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880B1 - 부채꼴 결속기 - Google Patents

부채꼴 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880B1
KR101254880B1 KR1020110043989A KR20110043989A KR101254880B1 KR 101254880 B1 KR101254880 B1 KR 101254880B1 KR 1020110043989 A KR1020110043989 A KR 1020110043989A KR 20110043989 A KR20110043989 A KR 20110043989A KR 101254880 B1 KR101254880 B1 KR 101254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ing
fixed
roll
plate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6300A (ko
Inventor
안용우
Original Assignee
안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우 filed Critical 안용우
Priority to KR1020110043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880B1/ko
Publication of KR20120126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8Applying binding material, e.g. to twisted bag n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2Means for controlling tension of bin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6Applying adhesive tape
    • B65B51/065Applying adhesive tape to the necks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02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 B65B7/06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by collapsing mouth portion, e.g. to form a single fl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채꼴로 포장팩를 접어 그 개구를 테이핑으로 포장을 하는 부채꼴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접이유닛의 레일바와 접이판이 연동하며 포장팩의 개구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접고, 테이핑유닛이 상승하여 상기 접어진 포장팩 개구부를 작동간과 고정간으로 감싸며, 작동간이 접근하여 그 내측의 회동롤를 통해 테이프를 포장팩 개부부 외부로 감싸는 포장 작업을 완료할 때, 다음의 작업을 위해서 그 커터를 통해서 테이프의 끝단을 자동으로 커팅하는 부채꼴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채꼴 결속기{packing machine}
본 발명은 부채꼴로 포장팩를 접어 그 개구를 테이핑으로 포장을 하는 부채꼴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접이유닛의 레일바와 접이판이 연동하며 포장팩의 개구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접고, 테이핑유닛이 상승하여 상기 접어진 포장팩 개구부를 작동간과 고정간으로 감싸며, 작동간이 접근하여 그 내측의 회동롤를 통해 테이프를 포장팩 개부부 외부로 감싸는 포장 작업을 완료할 때, 다음의 작업을 위해서 그 커터를 통해서 테이프의 끝단을 자동으로 커팅하는 부채꼴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채꼴 결속기란 포장팩의 개구부를 부채꼴의 형태로 꼬고, 개구부를 결속선이나 테이프로 말아 포장 작업을 완성하는 기계를 칭한다.
이러한 부채꼴 결속기는 본 출원인이 이미 출원한 10-2009-134149호 "주름성형 꼬임장치"와 10-2010-37508호 "주름형 꼬임장치의 수평이송유니트"를 통해 그 기능 및 작동의 방식이 공지된 상태이다. 이 꼬임장치 또는 부채꼴 결속기는 모두 같은 포장팩를 포장한다. 도시된 도 15에서처럼 종래의 꼬임장치는 금속선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고, 이 금속선을 포장팩의 개구부에 꼬아 포장을 한다.
포장팩의 개구부는 일정한 크기로 접어 마치 부채꼴과 같은 형상으로 접은 상태에서 금속선을 이용하여 꼬게 되는데, 특화된 상품을 포장하기 유리하다.
도시된 도 15를 통해 그 포장되는 모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 포장팩(1)는 그 개구부(2)를 부채꼴의 형태로 접은 상태에서 나선형으로 형성된 꼬임윙(541)이 고정된 회전봉(540)을 회전시켜 개구부(2)를 금속선(5)으로 꼬아 봉합하는 방식이다. 금속선(5)이 꼬이면서 개구부(2)를 조여 포장을 완성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포장기(=꼬임장치)는 반드시 금속선을 꼬아 포장을 마감하는 방식이다. 보다 간편하게 테이프를 이용하여 테이핑하여 포장을 완성하는 방식이 아니다. 따라서 그 포장의 비용이 더 많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금속선을 공급하고 커팅하는 수단이 복잡아여 기체의 부피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부채꼴로 포장팩를 접어 그 개구를 테이핑으로 포장을 하는 부채꼴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접이유닛의 레일바와 접이판이 연동하며 포장팩의 개구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접고, 테이핑유닛이 상승하여 상기 접어진 포장팩 개구부를 작동간과 고정간으로 감싸며, 작동간이 접근하여 그 내측의 회동롤를 통해 테이프를 포장팩 개부부 외부로 감싸는 포장 작업을 완료할 때, 다음의 작업을 위해서 그 커터를 통해서 테이프의 끝단을 자동으로 커팅하는 부채꼴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채꼴 결속기는, 다수번 절첩되는 접이판(11)이 끼워진 레일바(12)가 상하로 형성된 접이유닛(10); 상기 접이유닛(10)의 하단으로 수직된 위치에 형성하되, 힌지(21)로 연결되며 작동간(20)이 고정간(30)을 향하여 연동할 수 있도록 된 작동간(20)과 고정간(30), 상기 고정간(30)의 상단에 작동간(20)을 향해 장착되는 가압롤(22), 상기 가압롤(22)에 대응되게 작동간(20)에 장착하되 중심을 관통한 중심축(24)과 편심된 위치를 관통한 편심축(25)으로 체결된 회동롤(26), 상기 회동롤(26)을 연동시키는 연동수단(40)으로 이루어진 테이핑유닛(6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포장팩(1)의 개구부(2)를 접이유닛(10)으로 접고, 테이핑유닛(60)이 접이유닛(10)의 상단으로 상승하며, 상기 가압롤(22)과 회동롤(26) 사이에서 회동롤(26)이 편심된 중심축(24)과 편심축(25)을 통해 회동하여 테이프(5)를 이용하여 포장팩(1)의 개구부(2)를 봉합시킨다.
또한 본 발명 부채꼴 결속기에 따른, 테이핑유닛(60)이 접이유닛(10)의 상단으로의 상승은, 기체의 전방에서 수직하게 체결되고, 그 전면에 고정간(30)과 작동간(20)이 체결되는 "ㄴ"자 연동플레이트(71); 연동플레이트(71)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더(72, 73); 상기 가이더(72, 73)와 대응하여, 기체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74, 75); 및 기체의 내부에 내장되어, 그 축단이 상기 연동플레이트(71)의 끝단에 장착된 실린더(77);로 이루어진 승하강수단(70)을 통해서 상기 실린더(77)의 축이 연동함에 따라 연동플레이트(71)가 승하강을 하며 고정간(30)과 작동간(20)을 연동시키고 : 작동간(20)이 고정간(30)을 향하여 연동할 때, 작동간(20)의 끝단에 고정되는 연동힌지(81)를 통해서 결합된 연동블럭(82); 상기 연동블럭(82)의 타측에 축결합된 연동실린더(83);를 통해 연동실린더(83)가 그 축을 축소시키면 작동간(20)의 끝단을 당겨 힌지(21)를 축으로 연동하는 작동간(20)의 타측은 고정간(30)을 향해 전진하며 : 회동롤(26)을 연동시키는 연동수단(40)은, 작동간(20)을 형성함에, 일정한 간격을 가진 플레이트가 겹쳐진 형태의 작동패널(31)과, 상기 작동패널(31)에 형성되는 장형의 장공(32-1) 및 일측이 터진 수평연동공(32)에 그 가이드봉(33)과 중심축(24)을 끼운 상태로 회동롤(26)을 끼우며 대응되는 고정간(30)과 밀착되어 동작을 제어하는 연동하우징(35), 상기 연동하우징(35)에 중심축(24)과 편심축(25)을 끼운 상태로 결합되는 회동롤(26), 상기 회동롤(26)을 편심되게 관통한 편심축(25)은 연동하우징(35)에 형성되는 연동 가이드라인(3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되, 작동패널(31)에도 겹치게 끼워지게 형성되는 수직방향의 수직장공(37-1)에 편심축(25)이 끼워지고, 작동간(20)이 고정간(30)을 향해 밀착될 때, 회동롤(26)이 그 중심축(24)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테이프(5)를 절단하고, 접착시킨다.
또한 본 발명 부채꼴 결속에 따른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작동간(20)이 고정간(30)을 향하여 연동할 때, 작동간(20) 측면에 고정되어 작동간(20)을 고정간(30)을 향해 수평되게 밀어주는 연동실린더(83); 작동간(20)이 부착된 연동플레이트(71)에서 작동간(20)이 고정간(30)을 향해 수평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블럭(GB);을 통해 연동실린더(83)가 그 축을 축소시키면 작동간(20)이 가이드블럭(GB)을 타고 고정간(30)과의 간격을 벌리고, 그 축을 팽창시키면 고정간(30)과 간격을 좁혀 마주한다.
또한 본 발명 부채꼴 결속기에 따른, 연동하우징(35)의 후방에는 항상 연동하우징(35)을 전방으로 밀어주는 탄성스프링(41)을 설치하고 : 고정간(30)은, 일정한 간격을 가진 플레이트가 겹쳐진 형태의 고정패널(42)과, 상기 고정패널(42)의 사이에서 최 상단에 좌우로 고정되는 테이핑 가이드롤(43)과, 작동간(20)의 회동롤(26) 접근시 회동롤(26)의 외주면과 면접되는 가압롤(22) 및 상기 가압롤(22)의 하단에서 가압롤(22)이 회동롤(26)에 면접할 때 약간의 간격을 가지도록 위치된 커터(44)로 이루어지고 : 연동하우징(35)과 밀착되어 동작을 제어하는 고정간(30)에는, 상기 연동하우징(35)의 끝단 밀착부(45)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그 간격을 벌릴 수 있도록 절곡부(46)를 가진 확개플래이트(47)와, 상기 확개플레이트(47)에 결합되어 접근한 밀착부(45)와 마주하도록 플레이트의 간격을 밀착부(45)의 간격에 맞춘 밀착단(48)을 가진 밀착플레이트(49) 및 상기 밀착플레이트(49)의 끝단에서 밀착플레이트(49)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밀착플레이트(49)의 간격을 줄이도록 고정패널(42)과 결합된 간격힌지(51)로 이루어진 제어판(52)을 체결하며 : 고정간(30)의 일측에는, 장력조절롤(53)을 형성하여 테이프(5)의 장력을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 부채꼴 결속기에 따른, 작동간(20)의 작동패널(31) 후방에는,
스톱퍼블럭(55)을 체결하여 작동간(20)이 고정간(30)과의 간격을 벌릴 수 있는 최대 각도를 한정한다.
본 발명에 따라 간단하고 작은 부피의 기계를 통해서 테이프를 포장팩의 개구부의 외주면으로 테이핑하여 포장을 완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회동롤을 회전시킴에 있어서 중심축과 편심축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연동할 때, 역회전을 하며 테이프를 접착시키도록 하여, 그 동작이 단순하면서도 정확하여 테이핑 작업이 정밀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부에서는 부채꼴로 포장팩를 접고,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상승하여 개구부에 테이프를 붙이는 테이핑유닛의 작동방식을 채택하여, 단순하며 실수가 없이 테이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테이핑 유닛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작동간과 고정간의 모습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간과 고정간의 내부 모습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간과 고정간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부채꼴 결속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간과 고정간이 동작하며, 테이핑을 하는 모습을 순서에 따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가이드 수단의 작동의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가이드 수단이 작동하여 상부로 상승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가이드 수단이 되는 실린더가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결속기의 전면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 결속기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유닛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종래 사용되던 결속선을 통해 포장팩 개구부를 포장하는 방식을 설명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포장팩 개구부를 테이프로 테이핑하여 포장을 완성시키는 꼬임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 1 내지 도 14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다수번 절첩되는 접이판(11)이 끼워진 레일바(12)가 상하로 형성된 접이유닛(10)이 있고, 상기 접이유닛(10)의 하단으로 수직된 위치에 형성하되, 작동간(20)이 고정간(30)을 향하여 연동할 수 있도록 된 작동간(20)과 고정간(30), 상기 고정간(30)의 상단에 작동간(20)을 향해 장착되는 가압롤(22), 상기 가압롤(22)에 대응되게 작동간(20)에 장착하되 중심을 관통한 중심축(24)과 편심된 위치를 관통한 편심축(25)으로 체결된 회동롤(26), 상기 회동롤(26)을 연동시키는 연동수단(40)으로 이루어진 테이핑유닛(60)이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포장팩(1)의 개구부(2)를 접이유닛(10)으로 접고, 테이핑유닛(60)이 접이유닛(10)의 상단으로 상승하며, 상기 가압롤(22)과 회동롤(26) 사이에서 회동롤(26)이 편심된 중심축(24)과 편심축(25)을 통해 회동하여 테이프(5)를 이용하여 포장팩(1)의 개구부(2)를 봉합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5에서처럼, 접이유닛(10)과 테이핑유닛(60)으로 구분된다. 접이유닛(10)은 포장팩(1) 개구부(2)를 접어 부채꼴의 형태로 제작하는 곳이고, 테이핑유닛(60)은 그 부채꼴로 접인 개구부(2)의 모여진 부분을 테이핑하는 곳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도 5에서처럼 최 상단에 수평되게 접이유닛(10)을 형성하고, 기체의 전면에 밀착되게 테이핑유닛(60)을 형성하여 포장팩 개구부(2)를 접고 테이핑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먼저 도시된 도 5와 10, 및 11에서처럼, 포장팩(1)이 그 내측에 내용물을 담은 상태에서 기체의 상단 접이유닛(10)으로 들어온다. 이때 접이유닛(10)은 두개의 접이판(11)과 레일바(12)가 상하로 형성된 구성이다. 이 상부의 접이판(11)과 하부의 접이판(11)은 적당한 크기로 절곡될 수 있는 패널의 형태로 그를 관통하는 2개의 레일바(12)에 끼워져 펼쳐진 상태이다.
이때 상부의 접이판(11)과 레일바(12)가 하부의 접이판(11)과 레일바(12)에 비하여 다소 높은 수준에서 힌지(21) 결합된 상태이기에 어느 정도 간격이 있다. 이 간격에 포장팩의 내측에 내용물을 담은 상태에서 삽입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개구부(2)의 끝단은 상기 상하부 접이판(11)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기체가 작동을 하면 상기 상부의 접이판(11)과 레일바(12)는 하부의 접이판(11)과 레일바(12)를 향해 하향하게 되고, 이 하향으로 상하부 접이판(11) 사이에는 포장팩(1)의 개구부(2) 끝단이 끼여 접이판(11)의 형상과 같이 절곡구조로 접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이판(11)은 레일바(12)를 타고 그 간격을 더 좁히게 되며, 결국 포장팩(1)의 개구부(2) 끝단을 작은 간격으로 접어 준다(하기에는 이렇게 개구부 끝단이 접어진 부분을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접힌개구부"라 칭한다.). 이러한 모든 작동의 상황이나 접어지는 과정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서 이미 공지된 상태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피한다.
이렇게 포장팩(1)의 개구부(2)가 접어지면, 이 접어진 개구부(1)를 테이핑하기 위해서 테이핑유닛(60)이 작동을 한다. 이 테이핑유닛(60)의 구성은 도시된 도 1 내지 5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고, 도 6에서 그 작동의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이 테이핑유닛(60)은 2개의 실시예로 설명되는데, 먼저 제1실시예의 경우, 도시된 도 10에서처럼, 기체의 전면에 작동간(20)과 고정간(30)으로 구분된 테이핑유닛(60)이 도 8과 9에 도시된 승하강수단(70)을 통해서 상승하여 테이핑한다.
즉, 평상시에는 기체의 전면에 작동간(20)과 고정간(3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접이유닛(10)이 접힌개구부(AB)를 접고 나면, 상기 작동간(20)과 고정간(30)이 그 사이에 테이프(5)를 배열한 상태로 상승하여 접힌개구부(AB)를 둘러쌓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간(20)이 고정간(30)을 향해서 전진하면서 고정간(30)과 겹쳐지며, 테이핑을 하는 것이다. 마치 호치키스가 서로 겹치면서 접힌개구부(AB)의 외주면을 둘레로 테이핑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후술되는 것처럼 작동간이 고정간을 향해 접근하는 방식을 2가지로 실시하고 있다. 하나는 힌지 회동의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수평 방향 직진 연동방식이다. 보다 상세한 것을 뒤에서 설명하겠지만, 고정간(30)을 향해 작동간(20)이 접근하게되면, 상기 고정간(30)의 내측에 비치된 가압롤(22)이 접근하는 작동간(20)의 내측 회동롤(26)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회동롤(26)은 회전을 하면서 테이프(5)를 접착함과 동시에 다음의 작업을 위해서 테이프(5)를 절단한다.
즉, 상기 회동롤(26)은 편심축(25)과 중심축(24)이 관통하여 결합되는데, 상기 회동롤(26)이 편심축(25)과 중심축(24)과 함께 좌우 방향의 연동운동을 하면서, 상기 중심축(24)을 기준으로 반 시계방향의 회전을 하면서 테이핑을 하는 것이다.
그럼 이러한 본 발명의 세부적인 구성들의 작동의 모습과 그 구성을 살펴본다. 도시된 도 8 내지 10, 13에서 처럼, 본 발명에서 상기 테이핑유닛(60)이 접이유닛(10)의 상단으로의 상승은, 기체의 전방에서 수직하게 체결되고, 그 전면에 고정간(30)과 작동간(20)이 체결되는 "ㄴ"자 연동플레이트(71)와 연동플레이트(71)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더(72, 73)와, 상기 가이더(72, 73)와 대응하여, 기체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74, 75) 및 기체의 내부에 내장되어, 그 축단이 상기 연동플레이트(71)의 끝단에 장착된 실린더(77)로 이루어진 승하강수단(70)을 통해서 달성한다. 즉, 상기 실린더(77)의 축이 연동함에 따라 연동플레이트(71)가 승하강을 하며 고정간(30)과 작동간(20)을 연동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된 설명에서 포장팩(1) 개구부(2)를 접이유닛(10)을 통해서 접힌개구부(AB)를 만들고 나면, 기체의 전면에 체결되어 있던 테이핑유닛(60)이 상승하여 접힌개구부(AB)를 둘러쌓게 된다. 바로 본 발명의 승하강수단(60)은 이렇게 테이핑유닛(60)이 접힌개구부(AB)에 테이핑을 할 수 있도록 상승시키고, 다음의 작업을 위해서 하강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기체의 전방에 기체의 전면(A)과 수평된 형태로 수직방향으로 연동플레이트(71)를 세우되, 일측을 절곡하여 "ㄴ"자 형태의 연동플레이트(71)를 결합시킨다. 특별히 연동플레이트(71)를 "ㄴ"자로 절곡한 이유는 수직 연동운동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연동플레이트(71)가 기체의 전면(A)에 체결될 때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동플레이트(71)의 좌, 우 양단에 가이더(72, 73)가 고정된다. 이 가이더(72, 73)는 스크류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연동플레이트(71)에 고정하며, 이 가이더(72, 73)는 기체의 전면에 체결되는 가이드레일(74, 75)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가이더(72, 73)가 가이드레일(74, 75)을 타고 상하 방향으로 연동하여, 가이더(72, 73)에 체결된 연동플레이트(71)를 함께 이송시키는 것이다.
그 연동을 위한 동력은 기체의 내측에 체결된 실린더(77)를 통해서 달성된다. 기체의 내부에 체결된 실린더(77)의 축에는 "ㄱ"자 연결블럭이 고정되고, 연결블럭의 타단은 연동플레이트(71)에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77)가 그 축을 뻗으면 상기 연동플레이트(71)는 그 축의 연장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동플레이트(71)가 가이더(72, 73)를 통해서 가이드레일(74, 75)과 결합된 상태이기에 상기 연동플레이트(71)는 접이유닛(10)의 상부로 상승하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상기 실린더(77)가 그 축을 접으면 상기 연동플레이트(71)는 하강하여 기체의 전면에서 다음의 작업을 준비한다.
그럼 본 발명의 테이핑유닛(60)이 작동하는 모습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작동간이 고정간을 향하여 연동하는 실시예를 2가지 형태로 제안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은 제1실시예의 형태이고, 힌지를 통해서 작동간이 고정간을 향해 회동하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제2실시예는 도시된 도 12 내지 14에서처럼 작동간이 고정간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직진하는 형태의 실시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전술된 순서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전자인 힌지 회동형 작동의 형태는, 도시된 도 1 내지 6에서처럼, 작동간(20)이 고정간(30)을 향하여 연동할 때, 작동간(20)의 끝단에 고정되는 연동힌지(81)를 통해서 결합된 연동블럭(82)과 상기 연동블럭(82)의 타측에 축결합된 연동실린더(83)를 통해 연동실린더(83)가 그 축을 축소시키면 작동간(20)의 끝단을 당겨 힌지(21)를 축으로 연동하는 작동간(20)의 타측은 고정간(30)을 향해 전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작동의 상세한 도면은 도 1과 도 6에 상세히 도시해져 있다.
작동간(20)은 힌지(21)를 축으로 좌우 방향으로 연동할 수 있는 구조이고, 고정간(30)은 작동간(20)의 좌측에 고정되어 정 위치를 고수한다. 도시된 도 1에서처럼 작동간(20)의 좌측에 고정된 연동실린더(83)가 그 축을 접게 되면, 축에 체결된 연동블럭(82)이 당겨지고, 상기 연동블럭(82)의 타측 연동힌지(81)에 체결된 작동간(20)은 힌지(21)를 기준으로 상단은 고정간(30)을 향하여 전진시키게 된다. 힌지(21)의 하단은 연동블럭(82)과 연동힌지(81) 체결된 상태이기에 연동실린더(83)의 축 작용에 따라 축이 연장되면 그 만큼 간격을 벌리고, 축이 축소되면 그 만큼 간격을 좁히지만, 힌지(21)의 상단은 이와는 달리 간격을 좁히고 넓히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이 작용에 따라 간략하게 전술한 것처럼 작동간(20)의 내측 회동롤(26)이 회동하면서 테이프(5)를 접착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후자인 작동간이 고정간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직진하는 제2실시예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시된 도 12 내지 14에서처럼, 제2실시예에 따라 작동간(20)이 고정간(30)을 향하여 연동할 때, 작동간(20) 측면에 고정되어 작동간(20)을 고정간(30)을 향해 수평되게 밀어주는 연동실린더(83)가 있고, 작동간(20)이 부착된 연동플레이트(71)에서 작동간(20)이 고정간(30)을 향해 수평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블럭(GB)이 있다. 따라서 연동실린더(83)가 그 축을 축소시키면 작동간(20)이 가이드블럭(GB)을 타고 고정간(30)과의 간격을 벌리고, 그 축을 팽창시키면 고정간(30)과 간격을 좁혀 마주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도시된 것처럼 전자와 별반 차이가 없다. 전자인 제1실시예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지만 작동간(20)이 고정간(30)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동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그 작동의 형태도 모두 동일하고, 그 목적이나 그 효과에 있어서 동일하다. 단지 작동간(20)이 전자의 경우 힌지(21)를 통해서 회동하여 고정간(30)을 향해 접근하는 것에 반하여 후자는 작동간(20)이 고정간(30)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곧은 직선운동을 한다는 것이다.
그럼 본 발명의 주요한 구성인 상기 연동수단을 상세히 설명한다.
즉, 상기 회동롤(26)을 연동시키는 연동수단(40)은, 작동간(20)을 형성함에, 일정한 간격을 가진 플레이트가 겹쳐진 형태의 작동패널(31)과, 상기 작동패널(31)에 형성되는 장형의 장공(32-1) 및 일측이 터진 수평연동공(32)에 그 가이드봉(33)과 중심축(24)을 끼운 상태로 회동롤(26)을 끼우며 대응되는 고정간(30)과 밀착되어 동작을 제어하는 연동하우징(35), 상기 연동하우징(35)에 중심축(24)과 편심축(25)을 끼운 상태로 결합되는 회동롤(26), 상기 회동롤(26)을 편심되게 관통한 편심축(25)은 연동하우징(35)에 형성되는 연동 가이드라인(3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되, 작동패널(31)에도 겹치게 끼워지게 형성되는 수직방향의 수직장공(37-1)에 편심축(25)이 끼워지고, 작동간(20)이 고정간(30)을 향해 밀착될 때, 회동롤(26)이 그 중심축(24)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테이프(5)를 절단하고, 접착시키는 것이다.
이 연동수단(40)의 상세한 작동은 도시된 도 6에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테이핑유닛(60)의 작동의 순서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을 한다. 먼저 접이유닛(10)이 포장팩(1) 개구부(2)를 접어 접힌개구부(AB)로 만들게 되면, 도 6(a)에서와 같은 위치를 고수하다가, 기체의 상부로 상승하여 도 6(b)의 위치로 올라간다. 도 6(b)에 도시된 접힌개구부(AB)는 원형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설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사실상 접혀지는 모습은 도 12의 종래도와 유사하다.
아무튼 테이핑유닛(60)이 상승하여 작동간(20)과 고정간(30)의 사이에 접힌개구부(AB)를 위치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접힌개구부(AB)는 접이유닛(10)의 접이판(11)에 끝단이 물린 상태로 테이프(5)로 일부 접착된 채, 도시된 것처럼 위치상 아래 방향에 위치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접이유닛(10)이 기체의 상부에서 포장팩 개구부(2)를 접어주고, 이 접어진 접힌개구부(AB)를 향해 테이핑유닛(60)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테이핑유닛(60)의 고정간(30)과 작동간(20)에 배열된 테이프(5)가 상기 접힌개구부(AB)와 마주하면서 올라가게 된다. 상기 테이프(5)는 도시된 도 1과 도 6에서 도시된 것처럼, 테이프권취롤에 감긴 상태에서 그 끝단이 풀려 고정간(30)의 외곽부를 감고 돌아 작동간(20)의 내측 회동롤(26)의 외주면에 그 끝단이 접착된다. 테이프(5)는 이렇게 배열될 때, 접착층이 외부에서 보이는 형태로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테이핑유닛(60)이 상승하여 접힌개구부(AB)를 감싸고 상부로 올라갈 때에는, 상기 테이프(5)의 접착부가 접힌개구부(AB)의 하단에 접착된 상태로 풀려 도시된 도 6의 (b)와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 후, 제1실시예의 테이핑유닛은 본 발명의 연동실린더(83)가 축을 축소시켜 힌지(21)의 타측을 좁히게 된다. 이 도면이 도시된 도 6의 (c)이다. 도시된 것처럼, 작동간(20)이 고정간(30)을 향해서 접근하게 되는데, 이때 본 발명의 회동롤(26)과 그 내측의 연동수단(40)은 활발한 작동을 하게 된다. 이 작동을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작동간(20)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와 그 중요한 부분을 미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작동간(20)은 고정간(30)과 같이 2개의 작동패널(31)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된 형태이다. 그 작동패널(31)의 사이에는 도 1 내지 도 4에서처럼, 회동롤(26)이 결합된 연동하우징(35)이 삽입되는데, 그 내, 외곽에 형성된 장공과 다수의 구멍 및 축을 통해서 연동하며, 테이프를 붙이고 커팅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간(20)에 형성된 다수의 구성과 대응되어 테이핑을 하고 커팅을 하는 구성이 고정간(30)인데, 고정간(30)에도 다수의 구성요소들이 결합되어 있다. 물론 제2실시예의 경우 도시된 도 14의 순서를 따르며 전술된 제1실시예와 수평방향으로 작동간을 이송시킨다는 점 이외의 모든 구성요소가 동일하다. 그리고 혹시 도 14에 빠진 구성이 있다면, 제1실시예를 설명한 도면에서 채택가능하다. 이 도면을 그 작동만을 설명하기 위해서 도시한 것이기에 제1실시예의 도면과는 약간 상이할 소지가 있다.
그럼 이들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도 1 내지 4에서처럼 상기 고정간(30)은, 일정한 간격을 가진 플레이트가 겹쳐진 형태의 고정패널(42)과, 상기 고정패널(42)의 사이에서 최 상단에 좌우로 고정되는 테이핑 가이드롤(43)과, 작동간(20)의 회동롤(26) 접근시 회동롤(26)의 외주면과 면접되는 가압롤(22) 및 상기 가압롤(22)의 하단에서 가압롤(22)이 회동롤(26)에 면접할 때 약간의 간격을 가지도록 위치된 커터(4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연동하우징(35)과 밀착되어 동작을 제어하는 고정간(30)에는, 상기 연동하우징(35)의 끝단 밀착부(45)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그 간격을 벌릴 수 있도록 절곡부(46)를 가진 확개플래이트(47)와, 상기 확개플레이트(47)에 결합되어 접근한 밀착부(45)와 마주하도록 플레이트의 간격을 밀착부(45)의 간격에 맞춘 밀착단(48)을 가진 밀착플레이트(49) 및 상기 밀착플레이트(49)의 끝단에서 밀착플레이트(49)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밀착플레이트(49)의 간격을 줄이도록 고정패널(42)과 결합된 간격힌지(51)로 이루어진 제어판(52)을 체결한다.
즉, 도시된 것처럼 고정간(30)도 2개의 고정패널(42)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채결되는데, 그 내측에 가압롤(22)과 커터(44)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롤(22)은 커터(44)에 비하여 다소 상측에 고정되며, 상기 가압롤(22)과 커터(44)의 외곽으로 도시된 것처럼 테이프(5)가 배열된다. 상기 테이프(5)를 가이드해주는 테이핑 가이드롤(43)이 고정패널(42)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체결되어 그 가이드롤(43)의 외주면에 테이프(5)가 감겨 타측 작동간(20)의 내측 회동롤(26)에 접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간(30)에는 전술된 작동간(20)의 연동하우징(35)과 대응되는 제어판(52)이 체결되는데, 밀착플레이트(49)에 형성된 간격힌지(51)를 통해 결합된다.
이들의 작동은 모두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데, 이 작동을 도시된 도 6(c)와 (d)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접힌개구부(AB가 일부 접착된 상태로 작동간(20)과 고정간(30)의 사이 하단에 위치하게 될 때, 도 6(c)에서처럼, 작동간(20)이 고정간(30)과 밀착되면, 제일 먼저 작동간(20)의 연동하우징(35) 끝단 밀착부(45)가 제어판(52)의 확개플레이트(47)와 마주하게 된다. 이때 연동하우징(35)과 작동패널(31) 및 회동롤(26)의 위치관계가 중요하다.
연동하우징(35)의 후방에는 도시된 것처럼 장공이 형성되고, 또 이에 대응하는 작동패널(31)에도 장공(3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을 관통하는 별도의 가이드봉(33)이 끼워진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연동하우징(35)은 상기 장공(32-1)의 길이만큼 연동이 가능하되, 가이드봉(33)에 따라 정확한 수평 연동이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회동롤(26)에는 도시된 것처럼 중심축(24)과 편심축(25)이 관통된 상태로 연동하우징(35)에 끼워지게 되는데, 상기 중심축(24)은 연동하우징(35)의 중심공에 끼워져 축회전만이 가능하도록 하고, 중심공에 끼워져 외부로 돌출된 중심축(24)의 양끝단은 작동패널(31)의 수평연동공(32)에 끼워진다. 따라서 결국 상기 중심축(24)은 작동패널(31)의 수평연동공(32)을 타고 좌우 방향으로 연동이 가능하기에 사실상 연동하우징(35)도 수평방향으로 연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여기서 다른 중요한 구성으로 편심축(24)이 있는데, 이 편심축(24)은 도시된 것처럼, 회동롤(26)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좌우 양단을 관통하고, 연동하우징(35)의 하단 가이드라인에 외주면을 면접하도록 하되, 그 좌우 끝단은 연동하우징(35)의 외부로 돌출되어 작동패널(31)에 형성된 수직장공(37-1)에 끼워져 있다. 결국 상기 편심축(25)은 작동패널(31)의 수직장공(37-1)의 영향으로 수직방향의 연동만이 가능하면서도 연동하우징(35)의 가이드라인을 타고 돌기에 회동롤(26)의 회전은 허용한다.
그럼 이들이 결합된 형태로 작동하며, 테이프를 붙이는 작용을 설명한다.
도시된 도 6(c)에서처럼, 연동하우징(35) 끝단 밀착부(45)가 제어판(52)과 마주할 만큼 작동간(20)이 연동하게 될 때, 회동롤(26)의 중심축은 정위치를 고수하고 있고, 편심축(25)은 중심축(24)의 좌측 하방에 치우쳐 위치한다. 이때 편심축(25)은 도시된 것처럼 연동하우징(35)에 형성된 가이드라인(36)을 타고 있으며, 중심축(24)에 비하여 좌측 하방에 위치하는 위치이다. 또한 그 편심축(25)은 연동하우징(35)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작동패널(31)에 형성되는 수직장공(37-1)에 끼워진 상태이다. 이때까지는 연동하우징(35)이 연동할 수 있는 어떠한 힘도 작용하지 않기에 상기 연동하우징(35)은 가이드봉(33)과 장공(32-1, 37)을 타고 좌우 연동이 중지된 상태이다. 주요한 이유는 상기 밀착부(45)는 제어판(52)의 첫단인 확개플레이트(47)와 마주하고 있는데, 이 확개플레이트(47)의 간격은 연동하우징(35)의 밀착부(45)의 간격에 비하여 넓다. 특히 확개플레이트(47)를 형성하는 절곡부(46)가 그 간격을 넓히는 형태로 절곡되어 있기에 상기 확개플레이트(47)는 외측으로 더 벌어지면서 밀착부(45)가 그 내부로 수용되는 것을 허용한다. 결국 이렇게 연동하우징(35)의 밀착단(48)이 확개플레이트(47)를 지나 밀착플레이트(49)의 끝단 밀착단(48)과 마주할 때까지 수평방향의 어떠한 힘도 받지 않는 것이다. 여기서 더 밀착부(45)가 밀착단(48)을 밀어주게 되면, 상기 밀착단(48)은 그 간격을 좁히면서 밀착부(45)가 더 전진할 수 있도록 받아들이게 되는데, 이는 도시된 밀착플레이트(49)의 간격힌지(51) 때문이다. 밀착플레이트(49)가 계속해서 가압되면, 이 가압력에 의해서 상기 밀착플레이트(49)에 체결된 힌지(51)를 축으로 간격을 좁히면서 밀착부(45)가 더 깊이 들어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그 밀려들어 오는 길이는 미세하며, 밀려들어 오는 작동과 동시에 연동하우징(35)가 후방으로 밀리기는 작동도 수행된다.
그러다 상기 밀착부(45)와 밀착단(48)이 면접하게 되면, 상기 밀착단(48)은 밀착부(45)의 간격에 맞도록 조정된 상태이기에 밀착단(48)이 더이상 우측으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연동실린더(83)는 그 축을 계속해서 축소시켜 작동간(20)은 고정간(30)을 향해서 더 전진을 하는데, 밀착부(45)는 밀착단(48)에 막히여 더 이상의 전진을 할 수 없는 상태일 때, 상기 연동하우징(35)의 좌우연동은 자연스럽게 시작된다. 연동하우징(35)은 그 밀착단(48)이 밀착부(45)에 밀착된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며, 작동간(20)이 전진을 계속하기에 고정된 밀착단(48)에 의해서 후방으로 밀리면서 연동하우징(35)은 도시된 도 6(d)에서처럼 후방으로 밀려난다. 보다 정확한 표현은 작동간(20)은 고정간(30)을 향해서 전진을 하지만, 연동하우징(35)의 밀착부(45)는 밀착단(48)에 막히여 더 이상의 전진을 하지 못하고, 자연스럽게 작동간(20)만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연동하우징(35)에는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봉(33)이 장공(37)에 끼워진 상태이기에 장공(37)이 이동하여 작동간(20)의 연동폭을 수용하는 것이다.
이때 회동롤(26)의 작동이 중요하다.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회동롤(26)의 외주면에 가압롤(22)이 밀착되면서, 회동롤(26) 내주면에 테이프 접착층을 밀착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사항은 상기 회동롤(26)의 회전방향에 있다. 회동롤(26)의 중심축(24)은 연동하우징(35)의 중심공에 고정된 상태이기에 중심축(24)이 연동을 못한다. 결국 상기 중심축(24)의 양단이 작동패널(31)의 수평연동공(32)에 끼워진 상태이기에 상기 연동하우징(35)이 상기 수평연동공(32)을 타고 수평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 회동롤(26)에 같이 고정된 편심축(26)은 작동패널(31)의 수직장공(37-1)에 끼워진 상태이기에 수평방향의 연동이 막혀있다. 회동롤(26)은 그 중심축(24)이 연동하우징(35)의 중심공에 끼워진 상태이기에 회동롤(26)은 후방으로 연동을 하는데, 같이 회동롤(26)에 끼워진 편심축(25)은 작동패널(31)의 수직장공(37-1)에 끼워진 상태이기에 수직방향의 연동만이 가능할뿐 수평방향의 연동이 차단된다. 결국 편심축(25)이 수직장공(37-1)에 걸려 있어 편심축(25)은 회동롤(26)의 수평방향의 이동을 차단하는 작용에 따라 후방으로 밀리는 중심축(24)과의 운동이 겹쳐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는 것이다.
이때 이러한 회전을 달성할 수 있도록 연동하우징(35)의 하단에는 도시된 가이드라인(36)이 있고, 이 가이드라인(36)에 편심축(25)의 외주면이 면접하여 따라 이동을 하고, 수직장공(37-1)을 통해서 수직 방향의 연동만 허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원형의 회전운동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중요한 점이 또 있는데, 상기 밀착부(45)가 밀착단(48)과 결합되면서 더 전진하여 가압롤(22)이 회동롤(26)의 외주면에 면접할 즈음에 가압롤(22) 하단에 형성된 커터는 테이프(5)를 커팅하여 준다. 부수적으로 다음의 작업을 위해서 테이프(5)를 커팅하고 새로운 테이프로 회동롤(26)에 접착시키는 과정을 수행하면서, 발생되는 새로운 동작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발생된다.
도시된 도 6에서 보이는 밀착보조롤(B)은 테이프(5)가 회동롤(26)에 접착된 상태에서 회동운동을 할께 그 끝단이 떨어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보다 정확한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커터(44)의 하단에 형성되는 밀개(102)는 작동간(20)이 고정간(30)을 향해 이동하면서 테이프(5)를 밀어 서로 밀착되어 접힌개구부(AB)를 완벽하게 감쌀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용이하게 커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커터(44) 직하단의 가이드롤(43)도 이 커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테이프(5)의 절곡위치를 유리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접힌개구부(AB)를 보다 용이하게 잘 테이핑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그럼 이러한 본 발명의 보다 세부적인 실시예를 도시된 도면과 함께 부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것처럼, 연동하우징(35)의 후방에는 항상 연동하우징(35)을 전방으로 밀어주는 탄성스프링(41)을 설치한다. 도시된 도 6b에서처럼 연동하우징(35)의 후단에는 탄성스프링(41)을 내장하여 항상 연동하우징(35)이 전방으로 전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연동하우징(35)은 항상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밀착부(45)가 밀착단(48)과 마주하면서 힘을 부여 받으면 그때부터 후방으로 밀려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41)을 체결한 것이다. 이 탄성스프링(41)에 의해서 본 발명의 테이핑유닛(60)은 다음의 작업을 완벽하게 준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간(30)의 일측에는, 장력조절롤(53)을 형성하여 테이프(5)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장력조절롤(53)을 이용하여 풀리는 테이프(5)의 장력도 조절하면서, 테이프(5)가 잘 풀릴 수 있도록 가이드도 한다.
또한 작동간(20)의 작동패널(31) 후방에는, 스톱퍼블럭(55)을 체결하여 작동간(20)이 고정간(30)과의 간격을 벌릴 수 있는 최대 각도를 한정한다. 연동실린더(83)가 그 축을 연장하여 작동간(20)을 고정간(30)의 후방으로 멀리 뺄 때, 그 적당한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하며, 후방으로 밀리면서 작동간(20)이 충격이나 마찰을 받지 않도록 한다.
10; 접이유닛 20; 작동간
30; 고정간 60; 테이핑유닛

Claims (10)

  1. 다수번 절첩되는 접이판(11)이 끼워진 레일바(12)가 상하로 형성된 접이유닛(10);
    상기 접이유닛(10)의 하단으로 수직된 위치에 형성하되, 작동간(20)이 고정간(30)을 향하여 연동할 수 있도록 된 작동간(20)과 고정간(30), 상기 고정간(30)의 상단에 작동간(20)을 향해 장착되는 가압롤(22), 상기 가압롤(22)에 대응되게 작동간(20)에 장착하되 중심을 관통한 중심축(24)과 편심된 위치를 관통한 편심축(25)으로 체결된 회동롤(26), 상기 회동롤(26)을 연동시키는 연동수단(40)으로 이루어진 테이핑유닛(6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포장팩(1)의 개구부(2)를 접이유닛(10)으로 접고, 테이핑유닛(60)이 접이유닛(10)의 상단으로 상승하며, 상기 가압롤(22)과 회동롤(26) 사이에서 회동롤(26)이 편심된 중심축(24)과 편심축(25)을 통해 회동하여 테이프(5)를 이용하여 포장팩(1)의 개구부(2)를 봉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채꼴 결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테이핑유닛(60)이 접이유닛(10)의 상단으로의 상승은,
    기체의 전방에서 수직하게 체결되고, 그 전면에 고정간(30)과 작동간(20)이 체결되는 "ㄴ"자 연동플레이트(71);
    연동플레이트(71)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더(72, 73);
    상기 가이더(72, 73)와 대응하여, 기체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74, 75); 및
    기체의 내부에 내장되어, 그 축단이 상기 연동플레이트(71)의 끝단에 장착된 실린더(77);로 이루어진 승하강수단(70)을 통해서 상기 실린더(77)의 축이 연동함에 따라 연동플레이트(71)가 승하강을 하며 고정간(30)과 작동간(20)을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채꼴 결속기.
  3. 제1항에 있어서,
    작동간(20)이 고정간(30)을 향하여 연동할 때,
    작동간(20)의 끝단에 고정되는 연동힌지(81)를 통해서 결합된 연동블럭(82);
    상기 연동블럭(82)의 타측에 축결합된 연동실린더(83);를 통해 연동실린더(83)가 그 축을 축소시키면 작동간(20)의 끝단을 당겨 힌지(21)를 축으로 연동하는 작동간(20)의 타측은 고정간(30)을 향해 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채꼴 결속기.
  4. 제1항에 있어서,
    작동간(20)이 고정간(30)을 향하여 연동할 때,
    작동간(20) 측면에 고정되어 작동간(20)을 고정간(30)을 향해 수평되게 밀어주는 연동실린더(83);
    작동간(20)이 부착된 연동플레이트(71)에서 작동간(20)이 고정간(30)을 향해 수평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블럭(GB);을 통해 연동실린더(83)가 그 축을 축소시키면 작동간(20)이 가이드블럭(GB)을 타고 고정간(30)과의 간격을 벌리고, 그 축을 팽창시키면 고정간(30)과 간격을 좁혀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채꼴 결속기.
  5. 제1항에 있어서,
    회동롤(26)을 연동시키는 연동수단(40)은,
    작동간(20)을 형성함에, 일정한 간격을 가진 플레이트가 겹쳐진 형태의 작동패널(31)과, 상기 작동패널(31)에 형성되는 장형의 장공(32-1) 및 일측이 터진 수평연동공(32)에 그 가이드봉(33)과 중심축(24)을 끼운 상태로 회동롤(26)을 끼우며 대응되는 고정간(30)과 밀착되어 동작을 제어하는 연동하우징(35), 상기 연동하우징(35)에 중심축(24)과 편심축(25)을 끼운 상태로 결합되는 회동롤(26), 상기 회동롤(26)을 편심되게 관통한 편심축(25)은 연동하우징(35)에 형성되는 연동 가이드라인(3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되, 작동패널(31)에도 겹치게 끼워지게 형성되는 수직방향의 수직장공(37-1)에 편심축(25)이 끼워지고, 작동간(20)이 고정간(30)을 향해 밀착될 때, 회동롤(26)이 그 중심축(24)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테이프(5)를 절단하고,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채꼴 결속기.
  6. 제5항에 있어서,
    연동하우징(35)의 후방에는 항상 연동하우징(35)을 전방으로 밀어주는 탄성스프링(4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채꼴 결속기.
  7. 제5항에 있어서,
    고정간(30)은,
    일정한 간격을 가진 플레이트가 겹쳐진 형태의 고정패널(42)과, 상기 고정패널(42)의 사이에서 최 상단에 좌우로 고정되는 테이핑 가이드롤(43)과, 작동간(20)의 회동롤(26) 접근시 회동롤(26)의 외주면과 면접되는 가압롤(22) 및 상기 가압롤(22)의 하단에서 가압롤(22)이 회동롤(26)에 면접할 때 약간의 간격을 가지도록 위치된 커터(4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채꼴 결속기.
  8. 제5항에 있어서,
    연동하우징(35)과 밀착되어 동작을 제어하는 고정간(30)에는,
    상기 연동하우징(35)의 끝단 밀착부(45)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그 간격을 벌릴 수 있도록 절곡부(46)를 가진 확개플래이트(47)와, 상기 확개플레이트(47)에 결합되어 접근한 밀착부(45)와 마주하도록 플레이트의 간격을 밀착부(45)의 간격에 맞춘 밀착단(48)을 가진 밀착플레이트(49) 및 상기 밀착플레이트(49)의 끝단에서 밀착플레이트(49)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밀착플레이트(49)의 간격을 줄이도록 고정패널(42)과 결합된 간격힌지(51)로 이루어진 제어판(52)을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채꼴 결속기.
  9. 제1항에 있어서,
    고정간(30)의 일측에는, 장력조절롤(53)을 형성하여 테이프(5)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채꼴 결속기.
  10. 제5항에 있어서,
    작동간(20)의 작동패널(31) 후방에는,
    스톱퍼블럭(55)을 체결하여 작동간(20)이 고정간(30)과의 간격을 벌릴 수 있는 최대 각도를 한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채꼴 결속기.

KR1020110043989A 2011-05-11 2011-05-11 부채꼴 결속기 KR101254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989A KR101254880B1 (ko) 2011-05-11 2011-05-11 부채꼴 결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989A KR101254880B1 (ko) 2011-05-11 2011-05-11 부채꼴 결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300A KR20120126300A (ko) 2012-11-21
KR101254880B1 true KR101254880B1 (ko) 2013-04-15

Family

ID=4751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989A KR101254880B1 (ko) 2011-05-11 2011-05-11 부채꼴 결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8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4246A (zh) * 2013-12-31 2014-04-23 北京航天东方科技发展有限公司 自动充填结扎机中的线轨结扎箱装置
KR200494460Y1 (ko) 2021-08-04 2021-10-18 이도원 부채꼴 결속기의 부채꼴 형성축용 착탈 구조
KR102327679B1 (ko) 2021-01-04 2021-11-17 이용근 부채꼴 결속기용 테이핑 장치
KR20230029345A (ko) 2021-08-24 2023-03-03 이용근 부채꼴 결속기용 테이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7442B (zh) * 2016-12-16 2018-12-28 徐敏君 一种转子自动包装装置上的切纸结构
CN107934092A (zh) * 2017-11-26 2018-04-20 王莉娜 一种塑料袋全自动折叠捆扎机
CN114426114A (zh) * 2022-03-07 2022-05-03 隆士丹智能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贴胶带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011A (ko) * 2004-03-18 2005-09-23 한기용 식품포장대 묶음기계
JP2006151443A (ja) 2004-11-29 2006-06-15 Sanwa Jidoki Seisakusho:Kk 結束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011A (ko) * 2004-03-18 2005-09-23 한기용 식품포장대 묶음기계
JP2006151443A (ja) 2004-11-29 2006-06-15 Sanwa Jidoki Seisakusho:Kk 結束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4246A (zh) * 2013-12-31 2014-04-23 北京航天东方科技发展有限公司 自动充填结扎机中的线轨结扎箱装置
KR102327679B1 (ko) 2021-01-04 2021-11-17 이용근 부채꼴 결속기용 테이핑 장치
JP2022106670A (ja) * 2021-01-04 2022-07-20 ヨン グン イ 扇形結束機用テーピング装置
JP7232312B2 (ja) 2021-01-04 2023-03-02 ヨン グン イ 扇形結束機用テーピング装置
KR200494460Y1 (ko) 2021-08-04 2021-10-18 이도원 부채꼴 결속기의 부채꼴 형성축용 착탈 구조
KR20230029345A (ko) 2021-08-24 2023-03-03 이용근 부채꼴 결속기용 테이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300A (ko)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880B1 (ko) 부채꼴 결속기
US200300890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double zipper bags
KR900006645B1 (ko) 포장기에 있어서 밴드안내 아치
DE102011105014A1 (de) Beutel für Tabak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CN104290955B (zh) 一种自动扎把机
KR20110077534A (ko)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
US3348458A (en) Pleater for sheet material and means for tying and cutting casings
DE19711799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rohrförmigen Hohlkörpern
CN103277512A (zh) 全自动缠绕机
DE2752327C2 (de) Verfahren zum Straffen und Verbinden einer eine Packung umgebenden Bandschlaufe
ITMI972833A1 (it) Procedimento e mezzi per la sagomatura di un elemento a nastro in una forma tubolare in un processo di formatura-riempimento
KR20110077535A (ko) 랩 포장기
CN207550640U (zh) 一种自动袋冰包装机
WO2007129201A2 (en) Machine for forming packing boxes, blank and packing box
AT403154B (de) Verpackungsmaterial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dessen herstellung
CN102673022B (zh) 塑料袋生产装置
CN202138910U (zh) 编织袋专用折边器
CN103086019B (zh) 卷筒包装物封口方法
CN112355588A (zh) 钢构檩条生产系统
CN205705506U (zh) 外带盒成型机
KR100572353B1 (ko) 포장사이즈 가변형 밴드포장기
JP2017171353A (ja) 圧縮梱包装置
JP4933180B2 (ja) 製袋包装機
KR100702482B1 (ko) 밴딩머신의 밴딩유니트
CN2383764Y (zh) 加压自动捆钞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