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213B1 - 코너 면취기 - Google Patents

코너 면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213B1
KR101254213B1 KR1020120050417A KR20120050417A KR101254213B1 KR 101254213 B1 KR101254213 B1 KR 101254213B1 KR 1020120050417 A KR1020120050417 A KR 1020120050417A KR 20120050417 A KR20120050417 A KR 20120050417A KR 101254213 B1 KR101254213 B1 KR 101254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ember
chamfering
moving
housing
insert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건
Original Assignee
(주)동경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경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동경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20050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16Chamfer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70/00Details of milling machines, milling processes or mill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2270/08Clamping mechanisms or provision for cl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Processing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코너 면취기는 하우징(40)의 일측에 설치되며, 인서트 팁이나 초경 바이트를 결합/해제할 수 있게 구성된 콜릿 홀더(20)와, 콜릿 홀더(20)와 연결되는 회전축(30)과, 하우징(40)의 타측에 설치되며, 회전축(30)에 연결되는 모터(35)와, 하우징(40)의 단부에 형성된 터미널(42)로 구성되는 면취부재(100)와; 면취부재(100)의 하우징(40)의 일측에 연결되며, 하우징(40)에 연결된 인서트 팁이나 초경 바이트를 전,후진 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이동부재(200)와; 제1 이동부재(2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인서트 팁이나 초경 바이트의 방향을 작업 위치(W)로 이동시키기 위한 로테이터(300)와; 베이스 부재(410)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개의 LM 레일(420)과, LM 레일(420)상에 각기 설치되는 복수개의 LM 가이드(430)와, LM 가이드(430)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테이블(440) 및 안착다이(450)와, 테이블(400) 및 안착다이(450)를 LM 레일(420)을 따라 이송시키기 위한 랙피니언(460)으로 이루어지는 제2 이동부재(400)와; 면취부재 및 제2 이동부재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원(90,49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코너 면취기{Corner Beveling Machines}
본 발명은 코너 면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품 가공면에 대하여 제품각도 및 절삭량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코너 면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취작업은 철강, 비철, 수지의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을 모따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제품의 마무리 가공공정으로 이루어지며 면취품질에 따라 제품의 품격을 좌우하게 되므로 최대한 표면 가공도를 높여 맑고 깨끗한 사면을 얻을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또한, 종래 면취기는 전기 또는 에어동력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시키고 그 구동력으로 절삭팁을 회전시켜 가공부재의 모서리를 가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면취기는 단순히 면취량 조절구를 슬라이딩 이송시켜 잠금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하고 분할된 면취눈금에 맞추어 면취량 조절구를 회전시키는 단순한 방법으로 이는 면취량의 조절의 정밀도가 떨어짐은 물론 균일도도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784772호(특허문헌1)는 전술한 구성과 유사한 것으로 면취기에 결합되고 가이드판에 체결공이 형성된 받침홀더와, 상기 면취기의 동력축에 결합되고 중앙에 삽입구가 형성된 어댑터와, 상기 삽입구에 끼움 고정된 코너용 회전커터와, 상기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구로 관통하여 가이드판에 장착되고 상부면 내,외측에 동심원상으로 커터 노출공의 내면 및 가이드판의 외면에 밀착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직각으로 형성된 양 측면의 교차부에 간섭방지부가 형성된 직각 코너용 면취툴로 구성된다. 상기 선행기술은 동력축에 조립된 어댑터에 코너용 회전커터를 결합함으로써 모서리를 가공하여 면취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특허문헌1: 한국등록특허 제0784772호(등록일: 2007.12.05)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면취기가 내포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코너의 깊숙한 작업위치는 물론 불균일하게 작업된 모서리 가공도 보다 정확하고 균일하게 가공할 수 있는 코너 면취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구(인서트 칩이나 초경 바이트)가 삽입된 콜릿 홀더를 구비한 면취부재를 제1 이동부재 및 로테이터를 이용하여 전진 및 후진은 물론 방향 전환을 시킴에 의해 작업자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코너 면취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 이동부재를 이용하여 작업 구간내에서 자유롭게 면취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코너 면취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면취기는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인서트 팁이나 초경 바이트를 결합/해제할 수 있게 구성된 콜릿 홀더와, 상기 콜릿 홀더와 연결되는 회전축과, 하우징의 타측에 설치되며, 회전축에 연결되는 모터와,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형성된 터미널로 구성되는 면취부재와; 상기 면취부재의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며, 하우징에 연결된 인서트 팁이나 초경 바이트를 전,후진 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1 이동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며, 인서트 팁이나 초경 바이트의 방향을 작업 위치(W)로 이동시키기 위한 로테이터와; 베이스 부재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개의 LM(Linear motion) 레일과, 상기 LM 레일상에 각기 설치되는 복수개의 LM 가이드와, 상기 LM 가이드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테이블 및 안착다이와, 상기 테이블 및 안착다이를 LM 레일을 따라 이송시키기 위한 랙피니언으로 이루어지는 제2 이동부재와; 상기 면취부재 및 제2 이동부재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 이루어지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코너 면취기는 직각은 물론 예각 코너를 작업할 수 있고 작업자가 간단히 노브나 핸들을 조작함에 의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숙련자가 아니라도 누구나 쉽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너 면취기는 면취부재를 전,후진은 물론 방향 전환을 시키면서 작업할 수 있으므로 작업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아울러 작업 구간내에서 제2 이동부재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 면취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면취부재 및 제1 이동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면취부재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 면취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코너 면취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취부재(100)와, 제1 이동부재(200)와, 로테이터(300)와, 제2 이동부재(400) 및 구동원(90,49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면취부재(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릿 홀더(20)와, 상기 콜릿 홀더(20)에 연결되는 회전축(30)과, 상기 회전축(30)에 연결되는 모터(35) 및 터미널(42)로 구성된다.
상기 콜릿 홀더(20)는 하우징(40)의 일측에 설치되며, 인서트 팁(insert tip)이나 초경 바이트(10) 등이 결합 및 해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콜릿 홀더(2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구를 삽입 및 해제하여 사용하는 것을 적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콜릿 홀더(20) 대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척과 같은 것을 적용하여 원하는 공구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콜릿 홀더(20)는 모터(35)의 내측에 설치된 회전축(30)과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35)는 하우징(40)의 타측에 설치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정자와 회전자를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35)의 회전축(30)의 외주연에는 복수개의 베어링(37,47)이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되게 된다.
상기 모터(35)의 후방측 즉, 하우징(40)의 단부에는 터미널(42)이 설치되고, 상기 터미널(42)에는 구동원(90)이 연결되게 된다. 상기 모터(40)가 에어 모터인 경우에는 구동원(90)으로 에어 공급원이 설치되고, 일반적인 전기 모터의 경우에는 구동원(90)으로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원이 설치된다.
상기 면취부재(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0)의 일측에 V벨트 풀리(70)가 연결되며, 상기 V벨트 풀리(70)는 복수개의 풀리(72,74)의 사이에 벨트(76)가 끼워져 있다. 상기 V벨트 풀리(70)를 적용한 이유는 모터(40)의 회전수(즉, RPM) 축간 거리에 알맞은 장력을 얻어 사용하게 되면 모터(40)의 부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모터(40)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감속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이동부재(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취부재(100)의 하우징(40)의 일측에 연결되며 인서트 팁이나 초경 바이트(10)를 전,후진 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 이동부재(200)는 하우징(40)과 연결된 연결부재(250)의 내측에 설치되는 LM(Linear motion) 레일(210)과, 상기 LM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는 LM 가이드(220)와, 연결부재(250)의 일측에 설치된 노브(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LM 가이드(220)는 면취부재(100)의 하우징(4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노브(230)를 동작시키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팁이나 초경 바이트(10)가 전진하여 작업위치(W)로 이송하게 되고 작업이 완료되면 반대방향으로 노브(230)를 동작시켜 인서트 팁이나 초경 바이트(10)를 작업위치(W)로 부터 후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이동부재(2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노브(230)의 일측에 설치된 인디케이터를 보면서 사용자(작업자)가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로테이터(30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부재(2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인서트 팁이나 초경 바이트(10)의 방향을 작업 위치(W)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로테이터(300)는 브라켓(310)에 설치되며, 이동 각도를 인지하기 위한 인디케이터(320)와,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핸들(330)과, 핸들(330)에 연결되어 면취부재(100)를 회전시키는 베벨기어(35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인디케이터(320)는 다이얼 형태로 구성되고, 소정 각도도 등분되어 있어 사용자(작업자)가 외관으로 원하는 각도를 핸들(330)로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330)을 회전시킴에 의해 핸들(330)의 조작량 만큼 베벨기어(350)가 회전되어 면취부재(100)가 회전하여 인서트 팁이나 초경 바이트(10)가 예정된 작업위치(W)로 방향 전환하게 된다.
상기 베벨기어(350)는 브라켓(310)과 제2이동부재(400)의 안착다이(450) 사이에 설치되어 핸들(330)의 조작량에 따라 회전되어 회전축(351)을 중심으로 브라켓(310)을 회전시킨다. 베벨기어(350)에 의해 브라켓(310)이 회전되면 이 회전에 의해 브라켓(310)에 연결부재(250)로 연결된 면취부재(100)가 회전되어 인서트 팁이나 초경 바이트(10)가 회전된다.
따라서, 사용자(작업자)가 핸들(330)을 동작시키게 되면 핸들(330)과 연결된 베벨기어(350)가 회전하면서 회전축(351)을 중심으로 브라켓(310)이 회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 범위로 인서트 팁이나 초경 바이트(10)를 이동시켜 작업위치(W)로 방향 전환하게 된다.
상기 제2 이동부재(400)는 베이스 부재(410)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개의 LM 레일(420)과, 상기 LM 레일(420) 상에 각기 설치되는 복수개의 LM 가이드(430)와, 상기 LM 가이드(430)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테이블(440) 및 안착다이(450)와, 상기 테이블(400) 및 안착다이(450)를 LM(Linear motion) 레일(420)을 따라 이송시키기 위한 랙피니언(460)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테이블(440) 및 안착다이(450)는 랙피니언(460)을 동작시킴에 의해 LM 레일(420)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이동부재(40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M 가이드(430)들의 사이에 설치된 베어링 블럭(470)과, 베이스 부재(410)의 하부에 설치된 이동부재(480)를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베어링 블럭(470)은 테이블(440)의 하측에 설치되어 랙피니언(460)에 연결되는 구동원(490)의 회전축(491)의 회전을 가이드한다.
복수개의 베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재(480)는 소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바퀴를 적용하게 된다. 상기 이동부재(480)를 적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고정식 부재(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석, 수동자석 및 고정 블럭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이동부재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원(49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브라켓(495)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원(490)은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코너 면취기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작업자)가 브라켓(310)에 설치된 인디케이터(320)를 보면서 소정 작업위치(W)로 면취부재(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핸들(330)을 조작하게 된다. 상기 핸들(330)을 조작하게 되면 베벨기어(350)가 회전되고, 이 회전에 의해 면취부재(100)가 회전되어 작업 위치(W)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면취부재(100)가 작업 위치(W)로 이동되면, 노브(230)를 동작시키게 된다. 노브(230)가 동작되면 LM 레일(210)을 따라 면취부재(100)가 연결된 LM 가이드(220)도 이동하게 된다. 이때, 면취부재(100)의 인서트 팁이나 초경 바이트(10)가 전진하여 작업 위치(W)로 보다 정밀하게 근접하면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 위치(W)로 이동되면, 구동원(90)이 동작하여 모터(35)를 동작시키게 된다. 모터(35)가 동작하게 되면 회전축(30)도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30)에 연결된 콜릿 홀더(20)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콜릿 홀더(20)가 회전하게 되면 인서트 팁이나 초경 바이트(10)도 회전하면서 면취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인서트 팁이나 초경 바이트(10)는 노브(230)의 동작에 따라 미세하게 전,후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업 위치(W)가 한쪽으로 치우쳐 있거나 돌출되어 있어도 정확하게 면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소정 부위의 면취 작업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다시 랙피니언(460)을 구동시켜 테이블(440)상에 안착된 안착 다이(450)를 이동시키면서 다음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안착 다이(450)는 그 하부에 LM 가이드(43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LM 레일(42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코너 면취기는 작업을 완료하게 되면 이동부재(480)를 소정의 작업 위치(W)로 이동하게 하고, 전술한 작업을 반복하여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코너 면취기는 면취부재(100)를 먼저 소정각도로 회전 이동시키고 다시 면취부재(100)를 전,후진 시키면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1차적인 작업이 완료되면 제2 이동부재(400)를 이동시키면서 면취부재(100)로 2차적인 작업을 수행하여 전체적으로 작업을 완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코너 면취기는 가공부재의 모서리를 가공은 물론 직선면도 가공하는 면취기 분야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20: 콜릿 홀더 40: 하우징
90: 구동원 100: 면취부재
200: 제1 이동부재 250: 연결부재
300: 로테이터 320: 인디케이터
330,460: 핸들 350: 베벨기어
400: 제2 이동부재 410: 베이스부재
420: LM 레일 430: LM 가이드
440: 테이블 450: 안착다이
460: 랙피니언

Claims (5)

  1.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인서트 팁이나 초경 바이트를 결합/해제할 수 있게 구성된 콜릿 홀더와, 상기 콜릿 홀더와 연결되는 회전축과, 하우징의 타측에 설치되며, 회전축에 연결되는 모터와,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형성된 터미널로 구성되는 면취부재와;
    상기 면취부재의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며, 하우징에 연결된 인서트 팁이나 초경 바이트를 전,후진 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1 이동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며, 인서트 팁이나 초경 바이트의 방향을 작업 위치(W)로 이동시키기 위한 로테이터와;
    베이스 부재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개의 LM(Linear motion) 레일과, 상기 LM 레일상에 각기 설치되는 복수개의 LM 가이드와, 상기 LM 가이드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테이블 및 안착다이와, 상기 테이블 및 안착다이를 LM 레일을 따라 이송시키기 위한 랙피니언과, LM 가이드들의 사이에 설치된 베어링 블럭과, 베이스 부재의 하부에 설치된 이동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 이동부재와;
    상기 면취부재 및 제2 이동부재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이동부재는 하우징과 연결된 연결부재의 내측에 설치되는 LM 레일과, 상기 LM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LM 가이드와, 연결부재의 일측에 설치된 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테이터는 브라켓에 설치되며, 이동 각도를 인지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와,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핸들과, 핸들에 연결되어 면취부재를 회전시키는 베벨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을 이용하여 회전시킴에 의해 베벨기어에 의해 인서트 팁이나 초경 바이트가 예정된 작업위치(W)로 방향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면취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50417A 2012-05-11 2012-05-11 코너 면취기 KR101254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417A KR101254213B1 (ko) 2012-05-11 2012-05-11 코너 면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417A KR101254213B1 (ko) 2012-05-11 2012-05-11 코너 면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4213B1 true KR101254213B1 (ko) 2013-04-18

Family

ID=48443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417A KR101254213B1 (ko) 2012-05-11 2012-05-11 코너 면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2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397A (ko) * 2014-04-18 2015-10-29 티아이씨(주) 볼스크류용 스크류의 랩핑장치
KR101622145B1 (ko) 2014-11-07 2016-05-19 유건이엔지 주식회사 이송수단을 구비하고 면취값 및 면취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자동 면취기
CN107717032A (zh) * 2017-11-14 2018-02-23 苏州泛能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弯管机的倒角装置
CN108127146A (zh) * 2017-12-21 2018-06-08 重庆千乔机电有限公司 工件钻孔快速退刀装置
CN109623039A (zh) * 2018-12-29 2019-04-16 张家港市剑泉工具制造有限公司 一种钳口倒角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9515U (ko) * 1987-05-26 1988-12-06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9515U (ko) * 1987-05-26 1988-12-06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397A (ko) * 2014-04-18 2015-10-29 티아이씨(주) 볼스크류용 스크류의 랩핑장치
KR101603138B1 (ko) * 2014-04-18 2016-03-15 티아이씨(주) 볼스크류용 스크류의 랩핑장치
KR101622145B1 (ko) 2014-11-07 2016-05-19 유건이엔지 주식회사 이송수단을 구비하고 면취값 및 면취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자동 면취기
CN107717032A (zh) * 2017-11-14 2018-02-23 苏州泛能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弯管机的倒角装置
CN108127146A (zh) * 2017-12-21 2018-06-08 重庆千乔机电有限公司 工件钻孔快速退刀装置
CN109623039A (zh) * 2018-12-29 2019-04-16 张家港市剑泉工具制造有限公司 一种钳口倒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213B1 (ko) 코너 면취기
KR100901160B1 (ko) 휴대용 면취기의 면취량 조절장치
US9211617B2 (en) Machine tool with a drive shaft
JP3193764U (ja) スクリュー成形加工機
EP2332690A3 (en) Machine tool
CN102225594A (zh) 一种切割曲面的多线切割机
CN105290927A (zh) 一种高精度圆弧面磨削装置
CN102773533A (zh) 一种汽车变速箱拨叉铣叉口专用机床
CN102229215A (zh) 一种安装于多线切割机的y轴方向滑动平台
CN105537656A (zh) 一种双侧铣键槽专机
CN104325371A (zh) 磨削大型圆锯片侧端面的数控平面磨床及磨削方法
KR101116564B1 (ko) 테이블 타입 면취기
KR20140128129A (ko) 면취기
KR101855160B1 (ko) 평면 각 및 가공 토크 조절 구조를 가지는 탭 드릴 머신
US9272319B2 (en) Machining tool for machining sheet metal
CN102950513B (zh) 一种修磨机
CN213730945U (zh) 一种滑块修整磨床
CN107225472B (zh) 一种叶片阻尼台的磨削装置
KR101791178B1 (ko) 단추 제조장치
CN211992438U (zh) 一种随动内圆研磨机
CN218836503U (zh) 一种激光加工辅助装置及激光雕刻机
JP7356876B2 (ja) 面取り装置の装置本体、及び面取り装置
US20080301953A1 (en) Cutting guide system and method
KR101537789B1 (ko) 샤프트 가공장치
CN219968456U (zh) 一种多罗拉切割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