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725B1 -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725B1
KR101256725B1 KR1020107027632A KR20107027632A KR101256725B1 KR 101256725 B1 KR101256725 B1 KR 101256725B1 KR 1020107027632 A KR1020107027632 A KR 1020107027632A KR 20107027632 A KR20107027632 A KR 20107027632A KR 101256725 B1 KR101256725 B1 KR 101256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bit string
information
image
elevato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6919A (ko
Inventor
신이치 구로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72092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5672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6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2Devices monitoring the users of the elevator system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1000)는 부호화 장치(100)를 구비한다. 부호화 장치(100)의 부호화기(103)는 카메라(140)에 의해 촬영된 화상이며 A/D 컨버터(101)에 의해 디지털화된 엘리베이터칸 내 화상인 디지털 화상 신호(4)를, 프레임 버퍼(102)로부터 입력받는다. 동시에, 부호화기(103)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상황을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인 엘리베이터 정보(3)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30)로부터 입력받는다. 부호화기(103)는 디지털 화상 신호(4)를 MPEG4 등의 화상 부호화 규칙에 따라서 비트열로서 부호화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정보(3)를 소정의 엘리베이터 정보 부호화 규칙에 따라서 비트열로서 부호화한다. 부호화기(103)는 디지털 화상 신호(4)의 비트열과 엘리베이터 정보(3)의 비트열을 포함하고, 또한 디지털 화상 신호의 비트열과 엘리베이터 정보의 비트열이 관련지어진 부호화 비트열 데이터를 생성하여 복호 장치(110)에 출력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ELEVATOR MONITORING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칸 내를 촬영하는 카메라의 화상과 엘리베이터의 운전 상황을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정보를 관련지어 표시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1) 특허 문헌 1(일본 특개 2002-234676호 공보)에서는 표시 컨트롤러부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 내에 설치된 카메라의 화상과, 엘리베이터 제어반으로부터 얻어지는 엘리베이터 정보를 화상화한 것을 합성 처리한다. 또, 모니터에는 카메라의 화상과 엘리베이터 정보를 합성한 화상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 내 화상 중 엘리베이터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이 가려진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표시시키는 엘리베이터 정보가 많아질수록, 엘리베이터 정보에 가려지는 엘리베이터칸 내 화상의 면적이 많아져서, 보기 힘들어진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2) 또 특허 문헌 2(일본 특개 2000-351546호 공보)에서는 엘리베이터 상태를 기억하는 수단(엘리베이터 상태 기록 수단(103))과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수단(화상 기록 수단(105))이 다른 수단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화상 데이터와 그 화상 데이터가 촬영된 시점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운전 상태를 관련짓기 위해 시계 장치가 필요하다. 또, 표시할 때에는 시계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일시(日時) 정보를 키(key)로 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 상태와 화상 데이터를 표시할 필요가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보 특개 2002-234676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 2000-351546호 공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칸 내의 화상 상에 엘리베이터 정보를 오버레이(overlay)하는 일 없이, 엘리베이터칸 내의 화상과 엘리베이터 정보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간이한 구성의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화상 데이터와 엘리베이터 정보의 관련지음을 행하는 수단이 불필요한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는, 엘리베이터칸 내부의 실시간 화상을 나타내는 디지털 화상 신호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실시간 운전 상황을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인 엘리베이터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디지털 화상 신호를 소정의 화상 부호화 규칙에 따라서 비트열로서 부호화함과 아울러 상기 엘리베이터 정보를 소정의 엘리베이터 정보 부호화 규칙에 따라서 비트열로서 부호화하고, 상기 디지털 화상 신호의 상기 비트열과 상기 엘리베이터 정보의 상기 비트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디지털 화상 신호의 상기 비트열과 상기 엘리베이터 정보의 상기 비트열이 관련지어진 부호화 비트열 데이터를 생성하는 부호화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디지털 화상 신호의 상기 비트열과 상기 엘리베이터 정보의 상기 비트열이 관련지어진 상기 부호화 비트열 데이터로서, 상기 디지털 화상 신호의 상기 비트열을 포함하는 영역과 상기 엘리베이터 정보의 상기 비트열을 포함하는 영역을 포함함과 아울러, 상기 디지털 화상 신호의 상기 비트열을 포함하는 영역과 상기 엘리베이터 정보의 상기 비트열을 포함하는 영역이 연속하는 상기 부호화 비트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는 추가로, 상기 부호화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부호화 비트열 데이터를 격납하는 격납부와; 상기 격납부에 격납된 상기 부호화 비트열 데이터를 독입(읽어들임)하고, 상기 부호화 비트열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디지털 화상 신호의 상기 비트열을 상기 화상 부호화 규칙에 대응하는 화상 복호 규칙에 따라서 복호함과 아울러, 상기 부호화 비트열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엘리베이터 정보의 상기 비트열을 상기 엘리베이터 정보 부호화 규칙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정보 복호 규칙에 따라서 복호하는 복호부와; 상기 복호부에 의해 복호된 상기 디지털 화상 신호의 상기 비트열이 나타내는 화상과, 상기 복호부에 의해 복호된 상기 엘리베이터 정보의 상기 비트열이 나타내는 상기 운전 상황을 오버레이하는 일 없이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소정의 화상 부호화 규칙으로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과 MPEG4(Moving Picture Experts Group4) 중 어느 하나의 상기 화상 부호화 규칙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소정의 엘리베이터 정보 부호화 규칙이 기재된 부호화 테이블을 가지고, 상기 부호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정보를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엘리베이터 정보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엘리베이터의 고장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도어 개폐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내의 화상 상에 엘리베이터 정보를 오버레이하는 일 없이, 엘리베이터칸 내의 화상과 엘리베이터 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화상 데이터와 엘리베이터 정보의 관련지음을 행하는 전용 수단이 불필요한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1000)의 구성도.
도 2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부호화 장치(100) 또는 복호 장치(11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
도 3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JPEG에 준거하여 작성된 화상 부호화 비트열(5).
도 4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부호화 테이블(1031).
도 5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모니터(120)가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
도 6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코멘트 세그먼트 영역(6020)의 구체예.
도 7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MPEG4에 준거하여 작성된 화상 부호화 비트열(5).
도 8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유저 데이터 영역(8020)의 구체예.
도 9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화상 신호와 엘리베이터 정보의 부호화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1000)의 다른 구성도.
도 1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모니터(120)가 표시 화상의 촬영 일시를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1000)의 구성을 나타낸다.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1000)는 부호화 장치(100), 복호 장치(110), 및 모니터(120;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부호화 장치(100)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30)로부터 출력되는 엘리베이터 정보(3)와, 엘리베이터칸 내에 설치된 카메라(14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화상 신호(2)를 입력하고, 후술하는 「엘리베이터 정보(3)를 포함하는 화상 부호화 비트열(5)」을 생성한다. 복호 장치(110)는 부호화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엘리베이터 정보(3)를 포함하는 화상 부호화 비트열(5)」을 복호한다. 모니터(120)는 복호 장치(110)에 의해 복호된 복호 화상, 엘리베이터 정보의 내용(엘리베이터의 운전 상황)를 표시한다. 또한, 엘리베이터칸의 내부에 설치되는 카메라(140)는 디지털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카메라이어도 좋다. 그 경우, A/D 컨버터(101)는 없어도 좋다.
(설치 장소)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30)와 부호화 장치(100)는 엘리베이터 기계실 또는 승강로에 설치된다. 복호 장치(110)와 모니터(120)는 빌딩의 관리 입실에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설치 장소는 일례이며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장치의 구성)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부호화 장치(100)는 A/D 컨버터(101), 프레임 버퍼(frame buffer; 102), 및 부호화기(103)를 구비하고 있다. 또, 부호화기(103)는 부호화 테이블(1031)을 구비하고 있다. A/D 컨버터(101)는 카메라(140)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화상 신호(2)를 디지털 화상 신호(4)로 변환한다. 프레임 버퍼(102)는 적어도 화면의 1 프레임을 버퍼링 가능한 프레임 버퍼이다. 부호화기(103)는 프레임 버퍼(102)에 있는 디지털 화상 신호(4)의 부호화 처리와 엘리베이터 정보(3)의 부호화 처리를 행하고, 「엘리베이터 정보(3)를 포함하는 화상 부호화 비트열(5)」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2) 복호 장치(110)는 복호기(111), 격납부(112)를 구비한다. 또, 복호기(111)는 복호 테이블(1111)을 구비하고 있다. 격납부(112)는 부호화 장치(100)로부터 출력된 「엘리베이터 정보(3)를 포함하는 화상 부호화 비트열(5)」을 축적한다. 복호기(111)는 격납부(112)에 축적된 「엘리베이터 정보(3)를 포함하는 화상 부호화 비트열(5)」을, 복호 테이블(1111)을 이용하여 복호한다.
또한, 도 1에서는 부호화 장치(100)와 복호 장치(110)를 별개의 장치로 하고 있다. 그러나 부호화 장치(100)와 복호 장치(110)는 하나의 장치로서 실현되어도 상관없다.
(하드웨어 구성)
도 2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부호화 장치(100), 복호 장치(11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화 장치(100), 복호 장치(110)는 모두 도 2에 나타내는 하드웨어 자원(資源)을 가지는 컴퓨터이다. 도 2에 대한 이하의 설명은 부호화 장치(100)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부호화 장치(100)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30)와 함께 엘리베이터 기계실 또는 승강로에 설치되는 경우에 표시부(813), 조작 키(814)를 갖지 않아도 상관없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표시부(813), 조작 키(814)를 구비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부호화 장치(10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810; Central Processing Unit)를 구비하고 있다. CPU(810)는 버스(825)를 통하여 ROM(Read Only Memory; 811), RAM(Random Access Memory; 812), 표시부(813), 조작 키(814), 통신 보드(816), 자기 디스크 장치(820)와 접속되고, 이러한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자기 디스크 장치(820) 대신에, 플래쉬 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이어도 좋다.
RAM(812)은 휘발성 메모리의 일례이다. ROM(811), 자기 디스크 장치(820) 등의 기억 매체는 불휘발성 메모리의 일례이다. 이들은 기억 장치 또는 기억부, 격납부, 버퍼의 일례이다. 통신 보드(816), 조작 키(814) 등은 입력부, 입력 장치의 일례이다. 또, 통신 보드(816), 표시부(813) 등은 출력부, 출력 장치의 일례이다.
자기 디스크 장치(820)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821; OS), 프로그램 그룹(823), 파일 그룹(824)이 기억되어 있다. 프로그램 그룹(823)의 프로그램은 CPU(810), 오퍼레이팅 시스템(821)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 프로그램 그룹(823)에는 후술하는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부호화기(부호화부), 복호기(복호부)로서 설명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프로그램은 CPU(810)에 의해 독출되어 실행된다. 즉,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부호화기(또는 복호기)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이다.
파일 그룹(824)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테이블」로서 설명하는 정보나, 「 ~ 의 판정 결과」, 「 ~ 의 산출 결과」, 「 ~ 의 추출 결과」, 「 ~ 의 생성 결과」, 「 ~ 의 처리 결과」로서 설명하는 정보나, 데이터나 신호값이나 변수값이나 파라미터 등이 「 ~ 파일」이나 「 ~ 데이터베이스」의 각 항목으로서 기억되어 있다. 「 ~ 파일」이나 「 ~ 데이터베이스」는 디스크나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에 기억된다. 디스크나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에 기억된 정보나 데이터나 신호값이나 변수값이나 파라미터는 독출 기입 회로를 통하여 CPU(810)에 의해 메인 메모리나 캐시 기억 장치에 독출되고, 추출ㆍ검색ㆍ참조ㆍ비교ㆍ연산ㆍ계산ㆍ처리ㆍ출력ㆍ표시 등의 CPU의 동작에 이용된다. 추출ㆍ검색ㆍ참조ㆍ비교ㆍ연산ㆍ계산ㆍ처리ㆍ출력ㆍ표시의 CPU의 동작 동안, 정보나 데이터나 신호값이나 변수값이나 파라미터는 메인 메모리나 캐시 기억 장치나 버퍼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동작의 설명)
다음에 도 1을 참조하여 동작을 설명한다.
(부호화 장치(100)의 동작)
엘리베이터칸 내에 설치된 카메라(140)는 촬영한 엘리베이터칸 내의 아날로그 화상 신호(2)를 부호화 장치(100)의 A/D 컨버터(101)에 출력한다(S01). 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30)는 「엘리베이터 정보(3)」를 부호화 장치(100)의 부호화기(103)에 출력한다(S02). 여기서 「엘리베이터 정보(3)」는 엘리베이터의 실시간 운전 상황을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이며, 예를 들어,
(1) 엘리베이터칸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2)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
(3) 엘리베이터의 고장을 나타내는 정보,
(4) 엘리베이터칸의 도어 개폐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하는 신호이다. 「엘리베이터 정보(3)」가 어떠한 정보(신호)를 포함하는지에 대해서는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1) 엘리베이터칸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 「(4) 엘리베이터칸의 도어 개폐를 나타내는 정보」의 4개를 포함하는 것을 상정한다.
(부호화 장치(100)에 있어서 처리)
실시간의 엘리베이터칸 내의 실시간 아날로그 화상 신호(2; 실시간 화상)는 A/D 컨버터(101)에 입력되고(S01), 디지털 화상 신호(4)로 변환된다. 변환된 디지털 화상 신호(4)는 프레임 버퍼(102)에 입력되고, 일시적으로 격납된다(S03). 부호화기(103)는 프레임 버퍼(102)에 격납된 디지털 화상 신호(4)의 부호화 처리와 엘리베이터 정보(3)의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고, 「엘리베이터 정보(3)를 포함하는 화상 부호화 비트열(5)」(부호화 비트열 데이터의 일례)을 생성하고, 복호 장치(110)에 출력한다(S04).
(부호화기(103)가 JPEG에 준거하는 경우)
부호화기(103; 부호화부)는 예를 들어, JPEG에 준거한 부호화기이다. JPEG에 준거하는 경우, 부호화기(103)는 JPEG에 따른 부호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우선 프레임 버퍼(102)에 격납된 디지털 화상 신호(4)로부터 「화상 부호화 비트열(5)」(엘리베이터 정보(3)의 비트열이 삽입되기 전의 것)을 작성한다.
도 3은 부호화기(103)가 JPEG에 준거하여 작성하는 화상 부호화 비트열(5)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JPEG에 준거하여 생성되는 화상 부호화 비트열(5)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타트 마커(601)로부터 시작되고, 세그먼트(segment; 602), 이미지 데이터(603)로 이어져서, 엔드 마커(604)에서 끝난다. 여기서, 이미지 데이터(603)는 카메라(140)가 촬영한 엘리베이터칸 내의 화상을 나타내는 디지털 화상 신호(4)를 디지털 압축한 비트열이다. 이 이미지 데이터(603)의 영역에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칸 내 화상의 1 프레임이 삽입(기록)된다.
또, 코멘트 세그먼트 영역(6020)은 세그먼트(602)에 포함된다. 코멘트 세그먼트 영역(6020)은 유저가 독자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영역이다. 코멘트 세그먼트 영역(6020)은 COM 마커(6021), 코멘트 세그먼트 영역의 세그먼트 길이(6022; 코멘트 세그먼트에 부가하는 부호의 바이트수+2), 및 코멘트 세그먼트(6023)로 구성된다.
(부호화 테이블(1031))
또, 부호화기(103)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정보(3)를 부호화하기 위한 부호화 테이블(1031; 소정의 엘리베이터 정보 부호화의 일례)를 구비하고 있다. 부호화기(103)는 부호화 테이블(1031)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정보(3)의 부호화 처리를 행한다. 즉, 부호화기(103)는 부호화 테이블(1031)을 이용하여,
(1) 엘리베이터칸 위치 정보,
(2) 이동 방향,
(3) 엘리베이터의 고장 정보,
(4) 도어 개폐 정보
를 부호화하고, 부호화한 이러한 비트열을 이 순서로, 작성이 끝난 화상 부호화 비트열(5)의 코멘트 세그먼트(6023)에 삽입하여, 「엘리베이터 정보(3)를 포함하는 화상 부호화 비트열(5)」을 생성한다. 이 경우, 비트열로서 삽입되는 엘리베이터 정보(3)는 이미지 데이터(603)의 영역에 삽입되어 있는 화상의 비트열에 대응하고 있다. 즉, 코멘트 세그먼트(6023)에 삽입된 엘리베이터 정보(3)는 이미지 데이터(603)의 화상이 촬영된 시점(촬영과 동시각, 또는 최근의 시각)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정보(3)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그먼트(602; 엘리베이터 정보의 비트열을 포함하는 영역)와 이미지 데이터(603; 디지털 화상 신호의 비트열을 포함하는 영역)는 연속하므로, 비트열화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내의 화상과 이 화상의 촬영 시점의 엘리베이터 정보를 관련지을 수 있다.
엘리베이터칸 내의 화상과 이 화상의 촬영 시점의 엘리베이터 정보의 「관련지음」은 JPEG, 또는 MPEG4의 신택스(syntax)에 의해 정의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관련지음의 일례로서, 상기와 같이, 연속하는 세그먼트(602; 엘리베이터 정보의 비트열을 포함하는 영역)와 이미지 데이터(603; 디지털 화상 신호의 비트열을 포함하는 영역)가 관련지어지지만, 연속하는 것은 일례이며, JPEG, 또는 MPEG4의 신택스에 기초하여 다른 관련지음도 가능하다.
(JPEG에 있어서 코멘트 세그먼트로의 삽입예)
이하에 구체예를 나타낸다. 엘리베이터 정보(3)로서, 이하의 부호화 비트열이 입력되었다고 가정한다.
(1) 엘리베이터칸 위치 정보 : 건물의 최하층
(2)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방향 : UP
(3) 엘리베이터의 고장 정보 : 고장 요인 1과 고장 요인 3
(4)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개폐 정보 : 도어 닫힘
상기의 경우, 도 4에 나타내는 부호화 테이블(1031)을 이용하여 부호화 비트열을 얻으면 이하와 같이 된다.
(1) 엘리베이터칸 위치 정보 : 「0000 0000」(16 진수로 표기하면 00),
(2) 이동 방향 : 「0000 0000」(16 진수로 표기하면 00),
(3) 엘리베이터의 고장 정보 : 「0000 0101」(16 진수로 표기하면 05),
(4) 도어 개폐 정보 : 「1111 1111」(16 진수로 표기하면 FF).
따라서 (1) ~ (4)는 16진 표기로 「0000 05FF」라고 표기할 수 있다.
COM 마커(6021)의 부호화 비트열은 「FFFE」(JPEG에서 규정되어 있음)이기 때문에, 이 경우에 있어서 코멘트 세그먼트 영역(6020)에 부가된 엘리베이터 정보(3)는 도 6의 코멘트 세그먼트 영역(6020)이 된다.
부호화기(103)는 「엘리베이터 정보(3)를 포함하는 화상 부호화 비트열(5)」을, LAN(Looal Area Network) 등을 통해, 빌딩의 관리인실에 있는 복호 장치(110)에 송신한다.
(복호 장치(110)에 의한 처리)
복호 장치(110)는 「엘리베이터 정보(3)를 포함하는 화상 부호화 비트열(5)」을 부호화 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격납부(112)에 격납한다(S05). 복호기(111)는 격납부(112)에 격납된 「엘리베이터 정보(3)를 포함하는 화상 부호화 비트열(5)」을 독입하여 복호한다(S06). 이 경우, 복호기(111)는 복호 처리의 결과로서, 복호 화상(7)과 엘리베이터 정보(8; 엘리베이터 정보(3)의 복호 후의 정보)를 모니터(120)에 출력한다. 부호화기(12)가 JPEG에 준거하고 있는 경우, 복호기(111)는 JPEG에 준거한 기준(「소정의 화상 부호화 규칙에 대응하는 화상 복호 규칙」의 일례)에 따라서 화상의 비트열을 복호한다.
(엘리베이터 정보(3)의 복호)
이 경우, 복호기(111)는 예를 들어 JPEG의 규정에 따라서 복호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복호 화상(7)을 생성한다. 또, 복호기(111)는 도 4에 나타낸 부호화 테이블(1031)과 동일한 복호 테이블(1111; 「소정의 엘리베이터 정보 부호화 규칙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정보 복호 규칙」의 일례)을 가지고 있다. 복호기(111)는 복호 테이블(1111)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정보(3)를 포함하는 화상 부호화 비트열(5)」 중, 코멘트 세그먼트(6023)에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정보(3)의 부호화 비트열의 복호 처리를 실행하여, 엘리베이터 정보(8; 복호 후의 엘리베이터 정보)를 모니터(120)에 출력한다. 즉, 복호기(111)는 엘리베이터 정보(3)의 부호화 비트열의 복호 처리의 경우에,
(1) 엘리베이터칸 위치 정보,
(2) 이동 방향,
(3) 엘리베이터의 고장 정보,
(4) 도어 개폐 정보
의 순서로, 도 4의 복호 테이블(1111)을 이용하여 복호한다.
(모니터의 동작)
복호 화상(7)과 엘리베이터 정보(8)는 복호 장치(110)로부터 모니터(120)로 출력된다. 도 5는 모니터(120)가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니터(120)의 화면에는 복호 화상(7)과 엘리베이터 정보(8)가 오버레이하는 일 없이 별개로 표시된다. 도 5에서는 표시(201)가 층을 나타내고 있고, 도형(202)이
(1) 엘리베이터칸 위치 정보 : 1층
(2) 이동 방향 : UP
(3) 도어 닫힘 상태
의 3개를 나타내고 있다.
또, 표시(203)가 고장 정보로서 「고장 요인 1」과「고장 요인 3」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화상(204)이 현재의 엘리베이터칸 내부의 엘리베이터칸 내 영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내 영상은 엘리베이터 정보(엘리베이터의 운전 상황)의 표시에 가려지는 일이 없어져서 보기 쉬워진다. 또, 복호기(111)가 「엘리베이터 정보(3)를 포함하는 화상 부호화 비트열(5)」의 복호 처리를 행할 뿐, 화상 데이터와 엘리베이터 정보의 관련지음을 행하는 전용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복호 화상(7)과 복호 화상(7)에 링크한 엘리베이터 정보(8)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간단한 구성으로 복호 화상(7)과 이것에 링크한 엘리베이터 정보(8)를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부호화기(103)가 MPEG4에 준거하는 경우)
또, 부호화기(103)는 예를 들어, MPEG4에 준거한 것이어도 좋다. 도 7은 부호화기(103)가 MPEG4의 규정(소정의 화상 부호화 규칙의 일례)에 따라서 부호화 처리를 실행한 경우에 작성되는 「화상 부호화 비트열(5)」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화상 부호화 비트열(5)」에서는 (n-1)번째의 화상 데이터(401)와 (n)번째의 화상 데이터(402)를 나타내고 있다. (n-1)번째의 화상 데이터(401) 쪽이 먼저 촬영된 화상이다. 예를 들어, (n)번째의 화상 데이터(402)는 헤더 정보(801; 엘리베이터 정보의 비트열을 포함하는 영역의 일례)와 이미지 데이터(802; 디지털 화상 신호의 비트열을 포함하는 영역의 일례)로 구성되어 있다. 헤더 정보(801)와 이미지 데이터(802)는 연속하는 영역이다. 이미지 데이터(802)의 영역에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칸 내 화상의 1 프레임이 삽입(기록)된다. 또는 이미지 데이터(802)의 영역에는 복수 프레임이 기록되어도 된다. 이미지 데이터(802)의 영역에 삽입되는 프레임수는 구현에 따른다. JPEG의 경우와 동일하게, 부호화기(103)는 도 4에 나타내는 부호화 테이블(1031; 엘리베이터 정보 부호화 규칙의 일례)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부호화기(103)는 부호화 테이블(1031)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입력된 엘리베이터 정보(3)의 부호화 처리를 행한다. 부호화기(103)는 이미 작성이 끝난 화상 부호화 비트열(5; 도 7)에 존재하는 유저 데이터 영역(8020) 내 유저 데이터(8022)의 영역에,
(1) 엘리베이터칸 위치 정보,
(2) 이동 방향,
(3) 엘리베이터의 고장 정보,
(4) 도어 개폐 정보
의 순서로, 부호화한 각 부호화 비트열을 삽입하여, 「엘리베이터 정보(3)를 포함하는 화상 부호화 비트열(5)」을 작성한다. 이 경우, 유저 데이터(8022)의 영역에 삽입되는 엘리베이터 정보(3)의 부호화 비트열은 이미지 데이터(802)의 영역에 삽입되어 있는 화상의 비트열에 대응하고 있다. 즉, 유저 데이터(8022)에 삽입된 엘리베이터 정보(3)는 이미지 데이터(802)의 화상이 촬영된 시점(촬영과 동시각, 또는 최근의 시각)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정보(3)이다. 동일하게, 헤더 정보(701)에 삽입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정보(3)는 이미지 데이터(702)의 화상이 촬영된 시점(촬영과 동시각, 또는 최근의 시각)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정보(3)이다.
도 8은 유저 데이터 영역(8020)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정보(3)를 포함하는 화상 부호화 비트열(5)」의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다. 유저 데이터 영역(8020)은 헤더 정보(801)에 포함되고, 유저가 독자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영역이다. 유저 데이터 영역(8020)은 유저 데이터 스타트 코드(8021)에 이어서, 유저 데이터(8022)를 부가하는 구성이다. 엘리베이터 정보(3)로서,
(1) 엘리베이터칸 위치 정보 : 건물의 최하층,
(2) 이동 방향 : UP,
(3) 엘리베이터의 고장 정보 : 고장 요인 1과 고장 요인 3,
(4) 도어 개폐 정보 : 도어 닫힘이 입력,
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유저 데이터 스타트 코드의 부호화 비트열은 「000001 B2」(MPEG4에서 규정되어 있음)이기 때문에, 이 경우에 있어서 유저 데이터 영역(8020)은 도 8에 나타내는 신호가 된다.
(화상 정보와 엘리베이터 정보의 관련지음)
도 9는 재확인의 의미에서, 부호화기(103)에 의한 「엘리베이터 정보(3)를 포함하는 화상 부호화 비트열(5)」의 생성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카메라(140)는 엘리베이터칸 내를 촬영한 현재의 영상 신호(실시간의 화상)인 아날로그 화상 신호(2)를 A/D 컨버터(101)에 연속적으로 출력한다. A/D 컨버터(101)는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아날로그 화상 신호(2)를 순차로 디지털 화상 신호(4)로 변환하여 부호화기(103)에 출력한다. 한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30)는 디지털 신호인 현재의 엘리베이터 정보(3)를 부호화기(103)에 연속적으로 출력한다. 엘리베이터 정보(3)는 엘리베이터의 현재의 운전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실시간의 운전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 9에서는 화살표의 방향의 정보가 먼저 부호화기(103)에 입력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날로그 화상 신호(2)는 디지털 화상 신호(4)로 변환되어 부호화기(103)에 입력된다. 부호화기(103)는 연속적으로 입력되어 오는 디지털 화상 신호(4)를 화상 부호화 비트열(5)로 변환함과 아울러, 화상 부호화 비트열(5)의 소정의 영역에, 엘리베이터 정보(3)를 비트열화한 정보를 삽입한다. 도 9의 (n-1)401, (n)402는 도 7의 화상 데이터(401), 화상 데이터(402)로서 부호화되는 디지털 화상 신호(4) 및 엘리베이터 정보(3)의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즉, (n-1)401에서는 거의 동시각에 있어서 디지털 화상 신호(4)와 엘리베이터 정보(3)가 비트열화된다. 다음의 엘리베이터칸 내 화상이 되는 (n)402에 대해서도 (n-1)401과 동일하다. 즉, 엘리베이터 정보(3)와 아날로그 화상 신호(2)는 현재의 실시간 정보가 연속적으로 부호화 장치(100)에 입력된다. 또, 아날로그 화상 신호(2)로부터 디지털 화상 신호(4)로의 변환은 순시(瞬時)이다. 따라서 부호화기(103)는 디지털 화상 신호(4)와 엘리베이터 정보(3)를 도 9에 나타내는 타이밍에서 비트열화하는 것에 의해, 특별한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엘리베이터칸 내의 화상이 촬영된 시점(시각)과, 그 시점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정보(즉, 엘리베이터의 운전 상황)를 관련짓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MPEG4에 있어서 복호기)
또, 이 경우, 복호 장치(110)의 복호기(111)는 MPEG4에 준거한 것이 된다. 즉 복호기(111)는 MPEG4에 준거한 규정(「소정의 화상 부호화 규칙에 대응하는 화상 복호 규칙」의 일례)에 따라서 화상 부호화 비트열을 복호한다. 또, 복호기(111)는 JPEG의 경우와 동일하게, 엘리베이터 정보(3)의 부호화 비트열을 복호 테이블(1111; 「소정의 엘리베이터 정보 부호화 규칙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정보 복호 규칙」의 일례)를 이용하여 복호한다. 이와 같이, 복호기(111)는 MPEG4에 규정되어 있는 화상의 복호 처리를 행하고, 복호 화상(7)의 출력에 추가로, 부호화 테이블(1031)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정보(3)를 포함하는 화상 부호화 비트열(5)」 중 유저 데이터(8022)에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정보(3)의 부호화 비트열의 복호 처리를 행하고, 엘리베이터 정보(8)를 모니터(120)에 출력한다. 모니터(120)의 동작은 JPEG의 경우와 동일하다.
(과거의 화상 재생)
도 10을 참조하여, 복호 장치(110)에 의해 과거의 화상을 재생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0의 경우는 MPEG4의 이용을 상정한다. 도 10에서는 도 1에 대해, 부호화 장치(100)가 시계부(104)를 구비하고, 복호 장치(110)가 데이터 추출부(113)를 구비한다.
(부호화 장치(100))
시계부(104)는 현재의 일자, 시각을 계측하는 시계 기능을 가진다. 시계부(104)는 현재의 일시를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인 일시 정보를 부호화기(103)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시계부(104)는 일시 정보로서 예를 들어 「2007.11.17, 14:32:56」을 출력한다(2007년 11월 17일, 14시 32분 56초를 나타냄). 부호화기(103)는 시계부(104)로부터 일시 정보를 입력하면, 상술한 「엘리베이터 정보(3)를 포함하는 화상 부호화 비트열(5)」을 생성할 때에, 일시 정보를 삽입한다. 예를 들어 MPEG4의 경우, 부호화기(103)는 도 7에 나타낸 헤더 정보(701), 헤더 정보(801) 등의 헤더 정보에 일시 정보를 삽입한다. 이로 인해, 이미지 데이터(702)에 삽입되는 화상 데이터는 헤더 정보(701)에 삽입되는 일시 정보와 대응하고, 이미지 데이터(802)에 기록되는 화상 데이터는 헤더 정보(801)에 기록되는 일시 정보와 대응한다. 부호화기(103)는 일시 정보가 삽입된 「엘리베이터 정보(3)를 포함하는 화상 부호화 비트열(5)」(이하, 일시 정보 첨부 비트열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복호 장치(110)에 출력한다.
(복호 장치(110))
복호 장치(110)에서는 부호화기(103)로부터 출력된 일시 정보 첨부 비트열을 격납부(112)가 축적한다. 이 경우, 데이터 추출부(113)에 일시가 입력되면, 데이터 추출부(113)는 입력된 일시를 키로 하여, 격납부(112)로부터, 입력된 일시에 대응하는 일시 정보 첨부 비트열을 추출하고 복호기(111)에 출력한다. 복호기(111)는 일시 정보 첨부 비트열을 입력하면, 도 1의 경우와 동일하게, 일시 정보가 삽입된 「엘리베이터 정보(3)를 포함하는 화상 부호화 비트열(5)」을 복호하여 모니터(120)에 표시한다.
도 11은 복호되었을 때 정보 첨부 비트열이 모니터(120)에 표시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니터(120)의 화면에는 화상(204)이 촬영된 일시(205)가 「2007.11.17, 14:32」와 같이 표시된다. 이로 인해, 과거의 시각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 내 화상과 엘리베이터칸 내 화상이 촬영된 시점의 엘리베이터 정보를 간단하게 검색하여 모니터(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1000)에서는 부호화기(103)가 「엘리베이터 정보(3)를 포함하는 화상 부호화 비트열(5)」을 생성하므로, 엘리베이터 정보와 엘리베이터칸 내 화상을 오버레이하는 일 없이 모니터(120)에 표시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1000)에서는 부호화기(103)가 디지털 화상 신호의 비트열과 엘리베이터 정보의 비트열을 관련지어 「엘리베이터 정보(3)를 포함하는 화상 부호화 비트열(5)」을 생성하므로, 화상 데이터와 엘리베이터 정보를 관련짓기 위한 수단이 불필요하다.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1000)에서는 복호기(111)가 「엘리베이터 정보(3)를 포함하는 화상 부호화 비트열(5)」을 복호하여 모니터(120)에 표시하므로, 엘리베이터 정보와 엘리베이터칸 내 화상을 오버레이하는 일 없이 표시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1000)에서는 부호화기(103)와 복호기(111)가 JPEG과 MPEG4 중 어느 하나의 규칙에 따르므로, 기존 규칙의 이용에 의해 간이한 구성으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1000)에서는 부호화기(103)가 부호화 테이블(1031)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정보를 부호화한다. 따라서 부호화 테이블(1031)에 의해 엘리베이터 정보를 유연(柔軟)하게 설정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1000)에서는 엘리베이터 정보(3)가 엘리베이터칸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 엘리베이터의 고장을 나타내는 정보, 및 엘리베이터칸의 도어 개폐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감시를 위해 중요한 이러한 정보를 엘리베이터칸 내 화상과 오버레이하는 일 없이 모니터(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엘리베이터칸 내에 카메라(140)가 설치되어 있고, 엘리베이터의 운전 상태를 표시하면서 상기 카메라(140)의 화상을 표시하는 엘리베이터의 감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140)가 촬영한 화상을 디지털화한 후, 화상 압축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화된 화상 데이터의 부호화 처리를 행할 때에, 아울러 엘리베이터 제어반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엘리베이터 정보)를 부호화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정보와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부호화 비트열을 출력하는 부호화 장치(100)와;
상기 부호화 비트열로부터 화상 데이터와 엘리베이터 정보를 동시에 복호하는 복호 장치와;
복호 결과인 복호 화상과 엘리베이터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를 설명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1) 화상 압축 기술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이며 복호 화상의 화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영역에, 엘리베이터 정보의 부호화 비트열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화상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가 촬영된 시점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정보의 관련지음을 행하도록 했다. 이 때문, 표시기에 표시하는 복호 화상 상에 엘리베이터 정보를 오버레이할 필요가 없어졌다. 따라서 빌딩 관리인은 엘리베이터칸 내 전체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2) 1개의 부호화 비트열을 복호 처리하는 것에 의해, 화상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가 촬영된 시점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정보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이 때문, 화상 데이터와 엘리베이터 정보의 관련지음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전용 수단이 불필요해졌다. 이 때문에, 화상 데이터와 그 화상 데이터가 촬영된 시점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정보를 용이하게 간이한 구성에 의해 표시할 수 있다.
2 아날로그 화상 신호,
3 엘리베이터 정보,
4 디지털 화상 신호,
5 화상 부호화 비트열,
7 복호 화상,
8 엘리베이터 정보,
100 부호화 장치,
101 A/D 컨버터,
102 프레임 버퍼,
103 부호화기,
104 시계부,
110 복호 장치,
111 복호기,
112 격납부,
113 데이터 추출부,
120 모니터,
130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140 카메라,
1000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
1031 부호화 테이블,
1111 복호 테이블,
301 COM 마커,
302 세그먼트 길이,
303 부호화된 엘리베이터 정보,
401 (n-1)번째의 화상 데이터,
402 (n)번째의 화상 데이터,
501 유저 데이터 스타트 코드,
502 부호화된 엘리베이터 정보.

Claims (6)

  1. 삭제
  2. 엘리베이터칸 내부의 실시간 화상을 나타내는 디지털 화상 신호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실시간 운전 상황을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인 엘리베이터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디지털 화상 신호를 소정의 화상 부호화 규칙에 따라서 비트열로서 부호화함과 아울러 상기 엘리베이터 정보를 소정의 엘리베이터 정보 부호화 규칙에 따라서 비트열로서 부호화하고, 상기 디지털 화상 신호의 상기 비트열과 상기 엘리베이터 정보의 상기 비트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디지털 화상 신호의 상기 비트열을 포함하는 영역과 상기 엘리베이터 정보의 상기 비트열을 포함하는 영역이 연속하는 부호화 비트열 데이터를 생성하는 부호화부와,
    상기 부호화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부호화 비트열 데이터를 격납하는 격납부와,
    상기 격납부에 격납된 상기 부호화 비트열 데이터를 독입(읽어들임)하고, 상기 부호화 비트열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디지털 화상 신호의 상기 비트열을 상기 화상 부호화 규칙에 대응하는 화상 복호 규칙에 따라서 복호함과 아울러, 상기 부호화 비트열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엘리베이터 정보의 상기 비트열을 상기 엘리베이터 정보 부호화 규칙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정보 복호 규칙에 따라서 복호하는 복호부와,
    상기 복호부에 의해 복호된 상기 디지털 화상 신호의 상기 비트열이 나타내는 화상과, 상기 복호부에 의해 복호된 상기 엘리베이터 정보의 상기 비트열이 나타내는 상기 운전 상황을 오버레이(overlay)하는 일 없이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소정의 화상 부호화 규칙으로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과 MPEG4(Moving Picture Experts Group4) 중 어느 하나의 상기 화상 부호화 규칙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소정의 엘리베이터 정보 부호화 규칙이 기재된 부호화 테이블을 가지고, 상기 부호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정보를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정보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엘리베이터의 고장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도어 개폐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
KR1020107027632A 2008-08-27 2008-08-27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 KR101256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65265 WO2010023734A1 (ja) 2008-08-27 2008-08-27 エレベータ監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919A KR20110016919A (ko) 2011-02-18
KR101256725B1 true KR101256725B1 (ko) 2013-04-19

Family

ID=41720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632A KR101256725B1 (ko) 2008-08-27 2008-08-27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316772B1 (ko)
JP (1) JP5328794B2 (ko)
KR (1) KR101256725B1 (ko)
CN (1) CN102066225B (ko)
WO (1) WO20100237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36355A (zh) * 2011-10-08 2012-02-01 无锡艾德里安科技有限公司 电梯监控系统
CN110035967B (zh) * 2016-12-07 2020-09-1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用监视装置
JP6673265B2 (ja) * 2017-03-06 2020-03-2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6566183B1 (ja) * 2018-06-01 2019-08-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監視装置
CN110386529A (zh) * 2019-07-12 2019-10-29 合肥天浦硕能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物联网三通采集系统和方法
CN113003339B (zh) * 2021-02-22 2022-12-20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识别方法、识别系统与电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1959A (ja) * 1999-10-04 2001-04-20 Hitachi Ltd 監視システム
JP2007235668A (ja) * 2006-03-02 2007-09-13 Toshiba Elevator Co Ltd 映像監視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3578U (zh) * 1990-11-24 1991-08-28 路子明 电梯监控机
JP3841256B2 (ja) * 2000-02-15 2006-11-01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及び送信端末
KR20040032191A (ko) * 2002-10-01 2004-04-17 (주)한기술 엘리베이터 보안시스템
JP2004252763A (ja) * 2003-02-20 2004-09-09 Toshiba Elevator Co Ltd 監視システム
JP4384891B2 (ja) * 2003-10-20 2009-12-16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のカメラ映像配信装置
US7575103B2 (en) 2004-08-11 2009-08-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supervisory system for managing operating condition data
KR20060106231A (ko) * 2005-04-06 2006-10-12 (주)에이치피엔알티 승강기 운행 감시시스템
US8020672B2 (en) * 2006-01-12 2011-09-20 Otis Elevator Company Video aided system for elevator control
JP2008143654A (ja) * 2006-12-11 2008-06-26 Chuo Electronics Co Ltd エレベータ室内異常検知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室内異常検知方法
JP2008169018A (ja) * 2007-01-15 2008-07-24 Hitachi Ltd エレベータ監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1959A (ja) * 1999-10-04 2001-04-20 Hitachi Ltd 監視システム
JP2007235668A (ja) * 2006-03-02 2007-09-13 Toshiba Elevator Co Ltd 映像監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023734A1 (ja) 2012-01-26
WO2010023734A1 (ja) 2010-03-04
KR20110016919A (ko) 2011-02-18
JP5328794B2 (ja) 2013-10-30
EP2316772A4 (en) 2014-07-23
CN102066225B (zh) 2013-05-15
CN102066225A (zh) 2011-05-18
EP2316772B1 (en) 2016-09-21
EP2316772A1 (en)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6725B1 (ko)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
JP5332773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WO2015072631A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7990386B2 (en) Method for correlating animation and video in a computer system
US20060015735A1 (en) Electronic watermark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electronic watermarking program
JP4676331B2 (ja) コード変換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60159172A1 (en) Video Signal Encoding Apparatus and Video Data Encoding Method
JP2005244898A (ja) ビデオ符号化データ合成装置
JP2006325086A (ja) 動画データ再生機能を有する装置および動画データ再生方法
JP2006013754A (ja)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動画像復号化装置
JP201610380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34808B2 (ja) 画像通信装置及び画像通信方法
JP2006279147A (ja) インデックスファイル作成装置および動画編集装置
JP200410477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4856008B2 (ja) 画像再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再符号化方法
JP5610981B2 (ja) 画像暗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装置及び画像暗号化方法及び画像復号方法及び画像暗号化プログラム及び画像復号プログラム
JP4165567B2 (ja) ストリーム任意領域抽出方式及び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970057937A (ko) 객체 지향 엠펙2(mpeg2) 비디오 부호화기 및 복호기
JP200517594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6058815A (ja) トランスコード方法及びトランスコード装置
JP2001069503A (ja) 映像信号符号化装置及びその符号化方法、並びに映像信号復号化装置及びその復号化方法
JP2009284226A (ja) 動画記録装置および方法、撮像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4080097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1151692A (ja) 画像処理装置
JP2006279148A (ja) 動画データ編集送出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