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677B1 - 전기자동차용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보강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677B1
KR101439677B1 KR1020120151511A KR20120151511A KR101439677B1 KR 101439677 B1 KR101439677 B1 KR 101439677B1 KR 1020120151511 A KR1020120151511 A KR 1020120151511A KR 20120151511 A KR20120151511 A KR 20120151511A KR 101439677 B1 KR101439677 B1 KR 101439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battery module
bead
reinforcing beam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1588A (ko
Inventor
김재현
강연식
이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51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677B1/ko
Publication of KR20140081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변형을 방지토록,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에 가로지르며 배치되는 보강빔 및 상기 보강빔의 휨을 방지토록, 상기 보강빔과 배터리 모듈 커버간에 연결되어 배치되는 휨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빔의 굽힘 저항을 강화하면서, 동시에 전기자동차에서 배터리 모듈의 교체가 가능하고 배터리 모듈 커버의 변형도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보강장치{Apparatus for reinforcing electric vehicle's center floor panel }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빔의 굽힘 저항을 강화하는 전기자동차용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상에는 만약의 사고에 대비하여 가드레일이나 중앙분리대 등 여러 가지 안전시설물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로상에는 지하차도나 고가도로, 터널 및 교량 하부 등 상기 안전시설물들 이외의 시설물들도 즐비하며, 이런 시설물들은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자동차와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자동차와 상기 시설물들의 충돌에 의해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엄청난 크기의 충격에너지가 사고 차량에 가해지기 때문에 자동차의 파손뿐만 아니라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자동차가 안전시설물이 아닌 일반적인 구조물 혹은 다른 자동차와 충돌하는 경우 차량 내부에서 충격에너지를 견뎌야 한다.
하지만, 소재의 에너지 흡수 특성만으로 발생하는 모든 충격에너지를 견디기 한계가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에 소재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이를 보상해주는 방법을 선택하고 있다.
이는 차체의 무게 증가와 직결되며,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자동차 연비향상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특히, 교통사고 발생시에 있어서 자동차의 측면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자동차(1)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센터 플로워 패널(2)의 강성 강화가 요구되며, 이에 따라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2)의 강도를 보조하는 보강빔(3)의 강도가 상당히 요구된다.
즉,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2)의 강성 강화를 위해서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2)의 무게만을 무한정 늘릴 수는 없으므로, 이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보강빔(3)이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2)에 가로지르며 배치되고, 자동차의 측면 방향에서의 충격을 완충하며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2)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상기 보강빔(3)의 배치구조는 주로 자동차의 측면 방향에서부터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하려는 목적에 기인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빔(3)의 수직 방향에서 인가되는 하중(A)에는 취약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빔(3)의 길이방향으로 인가되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보강빔(3)의 굽힘 저항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강수단이 요구된다.
그리고, 최근 자동차 업계는 친환경적 자동차 개발에 힘을 쏟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순수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모터와 가솔린, 디젤 등을 연료로 사용하는 엔진이 결합된 하이브리드형 자동차가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형 자동차의 경우에는 고장 또는 장시간 사용 후 교체 가능토록 전기 배터리 모듈이 교환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상기 보강빔(3)의 굽힘 저항을 강화하면서 배터리 모듈의 교환이 가능하며, 더하여 배터리 모듈 커버의 변형도 완화할 수 있는 보강수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빔의 굽힘 저항을 강화하면서, 동시에 전기자동차에서 배터리 모듈의 교체가 가능하고 배터리 모듈 커버의 변형도 완화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전기자동차용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보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센터 플로워 패널의 강성을 보조토록,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에 가로지르며 배치되는 보강빔 및 상기 보강빔의 휨을 방지토록, 상기 보강빔과 배터리 모듈 커버간에 연결되어 배치되는 휨 방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휨 방지수단은, 상기 보강빔의 하부와 배터리 모듈 하부커버간에 배치되는 바디프레임 및 배터리 모듈의 교체가 가능토록, 상기 바디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강빔과 볼트체결되는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휨 방지수단은, 상기 바디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차부는 배터리 모듈 상부커버의 개구홀을 지지하며 배터리 모듈 상부커버의 변형을 완화토록, 상기 단차부의 하부는 상부보다 단면적이 넓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휨 방지수단은, 배터리 모듈 내부로의 이물 침투를 차단토록, 상기 단차부와 상기 개구홀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휨 방지수단은, 상기 바디프레임의 강성을 강화토록, 상기 바디프레임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비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드부는 상기 바디프레임의 내측으로 함몰된 암비드 또는 상기 바디프레임의 돌출된 수비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암비드와 수비드가 복합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드부는 길이방향이 폭방향보다 길게 형성되되, 상기 비드부의 길이방향이 상기 바디프레임에 상하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전기자동차용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보강장치의 일 실시예는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변형 방지를 보조토록 센터 플로워 패널을 가로지르며 배치되는 보강빔의 굽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강빔과 배터리 모듈 상부커버를 관통하여 배터리 모듈 하부커버간에 설치됨에 따라 배터리 모듈의 교체가 가능하며, 동시에 배터리 모듈 상부커버가 단차부에 안착됨에 따라 변형을 완화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프레임 구조가 도시된 개략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명에서 센터 플로워 패널을 지지하는 보강빔이 수직 방향 힘을 받아 굽혀진 상태가 도시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가 전기자동차에 배치된 상태가 도시된 부분측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서 휨 방지수단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서 휨 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서 A-A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서 B-B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조립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자동차용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보강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빔의 굽힘 저항을 강화하면서 동시에 전기자동차에서 배터리 모듈의 교체가 가능하고 배터리 모듈 커버의 변형도 완화할 수 있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가 전기자동차에 배치된 상태가 도시된 부분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서 휨 방지수단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서 휨 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서 A-A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서 B-B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차량용 센터 플로워 패널(51)의 보강장치의 일 실시예는 차량용 센터 플로워 패널(51)의 변형을 방지토록,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51)에 가로지르며 배치되는 보강빔(20) 및 상기 보강빔(20)의 휨을 방지토록, 상기 보강빔(20)과 배터리 모듈 커버(60)간에 연결되어 배치되는 휨 방지수단(30)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51)은 차량의 중앙부, 즉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위치하는 공간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51)은 주로 스틸 재질로 구현될 것이며, 또는 차량이 운행되는 작동 환경에 따라 경량화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알루미늄, 티타늄 등의 재질로도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51)은 직사각형의 얇은 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판 형태에 따른 굽힘 변형을 방지토록, 각종 형태의 비드(bead ; 5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드(51a)의 형태는 불규칙적일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패턴을 가지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비드(51a)의 형성으로 인해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51)은 국부적인 뒤틀림이나 휨 발생이 완화되게 된다.
이때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51)의 측면 방향에서 인가되는 하중으로 인해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5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강빔(20)이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51)에 가로지르며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보강빔(20)은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51)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51)의 양측에는 사이드 록킹부재(56)가 배치되고, 상기 보강빔(20)은 상기 사이드 록킹부재(56)에 중앙부로 삽입되며 전체적으로 T 자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후 상기 사이드 록킹부재(56)의 양측 단부에 고정칩(57a)이 안착되고, 볼트(57b)에 의해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51)의 상단 측부에 단단히 체결됨에 따라 상기 보강빔(20) 또한 고정되게 된다.
다음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51)의 중앙측에는 센터 록킹부재(58)가 배치되고, 상기 보강빔(20)은 상기 센터 록킹부재(58)의 중앙부를 관통하며 삽입되게 된다. 이후 상기 센터 록킹부재(58)의 양측 단부에 고정칩(59a)이 안착되고, 볼트(59b)에 의해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51)의 상단 중앙측에 단단히 체결됨에 따라 상기 보강빔(20) 또한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빔(20)은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51)과 마찬가지로 주로 스틸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 티타늄 등의 재질로도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빔(20)은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51)을 가로지르며 배치되어야 하므로,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51)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빔(20)은 굽힘 저항을 강화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비드의 기능을 하는 함몰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빔(20)의 함몰부(23)는 상기 보강빔(20)의 몸체부(21) 상단 중앙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빔(20)의 몸체부(21)의 하단 양측에도 비드의 기능을 하는 돌출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빔(20)의 돌출부(25)는 상기 보강빔(20)의 몸체부(21)에서 외측으로 확장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록킹부재(56)의 삽입부(56a) 및 상기 센터 록킹부재(58)의 삽입부(58a)는 상기 보강빔(2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센터 록킹부재(58)에서 차량의 전방을 바라보는 측에는 전면패널(52)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52)은 변속기 등의 내부장치가 위치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가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드리드형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51)의 하부에는 전기 배터리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51)의 하부에는 전기 배터리를 모듈을 보호하는 상기 배터리 모듈 커버(60) 및 상기 배터리 모듈 커버(6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 커버(60)를 지지토록 제공되는 지지프레임(67)이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도 3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배터리 모듈 커버(60)는 상호간에 볼트체결되며 결합되는 상부커버(61)와 하부커버(63)로 이뤄져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67)은 상기 하부커버(63)의 하측에 밀착되어 배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51)을 지지하며 상기 배터리 모듈 커버(60)와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51)과 상기 배터리 모듈 커버(60)간에는 터널패널(55)과 언더 서포트 패널(5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언더 서포트 패널(53)은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차체에 연결되며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51)을 지지하게 되며 상기 터널패널(55)은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51)이 한 쌍으로 제공될 때 가운데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휨 방지수단(30)은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51)상에 설치된 상기 보강빔(20)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강빔(20)의 하부와 상기 배터리 모듈 하부 커버간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휨 방지수단(30)은 상기 보강빔(2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휨 방지수단(30)은 상기 보강빔(20)과 동일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바디프레임(31), 장착부(32) 및 신장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바디프레임(31)은 사각 기둥, 원 기둥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디프레임(31)의 상부에는 상기 보강빔(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돌출 절곡되거나 또는 유선형으로 내측으로 휘어진 장착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2)는 상기 보강빔(20)의 함몰부(23)에 볼트체결되도록 하는 체결홀(32a)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디프레임(31)이 상기 장착부(32)에 의해 상기 보강빔(20)에 볼트체결되는 경우에 차후 고장이나 장시간의 사용 후 교체하는 경우에 배터리 모듈의 교환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 상기 바디프레임(31)의 하부에는 하방향으로 돌출 절곡되거나 또는 유선형으로 외측으로 휘어진 신장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장부(33)는 상기 배터리 모듈 하부커버(63)상에 조립되는 단위 패널(65)상에 스팟용접되거나 또는 볼트체결될 수 있다. 상기 신장부(33)의 경우에는 스팟용접되더라도 배터리 모듈을 교환하는데 지장이 없으므로 용접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휨 방지수단(30)은 상기 바디프레임(31)의 일부에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는 단차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모듈 상부커버(61)에는 상기 바디프레임(31)이 관통하도록 제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홀(61a)을 관통하며 상기 바디프레임(31)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빔(20)과 상기 배터리 모듈 하부커버(63)간에 장착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단차부(34)는 배터리 모듈 상부커버(61)의 개구홀(61a)을 지지하며 배터리 모듈 상부커버(61)의 변형을 완화토록, 상기 단차부(34)의 하부는 상부보다 단면적이 넓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차부(34)의 하부에 상기 배터리 모듈 상부커버(61)가 안착되며 지지되게 되는 것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상기 단차부(34)가 상기 배터리 모듈 상부커버(61)를 지지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널패널(55)에도 제2 개구홀(55a)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프레임(31)이 관통하며 상기 보강빔(20)과 연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바디프레임(31)상에는 상기 제2 개구홀(55a)이 안착되며 상기 터널패널(55)의 변형을 완화하기 위한 제2 단차부(35)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차부(35) 또한 상기 단차부(34)와 동일하게 상기 제2 단차부(35)의 하부는 상부보다 단면적이 넓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단차부(35)의 하부에 상기 터널패널(55)이 안착되며 지지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휨 방지수단(30)은 배터리 모듈 내부로의 이물 침투를 차단토록, 상기 바디프레임(31)의 단차부(34)와 상기 배터리 모듈 상부커버(61)의 개구홀(61a)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부재(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41)는 내열성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단차부(34)와 상기 개구홀(61a)의 둘레 방향으로 상호간에 밀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프레임(31)의 제2 단차부(35)와 상기 터널패널(55)의 제2 개구홀(55a) 사이에도 이물침투를 차단하기 위해 제2 패킹부재(4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또한 상기 패킹부재(41)와 동일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제2 단차부(35)와 상기 제2 개구홀(55a)의 둘레 방향으로 상호간에 밀착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휨 방지수단(30)은, 상기 바디프레임(31)의 강성을 강화토록, 상기 바디프레임(31)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비드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프레임(31)이 원기둥 형태인 경우에는 상기 비드부(45)는 원주방향으로 단수 또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프레임(31)이 다각기둥 형태인 경우에는 상기 비드부(45)는 일면 또는 각 면마다 단수 또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드부(45)는 상기 바디프레임(31)의 일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암비드부(45a) 또는 상기 바디프레임(3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수비드부(45b) 중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상기 암비드부(45a)와 수비드부(45b)가 복합 배열되는 구조로 이뤄질 수 있다.
도 4b에는 상기 바디프레임(31)이 사각기둥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각 면에 상기 비드부(45)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4c에는 상기 바디프레임(31)의 각 면에 상기 비드부(45)가 암비드부(45a) 및 수비드부(45b)가 복합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형태의 비드가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바디프레임(31)의 강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비드부(45)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상기 바디프레임(31)의 강성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드부(45)는 길이방향이 폭방향보다 길게 형성되되, 상기 비드부(45)의 길이방향이 상기 바디프레임(31)에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실제로 상기 바디프레임(31)은 상기 보강빔(20)의 하부와 상기 배터리 모듈 하부커버(63)간에 배치되며 상기 보강빔(20)의 상방향에서 하방향 또는 상기 배터리 모듈 하부커버(63)의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인가되는 하중을 극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비드부(45)의 길이 방향에서 강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비드부(45)는 상기 바디프레임(31)상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장 적절할 것이다. 물론 상기 비드부(45)의 배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방향, 사선방향 등 다른 방향으로도 배치될 수 있고, 그 형상도 반드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상기 바디프레임(31)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가지고,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빔의 굽힘 저항을 강화하면서, 동시에 전기자동차에서 배터리 모듈의 교체가 가능하고 배터리 모듈 커버의 변형도 완화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상의 사항은 전기자동차용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보강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20...보강빔 21...몸체부
23...함몰부 25...돌출부
30...휨 방지수단 31...바디프레임
32...장착부 33...신장부
34...단차부 35...제2 단차부
45...비드부 41...패킹부재
42...제2 패킹부재 51...센터 플로워 패널
52...전면패널 53...언더 서포트 패널
55...터널패널 56...사이드 록킹부재
57a,59a...고정칩 57b,59b...볼트
58...센터 록킹부재 60...배터리 모듈 커버
67...지지프레임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차량용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변형을 방지토록,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에 가로지르며 배치되는 보강빔; 및
    상기 보강빔과 배터리 모듈 커버간에 연결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보강빔의 하부와 배터리 모듈 하부커버간에 배치되는 바디프레임과, 상기 바디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강빔과 볼트체결되는 장착부를 제공하는 휨 방지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휨 방지수단은, 상기 바디프레임의 일부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차부는 배터리 모듈 상부커버의 개구홀을 지지하며 배터리 모듈 상부커버의 변형을 완화토록, 상기 단차부의 하부는 상부보다 단면적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보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휨 방지수단은, 배터리 모듈 내부로의 이물 침투를 차단토록, 상기 단차부와 상기 개구홀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보강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휨 방지수단은, 상기 바디프레임의 강성을 강화토록, 상기 바디프레임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비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보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는 상기 바디프레임의 내측으로 함몰된 암비드 또는 상기 바디프레임의 돌출된 수비드 중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상기 암비드와 수비드가 복합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보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는 길이방향이 폭방향보다 길게 형성되되, 상기 비드부의 길이방향이 상기 바디프레임에 상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보강장치.




KR1020120151511A 2012-12-21 2012-12-21 전기자동차용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보강장치 KR101439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511A KR101439677B1 (ko) 2012-12-21 2012-12-21 전기자동차용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보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511A KR101439677B1 (ko) 2012-12-21 2012-12-21 전기자동차용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보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588A KR20140081588A (ko) 2014-07-01
KR101439677B1 true KR101439677B1 (ko) 2014-09-12

Family

ID=51732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511A KR101439677B1 (ko) 2012-12-21 2012-12-21 전기자동차용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보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6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9967B2 (en) 2015-11-05 2020-01-07 Lg Chem, Ltd. Battery pack including reinforcement supporting memb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4300A (ja) * 1992-11-02 1994-05-24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フロアトンネルの補強構造
JPH0781623A (ja) * 1993-09-20 1995-03-28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フロア構造
JPH0781624A (ja) * 1993-09-20 1995-03-28 Nissan Motor Co Ltd 車体フロア構造
KR20120124308A (ko) * 2011-05-03 2012-1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차량 시트 장착부 보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4300A (ja) * 1992-11-02 1994-05-24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フロアトンネルの補強構造
JPH0781623A (ja) * 1993-09-20 1995-03-28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フロア構造
JPH0781624A (ja) * 1993-09-20 1995-03-28 Nissan Motor Co Ltd 車体フロア構造
KR20120124308A (ko) * 2011-05-03 2012-1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차량 시트 장착부 보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9967B2 (en) 2015-11-05 2020-01-07 Lg Chem, Ltd. Battery pack including reinforcement supporting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588A (ko) 201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09861B (zh) 车身后部结构
CN108058745B (zh) 车辆下部结构
CN103029754B (zh) 车体后部结构
US7950705B2 (en) Underrun protector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CN107206877B (zh) 抵抗侧面撞击的强化车辆门
US9463828B2 (en) Structure intended to hold an electric battery for powering an electric motor for driving a motor vehicle
KR100844712B1 (ko) 차량의 카울 사이드부 보강구조
US11446998B2 (en) Rear structure of vehicle
KR100666462B1 (ko) 가드레일판 차량방호책
JP6831249B2 (ja) 自動車車両
CN210122060U (zh) 座椅横梁总成和具有其的车辆
US9643516B2 (en) Vehicle drive battery attachment structure
CN212242936U (zh) 电池包和汽车
JP2016097783A (ja) 蓄電装置の保護構造
KR101439677B1 (ko) 전기자동차용 센터 플로워 패널의 보강장치
CN110072763B (zh) 适用于侧面碰撞的机动车辆尤其是混合动力机动车辆的底部结构
CN112519894B (zh) 车辆下部构造
CN106347405B (zh) 一种低地板轨道车辆用防爬器安装座
JP2014133520A (ja) 車体前部構造
KR102452008B1 (ko) 측면 충돌 보강 구조를 갖는 차체
KR20230067363A (ko) 차량 플로어구조
KR100851731B1 (ko) 자동차 대쉬 패널의 보강 구조
JP7322914B2 (ja) 車載機器取付装置
KR102107488B1 (ko)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
CN220349806U (zh) 车身后部总成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