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523B1 - 전기 자동차의 차량 시트 장착부 보강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의 차량 시트 장착부 보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523B1
KR101251523B1 KR1020110042139A KR20110042139A KR101251523B1 KR 101251523 B1 KR101251523 B1 KR 101251523B1 KR 1020110042139 A KR1020110042139 A KR 1020110042139A KR 20110042139 A KR20110042139 A KR 20110042139A KR 101251523 B1 KR101251523 B1 KR 101251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panel
battery case
electric vehicle
vehicle seat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4308A (ko
Inventor
김형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2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523B1/ko
Publication of KR20120124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 자동차의 차량 시트 장착부 보강 장치가 개시된다. 전기 자동차의 차량 시트 장착부 보강 장치는, 차량 시트를 고정하는 플로어 패널과, 배터리를 수납하는 배터리 케이스의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 하중을 상기 배터리 케이스 방향으로 전달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보강부재는, 배터리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1 고정부와, 제1 고정부에서 플로어 패널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플로어 패널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의 차량 시트 장착부 보강 장치{REINFORCING APPARATUS FOR SHEET MOUNTING POSITION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차량 시트가 장착되는 플로어 패널의 내구성 향상이 가능한 전기 자동차의 차량 시트 장착부의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는 탑승자가 앉을 수 있도록 차량 시트가 설치된다. 차량 시트는 전기 자동차의 플로어 패널에 설치된다. 이러한 플로어 패널의 하부에는 배터리가 수납되어 전기 자동차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 자동차의 차량 시트가 설치된 위치의 하부에는 배터리가 수납됨으로써, 차량 시트 설치 위치의 플로어 패널의 단면 높이는 일정 높이 이하로 제한된다.
즉, 플로어 패널에는 차량 시트의 설치를 위한 전방 크로스 멤버(FRONT CROSSMEMBER) 및 후방 크로스 멤버(REAR CROSSMEMBER)가 형성되지만, 배터리와의 간섭 문제로 인하여 전방 크로스 멤버(FRONT CROSSMEMBER) 및 후방 크로스 멤버(REAR CROSSMEMBER)의 단면 높이를 일정 높이 이상으로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차량 시트 벨트 강도 시험을 수행하는 경우, 차량 시트 설치 위치 부분에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 자동차의 차량 시트 장착 위치에서 내구성 향상이 가능한 전기 자동차의 차량 시트 장착부 보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시트를 고정하는 플로어 패널과 배터리를 수납하는 배터리 케이스의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 하중을 배터리 케이스 방향으로 전달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보강부재는, 배터리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1 고정부와, 제1 고정부에서 플로어 패널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플로어 패널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재는, 일단은 배터리 케이스에 용접되고 타단은 플로어 패널에 결합될 수 있다.
삭제
제1 고정부는 배터리 케이스에 용접될 수 있다.
지지부는 내부가 빈 중공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시트가 장착되는 위치에서 플로어 패널에 전달되는 하중을 배터리 케이스 부분으로 분산하여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여, 차량 시트 장착 위치의 내구성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을 상측에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전기 자동차의 플로어 패널과 배터리 케이스 사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배터리 케이스의 상측으로 보강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차량 시트 장착부 보강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을 상측에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전기 자동차의 플로어 패널과 배터리 케이스 사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차량 시트 장착부 보강 장치(100)는, 차량 시트(미도시)를 고정하는 플로어 패널(11)과 배터리를 수납하는 배터리 케이스(13)의 사이에 보강부재(10)가 설치된다.
플로어 패널(11)에는 차량 시트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전방 크로스 멤버(FRONT CROSSMEMBER. 11a)와, 후방 크로스 멤버(REAR CROSSMEMBER, 11b)가 형성된다.
전방 크로스 멤버(11a) 및 후방 크로스 멤버(11b)는 차량 시트가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차랑 시트 벨트의 강도 시험시의 측정값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플로어 패널(11)에서 전방 크로스 멤버(11a) 및 후방 크로스 멤버(11b) 부분의 충분한 강도 보강이 요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로어 패널(11)에서 전방 크로스 멤버(11a) 및 후방 크로스 멤버(11b) 부분의 충분한 강도 보강을 위해, 플로어 패널(11)의 하부와 배터리 케이스(13)의 사이에는 보강부재(10)가 설치된다. 보강부재(1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배터리 케이스(13)는 플로어 패널(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수납한다.
도 3은 배터리 케이스의 상측으로 보강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케이스(13)는 전기 자동차의 고속 충돌 상황 발생시에도 배터리 액의 누유가 없도록 강도 보강을 하는 격자 스틸 프레임(13a)이 설치된다.
격자 스틸 프레임(13a)은 배터리 케이스(13)의 표면에서 제1 방향 또는 이와 엇갈리는 제2 방향으로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케이스(13)에 격자 스틸 프레임(13a)이 설치되는 것은 공지된 것으로서, 그 설치된 방향 및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부재(10)는 플로어 패널(11)과 격자 스틸 프레임(13a)의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보강부재(10)는 플로어 패널(11)의 차량 시트가 장착되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격자 스틸 프레임(13a)으로 분산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보강부재(10)의 일단은 배터리 케이스(13)의 격자 스틸 프레임(13a)에 장착되고, 타단은 플로어 패널(11)의 전방 크로스 멤버(11a) 또는 후방 크로스 멤버(11b)에 장착된다. 도 2에서는 보강부재(10)의 일단이 후방 크로스 멤버(11b)에 결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강부재(10)를 설명하면, 보강부재(10)는, 배터리 케이스(13)에 결합되는 제1 고정부(12)와, 제1 고정부(12)에서 플로어 패널(11)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14)와, 지지부(14)에 결합되며 플로어 패널(11)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16)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12)는 배터리 케이스(13)의 격자 스틸 프레임(13a)에 직접 고정되는 부분이다. 제1 고정부(12)와 격자 스틸 프레임(13a) 간의 결합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2)는 용접 결합을 위해 스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4)는 제1 고정부(12)에 일체로 형성되어 플로어 패널(1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14)의 내부는 속이 빈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부(14)가 속이 빈 중공 형상을 이루는 것은 차량 무게를 보다 가볍게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지지부(14)는 중공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중공 부분이 없는 원통 기둥 형상 또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고정부(16)는 지지부(14)의 돌출된 선단에 위치하여 플로어 패널(11)에 고정된다. 제2 고정부(16)는 전방 크로스 멤버(11a) 또는 후방 크로스 멤버(11b)의 내측에 용접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고정부(16)는, 전방 크로스 멤버(11a) 또는 후방 크로스 멤버(11b)의 어느 하나에 고정되거나, 전방 크로스 멤버(11a) 및 후방 크로스 멤버(11b)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만약, 제2 고정부(16)가 전방 크로스 멤버(11a)와 후방 크로스 멤버(11b)의 각각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의 보강부재(10)를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기 자동차의 차량 시트 장착부 보강 장치는 차량 시트 장착 위치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보강부재(10)를 통해서 배터리 케이스(13로 전달하여 차량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0...보강부재 11...플로어 패널
11a..전방 크로스 멤버 11b..후방 크로스 멤버
12...제1 고정부 13...배터리 케이스
13a..격자 스틸 프레임 14...지지부
16...제2 고정부

Claims (5)

  1. 차량 시트를 고정하는 플로어 패널과, 배터리를 수납하는 배터리 케이스의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 하중을 상기 배터리 케이스 방향으로 전달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에서 상기 플로어 패널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플로어 패널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
    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차량 시트 장착부 보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일단은 상기 배터리 케이스에 용접되고 타단은 상기 플로어 패널에 결합되는, 전기 자동차의 차량 시트 장착부 보강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에 용접되는, 전기 자동차의 차량 시트 장착부 보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내부가 빈 중공 형상인, 전기 자동차의 차량 시트 장착부 보강 장치.
KR1020110042139A 2011-05-03 2011-05-03 전기 자동차의 차량 시트 장착부 보강 장치 KR101251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139A KR101251523B1 (ko) 2011-05-03 2011-05-03 전기 자동차의 차량 시트 장착부 보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139A KR101251523B1 (ko) 2011-05-03 2011-05-03 전기 자동차의 차량 시트 장착부 보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308A KR20120124308A (ko) 2012-11-13
KR101251523B1 true KR101251523B1 (ko) 2013-04-05

Family

ID=47509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139A KR101251523B1 (ko) 2011-05-03 2011-05-03 전기 자동차의 차량 시트 장착부 보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5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23477A (ja) * 2018-01-19 2019-07-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の搭載構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677B1 (ko) * 2012-12-21 2014-09-12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자동차용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보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6632A (ja) * 1996-02-22 1997-09-02 Toyota Motor Corp 電気自動車のボディー構造
JP2006306249A (ja) 2005-04-28 2006-11-09 Sanyo Electric Co Ltd 車両用の電源装置
JP2008100585A (ja) 2006-10-18 2008-05-01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自動車
KR20090064307A (ko) * 2007-12-14 2009-06-18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유닛 부착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6632A (ja) * 1996-02-22 1997-09-02 Toyota Motor Corp 電気自動車のボディー構造
JP2006306249A (ja) 2005-04-28 2006-11-09 Sanyo Electric Co Ltd 車両用の電源装置
JP2008100585A (ja) 2006-10-18 2008-05-01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自動車
KR20090064307A (ko) * 2007-12-14 2009-06-18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유닛 부착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23477A (ja) * 2018-01-19 2019-07-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の搭載構造
JP7020133B2 (ja) 2018-01-19 2022-02-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の搭載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308A (ko) 2012-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6515B2 (en) Vehicle lower section structure
EP2990307B1 (en) Rear part structure of vehicle
JP6319215B2 (ja) 車両骨格構造
KR101785358B1 (ko) 차량 섀시
JP2010195150A (ja) 車体フロア構造
US8292019B2 (en) Shock absorbing structure for vehicle
JP6269246B2 (ja) 前部車体構造
JP2012076545A (ja) 車両用シート
JP5728524B2 (ja) 車体構造
US20170036629A1 (en) Vehicle side impact sensing assembly
JP2011009178A (ja) 車両用電池モジュールの車両搭載用フレーム構造体
JP2014019260A (ja) 電池パックの位置決めピンブラケット
JP5561062B2 (ja) 車両用シートの取付構造
JP5320371B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KR101251523B1 (ko) 전기 자동차의 차량 시트 장착부 보강 장치
JP2018192948A (ja) 車体下部構造
KR101795396B1 (ko) 전기 자동차 배터리 마운팅 보강 구조
RU2668779C2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в частности автомобиль промышлен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с передним противоподкатным брусом
KR101755450B1 (ko) 차량용 후방 프레임 유닛
JP6919547B2 (ja) 車両の水素タンク支持構造
JP5692153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1399336B1 (ko) 차량용 범퍼 빔 유닛
WO2014045423A1 (ja) 車両用シート
JP4811096B2 (ja) 車体後部構造
JP2008105507A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