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228B1 -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 및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 및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228B1
KR101252228B1 KR1020100108601A KR20100108601A KR101252228B1 KR 101252228 B1 KR101252228 B1 KR 101252228B1 KR 1020100108601 A KR1020100108601 A KR 1020100108601A KR 20100108601 A KR20100108601 A KR 20100108601A KR 101252228 B1 KR101252228 B1 KR 101252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locking arm
buffer cylinder
rod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6994A (ko
Inventor
성기수
조윤형
Original Assignee
한국에스엠씨공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스엠씨공압(주) filed Critical 한국에스엠씨공압(주)
Priority to KR1020100108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228B1/ko
Publication of KR20120046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22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 및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이나 가전제품의 조립용 컨베이어시스템에서 물품의 이동을 단속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 및 구동방법은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물품을 이송시키면서 조립하는 컨베이어시스템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컨베이어 시스템의 하측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 일측면에 체결 고정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상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회동체; 상기 회동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록킹암; 상기 회동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록킹암의 회전을 제어하는 완충실린더; 및 상기 회동체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완충실린더의 완충실린더 로드를 제어하는 스톱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그 구동방법에 있어서는 a) 구동실린더의 구동실린더 로드가 인출되는 단계; b) 상기 스톱락부의 스톱퍼가 제2 탄성스프링에 의해 회동 및 상기 구동 실린더의 구동실린더 로드에 의해 회동체가 상측으로 회동하는 단계; c) 물품이 상기 록회동체의 록킹암에 걸려 상기 록킹암을 회동시키는 단계; d) 상기 록킹암의 회동에 의해 완충실린더의 완충실린더 로드가 인입되는 단계; e) 상기 완충실린더의 완충실린더 로드에 구비된 가이드로드가 이동하며 상기 스톱락부에 고정되는 단계; f) 물품에 부품 조립 및 물품 회전하는 단계; g) 상기 구동실린더의 구동실린더 로드가 인입하는 단계; h) 상기 회동체가 하측으로 회전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실린더의 제2 롤러에 의해 상기 스톱락부의 스톱퍼가 회동되는 단계; i) 상기 완충실린더의 상기 완충실린더 로드가 인출되며 상기 록킹암을 회동시키는 단계; 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 및 구동방법{APPARATUS FOR LOCKING GOODS WITH AUTOMATIC MAINTENANCE FUNCTION AND METHOD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컨베이어시스템에서 이송물품의 이동을 제한하는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 및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나 가전제품의 조립용 컨베이어시스템에서 물품의 이동을 단속하며 상기 이송물품을 상승시켜 회전시키거나 물품이 작업 공정을 지난 후 다시 역으로 이동될 때 상기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가 자기유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시스템에서 이송물품의 이동을 제한하는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나 가전제품의 조립용 컨베이어시스템에서 물품의 이동을 단속하되 임의로 록킹암을 조작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물품이 작업 공정에서 상승되어 다시 내려올 경우에도 상기 록킹암이 현 상태를 계속 자기유지하며 물품이 상기 록킹암을 지난 후 다시 역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록킹암이 자유 회전되며 물품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 및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통상적으로 가전제품이나 차량을 조립하는 조립 라인은 컨베이어시스템을 따라 이동하는 미완성 물품에 각 파트별 해당 부품을 조립하여 완성된 제품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컨베이어 시스템에는 조립되는 물품이 작업자가 조립하는 위치에 도착하면 물품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정지시켜야하며, 이렇게 이동하는 무품의 이동을 정지시키기기 위한 수단으로 록킹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록킹장치의 종래 기술을 도1에 도시하였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송물품 록킹장치는 컨베이어시스템에 구비되어 있으며, 힌지핀(3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체(11)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록킹암(13)과 상기 록킹암(13)의 하부를 밀어주는 완충실린더(20)를 구비한 록킹수단(10)과 상기 록킹수단(10)을 구성하는 회동체(11) 저면의 홈부 또는 돌출부를 선택적으로 지지하여 회동체(11)를 회동시키는 수단으로서 내부에 공급되는 유압의 공급 방향에 따라 로드(31)를 신축시켜 로드(31)의 단부에 설치된 롤러(31-1)가 상기 회동체(11)의 홈부 또는 돌출부를 지지하게 하는 구동실린더(30)를 포함하여 구성된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11)를 구성하는 두 판에 형성된 봉관통홀(2-1)과 상기 봉관통홀(2-1)에 양단이 삽입된 걸림봉(2)과 상기 록킹암(13)의 하부에 힌지핀(1-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캠(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봉(2)의 내측에는 상기 구동실린더(30)에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로드(31)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걸림봉(2)의 하부를 지지하여 걸림봉(2)이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봉지지로드(3)가 더 구비되며, 상기 구동실린더(30)에 의해 신축되는 로드(31)에는 상기 봉지지로드(3)의 일측 단부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봉(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봉지지로드(3)는 스프링(3-2)에 의해 걸림봉(2)의 반대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봉지지로드(3)는 그 중단이 상기 회동체(11)에 형성된 지지대(3-1)를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걸림봉(2)을 향한 단부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봉관통홀(2-1)은 상기 캠(1)을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핀(1-1)을 중심점으로 하는 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봉(2)은 호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봉관통홀(2-1)을 따라 호형상의 경로로 승강될 수 있게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컨베이어스시템의 이송물품 록킹장치는 그 구성품이 많고 제작 공정이 많아 제작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작 단가도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의 경우 록킹암에 힌지핀과 캠, 걸림봉, 봉지지로드가 서로 작용하여 상기 록킹암의 회전을 제한하고 있을 때 상기 록킹암에 임의의 큰 하중이 작용할 경우 상기 록킹암 및 구성품들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록킹장치에 걸린 물품이 그 자리에서 들어 올려 진 후 다시 내려올 경우 상기 록킹장치가 물품의 바닥면에 끼이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물품이 상기 록킹장치를 지난 후 다시 역으로 이동되어야 할 경우 상기 록킹장치에 걸려 물품의 이동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컨베이어시스템에서 물품의 이동을 단속하며, 물품이 멈춰선 후 물품이 그 자리에서 들어 올려진 후 다시 내려오더라도 록킹암이 들어 올려지기 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작업이 완료되어 물품이 록킹암을 지난 후 필요에 의해 물품이 역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 및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컨베이어 시스템의 하측에 설치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 일측면에 체결 고정되는 구동실린더(120)를 포함하는 고정부(100); 상기 고정부(100)의 상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회동체(300); 상기 회동체(3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록킹암(400); 상기 회동체(3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록킹암(400)의 회전을 제어하는 완충실린더(500); 및 상기 회동체(30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완충실린더(500)의 완충실린더 로드(510)를 제어하는 스톱락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실린더(500)는 상기 록킹암(400)을 향하게 설치되어 왕복 운동을 하는 완충실린더 로드(510); 상기 완충실린더 로드(510)의 끝단에 체결되어 상기 완충실린더 로드(510)를 제어하는 가이드로드(52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이드로드(520)는 상기 가이드로드(520)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로드 축(520a); 과 상기 가이드로드(520)의 일측면이 내측으로 완만한 곡면 형태의 함몰면(521)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스톱락부(600)는 상기 회동체(30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톱퍼(610); 상기 스톱퍼(610)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스톱퍼(610)에 끼워져 조립되는 제2 탄성스프링(620); 및 상기 스톱퍼(610)와 상기 제2 탄성스프링(620)을 회동체(3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스톱퍼 고정핀(64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톱퍼(610)는 상기 스톱퍼 고정핀(640)이 삽입되는 스톱퍼 고정핀홀(611); 상기 스톱퍼 고정핀홀(611)에서 하방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프링 걸림턱(612); 상기 스톱퍼 고정핀홀(611)에서 일측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장부(613); 상기 연장부(613)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내부(614); 및 상기 안내부(614)의 일측 상단 모서리가 상기 스톱퍼 고정핀홀(61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615);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록킹암(400)이 탄성에 의해 상시 수직되게 세워지도록 상기 록킹암(400)의 내측에 제3 탄성스프링(46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의한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a) 구동실린더(120)의 구동실린더 로드(121)가 인출되는 단계;
b) 상기 스톱락부(600)의 스톱퍼(610)가 제2 탄성스프링(620)에 의해 회동 되며, 상기 구동 실린더(120)의 구동실린더 로드(121)에 의해 상기 회동체(300)가 상측으로 회동하는 단계;
c) 물품(P)이 상기 회동체(300)의 록킹암(400)에 걸려 상기 록킹암(400)을 회동시키는 단계;
d) 상기 록킹암(400)의 회동에 의해 완충실린더(500)의 완충실린더 로드(510)가 인입되는 단계;
e) 상기 완충실린더 로드(510)에 구비된 가이드로드(520)가 인입되며 상기 스톱락부(600)에 고정되는 단계;
f) 물품(P)에 부품 조립 및 물품(P)이 회전하는 단계;
g) 상기 구동실린더(120)의 구동실린더 로드(121)가 인입하는 단계;
h) 상기 회동체(3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실린더(120)의 제2 롤러(124)에 의해 상기 스톱락부(600)의 스톱퍼(610)가 회동되는 단계;
i) 상기 완충실린더(500)의 상기 완충실린더 로드(510)가 인출되며 상기 록킹암(400)을 회동시키는 단계;
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에 있어서 종래에는 회동체의 록킹암이 회동되어 상기 회동체의 록킹암에 물품이 걸려 고정된 후 상기 물품을 작업 공정상 멈춰선 현 위치에서 상부로 들어 올려 진 후 공중에서 회동되어 다시 현 위치로 내려올 경우 완충실린더에 의해 록킹암이 회동되어 물품의 하부에 록킹암이 눌리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정확한 작업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물품을 멈춰선 현 위치에서 자유롭게 회전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록킹암이 외부 하중에 의해 접혀지더라도 상기 록킹암의 내측에 구비된 제3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시 수직되게 세워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비해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원가를 비약적으로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송물품 록킹장치.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체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단면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의 측면도.
도 7a 및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의 작동상태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시스템의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1000)는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된 물품(P)을 이송시키면서 조립하는 컨베이어시스템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컨베이어 시스템의 하측에 설치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 일측면에 체결 고정되는 구동실린더(120)를 포함하는 고정부(100);와 상기 고정부(100)의 상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회동체(300); 상기 회동체(3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록킹암(400); 상기 회동체(300)의 일측에 체결되어 록킹암(400)의 회전을 제어하는 완충실린더(500)); 및 상기 회동체(30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완충실린더(500)의 완충실린더 로드(510)를 제어하는 스톱락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 및 구동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체(300)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단면 저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7a 및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물품 록킹장치 및 구동방법은 종래에도 이미 사용되고 있는 것이고, 이러한 장치에 상기한 스톱락부(600) 및 가이드로드(520), 자기유지 기능이 부가된 록킹암(400)이 더 설치한 것이 본 발명의 요지이나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전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100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을 이루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구동실린더(120)로 이루어지는 고정부(10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10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회동체(300)와 상기 회동체(300)의 일측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록킹암(400)과 상기 회동체(3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록킹암(400)의 회전력을 완충시켜주는 완충실린더(50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100)는 판재 형태의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실린더(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110)부는 사각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판(111)과 상기 하부판(111)의 상부 일측에 "ㄷ"자 형태로 돌출 형성된 힌지 고정부(112)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 고정부(112)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회동체(300)를 힌지 결합하기 위한 제1 고정핀 삽입홀(11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힌지 고정부(112) 측벽(114)에는 유체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실린더(120)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실린더(120)의 구동실린더 로드(121) 끝단에는 "ㄷ" 형태의 구동실린더 로드앤드(122)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실린더 로드앤드(122)의 양측과 내측에는 제1 롤러(123) 및 제2 롤러(124)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롤러(123) 및 제2 롤러(124)는 제2 고정핀(125)에 의해 고정된다.
또, 상기 하부판(111)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2 롤러(124)의 이동경로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2 롤러(124)가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레일(115)이 더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구동실린더(120)의 작동유체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기 고정부(100)에 제1 고정핀(130)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회동체(300)와 상기 회동체(300)의 일측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제2 고정핀(125)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록킹암(400)과 상기 회동체(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암(400)의 회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완충실린더(500)가 구비된다.
상기 회동체(300)는 도면을 기준으로 할 때, 폭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양측으로 구비되는 2개의 측판(310)과 상기 측판(31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제1 격벽(320)과 제2 격벽(330)이 상기 측판(310)의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측판(310)은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힌지부(311)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부(311)의 일측에는 상기 제1 고정핀(130)이 삽입되는 제1 핀홀(3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힌지부(311)의 우측 상단에는 높이방향으로 파여진 홈부(313)가 형성되고, 우측 길이방향으로는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3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부(313)와 돌출부(314)는 완만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상기 고정부(100)에 상기 제1 고정핀(130)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상기 회동체(300)는 상기 구동실린더(120)의 구동실린더 로드(121)가 인출되면 상기 구동실린더 로드(121)의 단부에 설치된 상기 구동실린더 로드앤드(122)에 구비된 제1 롤러(123)가 상기 회동체(300)의 돌출부(314)를 지지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을 이루게 되고, 상기 구동실린더 로드(121)가 수축되면 상기 회동체(300)는 상기 제1 롤러(123)를 따라 하방으로 회동하게 되며 상기 제1 롤러(123)가 상기 회동체(300)의 홈부(313)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체(300)의 상하 회동이 부드럽게 작동되도록 제1 탄성스프링(13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탄성스프링(131)은 상기 고정부(100)의 힌지 고정부(112) 내측에 제1 고정핀(130)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1 고정핀(130)의 일측 단부가 상기 힌지 고정부(112)의 측벽(114)에 삽입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회동체(300)의 제1 격벽(320)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록킹암(400)은 회동체(300)의 일측 측벽(114) 사이에 제3 고정핀(41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3 고정핀(410)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돌출 연장되며 그 끝단 양측에는 제4 고정핀(440)에 의해 체결되는 제4 롤러(4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3 롤러(420)를 기준으로 하방에는 제5 고정핀(450)에 의해 고정되는 제3 롤러(420)가 구비된다.
아울러,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록킹암(400)이 높이방향으로 세워져 탄성적으로 회동되거나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록킹암(400)의 내측에 제3 고정핀(4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3 탄성스프링(460)이 구비되며, 상기 제3 탄성스프링(460)은 일측이 상기 제2 격벽(330)의 상단에 걸쳐지고 타측은 상기 록킹암(400)의 내측벽(114)에 고정된다.
상기 제3 탄성스프링(460)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록킹암(400)에 물품(P)이 걸린 후 상기 물품(P)이 상승되어 다시 내려오더라도 상기 록킹암(400)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상기 물품(P)이 내려올 때 상기 물품(P)의 하부에 상기 록킹암(400)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P)이 작업 공정이 끝나 상기 록킹암(400)을 지난 후 다시 역으로 이동될 때 상기 록킹암(400)이 탄성적으로 회동되어 별도로 상기 록킹암(400)을 임의로 회동시킬 필요가 없는 특징이 있다.
상기 완충실린더(500)는 상기 회동체(300)의 제1 격벽(320)에 완충실린더 로드(510)가 상기 록킹암(400)쪽을 향하도록 삽입 고정되며, 상기 완충실린더(500)는 평상 시 상기 완충실린더 로드(510)가 인출되어 상기 록킹암(400)의 제3 롤러(420)를 밀어 상기 록킹암(400)의 상단부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위치하도록 고정하며, 상기 록킹암(400)의 상단부에 구비된 제4 롤러(430)에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물품(P)이 닿아 상기 록킹암(40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록킹암(400)의 하단부에 구비된 상기 제3 롤러(420)가 상기 완충실린더(500)의 완충실린더 로드(510)를 압축하며 그 압축력에 의해 상기 물품(P)이 부드럽게 원하는 위치에 정지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완충실린더(500)는 그 종류에 대하여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완충실린더(500)의 내측에 복원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되어 완충실린더 로드(510)가 자동 인출되는 쇼크업 소바 형태의 실린더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완충실린더 로드(510)의 압축력이 조절 가능한 것으로 선택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것이 종래의 이송물품 록킹장치(1000)이고 이렇게 구성된 이송물품 록킹장치(1000)에 상기 완충실린더(500)의 완충실린더 로드(510)의 끝단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가이드로드(520)와 상기 가이드로드(5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톱락부(600)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로드(520)는 상기 완충실린더(500)의 완충실린더 로드(510)의 끝단에 체결되어 고정되되 상기 회동체(300)의 제1 격벽(320)과 제2 격벽(330)의 사이에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완충실린더 로드(510)와 같이 움직이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로드(520)는 상기 완충실린더 로드(510)과 체결되는 부분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로드 축(520a)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로드 축(520a)은 상기 제2 격벽(330)을 관통하여 일측 끝단에 상기 제3 롤러(420)와 맞닿도록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로드(520)의 일측면이 내측으로 완만한 곡면 형태로 함몰된 함몰면(521)이 구비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톱락부(600)는 상기 가이드로드(520)를 잡아주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회동체(300)의 양 측판(310)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로드(520)의 하측에 서로 대응되게 위치된다.
상기 스톱락부(600)는 상기 가이드로드(520)를 잡아주기 위한 스톱퍼(610)와 상기 스톱퍼(610)에 탄성력을 주기 위한 제2 탄성스프링(620), 상기 스톱퍼(610)와 상기 제2 탄성스프링(620)을 고정하기 위한 스톱퍼 고정핀(6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톱퍼(610)는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스톱퍼 고정핀(640)이 삽입되는 스톱퍼 고정핀홀(611)과 상기 스톱퍼 고정핀홀(611)을 중심으로 좌측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스프링 걸림턱(612)이 형성되며, 상기 스톱퍼 고정핀홀(611)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장부(613)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613)에서 높이 방향으로 돌출된 안내부(6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실린더(500)에 완충실린더 로드(510)가 인입되며 같이 유동되는 상기 가이드로드(520)의 일측면과 상기 스톱퍼(610)의 안내부(614) 일측이 서로 맞닿아 상기 가이드로드(520)를 잡아주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톱퍼(610)의 안내면 일측 상단 모서리가 돌출 형성된 걸림턱(615)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턱(615)이 상기 가이드로드(520)의 함몰면(521)에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로드(520)가 임의의 충격에 의해 상기 스톱퍼(610)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탄성스프링(620)은 상기 스톱퍼(610)와 결합되어 상기 스톱퍼 고정핀(640)에 의해 상기 스톱퍼(610)와 같이 고정되며 상기 제2 탄성스프링(620)의 일측 단부는 상기 회동체(300)의 제1 격벽(320)의 하측 단부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스톱퍼(610)의 스프링 걸림턱(612)에 고정되어 상기 스톱퍼(610)가 상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주도록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스톱퍼(610) 및 제2 탄성스프링(620)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해 상기 스톱퍼(610)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어 상기 스톱퍼 고정핀(640)에 삽입 고정되는 부싱(63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스톱락부(600)에 의해 고정된 상기 완충실린더 로드(510)는 상기 구동실린더(120)의 구동실린더 로드(121)가 인입되기 전까지 상기 가이드로드(52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록킹암(400)의 제3 탄성스프링(460)에 의해 높이 방향으로 수직되게 세워져 있도록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록킹암(400)이 높이 방향으로 수직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물품(P)이 상기 록킹암(400)에 걸린 상태에서 상부로 들어 올려 진후 회전되어 다시 내려지더라도 상기 록킹암(400)이 상기 물품(P)의 하부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1000)의 구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이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의 초기상태를, 도 7b는 구동실린더(120)가 전진하며 회동체(300)를 회동시키는 과정을, 도 7c는 회동체(300)의 록킹암(400)에 물품(P)이 닿는 과정을, 도7d는 초기상태로 복귀되는 과정을 각각 도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이송물품 록킹장치(1000)의 구동방법은
a) 구동실린더(120)의 구동실린더 로드(121)가 인출되는 단계;
b) 상기 스톱락부(600)의 스톱퍼(610)가 제2 탄성스프링(620)에 의해 회동 및 상기 구동 실린더(120)의 구동실린더 로드(121)에 의해 회동체(300)가 상측으로 회동하는 단계;
c) 물품(P)이 상기 회동체(300)의 록킹암(400)에 걸려 상기 록킹암(400)을 회동시키는 단계;
d) 상기 록킹암(400)의 회동에 의해 완충실린더(500)의 완충실린더 로드(510)가 인입되는 단계;
e) 상기 완충실린더(500)의 완충실린더 로드(510)에 구비된 가이드로드(520)가 이동하며 상기 스톱락부(600)에 고정되는 단계;
f) 물품(P)에 부품 조립 및 물품(P)이 회전하는 단계;
g) 상기 구동실린더(120)의 구동실린더 로드(121)가 인입하는 단계;
h) 상기 회동체(3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실린더(120)의 제2 롤러(124)에 의해 상기 스톱락부(600)의 스톱퍼(610)가 회동되는 단계;
i) 상기 완충실린더(500)의 상기 완충실린더 로드(510)가 인출되며 상기 록킹암(400)을 회동시키는 단계;
로 구동된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1000)는 초기 상태에는 고정부(100)에 구비된 구동실린더(120)의 구동실린더 로드(121)가 인입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실린더 로드앤드(122)에 구비된 제2 롤러(124)에 의해 상기 스톱락부(600)의 스톱퍼(610)가 눌려진 상태로 유지되고 있고, 상기 회동체(300)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이동경로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접혀 있다.
다음으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P)이 작업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고정부(100)의 구동실린더(120)의 구동실린더 로드(121)가 인출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실린더 로드앤드(122)의 제2 롤러(124)에 의해 눌려 있던 상기 스톱락부(600)의 스톱퍼(610)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스톱퍼(610)의 안내부(614)가 상기 가이드로드(520)의 일측 모서리에 걸린다.
또한, 상기 구동실린더 로드앤드(122)에 구비된 제1 롤러(123)는 상기 구동실린더 로드(121)가 인출됨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1 롤러(123)와 맞닿아 있는 상기 회동체(300)의 측판(310)의 홈부(313)에서 경사면을 따라 돌출부(314)까지 상기 회동체(300)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며 인출된다.
상기 구동실린더(120)의 구동실린더 로드(121)가 모두 인출되면 상기 회동체(300)의 록킹암(400)의 상부는 이동경로 보다 위로 올라오게 된다.
다음으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경로보다 위로 돌출된 상기 록킹암(400)의 상부에 물품(P)이 맞닿으면 상기 물품(P)의 이동 속도에 의해 상기 록킹암(400)을 길이 방향으로 더 밀게 되고 상기 록킹암(400)의 상부가 물품(P)에 의해 밀려짐으로서 상기 록킹암(400)의 하부에 구비된 제3 롤러(420)가 상기 완충 실린더의 완충실린더 로드(510)를 압축하게 된다.
상기 완충실린더(500)의 상기 완충실린더 로드(510)가 압축되어 인입됨으로서 상기 완충실린더 로드(510)에 구비된 가이드로 로드 또한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로드(520)가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로드(520)의 일측에 구비된 함몰면(521)에 상기 스톱퍼(610)가 걸리게 된다.
상기 가이드로드(520)가 상기 스톱퍼(610)에 걸려 상기 완충실린더 로드(510)가 인출되는 것을 잡아 줌으로서 상기 록킹암(400)이 상기 완충실린더(500)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록킹암(400)은 제3 탄성스프링(460)에 의해 상시 상부가 높이 방향으로 향하게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록킹암(400)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상기 물품(P)이 현 위치에서 들어 올려 진 후 공중에서 회전되어 다시 현 위치로 내려오더라도 상기 록킹암(400)이 물품(P)의 하부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7d를 참고하면 물품(P)이 현 위치에서의 공정이 마무리되면 물품(P)이 다음 공정으로 이동되기 위해 상기 고정부(100)의 상기 구동실린더 로드(121)가 인입되면 상기 구동실린더 로드앤드(122)의 제1 롤러(123)에 의해 회동되어 지지되던 상기 회동체(300)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접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실린더 로드앤드(122)의 제2 롤러(124)가 이동되며 상기 가이드로드(520)를 잡고 있던 상기 스톱퍼(610)의 스프링 걸림턱(612)을 회동시켜 상기 가이드로드(520)의 잠금상태를 해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완충실린더(500)의 완충실린더 로드(510)가 인출된다.
아울러, 상기 완충실린더 로드(510)가 인출됨에 따라 상기 록킹암(400)의 하단부에 구비된 제3 롤러(420)를 밀어 상기 록킹암(400)의 상부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 되록 한다.
이때, 상기 록킹암(400)의 상부에 구비된 제4 롤러(430)가 상기 물품(P)과 상기 록킹암(400)의 상부와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상기 록킹암(400)이 원활하게 회동되도록 도와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
100: 고정부 110: 베이스
111: 하부판 112: 힌지 고정부
113: 제1 고정핀 삽입홀 114: 측벽
115: 레일
120: 구동실린더 121: 구동실린더 로드
122: 구동실린더 로드앤드 123: 제1 롤러
124: 제2 롤러 125: 제2 고정핀
130: 제1 고정핀 131: 제1 탄성스프링
300: 회동체 310: 측판
311: 힌지부 312: 제1 핀홀
313: 홈부 314: 돌출부
320: 제1 격벽 330: 제2 격벽
400: 록킹암 410: 제3 고정핀
420: 제3 롤러 430: 제4 롤러
440: 제4 고정핀 450: 제5 고정핀
460: 제3 탄성스프링
500: 완충실린더 510: 완충실린더 로드
520: 가이드로드 520a: 가이드로드 축
521: 함몰면
600: 스톱락부 610: 스톱퍼
611: 스톱퍼 고정핀홀 612: 스프링 걸림턱
613: 연장부 614: 안내부
615: 걸림턱
620: 제2 탄성스프링 630: 부싱
640: 스톱퍼 고정핀 P: 물품

Claims (7)

  1. 삭제
  2. 컨베이어 시스템의 하측에 설치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 일측면에 체결 고정되는 구동실린더(120)를 포함하는 고정부(100);
    상기 고정부(100)의 상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회동체(300);
    상기 회동체(3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록킹암(400);
    상기 회동체(3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록킹암(400)의 회전을 제어하는 완충실린더(500); 및
    상기 회동체(30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완충실린더(500)의 완충실린더 로드(510)를 제어하는 스톱락부(600);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실린더(500)는,
    상기 록킹암(400)을 향하게 설치되어 왕복 운동을 하는 완충실린더 로드(510); 및
    상기 완충실린더 로드(510)의 끝단에 체결되어 상기 완충실린더 로드(510)를 제어하는 가이드로드(52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드(520)는 상기 가이드로드(520)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로드 축(520a); 과
    상기 가이드로드(520)의 일측면이 내측으로 완만한 곡면 형태의 함몰면(521)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
  4. 컨베이어 시스템의 하측에 설치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 일측면에 체결 고정되는 구동실린더(120)를 포함하는 고정부(100);
    상기 고정부(100)의 상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회동체(300);
    상기 회동체(3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록킹암(400);
    상기 회동체(3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록킹암(400)의 회전을 제어하는 완충실린더(500); 및
    상기 회동체(30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완충실린더(500)의 완충실린더 로드(510)를 제어하는 스톱락부(600);를 포함하며,
    상기 스톱락부(600)는,
    상기 회동체(30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톱퍼(610);
    상기 스톱퍼(610)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스톱퍼(610)에 끼워져 조립되는 제2 탄성스프링(620); 및
    상기 스톱퍼(610)와 상기 제2 탄성스프링(620)을 회동체(3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스톱퍼 고정핀(64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610)는 상기 스톱퍼 고정핀(640)이 삽입되는 스톱퍼 고정핀홀(611);
    상기 스톱퍼 고정핀홀(611)에서 하방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프링 걸림턱(612);
    상기 스톱퍼 고정핀홀(611)에서 일측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장부(613);
    상기 연장부(613)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내부(614); 및
    상기 안내부(614)의 일측 상단 모서리가 상기 스톱퍼 고정핀홀(61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615);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
  6. 컨베이어 시스템의 하측에 설치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 일측면에 체결 고정되는 구동실린더(120)를 포함하는 고정부(100);
    상기 고정부(100)의 상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회동체(300);
    상기 회동체(3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록킹암(400);
    상기 회동체(3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록킹암(400)의 회전을 제어하는 완충실린더(500); 및
    상기 회동체(30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완충실린더(500)의 완충실린더 로드(510)를 제어하는 스톱락부(600);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암(400)은,
    탄성에 의해 상시 수직되게 세워지도록 상기 록킹암(400)의 내측에 제3 탄성스프링(46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의한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a) 구동실린더(120)의 구동실린더 로드(121)가 인출되는 단계;
    b) 상기 스톱락부(600)의 스톱퍼(610)가 제2 탄성스프링(620)에 의해 회동 되며, 상기 구동 실린더(120)의 구동실린더 로드(121)에 의해 상기 회동체(300)가 상측으로 회동하는 단계;
    c) 물품(P)이 상기 회동체(300)의 록킹암(400)에 걸려 상기 록킹암(400)을 회동시키는 단계;
    d) 상기 록킹암(400)의 회동에 의해 완충실린더(500)의 완충실린더 로드(510)가 인입되는 단계;
    e) 상기 완충실린더 로드(510)에 구비된 가이드로드(520)가 인입되며 상기 스톱락부(600)에 고정되는 단계;
    f) 물품(P)에 부품 조립 및 물품(P)이 회전하는 단계;
    g) 상기 구동실린더(120)의 구동실린더 로드(121)가 인입하는 단계;
    h) 상기 회동체(3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실린더(120)의 제2 롤러(124)에 의해 상기 스톱락부(600)의 스톱퍼(610)가 회동되는 단계;
    i) 상기 완충실린더(500)의 상기 완충실린더 로드(510)가 인출되며 상기 록킹암(400)을 회동시키는 단계;
    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00108601A 2010-11-03 2010-11-03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 및 구동방법 KR101252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601A KR101252228B1 (ko) 2010-11-03 2010-11-03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 및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601A KR101252228B1 (ko) 2010-11-03 2010-11-03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 및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994A KR20120046994A (ko) 2012-05-11
KR101252228B1 true KR101252228B1 (ko) 2013-04-05

Family

ID=46265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601A KR101252228B1 (ko) 2010-11-03 2010-11-03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 및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2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72103B (zh) * 2013-01-06 2015-08-12 昆山若宇检具工业有限公司 复杂产品定位拆装联动机构
CN105858186A (zh) * 2016-06-17 2016-08-17 温岭市荣达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卧式阻挡器
CN109229231B (zh) * 2018-10-10 2021-06-18 芜湖智久机器人有限公司 一种阻挡与放行货物的机构及其方法和agv小车
KR102186594B1 (ko) * 2020-04-08 2020-12-03 백철호 인쇄회로기판의 자동정렬장치
KR102548006B1 (ko) * 2021-06-22 2023-06-26 홍성식 휀스 철망용 제조 장치
CN113479819A (zh) * 2021-06-30 2021-10-08 机械工业第九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agv用电动挡块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1452A (ja) * 2006-06-21 2008-01-10 Smc Corp ストッパシリンダ
KR20100052897A (ko) * 2008-11-11 2010-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팔레트 리턴 스토퍼
KR20100093309A (ko) * 2009-02-16 2010-08-25 (주) 티피씨 메카트로닉스 스토퍼 실린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1452A (ja) * 2006-06-21 2008-01-10 Smc Corp ストッパシリンダ
KR20100052897A (ko) * 2008-11-11 2010-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팔레트 리턴 스토퍼
KR20100093309A (ko) * 2009-02-16 2010-08-25 (주) 티피씨 메카트로닉스 스토퍼 실린더
KR101080693B1 (ko) * 2009-02-16 2011-11-08 (주) 티피씨 메카트로닉스 스토퍼 실린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994A (ko)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228B1 (ko) 자기유지 기능이 구비된 이송물품 록킹장치 및 구동방법
CN203512758U (zh) 送料装置和ic烧录机
CN203529511U (zh) 用于板材的输送装置
CN105008644B (zh) 用于窗的滚轮组装机械
CN112122425A (zh) 电器箱体外壳加工方法
CN103482352B (zh) 集装箱侧墙储存及自动上总装台装置和集装箱自动生产线
CN107826685B (zh) 运输装置及其翻转式转移机构
CN107098135B (zh) 手机彩盒上料机构
CN107498281A (zh) 一种节能型门芯板组件组装装置
US4030614A (en) Reciprocal transfer apparatus
CN216775128U (zh) 立式电路板承载装置
KR101726426B1 (ko) 롤러 컨베이어용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 컨베이어
KR100814492B1 (ko) 컨베이어시스템의 이송물품 록킹장치
CN202848629U (zh) 集装箱侧墙储存及自动上总装台装置和集装箱自动生产线
JP7479042B2 (ja) コンテナ折り畳み装置
CN209507545U (zh) 一种自动玻璃瓶灌装机升降机构
CN107399575B (zh) 物流输送系统挂架插入式变轨启动装置
CN207914079U (zh) 显示器面板自动uv固化设备
CN207548036U (zh) 下料输送机构
JP5940921B2 (ja) 搬送装置
CN112139321A (zh) 电器外壳成型系统
CN107840125B (zh) 衔接于流水线间用于对物体进行翻转式转移的机构
US5058722A (en) Device for adjusting the stop position of conveyor belts used on overhead conveyor systems
CN116409656B (zh) 可实现辊轴自动回收的电池极片生产设备
CN209701722U (zh) 升降送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