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7534A -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 - Google Patents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7534A
KR20110077534A KR1020090134149A KR20090134149A KR20110077534A KR 20110077534 A KR20110077534 A KR 20110077534A KR 1020090134149 A KR1020090134149 A KR 1020090134149A KR 20090134149 A KR20090134149 A KR 20090134149A KR 20110077534 A KR20110077534 A KR 20110077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d
wrapping paper
guide
feeding
wri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4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8522B1 (ko
Inventor
안용우
Original Assignee
안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우 filed Critical 안용우
Priority to KR1020090134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522B1/ko
Publication of KR20110077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7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28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twi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16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with means for severing the binding material from supply and then applying it around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지의 개구부를 묶음끈으로 꼬아 개구부를 봉합하는 꼬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사과봉지, 만두봉지, 과자봉지와 같은 포장지 중 개구부를 별도의 묶음끈으로 꼬아 포장하는 포장지에서, 포장지를 수직하게 세워 수평방향으로 연속하여 이송시키면서, 상부로 올라선 개구부를 주름성형유니트를 통해서 묶음끈으로 꼬아 봉합하는 방식을 채택한, 수평방향 이송 수직상방향 꼬임의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이다.
포장지, 컨베어벨트, 수평이송수단, 가이드부, 주름성형유니트

Description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The unit for packing paper}
본 발명은 포장지의 개구부를 묶음끈으로 꼬아 개구부를 봉합하는 꼬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사과봉지, 만두봉지, 과자봉지와 같은 포장지 중 개구부를 별도의 묶음끈으로 꼬아 포장하는 포장지에서, 포장지를 수직하게 세워 수평방향으로 연속하여 이송시키면서, 상부로 올라선 개구부를 주름성형유니트를 통해서 묶음끈으로 꼬아 봉합하는 방식을 채택한, 수평방향 이송 수직상방향 꼬임의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상품은 별도의 독특한 포장의 방식으로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중 본 발명과 같이 포장지의 상단 개구부를 별도의 묶음끈으로 꼬아 봉합하는 방식의 포장지가 존재한다.
이러한 포장지의 경우 작업자가 포장지에 내용물을 채우고 나서, 꼬임장치의 내측으로 포장지를 밀어 넣으면, 자동으로 묶음끈을 커팅하고 묶음끈을 꼬아주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포장지 꼬임장치는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한 번의 작업으로 하나의 포장지를 포장하고 나서, 다음의 포장지를 다시 올려놓고 작업을 해야만 했다. 작업분량이 많은 작업자에게는 쉴 수 없이 공급해야만 하는 이 번거로운 작업으로 인하여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포장지에 내용물을 담고나서, 꼬임장치에 개구부를 눕힌 상태로 접근시켜야만 하는데, 이 과정에서 개구부의 외측으로 내용물을 쏟아버릴 소지가 많았다. 포장지를 직립하여 올려세운 상태에서 포장할 수 있는 방식이 존재하지 않았기에, 포장을 완성하기 전에 쏟아져 다시 포장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포장지의 개구부를 묶음끈으로 꼬아 개구부를 봉합하는 꼬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과봉지, 만두봉지, 과자봉지와 같은 포장지 중 개구부를 별도의 묶음끈으로 꼬아 포장하는 포장지에서, 포장지를 수직하게 세워 수평방향으로 연속하여 이송시키면서, 상부로 올라선 개구부를 주름성형유니트를 통해서 묶음끈으로 꼬아 봉합하는 방식을 채택한, 수평방향 이송 수직상방향 꼬임의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는, 주름형 식품 포장지의 개구부를 묶어 주는 꼬임장치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내용물을 채운 식품 포장지(1)를 직립시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51)를 가진 수평이송수단(50); 가이드봉(58)을 통해서 상기 식품 포장지(1)의 개구부(2)를 모아 주름성형유니트(K)로 이송시키는 가이드부(100); 상기 가이드부(100)와 수평이송수단(50)을 통해 주름성형유니트(K)의 개방꼬임부(3)로 이동한 식품 포장지(1)의 개구부(2)를 묶음끈(5)으로 꼬아 포장하는 주름성형유니트(K);가 결합하여 구성하되, 상기 식품 포장지(1)를 직립시켜 이동시키고, 상방향의 포장지(1) 개구부(2)를 기체 상부의 주름성형유니트(K)가 꼬아 포장을 완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에 따른, 상기 수평이송수단(50)은, 기체프레임(9)에 체결되는 수평프레임(52)과; 상기 수평프레임(52)의 상부에 테이퍼진 각도로 체결되어, 2개의 컨베이어벨트(53) 체결시 "
Figure 112009081669621-PAT00001
"의 형태로 설치되도록 가이드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롤(54); 컨베어벨트(53)의 끝단에서 쌍의 컨베어벨트(53)를 회전시키도록 수평되게 설치되는 회동롤(55)과 그 샤프트(56); 수평프레임(52)의 하단에 체결되는 회동모터(11)와 감속기(12); 상기 감속기(12)의 끝단에 체결된 제1기어(13)와 상기 샤프트(56)의 끝단에 체결되는 제2기어(14)를 연결시키는 타이밍벨트 또는 체인(15)이; 결합하여 상기 회동모터(11)의 회전시, 회동롤(56)에 감긴 쌍의 컨베어벨트(53)가 동시에 회동하되, 가이드롤(54)의 안내에 따라 중심부를 모으는 "
Figure 112009081669621-PAT00002
"의 형태로 동일방향 수평이동을 하고 : 상기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회동롤(56)과 테이퍼지게 설치되는 가이드롤(54)의 유기적인 연결을 위해서, 상기 컨베어벨트(53)의 일측 상단면을 가압하는 "
Figure 112009081669621-PAT00003
"형 가압롤(17)을 가진 가압판(18)을 수평프레임(52)과 체결하여, 컨베어벨트(53)가 가이드롤(54)의 테이퍼진 각도로 용이하게 절곡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수평프레임(52)의 상부로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체결되는 지지판(21)과; 상기 지지판(21)의 상부로 회동가능한 체결구(22)를 통해서 끝단의 절곡된 가이드봉(23)이 체결되고, 지지판(21)의 전면으로는 "ㄷ"자형 가이드판(24)이 제2체결구(25)를 통해 체결되어 간격을 좁힐 수 있도록 한 가이드수단(20)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에 따른, 상기 체결구(22)는, 지지판(21)의 상단에 용접되고, 내측에 회동공(31)을 가진 원통형의 체결관(32)과; 상기 체결관(32)의 회동공(31)에 삽입되는 삽입봉(33)이 형성되고, 다소 큰 지름의 지지관(34)의 측면에는 절곡 가이드봉(23)이 끼워 체결되는 연결블럭(35); 이 결합하되, 연결블럭(35) 측면에 스크류(36)를 통해서 가이드봉(23)을 체결하고, 체결관(32)의 측면에서 관통하는 스크류(36)를 통해서 연결블럭(35)의 연결각도를 제어하고 : 상기 제2체결구(25)는, 지지판(21)에 체결되고 내부에 가이드공(37)이 형성된 원통형의 체결블럭(38)과; "ㄷ"자형 가이드판(24)에 봉 형상의 가이더(39)가 체결되고, 상기 체결블럭(38)의 가이드공(37)에 끼워지는 가이더(39)가;결합하되, 상기 체결블럭(38)의 측면에서 스크류(36)를 통해 가이더(39)를 가압하여 고정된 위치를 확보하며 : 기체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좌우 쌍의 수직 기체프레임(9)에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단지지블럭패널(41)과 제2단지지블럭패널(42)과; 상기 제1단지지블럭패널(41)의 전면으로 체결되는 주름성형유니트(K); 상기 제2단지지블럭패널(42)의 전면으로 체결되는 수평이송수단(50); 상기 제1단지지블럭패널(41)과 제2단지지블럭패널(42)의 후방 가이드블럭(43)에 끼워져, 기체프레임(9)의 상하프레임(44)을 연결하는 좌우 쌍의 가이드(45); 상기 제1단지지블럭패널(41)과 제2단지지블럭패널(42)의 스크류가이더(46)에 각각 스크류 결합되어 가이드(45)와 동일방향으로 설치되는 승하강 스크류(47); 및 상기 승하강 스크류(47)의 끝단에 체결된 각각의 회동손잡이(48);가 결합하여 상기 회동손잡이(48) 를 회전시켜, 제1단지지블럭패널(41)과 제2단지지블럭패널(42)을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포장지(1)의 크기에 따라 기체의 셋팅을 보정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49)을 형성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에 따른, 상기 주름성형유니트(K)는, 포장지(1)의 개구부(2) 진입시, 이를 감지하고 셋팅실린더(201)를 작동하여 개구부(2)를 모아주는 기체셋팅부(200); 수평이송실린더(301)를 통해서 주름판(302)을 이용하여 포장지(1) 개구부(2)를 조여주는 주름성형부(300); 성형된 포장지(1) 주름 개구부(2)를 묶어주기 위해서, 상기 커팅실린더(401)를 통해서 묶음끈(5)을 커팅하는 묶음끈공급부(400); 공급된 묶음끈(5)을 꼬아 개구부(2)를 봉합하는 꼬임성형부(500); 다음의 작업을 위해 묶음끈(5)을 공급하는 묶음끈 피딩부(600);가 결합하여, 수평이송수단(50)으로 공급되는 포장지(1)의 개구부(2)를 묶어주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에 따른, 상기 기체셋팅부(200)는, 수평이송수단(50)의 상단에 형성되는 주름성형유니트(K)의 전방으로 돌출된 센서바(210)와 센서(211); 공급되는 포장지(1)의 개구부(2)를 통해 센서바(210)를 클릭하면, 주름성형유니트(K) 하우징(B) 내부에서 그 축을 연장하는 셋팅실린더(201); 셋팅실린더(201) 축 끝단에 힌지 체결된 "ㄱ"자형의 연동패널(220); 상기 연동패널(220)의 연동 중심축이 되고, 좌우 양단에 상부 수평 이동 주름판(302)이 연결되는 전방, 후방 보조패널(231, 232)이 결합되는 중심 회동봉(230);이 결합하여, 상기 셋팅실린더(201)가 축을 연장하면, 연동패널(220)과 전방 보조패널(231)이 회동봉(230)을 축으로 연동하여, 주름성형부(300)의 상부 수평이동 주름판(302)을 하부 수평이동 주름판(302)에 근접시키고 : 상기 주름성형부(300)는, 주름성형유니트(K)의 일측에 체결된 수평이송실린더(301)의 끝단에 체결된 연동판(310); 가이드봉(311)의 좌우 양단에 연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대칭구조의 전방, 후방 보조패널(231, 232); 상기 연동판(310)에 결합되어 일측의 후방 보조패널(232)에 체결되는 견인봉(321); 전방과 후방 보조패널(232)을 각각 쌍으로 연결하여, 외주면에 주름판(302)이 삽입되는 레일봉(322);이 결합하여, 상기 수평이송실린더(301)가 그 축을 연장하면, 상기 연동판(310)에 견인봉(321)으로 체결된 전방, 후방 보조패널(231, 232)이 동일거리를 이동하되, 좌우 양단의 보조패널(231, 232)이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주름판(302)을 접어 포장지(1)의 개구부(2)에 주름을 잡아 주며 : 상기 주름성형부(300)의 보조패널(231, 232) 양 측면으로는, 하우징(B)에 체결된 타이밍기어(245)를 형성하고, 좌우 양단의 타이밍기어(245)에 타이밍밸트(246)를 연결하며, 상기 타이밍밸트(246)에 보조패널(231, 232)을 체결하여 일측의 보조패널(231, 232) 연동시 타측의 보조패널(231, 232)도 역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 묶음끈공급부(400)는, 주름성형유니트(K) 하우징(B) 하단 중심부에 체결되는 커팅실린더(401)와; 상기 커팅실린더(401)의 축단에 결합되고, 중심부에 "U"자형 묶음끈 성형홈(411)과 셋팅홈(412)을 가진 커팅블럭(410)과 ; 상기 커팅블럭(41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413)과; 상기 가이드레일(413)의 일측단에서, 상기 커팅블럭(410)의 셋팅홈(412)에 관통되는 커팅관(420)과; 상기 커팅관(420)에 대응되도록 커팅블럭(410)의 일측단에 끼워 체결되는 커터(430);가 결합하여, 상기 커팅실린더(401)의 축 연장시, 가이드레일(413)을 타고 커팅블럭(410)이 상승하며 커터(430)를 통해서 묶음끈(5)을 커팅하고, 셋팅홈(412)에 커팅된 묶음끈(5)을 위치시키며 상승하여 주름진 포장지(1)의 개구부(2)를 "U"자 성형홈(411)의 내부에 삽입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에 따른, 꼬임성형부(500)는, 좌우 측에 각각 형성된 전방 보조패널(231, 232)의 외곽으로 외곽패널(501)을 형성하고, 그 외곽패널(501)의 끝단을 연결하는 지지판(502)과; 상기 외곽패널(501)을 연결하는 지지레일(504)에 하향하게 설치되는 꼬임실린더(505)와; 지지판(502)에 체결된 성형블럭(521)의 내부에 지름이 넓은 제1스프로켓(522)과 지름이 작은 제2스프로켓(523)을 동축에 체결하고, 일정거리를 두고 지름이 작은 제3스프로켓(524)을 형성한 작동기어부(520)와; 상기 꼬임실린더(505)의 축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스프로켓(523)을 감고 돌아가는 제1체인(531)과; 제1체인(531) 끝단에 일측단이 체결되고 타측단은 지지레일(532)에 체결된 탄성스프링(533); 상기 제1스프로켓(522)과 제3스프로켓(524)의 외주면을 감는 제2체인(535); 및 상기 제3스프로켓(524)과 동축을 통해 연장되어, 끝단이 커팅블럭(410)의 "U"자 성형홈(411)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좌우 양방향 후크날개(541)가 형성되는 꼬임로터(540)가; 결 합하여 상기 꼬임실린더(505)가 그 축을 축소하면, 작동기어부(520)를 작동시켜 꼬임로터(540)의 양방향 후크날개(541)가 "U"자로 꼬인 묶음끈(5)의 양끝단을 잡고 회전하여 포장지 개구부(2)를 봉합시키고 : 상기 묶음끈피딩부(600)는, 주름성형유니트(K)의 하우징(B) 내부에 설치되는 피딩실린더(601)와; 피딩실린더(601) 축 전방에 설치되는 피딩스프로켓(602)과; 상기 피딩실린더(601)의 축에 결합되어 피딩스프로켓(602)의 외곽부를 돌아 들어가는 피딩체인(603)과; 상기 피딩체인(603)의 끝단에 체결되어 피딩실린더(601) 몸체 부분에 체결되는 피딩탄성스프링(604)과; 원판의 외주면에 묶음끈(5)을 수용하는 끈수용홈(611)이 형성되고, 상기 피딩스프로켓(602)과 동축을 사용하는 하우징(B)의 저면에 체결된 피딩롤(610); 상기 피딩롤(610)의 일측에 외주면이 면접하도록 체결되고, 별도의 제2끈수용홈(611)을 형성한 보조피딩롤(620)이; 결합하여 피딩실린더(601)의 축 축소시, 피딩스크로켓(602)을 통해서 피딩롤(610)을 회전시키고, 상기 끈수용홈(611)에 끼워진 묶음끈(5)을 측방의 커팅관(420)의 내측인 커팅블럭(410)의 셋팅홈(412)으로 공급하며 : 상기 묶음끈 피딩부(600)는, 기체의 일측에 묶음끈(5)이 감긴 공급롤(651)을 형성하고, 다수의 가이드롤(652)과 풀림방지렛치(653)를 형성하여, 묶음끈(5)을 피딩롤(610)에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일단 다수의 포장지에 내용물을 담고, 이러한 포장지를 순차적으로 수평이송수단에 공급시킨다면, 연속적인 포장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서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수직된 방향으로 직립한 포장지를 공급하기에 포장 중 개구부를 통해서 내용물을 쏟을 우려가 없어, 작업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작은 부피를 가진 기체이지만 모든 기능적인 구성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전 자동으로 포장을 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주름형 식품 포장지의 개구부를 묶어 주는 꼬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된 도 1 내지 도 21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내용물을 채운 식품 포장지(1)를 직립시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51)를 가진 수평이송수단(50)이 있고, 가이드봉(58)을 통해서 상기 식품 포장지(1)의 개구부(2)를 모아 주름성형유니트(K)로 이송시키는 가이드부(100)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100)와 수평이송수단(50)을 통해 주름성형유니트(K)의 개방꼬임부(3)로 이동한 식품 포장지(1)의 개구부(2)를 묶음끈(5)으로 꼬아 포장하는 주름성형유니트(K)가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구성하되, 상기 식품 포장지(1)를 직립시켜 이동시키고, 상방향의 포장지(1) 개구부(2)를 기체 상부의 주름성형유니트(K)가 꼬아 포장을 완성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다양한 내용물을 포장할 수 있는 포장지(1)의 개구부(2)를 봉 합하는 꼬임장치로서, 특히 음식물을 수용하고 그 개구부(2)를 별도의 묶음끈(5)을 이용하여 묶어 포장을 완성하는 꼬임장치이다. 상기 묶음끈(5)은 대체로 얇은 철선을 합성수지로 감싼 형태로 제작되거나 동일한 특성을 지닌 별도의 합성수지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결국 이러한 꼬임장치는 종래에도 생산되고 있었지만, 문제점이 발생되었기에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된 것이다. 종래의 꼬임장치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포장지의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기체에 개구부를 수평으로 삽입하여 꼬임을 달성하는 방식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수평되게 누운 개구부를 통해서 내용물이 쏟아지는 현상이 발생될 소지가 있고, 그에 따라 포장을 다시 시작해야만 하는 경우도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하였다. 즉, 내용물을 수용한 포장지를 수직하게 직립한 상태로 주름성형유니트의 내부로 진입시키고, 상기 주름성형유니트는 직립한 포장지의 개구부를 주름지게 모아, 그 끝단에 묶음끈을 이용하여 체결시키는 것이다.
그럼 이러한 본 발명의 구조적인 특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도 1에서처럼, 포장지(1)의 내부에 음식물이나 내용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수평이송수단(50)의 컨베이어벨트(51)에 올려놓는다. 그러면, 상기 컨베이어벨트(51)는 작동을 시작하여, 상기 포장지(1)를 이송시켜 주름성형유니트(K)의 내측으로 진입시키는 것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상기 내용물이 수용된 포장지(1)는 항상 직립된 상태로 컨베이어벨트(51)를 타고 이동을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이송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포장지(1)가 일측으로 쏠리며 쓰러지지 않고, 정확한 주름성형유니트(K)의 개방꼬임부(3)의 내측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00)가 상기 수평이송수단(50)의 상단에 체결된다. 이렇게 진입한 상기 포장지(1)는 개구부(2)가 직립한 상태로 수직되게 주름성형유니트(K)의 개방꼬임부(3)로 진입하고, 주름성형유니트(K)를 통해서 개구부(2)가 봉합되는 것이다.
상기 주름성형유니트(K)의 작동은, 우선 포장지(1)의 개구부(2)를 다겹으로 접어 주고, 이 개구부(2)에 묶음끈(5)을 이용하여 견고히 꼬아준다.
그럼 이러한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실시예를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수평이송수단(50)은 다음과 같다. 수평이송수단은, 기체프레임(9)에 체결되는 수평프레임(52)이 있고, 상기 수평프레임(52)의 상부에 테이퍼진 각도로 체결되어, 2개의 컨베이어벨트(53) 체결시 "
Figure 112009081669621-PAT00004
"의 형태로 설치되도록 가이드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롤(54)이 있으며, 컨베어벨트(53)의 끝단에서 쌍의 컨베어벨트(53)를 회전시키도록 수평되게 설치되는 회동롤(55)과 그 샤프트(56)가 있다. 또한 수평프레임(52)의 하단에 체결되는 회동모터(11)와 감속기(12)이 있고, 상기 감속기(12)의 끝단에 체결된 제1기어(13)와 상기 샤프트(56)의 끝단에 체결되는 제2기어(14)를 연결시키는 타이밍벨트 또는 체인(15)이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회동모터(11)의 회전시, 회동롤(56)에 감긴 쌍의 컨베어벨트(53)가 동시에 회동하되, 가이드롤(54)의 안내에 따라 중심부를 모으는 ""의 형태로 동일방향 수평이동을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평이송수단(50)은 내용물을 수용한 포장지(1)를 수직되게 세운 상태에서 이송을 시킨다. 그런데 일반적인 컨베어벨트(51)를 통해서 포장지(1)를 수직하게 세워 이송을 시키게 되면, 상기 내용물의 무게에 따라 상기 포장지(1)는 일측으로 쏠려 쏟아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51)를 2열로 배열하되, 양측 끝단의 수준을 세워서, 벨트의 형태가 "
Figure 112009081669621-PAT00006
"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2개의 컨베이어벨트(51)의 오목한 접지부분에 수용된 상태로 이동되기에 포장지(1)는 수직된 상태에서 벗어나기 힘든 것이다.
그 구성과 작동의 방식을 살펴보면, 기체프레임(9)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수평된 상태로 수평프레임(52)이 체결되고, 그 수평프레임(52)의 상단면에 컨베이어벨트(51)가 걸리는 가이드롤(54)이 체결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된 것처럼 컨베이어벨트(51)가 완벽하게 수평된 상태로 이송되는 것이 아니기에 약간 테이퍼진 상태로 체결된다. 즉, 2개의 컨베이어벨트(51)를 연결해야만 하기에 전방과 후 방으로 각각 테이퍼진 상태로 가이드롤(54)을 체결하되, 서로 모이는 부분의 수준이 낮도록 "
Figure 112009081669621-PAT00007
" 형태로 체결을 한다.
그리고 이 가이드롤(54)이 체결된 수평프레임(52)의 타측에는 회동롤(56)을 체결한다. 이때 이 회동롤(56)의 경우는 회전운동을 전달받아야 하기에 테이퍼진 상태로 체결되는 것이 아니고 곧은 수평의 상태로 체결을 하되, 상기 2개의 컨베이어벨트(51)가 걸릴 수 있도록 2개의 회동롤(55)로 구분된 상태로 결합하고, 일측의 샤프트(56)는 길이를 길게하여 수평프레임(52)의 외측을 관통하고 나가, 그 끝단에 제2기어(14)를 체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기어(14)는 체인(15)에 걸려 측방의 모터(11)와 감속기(12) 축에 체결된 제1기어(13)와 연결되어, 회전을 전달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수평이송수단(50)의 작동의 방식은 상기 모터(11)가 회전을 하면, 감속기(12)를 돌리고, 상기 감속기(12) 축에 체결된 제1기어(13)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제1기어(13)의 회전은 체인(15)을 통해서 연결된 제2기어(14)를 회전시키고, 이 제2기어(14)는 회동롤(55)을 회전시키며, 상기 회동롤(55)과 가이드롤(54)에 감긴 컨베이어벨트(53)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수평이송수단(50)에 올려진 포장지(1)는 "
Figure 112009081669621-PAT00008
"의 형태로 구성된 컨베이어벨트(51)를 타고 곧게 선 수직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하여 주름성형유니트(K)의 내측으로 정확하게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평이송수단(50)에서 일측의 가이드롤(54)은 테이퍼진 상태로 체결하여 컨베이어벨트(51)를 "
Figure 112009081669621-PAT00009
"의 형태로 이송시키기에 구조적으로 위치 고정할 수 있다. 그런데 타측의 회동롤(56)은 모터(11)의 회전력을 직접적으로 전달받아야 하기에 테이퍼진 각도록 절곡하거나 2개로 꺽어 주기 힘들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
Figure 112009081669621-PAT00010
"의 형태로 절곡된 2원적인 힘들 부여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실시 형태로 작동을 완성하고 있다.
즉, 도시된 도 2에서처럼, 상기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회동롤(56)과 테이퍼지게 설치되는 가이드롤(54)의 유기적인 연결을 위해서, 상기 컨베어벨트(51)의 일측 상단면을 가압하는 또 하나의 "
Figure 112009081669621-PAT00011
"형 가압롤(17)을 가진 가압판(18)을 수평프레임(52)과 체결하여, 컨베어벨트(51)가 가이드롤(54, 17)의 테이퍼진 각도로 용이하게 절곡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시된 도 4에서처럼, 회동롤(56) 부근에서 컨베어벨트(51)를 싸고 "
Figure 112009081669621-PAT00012
"형으로 가압하는 가압롤(17)을 형성하되, 수평프레임(52)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는 가압판(18)을 형성하여, 체결하면, 상기 "
Figure 112009081669621-PAT00013
"형의 가압롤(17)이 내측의 컨베어벨트(51)를 테이퍼지게 가압하여, 컨베어벨트(51)의 이송각도를 틀어주는 것이다. 사실상 회동롤(56)은 수평방향으로 회전을 하지만, 이송 중 에 일측에서 "
Figure 112009081669621-PAT00014
"형 가압롤(17)이 컨베이어벨트(51)의 상단면을 가압하여 그 이송각도를 틀어주게 되어 후방의 가이드롤(54)의 설치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틀어져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의해서 본 발명의 수평이송수단(50)의 컨베이어벨트(51)는 "
Figure 112009081669621-PAT00015
"로 틀어진 각도로 이송하면서, 사실상 중심부의 오목한 부위에 포장지(1)를 끼운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평이송수단(50)의 상부로 포장지(1)의 개구부(2)를 모아주고, 개구부(2)가 다른 방향으로 쏠리지 않도록 가이드해주는 별도의 가이드수단을 비치하고 있다. 즉, 상기 수평프레임(52)의 상부로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체결되는 지지판(21)이 있고, 상기 지지판(21)의 상부로 회동가능한 체결구(22)를 통해서 끝단의 절곡된 가이드봉(23)이 체결되며, 지지판(21)의 전면으로는 "ㄷ"자형 가이드판(24)이 제2체결구(25)를 통해 체결되어 간격을 좁힐 수 있도록 한 가이드수단(20)이 형성되는 것이다.
즉, 수평프레임(52)이 포장지(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전방과 후방에 형성되는데, 바로 이 수평프레임(52)의 상단으로 지지판(21)이 체결되고, 그 지지판(21)에 체결구(22)와 제2체결구(25)를 체결하여 가이드봉(23)과의 유기적인 결합을 달성하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포장지와 면접되면서 그 간격을 좁힐 수 있도록 형성하는 부분이 제2체결구(25)로서 컨베이어벨트(51)에 올라서 이동하는 포장지(1)의 중 심부분을 가이드할 수 있는 "ㄷ"자형 가이드판(24)을 체결한다. 그리고 체결구(22)는 지지판(21)의 상단에 별도의 절곡되는 가이드봉(23)을 연결하고, 이 가이드봉(23)이 포장지(1)의 상단 개구부(2)를 모으고 가이드하여, 주름성형유니트(K)로 정확한 이송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시된 도 4 내지 6에서처럼, 컨베이어벨트(51)를 타고 이송하는 포장지(1)는, 하단에서는 "
Figure 112009081669621-PAT00016
" 형태로 회전하는 컨베이어벨트(51)가 잡고, 중심부분에서는 "ㄷ"자형의 가이드판(24)이 잡으며, 최 상단에서는 절곡되는 가이드봉(23)이 잡아 정확한 이동일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을 사용하는 다양한 포장지(1)는 그 크기와 부피 및 높이 등이 다를 소지가 많다. 다양한 상품을 포장해야만 하는 본 발명의 꼬임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포장지(1)에도 적용될 수 있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포장지(1)에 따른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상기 체결구(22)와 제2체결구(25)는 구성요소 간의 결합을 달성하면서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적인 수단으로도 강구되었다.
즉, 상기 체결구(22)는, 지지판(21)의 상단에 용접되고, 내측에 회동공(31)을 가진 원통형의 체결관(32)이 있고, 상기 체결관(32)의 회동공(31)에 삽입되는 삽입봉(33)이 형성되고, 다소 큰 지름의 지지관(34)의 측면에는 절곡 가이드봉(23)이 끼워 체결되는 연결블럭(35)이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연결블럭(35) 측면에 스크류(36)를 통해서 가이드봉(23)을 체결하고, 체결관(32)의 측면에서 관통하는 스크류(36)를 통해서 연결블럭(35)의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도시된 도 5의 (a)에서처럼, 지지판(21)의 상단에 회동공(32)을 가진 체결관(32)을 용접 등의 방식으로 일체화시키고, 상기 체결관(32)에 삽입봉(33)을 이용하여 연결블럭(35)을 체결한다. 물론 상기 연결블럭(35)의 내측으로는 포장지(1)의 개구부(2)를 안내할 절곡된 가이드봉(23)의 일측에 체결되어 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체결관(32)의 내측으로 삽입봉(33)을 가진 연결블럭(35)을 체결하고, 상기 연결블럭(35)의 지지관(21)에는 그 측면에서 관통될 수 있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봉(23)이 체결된다.
체결의 방식으로는 상기 연결블럭(35)의 지지관(34)에 형성된 구멍에 가이드봉(23)을 삽입하고, 상기 포장지(1)의 높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봉(23)의 높이를 적당히 조절하고 나서는, 상기 연결블럭(35)의 지지관(34) 측면에서 스크류를 조여 상기 가이드봉(23)의 설치 높이를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스크류(36)가 지지관(34)을 타고 조여지면, 지지관(34)의 내측을 관통하고 있는 가이드봉(23)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견고히 일체화시키는 방식이다. 결국 이러한 체결의 방식으로 본 발명의 가이드봉(23)은 그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23)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식으로는, 상기 체결관(32)의 내측 회동공(31)에 연결블럭(35)의 삽입봉(33)을 삽입하고, 상기 체결관(32)의 측면에서 스크류(36)를 통해서 가압하여 상기 연결블럭(35) 내측에서 상기 삽입봉(33)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방식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블럭(35)의 지지관(34)에 끼워진 가이드봉(23)은 그 간격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약간의 보정이 필요한 경우라면, 스크류(36)를 풀고, 상기 체결관(32)의 내주 회동공(31)을 타고 상기 삽입봉(33)을 회전시키고, 다시 스크류(36)를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2체결구(25)의 구성을 도시된 도 5의 (a)를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2체결구(25)는, 지지판(21)에 체결되고 내부에 가이드공(37)이 형성된 원통형의 체결블럭(38)이 있고, "ㄷ"자형 가이드판(24)에 봉 형상의 가이더(39)가 체결되고, 상기 체결블럭(38)의 가이드공(37)에 끼워지는 가이더(39)가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되, 상기 체결블럭(38)의 측면에서 스크류(36)를 통해 가이더(39)를 가압하여 고정된 위치를 확보하는 것이다.
포장지 중심부분을 잡아주기 위한 가이드판(24)을 잡고, 또 가이드판(24)과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체결구(22)는, 아주 단순한 형태이다. 도시된 도 4와 5에서처럼, 전방과 후방에 형성되는 지지판(21)에 각각 원통형의 체결블럭(38)을 체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블럭(38)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공(37)에는 "ㄷ"자형의 가이드판(24)이 체결된 가이더(39)를 삽입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공(37)을 타 고 상기 가이더(39)가 연동운동을 하면서, 전방과 후방에서 가이드판(24)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가이더(39)를 일정한 상태로 빼거나 삽입하여 상기 가이드판(25)의 간격을 조절하고 나서는, 상기 체결블럭(38)의 측면에서 스크류(36)를 체결하여 가이드공(37)의 내주면에 면접하고 있는 가이더(39)를 가압하는 것이다. 스크류(36)의 끝단이 가이더(39)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가이더(39)는 체결관(32)의 내측에 견고히 끼게 되어 그 간격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아주 다양한 작업의 현장에서 다양한 작업자에 의해서 아주 다양한 포장지의 종류에 따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전술된 모든 구성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꼬임장치는 포장지(1)의 크기나 부피에 모두 적용할 수 있게 마련되었다. 그런데 작업자의 키나 작업현장에 따른 적용 가능성은 완벽하게 해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바로 이렇게 작업자의 키나 몸의 부피 및 작업의 방식에 따라 용이하게 그 설치위치 및 꼬임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비치하고 있다.
도시된 도 6에서처럼, 본 발명에서 기체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좌우 쌍의 수직 기체프레임(9)에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단지지블럭패널(41)과 제2단지지블럭패널(42)이 있고, 상기 제1단지지블럭패널(41)의 전면으로 체결되는 주름성형유니트(K)이 있으며, 상기 제2단지지블럭패널(42)의 전면으로 체결되는 수평이송수단(50)이 있다. 또한 상기 제1단지지블럭패널(41)과 제2단지지블럭패널(42)의 후방 가이드블럭(43)에 끼워져, 기체프레임(9)의 상하프레임(44)을 연결하는 좌우 쌍의 가이드(45)이 있고, 상기 제1단지지블럭패널(41)과 제2단지지블럭패널(42)의 스크류가이더(46)에 각각 스크류 결합되어 가이드(45)와 동일방향으로 설치되는 승하강 스크류(47)이 있으며, 상기 승하강 스크류(47)의 끝단에 체결된 각각의 회동손잡이(48)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회동손잡이(48)를 회전시켜, 제1단지지블럭패널(41)과 제2단지지블럭패널(42)을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포장지(1)의 크기에 따라 기체의 셋팅을 보정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49)을 형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기체프레임(9)은 수직 방향으로 상승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수직 상승된 기체프레임(9)을 서로 연결하는 제1단지지블럭패널(41)과 제2단지지블럭패널(42)이 형성된다. 상기 1단지지블럭패널(41)이 상층부에 형성되고 제2단지지블럭패널(42)이 하층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1단지지블럭패널(41)에는 주름성형유니트(K)가 체결되고, 2단지지블럭패널(42)에는 수평이송수단(50)이 체결된다.
그런데 본 발명은 도 7에서처럼, 이러한 상기 1, 2단지지블럭패널(41, 42)을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키와 작업장의 규모 및 크기, 또한 특별한 크기의 포장지(1)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회동손잡이(48)는 1단지지블럭패널(41)의 스크류(47)와 2단지지블럭패널(42)의 스크류(47)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만일 상기 1단지지블럭패널(41)의 후방 스크류가이더(46)를 관통하는 스크류(47)에 체결된 회동손잡이(48)를 회전시키면 상기 1단지지블럭패널(4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스크류(47)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류(47)의 회전작용에 따라 상기 스크류가이더(46)가 체결된 1단지지블럭패널(41)은 상기 가이드(45)의 안내에 따라 수직 연동을 하면서 그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45)는 별도로 마련되는 1단지지블럭패널(41)의 가이드블럭(43)에 끼워진 상태이기에, 상기 1단지지블럭패널(41)이 가이드(45)를 타고 수직 연동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한다.
다음으로 2단지지블럭패널(42)의 경우도, 2단지지블럭패널(42)의 후방 스크류가이더(46)에 끼워진 스크류(47)를 회전시켜서 2단지지블럭패널(42)의 높이를 조절한다. 즉, 회동손잡이(48)를 회전시키면, 스크류(47)가 회전을 하면서 상기 스크류가이더(46)를 승하강시킬 것이고, 이 승하강은 상기 2단지지블럭패널(42)의 후방에 형성된 가이드블럭(43)이 가이드(45)를 타고 이송하는 작동에 의해서 수직 연동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1단지지블럭패널(41)의 전면에는 주름성형유니트(K)가 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2단지지블럭패널(42)의 전면에는 수평이송수단(50)이 체결된 상태이기에 이러한 수직 고도의 이동은 주름성형유니트(K)와 수평이송수단(50)의 높이를 조절하여, 보다 정확한 작업이 가능하게 한다.
앞에서는 본 발명의 꼬임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주름성형유니트(K)의 내측으로 포장지(1)를 공급하는 수단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따라서 뒤에서는 공급된 포장지(1)의 개구부(2)에 별도의 묶음끈(5)을 이용하여 봉합하는 주름성형유니트(K)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상기 주름성형유니트(K)는, 포장지(1)의 개구부(2) 진입시, 이를 감지하고 셋팅실린더(201)를 작동하여 개구부(2)를 모아주는 기체셋팅부(200)가 있고, 수평이송실린더(301)를 통해서 주름판(302)을 이용하여 포장지(1) 개구부(2)를 조여주는 주름성형부(300)가 있으며, 성형된 포장지(1) 주름 개구부(2)를 묶어주기 위해서, 상기 커팅실린더(401)를 통해서 묶음끈(5)을 커팅하는 묶음끈공급부(400)가 있다. 또한 공급된 묶음끈(5)을 꼬아 개구부(2)를 봉합하는 꼬임성형부(500)가 있고, 다음의 작업을 위해 묶음끈(5)을 공급하는 묶음끈 피딩부(600)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수평이송수단(50)으로 공급되는 포장지(1)의 개구부(2)를 묶어주는 것이다.
즉, 공급된 포장지(1)의 개구부(2)를 묶음끈(5)으로 자동으로 묶어 봉합하는 기계이다. 이러한 설명을 위해서 본 발명의 꼬임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의 모습을 먼저 살펴본다.
사용자는 포장지(1)에 적당히 내용물을 담은 상태에서 수평이송수단(50)의 컨베이어벨트(51)에 올려놓게 된다. 그러면, 상기 컨베이어벨트(51)를 회동을 하며, 도시된 도 1과 2의 좌측으로 포장지(1)를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도 1 내지 7 에서처럼 포장지(1)가 이동하다가, 센서(211)에 근접하여, 센서바(210)를 클릭하게 되면,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일정한 시간이 흐르고 나서 바로 컨베이어벨트(51)의 작동은 중지된다. 이때 이러한 타이밍의 선정은 컨베이어벨트(51)의 속도와 포장지(1)의 폭이 어느 정도인가가 중요한 판단의 수단이 된다. 아무튼 이렇게 센서바(211)를 포장지(1)의 일측단에서 클릭하여 약간의 시간이 지나고, 상기 주름성형유니트(K)의 중심부에 포장지(1)가 위치하게 되면 컨베이어벨트(51)는 그 회동을 중지하고, 주름성형유니트(K)가 작동을 한다.
그 작동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포장지가 주름성형유니트(K)의 개방꼬임부(3)로 진입을 하면, 기체셋팅부(200)가 작동을 하여, 개방꼬임부(3)를 모아 포장지(1) 개구부(2)를 서로 면접하도록 간격을 좁혀준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주름성형부(300)가 상기 개구부(2)를 절곡하여 주름을 잡아주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주름이 잡힌 포장지(1)의 개구부(2)는 묶음끈공급부(400)를 통해서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묶음끈(5)이 주름진 개구부(2)를 감쌀 수 있도록 하고, 꼬임성형부(500)가 상기 묶음끈(5)을 꼬아 포장지(1) 개구부(2)를 봉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묶음끈(5)은 다음의 작업을 위해서 상기 묶음끈공급부(400)로 계속해서 묶음끈(5)을 공급해야만 하는데, 이러한 작업을 하는 것이 바로 묶음끈 피딩부(600)이다. 본 발명은 이렇듯 주름 봉합을 위해서 전 자동으로 작동하는 것이다.
그럼 이러한 본 발명의 주름성형유니트(K)의 보다 상세한 구성과 그 작동의 설명을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상기 기체셋팅부(200)는, 수평이송수단(50)의 상단에 형성되는 주름성형유니트(K)의 전방으로 돌출된 센서바(210)와 센서(211)가 있고, 공급되는 포장지(1)의 개구부(2)를 통해 센서바(210)를 클릭하면, 주름성형유니트(K) 하우징(B) 내부에서 그 축을 연장하는 셋팅실린더(201)가 있으며, 셋팅실린더(201) 축 끝단에 힌지 체결된 "ㄱ"자형의 연동패널(220)가 있다. 또한 상기 연동패널(220)의 연동 중심축이 되고, 좌우 양단에 상부 수평이동 주름판(302)이 연결되는 전방, 후방 보조패널(231, 232)이 결합되는 중심 회동봉(230)이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셋팅실린더(201)가 축을 연장하면, 연동패널(220)과 전방 보조패널(231)이 회동봉(230)을 축으로 연동하여, 주름성형부(300)의 상부 수평이동 주름판(302)을 하부 수평이동 주름판(302)에 근접시키는 것이다.
이미 설명된 것처럼, 도 1과 6의 본 발명 기체셋팅부(200)는 포장지(1)가 근접했을 때, 주름성형유니트(K)가 작동을 할 수 있도록 모든 위치적인 셋팅을 완료하게 된다. 즉, 포장지가 수평이송수단(50)을 통해서 이동하다가, 주름성형유니트(K)의 전방으로 돌출된 센서바(211)를 클릭하게 된다. 이때 센서바(211)가 클릭되는 순간은 포장지(1)의 끝단이 센서바(211)를 건드리는 순간이기에 도시된 도 1과 도 6의 주름성형유니트(K) 우측에 막 진입할 때이다. 이 상태에서 모든 기체가 작동을 한다면, 정확한 위치를 확보하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오기에, 본 발명의 기 체셋팅부(200)는 포장지(1)의 폭에 따라 약간의 시간을 두어 수평이송수단(50)의 컨베이어벨트(51)의 작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이미 다수의 실험을 통해서 켄베이어벨트(51)의 이송속도, 포장지(1)의 폭의 길이를 고려하여 포장지(2)의 좌측단이 센서바(211)를 건드리고 계속해서 수평이동하다가, 주름성형유니트(K)의 하우징 중심부와 포장지(1)의 중심부가 일치하는 순간에 컨베이어벨트(51)의 회동을 멈추게 한다. 즉, 시간적인 타이밍을 제어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셋팅실린더(200)는 작동을 하여 개방꼬임부(3)의 간격을 좁히게 된다.
도시된 도 8과 9에서처럼, 셋팅실린더(201)는 그 축을 "ㄱ"자형 연동패널(220)에 힌지 결합된 상태이기에 상기 셋팅실린더(201)가 작동을 하여 그 축을 연장하게 되면, 상기 연동패널(220)은 그 회동봉(230)을 축으로 전후방의 연동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동패널(220)과 회동봉(230)에는 전방, 후방 보조패널(232)이 결합된 상태이고, 후방 보조패널(232)은 위치가 고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전방 보조패널(231)만이 상기 회동봉(230)을 축으로 연동을 하여 후방 보조패널(232)을 향하여 회동을 하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작동에 따라서 상기 전방 보조패널(231)은 후방 보조패널(232)을 향해서 접근하여 간격인 개방꼬임부(3)를 간격을 좁히는 것이다.
물론 이때, 상기 보조패널(231, 232)과 가이드봉(311) 등에 체결되어 있던 상기 꼬임성형부(500)도 간격을 좁히여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게 되지만,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이렇게 기체의 작업을 위한 셋팅이 끝나면, 본 발명의 주름성형부(300)가 포장지 개구부(2)에 주름을 성형하게 되는데, 그 자세한 구성과 작동을 설명한다. 즉, 상기 주름성형부(300)는, 주름성형유니트(K)의 일측에 체결된 수평이송실린더(301)의 끝단에 체결된 연동판(310)이 있고, 가이드봉(311)의 좌우 양단에 연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대칭구조의 전방, 후방 보조패널(231, 232)이 있으며, 상기 연동판(310)에 결합되어 일측의 후방 보조패널(232)에 체결되는 견인봉(321)이 있다. 또한 전방과 후방 보조패널(232)을 각각 쌍으로 연결하여, 외주면에 주름판(302)이 삽입되는 레일봉(322)이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수평이송실린더(301)가 그 축을 연장하면, 상기 연동판(310)에 견인봉(321)으로 체결된 전방, 후방 보조패널(231, 232)이 동일거리를 이동하되, 좌우 양단의 보조패널(231, 232)이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주름판(302)을 접어 포장지(1)의 개구부(2)에 주름을 잡아 주는 것이다.
수평이송실린더(301)의 그 축은 주름성형유니트(K)의 하우징(B) 내측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체결되고, 그 축을 뻗을 때에는 일측의 보조패널(231, 232)을 향해서 접근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보조패널(231, 232)에는 쌍의 레일봉(322)을 형성하고, 이 레일봉(322)에 주름판(302)을 결합시켜 주름판(302)이 접히게 되면, 그 내측의 포장지(1) 개구부(2)도 주름을 잡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주름성형유니트(K) 내부의 수평이송실린더(301)의 축단이 연장되고, 그 끝단에 결합된 연동판(310)이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게 되면, 연동판(310)에 체결된 일측의 전방과 후방의 보조패널(231, 232)을 잡아당기게 된다. 즉, 도시된 도 10 내지 113에서처럼, 연동판(310)에는 별도의 견인봉(321)이 체결되고, 그 타단은 일측의 보조패널(231, 232)에 체결된 상태이기에 연동판(310)이 수평이송실린더(301)의 축 연장 작동에 따라 이동하면, 그 이동 거리만큼 일측의 전방과 후방의 보조패널(231, 232)을 중심부 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펼쳐져 있던 주름판(302)은 그 주름을 접으면서 전방과 후방 주름판(302) 사이에 끼어있던 포장지(1)의 개구부(2)를 동일하게 접어주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작동은 하우징(B)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의 작동을 설명한 것이다. 즉, 연동판(310)이 끌어들이는 좌측이나 우측의 보조패널(231, 232) 타측은 별도의 동작을 발생시킬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평이송실린더(301)의 일방향 작동만으로 상기 좌우측의 전방과 후방 보조패널(231, 232)을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이동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수단이 강구되어 있다.
즉, 도시된 도 10 내지 도 13에서처럼, 상기 주름성형부(300)의 보조패 널(231, 232) 양 측면으로는, 하우징(B)에 체결된 타이밍기어(245)를 형성하고, 좌우 양단의 타이밍기어(245)에 타이밍밸트(246)를 연결하며, 상기 타이밍밸트(246)에 보조패널(231, 232)을 체결하여 일측의 보조패널(231, 232) 연동시 타측의 보조패널(231, 232)도 역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시된 도면과는 달리 다양한 다른 실시예로도 달성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타이밍밸트(246)와 타이밍기어(245)를 사용하여 이러한 작업을 달성하였다. 타이밍기어(245)는 하우징(B)에 체결하여 이동할 수 없이 단순하게 회전할 수 있게 형성하고, 이 타이밍기어(245)를 별도의 타이밍밸트(246)를 통해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타이밍기어(245)는 하우징(B)의 좌우측에 각각 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좌우측에 쌍으로 형성되는 보조패널(231, 232)과 서로 결합을 하되, 서로 역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체결을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타이밍밸트(246)의 전방 이송과 후방 이송은 그 이송거리는 동일하지만 역방향의 회전운동임을 착안하여, 상기 보조패널(231, 232)을 연결함에 있어서, 좌측의 보조패널(231, 232)이 전방의 타이밍밸트(246)에 연결했다면, 우측의 보조패널(231, 232)은 후방의 타이밍밸트(246)에 연결하여 역방향의 동일거리 이동을 달성한 것이다.
결국 이러한 결합관계로 작동하는 본 발명의 주름성형부(300)는, 상기 수평 이송실린더(301)가 그 축을 뻗어 우측의 보조패널(231, 232)을 좌측으로 이송시킬 때, 이 운동이 타이밍밸트(246)를 회전시키게 된다. 물론 이러한 타이밍밸트(246)의 이송은 타측의 타이밍밸트(246)에 체결된 우측의 보조패널(231, 232)을 좌측으로 이송시키는 결과를 가져와 완벽하게 주름판(302)을 접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작동에 따라 본 발명의 포장지(1) 개구부(2)는 완벽하게 접히어 묶음끈(5)으로 묶을 준비를 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개구부(2)를 접어주는 과정이 끝나면, 바로 묶음끈(5)을 공급하여 접어진 포장지(1) 개구부(2)로 묶음끈(5)을 감싸주는 작동이 시작되는데, 이러한 작동을 하는 것이 묶음끈공급부(400)이다.
상기 묶음끈공급부(400)는, 주름성형유니트(K) 하우징(B) 하단 중심부에 체결되는 커팅실린더(401)가 있고, 상기 커팅실린더(401)의 축단에 결합되고, 중심부에 "U"자형 묶음끈 성형홈(411)과 셋팅홈(412)을 가진 커팅블럭(410)이 있으며, 상기 커팅블럭(41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413)가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413)의 일측단에서, 상기 커팅블럭(410)의 셋팅홈(412)에 관통되는 커팅관(420)가 있고, 상기 커팅관(420)에 대응되도록 커팅블럭(410)의 일측단에 끼워 체결되는 커터(430)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커팅실린더(401)의 축 연장시, 가이드레일(413)을 타고 커팅블럭(410)이 상승하며 커터(430)를 통해서 묶음 끈(5)을 커팅하고, 셋팅홈(412)에 커팅된 묶음끈(5)을 위치시키며 상승하여 주름진 포장지(1)의 개구부(2)를 "U"자 성형홈(411)의 내부에 삽입시키는 것이다.
도시된 도 14에서처럼, 상기 묶음끈공급부(400)는 하우징(B)의 하단에 마련되는데, 상기 커팅실린더(401)의 축단에 "U"자형 묶음끈 성형홈(411)을 가진 커팅블럭(410)이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커팅실린더(401)가 그 축을 연장하면, 상기 커팅블럭(410)은 하우징(B)의 하단에서 전진하여 하우징(B)의 저면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커팅블럭(410)의 셋팅홈(412)에 위치하고 있던 묶음끈(5)을 접어진 포장지 개구부(2)를 감쌀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커팅실린더(401)가 그 축을 연장하면, 하우징(B) 저면의 좌우 방향에 설치된 가이드레일(413)을 타고, 그 내측의 커팅블럭(410)이 전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팅블럭(410)의 일측면에는 도시된 커터(430)가 끼워져 있기에 상기 커팅블럭(410)의 전진과 함께 동일한 이동거리를 가지며 전진을 하게 된다. 물론 그 전에 본 발명의 묶음끈 피딩부(600)에 의해서 상기 커팅블럭(410)의 끝단 셋팅홈(412)에는 묶음끈(5)이 위치를 확보한 상태이지만, 이러한 작동은 후술하겠다.
아무튼 이렇게 셋팅된 묶음끈(5)은 적당한 크기로 절단된 상태가 아니기에 상기 커팅블럭(410)이 전진을 하면서 가이드레일(413)의 타측 커팅관(420)을 통해 진입된 묶음끈(5)을 커터로 커팅하면서 셋팅홈(412)에 안착한 상태로 전진한다. 그리고 그 전진의 끝단에는 도시된 것처럼, 포장지 개구부(2)가 그 주름성형부(300)에 의해서 접어진 상태로 위치하고 있기에 상기 개구부(2)를 밀면서 전진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셋팅홈(412)의 정 중심부에는 "U"자형으로 홈을 파놓은 "U"자형 성형홈(411)이 있기에, 상기 "U"자형 성형홈(411)에 포장지(1) 개구부(2)를 밀어 넣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작동은 상기 개구부(2)와 "U"자형 성형홈(411)의 밀착에 따라 커팅블럭(410)의 셋팅홈(412)에 위치하고 있던 커팅된 묶음끈(5)을 접어 "U"자형으로 접어주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이 끝나고 나서는 본 발명의 꼬임성형부(500)가 작동을 하여, 상기 개구부(2)을 감싼 묶음끈(5)을 꼬아 개구부(2)를 완벽하게 봉합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꼬임성형부(500)의 구성과 그 작동을 도 14 내지 16과 함께 설명한다.
꼬임성형부(500)는, 좌우 측에 각각 형성된 전방 보조패널(231, 232)의 외곽으로 외곽패널(501)을 형성하고, 그 외곽패널(501)의 끝단을 연결하는 지지판(502)이 있고, 상기 외곽패널(501)을 연결하는 지지레일(504)에 하향하게 설치되는 꼬임실린더(505)이 있으며, 지지판(502)에 체결된 성형블럭(521)의 내부에 지름이 넓은 제1스프로켓(522)과 지름이 작은 제2스프로켓(523)을 동축에 체결하고, 일정거리를 두고 지름이 작은 제3스프로켓(524)을 형성한 작동기어부(520)가 있다. 또한 상기 꼬임실린더(505)의 축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스프로켓(523)을 감고 돌아가는 제1체인(531)이 있고, 제1체인(531) 끝단에 일측단이 체결되고 타측단은 지지레일(532)에 체결된 탄성스프링(533)이 있으며, 상기 제1스프로켓(522)과 제3스프로켓(524)의 외주면을 감는 제2체인(535)이 있다. 또한 상기 제3스프로켓(524)과 동축을 통해 연장되어, 끝단이 커팅블럭(410)의 "U"자 성형홈(411)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좌우 양방향 후크날개(541)가 형성되는 꼬임로터(540)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꼬임실린더(505)가 그 축을 축소하면, 작동기어부(520)를 작동시켜 꼬임로터(540)의 양방향 후크날개(541)가 "U"자로 꼬인 묶음끈(5)의 양끝단을 잡고 회전하여 포장지 개구부(2)를 봉합시키는 것이다.
꼬임성형부(500)의 작동의 설명을 하면, 꼬임성형부(500)는, 외곽패널(501)을 연결하는 지지판(502)과 외곽패널(501)을 연결하는 지지레일(532)에 체결되는데, 상기 기체셋팅부(200)의 작동에 따라 연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팅블럭(410)에서 "U"자형으로 꼬아진 묶음끈(5)의 전방에 위치하다가, 묶음끈(5)이 개구부(2)를 수용한 상태로 "U"자형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꼬임실린더(505)의 축이 축을 축소할 때, 회전하여 묶음끈(5)을 개구부(2)에 묶어주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이 작용을 설명하자면, 상기 꼬임실린더(505)의 축단은 항상 제1체인(531)과 탄성스프링(533)에 의해서 그 축을 연장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 기 탄성스프링(533)의 탄성력이 축을 잡아당겨 축이 연장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꼬임실린더(505)가 그 축을 축소하게 되면, 상기 작동기어부(520)를 작동시켜 회전력을 전달하고, 그 회전력에 의해서 꼬임로터(540)를 회전하여 묶음끈(5)을 꼬아주는 것이다.
먼저 축이 축소되면, 상기 제1체인(531)이 제2스프로켓(523)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제2스프로켓(523)은 보다 넓은 지름을 가진 제1스프로켓(522)과 동일한 축으로 결합된 상태이기에 상기 제1스프로켓(522)도 회전을 하게 된다. 즉, 제2스프로켓(523)의 1회전은 제1스프로켓(522)의 1회전을 가져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기어부(520)에서 상기 제1스프로켓(522)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또 다른 제3스프로켓(524)이 형성되는데, 이 제3스프로켓(524)은 제1스프로켓(522)과 제2체인(535)을 통해서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1스프로켓(522)의 회전은 제2체인(535)을 통해 제3스프포켓(524)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결국 제2스프로켓(523), 제1스프로켓(522), 제3스프로켓(524)은 제1체인(531)과 제2체인(535)을 통해서 동시에 회전을 한다.
이때 상기 제3스프로켓(524)의 축단에는 후크날개(541)를 가진 꼬임로터(540)가 형성되어 있기에 상기 제3스크로켓(524)의 회전은 꼬임로터(540)의 회전을 가져온다. 상기 꼬임로터(540)의 후크날개(541)는 상기 개구부(2)를 수용하는 묶음끈(5)의 끝단을 잡게 되고, 그 회전에 따라 묶음끈(5)을 개구부(2)에 꼬아 완 벽하게 포장지(1)를 봉합하는 작동을 한다.
결국 본 발명의 포장지(1)는 이 꼬임성형부(500)를 통해서 개구부(2)를 봉합하여 포장을 완성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작업을 자동적으로 계속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묶음끈(5)을 계속해서, 묶음끈공급부(400)로 공급해주어야만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작용을 도시된 도 17과 18의 묶음끈 피딩부(600)를 통해서 달성한다.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상기 묶음끈피딩부(600)는, 주름성형유니트(K)의 하우징(B) 내부에 설치되는 피딩실린더(601)가 있고, 피딩실린더(601) 축 전방에 설치되는 피딩스프로켓(602)가 있으며, 상기 피딩실린더(601)의 축에 결합되어 피딩스프로켓(602)의 외곽부를 돌아 들어가는 피딩체인(603)가 있다. 또한 상기 피딩체인(603)의 끝단에 체결되어 피딩실린더(601) 몸체 부분에 체결되는 피딩탄성스프링(604)가 있고, 원판의 외주면에 묶음끈(5)을 수용하는 끈수용홈(611)이 형성되고, 상기 피딩스프로켓(602)과 동축을 사용하는 하우징(B)의 저면에 체결된 피딩롤(610)가 있으며, 상기 피딩롤(610)의 일측에 외주면이 면접하도록 체결되고, 별도의 제2끈수용홈(611)을 형성한 보조피딩롤(6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피딩실린더(601)의 축 축소시, 피딩스크로켓(602)을 통해서 피딩롤(610)을 회전시키고, 상기 끈수용홈(611)에 끼워진 묶음끈(5)을 측방의 커팅관(420)의 내측인 커팅블럭(410)의 셋팅홈(412)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묶음끈피딩부(600)의 경우도 전술된 꼬임성형부(500)와 유사하게 실린더의 축작용을 통해서 묶음끈(5)을 전달한다. 먼저 주름성형유니트(K)의 하우징(B) 내부에 설치되는 피딩실린더(601)가 작동을 하여, 그 축을 축소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피딩실린더(601)의 축단에도 별도의 피딩체인(603)과 피딩탄성스프링(604)이 연결된 상태이기에 항상 그 축을 연장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실린더(601) 작동에 따라 축을 축소시키게 되면, 피딩체인(603)을 당겨주는 작동을 한다. 상기 피딩체인(603)은 전술된 피딩스프로켓(602)에 감긴 상태를 유지하고, 하우징(B)의 저면으로 동축 연결된 피딩롤(610)을 회전시키게 된다. 즉, 피딩체인(603)이 당겨지며, 상기 피딩스프로켓(602)을 회전시키면, 동축으로 결합된 피딩롤(610)이 회전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피딩롤(610)의 외주면은 끈수용홈(611)이 형성된 상태이기에 공급된 묶음끈(5)이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피딩롤(610)이 회전하면,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면서 측면의 커팅블럭(410)의 상부 셋팅홈(412)으로 공급을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피딩롤(6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끈수용홈(611)에 끼인 묶음끈(5)은 피딩롤(6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끈수용홈(611)과의 마찰에 의해 끈수용홈(611)에 끼인 상태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우측에 형성된 커팅관(420)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팅관(420)의 타단은 가이드레일(413)의 내측 커터(430)와 커팅블럭(410)의 셋팅홈(412)과 연통하고 있기에 자연스럽게 커팅블럭(410)의 셋팅홈(412)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딩롤(610)의 견인력을 보다 확대시키기 위해서 상기 피딩롤(610)에 면접하면서, 묶음끈(5)을 가압하여 끈수용홈(611)에 끼워넣도록 하는 별도의 수단을 강구하고 있는데, 이 구성이 보조피딩롤(620)이다. 이 보조피딩롤(620)은 피딩롤(610)에 비하여 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며, 피딩롤(610)에 외주면에 면접하도록 하고, 상기 피딩롤(610)이 회전하면서, 상기 끈수용홈(611)의 내측에 묶음끈(5)을 끼워 이송시킬 때, 가압력을 통해서 보다 견인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시된 도 1과 도 18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묶음끈 피딩부(600)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추가하여, 연속적이고 많은 작업을 달성할 수 있는 묶음끈을 공급하고 있다. 즉, 기체의 일측에 묶음끈(5)이 감긴 공급롤(651)을 형성하고, 다수의 가이드롤(652)과 풀림방지렛치(653)를 형성하여, 묶음끈(5)을 피딩롤(610)에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기체의 측면에 묶음끈(5)을 감은 공급롤(651)을 형성하고, 이 공급롤(651)에서 풀린 묶음끈(5)을 별도의 가이드롤(652)을 통해서 피딩롤(610)과 연결시키면, 수많은 작업을 통해서 발생될 수 있는 긴 길이의 묶음끈(5) 을 모두 수용하고 계속적인 공급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풀림방지렛치(653)는 공지된 것처럼, 일 방향으로 회전해야만 하는 롤을 위해서 형성되기도 하지만, 간혹 묶음끈(5)이 풀려 롤의 외주면 외부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수 개로 설치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꼬임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꼬임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꼬임장치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수평이송수단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체결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수평이송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꼬임장치를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기체셋팅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기체셋팅부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꼬임성형유니트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주름성형부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주름성형부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주름성형부의 작동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묶음끈공급부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꼬임성형부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꼬임성형부가 그 로터로 꼬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묶음끈피딩부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묶음끈피딩부의 공급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포장지 2; 개구부
3; 개방꼬임부 50; 수평이송수단
100; 가이드수단 200; 기체셋팅부
300; 주름성형부 400; 묶음끈공급부
500; 꼬임성형부 600; 묶음끈피딩부

Claims (15)

  1. 주름형 식품 포장지의 개구부를 묶어 주는 꼬임장치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내용물을 채운 식품 포장지(1)를 직립시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51)를 가진 수평이송수단(50);
    가이드봉(58)을 통해서 상기 식품 포장지(1)의 개구부(2)를 모아 주름성형유니트(K)로 이송시키는 가이드부(100);
    상기 가이드부(100)와 수평이송수단(50)을 통해 주름성형유니트(K)의 개방꼬임부(3)로 이동한 식품 포장지(1)의 개구부(2)를 묶음끈(5)으로 꼬아 포장하는 주름성형유니트(K);가 결합하여 구성하되, 상기 식품 포장지(1)를 직립시켜 이동시키고, 상방향의 포장지(1) 개구부(2)를 기체 상부의 주름성형유니트(K)가 꼬아 포장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수단(50)은,
    기체프레임(9)에 체결되는 수평프레임(52)과;
    상기 수평프레임(52)의 상부에 테이퍼진 각도로 체결되어, 2개의 컨베이어벨트(51) 체결시 "
    Figure 112009081669621-PAT00017
    "의 형태로 설치되도록 가이드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롤(54);
    컨베어벨트(51)의 끝단에서 쌍의 컨베어벨트(51)를 회전시키도록 수평되게 설치되는 회동롤(55)과 그 샤프트(56);
    수평프레임(52)의 하단에 체결되는 회동모터(11)와 감속기(12);
    상기 감속기(12)의 끝단에 체결된 제1기어(13)와 상기 샤프트(56)의 끝단에 체결되는 제2기어(14)를 연결시키는 타이밍벨트 또는 체인(15)이; 결합하여 상기 회동모터(11)의 회전시, 회동롤(56)에 감긴 쌍의 컨베어벨트(51)가 동시에 회동하되, 가이드롤(54)의 안내에 따라 중심부를 모으는 "
    Figure 112009081669621-PAT00018
    "의 형태로 동일방향 수평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회동롤(56)과 테이퍼지게 설치되는 가이드롤(54)의 유기적인 연결을 위해서, 상기 컨베어벨트(51)의 일측 상단면을 가압하는 "
    Figure 112009081669621-PAT00019
    "형 가압롤(17)을 가진 가압판(18)을 수평프레임(52)과 체결하여, 컨베어벨트(51)가 가이드롤(54)의 테이퍼진 각도로 용이하게 절곡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52)의 상부로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체결되는 지지판(21)과;
    상기 지지판(21)의 상부로 회동가능한 체결구(22)를 통해서 끝단의 절곡된 가이드봉(23)이 체결되고,
    지지판(21)의 전면으로는 "ㄷ"자형 가이드판(24)이 제2체결구(25)를 통해 체결되어 간격을 좁힐 수 있도록 한 가이드수단(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22)는,
    지지판(21)의 상단에 용접되고, 내측에 회동공(31)을 가진 원통형의 체결관(32)과;
    상기 체결관(32)의 회동공(31)에 삽입되는 삽입봉(33)이 형성되고, 다소 큰 지름의 지지관(34)의 측면에는 절곡 가이드봉(23)이 끼워 체결되는 연결블럭(35);
    이 결합하되, 연결블럭(35) 측면에 스크류(36)를 통해서 가이드봉(23)을 체결하고, 체결관(32)의 측면에서 관통하는 스크류(36)를 통해서 연결블럭(35)의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구(25)는,
    지지판(21)에 체결되고 내부에 가이드공(37)이 형성된 원통형의 체결블럭(38)과;
    "ㄷ"자형 가이드판(24)에 봉 형상의 가이더(39)가 체결되고, 상기 체결블럭(38)의 가이드공(37)에 끼워지는 가이더(39)가;결합하되, 상기 체결블럭(38)의 측면에서 스크류(36)를 통해 가이더(39)를 가압하여 고정된 위치를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기체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좌우 쌍의 수직 기체프레임(9)에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단지지블럭패널(41)과 제2단지지블럭패널(42)과;
    상기 제1단지지블럭패널(41)의 전면으로 체결되는 주름성형유니트(K);
    상기 제2단지지블럭패널(42)의 전면으로 체결되는 수평이송수단(50);
    상기 제1단지지블럭패널(41)과 제2단지지블럭패널(42)의 후방 가이드블럭(43)에 끼워져, 기체프레임(9)의 상하프레임(44)을 연결하는 좌우 쌍의 가이드(45);
    상기 제1단지지블럭패널(41)과 제2단지지블럭패널(42)의 스크류가이더(46)에 각각 스크류 결합되어 가이드(45)와 동일방향으로 설치되는 승하강 스크류(47); 및
    상기 승하강 스크류(47)의 끝단에 체결된 각각의 회동손잡이(48);가 결합하여 상기 회동손잡이(48)를 회전시켜, 제1단지지블럭패널(41)과 제2단지지블럭패널(42)을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포장지(1)의 크기에 따라 기체의 셋팅을 보정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49)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름성형유니트(K)는,
    포장지(1)의 개구부(2) 진입시, 이를 감지하고 셋팅실린더(201)를 작동하여 개구부(2)를 모아주는 기체셋팅부(200);
    수평이송실린더(301)를 통해서 주름판(302)을 이용하여 포장지(1) 개구부(2)를 조여주는 주름성형부(300);
    성형된 포장지(1) 주름 개구부(2)를 묶어주기 위해서, 상기 커팅실린더(401)를 통해서 묶음끈(5)을 커팅하는 묶음끈공급부(400);
    공급된 묶음끈(5)을 꼬아 개구부(2)를 봉합하는 꼬임성형부(500);
    다음의 작업을 위해 묶음끈(5)을 공급하는 묶음끈 피딩부(600);가 결합하여, 수평이송수단(50)으로 공급되는 포장지(1)의 개구부(2)를 묶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기체셋팅부(200)는,
    수평이송수단(50)의 상단에 형성되는 주름성형유니트(K)의 전방으로 돌출된 센서바(210)와 센서(211);
    공급되는 포장지(1)의 개구부(2)를 통해 센서바(210)를 클릭하면, 주름성형유니트(K) 하우징(B) 내부에서 그 축을 연장하는 셋팅실린더(201);
    셋팅실린더(201) 축 끝단에 힌지 체결된 "ㄱ"자형의 연동패널(220);
    상기 연동패널(220)의 연동 중심축이 되고, 좌우 양단에 상부 수평이동 주름판(302)이 연결되는 전방, 후방 보조패널(231, 232)이 결합되는 중심 회동봉(230);이 결합하여, 상기 셋팅실린더(201)가 축을 연장하면, 연동패널(220)과 전방 보조패널(231)이 회동봉(230)을 축으로 연동하여, 주름성형부(300)의 상부 수평이동 주름판(302)을 하부 수평이동 주름판(302)에 근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주름성형부(300)는,
    주름성형유니트(K)의 일측에 체결된 수평이송실린더(301)의 끝단에 체결된 연동판(310);
    가이드봉(311)의 좌우 양단에 연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대칭구조의 전방, 후방 보조패널(231, 232);
    상기 연동판(310)에 결합되어 일측의 후방 보조패널(232)에 체결되는 견인봉(321);
    전방과 후방 보조패널(232)을 각각 쌍으로 연결하여, 외주면에 주름판(302)이 삽입되는 레일봉(322);이 결합하여, 상기 수평이송실린더(301)가 그 축을 연장하면, 상기 연동판(310)에 견인봉(321)으로 체결된 전방, 후방 보조패널(231, 232)이 동일거리를 이동하되, 좌우 양단의 보조패널(231, 232)이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주름판(302)을 접어 포장지(1)의 개구부(2)에 주름을 잡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주름성형부(300)의 보조패널(231, 232) 양 측면으로는,
    하우징(B)에 체결된 타이밍기어(245)를 형성하고, 좌우 양단의 타이밍기어(245)에 타이밍밸트(246)를 연결하며, 상기 타이밍밸트(246)에 보조패널(231, 232)을 체결하여 일측의 보조패널(231, 232) 연동시 타측의 보조패널(231, 232)도 역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묶음끈공급부(400)는,
    주름성형유니트(K) 하우징(B) 하단 중심부에 체결되는 커팅실린더(401)와;
    상기 커팅실린더(401)의 축단에 결합되고, 중심부에 "U"자형 묶음끈 성형홈(411)과 셋팅홈(412)을 가진 커팅블럭(410)과
    상기 커팅블럭(41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413)과;
    상기 가이드레일(413)의 일측단에서, 상기 커팅블럭(410)의 셋팅홈(412)에 관통되는 커팅관(420)과;
    상기 커팅관(420)에 대응되도록 커팅블럭(410)의 일측단에 끼워 체결되는 커터(430);가 결합하여, 상기 커팅실린더(401)의 축 연장시, 가이드레일(413)을 타고 커팅블럭(410)이 상승하며 커터(430)를 통해서 묶음끈(5)을 커팅하고, 셋팅홈(412)에 커팅된 묶음끈(5)을 위치시키며 상승하여 주름진 포장지(1)의 개구부(2)를 "U"자 성형홈(411)의 내부에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꼬임성형부(500)는,
    좌우 측에 각각 형성된 전방 보조패널(231, 232)의 외곽으로 외곽패널(501) 을 형성하고, 그 외곽패널(501)의 끝단을 연결하는 지지판(502)과;
    상기 외곽패널(501)을 연결하는 지지레일(504)에 하향하게 설치되는 꼬임실린더(505)와;
    지지판(502)에 체결된 성형블럭(521)의 내부에 지름이 넓은 제1스프로켓(522)과 지름이 작은 제2스프로켓(523)을 동축에 체결하고, 일정거리를 두고 지름이 작은 제3스프로켓(524)을 형성한 작동기어부(520)와;
    상기 꼬임실린더(505)의 축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스프로켓(523)을 감고 돌아가는 제1체인(531)과;
    제1체인(531) 끝단에 일측단이 체결되고 타측단은 지지레일(532)에 체결된 탄성스프링(533);
    상기 제1스프로켓(522)과 제3스프로켓(524)의 외주면을 감는 제2체인(535); 및
    상기 제3스프로켓(524)과 동축을 통해 연장되어, 끝단이 커팅블럭(410)의 "U"자 성형홈(411)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좌우 양방향 후크날개(541)가 형성되는 꼬임로터(540)가; 결합하여 상기 꼬임실린더(505)가 그 축을 축소하면, 작동기어부(520)를 작동시켜 꼬임로터(540)의 양방향 후크날개(541)가 "U"자로 꼬인 묶음끈(5)의 양끝단을 잡고 회전하여 포장지 개구부(2)를 봉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묶음끈피딩부(600)는,
    주름성형유니트(K)의 하우징(B) 내부에 설치되는 피딩실린더(601)와;
    피딩실린더(601) 축 전방에 설치되는 피딩스프로켓(602)과;
    상기 피딩실린더(601)의 축에 결합되어 피딩스프로켓(602)의 외곽부를 돌아 들어가는 피딩체인(603)과;
    상기 피딩체인(603)의 끝단에 체결되어 피딩실린더(601) 몸체 부분에 체결되는 피딩탄성스프링(604)과;
    원판의 외주면에 묶음끈(5)을 수용하는 끈수용홈(611)이 형성되고, 상기 피딩스프로켓(602)과 동축을 사용하는 하우징(B)의 저면에 체결된 피딩롤(610);
    상기 피딩롤(610)의 일측에 외주면이 면접하도록 체결되고, 별도의 제2끈수용홈(611)을 형성한 보조피딩롤(620)이; 결합하여 피딩실린더(601)의 축 축소시, 피딩스크로켓(602)을 통해서 피딩롤(610)을 회전시키고, 상기 끈수용홈(611)에 끼워진 묶음끈(5)을 측방의 커팅관(420)의 내측인 커팅블럭(410)의 셋팅홈(412)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묶음끈 피딩부(600)는,
    기체의 일측에 묶음끈(5)이 감긴 공급롤(651)을 형성하고, 다수의 가이드 롤(652)과 풀림방지렛치(653)를 형성하여, 묶음끈(5)을 피딩롤(610)에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
KR1020090134149A 2009-12-30 2009-12-30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 KR101188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149A KR101188522B1 (ko) 2009-12-30 2009-12-30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149A KR101188522B1 (ko) 2009-12-30 2009-12-30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534A true KR20110077534A (ko) 2011-07-07
KR101188522B1 KR101188522B1 (ko) 2012-10-08

Family

ID=44917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4149A KR101188522B1 (ko) 2009-12-30 2009-12-30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52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240B1 (ko) * 2012-06-08 2014-03-05 안용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평형 테이핑장치
KR20160003974A (ko) * 2014-07-01 2016-01-12 한일기기(주) 포장팩 꼬임장치
CN109051089A (zh) * 2018-09-11 2018-12-21 上海威倪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斜角全自动扇形扎口机
CN116534390A (zh) * 2023-07-07 2023-08-04 泰州市硕合电器有限公司 一种吸尘软管生产用牵引打包装置
CN116676731A (zh) * 2023-06-06 2023-09-01 金华市爱的日化有限公司 一种消毒湿巾制备设备及其使用方法
CN116750287A (zh) * 2023-08-23 2023-09-15 四川绵竹三佳饲料有限责任公司 一种饲料包装机
CN117401348A (zh) * 2023-10-23 2024-01-16 恩葛智能科技(南通)有限公司 一种铝箔纸餐盒加工用输送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5563A (en) 1975-09-24 1977-02-01 Nitsch J Leonard Holder and shear ledger plate for package tying machines
JPS60125653A (ja) 1983-12-13 1985-07-04 株式会社テクニカルプロダクト 包装袋へのリボンの自動懸装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240B1 (ko) * 2012-06-08 2014-03-05 안용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평형 테이핑장치
KR20160003974A (ko) * 2014-07-01 2016-01-12 한일기기(주) 포장팩 꼬임장치
CN109051089A (zh) * 2018-09-11 2018-12-21 上海威倪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斜角全自动扇形扎口机
CN116676731A (zh) * 2023-06-06 2023-09-01 金华市爱的日化有限公司 一种消毒湿巾制备设备及其使用方法
CN116534390A (zh) * 2023-07-07 2023-08-04 泰州市硕合电器有限公司 一种吸尘软管生产用牵引打包装置
CN116534390B (zh) * 2023-07-07 2023-09-15 泰州市硕合电器有限公司 一种吸尘软管生产用牵引打包装置
CN116750287A (zh) * 2023-08-23 2023-09-15 四川绵竹三佳饲料有限责任公司 一种饲料包装机
CN116750287B (zh) * 2023-08-23 2023-11-03 四川绵竹三佳饲料有限责任公司 一种饲料包装机
CN117401348A (zh) * 2023-10-23 2024-01-16 恩葛智能科技(南通)有限公司 一种铝箔纸餐盒加工用输送检测装置
CN117401348B (zh) * 2023-10-23 2024-05-24 恩葛智能科技(南通)有限公司 一种铝箔纸餐盒加工用输送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8522B1 (ko) 2012-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522B1 (ko)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
CN106240902A (zh) 一种基于封切包装机的薄膜封切包装方法
AU2008296658A1 (en) Strapping machine with improved tension, seal and feed arrangement
CN110303545A (zh) A4纸双回旋刀切纸、令纸生产和箱包装一体生产线
CN108910187A (zh) 一种智能包装一体机
AU201120166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wrapping a film around a stack of objects
KR20150016717A (ko) 건면 결속기계의 결속장치
KR101950986B1 (ko) 박스 다중 밴딩 포장장치
US20140360135A1 (en) Bags, Method of Making Bags and Method of Use Thereof for Enveloping Rectangular Bales
CN212172788U (zh) 一种粉丝折叠捆扎机
CN212196052U (zh) 一种捆扎包装机
CN107531347A (zh) 扭结包装装置
KR101284101B1 (ko) 합성수지재 결속부재를 이용한 파지결속장치
KR100961408B1 (ko) 롤 포장기의 묶음장치
KR10137024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평형 테이핑장치
EP3044099B1 (en) A machine for forming filter-bags for infusion products with knots
KR100435095B1 (ko) 포장필름을 이용한 제품 포장장치
KR200290978Y1 (ko) 포장필름을 이용한 제품 포장장치
JP6125484B2 (ja) 包装装置
KR200251293Y1 (ko) 파이프 포장장치
KR100369577B1 (ko) 파이프 포장장치
CN215852134U (zh) 一种通道式群发工业雷管自动整理包装机
CN215245737U (zh) 一种轻质打包带自动捆包打包机
KR102342369B1 (ko) 부채꼴 결속용 소형 포장기
EP2792600A2 (en) Bag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