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156B1 - 황토보드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황토보드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156B1
KR101250156B1 KR1020120115198A KR20120115198A KR101250156B1 KR 101250156 B1 KR101250156 B1 KR 101250156B1 KR 1020120115198 A KR1020120115198 A KR 1020120115198A KR 20120115198 A KR20120115198 A KR 20120115198A KR 101250156 B1 KR101250156 B1 KR 101250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board
nozzle
mixer
ocher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우
Original Assignee
(주)생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생토 filed Critical (주)생토
Priority to KR1020120115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2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the material is extr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28B1/082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combined with a vacuum, e.g. for moisture extr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28B11/085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for making screw-threads or the like in the surface of the shap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1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one or more rollers exert pressure on the material
    • B28B3/123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one or more rollers exert pressure on the material on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moving continuously underneath or between the rollers, e.g. on an endless bel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보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황토보드 제조장치는 상부에 황토를 투입하는 투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투입된 황토를 재배합하는 혼합기와, 상기 혼합기 내부의 황토에서 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혼합기 일측에 설치되는 진공기와, 상기 혼합기와 연결되어 스크류방식을 통해 혼합기의 황토를 이동시키는 배송기와, 상기 배송기의 선단에 연결되어 부채꼴 형상을 이루면서 그 내벽에 배출되는 황토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이 설치된 토출기와, 상기 토출기의 입구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황토를 일정 두께의 황토보드가 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배출홀이 구비된 노즐 및, 상기 노즐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어 노즐에서 인출되는 황토보드의 상부면에 일정 문양을 찍어줄 수 있도록 된 무늬표시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제조되는 황토보드의 두께를 조절하여 균일한 두께의 황토보드를 생산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높여줄 수 있고, 황토보드에서 발생되는 크랙이나 휨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황토보드의 내구성을 높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황토보드 제조장치{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oess-board}
본 발명은 황토보드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황토보드 제작시 균일한 두께를 유지하면서도 황토보드가 휘거나 크랙이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황토보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황토가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는데, 황토방, 황토 찜질방, 황토 사우나 등의 바닥, 천정 또는 벽면에 반죽 형태로 황토가 시공되고 있고, 또한 건축물 벽면 시공을 위한 황토보드나 황토타일 등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특히, 황토가 인체의 피로를 풀어주거나 숙면에 좋다는 연구 결과로 인해 주로 소비자가 거주하거나 잠을 자게 되는 공간에 사용되고 있고, 이를 위해 건축물의 바닥이나 침대 등에 황토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황토보드는 각종 건축물이나 침대 등의 자재로 개발되는 바, 황토를 보드로 압출성형하여 제작하는 것이다.
즉, 상기 황토보드를 제조하기 위해 종래에는 황토에 물, 생석회, 기포발생제, 섬유소, 응결제와 숯을 첨가하여 황토 몰탈을 만들고, 상기 황토 몰탈을 교반하여 표면 고름용 압출 롤러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제조하고자 하는 소정의 균일 두께의 황토 패널을 압출한다.
그리고, 상기 압출 롤러를 통과한 황토 몰탈을 컨베이어로 이송하면서 그 좌우 모서리를 인출하여 나오는 길이방향으로 반듯하게 절단함과 동시에 소정 길이만큼 절단함으로써 단위 패널을 연속하여 성형하고 이들을 소정위치로 운반하여 소정시간 동안 자연건조 또는 인공건조시킴으로써 황토보드를 제조하게 된다.
한편, 상기 황토보드를 제작하는 장치는 황토재료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는 배합기와, 상기 황토재료를 투입하여 다시 배합함과 더불어 공기를 제거하여 보드로 압출성형하는 믹싱기와, 상기 보드를 압착시키는 프레스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황토보드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믹싱기의 경우 노즐을 통해 황토를 보드로 배출할 때 황토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등 노즐입구단의 전체에 걸쳐 일정하게 배출되지 않아 두께가 부분적으로 얇거나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황토보드 제조장치는 그 노즐내부에서 황토가 노즐입구쪽으로 고르게 분포되면서 이동하지 않으면 황토가 노즐입구단을 통과할 때 황토의 양이 균일하지 않게 되고, 노즐의 입구단 또한 가변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위치의 황토의 두께를 조절할 수 없게 되어 부분적으로 균일하지 않은 보드를 생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두께가 균일하지 않은 보드는 표면이 매끄럽지 않아 침대용으로 사용할 수는 없고, 더우기 크랙이 발생하거나 황토보드가 휘게됨으로써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황토보드 제조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황토보드 제작시 균일한 두께를 유지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황토보드가 휘거나 크랙이 가는 것을 방지하여 황토보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황토보드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황토재료를 투입하는 투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투입된 황토재료를 재배합하는 혼합기와, 상기 혼합기 내부의 황토에서 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혼합기 일측에 설치되는 진공기와, 상기 혼합기와 연결되어 스크류방식을 통해 혼합기의 황토를 이동시키는 배송기와, 상기 배송기의 선단에 연결되어 부채꼴 형상을 이루면서 그 내벽에 배출되는 황토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이 설치된 토출기와, 상기 토출기의 입구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황토를 일정 두께의 황토보드가 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배출홀이 구비된 노즐 및, 상기 노즐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어 노즐에서 인출되는 황토보드의 상부면에 일정 문양을 찍어줄 수 있도록 된 무늬표시 롤러를 포함하여 황토보드 제조장치를 구성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배송기와 토출기 사이 공간에 전달되는 황토를 압축하여 그 밀도를 높여주는 압축탱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노즐은 인출되는 황토보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전방향으로 돌출된 판형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토출기와 이에 인접된 상기 노즐 사이에 배출되는 황토보드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황토보드 두께조절수단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황토보드 두께조절수단은 상기 노즐의 가이드부재 상부쪽 후방에 설치되는 ㄱ자형의 상부 조절판과, 상기 노즐의 가이드부재 하부쪽 후방에 설치되는 ㄴ자형의 하부 조절판 및, 상기 상부 조절판과 하부 조절판에 너트를 매개로 체결되어 상기 토출기 입구에 고정되는 이송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토출기의 가이드수단은 상기 토출기의 상부벽 또는 하부벽에 돌출된 다수의 가이드 리브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토출기를 따라 입구쪽으로 펼쳐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노즐의 배출홀로 황토를 유도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노즐의 배출홀은 그 하부에 다수의 돌기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황토보드의 배면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열선 고정홈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배출홀의 돌기는 황토보드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레일형으로 구성되어 황토보드의 열선 고정홈을 설계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노즐의 선단부에 인출되는 황토보드의 두께를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황토보드 두께조절기가 설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황토보드 제조장치에 의하면, 제조되는 황토보드의 두께를 조절하여 균일한 두께의 황토보드를 생산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높여줄 수 있고, 황토보드에서 발생되는 크랙이나 휨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황토보드의 내구성을 높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황토보드 제조시 발생되는 불량률을 최소화함으로써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된 황토보드에 회사로고와 열선 고정홈이 자동으로 형성됨으로써 황토보드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보드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보드 제조장치의 토출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기의 황토보드 두께조절수단을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출기 내벽의 가이드수단을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 및 무늬표시 롤러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보드 제조장치를 통해 황토보드가 제작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보드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황토보드의 상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보드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황토보드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황토보드 제조장치를 도 1과 도 2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황토보드 제조장치(1)는 크게 혼합기(10)와 진공기(20), 배송기(30), 토출기(40), 노즐(50) 및 무늬표시 롤러(60)로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기(10)에 투입된 황토가 상기 노즐(50)을 통해 황토보드로 인출되면서 이와 동시에 상기 무늬표시 롤러(60)에 의해 제조되는 황토보드에 회사로고를 포함하는 다양한 문양을 표시하게 된다.
즉, 상기 황토보드 제조장치(1)를 구성하는 상기 혼합기(10)는 상부에 황토재료를 투입하는 투입구(11)가 형성됨과 아울러 투입된 황토재료를 재배합하는 것이고, 상기 진공기(20)는 상기 혼합기(10) 내부의 황토에서 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혼합기(10)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배송기(30)는 상기 혼합기(10)와 연결되어 스크류방식을 통해 혼합기(10)의 황토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토출기(40)는 상기 배송기(30)의 선단에 연결되어 부채꼴 형상을 이루면서 그 내벽에 배출되는 황토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이 설치된 것이고, 상기 노즐(50)은 상기 토출기(40)의 입구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황토를 일정 두께의 황토보드가 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51) 및 배출홀(52)이 구비된 것이며, 상기 무늬표시 롤러(60)는 상기 노즐(50)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어 노즐(50)에서 인출되는 황토보드의 상부면에 회사로고를 포함하는 다양한 문양을 찍어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황토보드 제조장치(1)는 상기 혼합기(10)를 통해 황토 또는 황토재료가 투입되어 이를 혼합하면서 상기 진공기(20)를 이용하여 황토의 공기를 제거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배송기(30)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기(10)의 황토를 상기 토출기(40)로 이동시키며, 상기 토출기(40)를 거친 황토를 상기 노즐(50)의 배출홀(52)로 밀어냄으로써 황토보드를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송기(30)와 토출기(40) 사이 공간에 전달되는 황토를 압축하여 그 밀도를 높여주는 압축탱크(70)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압축탱크(70)는 배송기(30)로부터 전달되는 황토를 압축하여 상기 토출기(40)에 밀도가 높은 황토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노즐(50)을 통해 인출되는 황토보드의 내구성을 높여준다.
한편, 상기 황토보드 제조장치(1)를 구성하는 상기 노즐(50)은 인출되는 황토보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전방(前方)으로 돌출된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노즐(50)로부터 인출되는 황토보드가 노즐(50) 속에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황토보드의 찢어짐을 최소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황토보드 제조장치(1)는 상기 토출기(40)와 이에 인접된 상기 노즐(50) 사이에 배출되는 황토보드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황토보드 두께조절수단(80)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황토보드 두께조절수단(80)은 상기 노즐(50)의 가이드부재(51) 상부쪽 후방에 설치되는 ㄱ자형의 상부 조절판(81)과, 상기 노즐(50)의 가이드부재(51) 하부쪽 후방에 설치되는 ㄴ자형의 하부 조절판(82) 및, 상기 상부 조절판(81)과 하부 조절판(82)에 너트를 매개로 체결되어 상기 토출기(40) 입구에 고정되는 이송볼트(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토출기(40) 입구에 이송볼트(83)를 매개로 설치된 상기 상부 조절판(81)과 하부 조절판(82)이 이송볼트(83)의 회전을 통해 상하이동함으로써 상기 노즐(50)의 가이드부재(51)를 조절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재(51) 입구에 형성된 상기 배출홀(52) 면적을 부분적으로 미리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배출되는 황토보드의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황토보드 제조장치(1)의 토출기(40)는 상기 배송기(30)와 연속하여 배치되어 배송기(30)에서 이송되는 황토를 배출시키는 출구로, 배송기(30)에서 멀어질수록 부채꼴형상으로 넓게 형성되고, 상기 토출기(40) 입구를 이루는 상기 노즐(50)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황토가 직사각형 모양의 황토보드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50)은 가이드부재(51)와 배출홀(52)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가이드부재(51)는 황토를 배출시키는 출구로서 상기 배출홀(52)이 그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부재(51)를 통해 황토의 배출방향을 안내함으로써 황토가 직선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부재(51)의 전면에는 황토보드의 폭과 일치되는 상기 배출홀(52)이 형성되어 이 배출홀(52)의 형상에 따라 황토보드의 단면형상과 크기가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황토보드 두께조절수단(80)을 이용하여 상기 노즐(50)의 가이드부재(51) 위치를 조절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51)를 통해 상기 배출홀(52)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배출되는 황토보드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기 황토보드 두께조절수단(80)의 작동상태를 도 3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황토보드 두께조절수단(80)은 상기 이송볼트(83)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이와 연결된 상기 상부 조절판(81)과 하부 조절판(82)의 간격이 조절되고, 상기 상부 조절판(81)과 하부 조절판(82)에 연결된 상기 가이드부재(51)의 위치조절을 통해 상기 노즐(50)의 배출홀(52) 크기가 조절되는 것이다.
즉, 상기 이송볼트(83)는 상기 상부 조절판(81)과 하부 조절판(82)의 후방에 인접하여 상기 토출기(40)의 입구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상부 조절판(81) 및 하부 조절판(82)과 일대일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부 조절판(81)과 하부 조절판(82)을 체결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이송볼트(83)의 상부에 너트(84)를 끼워 상기 상부 조절판(81)과 하부 조절판(82)을 고정한다.
그러므로, 상기 상부 조절판(81)과 하부 조절판(82)은 상기 이송볼트(83)를 따라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부재(51)와 각각 연결된 상기 상부 조절판(81)과 하부 조절판(82)을 조절함으로써 가이드부재(51)의 위치조절을 통한 상기 배출홀(52)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배출홀(52)을 통해 배출되는 황토보드의 두께를 미리 조절함으로써 황토보드의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황토보드 제조장치(1)의 토출기(40)를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토출기(40)의 가이드수단은 상기 토출기(40) 내벽의 상부벽과 하부벽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 리브(41)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가이드 리브(41)는 상기 토출기(40)를 따라 입구쪽으로 펼쳐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노즐(50)의 배출홀(52)로 황토를 유도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토출기(40)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리브(41)를 통해 배출되는 황토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가이드함으로써 황토가 한 곳으로 몰리거나 뭉쳐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상기 노즐(50)을 통한 황토보드의 배출을 원활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황토보드 제조장치(1)의 노즐(50)을 도 5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노즐(50)의 배출홀(52)은 그 하부에 다수의 돌기(52a)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배출홀(52)을 통해 배출되는 황토보드의 배면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열선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홀(52)의 돌기(52a)는 황토보드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레일형으로 구성되어 황토보드의 열선 고정홈을 설계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배출홀(52)의 하부에 다수의 돌기(52a)가 형성되어 배출홀(52)에서 배출되는 황토보드의 배면과 돌기(52a)가 접촉됨으로써 황토보드의 배면에 열선을 설치할 수 있는 열선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황토보드 제조장치(1)를 이용하여 황토보드를 생산하는 과정을 도 6을 참조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황토보드 두께조절수단(80)에 의해 상기 노즐(50)의 배출홀(52) 크기를 조절한 후, 상기 토출기(40)에서 노즐(50)을 통해 황토를 배출하게 되면, 상기 노즐(50)의 배출홀(52)을 따라 일정 두께를 갖는 황토보드(2)가 인출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무늬표시 롤러(60)가 회전하면서 황토보드(2)에 회사로고를 포함하는 다양한 문양을 표시하게 되며, 이렇게 인출된 황토보드(2)는 컨베이어(3)를 통해 이동된다.
한편, 상기 노즐(50)의 선단부에 인출되는 황토보드(2)의 두께를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황토보드 두께조절기(90)가 설치됨으로써 제조되는 황토보드(2)의 두께를 한번 더 조절하여 생산자가 원하는 두께의 황토보드(2)를 생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황토보드 제조장치(1)를 통해 제조된 황토보드(2)를 도 7과 도 8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황토보드(2)의 상부면에는 상기 무늬표시 롤러(60)에 의해 회사로고(2a)가 표시되고, 상기 황토보드(2)의 배면부에는 상기 배출홀(52)에 형성된 돌기(52a)에 의해 다수의 열선 고정홈(2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황토보드 제조장치(1)를 통해 품질이 개선된 황토보드(2)를 생산할 수 있고, 황토보드(2) 제작시 발생되는 크랙이나 휨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황토보드(2)의 불량률을 최소화하며, 보다 편리하면서도 간편한 공정으로 황토보드(2)를 생산함으로써 황토보드(2) 제조 작업시 그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 황토보드 제조장치 2 : 황토보드
2a : 회사로고 2b : 열선 고정홈
3 : 컨베이어 10 : 혼합기
11 : 투입구 20 : 진공기
30 : 배송기 40 : 토출기
41 : 가이드 리브 50 : 노즐
51 : 가이드부재 52 : 배출홀
52a : 돌기 60 : 무늬표시 롤러
70 : 압축탱크 80 : 황토보드 두께조절수단
81 : 상부 조절판 82 : 하부 조절판
83 : 이송볼트 84 : 너트
90 : 황토보드 두께조절기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상부에 황토재료를 투입하는 투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투입된 황토재료를 재배합하는 혼합기와, 상기 혼합기 내부의 황토에서 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혼합기 일측에 설치되는 진공기와, 상기 혼합기와 연결되어 스크류방식을 통해 혼합기의 황토를 이동시키는 배송기와, 상기 배송기의 선단에 연결되어 부채꼴 형상을 이루면서 그 내벽에 배출되는 황토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이 설치된 토출기와, 상기 토출기의 입구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황토를 일정 두께의 황토보드가 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배출홀이 구비된 노즐 및, 상기 노즐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어 노즐에서 인출되는 황토보드의 상부면에 일정 문양을 찍어줄 수 있도록 된 무늬표시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황토보드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인출되는 황토보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전방(前方)으로 돌출된 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토출기의 가이드수단은 토출기 내벽의 상부벽과 하부벽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 리브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토출기를 따라 입구쪽으로 펼쳐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노즐의 배출홀로 황토를 유도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보드 제조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선단부에 인출되는 황토보드의 두께를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황토보드 두께조절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보드 제조장치.
KR1020120115198A 2012-10-17 2012-10-17 황토보드 제조장치 KR101250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198A KR101250156B1 (ko) 2012-10-17 2012-10-17 황토보드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198A KR101250156B1 (ko) 2012-10-17 2012-10-17 황토보드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156B1 true KR101250156B1 (ko) 2013-04-05

Family

ID=48442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198A KR101250156B1 (ko) 2012-10-17 2012-10-17 황토보드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1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1613A (ko) 2014-05-15 2015-11-25 정희대 황토패널 제조장치
KR101619199B1 (ko) * 2014-07-07 2016-05-13 주식회사 상온 황토보드 제조장치
KR20190125100A (ko) * 2018-04-27 2019-11-06 에스앤에스산업(주) 황토 텍스 및 황토 텍스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0746B1 (ko) * 1995-10-28 1998-10-15 김성식 건축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228706Y1 (ko) * 2000-12-04 2001-07-03 정성기 황토보드제조용 믹싱기
JP2005199522A (ja) 2004-01-14 2005-07-28 Daikoo:Kk 二軸スクリュウ式押出成型機
KR20110028140A (ko) * 2009-09-11 2011-03-17 이선기 황토보드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0746B1 (ko) * 1995-10-28 1998-10-15 김성식 건축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228706Y1 (ko) * 2000-12-04 2001-07-03 정성기 황토보드제조용 믹싱기
JP2005199522A (ja) 2004-01-14 2005-07-28 Daikoo:Kk 二軸スクリュウ式押出成型機
KR20110028140A (ko) * 2009-09-11 2011-03-17 이선기 황토보드의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1613A (ko) 2014-05-15 2015-11-25 정희대 황토패널 제조장치
KR101619199B1 (ko) * 2014-07-07 2016-05-13 주식회사 상온 황토보드 제조장치
KR20190125100A (ko) * 2018-04-27 2019-11-06 에스앤에스산업(주) 황토 텍스 및 황토 텍스 제조방법
KR102133499B1 (ko) * 2018-04-27 2020-07-13 주식회사 태성보드 황토 텍스 및 황토 텍스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156B1 (ko) 황토보드 제조장치
CA2663277C (en) Gypsum board forming device with improved slurry spread
KR102163397B1 (ko) 단면 이행 기하구조를 가지는 슬러리 혼합기 토출 게이트 어댑터
CN205572719U (zh) 一种水泥发泡搅拌机
WO2021040578A1 (ru) Экструдер строительных смесей для 3d принтера
KR100216660B1 (ko) 모양이 있는 성형체의 제조방법
RU2016132862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плит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оверхностей с низким коэффициентом трения
KR101466876B1 (ko) 혼합유도 공기노즐을 갖는 소량 토출용 믹싱헤드
CN210217176U (zh) 一种混凝土收面装置
KR20120013482A (ko) 벽돌 제조장치
KR101167263B1 (ko) 도판 제조용 토출 다이 및 이를 이용하는 도판 제조장치
KR101619199B1 (ko) 황토보드 제조장치
KR20150086413A (ko) 발포우레탄 샌드위치 패널 제조시설
CN107553708B (zh) 一种格栅布料装置
KR102036571B1 (ko) 콘크리트 신속조형 시스템에 적합한 다기능 압출기
CN112265130A (zh) 一种用于生产通体砖砖坯的布料机
KR101638383B1 (ko) 평면도자기 제조용 토출 다이의 토출량 조절장치
CN106113368A (zh) 一种高压多功能混合头
KR20170035236A (ko) 타일의 연속 성형장치
KR200228706Y1 (ko) 황토보드제조용 믹싱기
KR102057046B1 (ko) 인조대리석 제조용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제조장치
CN217670080U (zh) 一种用于数码布粉的喷头
CN105437565A (zh) 板材生产设备及方法
CN111040793A (zh) 一种改性沥青温控发泡加热系统
CN213859913U (zh) 一种用于生产通体砖砖坯的布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