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645B1 - 포장기에 있어서 밴드안내 아치 - Google Patents

포장기에 있어서 밴드안내 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645B1
KR900006645B1 KR1019870002268A KR870002268A KR900006645B1 KR 900006645 B1 KR900006645 B1 KR 900006645B1 KR 1019870002268 A KR1019870002268 A KR 1019870002268A KR 870002268 A KR870002268 A KR 870002268A KR 900006645 B1 KR900006645 B1 KR 900006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h
guide
band
guide plate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2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757A (ko
Inventor
야스노리 사끼기
후지겐지
세이지로 고야마
요시가즈 아이자와
다고모리즈도무
Original Assignee
스트라파크 가부시기가이샤
시모지마 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11375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71809A/ja
Application filed by 스트라파크 가부시기가이샤, 시모지마 도시오 filed Critical 스트라파크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8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4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with means for guiding the binding material around the articles prior to severing from supply
    • B65B13/06Stationary ducts or chann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7/00Halogens; Halogen acids
    • C01B7/01Chlorine; Hydrogen chloride
    • C01B7/03Preparation from chlorides
    • C01B7/04Preparation of chlorine from hydrogen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7/00Halogens; Halogen acids
    • C01B7/01Chlorine; Hydrogen chloride
    • C01B7/07Purification ; Separation
    • C01B7/0743Purification ; Separation of gaseous or dissolved chlori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포장기에 있어서 밴드안내 아치
제1도-제6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는 요부 개략도.
제2도는 앤드 용착기구 부근의 사시도.
제3도는 전체 개략도.
제4도(a)(b) 및 (c)는 각각 제1도에서 A-A선, B-B선 및 C-C선 요부 단면도.
제5도는 아치 가이드 걸림상태를 나타낸 부분도.
제6도는 아치 가이드 강제 개방수단의 일예를 나타낸 측면도.
제7도는 밴드가 코너부에 있어서 막힌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8도는 코너부의 단면도.
제9도는 이론적인 설명도.
제10도(a)-(d)는 각각 가이드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e)는 (d)의 사시도,(f)(g)(h)는 각각 (d)의 F-F, G-G, H-H선 단면도.
제l1도는 전체의 개략도.
제12도(a)(b)는 각각 코너부와 직선부의 연결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제l3도(a)(b)는 각각 제ll도 A-A선에 있어서 밴드의 탈출상태를 나다낸 단면도.(c)는 제l1도 B-B선 단면도.
제14도(a)-(c)는 각각 플랩부(13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15도-17도는 가이드 플레이트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5도 및 제16도는 밴드의 탈출상태를 나타낸 아치 가이드 직선부의 각각 일부 절결 사시도 및 제3도 I-I선 단면도.
제17도는 밴드 용착기구등의 근방 사시도.
제18도-제20도는 종래 기술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18도는 단면도.
제19도는 사시도.
제20도(a)(b)는 종래의 문제점을 나타낸 개략 부분단면도.
본 발명은 포장기의 본체에 설치되는 밴드안내 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밴드안내 아치를 배치한 자동포장기는 포장기 본체내의 밴드 공급기구에 의해 포장용 밴드를 상기 밴드안내 아치내에 공급하고 피포장물을 둘러쌓도륵 루프상으로 배치하여, 이 밴드의 선행 단부를 제2도에서 나타난 것처럼 공지의 본체내의 앤드 선단 파지기구에 의해 파지 고정한 후, 앤드 공급단측을 본체내의 앤드 되잡아 당기기 조임기구에 의해 되잡아 당기고, 상기 밴드안내 아치내의 플랩(flap)이서 밴드를 탈출시켜, 이 밴드를 조이고 피포장물을 꼭 묶은 후 밴드 공급단측을 밴드 공급단측 파지기구로 파지고정한 후, 밴드 선단측 및 공급단측의 중첩부를 본체내의 앤드 용착기구에 의하여 녹여 붙이고, 공급단측의 용착부 근방을 절단해서 포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밴드안내 아치는 통상의 자동포장기에 있어서는 본체 윗면에 수직으로 아래로 향해 루프상태로 설치되어 내부는 밴드 통과로를 형성하는 밴드웨이와 이 밴드웨이의 길이 방향의 전체길이에 대하여 이 밴드웨이의 본체 상면의 작업 테이블방향 즉, 밴드웨이의 아치 중심방향의 면을 밴드 통과 허용 간격을두고 덮고, 밴드를 되잡아 당길 때 아치 중심방향으로 개방하도록 평상시는 닫혀있도록 그 재질자체 혹은 스프링을 개재하여 힘을 주고 있는 개폐자유로운 다수 플랩과 상기 밴드웨이와 일체 또는 당해 밴드웨이를 설치 고정하는 아치 후레임과 이를 각 부품을 내장하고, 또한 상기한 밴드웨이에 배치된 밴드를 그 공급단측에서 잡아당길 경우에 상기한 다수의 플랩을 밀어열고 그 플랩에서 탈출한 밴드가 그 폭방향으로 통과 허용의 간격을 형성하는 개구부를 배치한 아치 카바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앤드를 되잡아 당길때에 아치 중심방향에 플랩을 되잡아 당겨지는 밴드 자체로 밀어열고, 플랩에서 밴드를 탈출시켜 밴드를 포장물에 감는 밴드 되잡아 당기기 공정은 포장작업 효율을 높이는 점에서 가급적 급속하게 고속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요청되는 것이며 또한 밴드웨이와 플랩내에 넣어진 루프상태의 밴드와 피포장물 주면과는 거리가 있기 때문에 플랩에서 탈출하는 밴드는 소위 사행(蛇行)하면서. 피포장물에 낙하되고, 예를 들면 위쪽이 방향의 피포장물의 윗면 각부와의 마찰에 의해 그대로 밴드가 조여지며 피포장물에 대해 경사지게 밴드가 걸려 포장되면, 피포장물에 대해 최단거리의 포장이 아니기 때문에 운반시에 여분의 밴드가 느슨해져서 최악의 경우에는 피포장물에서 앤드가 벗겨지는등의 치명적 결함이 발생하는 것이다. 특히, 근년에는 경제적인 이유에서도 많이 사용하게된 5-6m/m의 좁은 폭의 밴드에 있어서는 상기 탈출시의 사행이 크며 또 포장재료로써 많이 사용되는 발포스티로폴제 상자는 마찰이 크기때문이 특히 이러한 포장 불량이 생기기 쉬운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는 수단으로서 일본 특공소 52-7400호(USP 4011808)에 소개되고 있는것은 제18도-제20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단면 U자형의 가요성 수지로된 일련의 아치 가이드(1)를 루프상으로 곡을 변형하여 그 양단부를 밴드 용착기구 밑에 있도록 하고 상기한 U자상 개구면을 아치 카바(2)의 내벽면에 복수의 스프링(3)으로 압지하여 밴드 통과로(4)를 형성함과 동시에 밴드를 되잡아 당기기에 있어서 아치 가이드(1)의 입구 수평부를 강제적으로 눌러 확장하여 여는 것이다.
그러나, 이 수단에는 밴드 탈출시 아치 가이드의 변위가 자유롭도록 길게된 곳이 있지만 널리 사용되는 폴리플로필렌, 포리에스텔제 등의 밴드 단면으로 가요성 수지의 아치 가이드의 개구면이 밴드 탈출시에 절삭되어 내구성이 없는 외에도 다음과 같은 결점 내지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첫째로, 상기 수단에 의하면 제l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직선부의 아치 가이드로 밴드를 되잡아 당길때에 밴드는 아치 가이드(1)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나오도록 하기 위해 인출시 밴드가 아치 가이드(1)내에서 산형상 내지는 파형으로된 밴드(b)의 끝단주연이 아치 가이드(1) 내벽에 록크되어서 밴드가 아치 가이드(1)로부터 탈출하지 않아 되잡아 당기기를 할 수 없는 사태가 생기게 된다.
또한, 특히 밴드의 탈출을 방해하는 최대의 원인이 되지만, 밴드 되잡아 당기기에 의하여 아치 가이드(1)의 직선부에 있어서 생기지 않지만 특히, 코너부내의 밴드는 아치 가이드(1)의 아치 중심방향 즉 코너부 내측면에 대하여 밀착된 상태가 되어 코너부 내측면에 밴드가 계지되며 밴드 되잡아 당기기에서 아치 가이드(1)의 밴드 입구측의 수평부를 강제적으로 밀어 넓혀 열어도 아치 가이드(1)에서 원활하게 인출되지 않는 사태가 생긴다.
그 밴드를 되잡아 당긴 후에 조임을 행하는 기구가 캠이나 타이머 등에 의해 이이 작동을 시작하고, 그결과 밴드가 아치 가이드(1)에서는 완전하게 탈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임을 하는 것이 되고, 다음으로 진행되는 용착공정에 의해 아치 가이드(1) 자체를 앤드로 걸어 포장하여 버리는 문제가 생겼었다.
둘째로, 특히 두께가 얇고 빳빳하지 못한 좁은 폭의 밴드나 비교적 염가의 밴드에 현저하게 나타나지만, 포장기용 플라스틱제 밴드, 예를 들면 폴리플로피렌 밴드는 연신을 포함한 제조공정 또는 지심관에 감아주는 공정에서(평면에 좌우로) 사행이 발생치 않게(예로는 6mm 폭 밴드로 2m에 150-270mm) 아치 가이드내에 슬라이드 하면서 주행하는 밴드는 제20도(a)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밴드의 전기한 파형 내지 산형상의 휘임은 한층 심하게 되고, 아치 가이드(1)내에서 완전하게 록크되면서 아치 가이드(1)내를 주행하지 못하며, 또, 아치 가이드(1)에 밴드가 록크되므로 밴드가 탈출하지 않고, 아치 가이드(1)에서 밴드가 탈출하지않아 되잡아 당기기가 불가능하게 되는 사태가 발생한다.
부연하면, 아치 가이드의 밴드 통과로의 높이는 밴드 주행시에 있어서 미끌어짐으로 힘의 분배를 직선방향으로 수정함이 가능하도록 낮게 형성시킨다.
이렇게 하면서, 이와 같은 사태를 피할 수 있도록 아치 가이드(1)의 앤드 통과로(4)를 밴드 폭보다 높게 형성하면 제20도(b)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공급시 밴드(b)가 일어서서 되잡아 당길 때 아치 가이드(1)내에서 밴드(b)가 흐르는 상태로 된다.
이 경우에도 밴드가 탈출되지 않고 되잡아 당김이 불가능하게 된다. 다시 아치 가이드를 높게하면 밴드 공급시 밴드는 직립하고 바로 아치 가이드(1)내에서 반전한다.
셋째로, 밴드의 사행을 흡수하고저 아치 가이드의 폭을 넓게하면 밴드 되잡아 당김에서 아치 가이드(1)밴드 입구측의 수평부를 강제적으로 밀게되므로 밴드의 탈출은 더 일층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결점을 시정하고저 개발된 것으로서, 밴드자체의 사행을 흡수하여 밴드되잡아 당기기에서 아치 가이드의 코너부 및 직선부로부터 순차적으로 확실 또는 원활하게 밴드를 인출하거나 또는 밴드를 아치 가이드내를 확실히 주행시키는것을 가능케하며. 또 이치 가이드의 밴드 통과로의 높이를 가능한한 낮게하고, 또 폭을 넓게하는 것을 가능토록하여 밴드공급을 원활하게 행함과 동시에 밴드의 되잡아 당기기에 있어서 아치 가이드가 순차로 확실하고 원활하게 밴드를 인출할 수 있고, 또 밴드 탈출시 아치 가이드내에서 밴드가 산형상으로 서 있을 경우에도 아치 가이드내에서 밴드가 록크됨을 유효하게 방지하고, 밴드를 아치 가이드에서 연속적으로 탈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밴드안내 아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한 밴드 탈출용 개구면에 평행으로 설치한 가이드 플레이트에 이 개구면을 덥개상으로 대치한 아치 가이드의 직선부간 각 코너부를 아치 중심방향의 일편을 가이드 플레이트에 대한 예각을 이루도록 아치 중심방향에서 경사지게 형성하고, 또 아치 중심방향에 반대방향의 일편을 상기한 가이드 플레이트에 거의 직각으로 접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다른 중요한 특징으로는, 아치 중심방향과 반대방향의 일편은 아치 중심방향의 일편에 대하여 회동하도륵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한 아치 가이드의 개구면을 밴드 폭보다 좁고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아치 중심방향과 반대방향의 일편을 아치 중심방향의 일편에 대해 힘을 주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아치 가이드내에 공급된 밴드는 아치 가이드의 아치 중심에 반대방향의 일편의 내면으로 주행하고 되잡아 당기기에 의하여 아치 가이드의 제1코너부의 아치 중심방향 일편의 경사면에 아치 가이드의 개구방향으로 이동하고 아치 가이드를 제2-제4코너부로 순차 밀어 넓혀서 아치 가이드로부터 탈출하여 간다.
그리고 밴드가 사행하고 있을 경우에도 아치 가이드의 아치 중심방향과 반대방향의 일편이 아치 가이드의 개구를 아치 중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넓히는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아치 가이드내에서 밴드가 록크됨이 없이 극히 원활하게 아치 가이드에서 탈출할 수가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제6도에 있어서, 포장용 밴드를 권장한 밴드 리일을 배치한 공지의 밴드공급, 조임기구, 용착기구 등의 포장에 필요한 제반기구(S)가 수납되어 있는 포장기 본체의 피포장물을 올려놓는 작업 테이블상에는 밴드안내 아치(10)을 구성한 아치 카바(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아치 카바( 1l)는 전후 한쌍을 이룬 단면 L자상의 프레임과 일변을 개구한 사각형 프레임을 돌설시킨 것으로 포장기 본체위에 수직으로 고정시키고 있다.
또, 아치 카바(1l)내에는 아치 가이드(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아치 가이드(20)는 전체가 코너부(W-Z)를 제외하고 직선으로 되었으며, 그 일단이 밴드의 공급에 있어서 밴드 용착기구(S)등에 임하여 밴드의 입구측 직선부(EN)을 형성하고, 타단은 밴드 용착기구(S)의 밴드 선단 파지기구( G)에 임하여 밴드의 출구측 직선부(EX)를 형성한다.
아치 가이드(20)은 가요성이 없는 합성수지 또는 알미늄 등 금속재료를 절삭 또는 인발에 의해 일체로 성형한 내면이 각각 직선상의 평활한 면으로 되어 각 코너부(W-Z) 및 각 직선부를 각각 별개로 성형한 것을 연결한 것으로 직선부를 적당한 길이의 것으로 변경 자유롭게 하여 임의의 아치 크기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제1도,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l-제4코너부(W-Z)의 내벽이 아치 중심방향의 일편을 형성한 내주편(22)과 아치 중심으로 반대방향의 일편을 형성한 외주편(2l)으로 형성되어 내주편(22)을 가이드 플레이트에 대한 예각을 이루도록 아치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한다.
즉, 단면 U자상으로 성형된 직선부의 아치 가이드의 내주편(22)를 길이방향의 끝 가장자리에서 중앙에 걸쳐 서서히 아치 중심방향에 대하여, 예를 들면 25。경사가 되도록 절곡 성형해도 되고, 또, 단면이 대략형상으로 아치 가이드를 성형한 후 길이방향의 끝 가장자리에서 중앙에 걸쳐서 내주편(22)의 내면을 서서히 아치 중심방향으로 동일하게 경사지도록 절삭하여도 된다.
어떠한 성형 방법에 의해서라도 각 코너부(W-Z)내로 형성된 밴드 통과로(24)가 코너부의 길이방향의 양단에서 후술하는 직선부의 밴드 통과로에 연속하고, 또 개구면(23)이 일련으로 되게 성형된다. 그래서 외주편(21)을 전기한 가이드 플레이트에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성형한 단면이 대략 횡방향에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코너부(W-Z)이외의 직선부가 단면 U자상을 이룬 일련의 개구(23)가 있어. 내면이 각각 직선상의 평면을 이룬 아치 중심방향의 일편에 형성한 내주편(22)와 아치 중심으로 반대방향의 일편으로 형성한 외주편(21)으로 일체로 성형된 전기한 개구면에 대하여 평행으로 설치한 가이드 플레이트(16)에 개구면을 평행으로 대치할 수 있도록 부착된다. 즉, 각 코너부(W-Z)의 외주편(21)은 내면이 가이드 플레이트(16)과 거의 직각이고 또 내주편(22)는 개구(23)으로 향한 내면이 아치 중심방향으로 경사된 아치 카바(1l)의 내벽면에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16)에 대한 예각이 되도록 형성된 U자상의 직선부와 같이 사용밴드 폭(예 4.5-19mm)에 상응한 밴드 폭의 약 1.5-6배 폭의 넓이인 밴드 통과로(24)를 형성한다.
밴드 용착기구(S) 근방의 제4코너 Z축 직선부(EX)의 아치 가이드의 안쪽은 밴드 폭에 대한 두께 또는 도시한 가이드체에 의한 다른 부분에 비교하여 약간 좁은 폭으로 되어있다.
그래서, 아치 가이드(20)은 한쌍의 롯드(12)(12)에 의해 아치 카바(11)내에 걸려있어 평상시에는 자중에의해 일련의 개구면(23)이 상기한 아치 카바(11)의 내벽면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16)으로 대치하고 있다. 즉, 제3도 및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양롯드(12\12)의 각 하단의 굴곡부가 아치 가이드(20)의 좌·우 직선부의 배면에 고정설치한 부라켓트(14)(14)의 구멍부로 회동 자유릅게 끼워맞춤하며, 타단 굴곡부가 상기한 아치 가이드(20)의 상변 코너부 X,Y 상방에서 아치 카바(11)의 내벽에 돌설한 부라켓트(15)(15)의 구멍부에 회동 자유롭게 끼워져서 설치된다. 양롯드( 12)(12)의 아치 가이드(20)의 착설부분은 부라켓트(15)(15)의 착설부분보다도 아치 카바(11)의 내벽면에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16)에서 이격되었고, 이때문에 아치 가이드(20)은 자중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16) 방향에 항상 부세되어 외주편(21)의 끝 가장자리가 가이드 플레이트(16)에 접해있고, 내주편(22)는 끝단면이 아치 카바(11)의 내벽면으로 형성시킨 가이드 플레이트(16)으로 대치하고 있다.
코너부의 내주편(22)를 U자상 부재의 일편을 절곡 형성한 것에는 끝 가장자리가 아치 카바(11)의 내벽면에 형성시킨 가이드 플레이트(16)에 대해 미소간격을 끼워 대치하고 있다.
또, 양롯드(12)(12)의 각 일단은 전술한 것처럼 아치 가이드(20)의 좌우의 거의 수직인 직선부에 설치하지 않고 아치 가이드(20)의 상변의 양코너부에 착설해도 되어,아치 가이드(20)가 자중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16) 방향으로 적당히 부세를 받도록 되어있으면 된다.
또, 필요에 따라 스프링등에 의해 아치 가이드(20)를 가이드 플레이트(16) 방향으로 밴드 되잡아 당길 때 해제되는 일정의 힘으로 항상 부세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포장기 본체내에는 아치 크기가 비교적 큰 경우등에 대응하기 위해 밴드의 아치 가이드에서 초기 탈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아치가이드의 강제 개방수단으로한 제6도에 표시한 것처럼 밴드 선단 파지기구(G)을 포함한 용착기구(S)를 작동하는 캠축(40)의 축단에 설치한 캠(41)에 미끄럼 회전하는 캠후로아(42)를 설치한 미끄럼부재(47)의 상단을 부라켓트(43)을 끼운 아치 가이드(20)의 제1코너부(W) 근방에 밴드용착기구(S) 근방의 입구측 직선부(EN)에 연결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제4코너부(Z)측의 출구측 직선부(EX)에 상기 미끄럼부재(47)로 연동하도록 미끄럼부재를 설치한 입구측 직선부(EN) 및 또는 출구측 직선부(EX)를 강제 개방하도록 하여도 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있어서,(33)(34)는 공급롤러로서 밴드를 아치 가이드(20)에 공급하고 또 아치 가이드(20)로부터 되돌림하고 탈출시킨다. 또 제6도에 있어서,(35)는 슬라이드 테이블,(36)은 밴드 가이드,(37)은 밴드 가이드암으로 각각 캠축(40)위의 캠에 의해 작동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이제 밴드(b)가 공급롤러(33)(34)의 정회전에 의해 밴드 가이드(36)의 통로로부터 아치 가이드(20)와 아치 카바(11)의 내벽면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16) 사이의 공간으로된 밴드 통과로(24)내에 송입된다.
밴드는 아치 가이드(20)의 직선부 및 코너부에 있어서는 각각 아치 중심에 반대방행의 외주편(21)의 내면에 따라 주행하고, 제1코너부(W) 근방의 U자형의 밴드 입구측의 직선부(EN)을 거쳐 가이드 플레이트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아치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아치 중심방향의 한쪽으로부터 구성되는 내주편(22)에 대치하는 아치 중심방향에 반대방향의 일편으로 되는 외주편(21)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1코너부(W)에 이르기까지 순차 가이드 플레이트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아치 중심방향에 경사지게 형성한 아치중심방향의 일편을 가지는 제2,제3,제4코너부(X-Z) 및 각 코너부 사이의 단면 U자상의 직선부를 거쳐 제4코너부(Z) 근방의 밴드 출구측의 U자상의 직선부(EX)를 거쳐 아치 가이드(20)을 일주하여 밴드 가이드(36) 상면의 슬라이드 테이블(31) 하면에 도달되어 있고 작동버튼을 ON하면 캠축(40)이 회전하여 밴드선단이 파지기구(G)에 의해 파지고정된다. 밴드 용착기구(S) 근방 제4코너부(Z) 근방의 직선부 아치 가이드(EX)의 내폭은 그 두께 또는 내장된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체에 의해 밴드 폭에 따라 다른 부분에 비교하여 약간 좁은 폭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공급단측 및 선단측의 밴드는 정확히 포개진다.
이 밴드 선단의 파지와 동시에 밴드 가이드(36)가 후퇴하고 공급롤러(33)(34)가 역전하며 밴드가 되잡아당겨진다.
이때 아치 가이드(20)와 가이드 플레이트(16)에 의하여 형성된 밴드 통과로(24)내에 있는 밴드는 아치 가이드(20)의 제l코너부(W)로부터 탈출을 개시한다.
제4도(a)에 나타난 것과 같이 아치 가이드(20)의 내주편(22)의 내면에 따라 개구(23)방향으로 이동하여 자체중량 혹은 스프링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16) 방향으로 부세되어있는 아치 가이드(20)를 순차로 밀어 내주편(22)의 개구 가장자리와 가이드 플레이트(16)의 면에 규제되면서 아치 가이드(20)에서 탈출해 나간다.
아치 가이드(20)의 각 코너부(W-Z)의 내주편(22)가 개구(23)을 향하여 아치의 중심방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극히 원활하게 아치 가이드(20)에서 탈출할 수 있으며 아치 가이드(20)내에 밴드가 록킹되어 탈출이 불가능하게 되지 않는다.
아치 가이드(20)의 각 코너부(W-Z)의 내주편(22)는 아치 카바(11)의 내벽면에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16)의 면에 대해 미소한 간격을 가지는 경우에도, 아치 가이드(20)내를 주행하는 밴드는 가이드 플레이트(16)에 거의 직각으로 접한 외주편(21)에 밀려져서 주행하기 위해 전기한 간격에서 날림이 전혀 없다.
그래서, 밴드(b)의 탈출이 완료된 부위에는 아치 가이드(20)의 자중(혹은 스프링)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16)에 외주편(21)이 접하는 방향으로 점차 복귀한다.
이상의 되잡아 당김에 의해서 피포장물에 감게된 밴드는 죄어지고, 공급단(EN 측)의 파지, 절단 용착의 일연의 공정을 거쳐 슬라이드 테이블(35)가 후퇴하여 피포장물이 나오게되고 슬라이드 테이블(35)등이 제6도의 상태로 복귀하여 다음 포장을 위해 아치 가이드(20)내에 상술한 바와 같이 다시 밴드가 공급되어 하나의 포장공정이 끝난다.
또 제6도에 나타난 아치 가이드(20)의 제1코너부(W) 또는 제2코너부(Z) 근방의 직선부를 강제적으로 압압하는 수단을 이용할 경우는, 공급롤러의 역회전 개시이전, 회전시동하는 캠축(40)에 의해 밴드 선단 파지기구(G)가 작동하여 밴드 선단이 파지된 시정이후 캠축(40)에 설치한 캠(41)에 의해 미끄럼부재(47)을 슬라이딩시켜 상기 직선부(EN)을 제1도, 제3도 및 제6도 지면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공급롤러의 역회전 종료(통상 아치 크기에 따라 타이머에 의해 회전시간이 조정되고 있음) 다음, 밴드조임을 행한 캠축(40)의 회전과 동시에 아치 가이드(2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상과 같이 밴드 되잡아 당기기에서 아치 가이드의 코너부의 아치 중심방향의 길이방향의 일편의 경사면에 따라 밴드를 탈출시겨 점차 각 코너부 및 각 코너부간의 직선부에서 확실하고 원활하게 밴드를 인출하는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밴드 탈출이 코너부의 내주편에 보정되기 위해 아치 가이드를 폭넓이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밴드가 사행하고 있어도 이 사행을 흡수하여 밴드끝을 이르키지 않고 원활하게 아치 가이드내를 주행할 수 있게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면, 아치 가이드의 직선부와 연통한 코너부와 U자상 아치가이드의 두께를 소정각도로 깎아내거나 U자상 아치 가이드를 소정각도로 절곡해서 넓게하여 형성시키고, 밴드 공급방향의 진행방향으로 가도록 동반하는 각도를 크게 하도록 하여 아치 가이드의 직선부와 연통하는 코너부와 밴드 공급방향 입구단을 직선부의 밴드 통과로에 일체로 연결하는 것, 혹은 코너부의 밴드공급방향 입구단을 코너부내의 다른 부분과 같은 소정의 각도로 벌려지게 한 것이 제작되도록 적용시키는것이 되지만 통상 상기 내주편이 경사진 코너부에 진입한 밴드는 코너부의 아치 중심방향 반대방향의 외주편이 원심력으로 밀리도록 하여 주행하지만 어째튼, 코너부는 아치 중심방향의 일변으로 내주편(22)이 가이드 플레이트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아치 중심방향에 경사지게 하기 위해 직선부에 비해 공간이 크게 확대되게 되고, 밴드 주행시에서 파정되도록 분력을 직선방향에 수정하는 힘이 움직이지 않게 되고, 밴드의 자유도가 급격히 크게 되기 때문에 밴드가 상하로 높고, 먼저나온 약하고 염가인 밴드에 있어서는 밴드가 U자상 아치 가이드의 밴드 통과로내를 주행 저항에 의해 파정되면서 주행하고, 밴드 선단이 상향되면 그대로 코너부의 외주편에 충돌함과 제7도에서와 같이 밴드는 계속해서 공급되어가기 위해 후방의 밴드가 충돌한 밴드 선단을 추월하도륵 절곡되어 포개지고 코너부에 밴드가 결국 밴드공급이 되지 않게되는 일이 생긴다. 또 빳빳한 밴드에 있어서도 앤드 선단이 본체내의 밴드 선단 파지기구에 도착하는 순간에 공급롤러가 이와동시에 정지하지 않기 때문에 공급롤러의 관성에 의해서 아치 가이드내의 밴드가 공급방향으로 힘을 받기위해 앤드가 파정된 밴드 공급기구의 정지하기전 극히 단시간 사이에 같은 사태가 발생하는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사태는 밴드 주행력의 가장 강한 제1코너부(W)(제3도)에 있어서 발생하기 쉽다.
이 실시예는 통상 극히 질이 나쁜 약한 밴드에 대응하도록 하는 것도 있다. 제7도로부터 제10도(a)-(h)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아치 중심방향의 일편을 가이드 플레이트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아치 중심방향에 경사지게 형성하고 또 아치 중심방향에 반대방향의 일편을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거의 직각으로 접하게 형성한 전기한 코너부의 밴드 진행방향 입구단에 가이드부(30)를 형성한다.
이 가이드부(30)은 각 코너부에 설치하는 것도 좋지만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다면 제3도 제1코너부(W)에 설치함도 좋다.
즉 가이드부(30)은 제3코너부(Y)를 제3도 지면 후방으로부터 본 위치 혹은 제1코너부(W)를 제3도지면 후방으로부터 도립위치에 밴드 통과로만을 표시한 제9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후단이 코너부의 밴드진행방향의 입구에 연통한 직선부의 U자상 아치 가이드의 아치 중심방향의 한쪽인 내주편(22)의 끝 가장자리에 위치시키고 그 길이는 최대로 코너부의 입구에 연통한 직선부의 U자상 아치 가이드의 상기 내주편(22)의 연장선(M)가 코너부의 아치 가이드의 아치 중심방향으로 반대방향의 한쪽인 외주편(21)의 내벽과 교차되는 교차점과 코너부의 중심과를 만나는 중심선(K)까지의 외주편(21)의 내벽에 대해 밴드 두께 이상의 밴드 통과 허용 간격을 갖는 길이를 최장의 것으로 하여 가이드부를 형성한다면 어떠한 질이 나쁜 허리부분이 없는 밴드에도 코너부를 원활하게 주행시킬 수가 있게 된다. 동일한 도면 그 점선으로 나타낸 가이드(30)의 복합선은 이보다 약간 짧다.
같은 도면 실시예에 있어서, 코너부의 반경은 150mm로 되어있어 상기 연장선(M)의 교점까지의 길이(P)는 cosθ=l47÷150으로 θ=l1.47°, P=147 tanθ으로 29.9mm가 된다.
각 코너부의 전장은 2πr÷4=235.62mm로 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부를 최장으로 해도 코너부의 12% 정도에 불과하다.
제10도(a)-(h)는 가이드부(30)의 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같은 도면(a)는 밴드 통과로와 거의 같은 폭의 금속편을 U자상 아치 가이드의 내주편(22)의 외측단 주연으로 후단을 고착하고 선단을 코너부의 밴드통과로내에 있게 한 것으로, 같은 도면(c)와 마찬가지로, U자상 내주편(22)의 일방을 밀어 확장한 코너부로 되고 같은 도면(c)는 내주편(22)를 서서히 밀어 확장하여 가이드부(30)를 형성하는것이다. 또, 같은도면( B)는 코너부를 절삭 가공에 의해 급격한 경사각을 형성한 경우의 가이드부(30)의 가공예를 나타낸다. 급격한 경사각은 밴드의 탈출을 일층 용이하게 한다.
같은 도면(d)-(h)는 다시 말해서 다른 양태를 표시한 것으로 가이드부(30)의 상면은 밴드 진행방향 입구단으로부터 한번 외주편(21)측으로 서서 오르고 그러므로 아치 중심방향의 일편(22)를 급격히 각도를 크게 벌려 형성시키고 있다.
이 실시예에 따라 상당히 큰치수의 밴드 폭의 허리가 강한 밴드가 코너부로 굽이쳐 이끌어져도 확실히 록그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코너부(W-Z)이의의 각 직선부는 제4도(b)에서와 같이 일체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U자상 단면에 성형시키고 또는 각각 예를 들면 금속제의 같은 폭, 같은 길이의 세편으로 형성시켜 서로 평행으로 대치하는 외주편(21) 및 내주편(22)로부터 단면 U자상으로 형성하여 그 개구면(2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각코너부의 개구면(23)과 일연으로 되게 형성시키고 있다.
이러한 각 코너부(W-Z)와 각 직선부로부터된 아치 가이드(20)는 사용밴드 폭(예 4.5-19mm)에 따라 밴드 폭의 약 l.5-6배 폭으로 예를 들면 사용밴드 폭 5-6mm에 대해 약 25mm 또는 높이가 밴드 폭보다 낮게 예를 들면 직선부에 높이 H 3mm 폭 Q 25mm 코너부의 내주편(22)의 경사각도 Q 25°, 폭 Q 25mm로 형성하여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코너부의 개구면(23)의 높이 H는 H=(25tanQ)=11.66+3으로 l4.66mm의 밴드 통과로(24)를 형성한다.
또 본 발명은 일정한 아치 싸이그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아치 가이드(20)의 코너부와 직선부를 별개로 성형하여 연결할 필요는 없고, 전체를 일연 또는 일체로 성형하는 등 임의의 성형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이드부(30)을 코너부의 밴드 진행방향 입구단측으로 형성한것에 관해 설명한 것이지만 이 가이드부(30)를 코너부의 밴드 진행방향 출구단측에도 설치할 수도 있다.
결국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밴드는 아치 가이드(20)의 각각 직선부내에 있어서는 파동하면서 이완분력을 직선방향으로 수정하면서 주행하며 코너부의 밴드 공급방향 입구단의 가이드부(30)에 의해 끌리면서 이완분력을 직선방향으로 수정된 코너부내의 아치 중심에 반대방향의 외주편(21)의 내면으로 주행하게 된다.
기타의 구성, 작용에 관해서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음으르 제11도-제14도에 관하여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점에 관해 설명하면, 코너부(W-Z)이의의 각직선부는 제13도(a)(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 예를 들면 금속제의 같은 폭, 같은 길이의 세편을 형성시켜 서로 평행으로 대치하는 외주편(21) 및 내주편(22)와 단면이 방형으로 직선의 예를 들면 금속제 간상의 후레임(136)으로부터 단면 U자상으로 형성하고 그 개구(23)면은 전술한 것처럼 상기 각 코너부의 개구(23)면과 일연으로 되게 형성되어 있다.
결국, 아치 가이드(20)의 직선부에는 도시한 실시예에는 밴드 입구측 직선부(EN)을 제외하고 윗변직선부 및 좌우직선부의 양단과 중앙에 각 3개소의 적당한 간격을 띄어 또 밴드 출구측 직선부(EX)의 제4코너(Z)측의 단부에 1개소, 각각 외주편(21)을 내주편(22)에 대해 회동하게된 플랩부(130)가 설치된다. 이 플랩부(130)는 직선상의 판편으로된 플랩편(132)과 L자상 판편으로된 고정편(133)의 후단으로 형성한 힌지부에 핀(131)에 의해 후레임(136)의 가이드 플레이트(16)의 반대방향 측면에 외주편(21) 및 플랩편(132)를 회동하도록 연결시키고 플랩편(132) 및 고정편(133)의 각 선단의 내면이 아치 가이드(20)를 구성한 외주편(21) 및 내주편(22)의 외면으로 예를 들면 스폿트 용접으로 고착시킨다.
그래서 플랩부(130)의 플랩편(132)에 형성한 구멍에 조정볼트(134)가 놀도록 끼운 상태로 되게함과 동시에 후레임(136) 및 고정편(133)을 상기 조정볼트(134)에 의해 넛트(137)에 나사조임하여 고정한다.
또 조정볼트(134)의 두부와 플렙편(132) 사이에는 스프링(135)가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플랩부(130)의 고정편(133)에 고착된 아치 가이드(20) 직선부의 내주편(22)이 조정볼트(134)와 넛트(137)에 의해 후레임(136)에 고정된 반면에 플랩부(130)의 플랩편(132)에 고착된 아치 가이드(20)의 직선부의 외주편(21)은 상기 스프링(135)의 힘에 저항하여 개구(23)를 넓히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 스프링(135)에 의해 전위치로 복귀하고 평시에는 아치 가이드의 U자상 개구면 및 외주편(21)과 내주편(22)간의 평행한 간격을 후레임(136)을 스토퍼로 하여 일정하게 유지한다.
또 플랩부(130)을 구성한 플랩편(132)와 고정편(133)은 아치 가이드(20)의 외주편(21) 및 내주편(22)에 각각 일체로 적의 개소에 돌출하도록 타발 프레스 성형해도 좋다.
또 플랩부(130)는 예를 들면 제14도(a)에서와 같이, 상기 플랩편을 판스프링(138)에 의해 구성하고 이판스프링(138)과 고정편(130)을 각각 후레임(136)에 나사조임한다.
외주편(21)을 내주편(22) 방향 아치 중심방향에 부세한 아치 가이드(20)의 개구면을 평시에 있어서 U자상으로 유지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플랩부(130)을 힌지상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고 전술한 조정볼트(134)도 불필요하다.
또 제l4도(b)에 나타난 것처럼 강재에 의해 형성한 힌지상의 플랩부(130)의 고정편(133)을 후레임(136)에 나사조임함과 동시에 이 후레임(136)의 플랩편(132)에 대치하는 면에 자석(139)를 매설하고 이 자석(139)의 자력에 의해 플랩편(132)을 아치 중심방향으로 부세함도 좋다. 또 제14도(c)에 표시한 것처럼 플랩편(132)과 고정편(133)의 각 후단을 스프링(148)로 연결하고, 스프링(148)에 의해 플랩편(132)를 아치 중심방향으로 부세하여 U자상의 개구면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도 좋다.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볼트(134)는 불필요하며 플랩부를 힌지상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 후레임(136)의 높이를 야치 가이드(20)의 높이(이주편과 내주편간의 거리)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은 힌지부 형성이 쉽게함과 동시에 아치 가이드(20) 전체의 강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하여간 외주편(21)을 아치 중심방향과 반대방향에 개방할 수 있는 것이면 기타 형상도 임의로 채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을 일정한 아치 크기를 위해 전용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아치 가이드(20)의 코너부와 직선부를 각기 별개로 성형해서 연결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각 코너부와 각 직선부의 내주편(22)를 일련해서 성형함과 동시에 외주편(22)를 각 코너부 각 직선부마다 별개로 성형해서 연결해도 좋다.
제11도에 있어서, 아치 카바(1l)의 안벽 즉, 가이드 플레이트(16)에는 2개의 스톱퍼(17)(17)가 브라켓트를 끼고 붙혀지며 이 스톱퍼(17)(17)는 아치 가이드(20)의 상변 직선부의 플랩부(130)(130)(130) 사이에 위치하며 아치 가이드(20)의 상변 직선부를 구성하는 후레임(136)의 가이드 플레이트(16)에 대치하는 면과 반대측면에 대해 밴드 폭보다 조금 작은 간격을 두고 근접하도록 고정시켜 밴드 탈출시에 아치 가이드(20)의 상변 직선부가 수평 이동하면 이 부분의 후레임(136)이 스톱퍼(17)(17)에 접촉되어 아치 가이드(20)의 이동의 폭을 밴드 폭보다 좀 작은 거리로 제한한다.
따라서, 상기 앤드 선단의 파지와 동시에 공급롤러(33)(34)가 역전하여 밴드가 뒤로 돌아와 아치 가이드(20)와 가이드 플레이트(16)에 의해 형성된 밴드 통과로(24)내에 있는 밴드는 우선 아치 가이드(20)의 제1코너부(W)에 있어서는 내주편(22)의 내면을 따라 개구(23)방향으로 이동하고 자중(및 스프링)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16)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는 아치 가이드(20)을 순차적으로 넓혀 상기 제1코너부(W) 위쪽의 직선부, 제 2코너부(X) 상변직선부, 제 3코너부(Y) 제 3코너부(Y) 하방의 직선부, 제 4코너부(Z) 의 순으로 내주편(22)의 개구연과 가이드 플레이트(16)의 면에 규제당하면서 아치 가이드(20)에서부터 빠져나간다.
이때 아치 가이드(20)에서 빠져나가려 하는 밴드가 약간 느슨한 상태로 개구(23)방향으로 이동하는 수가 있으나 아치 가이드(20)의 각 직선부에 있어서는 산형대로 일어서는 밴드의 끝머리에 의해 아치 가이드 내부로부터 눌려진 외주편(21)이 플랩부(130)의 플랩편(132)를 끼고 스프링(135)에 대항하여 개구(23)를 넓히는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아치 가이드(20)안에서 밴드가 정지되어 탈출 불가능으로 되는 수가 없다(제l3도(a) (b)).
또한 아치 가이드(20)는 내주편(22)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밴드의 폭방향 양끝 머리에는 이 내주편(22)의 선단가장자리와 가이드 플레이트(16) 사이에 끼여지도록해서 탈출 자세가 확실히 규제되기 때문에 밴드가 아치 가이드(20)내에서 산형태가 되여 밴드의 끝머리가 내주편(22)과 외주편(21) 사이에 서서 록크했을때 외주편(21)이 열려져도 밴드가 불연속적으로 탈출해서 사행상으로 피포장물에 감기는 사태가 확실히 방지되여 밴드는 아치 가이드(20)의 제1코너부(W)에서 제4코너부(Z)에 닫고 연속적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또 스톱퍼(17)(17)에 의해 아치 가이드(20)의 수평 이동거리는 밴드 폭보다 약간 적게 규제되어 롯드(12)(12)는 아치 가이드(20)를 가이드 플레이트(16) 방향으로 자중에 의해 힘을 주기때문에 밴드의 탈출자세를 한층 더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제15도-제17도에 관해 설명하면, 아치 가이드의 개구면이 접하는 면을 마찰계수가 작은 내마모성 재료로된 시이트를 아치 카바에 대해서 국부적으로 홈이 패인 탄성체를 끼워 아치 카바에 부착시킴므로써 아치 가이드(20)를 밴드의 인출에 의해 넓혀 동시에 낸드는 가이드 플레이트(16)를 아주 국부적으로 눌러 즉 가이드 플레이트 탄성체(17), 시이트(18)를 극히 국부적으로 눌러 넓혀 밴드에 극히 국부적으로 또 아주적당한 저항을 부여하여 밴드를 순차 연속적으로 끌어내는 것이다. 즉,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아치 카바(11)내의 내측면을 아치 가이드의 개구면이 접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6)으로 한 것인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6)를 아치 카바(11)에 예를 들면 발포우레탄, 단포스폰지, 연포스폰지 또는 면 등 탄성이 있는 재료로된 가이드 플레이트 탄성체(17)을 끼워 아치 가이드(20)의 개구면과 접하는 면에 예를 들면 데프론, 초고분자 포리에치렌 등 마찰계수가 작은 내마모성 재료로된 시이트(18)를 부착시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탄성체(17)는 에어쿳숀 또는 고무풍선같이 유체가들은 탄력성 있는 용기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6)를 아치 가이드(20)가 접하는 면 전체에 이르게 하는 편이 좋은데 구조상 혹은 가이드 플레이트 탄성체(17)의 내식성상의 문제에 의해 용착기구(S)에 연속하는 직선부의 가이드 플레이트(16)를 단순한 금속판으로 할 때는 제17도에서 보는 것 같은 탄력성 있는 금속봉으로된 밴드 진동방지바(19)를 밴드 폭보다 좀 좁게 조정가능하게 앵글의 판재로된 가이드 플레이트(16)에 대치하도록 배설해도 무방하다. 이로인해 가이드 플레이트 탄성체(17)와 시이트(18)로된 가이드 플레이트(16)의 대용을 불층분하나마 보충하여 밴드의 진동을 막을 수 있다. 또 공급롤라(33)(34)가 잘 돌아갈때, 즉 밴드가 아치 가이드(20)의 밴드 통과로(24)내를 달릴때 가이드 플레이트(16)를 구성하는 시이트(18)는 마찰계수가 작고 가이드 플레이트 탄성체(17)는 부분적인 탄성을 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작용이 일어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밴드자체가 갖고 있는 사행은 특히 두께도 엷고 좁은 폭의 밴드나 비교적 염가의 밴드에서 현저하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밴드는 밴드 통과로(24)내를 파도치면서 꾸불구불 지나므로 밴드 통과로(24)내의 상,하,좌,우의 벽에 부딪쳐 저항을 받게된다.
그러나, 가이드 플레이트(16)를 구성하는 시이트(18)는 마찰계수가 작은 시이트여서 가이드 플레이트 탄성체(17)는 부분적 탄성이 생기므로 밴드의 사행을 흡수하여 주행성을 좋게한다.
또한 밴드가 되돌아올때 아치 가이드가 열려 순차 가이드 플레이트로 돌아가는데 이때 가이드 플레이트에 쿳숀성질이 있으므로 소리가 조용해지고 진동도 작다.
더욱 용착기구에 연속한 직선부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형성하기 때문에 금속관의 앵글을 연속적으로 배설함으로써 그 위에 놓은 작업 테이블면 전체의 강도를 향상할 수가 있었다.

Claims (5)

  1. 직선부와 이 직선부 사이에 위치하는 코너부(W-Z)로 구성되고 피포장물의 주위에 루프상으로 포장용 밴드를 배치하는 밴드 통과로(24)의 양단부를 각각 밴드 용착기구(S)에 인접시켜서된 아치 가이드(20)와, 이 밴드 통과로(24)를 구성하는 아치 가이드(20)의 밴드 탈출용의 한개의 거구(23)에 대치하여 이 개구(23)면과 평행으로 설치한 가이드 플레이트(16)를 보유하고, 상기 개구(23)를 평시는 페쇄하도륵 상기 아치가이드(20)를 가이드 플레이트(16) 방향으로 힘을 주어 부착하고 있는 포장기에 있는 밴드안내 아치(10)에 있어서, 상기 아치 가이드(10)의 각 코너부 W(X,Y,Z)를 아치 중심방향의 한쪽(22)을 가이드 플레이트(16)에 대해 예각이 되도륵 아치 중심방향에 경사지게 형성하고, 또한 아치 중심방향의 반대방향의 한쪽(21)을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6)에 거의 직각으로 접촉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에 있어서 밴드안내 아치.
  2. 제1항에 있어서, 직선부의 아치 가이드(20)의 아치 중심방향의 한쪽(22)의 상기 코너부W( X,Y,Z)내로의 연장선 선단을, 코너부의 아치 가이드(20)의 아치 중심방향에 반대방향의 한쪽(21)을 내벽에 대하여 밴드 통과 허용 간격을 형성하는 위치까지 돌출시킨 가이드부(30)를 상기 코너부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에 있어서 밴드안내 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 가이드(20)를, 가이드 플레이트(16) 방향으로 힘을주어 상기 하나의 개구(23)를 평시는 폐쇄하도록 부설하여서된 아치 가이드(20)의 아치 중심방향 한쪽(22)과. 아치 중심방향과 반대방향의 다른 한쪽(21)으로된 2쪽을 평행으로 대치하여 형성하고, 이 아치 중심방향과 반대방향의 한쪽(2l)은 아치 중심방향의 한쪽(22)에 대해 자유로히 회동할 수 있게 설치하고 동시에 상기 아치 중심방향과 반대방향의 한쪽(21)을 상기 개구(23)면이 사용하는 밴드 폭보다 조금 좁게 유지하도록 아치 중심방향의 한쪽(22)에 대해 힘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에 있어서 밴드안내 아치.
  4. 제l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믈레이트(1⒤는 마찰계수가 적은 내마모성 재료로왼 시이트를 아치 카바(11)에 탄성체(17)를 개재부착해서 형성항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에 있어서 밴드안내 아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6)는 마찰계수가 작은 내마모성 재료로된 시이트를 아치 카바(11)에 탄성체(17)를 개재부착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에 있어서 밴드안내 아치.
KR1019870002268A 1986-03-13 1987-03-13 포장기에 있어서 밴드안내 아치 KR900006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35350 1986-02-21
JP35350 1986-02-21
JP3535086 1986-03-13
JP113755 1986-05-20
JP61113755A JPS62271809A (ja) 1986-05-20 1986-05-20 梱包機におけるバンド案内ア−チ
JP61-113755 1986-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757A KR870008757A (ko) 1987-10-20
KR900006645B1 true KR900006645B1 (ko) 1990-09-15

Family

ID=26374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2268A KR900006645B1 (ko) 1986-03-13 1987-03-13 포장기에 있어서 밴드안내 아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781110A (ko)
KR (1) KR900006645B1 (ko)
CA (1) CA1278997C (ko)
DE (1) DE3708267C2 (ko)
ES (1) ES2002641A6 (ko)
FR (1) FR2595657B1 (ko)
GB (1) GB2188025B (ko)
IT (2) IT8753133V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30730B4 (de) * 1992-09-14 2005-05-25 Georg Lang Umreifungsmaschine mit einem Bandführungsrahmen
US5249518A (en) * 1992-10-02 1993-10-05 Signode Corporation Stripping mechanism for strapping machine
JP2905346B2 (ja) * 1992-11-05 1999-06-14 ストラパック株式会社 梱包機におけるバンド案内アーチ
US5251544A (en) * 1993-03-02 1993-10-12 Signode Corporation Chute mounting and biasing mechanism for strapping machine
DE4416013A1 (de) * 1994-05-06 1995-11-09 Georg Lang Vorrichtung zum Umreifen eines Packgutes
US5560180A (en) * 1994-08-05 1996-10-01 Sandar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ying bundles with a paper pulp strap
TW316885B (ko) * 1995-02-03 1997-10-01 Nichiro Kogyo Kk
US5746882A (en) * 1995-12-15 1998-05-05 Illinois Tool Works Inc. Strap path access apparatus and method for strapping machine
DE29612531U1 (de) * 1996-07-19 1996-09-12 Smb Schwede Maschinenbau Gmbh Bandführungsrahmen für eine Umreifungsmaschine
US6416012B1 (en) 1999-02-25 2002-07-09 M.A. Industries,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utting and spooling paper
US6415712B1 (en) * 1999-12-02 2002-07-09 Enterprises International, Inc. Track mechansim for guiding flexible straps around bundles of objects
US6546696B2 (en) 2001-02-15 2003-04-15 Cranston Diversified Industries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a bundle with a strap
US7290732B2 (en) * 2003-01-23 2007-11-06 M.A. Industries, Inc.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utting and spooling paper
US6951170B2 (en) * 2003-06-17 2005-10-04 Illinois Tool Works, Inc. Strapping machine with improved chute release system
DE102005012736B4 (de) * 2005-03-19 2007-06-14 Helmut Schmetzer Umreifungsmaschine
US7861649B2 (en) * 2008-12-19 2011-01-04 Illinois Tool Works Inc. Self-adjusting stripper pin for strapping machine strap chute
DE102018131395A1 (de) * 2018-12-07 2020-06-10 Mosca Gmbh Bandführungsrahmen mit Magnetschließ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7448A (en) * 1967-03-13 1969-06-03 Ovalstrapping Inc Wire tying machines
JPS4892197A (ko) * 1972-03-06 1973-11-30
JPS5121998A (en) * 1974-08-15 1976-02-21 Nichiro Kogyo Kk Jidokonhokiniokeru bandoannaisochi
US4520720A (en) * 1983-05-11 1985-06-04 Signode Corporation Strap chute for automatic strapping machine
US4625635A (en) * 1985-02-19 1986-12-02 Lewis Charles B Banding apparatus for presses
US4697510A (en) * 1986-12-22 1987-10-06 Cranston Machinery Co., Inc. Contamination deflector system for bale binding mach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08267C2 (de) 1992-11-26
IT8767199A0 (it) 1987-03-13
IT8753133V0 (it) 1987-03-13
CA1278997C (en) 1991-01-15
GB2188025A (en) 1987-09-23
ES2002641A6 (es) 1988-09-01
FR2595657B1 (fr) 1991-01-18
KR870008757A (ko) 1987-10-20
US4781110A (en) 1988-11-01
IT1221908B (it) 1990-07-12
GB2188025B (en) 1990-04-04
FR2595657A1 (fr) 1987-09-18
GB8705630D0 (en) 1987-04-15
DE3708267A1 (de) 1987-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645B1 (ko) 포장기에 있어서 밴드안내 아치
US4011808A (en) Strapping band guide for automatic strapping machine
EP1489012B1 (en) Strapping machine with strap path access guide
US5414980A (en) Packing apparatus
US4885901A (en) Band loading apparatus in a packaging machine
US4502911A (en) Strapping machine
WO2009032498A1 (en) Strapping machine with improved tension, seal and feed arrangement
US5373686A (en) Apparatus for hooping a package by means of a band
US4867053A (en) Strapping band guide unit in full automatic strapping machine
GB2078659A (en) Band straightening device for strapping apparatus
JPH0257515A (ja) 梱包機におけるバンド案内アーチ
JPS62220414A (ja) 梱包機におけるバンド案内ア−チ
JPS6311A (ja) 梱包機におけるバンド案内ア−チ
JPS6344605B2 (ko)
JPH0551705U (ja) 梱包機における右バンドウェイ開放およびバンド幅寄せ装置
SU943116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в зки кольцеобразных изделий
US6971307B2 (en) Wide aperture wire tracking with partition
JPH0451123Y2 (ko)
JP3418001B2 (ja) 自動梱包機のバンド案内装置
JPS6312414A (ja) 梱包機におけるバンド案内ア−チのガイドプレ−ト
JPH0627524Y2 (ja) 梱包機のアーチ
JPS6356087B2 (ko)
JPH0811815A (ja) バンド掛け梱包機
JPH018489Y2 (ko)
JPS591922Y2 (ja) 半自動梱包機におけるバンド案内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9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