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308B1 - 자동차 내장재용 패스너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장재용 패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308B1
KR101254308B1 KR1020100044468A KR20100044468A KR101254308B1 KR 101254308 B1 KR101254308 B1 KR 101254308B1 KR 1020100044468 A KR1020100044468 A KR 1020100044468A KR 20100044468 A KR20100044468 A KR 20100044468A KR 101254308 B1 KR101254308 B1 KR 101254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fixing
head
strip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4973A (ko
Inventor
이상익
Original Assignee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00044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308B1/ko
Publication of KR20110124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4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the plates being arranged one on top of the other and in full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장재를 고정시키는 패스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바디패널에 내장재를 고정시키는 패스너에 있어서, 상기 바디패널과 내장재에 천공된 고정공에 상하로 연통되도록 스트립관통공이 형성되어 내장재의 표면에 배치되는 헤드, 상기 헤드의 내면 양측에 탄력적으로 휨변형가능하게 연결되어 바디패널의 고정공의 내경 양측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편, 상기 한 쌍의 걸림편 내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2 조립요부 및 제1 조립요부를 포함하는 제1 패스너; 상기 헤드의 스트립관통공을 지나 한 쌍의 걸림편 내면에 끼움결합되면서 외측으로 가압하여 고정공에 거는 가압스트립, 상기 가압스트립의 양측면 상부에 구비되어 제1 조립요부에 분리가능하게 가조립되는 제2 고정철부, 상기 제1 조립요부를 지나 제2 조립요부에 결합되는 제2 고정철부과 함께 제1 조립요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가압스트립에 형성되어 바디패널의 고정공에 걸린 제1 패스너를 고정시키는 제1 고정철부, 상기 제1 패스너의 헤드를 내장하도록 가압스트립에 연결된 마감커버를 포함하는 제2 패스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내장재용 패스너{Fastner for fixing interior materials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장재를 고정시키는 패스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구조재인 바디패널에 내장재를 용이하게 고정 및 분리함에 따라 작업 공수를 단축시키고 편리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자동차 내장재 패스너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내부는 장식효과와 함께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소재로 이루어진 천장재, 벽재, 바닥재 등을 포함하는 내장재로 마감되는데, 이러한 내장재는 자동차의 구조재인 바디패널에 패스너를 통해 견고히 고정된다.
첨부된 도 5는 종래의 패스너로서 선출원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4603호 ‘자동차의 내장재 고정용 패스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러한 종래의 패스너(1)는 그 청구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내장재인 트림(3)을 차체의 골조인 바디 패널(2)상에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재로서, 상기 트림(3)의 내면에 부착되는 머리부(1a)와, 상기 머리부(1a)와 일체형으로 성형한 것으로서, 상기 바디 패널(2)의 고정공에 억지끼워져 고정되는 원추돌기형 고정부(1b)를 포함하며, 상기 머리부(1a)와 고정부(1b) 사이에는 피고정재(2, 3)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몸체(1c)가 성형된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패스너는 머리부(1a)를 트림(3)의 내면에 부착시키는 공정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작업공수가 증가되어 작업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후관리 시 트림(3)을 분리하기 위해 패스너(1)를 고정공에서 분리해야 하는데, 종래의 패스너(1)는 원추돌기형 고정부(1b)가 고정공에 고정된 후에는 고정공에서 분리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분리 시 고정부를 억지로 분리하다가 패스너(1) 및 트림(3)의 손상으로 이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장재를 바디패널에 용이하게 고정시켜서 작업공수를 단축하고, 바디패널에서 용이하게 분리하여 사후관리의 편의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자동차 내장재용 패스너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바디패널에 내장재를 고정시키는 패스너에 있어서,
상기 바디패널과 내장재에 천공된 고정공에 상하로 연통되도록 스트립관통공이 형성되어 내장재의 표면에 배치되는 헤드, 상기 헤드의 내면 양측에 탄력적으로 휨변형가능하게 연결되어 바디패널의 고정공의 내경 양측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편, 상기 한 쌍의 걸림편 내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2 조립요부 및 제1 조립요부를 포함하는 제1 패스너; 그리고
상기 헤드의 스트립관통공을 지나 한 쌍의 걸림편 내면에 끼움결합되면서 외측으로 가압하여 고정공에 거는 가압스트립, 상기 가압스트립의 양측면 상부에 구비되어 제1 조립요부에 분리가능하게 가조립되는 제2 고정철부, 상기 제1 조립요부를 지나 제2 조립요부에 결합되는 제2 고정철부과 함께 제1 조립요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가압스트립에 형성되어 바디패널의 고정공에 걸린 제1 패스너를 고정시키는 제1 고정철부, 상기 제1 패스너의 헤드를 내장하도록 가압스트립에 연결된 마감커버를 포함하는 제2 패스너;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패스너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 패스너의 마감커버 양측에는 가압돌기가 구비되어 내장재의 표면을 가압하고, 상기 제1 패스너의 헤드에는 상기 가압돌기가 관통되도록 돌기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제2 고정철부는 한 쌍의 걸림편의 내면을 따라 부드럽게 진입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진입안내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제2 조립요부는 제1·제2 고정철부의 진입안내면에 각각 조립되도록 형성된 조립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제2 조립요부는 제1·제2 고정철부가 부드럽게 분리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분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제2 고정철부는 제1·제2 조립요부의 분리면에 각각 조립되도록 형성된 분리안내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2 패스너의 마감커버에는 제1 패스너에서 분리하도록 분리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마감커버 표면에는 문자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패스너를 고정공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2 패스너를 제1 패스너에 결합함에 따라 1차로 가조립된 후 2차로 완전조립상태가 되므로, 내장재를 바디패널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제2 패스너를 제1 패스너에서 분리한 다음 제1 패스너를 고정공에서 분리하는 과정이 용이함에 따라, 사후관리 시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내장재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1 패스너와 제2 패스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1 패스너와 제2 패스너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1 패스너와 제2 패스너의 가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1 패스너와 제2 패스너의 완전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패스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 내장재용 패스너는, 내장재(20)의 고정공(22)으로 삽입되어 자동차의 바디패널(10)에 천공된 고정공(12)(22)에 걸리는 제1 패스너(100), 제1 패스너(100)를 바디패널(10)의 고정공(12)에 고정시키도록 결합되는 제2 패스너(200)를 포함한다.
제1 패스너(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재(20)의 표면에 배치되는 헤드(110), 헤드(110)의 상면 양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걸림편(120), 걸림편(120)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2·제1 조립요부(140)(130)를 포함하며, 각 구성요소들(110)(120)(130)(140)는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사출성형으로 제조됨에 따라 단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는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바디패널(10)과 내장재(20)의 고정공(12)(22)에 상하로 연이어져 통하도록 스트립관통공(112)이 형성되며, 이 스트립관통공(112)의 양측에는 돌기관통공(114)이 형성된다. 이러한 헤드(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재(20)의 표면에 근접되게 배치된다.
한 쌍의 걸림편(1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헤드(110)의 상면에 탄력적으로 휨변형가능하게 연결되고, 외면 상단부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고정공(12)(22)에 부드럽게 결합되며, 외면 하부에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면(122)이 형성되어 바디패널(10)의 고정공(12) 양측에 걸리는데, 이 걸림면(122)은 제1 패스너(100)의 분리 시 고정공(12)(22)에서 부드럽게 분리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겸한다.
한 쌍의 걸림편(120) 내면(121)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립요부(130)와 제2 조립요부(140)가 형성되는데, 걸림편(120)의 내면(121) 상부에는 제2 조립요부(140)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제1 조립요부(130)가 형성된다. 제1·제2 조립요부(130)(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삼각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분리면(131)(141) 및 조립면(132)(142)을 포함하게 된다. 즉, 분리면(131)(141)은 제1·제2 고정철부(230)(240)가 부드럽게 분리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조립면(132)(142)은 후술하는 제1·제2 고정철부(230)(240)의 진입안내면(232)(242)이 조립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제2 패스너(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122)의 내면(121)에 끼움결합되는 가압스트립(220), 제1·제2 조립요부(130)(140)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가압스트립(220)의 양측면에 구비된 제1·제2 고정철부(230)(240), 제1 패스너(100)의 헤드(110)를 내장하는 마감커버(210)를 포함한다.
먼저, 마감커버(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스너(100)의 헤드(110)를 내장하도록 형성되고, 그 둘레 양측에는 분리홈(212)이 형성되어 제1 패스너(100)에서 제2 패스너(200)를 용이하게 분리하게 된다. 즉, 분리홈(212)으로 얇고 길게 형성된 드라이버 따위의 도구를 넣어서 제1 패스너(100)의 헤드(110)를 고정공(12)(22) 방향으로 밀면, 걸림편(120)이 고정공(12)(22)에 걸린 상태가 해제되어 제2 패스너(2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마감커버(210)의 저면, 즉 표면에는 디스플레이부(214)가 구비되어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자의 표시는 음각 및 양각뿐만 아니라 문자가 표시된 종이를 접착제 등으로 부착하는 다양한 방식을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마감커버(210)의 상면 중앙에는 가압스트립(220)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이 가압스트립(220)의 양측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제2 고정철부(230)(240)가 구비된다. 제1·제2 고정철부(230)(240) 또한 제1·제2 조립요부(130)(140)와 같이 대략 삼각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진입안내면(232)(242) 및 분리안내면(231)(241)을 포함하게 된다. 즉, 진입안내면(232)(242)은 걸림편(120)의 내면(121)을 따라 부드럽게 진입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분리안내면(231)(241)은 제1·제2 조립요부(130)(140)의 분리면(131)(141)에 각각 조립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마감커버(210)의 상면 양측에는 가압돌기(250)가 수직으로 구비되어 내장재(20)의 표면을 가압하는데, 이러한 가압돌기(250)는 제1 패스너(100)의 헤드(110)에 형성된 돌기관통공(114)을 지나 도 4에서와 같이 내장재(20)의 표면을 가압하여 내장재(20)의 표면 손상을 최소화는 동시에 제1 패스너(100)의 헤드(110)가 내장재(20)의 표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용이한 분리를 도모하게 된다. 아울러 가압돌기(250)는 제1 패스너(100)의 헤드(110) 양측에 형성된 돌기관통공(114)으로 관통되므로, 제2 패스너(200)가 제1 패스너(100)에 결합될 때 결합위치를 설정할 뿐만 아니라 제2 패스너(200)가 좌우로 돌아가지 않도록 유동을 방지하는 작용을 겸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패스너(100)와 제2 패스너(200)의 결합 및 분리 관계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결합 관계를 살펴보면, 제1 패스너(100)의 헤드(110)를 한 손으로 잡고 한 쌍의 걸림편(120)을 바디패널(10)과 내장재(20)에 천공된 고정공(12)(22)으로 관통시킨 후 헤드(110)를 내장재(20)의 표면에 배치시킨다.
이어서 제2 패스너(200)의 가압돌기(250)를 제1 패스너(100)의 돌기관통공(114)에 맞춘 상태에서, 제2 패스너(200)의 가압스트립(220)을 헤드(110)의 스트립관통공(112)으로 삽입하면서 적절한 힘을 주어 밀면, 제2 고정철부(240)의 진입안내면(242)이 스트립관통공(112)을 지나 제1 조립요부(130)에 조립되면서, 도 3에서와 같은 이른바 가조립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같이 가조립상태에서는 내장재(20)의 위치 등을 소정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다음, 제2 패스너(200)를 제1 패스너(100) 방향으로 밀면, 제2 고정철부(240)의 진입안내면(242)이 걸림편(120)의 내면(121)을 따라 진입되어 양측 걸림편(120)을 외측으로 서서히 가압하고 제1 고정철부(230)의 진입안내면(232)은 스트립관통공(112)을 따라 진입된다.
계속해서 제2 패스너(200)를 제1 패스너(100) 방향으로 밀면, 가압스트립(220)은 걸림편(120)의 내면(121)을 외측으로 가압하여 걸림편(120)의 걸림면(122)이 바디패널(10)의 고정공(12)에 걸리게 하는데, 이때 제2 고정철부(240)는 제2 조립요부(140)에 조립되고 제1 고정철부(230)는 제1 조립요부(130)에 조립되어 걸림편(120)이 바디패널(10)의 고정공(12) 양측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와 함께 제2 패스너(200)의 가압돌기(250)는 내장재(20)의 표면을 가압하여 제1 패스너(100)의 헤드(110)가 내장재(20)의 표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디패널(10)에 내장재(20)를 고정시킨 제1·제2 패스너(100)(200)는 간편히 분리할 수 있다. 즉, 분리홈(212)으로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제1 패스너(100)의 헤드(110)를 고정공(12)(22) 방향으로 누르면, 걸림편(120)의 걸림면(122)이 바디패널(10)의 고정공(12)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데, 이때 제1 패스너(100)를 당기면 제1·제2 고정철부(230)(240)가 제1·제2 조립요부(130)(140)에서 분리되면서 스트립관통공(112)을 통해 빠지는 과정으로 통해, 제2 패스너(200)를 제1 패스너(100)에서 분리할 수 있고, 그 다음에 제1 패스너(100)를 고정공(12)(22)에서 간단히 빼기만 하면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 대체, 부가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10 : 바디패널 20 : 내장재
12, 22 : 고정공 100 : 제1 패스너
110 : 헤드 120 : 걸림편
130 : 제1 조립요부 140 : 제2 조립요부
200 : 제2 패스너 210 : 마감커버
220 : 가압스트립 230 : 제1 고정철부
240 : 제2 고정철부

Claims (6)

  1. 자동차의 바디패널에 내장재를 고정시키는 패스너에 있어서,
    상기 바디패널과 내장재에 천공된 고정공에 상하로 연통되도록 스트립관통공이 형성되어 내장재의 표면에 배치되는 헤드, 상기 헤드의 내면 양측에 탄력적으로 휨변형가능하게 연결되어 바디패널의 고정공의 내경 양측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편, 상기 한 쌍의 걸림편 내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2 조립요부 및 제1 조립요부를 포함하는 제1 패스너; 그리고
    상기 헤드의 스트립관통공을 지나 한 쌍의 걸림편 내면에 끼움결합되면서 외측으로 가압하여 고정공에 거는 가압스트립, 상기 가압스트립의 양측면 상부에 구비되어 제1 조립요부에 분리가능하게 가조립되는 제2 고정철부, 상기 제1 조립요부를 지나 제2 조립요부에 결합되는 제2 고정철부과 함께 제1 조립요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가압스트립에 형성되어 바디패널의 고정공에 걸린 제1 패스너를 고정시키는 제1 고정철부, 상기 제1 패스너의 헤드를 내장하도록 가압스트립에 연결된 마감커버를 포함하는 제2 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패스너의 마감커버 양측에는 가압돌기가 구비되어 내장재의 표면을 가압하고, 상기 제1 패스너의 헤드에는 상기 가압돌기가 관통되도록 돌기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패스너.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제2 고정철부는 한 쌍의 걸림편의 내면을 따라 부드럽게 진입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진입안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제2 조립요부는 제1·제2 고정철부의 진입안내면에 각각 조립되도록 형성된 조립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패스너.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제2 조립요부는 제1·제2 고정철부가 부드럽게 분리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분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제2 고정철부는 제1·제2 조립요부의 분리면에 각각 조립되도록 형성된 분리안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패스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패스너의 마감커버에는 제1 패스너에서 분리하도록 분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패스너.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패스너의 마감커버 표면에는 문자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패스너.
KR1020100044468A 2010-05-12 2010-05-12 자동차 내장재용 패스너 KR101254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468A KR101254308B1 (ko) 2010-05-12 2010-05-12 자동차 내장재용 패스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468A KR101254308B1 (ko) 2010-05-12 2010-05-12 자동차 내장재용 패스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973A KR20110124973A (ko) 2011-11-18
KR101254308B1 true KR101254308B1 (ko) 2013-04-12

Family

ID=45394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468A KR101254308B1 (ko) 2010-05-12 2010-05-12 자동차 내장재용 패스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3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41666A (zh) * 2014-07-03 2014-11-1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固定汽车前壁板隔音垫的折翼式卡扣
KR20160142505A (ko) 2015-06-03 2016-12-13 주식회사 프라코 자동차 내외장 부품 고정용 패스너 지지장치
KR101806736B1 (ko) * 2016-09-13 2017-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필러 트림 일체형 체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2437A (ja) * 1997-09-05 1999-03-26 Pop Rivet Fastener Kk 接着ファスナー
KR200166642Y1 (ko) * 1995-12-30 2000-01-15 류정열 수납체결구
US20040253074A1 (en) * 2003-06-06 2004-12-16 Joseph Anscher Fastener
US20050152764A1 (en) * 2004-01-08 2005-07-14 Jackson Nicholas Jr. Faste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642Y1 (ko) * 1995-12-30 2000-01-15 류정열 수납체결구
JPH1182437A (ja) * 1997-09-05 1999-03-26 Pop Rivet Fastener Kk 接着ファスナー
US20040253074A1 (en) * 2003-06-06 2004-12-16 Joseph Anscher Fastener
US20050152764A1 (en) * 2004-01-08 2005-07-14 Jackson Nicholas Jr. Fasten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41666A (zh) * 2014-07-03 2014-11-1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固定汽车前壁板隔音垫的折翼式卡扣
KR20160142505A (ko) 2015-06-03 2016-12-13 주식회사 프라코 자동차 내외장 부품 고정용 패스너 지지장치
KR101806736B1 (ko) * 2016-09-13 2017-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필러 트림 일체형 체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973A (ko) 201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308B1 (ko) 자동차 내장재용 패스너
KR101724919B1 (ko) 분리 클립 방식 도어아웃벨트유닛과 이를 적용한 차량 도어
US11440487B2 (en) Overmolded metal-plastic clip
JPH0968209A (ja) 留め具
CN205686250U (zh) 一种背门扣手盒及汽车
CN203920629U (zh) 车门窗框与车门立柱外饰板的安装结构
JP6191047B2 (ja) 車両のバッテリ固定装置
JP2014004901A (ja) フック装置
JP2006009867A (ja) Ea材、その取付用クリップ及び取付構造
KR200448355Y1 (ko) 파티션의 상단프레임 체결구조 및 그 체결구
CN106808984B (zh) 汽车后背门开启辅助装置及汽车
JP2007022380A (ja) 自動車内装品の取付構造
KR20070040487A (ko) 에스유브이 차량의 쿼터 글래스의 인캡설레이션 몰딩의장착구조
JP3806896B2 (ja) ビスキャップ
KR101383435B1 (ko) 차량용 사이드 실 몰딩
KR102440536B1 (ko) 내장판 고정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전동차의 내장판 결합 구조
JP3797230B2 (ja) 建具
CN105818656A (zh) 一种汽车车门密封条的固定结构
KR20130068695A (ko) 차량용 프런트 필러트림의 클립 구조
KR200493464Y1 (ko) 자동차용 사이드 웨더스트립
KR101408400B1 (ko) 도어 손잡이
CN111071351B (zh) 一种汽车翼子板饰盖组件
KR102397174B1 (ko) 커튼후크가 인서트된 글라스런 구조
CN205524031U (zh) 一种窗框装饰盖组件和汽车
KR101007075B1 (ko) 도어 트림의 결합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