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764A - 고장 허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장 허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764A
KR20160004764A KR1020140083702A KR20140083702A KR20160004764A KR 20160004764 A KR20160004764 A KR 20160004764A KR 1020140083702 A KR1020140083702 A KR 1020140083702A KR 20140083702 A KR20140083702 A KR 20140083702A KR 20160004764 A KR20160004764 A KR 20160004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apacitor
control unit
paralle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호
김장환
소상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3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764A/ko
Priority to US14/583,243 priority patent/US9843284B2/en
Publication of KR20160004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7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02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load without automatic interruption of supply
    • H02P29/032Preventing damage to the motor, e.g. setting individual current limits for different drive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구동부와 연결된 제1 제어부, 제1 제어부와 병렬 연결된 제1 스위치, 제1 스위치와 병렬 연결된 제1 커패시터, 제1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고, 제1 스위치와 다른 제2 스위치, 제1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고 제2 스위치와 직렬 연결된 제1 전원부 및 제1 스위치 및 제1 전원부의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제1 커패시터와 다른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되, 제1 제어부가 고장시, 제2 스위치는 턴오프되어 제1 전원부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제1 스위치는 턴온되어 제2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Description

고장 허용 제어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FAULT TOLERANCE}
본 발명은 고장 허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장 허용 제어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모터 드라이브 시스템 대비 큰 시스템 변형이 필요하며, 이로 인하여 시스템 가격이 상승한다. 즉, 고장 허용 제어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멀티 와인딩(multi-winding)이 적용된 모터 및 그 외부에 장착된 다수의 제어기가 필요하다. 또한 고장난 제어기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충전된 에너지를 덤프시키기 위해 다이나믹 브레이크(dynamic brake)이 추가로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간단한 스위치 제어를 통해 고장 허용 제어가 가능하고, 고장 허용 제어를 위해 추가된 부품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여 고장 허용 제어 기술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구동부와 연결된 제1 제어부, 제1 제어부와 병렬 연결된 제1 스위치, 제1 스위치와 병렬 연결된 제1 커패시터, 제1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고, 제1 스위치와 다른 제2 스위치, 제1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고 제2 스위치와 직렬 연결된 제1 전원부 및 제1 스위치 및 제1 전원부의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제1 커패시터와 다른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되, 제1 제어부가 고장시, 제2 스위치는 턴오프되어 제1 전원부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제1 스위치는 턴온되어 제2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스위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 제 2 커패시터의 일단과 연결되고,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 는 제 2 커패시터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와 제2 커패시터의 일단은 제1 전원부의 그라운드와 연결될 수 있다.
일단이 게이트 단자연결되고 타단이 제1 전원부의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는 인버터일 수 있다.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제1 제어부와 다른 제2 제어부와, 제2 제어부와 병렬 연결된 제3 스위치와, 제3 스위치와 병렬 연결된 제3 커패시터와, 제3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고, 제3 스위치와 다른 제4 스위치와, 제3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고, 제4 스위치와 직렬 연결된 제2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스위치 및 제2 전원부의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제3 커패시터와 다른 제4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부가 고장시, 제3 스위치는 턴온되고 제4 스위치는 턴오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와 제2 제어부는 각각 다수의 트랜지스터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제1 또는 제2 제어부로부터 고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제어부가 제1 제어부로부터 고장 신호를 제공받는 경우, 스위치 제어부는 제1 스위치를 턴온하고 제2 스위치는 턴오프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제어부가 제2 제어부로부터 고장 신호를 제공받는 경우, 스위치 제어부는 제3 스위치를 턴온하고 제4 스위치는 턴오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는, 구동부,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1 및 제2 제어부, 제1 제어부와 병렬 연결된 제1 스위치, 제1 스위치와 병렬 연결된 제1 커패시터, 제1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고, 제1 스위치와 다른 제2 스위치, 제1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고 제2 스위치와 직렬 연결된 제1 전원부, 제2 제어부와 병렬 연결된 제3 스위치, 제3 스위치와 병렬 연결된 제2 커패시터, 제2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고, 제3 스위치와 다른 제4 스위치 및 제2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고 제4 스위치와 직렬 연결된 제2 전원부를 포함하되, 제1 제어부가 고장나고 제2 제어부는 정상 작동시, 제2 스위치는 턴오프되어 제1 전원부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제1 스위치는 턴온되어 제2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키고, 제3 스위치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제4 스위치는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는, 구동부,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1 및 제2 제어부, 제1 제어부와 병렬 연결된 제1 및 제2 스위치, 제2 제어부와 병렬 연결된 제3 및 제4 스위치,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토크 신호를 토대로 구동부에 제공될 전류량을 결정하는 제1 신호를 생성하는 토크 테이블부, 제1 신호를 제공받아 구동부에 필요한 전압 지령을 결정하는 제2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제어부 및 제1 내지 제4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되, 토크 테이블부 및 전류 제어부는 제1 또는 제2 제어부로부터 고장 신호를 제공받아 업데이트된다.
상기 제2 신호를 제공받아 제1 및 제2 제어부로 각각 분배될 구동부의 전압 지령을 결정하는 제3 신호를 생성하는 전력 분배부를 더 포함하되, 제3 신호는 3상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신호를 제4 신호로 변환하는 좌표 변환부를 더 포함하되, 제4 신호는 회전 좌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신호를 제공받아 제5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제5 신호는 제1 및 제2 제어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력 분배부는 제1 또는 제2 제어부로부터 고장 신호를 제공받아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가 고장시, 스위치 제어부는 제1 제어부로부터 고장 신호를 제공받아 제1 및 제2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가 고장시, 스위치 제어부는 제1 스위치를 턴온하고 제2 스위치를 턴오프할 수 있다.
상기 고장 신호는 제1 또는 제2 제어부의 고장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제1 내지 제4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의 제3 및 제4 스위치의 동작에 따른 전류 및 전압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8은 제1 또는 제2 제어기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났을 때의 토크(Torque)-속도(Speed)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고장 허용 제어를 위해 추가된 스위치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 시스템(1)은 토크 테이블부(TORQUE TABLE)(100), 전류 제어부(CURRENT CONTROLLER)(120), 전력 분배부(POWER DISTRIBUTOR)(130), 제1 좌표 변환부(FIRST COORDINATE TRANSFERER)(140), 구동 제어부(DRIVING CONTROLLER)(150), 제2 좌표 변환부(SECOND COORDINATE TRANSFERER)(160), 제1 제어부(FIRST CONTROLLER)(170), 제2 제어부(SECOND CONTROLLER)(180), 구동부(DRIVER)(190), 스위치 제어부(SWITCH CONTROLLER)(200), 제1 내지 제4 스위치(SW1~SW4), 제1 및 제2 전원부(V1, V2), 제1 및 제2 커패시터(C1, C2)를 포함할 수 있다.
토크 테이블부(100)는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토크 신호(TS)를 토대로 구동부(190)에 제공될 전류량을 결정하는 제1 신호(S1)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토크 테이블부(100)는 제1 신호(S1)를 전류 제어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크 테이블부(100)는 외부로부터 토크 신호(TS)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는 사용자, 전자 장치 또는 전자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토크 신호(TS)는 구동부(190)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토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신호(S1)는 구동부(190)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토크 대비 적절한 전류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토크 테이블부(100)는 제1 제어부(170) 또는 제2 제어부(180)로부터 고장 신호(BR1, BR2)를 제공받아 업데이트될 수 있다. 즉, 토크 테이블부(100)는 고장 신호(BR1, BR2)를 제공받아, 구동부(190)에 필요한 전류량을 결정하는 제1 신호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고장 신호(BR1, BR2)는 제1 및 제2 제어부(170, 180)의 고장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제어부(120)는 제1 신호(S1)를 제공받아 구동부(190)에 필요한 전압 지령을 결정하는 제2 신호(S2)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제어부(120)는 제2 신호(S2)를 전력 분배부(13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류 제어부(120)는 제1 신호(S1)를 토대로 구동부(190)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전압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제2 신호(S2)는 구동부(190)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전류량 대비 전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제어부(120)는 제1 제어부(170) 또는 제2 제어부(180)로부터 고장 신호(BR1, BR2)를 제공받아 업데이트될 수 있다. 즉, 전류 제어부(120)는 고장 신호(BR1, BR2)를 제공받아 구동부에 필요한 전압을 결정하는 제2 신호(S2)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전력 분배부(130)는 제2 신호(S2)를 제공받아 제1 및 제2 제어부(180)로 각각 분배된 구동부(190)의 전압 지령을 결정하는 제3 신호(S3)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력 분배부(130)는 제3 신호(S3)를 제1 좌표 변환부(14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 분배부(130)는 제2 신호(S2)를 토대로 구동부(190)의 출력 전력을 제1 및 제2 제어부(180)로 어느 정도씩 분배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3 신호(S3)는 구동부(190)의 출력 전력을 제1 및 제2 제어부(180)로 어느 정도씩 분배할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 분배부(130)는 제1 제어부(170) 또는 제2 제어부(180)로부터 고장 신호(BR1, BR2)를 제공받아 업데이트될 수 있다. 즉, 전류 제어부(120)는 고장 신호(BR1, BR2)를 제공받아 제1 및 제2 제어부(180)로 각각 구동부(190)의 출력 전력을 어느 정도 분배할지를 결정하는 제3 신호(S3)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제1 좌표 변환부(140)는 제3 신호(S3)를 제4 신호(S4)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좌표 변환부(140)는 전력 분배부(130)로부터 제3 신호(S3)를 제공받아 제4 신호(S4)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1 좌표 변환부(140)는 제4 신호(S4)를 구동 제어부(15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4 신호(S4)는 예를 들어, 3상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3상 신호는 예를 들어, x, y, z(3가지 상태 또는 3가지 방향)로 표현되는 신호일 수 있으며, 회전 좌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좌표 신호는 예를 들어, θ(회전 또는 정지를 표현)로 표현되는 신호일 수 있다.
구동 제어부(150)는 제4 신호(S4)를 제공받아 제5 신호(S5) 및 제5' 신호(S5')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제어부(150)는 제1 좌표 변환부(140)로부터 제4 신호(S4)를 제공받아 제5 신호(S5) 및 제5' 신호(S5')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제어부(150)는 제5 신호(S5) 및 제5' 신호(S5')를 각각 제1 제어부(170) 및 제2 제어부(18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5 신호(S5) 및 제5' 신호(S5')는 각각 제1 제어부(170) 및 제2 제어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좌표 변환부(160)는 구동부(190)로부터 제6 신호(S6), 제6' 신호(S6'), 제6'' 신호(S6'')를 제공받아 제7 신호(S7)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2 좌표 변환부(160)는 제7 신호(S7)를 전류 제어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6 신호(S6), 제6' 신호(S6'), 제6'' 신호(S6'')는 각각 구동부(190)에 흐르는 전류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구동부(190)에 흐르는 전류량에 관한 신호가 3개의 신호 즉, 제6 신호(S6), 제6' 신호(S6'), 제6'' 신호(S6'')로 표현된 이유는, 도 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구동부(190)가 3개의 라인으로 이루어져있고, 각각의 라인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6 신호(S6), 제6' 신호(S6'), 제6'' 신호(S6'')가 각각 나타내기 때문이다. 물론 구동부(190)를 이루는 라인의 개수는 3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더 적거나 또는 더 많을 수 있다. 또한 구동부(190)를 이루는 라인의 개수에 따라 제2 좌표 변환부(160)로 제공되는 신호의 수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제6 신호(S6), 제6' 신호(S6'), 제6'' 신호(S6'')는 회전 좌표 신호는 예를 들어, θ(회전 또는 정지를 표현)로 표현되는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좌표 변환부(160)는 제6 신호(S6), 제6' 신호(S6'), 제6'' 신호(S6'')를 3상 신호(예를 들어, x, y, z(3가지 상태 또는 3가지 방향)로 표현되는 신호)인 제7 신호(S7)로 변환 할 수 있다.
즉, 제2 좌표 변환부(160)를 통해 전류 제어부(120)로 구동부(190)에 흐르는 전류량에 관한 피드백이 제공됨으로써, 전류 제어부(120)는 지속적으로 구동부(190)에 제공될 전류량을 토대로 제2 신호(S2)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70)는 구동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70)는 인버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70)는 구동부(190)와 연결되어 구동부(190)를 제어하고, 제2 스위치(SW2)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70)는 구동 제어부(150)로부터 제5 신호(S5)를 제공받아 그 구동이 제어되고, 고장이 난 경우 스위치 제어부(200), 토크 테이블부(100), 전류 제어부(120), 전력 분배부(130)로 제1 고장 신호(BR1)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제어부(170)는 다수의 트랜지스터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스위치(SW2)는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위치(SW2)는 제3 커패시터(도 6의 C3)와 연결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2 스위치(SW2)는 제1 커패시터(C1)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패시터(C1)는 제1 전원부(V1) 및 제1 스위치(SW1)와 병렬 연결되고, 제1 전원부(V1)와 제1 스위치(SW1)는 서로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제2 제어부(180)는 구동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180)는 예를 들어, 인버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180)는 구동부(190)와 연결되어 구동부(190)를 제어하고, 제4 스위치(SW4)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180)는 구동 제어부(150)로부터 제5' 신호(S5')를 제공받아 그 구동이 제어되고, 고장이 난 경우 스위치 제어부(200), 토크 테이블부(100), 전류 제어부(120), 전력 분배부(130)로 제2 고장 신호(BR2)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제어부(180)는 다수의 트랜지스터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4 스위치(SW4)는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 스위치(SW4)는 제2 스위치(SW2)와 같이 제4 커패시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도 6에서 제2 스위치(SW2)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하도록 한다.
제4 스위치(SW4)는 제2 커패시터(C2)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커패시터(C2)는 제2 전원부(V2) 및 제3 스위치(SW3)와 병렬 연결되고, 제2 전원부(V2)와 제3 스위치(SW3)는 서로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내지 제4 스위치(SW4)는 서로 다른 별개의 스위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구동부(190)는 제1 및 제2 제어부(170, 18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90)는 예를 들어,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90)는 제1 및 제2 제어부(170, 1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제어부(170, 180)가 구동부(190)를 듀얼 인버터로써 제어하기에, 제1 및 제2 제어부(170, 180)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난다 하더라도, 구동부(190)는 고장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2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제어부(170)와 제2 제어부(180)는 각각 다수의 트랜지스터 소자를 포함하고, 구동부(190)는 3개의 라인으로 구성되며, 제1 내지 제4 스위치(SW1~SW4)가 구동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2에 도시된 트랜지스터 소자의 개수, 구동부(190)를 이루는 라인의 수는 상황에 따라 유동적일 수 있다.
스위치 제어부(200)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SW1~SW4)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 제어부(200)는 제1 제어부(170) 또는 제2 제어부(180)로부터 제1 고장 신호(BR1) 또는 제2 고장 신호(BR2)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스위치 제어부(200)가 제1 제어부(170)로부터 제1 고장 신호(BR1)를 제공받는 경우, 스위치 제어부(200)는 제1 스위치(SW1)를 턴오프하고, 제2 스위치(SW2)를 턴온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제어부(200)가 제2 제어부(180)로부터 제2 고장 신호(BR2)를 제공받는 경우, 스위치 제어부(200)는 제3 스위치를 턴오프하고, 제4 스위치(SW4)를 턴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위치가 턴온된다는 의미는 스위치가 닫힌 상태를 의미하고, 스위치가 턴오프된다는 의미는 스위치가 열린 상태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도 2의 제1 내지 제4 스위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제1 내지 제4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제어부(170, 180)가 고장나지 않았을 때의 제1 내지 제4 스위치(SW1~SW4)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제어부(170, 180)가 고장나지 않았을 때 제1 및 제3 스위치(SW1, SW3)는 턴온되어 있고, 제2 및 제4 스위치(SW2, SW4)는 턴오프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전원부(V1)로부터 발생한 에너지는 제1 제어부(170)를 거쳐 구동부(190)로 제공될 수 있고, 제2 전원부(V2)로부터 발생한 에너지는 제2 제어부(180)를 거쳐 구동부(190)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제어부(180)가 고장났을 때의 제1 내지 제4 스위치(SW1~SW4)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70)는 고장나지 않은 상태이기에, 스위치 제어부(도 1의 200)는 제1 스위치(SW1)는 턴온 상태로 유지하고, 제2 스위치(SW2)는 턴오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제2 제어부(180)가 고장난 상태이기에, 스위치 제어부(도 1의 200)는 제3 스위치(SW3)를 턴오프 상태로 변경하고, 제4 스위치(SW4)는 턴온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제2 전원부(V2)와 제2 제어부(180) 사이에 전류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제2 제어부(180)가 고장나고 제1 제어부(170)는 정상 작동시, 제3 스위치(SW3)는 턴오프되어 제2 전원부(V2)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제4 스위치(SW4)는 턴온되어 제2 커패시터(C2)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키고, 제2 스위치(SW2)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제1 스위치(SW1)는 턴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제어부(180)와 제2 전원부(V2) 사이의 전류 패스가 단절 되고, 이때 전류 패스는 제1 전원부(V1)로부터 정상 작동하는 제1 제어부(170), 구동부(190), 제 2 제어부 (180)의 built ?n diode를 통해 형성되어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도 4의 제3 및 제4 스위치의 동작에 따른 전류 및 전압 변화를 설명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도 2의 제 1 및 제 2의 스위치도 동일하게 동작한다.
도 6 및 도 7은 도 4의 제3 및 제4 스위치의 동작에 따른 전류 및 전압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설명에 앞서, 제4 스위치(SW4)가 트랜지스터라고 가정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4 스위치(SW4)는 트랜지스터(예를 들면, NMOS)일 수 있고, 제4 스위치(SW4)의 게이트 단자는 제3 커패시터(C3)의 일단과 연결되고 제4 스위치(SW4)의 드레인 단자는 제3 커패시터(C3)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4 스위치(SW4)의 게이트 단자와 제3 커패시터(C3)의 일단은 제2 전원부(V2)의 그라운드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4 스위치(SW4)는 다이오드(D), 저항(R), 게이트 전압원(Vg)과 함께 제2 전원부(V2)의 그라운드와 연결된 전류 패스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이오드(D)는 일단이 제4 스위치(SW4)의 게이트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전원부(V2)의 그라운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스위치 제어부(도 1의 200)는 게이트 전압원(Vg)의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제4 스위치(SW4)의 턴온/턴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다른 스위치(제1 내지 제3 스위치(SW1~SW3))에 대한 스위치 제어부(도 1의 200)의 제어 방법으로써도 적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4 스위치(SW4)의 동작 전압(Vgs)를 급격히 증가시킬 경우, 제2 커패시터(C2)의 방전 전류(Ids)가 급격히 증가하여 회로에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스위치(SW4)의 게이트-드레인 사이에 제3 커패시터(C3)를 추가함으로써, 제4 스위치(SW4)의 동작 전압(Vgs)을 서서히 증가시켜 방전 전류(Ids)의 급격한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커패시터(C3)가 추가됨으로써, 제4 스위치(SW4)의 동작 전압(Vgs)이 서서히 증가하고, 이로 인해 제2 커패시터(C2)의 방전 전류(Ids)가 제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만약 제3 커패시터(C3)가 추가되지 않는다면, 시간 t1과 시간 t2 사이의 간격보다 더 짧은 시간 간격 사이에 더 큰 방전 전류(Ids)가 흐름으로써, 회로가 손상될 수도 있다.
도 8은 제1 또는 제2 제어기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났을 때의 토크(Torque)-속도(Speed)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1의 제어 시스템(1)은 제1 및 제2 제어기(170, 180) 중 어느 하나가 고장 났을 때(AFTER BREAKDOWN), 제1 및 제2 제어기(170, 180)가 정상 동작할 때(NORMAL STATE)의 50% 수준의 제한된 구동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고장 전, 후의 제어 시스템(1)의 특성이 달라지므로, 변화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토크 테이블부(도 1의 100) 및 전류 제어부(120)가 필요하다. 따라서, 도 1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제1 및 제2 제어부(170, 180)는 고장시, 토크 테이블부(100), 전류 제어부(120), 전력 분배부(130)로 고장 신호(BR1, BR2)를 제공함으로써, 토크 테이블 및 전류 제어 파라미터를 변경하여 최적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스위치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고장 허용 제어를 위해 추가된 스위치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설명하기에 앞서,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 쌍과 제3 및 제4 스위치(SW3, SW4) 쌍은 동일한 원리로 동작하기에,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은 제3 및 제4 스위치(SW3, SW4)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가 고장나지 않았을 경우 제1 커패시터(도 1의 C1)에 걸리는 전압(이하에서는,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이라고 함)의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시간 t1에서 시간 t2 사이에서 제1 스위치(SW1)는 턴오프상태(OFF)를 유지하고 제2 스위치(SW2)가 턴온상태(ON)로 변하면, 제1 커패시터(도 1의 C1)에 충전된 전하가 방전되면서,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이 감소하게 된다. 그 후 시간 t2에서 시간 t3 사이에서 제2 스위치(SW2)가 다시 턴오프상태(OFF)로 변하면, 제1 커패시터(도 1의 C1)의 방전이 중단되면서,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시간 t3에서 시간 t4 사이에서 제1 스위치(SW1)가 턴온상태(ON)로 변하면, 제1 전원부(도 1의 V1)로부터 제공된 전하가 제1 커패시터(도 1의 C1)를 충전시켜서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은 다시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시간 t4에서 시간 t6 사이에서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를 동작시키면 앞서 설명한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의 변화 모습이 동일하게 관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가 정상 작동하고 있기에,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의 변화 모습이 관찰된 것이다. 즉,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의 턴온 또는 턴오프에 따른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의 고장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시간 t1에서 제1 스위치(SW1)가 쇼트(short)로 고장 났을 경우,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의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시간 t1에서 제1 스위치(SW1)가 쇼트(short)로 고장 났기 때문에, 이에 따라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이 급격히 감소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간 t2 이후로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를 턴온(ON) 또는 턴오프(OFF) 시킨다하더라도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은 변화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10에서는 도 9에 도시된 정상적인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스위치의 고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시간 t3에서 제1 스위치(SW1)가 오픈(open)로 고장났을 경우,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의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시간 t1에서 시간 t2 사이에서 제1 스위치(SW1)는 턴오프상태(OFF)를 유지하고 제2 스위치(SW2)가 턴온상태(ON)로 변하면, 제1 커패시터(도 1의 C1)에 충전된 전하가 방전되면서,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이 감소하게 된다. 그 후 시간 t2에서 시간 t3 사이에서 제2 스위치(SW2)가 다시 턴오프상태(OFF)로 변하면, 제1 커패시터(도 1의 C1)의 방전이 중단되면서,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시간 t3에서 제1 스위치(SW1)가 오픈(open)로 고장났기 때문에, 제1 스위치(SW1)를 턴온상태(ON)로 변화시킨 것과 상관없이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시간 t3 이후로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를 턴온(ON) 또는 턴오프(OFF) 시킨다하더라도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은 변화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11에서는 도 9에 도시된 정상적인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스위치의 고장을 감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간 t3에서 제2 스위치(SW2)가 쇼트된 경우에도,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의 변화가 관찰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시간 t5에서 제2 스위치(SW2)가 오픈(open)되어 고장났을 경우,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의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시간 t1에서 시간 t2 사이에서 제1 스위치(SW1)는 턴오프상태(OFF)를 유지하고 제2 스위치(SW2)가 턴온상태(ON)로 변하면, 제1 커패시터(도 1의 C1)에 충전된 전하가 방전되면서,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이 감소하게 된다. 그 후 시간 t2에서 시간 t3 사이에서 제2 스위치(SW2)가 다시 턴오프상태(OFF)로 변하면, 제1 커패시터(도 1의 C1)의 방전이 중단되면서,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시간 t3에서 시간 t4 사이에서 제1 스위치(SW1)가 턴온상태(ON)로 변하면, 제1 전원부(도 1의 V1)로부터 제공된 전하가 제1 커패시터(도 1의 C1)를 충전시켜서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은 다시 증가하게 된다. 이어서, 시간 t4에서 시간 t5 사이에서 제1 스위치(SW1)가 다시 턴오프상태(OFF)로 변하면, 제1 커패시터(도 1의 C1)의 충전이 중단되면서,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다만, 시간 t5에서 제2 스위치(SW2)가 오픈되면, 시간 t5에서 시간 t6 사이에서 제2 스위치(SW2)가 턴온상태(ON)로 변하는 것과 상관없이,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이 감소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시간 t5 이후로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를 턴온(ON) 또는 턴오프(OFF) 시킨다하더라도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은 변화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12에서는 도 9에 도시된 정상적인 제1 커패시터 전압(Vc1)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스위치의 고장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1)은 제1 내지 제4 스위치(SW1~SW4)를 통해 간단한 구조만으로 고장 허용 제어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제3 커패시터(C3)를 추가함으로써, 고장난 제어부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방전 전류(Ids)과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이나믹 브레이크(dynamic brake)와 같은 추가 부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고장 허용 제어를 위해 추가된 제1 내지 제4 스위치(SW1~SW4)의 고장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고장 허용 제어 기능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 시스템(1)은 다양한 고장 유형(예를 들면, 트랜지스터 소자의 오픈(open), 쇼트(short), 암쇼트(armshort), 트랜지스터 소자의 구동 전원 고장)에 대한 고장 허용 제어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토크 테이블부 120: 전류 제어부
130: 전력 분배부 140: 제1 좌표 변환부
150: 구동 제어부 160: 제2 좌표 변환부
170: 제1 제어부 180: 제2 제어부
190: 구동부 200: 스위치 제어부

Claims (10)

  1. 구동부와 연결된 제1 제어부;
    상기 제1 제어부와 병렬 연결된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와 병렬 연결된 제1 커패시터;
    상기 제1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치와 다른 제2 스위치;
    상기 제1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와 직렬 연결된 제1 전원부; 및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1 전원부의 그라운드(ground)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커패시터와 다른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어부가 고장시, 상기 제2 스위치는 턴오프되어 상기 제1 전원부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스위치는 턴온되어 상기 제2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는 상기 제2 커패시터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는 상기 제2 커패시터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어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게이트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전원부의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제어부와 다른 제2 제어부와,
    상기 제2 제어부와 병렬 연결된 제3 스위치와,
    상기 제3 스위치와 병렬 연결된 제3 커패시터와,
    상기 제3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제3 스위치와 다른 제4 스위치와,
    상기 제3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제4 스위치와 직렬 연결된 제2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위치 및 상기 제2 전원부의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상기 제3 커패시터와 다른 제4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와 상기 제2 제어부는 각각 트랜지스터 소자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9.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1 및 제2 제어부;
    상기 제1 제어부와 병렬 연결된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와 병렬 연결된 제1 커패시터;
    상기 제1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치와 다른 제2 스위치;
    상기 제1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와 직렬 연결된 제1 전원부;
    상기 제2 제어부와 병렬 연결된 제3 스위치;
    상기 제3 스위치와 병렬 연결된 제2 커패시터;
    상기 제2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제3 스위치와 다른 제4 스위치; 및
    상기 제2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제4 스위치와 직렬 연결된 제2 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어부가 고장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정상 작동시, 상기 제2 스위치는 턴오프되어 상기 제1 전원부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제1 스위치는 턴온되어 상기 제2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키고, 상기 제3 스위치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4 스위치는 턴온 상태를 유지하는 제어 시스템.
  10.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1 및 제2 제어부;
    상기 제1 제어부와 병렬 연결된 제1 및 제2 스위치;
    상기 제2 제어부와 병렬 연결된 제3 및 제4 스위치;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토크 신호를 토대로 상기 구동부에 제공될 전류량을 결정하는 제1 신호를 생성하는 토크 테이블부;
    상기 제1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구동부에 필요한 전압 지령을 결정하는 제2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제어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토크 테이블부 및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제어부로부터 고장 신호를 제공받아 업데이트되는 제어 시스템.
KR1020140083702A 2014-07-04 2014-07-04 고장 허용 제어 시스템 KR2016000476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702A KR20160004764A (ko) 2014-07-04 2014-07-04 고장 허용 제어 시스템
US14/583,243 US9843284B2 (en) 2014-07-04 2014-12-26 System for controlling fault toler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702A KR20160004764A (ko) 2014-07-04 2014-07-04 고장 허용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764A true KR20160004764A (ko) 2016-01-13

Family

ID=55017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702A KR20160004764A (ko) 2014-07-04 2014-07-04 고장 허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43284B2 (ko)
KR (1) KR2016000476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9649A (zh) * 2017-10-22 2018-03-06 南京理工大学 基于冗余容错的超高速永磁同步电机驱动控制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7308B2 (ja) * 1998-06-16 2008-11-26 日本オーチス・エレベータ株式会社 可変速駆動装置
KR20050003732A (ko) * 2003-07-04 2005-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도 전동기용 벡터 제어형 듀얼 인버터 시스템
KR100559330B1 (ko) 2003-11-18 2006-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에서 듀얼 인버터 시스템의 비상 운전장치 및그것의 제어방법
KR100740336B1 (ko) 2006-04-14 2007-07-19 주식회사 피에스텍 무정지형 유도가열 전원장치 및 그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FR2910197B1 (fr) * 2006-12-13 2009-02-06 Messier Dowty Sa Sa Alimentation a deux onduleurs en serie pour actionneur electromecanique polyphase
US20080258661A1 (en) 2007-04-23 2008-10-23 Nagashima James M Inverter topology for an electric motor
JP4957538B2 (ja) * 2007-12-27 2012-06-2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コンバータ装置,回転電機制御装置および駆動装置
FR2936380B1 (fr) * 2008-09-24 2010-10-29 Messier Bugatti Actionneur electrique qui integre deux onduleurs de tension controles en courant alimentant une machine electrique et qui est reconfigurable en presence d'un defaut
JP5461529B2 (ja) 2009-04-17 2014-04-02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無停電電源システム
JP5311233B2 (ja) * 2010-12-27 2013-10-09 株式会社デンソー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TWI462458B (zh) 2011-09-09 2014-11-21 Delta Electronics Inc 具死區開路補償功能之驅動器
JP2013176828A (ja) * 2012-02-29 2013-09-09 Ebara Corp 研磨終点検出装置の遠隔監視システム
US9054599B2 (en) 2012-03-15 2015-06-09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Power converter and integrated DC choke therefor
KR101198638B1 (ko) 2012-06-07 2012-11-07 국제통신공업 주식회사 자기 부하분담 변압기를 이용한 병렬 운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06376A1 (en) 2016-01-07
US9843284B2 (en) 201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9450B2 (en) Winding switching apparatus and winding switching system
US10250169B2 (en) Robot system
US11239756B2 (en) Troubleshoo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upply device
CN111108662A (zh) 无线电力系统的保护和控制
JP2018068097A (ja) スイッチング素子の駆動回路
CN109039221B (zh) 一种主动短路电路以及电机控制器
CN103840641A (zh) 驱动电路、驱动模块以及电机驱动装置
KR20190065906A (ko) 전기차 충전기의 고장 검출 방법 및 장치
WO2021161794A1 (ja) 電力変換器の制御回路
WO2015045107A1 (ja) 突入電流制限回路、及び電力変換装置
JP2015159684A (ja) 回転電機制御装置
US20150185287A1 (en) Detection device for power component drivers,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JP6254029B2 (ja) 駆動制御装置及び故障検知方法
US9425787B2 (en) Gate driving device and inverter having the same
JP6194047B2 (ja) ゲートドライバ
JP2009254088A (ja) 電力変換装置
JPWO2017068628A1 (ja) 空気調和機
KR20160004764A (ko) 고장 허용 제어 시스템
CN104584355A (zh) 用于在负载减少时操控有源桥式整流器的方法、整流器装置和计算机程序产品
US20130015792A1 (en) Motor driving circuit and motor device
US20110187299A1 (en) Fan system and braking circuit thereof
US11233505B2 (en) Drive circuit for switch
CN111264024B (zh) 逆变器装置及其控制电路以及马达驱动系统
KR20150109155A (ko) 고전압 인버터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전동 압축기
US20150145586A1 (en) Gate driving device and inverter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