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199B1 - 황토보드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황토보드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199B1
KR101619199B1 KR1020140084374A KR20140084374A KR101619199B1 KR 101619199 B1 KR101619199 B1 KR 101619199B1 KR 1020140084374 A KR1020140084374 A KR 1020140084374A KR 20140084374 A KR20140084374 A KR 20140084374A KR 101619199 B1 KR101619199 B1 KR 101619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pressure
loess
yellow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5455A (ko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온
Priority to KR1020140084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199B1/ko
Publication of KR20160005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2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the material is extruded
    • B28B3/26Extrusion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2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the material is extruded
    • B28B3/2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the material is extruded by screw or w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10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 B28C5/12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 B28C5/14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the stirrers hav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or substantially horizontal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04B14/106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6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4B14/022 and C04B14/04 - C04B14/34
    • C04B14/361Soil, e.g. late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보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압력 분배기(50)의 상판(53)에 달걀모양의 압력분배 돌출부(57)를 형성라고, 압력분배 돌출부(57)는 달걀모양이며 유입구(51)쪽이 배출구(52)쪽보다 더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구(51)에서 유입되는 황토반죽의 흐름을 좌,우측으로 밀어내어 황토반죽의 흐르는 압력을 좌,우측으로 분배하게 된다. 또한 유입구(51)와 배출구(52)사이의 전체 길이를 D2 라고 할 때, 상판(53)의 중심 G 에서 유입구(51)쪽까지의 길이 d2 는(5/16)·D2 이고 배출구(52)쪽 길이 d3 는(3/16)·D2 이도록 하여 유입구(51)에서 중심 G 까지 황토반죽을 좌,우측으로 분배하는 압력이 완만하게 증가함과 동시에 중심 G 에서 압력분배 돌출부(57)가 끝나는 종단까지 황토반죽을 좌,우측으로 분배하는 압력이 빠르게 감소하도록 하고, 압력분배 돌출부(57)는 중심 G를 지나는 직선 L0 에 대해 좌우 대칭이고, 배출구(52)쪽 좌우길이를 D3 라 하고, 유입구(51)쪽 좌우길이를 D1 이라 할 때, 중심 G 부분에서 좌우 길이 d1 은 (8/17)·D2 이고 (4/3)·D1 이 되도록 하여 압력분배 돌출부(57)는 압력 분배기(50)에 유입되어 흐르는 황토반죽의 배출속도가 일정해지도록 조절한다.

Description

황토보드 제조장치{ocher board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황토보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황토가루를 물과 혼합하여 황토반죽으로 만들어서 달걀형 압력분배 돌출부가 구비된 압력분배기에서 황토반죽에 가해지는 압력을 균일하게 조절하고 배출노즐을 통해 배출하여 얇은 황토보드로 뽑아내어 황토보드의 두께를 일정하도록 조절하고 균일한 두께의 황토보드를 생산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높여줄 수 있고, 황토보드에서 발생하는 크랙이나 휨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황토보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황토가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는데, 황토방, 황토 찜질방, 황토 사우나 등의 바닥, 천정 또는 벽면에 반죽 형태로 시공되고 있고, 또한 건축물 벽면 시공을 위한 황토보드나 황토타일 등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황토가 인체의 피로를 풀어주거나 숙면에 좋다는 연구결과로 인해 주로 소비자가 거주하거나 잠을 자게 되는 공간에 사용되고 있고, 이를 위해 건축물의 바닥이나 침대 등에 황토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황토보드는 각종 건축물이나 침대 등의 자재로 개발되는 바, 황토를 보드로 압출성형하여 제작하는 것이다.
황토보드를 제조하기 위해 종래에는 황토에 물, 생석회, 기포발생제, 섬유소, 응결제와 숯을 첨가하여 황토 몰탈을 만들고, 상기 황토 몰톨을 교반하여 표면 고름용 압출롤러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제조하고자 하는 두께의 황토 패널을 압출한다.
그리고 상기 압출롤러를 통과한 황토몰탈을 켄베이어로 이송하면서 그 좌우 모서리를 인출하여 나오는 길이방향으로 반듯하게 절단함과 동시에 소정길이만큼 절단함으로써 단위패널을 연속하여 성형하고 이들을 소정위치로 운반하여 소정시간 동안 자연건조 또는 인공건조시킴으로써 황토보드를 제작한다.
한편 상기 황토보드를 제작하는 장치는 황토재료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는 배합기와, 상기 황토재료를 투입하여 다시 배합함과 동시에 공기를 제거하여 조드로 압출성형하는 믹싱기와, 상기 보드를 압착시키는 프레스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황토보드 제조장치는 그 노즐내부에서 황토가 노즐입구쪽으로 고르게 분포되면서 이동하지 않으면 황토가 노즐입구단을 통과할 때 황토의 양이 균일하지 않게 되고, 노즐의 입구단 또한 가변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위치의 황토의 두께를 조절할 수 없게 되어 부분적으로 균일하지 않은 보드를 생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조되는 황토보드의 두께를 조절하여 균일한 두께의 황토보드를 생산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높여줄 수 있고, 황토보드에서 발생되는 크랙이나 휨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황토보드의 내구성을 높여 제품의 품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황토보드 제조장치가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250156호에 제안되어 있다.
도 1a와 도 1b에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황토보드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상기 황토보드 제조장치(1)는 크게 혼합기(1)와 진공기(2), 배송기(3), 토출기(4), 노즐(5)및 무늬표시 롤러(6)로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기(1)에 투입된 황토가 상기 노즐(5)을 통해 황토보드로 인출되면서 이와 동시에 상기 무늬표시 롤러(6)에 의해 제조되는 황토보드에 회사로고를 포함하는 다양한 문양을 표시하게 된다.
혼합기(1)는 상부에 황토재료를 투입하는 투입구(1a)가 형성됨과 아울러 투입된 황토재료를 재배합하는 것이고, 상기 진공기(2)는 상기 혼합기(1)내부의 황토에서 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혼합기(1)일측에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배송기(3)는 상기 혼합기(1)와 연결되어 스크류방식을 통해 혼합기(1)의 황토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토출기(4)는 상기 배송기(3)의 선단에 연결되어 부채꼴 형상을 이루면서 그 내벽에 배출되는 황토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이 설치된 것이고, 상기 노즐(5)은 상기 토출기(4)의 입구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황토를 일정 두께의 황토보드가 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5a)및 배출홀(5b)이 구비된 것이며, 상기 무늬표시 롤러(6)는 상기 노즐(5)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어 노즐(5)에서 인출되는 황토보드의 상부면에 회사로고를 포함하는 다양한 문양을 찍어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황토보드 제조장치는 상기 혼합기(1)를 통해 황토 또는 황토재료가 투입되어 이를 혼합하면서 상기 진공기(2)를 이용하여 황토의 공기를 제거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배송기(3)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기(1)의 황토를 상기 토출기(4)로 이동시키며, 상기 토출기(4)를 거친 황토를 상기 노즐(5)의 배출홀(5b)로 밀어냄으로써 황토보드를 제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황토보드 제조장치(1)는 상기 토출기(4)와 이에 인접된 상기 노즐(5)사이에 배출되는 황토보드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황토보드 두께조절수단(8)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황토보드 두께조절수단(8)은 상기 노즐(5)의 가이드부재(5a)상부쪽 후방에 설치되는 ㄱ자형의 상부 조절판(8a)과, 상기 노즐(5)의 가이드부재(5a)하부쪽 후방에 설치되는 ㄴ자형의 하부 조절판(8b)및, 상기 상부 조절판(81)과 하부 조절판(8b)에 너트를 매개로 체결되어 상기 토출기(4)입구에 고정되는 이송볼트(8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토출기(4)입구에 이송볼트(8c)를 매개로 설치된 상기 상부 조절판(8a)과 하부 조절판(8b)이 이송볼트(8c)의 회전을 통해 상하이동함으로써 상기 노즐(5)의 가이드부재(51)를 조절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재(5a)입구에 형성된 상기 배출홀(5b) 면적을 부분적으로 미리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배출되는 황토보드의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
종래의 황토보드 제조장치는 토출기에서 노즐을 통해 황토보드로서 배출시에 주변 가장자리가 찢어지게 되어 불량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조절판과 하부 조절판을 가이드부재 후방에 부착하지만 여전히 황토보드의 가장자리가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류콘베어에서 배출되는 황토보드의 두께를 압력분배기의 압력분배 돌출부에 의해 배출압력을 골고루 분배하여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황토보드의 가장자리가 찢어지지 않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황토보드가 휘거나 크랙이 가는 것을 방지하여 황토보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황토보드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달걀형 압력분배 돌출부가 구비된 압력분배기에서 중심 G 부분의 황토반죽이 흐르는 유로는 유입구의 대략 1/3 로 줄어들고 좌, 우측변에서 황토반죽이 흐르는 유로의 높이는 유입구의 대략 2/3 로 줄어듬에 따라 압력분배기의 중심 G 부분으로 몰리는 황토반죽의 흐름을 좌,우측으로 분배하여 황토반죽에 가해지는 압력을 균일하게 조절하고 배출노즐을 통해 배출하여 황토보드의 두께를 일정하도록 조절하고 균일한 두께의 황토보드를 제조할 수 있는 황토보드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황토보드 제조장치는 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황토가루 45%, 고령토 20% 전분 또는 찹쌀죽 10%, 돌가루(맥반석, 게르마늄) 20% 또는 펄프(물에 부풀려 사용) 5% 와 물을 혼합하여 황토반죽으로 혼합하는 제1 혼합 실린더와; 상기 혼합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황토반죽을 혼합스크류로 혼합하면서 황토반죽에 포함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2 혼합 실린더와; 상기 제2 혼합 실린더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이 되도록 하는 진공펌프와; 상기 제2 혼합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황토반죽을 진공상태를 유지하면서 배출 압력분배기로 배송하는 스크류 콘베어와; 상기 스크류 콘베어에서 배출되는 황토반죽에 배출압력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는 달걀모양의 압력분배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황토반죽에 균일한 배출압력을 가하면서 배출노즐로 배출하는 압력분배기와; 상기 배출 압력분배기에서 배출되는 황토반죽을 평편한 사각형 보드로 배출하는 배출노즐과; 상기 배출노즐에서 배출되는 사각보드 형태의 황토반죽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압력 분배기는 윗면을 형성하는 상판과; 밑면을 형성하는 하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의 좌,우측면에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되는 좌,우 측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좌,우 측판은 유입구의 높이 h1 이 배출구의 높이 h2 보다 높아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하판은 유입구의 가로길이 D1 이 상기 배출구의 가로길이 D3 보다 짧아서 좌우 수평방향으로 넓어지고 상하 폭방향으로 좁아져서 배출구에서 단면의 높이인 편평한 황토보드를 배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압력분배 돌출부는 달걀모양이며 유입구 쪽이 배출구 쪽보다 더 뾰족하게 형성되어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황토반죽의 흐름을 좌,우측으로 밀어내어 황토반죽의 흐르는 압력을 좌,우측으로 분배하도록 상판의 밑면에 부착되어 압력 분배기에 유입되어 흐르는 황토반죽의 배출속도가 일정해지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압력분배 돌출부는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전체 길이를 D2 라고 할 때, 상판의 중심 G 에서 유입구 쪽까지의 길이 d2 는(5/16)·D2 이고 배출구 쪽 길이 d3 는(3/16)·D2 이고, 또한 상기 상판의 중심 G를 지나는 직선 L0 에 대해 좌우 대칭이고, 상판의 배출구 쪽 좌우길이를 D3 라 하고, 상판의 유입구 쪽 좌우길이를 D1 이라 할 때, 압력분배 돌출부의 중심 G 부분에서 좌우 길이 d1 은 (8/17)·D2 이고 (4/3)·D1 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압력분배 돌출부는 상기 압력 분배기의 상판과 하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압력분배 돌출부가 상기 압력 분배기의 상판과 하판에 동시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압력분배 돌출부의 두께 t2는 하나만 설치될 때의 두께 t1의 1/3 ∼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황토반죽은 황토가루 30∼34 중량%, 고령토 13∼17 중량%, 돌가루(맥반석, 게르마늄) 10∼12 중량%, 펄프(물에 부풀려 사용) 15∼17중량%와 물 20 중량%를 혼합하여 황토반죽으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황토가루를 물과 혼합하여 황토반죽으로 만들어서 달걀형 압력분배 돌출부가 구비된 압력분배기에서 황토반죽에 가해지는 압력을 균일하게 조절하고 사각형 배출노즐을 통해 배출하여 얇은 황토보드로 뽑아냄으로써 압력분배기의 유입구에서 중심 G 까지 황토반죽을 좌,우측으로 분배하는 압력을 완만하게 증가시키고 상판의 중심 G 에서 압력분배 돌출부의 종단까지 황토반죽을 좌,우측으로 분배하는 압력이 감소하도록 하여 황토반죽에 가해지는 압력이 균일해지도록 조절할 수 있고, 압력분배기의 좌, 우측변에서 황토반죽이 흐르는 유로의 높이가 유입구 높이 보다 대폭적으로 줄어듦에 따라 압력분배기의 중심 G 부분으로 몰리는 황토반죽의 흐름을 좌,우측으로 분배하여 황토반죽에 가해지는 배출압력이 균일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황토보드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황토보드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혼합실린더를 호퍼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압력분배기와 배출노즐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압력분배기와 배출노즐의 분해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에 본 발명에 의한 압력 분배기의 압력분배 돌출부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배출구에서 유입구를 바라볼 때 좌측에서 바라본 좌측 단면도 및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압력분배기의 하판에 압력분배 돌출부를 설치한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8a 내지 8b에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압력 분배기의 압력분배 돌출부를 배출구에서 유입구를 바라볼 때 좌측에서 바라본 좌측 단면도 및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압력분배기의 상판과 하판에 압력분배 돌출부를 설치한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의 압력 분배기의 상부 압력분배 돌출부와 하부 압력 돌출부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배출구에서 유입구를 바라볼 때 좌측에서 바라본 좌측 단면도와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본 발명에 의한 황토보드 제조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 본 발명에 의한 제1 혼합실린더를 호퍼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황토보드 제조장치(100)는 호퍼(11)를 통해 투입되는 황토가루 30∼34 중량%, 고령토 13∼17 중량%, 돌가루(맥반석, 게르마늄) 10∼12 중량% , 펄프(물에 부풀려 사용) 15∼17중량% 와 물 20중량%를 혼합하여 황토반죽으로 혼합하는 제1 혼합 실린더(10)와; 상기 제1 혼합 실린더(10)에서 배출되는 황토반죽을 제2 혼합스크류(21)로 혼합하면서 황토반죽에 포함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2 혼합 실린더(20)와; 상기 제2 혼합 실린더(20)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이 되도록 하는 진공펌프(40)와; 상기 제2 혼합 실린더(20)에서 배출되는 황토반죽을 진공상태를 유지하면서 배출 압력분배기(50)로 배송하는 스크류 콘베어(30)와; 상기 스크류 콘베어(30)에서 배출되는 황토반죽에 고르게 배출압력이 분포되도록 하면서 배출노즐(60)로 배출하는 배출 압력분배기(50)와; 상기 배출 압력분배기(50)에서 배출되는 황토반죽을 평편한 사각형 보드로 배출하는 배출노즐(60)과; 상기 배출노즐(60)에서 배출되는 사각보드 형태의 황토반죽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롤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 혼합 실린더(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1)를 통해 투입되는 황토가루 30∼34 중량%, 고령토 13∼17 중량%, 돌가루(맥반석, 게르마늄) 10∼12 중량%, 펄프(물에 부풀려 사용) 15∼17중량%와 물 20 중량%를 모터(12)로부터 동력을 받아 내부에 설치된 제1 혼합 스크류(13)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반죽판(14)으로 혼합하여 황토반죽으로 만들어 제2 혼합 실린더(20)로 배출한다.
제1 혼합 실린더(10)의 제1 제1 혼합 스크류(13)는 상기 모터(12)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황토가루 30∼34 중량%, 고령토 13∼17 중량%, 돌가루(맥반석, 게르마늄) 10∼12 중량%, 펄프(물에 부풀려 사용) 15∼17중량%와 물 20중량%를 혼합하여 반죽을 만들면서 반죽을 회전시켜서 스크류의 회전력에 의해 제2 혼합실린더(20)쪽으로 진행시킨다.
제1 혼합 실린더(10)와 제2 혼합실린더(20)를 연결하는 원통 연결부(15)는 제1 혼합 실린더(10)에 설치된 제1 혼합 스크류(13)가 연장되어 회전하므로 상기 제1 혼합 스크류(13)에 의해 황토와 물의 반죽이 제2 혼합실린더(20)쪽으로 진행되어 상기 원통 연결부(15)의 우측 단부(제2 혼합실린더(20)와의 경계)에는 다수의 황토반죽 배출구멍(15a)이 형성되어 가래떡과 같은 원통형태의 반죽이 제2 혼합실린더(20)로 공급된다.
제2 혼합실린더(20)는 진공펌프(40)에 연결되어 음압을 가하고 있기 때문에 제2 혼합실린더(20)의 음압이 제1 혼합 실린더(10)의 원통 연결부(15)를 통해 새어나갈 수 있으므로, 상기 원통 연결부(15)의 우측 단부에는 다수의 황토반죽 배출구멍(15a)이 형성하고, 제1 혼합 스크류(13)가 설치되어 황토반죽이 제1 혼합 스크류(13)의 회전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나가면서 틈새를 메우게 되어 제2 혼합실린더(20)의 음압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한다.
제2 혼합실린더(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박스 형태의 외부 케이스(21)가 제 1혼합 실린더(10)와 원통 연결부(15)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원통 연결부(15)의 하부에 모터(12)로부터 동력을 제공받는 회전축(22)이 연장되어 모터(12)의 원동 풀리(12a)에 연결되어 있다.
모터(12)로부터 동력을 제공받는 회전축(22)은 제2 혼합실린더(20)의 내부로 연장되어 제2 혼합 스크류(23)의 회전축이 되고, 상기 제2 혼합 스크류(23)는 스크류 콘베어(30)의 내부로 연장되어 제2 혼합실린더(20)의 내부로부터 스크류 콘베어(30)의 내부 우측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제2 혼합 스크류(23)를 형성한다.
따라서 원통 연결부(15)의 황토반죽 배출구멍(15a)을 통해 배출된 황토반죽은 제2 혼합실린더(20)의 제2 혼합 스크류(23)에 떨어져 제2 혼합 스크류(23)를 따라 우측으로 스크류 콘베어(30)의 내부로 진행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 콘베어(30)는 원통 케이스(31)의 내부에 제2 혼합 스크류(23)의 회전축이 연장되고, 제2 혼합실린더(20)의 내부로부터 스크류 콘베어(30)의 내부 우측 단부에 걸쳐서 제2 혼합 스크류(23)가 설치된다.
스크류 콘베어(30)는 원통 케이스(31)와 제2 혼합 스크류(23)사이에 황토반죽이 채워져 전방으로 밀려져 진행되므로 스크류 콘베어(30)를 통해 제2 혼합실린더(20)의 음압이 새어나가지 못한다.
스크류 콘베어(30)의 좌측단은 제2 혼합실린더(20)에 연결되고 우측단은 압력 분배기(50)에 연결되어 황토반죽을 평편한 황토 보드로 형성하게 된다.
도 4에 본 발명에 의한 압력분배기와 배출노즐의 분리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5에 본 발명에 의한 압력분배기와 배출노즐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된다.
압력 분배기(50)는 삼각형의 꼭지점이 유입구(51)이고 삼각형의 넓은 밑변이 배출구(52)가 되도록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유입구(51)는 스크류 콘베어(30)에 연결되어 혼합반죽이 유입되고, 배출구(52)는 배출노즐(60)에 결합수단, 예를들면 볼트(61a)와 너트(61b)에 의해 연결되어 혼합반죽을 배출노즐(60)을 통해 편평한 황토보드로서 배출한다.
압력 분배기(50)는 윗면을 형성하는 상판(53)과; 밑면을 형성하는 하판(54)과; 상기 상판(53)과 하판(54)의 좌,우측면에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되는 좌,우 측판(55, 56)으로 구성된다.
좌,우 측판(55, 56)은 유입구(51)의 높이 h1 이 예를 들면, 220㎜ 로서 배출구(52)의 높이 h2 의 100㎜ 보다 높아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하판(53, 54)은 유입구(51)의 가로길이 D1 이 예를 들면, 220㎜ 이고 배출구(52)의 가로길이 D3가 예를 들면, 850㎜ 이어서 좌우 수평방향으로 넓어지고 상하 폭방향으로 좁아져서 배출구(52)에서 단면의 높이 h2=100㎜, 단면의 밑변 D3=850㎜ 인 편평한 황토보드를 배출하게 된다.
그러나 압력 분배기(50)의 유입구(51)에서 유입되는 황토반죽의 압력이 상하로 좁아지면서 가중되고, 좌우로 넓어지면서 완화되므로, 배출노즐(60)을 통해 배출되는 황토보드는 좌,우 측변에서 중간 중간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압력 분배기(50)의 내부에서 황토반죽이 좌우로 넓어지고 상하로 좁아지면서 배출속도에 차이가 발생하여 중심부분의 배출속도가 좌,우 측변에서의 배출속도보다 빠르게 되기 때문에, 다시 말하면 압력 분배기(50)의 내부에서 황토반죽이 중심으로만 몰리고 좌,우측으로 분배되지 않아서 좌,우 측변에서 중간 중간 좌우로 찢어지는 크랙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크랙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압력 분배기(50)의 상판(53)에 달걀모양의 압력분배 돌출부(57)를 형성한다.
도 6a 내지 6c에 본 발명에 의한 압력 분배기의 압력분배 돌출부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배출구에서 유입구를 바라볼 때 좌측에서 바라본 좌측 단면도 및 전방에서 바라본 정면도가 도시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분배기(50)의 압력분배 돌출부(57)는 달걀모양이며 유입구(51)쪽이 배출구(52)쪽보다 더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구(51)에서 유입되는 황토반죽의 흐름을 좌,우측으로 밀어내어 황토반죽의 흐르는 압력을 좌,우측으로 분배하게 된다.
또한 유입구(51)와 배출구(52)사이의 전체 길이를 D2 라고 할 때, 상판(53)의 중심 G 에서 유입구(51)쪽까지의 길이 d2 는(5/16)·D2 이고 배출구(52)쪽 길이 d3 는(3/16)·D2 이므로 유입구(51)에서 상판(53)의 중심 G 까지 황토반죽을 좌,우측으로 분배하는 압력이 완만하게 증가함에 반하여 상판(53)의 중심 G 에서 압력분배 돌출부(57)가 끝나는 종단까지 황토반죽을 좌,우측으로 분배하는 압력이 빠르게 감소하도록 한다.
또한 압력분배 돌출부(57)는 상판(53)의 중심 G를 지나는 직선 L0 에 대해 좌우 대칭이고, 상판(53)의 배출구(52)쪽 좌우길이를 D3 라 하고, 상판(53)의 유입구(51)쪽 좌우길이를 D1 이라 할 때, 압력분배 돌출부(57)의 중심 G 부분에서 좌우 길이 d1 은 (8/17)·D2 이고 (4/3)·D1 이다.
압력분배 돌출부(57)는 도 6b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53)의 밑면에 부착되어 압력 분배기(50)에 유입되어 흐르는 황토반죽의 배출속도가 일정해지도록 조절한다.
압력분배기(50)의 유입구(51)의 높이는 h1(=220㎜)이고, 중심 G 부분의 높이는 h3(=160)이고 배출구(52)의 높이는 h2(=100㎜)이므로, 압력분배 돌출부(57)의 중심 G 부분의 두께 t1(=100 ㎜)을 중심 G 부분의 높이 h3(=160 ㎜)에서 감산하면 압력분배기(50)의 중심 G 부분의 황토반죽이 흐르는 유로의 높이 h4 는 다음과 같이 산출된다.
h4= h3(=160 ㎜)-t1(=100 ㎜)= 60 ㎜
따라서 압력분배기(50)의 중심 G 부분의 황토반죽이 흐르는 유로는 h4(=60 ㎜)=(6/22)·h1 =0.27h1 으로서 유입구(51)높이 h1의 대략 1/3 로 줄어듦에 반하여 좌, 우측변에서 황토반죽이 흐르는 유로의 높이는 {h1(=220㎜)- h2(=100㎜)}/2 +h2(=100㎜)=160 ㎜ 이다.
그러므로 압력분배기(50)의 좌, 우측변에서 황토반죽이 흐르는 유로의 높이는 160/220=8/11=0.73h1 으로서 유입구(51)높이 h1의 대략 70%로 줄어듦에 따라 압력분배기(50)의 중심 G 부분으로 몰리는 황토반죽의 흐름을 좌,우측으로 분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에 본 발명에 의한 압력분배기의 하판에 압력분배 돌출부를 설치한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8a 내지 8b에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압력 분배기의 압력분배 돌출부를 배출구에서 유입구를 바라볼 때 좌측에서 바라본 좌측 단면도 및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압력 분배기(50)의 하판(53)에 달걀모양의 압력분배 돌출부(57)를 형성하고, 도 8a 내지 8b에 도시된 압력 분배기(50)의 압력분배 돌출부(57)는 하판(54)에 설치된 것 외에 상판(53)에 압력분배 돌출부(57)가 설치된 앞서의 실시예와 차이가 없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본 발명에 의한 압력분배기의 상판과 하판에 압력분배 돌출부를 설치한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10a 내지 10c에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의 압력 분배기의 상부 압력분배 돌출부와 하부 압력 돌출부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배출구에서 유입구를 바라볼 때 좌측에서 바라본 좌측 단면도와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압력분배기(50)의 상판(53)과 하판(54)에 압력분배 돌출부(58)를 동시에 2개 설치할 수 있으며, 상판(53)의 압력분배 돌출부(58)와 하판(54)의 압력분배 돌출부(58)는 서로 대칭관계에 있으며, 이때 압력분배 돌출부(58)의 모양은 앞서의 실시예에 의한 압력돌출부(57)와 동일하지만 도 10a 내지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t2 가 제1, 2 실시예의 압력돌출부(57)의 두께 t1 의 1/3∼1/2 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을 형성하는 기술사상에 대한 것인 한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제1 혼합 실린더 11: 호퍼
12: 모터 13: 제1 혼합 스크류
14: 반죽판 15: 원통 연결부
20: 제2 혼합 실린더 21: 외부 케이스
22: 회전축 23: 제2 혼합 스크류
30: 스크류 콘베어 31: 원통 케이스
40: 진공펌프 50: 압력분배기
51: 유입구 52: 배출구
53: 상판 54: 하판
55: 좌측판 56: 우측판
57: 압력분배 돌출부 60: 배출노즐
100: 황토보드 제조장치

Claims (8)

  1. 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황토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황토반죽으로 혼합하는 제1 혼합 실린더와;
    상기 혼합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황토반죽을 혼합스크류로 혼합하면서 황토반죽에 포함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2 혼합 실린더와;
    상기 제2 혼합 실린더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이 되도록 하는 진공펌프와;
    상기 제2 혼합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황토반죽을 진공상태를 유지하면서 배출 압력분배기로 배송하는 스크류 콘베어와;
    상기 스크류 콘베어에서 배출되는 황토반죽에 배출압력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는 달걀모양의 압력분배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황토반죽에 균일한 배출압력을 가하면서 배출노즐로 배출하는 압력분배기와;
    상기 배출 압력분배기에서 배출되는 황토반죽을 평편한 사각형 보드로 배출하는 배출노즐과;
    상기 배출노즐에서 배출되는 사각보드 형태의 황토반죽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분배 돌출부는 달걀모양이며 유입구 쪽이 배출구 쪽보다 더 뾰족하게 형성되어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황토반죽의 흐름을 좌,우측으로 밀어내어 황토반죽의 흐르는 압력을 좌,우측으로 분배하도록 상판의 밑면에 부착되어 압력 분배기에 유입되어 흐르는 황토반죽의 배출속도가 일정해지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보드 제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분배기는 삼각형의 꼭지점이 유입구이고 삼각형의 넓은 밑변이 배출구가 되도록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유입구는 스크류 콘베어에 연결되어 혼합반죽이 유입되고, 배출구는 배출노즐에 연결되어 혼합반죽을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보드 제조장치.
  3. 제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분배기는 윗면을 형성하는 상판과; 밑면을 형성하는 하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의 좌,우측면에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되는 좌,우 측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좌,우 측판은 유입구의 높이 h1 이 배출구의 높이 h2 보다 높아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하판은 유입구의 가로길이 D1 이 상기 배출구의 가로길이 D3 보다 짧아서 좌우 수평방향으로 넓어지고 상하 폭방향으로 좁아져서 배출구에서 단면의 높이인 편평한 황토보드를 배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보드 제조장치.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분배 돌출부는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전체 길이를 D2 라고 할 때, 상판의 중심 G 에서 유입구 쪽까지의 길이 d2 는(5/16)·D2 이고 배출구 쪽 길이 d3 는(3/16)·D2 이고,
    또한 상기 상판의 중심 G를 지나는 직선 L0 에 대해 좌우 대칭이고, 상판의 배출구 쪽 좌우길이를 D3 라 하고, 상판의 유입구 쪽 좌우길이를 D1 이라 할 때, 압력분배 돌출부의 중심 G 부분에서 좌우 길이 d1 은 (8/17)·D2 이고 (4/3)·D1 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보드 제조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분배 돌출부는 상기 압력 분배기의 상판과 하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보드 제조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분배 돌출부가 상기 압력 분배기의 상판과 하판에 동시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압력분배 돌출부의 두께 t2는 하나만 설치될 때의 두께 t1의 1/3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보드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반죽은 황토가루 30∼34 중량%, 고령토 13∼17 중량%, 돌가루(맥반석, 게르마늄) 10∼12 중량%, 펄프(물에 부풀려 사용) 15∼17중량%와 물 20 중량%를 혼합하여 황토반죽으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보드 제조장치.
KR1020140084374A 2014-07-07 2014-07-07 황토보드 제조장치 KR101619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374A KR101619199B1 (ko) 2014-07-07 2014-07-07 황토보드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374A KR101619199B1 (ko) 2014-07-07 2014-07-07 황토보드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455A KR20160005455A (ko) 2016-01-15
KR101619199B1 true KR101619199B1 (ko) 2016-05-13

Family

ID=5517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374A KR101619199B1 (ko) 2014-07-07 2014-07-07 황토보드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1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672B1 (ko) 2022-03-18 2022-11-03 박영백 황토 벽체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4873B (zh) * 2021-06-28 2022-08-26 新兴栈(绵阳)建材有限公司 一种便于比例调和的混凝土制造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263B1 (ko) 2011-11-25 2012-07-23 (주)한얼도자기 도판 제조용 토출 다이 및 이를 이용하는 도판 제조장치
KR101250156B1 (ko) * 2012-10-17 2013-04-05 (주)생토 황토보드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263B1 (ko) 2011-11-25 2012-07-23 (주)한얼도자기 도판 제조용 토출 다이 및 이를 이용하는 도판 제조장치
KR101250156B1 (ko) * 2012-10-17 2013-04-05 (주)생토 황토보드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672B1 (ko) 2022-03-18 2022-11-03 박영백 황토 벽체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455A (ko) 2016-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59620A (en) Apparatus for producing cast gypsum articles
CA2851536C (en) Multiple-leg discharge boot for slurry distribution
MXPA05002990A (es) Aparato y metodo para fraccionar lechada y metodo para producir carton-yeso.
KR101619199B1 (ko) 황토보드 제조장치
KR20050072130A (ko) 몰드를 채우기 위한 덩어리로 된 세라믹 또는 석재로구성되는 혼합물의 분배기
US20050035155A1 (en) Dispersion system for dispersing material especially wood chips wood-fibre or similar on a dispersing conveyor belt
CN110541541B (zh) 瓷砖抹浆机、控制系统、工作方法、墙体瓷砖铺设方法
CN210414953U (zh) 一种用于像素布料的皮带布料结构
KR20120008588A (ko) 석탄 성형 장치
CN210477333U (zh) 一种自动撒粉机
CN207983622U (zh) 一种纤维板喷胶混料系统
CN107553708B (zh) 一种格栅布料装置
KR101250156B1 (ko) 황토보드 제조장치
KR101167263B1 (ko) 도판 제조용 토출 다이 및 이를 이용하는 도판 제조장치
JP2018517580A (ja) スラリーを均一に分配するための装置
US9974322B2 (en) Loosening method and loosening device for cooked rice
EP2050549A2 (en) An apparatus for continuously feeding powders in manufacturing of ceramic tiles
CN208037579U (zh) 自动送料机
CN206644120U (zh) 二控切刀后辊道粘料清除装置
KR100295449B1 (ko) 저점성및속건성건축재료의공급장치
CN210883930U (zh) 自动喂料加浆闷堆机
KR101073890B1 (ko) 황토보드의 제조장치
CN106697626A (zh) 一种用于面包砖制造的混合料斗系统
RU2461430C1 (ru) Комплекс для фракционирования отсевов дробления при производстве нерудн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CN217599882U (zh) 一种干粒布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