 해당 이상 발생된 교류 전원을 차단함과 아울러 전원 절환부(60)에 의해 정상 상태의 교류 전원을 이상 발생 측에 연결하므로, 부하에 교류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그러한 변경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해당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공장 등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설비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류 전원을 부하에 공급하는 중에 해당 교류 전원에 이상이 발생하여 전원차단기가 차단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다른 교류 전원을 신속히 연결하므로 부하에 교류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10A, 10B, 20A, 20B; 전원차단기
30, 40; 차단기 감시 제어부
50; 전원 절환 제어부
60; 전원 절환부

Claims (5)

  1. 전원 절환 장치로서,
    제1 부하에 인입되는 제1 교류 전원에 직렬 연결되어 제1 교류 전원의 연결을 절환하는 복수의 제1 전원차단기와;
    제2 부하에 인입되는 제2 교류 전원에 직렬 연결되어 제2 교류 전원의 연결을 절환하는 복수의 제2 전원차단기와;
    상기 제1 전원차단기에 흐르는 제1 교류 전원을 감시하여 이상 상태 검출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전원 차단기를 제어함과 아울러 전원 절환 제어부에 절환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 차단기 감시 제어부와;
    상기 제2 전원차단기에 흐르는 제2 교류 전원을 감시하여 이상 상태 검출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전원 차단기를 제어함과 아울러 전원 절환 제어부에 절환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 차단기 감시 제어부와;
    상기 제1 및 제2 차단기 감시 제어부로부터의 절환제어신호에 따라 전원 절환부를 제어하는 전원 절환 제어부와;
    상기 전원 절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부하 및 제2 부하 사이의 교류 전원 연결 경로를 절환하는 전원 절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절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기 감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차단기에 흐르는 제1 교류 전원에 이상 상태가 발생 됨을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전원 차단기를 제어하여 제1 전원 차단기에 의해 제1 부하에 인입되는 제1 교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전원 절환 제어부에 절환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전원 절환 제어부로 하여금 전원 절환부에 의해 상기 제2 부하 측의 제2 교류 전원을 상기 제1 부하 측에 연결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절환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기 감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차단기에 흐르는 제1 교류 전원의 이상 상태가 복구됨을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전원 차단기를 제어하여 제1 전원 차단기에 의해 제1 교류 전원을 제1 부하에 연결하고, 상기 전원 절환 제어부에 절환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전원 절환 제어부로 하여금 전원 절환부에 의해 상기 제1 부하 측에 연결되었던 제2 부하 측의 제2 교류 전원을 차단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절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기 감시 제어부는 상기 제2 전원차단기에 흐르는 제2 교류 전원에 이상 상태가 발생 됨을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전원 차단기를 제어하여 제2 전원 차단기에 의해 제2 부하에 인입되는 제2 교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전원 절환 제어부에 절환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전원 절환 제어부로 하여금 전원 절환부에 의해 상기 제1 부하 측의 제1 교류 전원을 상기 제2 부하 측에 연결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절환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기 감시 제어부는 상기 제2 전원차단기에 흐르는 제2 교류 전원의 이상 상태가 복구됨을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전원 차단기를 제어하여 제2 전원 차단기에 의해 제2 교류 전원을 제2 부하에 연결하고, 상기 전원 절환 제어부에 절환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전원 절환 제어부로 하여금 전원 절환부에 의해 상기 제2 부하 측에 연결되었던 제1 부하 측의 제1 교류 전원을 차단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절환 장치.
KR1020120154661A 2012-12-27 2012-12-27 전원 절환 장치 KR20140084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661A KR20140084791A (ko) 2012-12-27 2012-12-27 전원 절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661A KR20140084791A (ko) 2012-12-27 2012-12-27 전원 절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791A true KR20140084791A (ko) 2014-07-07

Family

ID=51734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661A KR20140084791A (ko) 2012-12-27 2012-12-27 전원 절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47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5020A1 (ko) * 2018-09-13 2020-03-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원 공급 시스템
KR20200110725A (ko) * 2018-09-13 2020-09-25 엘에스일렉트릭(주)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원 공급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5020A1 (ko) * 2018-09-13 2020-03-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원 공급 시스템
KR20200110725A (ko) * 2018-09-13 2020-09-25 엘에스일렉트릭(주)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원 공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022B1 (ko) 무정전 전원 시스템
US11190047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connected in parallel
GB2486408A (en) Disconnection of a string carrying direct current
CN104603899A (zh) 用于控制连接在下游的电机的能量供给的开关设备
US20180034316A1 (en) Device for commanding/controlling a source changeover switch
CN104599901A (zh) 用于接触器的检测电路
WO2008023861A1 (en) Isolation control high speed transfer switch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power supply system using the switch and isolation control high speed transfer switching method
US10312900B2 (en) Switching device for operating at least one load
EP3916407A1 (en) Dual pwm relay driver with diagnostics for functional safety system
KR20140084791A (ko) 전원 절환 장치
JP5389614B2 (ja) プロセス制御装置
JP6435715B2 (ja) 無停電電源装置
US20160336754A1 (en) High power solid state switches for aircraft
JP3950340B2 (ja) 系統切換装置
KR101246036B1 (ko) 순간전압보상장치의 바이패스장치
KR100955806B1 (ko) 부하의 전원상태를 감지하면서 부하로 상용전원과 태양광발전전원을 선택접속하기 위한 자동전원절환장치
KR101541208B1 (ko) 로드 피더의 연결 단자들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디바이스들을 갖는 제어 모듈 및 로드 피더
JP2011154875A (ja) 配線用遮断器の無停電試験装置および無停電試験方法
CN112751316B (zh) 一种母线电压互感器停电的配置方法及装置
JP7353357B2 (ja) 電源供給装置及び電源供給システム
KR102407417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원 공급 시스템
CN104092281B (zh) 一种交流双电源切换方法
CN113629855A (zh) 一种基于冗余控制的舞台驱动系统及方法
KR101309009B1 (ko) 순간정전 보상장치 및 방법
KR100891162B1 (ko) 양전원 기중차단기가 구비된 배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