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488B1 -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 - Google Patents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488B1
KR102107488B1 KR1020170183341A KR20170183341A KR102107488B1 KR 102107488 B1 KR102107488 B1 KR 102107488B1 KR 1020170183341 A KR1020170183341 A KR 1020170183341A KR 20170183341 A KR20170183341 A KR 20170183341A KR 102107488 B1 KR102107488 B1 KR 102107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ossing
reinforcement
reinforcement structure
base plate
under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1055A (ko
Inventor
이영득
박병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70183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488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for side imp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는, 상면에 배터리 팩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수직으로 형성된 외측 프레임; 상기 외측 프레임과 나란히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측에 형성된 내측 프레임; 및 다공의 엠보싱 홀이 형성된 판넬을 소재로 가공되어 상기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임 사이에 형성된 안착홈에 설치되는 엠보싱 보강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UNDERFLOOR REINFORCEMENT STRUCTURE OF VEHICLE BODY}
본 발명은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 언더 플로어에 장착되는 부품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강된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에는 배터리의 에너지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으로 동작하는 차량을 의미한다.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관심이 높은 주행가능거리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고에너지 밀도 배터리 팩(배터리 모듈이라고도 함)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안전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예컨대, 전기자동차에 장착되는 배터리 케이스의 장착구조와 그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장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최근 전기자동차는 차체구조에 맞게 센터 플로워(1) 하단에 배터리 케이스(2)를 장착하여, 강성과 내구성능을 상승 시킴으로써 배터리와 운전자를 보호한다.
배터리 케이스(2)는 스틸 프레스 성형, 알루미늄 등의 소재로 압출하여 단순히 배터리를 둘러싸서 보호하는 구조이며, 그 양측에는 충돌보강용 센터 플로워(1)의 사이드실(3)이 적용되어 있다.
한편, 도 2는 종래의 차량 충돌 시의 안전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기자동차의 측면 충돌 시 가해지는 충격으로 사이드 실(3)과 배터리 케이스(2)의 프레임들이 심하게 변형된 상태를 보여준다.
차체의 전후방과는 달리 범퍼가 없는 측면은 센터플로워 사이드실(3)의 간단한 조립 구조체로 충돌을 보강하고 있지만, 사이드실(3)의 내부는 거의 비어 있어 차체의 측면 충돌 시 충돌흡수에는 매우 취약하다.
즉, 차량의 측면 충돌 발생시에는 작은 충격에도 사이드실(3)이 충격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고 내측으로 밀려 배터리 케이스(2)에 그대로 전달되므로 커버 파손 및 배터리 팩의 파손이 발생되며 운전자의 안전까지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측면 충돌 발생시에는 그 충격으로 인해 사이드실(3)과 배터리 케이스(2)의 프레임들이 여러 방향으로 좌굴(buckling load)을 일으키거나 파단 될 가능성이 높다. 이로 인해 강성 보강을 목적으로 형성된 프레임들이 오히려 배터리 팩을 파손하거나 운전자의 안전까지 위협하는 2차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기자동차의 운행 중 외부 충격 및 강한 충돌에 의한 파손으로 발생할 수 있는 배터리의 손상을 막기 위해 언더 플로어와 배터리 사이에 충격 흡수율이 뛰어난 엠보싱 보강 구조를 실현하여 배터리를 보호함과 동시에 운전자를 보호 할 수 있는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는, 상면에 배터리 팩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수직으로 형성된 외측 프레임; 상기 외측 프레임과 나란히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측에 형성된 내측 프레임; 및 다공의 엠보싱 홀이 형성된 판넬을 소재로 가공되어 상기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안착홈에 설치되는 엠보싱 보강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엠보싱 보강체는 상기 안착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엠보싱 보강체는 이중 패널로 구성되며 마주하는 상부 판넬과 하부 판넬의 표면이 오목 및 볼록한 모양으로 엠보싱 가공되어 오목한 중앙에 상기 엠보싱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엠보싱 보강체는 다각형 단면 형상의 관 형태로 형성되는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엠보싱 보강체는 상기 엠보싱 홀을 관통하는 결합부재의 기계적 접합이나 미그용접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외측 프레임 및 내측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엠보싱 홀은 펀칭과 동시에 이중 패널의 펀칭부가 서로 맞물려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엠보싱 홀은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양측의 꼭지점을 잊는 중심이 충격방향과 수직으로 위치되어 상기 충격방향으로의 좌굴 현상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엠보싱 보강체의 엠보싱 홀들은 이웃하는 홀들과 지그재그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는 차체의 양측에 형성되며 내부의 빈 공간에 상기 엠보싱 보강체가 내장 설치된 사이드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공의 엠보싱 홀(H)이 형성된 엠보싱 보강체를 통해 차체 언더 플로어를 보강하여 외부 충돌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함으로써 배터리 및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 효율이 높고 중량이 가벼운 것으로 증명된 엠보싱 보강체를 활용하여 배터리팩이 장착되는 언더 플로어를 보강함으로써 안전성 확보 및 연비향상에 따른 제품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팩을 보강된 언더 플로어에 장착함으로써 별도의 배터리 케이스를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장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종래의 차량 충돌 시의 안전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엠보싱 보강체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충격에 의한 엠보싱 보강체의 좌굴형태를 나타낸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반 프레임과 엠보싱 보강체의 충경흡수를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차량은 전기자동차를 위주로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 구동용 고전압 배터리가 탑재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M-HEV) 등의 다양한 이동수단에 적용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엠보싱 보강체의 A-A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는 상면에 배터리 팩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수직으로 형성된 외측 프레임(12), 상기 외측 프레임(12)과 나란하게 내측에 형성된 내측 프레임(13), 다공의 엠보싱 홀(H)이 형성된 판넬을 소재로 가공되어 상기 외측 프레임(12)과 내측 프레임(13) 사이에 형성된 안착홈(14)에 설치되는 엠보싱 보강체(15)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배터리팩이 직접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겠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별도의 배터리 케이스가 장차 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는 상면에 장착되는 배터리팩을 하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외측 프레임(12)과 내측 프레임(13)은 스틸 또는 고강도의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외곽에 일정 높이의 경계를 형성한다. 외측 프레임(12)은 직사각형 기반의 경계를 형성하면서 차체의 디자인 설계에 따라 일부 경계가 변형될 수 있다.
엠보싱 보강체(15)는 안착홈(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된다.
엠보싱 보강체(15)는 'ㅁ'자와 같이 다각형 단면 형태의 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엠보싱 보강체(15)는 상기 엠보싱 홀(H)을 관통하는 결합부재의 기계적 접합이나 미그용접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1), 외측 프레임(12)과 내측 프레임(13)에 간단히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엠보싱 보강체(15)는 복수의 엠보싱 홀(H)이 형성된 엠보싱 판넬 충격 흡수 부재로 가공된다.
여기서,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배터리 모듈을 보호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으며, 첫 번째 충분한 강성의 프레임을 최대한 활용하여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과 두 번째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을 최대한 흡수하는 충격흡수 부재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첫 번째 방법은, 강성 보강을 위해 프레임을 적용하는 것이며, 다만 프레임의 한계점에서는 급격한 좌굴 및 변형된 프레임이 오히려 배터리를 파손하는 역효과를 초래한다. 또한 강성 보강을 위해 프레임 수를 늘리는 것은 차체의 중량이 증가되어 연비에 민감한 전기자동차에는 적합하지 않은 방법이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엠보싱 보강체(15)는 상기 두 번째에 해당하는 것으로 표면에 다공의 엠보싱 홀(H)이 형성되어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을 최대한 흡수하는 충격 흡수 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즉, 엠보싱 보강체(15)는 자신을 희생하여 형상이 변형되면서 최대한 충격을 흡수하는 목적으로 형성된다.
엠보싱 보강체(15)은 이중 패널로 구성되며, 마주하는 상부 판넬(151)과 하부 판넬(152)의 표면이 오목 및 볼록한 모양으로 엠보싱 가공되어 오목한 중앙에 엠보싱 홀(H)이 형성된다.
즉, 엠보싱 홀(H)이 형성된 주변부는 오목하게 오목홈(153)이 형성되고 다른 부분은 이중 판넬(151, 152)간의 이격이 유지되어 볼록하게 형성된다.
한편, 엠보싱 홀(H)은 펀칭과 동시에 이중 패널의 펀칭된 부분이 서로 맞물려 접합(예; 클린칭)될 수 있다.
엠보싱 보강체(15)의 엠보싱 홀(H)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엠보싱 홀(H)은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양측의 꼭지점을 잊는 중심이 충격방향과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즉, 차체를 기준으로 배터리 케이스(10)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엠보싱 보강체(15)의 엠보싱 홀(H)은 전후의 충격방향 및 횡방향으로으로 설치되는 엠보싱 보강체(15)의 엠보싱 홀(H)은 좌우의 충격방향과 수직을 이룬다.
예턴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충격에 의한 엠보싱 보강체의 좌굴형태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엠보싱 보강체(15)는 엠보싱 홀(H)에 의해 자연스럽게 접히면서 촘촘하게 좌굴 형태가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특히, 엠보싱 홀(H)은 충격방향과 수직한 위치의 양측 꼭지점이 충격에 의해 자바라와 같이 접히면서 상기 충격방향으로의 좌굴 현상을 유도하며, 그 좌굴은 엠보싱 홀(H)의 배열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발생되면서 충격을 흡수한다.
이때, 엠보싱 보강체(15)의 엠보싱 홀(H)들은 이웃하는 앞열과 뒷열이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좌굴 현상을 유도하면서도 충격흡수를 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반 프레임과 엠보싱 보강체의 충경흡수를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엠보싱 보강체(15)와 동일한 재질 및 두께의 세가지 프레임과 자유낙하 시험을 통한 해석 결과를 보여준다.
이러한 시험을 통한 엠보싱 보강체(15)는 3종류의 일반 프레임 대비 상대적으로 흡수 에너지가 높고 중량이 가장 가볍고 효율이 가장 높은 효과가 증명되었으며, 특히 최대 변형시의 좌굴 형태가 좌우로 틀어지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촘촘히 나타나 배터리 모듈의 손상 없이 안성을 확보할 수 있는 부재로 확인됐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공의 엠보싱 홀(H)이 형성된 엠보싱 보강체를 통해 차체 언더 플로어를 보강하여 외부 충돌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함으로써 배터리 및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 효율이 높고 중량이 가벼운 것으로 증명된 엠보싱 보강체를 활용하여 배터리팩이 장착되는 언더 플로어를 보강함으로써 안전성 확보 및 연비향상에 따른 제품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팩을 보강된 언더 플로어에 장착함으로써 별도의 배터리 케이스를 생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서는 외측 프레임(12)과 내측 프레임(13) 사이에 형성된 안착홈(14)에 엠보싱 보강체(15)가 설치되어 언도 플로어를 보강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는 차체의 양측에 형성되며 내부의 빈 공간에 상기 엠보싱 보강체(15)가 내장 설치된 사이드실(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차체의 양측에 형성된 사이드실의 빈 공간에 엠보싱 보강체(15)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측면 충돌에 대한 안전성을 더욱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
11: 베이스 플레이트
12: 외측 프레임
13: 내측 프레임
14: 안착홈
15: 엠보싱 보강체
151: 상부 판넬
152: 하부 판넬
153: 오목홈

Claims (9)

  1.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에 있어서,
    상면에 배터리 팩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수직으로 형성된 외측 프레임;
    상기 외측 프레임과 나란히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측에 형성된 내측 프레임; 및
    다공의 엠보싱 홀이 형성된 판넬을 소재로 가공되어 상기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안착홈에 설치되는 엠보싱 보강체를 포함하되,
    상기 엠보싱 보강체는 상기 안착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는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보강체는
    이중 패널로 구성되며 마주하는 상부 판넬과 하부 판넬의 표면이 오목 및 볼록한 모양으로 엠보싱 가공되어 오목한 중앙에 상기 엠보싱 홀이 형성되는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보강체는
    다각형 단면 형상의 관 형태로 형성되는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보강체는
    상기 엠보싱 홀을 관통하는 결합부재의 기계적 접합이나 미그용접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외측 프레임 및 내측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조립되는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홀은
    펀칭과 동시에 이중 패널의 펀칭부가 서로 맞물려 접합되는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홀은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양측의 꼭지점을 잊는 중심이 충격방향과 수직으로 위치되어 상기 충격방향으로의 좌굴 현상을 유도하는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보강체의 엠보싱 홀들은 이웃하는 홀들과 지그재그 패턴으로 배치되는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차체의 양측에 형성되며 내부의 빈 공간에 상기 엠보싱 보강체가 내장 설치된 사이드실을 더 포함하는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

KR1020170183341A 2017-12-29 2017-12-29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 KR102107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341A KR102107488B1 (ko) 2017-12-29 2017-12-29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341A KR102107488B1 (ko) 2017-12-29 2017-12-29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055A KR20190081055A (ko) 2019-07-09
KR102107488B1 true KR102107488B1 (ko) 2020-05-07

Family

ID=67261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341A KR102107488B1 (ko) 2017-12-29 2017-12-29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48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4209B1 (ko) * 1996-11-27 2000-06-01 정몽규 태양광 자동차의 배터리 트레이 구조
KR101087981B1 (ko) * 2009-12-23 2011-12-01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크래쉬 박스
KR20120012655A (ko) * 2010-08-02 2012-02-10 (주)브이이엔에스 전기자동차
KR20140138412A (ko) * 2013-05-23 2014-12-04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055A (ko)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41724B2 (ja) 自動車車両
US10723234B2 (en) Battery housing
KR101842927B1 (ko) 자동차 및 관련된 에너지 저장소 지지체
JP5013140B2 (ja) バッテリーケース
KR102540938B1 (ko) 차량용 후방 샤시모듈
US9281505B2 (en) Battery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CN103029754A (zh) 车体后部结构
US10439183B2 (en) Impact absorbing element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a battery enclosure
US11383766B2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KR101458702B1 (ko) 자동차용 서브프레임
US20210070376A1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KR20170068326A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조립 구조
JP2018188106A (ja) 車体下部構造
KR101916466B1 (ko) 완충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배터리 스택
US11485415B2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US20210221441A1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CN110525187B (zh) 用于机动车的带有碰撞保护元件的电池组件
US11608120B2 (en) Sill frame arrangement and a vehicle body arrangement comprising a sill frame arrangement of this type
JP6848626B2 (ja) 車両前部構造
KR102093120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KR102107488B1 (ko) 차체 언더 플로어 보강 구조
KR101085819B1 (ko) 차량용 범퍼 스태이의 조립구조
JP2007083963A (ja) バッテリ配設構造
KR102486872B1 (ko) 프레임 타입의 차량용 배터리 보호 장치
US20210184194A1 (en) Battery assembly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