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716B1 - 이중 쉘 구조를 갖는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중 쉘 구조를 갖는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716B1
KR101249716B1 KR1020100067350A KR20100067350A KR101249716B1 KR 101249716 B1 KR101249716 B1 KR 101249716B1 KR 1020100067350 A KR1020100067350 A KR 1020100067350A KR 20100067350 A KR20100067350 A KR 20100067350A KR 101249716 B1 KR101249716 B1 KR 101249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eight
core
nanostructur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722A (ko
Inventor
심성보
전병영
임주혁
최종근
주용준
조진훈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7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716B1/ko
Priority to CN2010106156462A priority patent/CN102327199B/zh
Priority to US13/023,804 priority patent/US8541010B2/en
Publication of KR20120006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0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쉘 구조를 갖는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생리 활성 성분 코어; 상기 코어를 포접하도록 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 글리콜) (PEG-PCL-PEG)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코어쉘; 및 상기 코어를 포접하도록 인지질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외부쉘로 구성된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산화, 빛, 열 등에 대하여 취약한 활성 성분들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고 나노 수준의 입자 크기로 제조가 가능하여 높은 경피 흡수율을 보이며, 각종 주름 개선, 미백 생리 활성 성분 등을 안정하게 캡슐화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이중 쉘 구조를 갖는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double-shell Nano-structure}
본 발명은 각종 주름 개선, 미백 생리 활성 성분 등을 안정하게 캡슐화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매우 유용한 이중 쉘 구조를 갖는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능성 화장품이란 피부 미백 효과, 피부의 주름개선 효과, 피부를 곱게 태워주거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 등을 갖는 제품을 말한다. 이러한 제품의 원료가 되는 레티놀, 비타민 A, 비타민 C 등과 같은 유효 성분의 경우 빛과 열, 공기에 노출이 되면 안정성이 떨어지고 피부로의 낮은 흡수율로 인해 비용에 비해 낮은 효과를 보인다.
이에 화장품으로 이용되는 레티놀, 토코페롤, 비타민 A, C 등과 같은 불안정한 물질을 안정하게 함으로서 외부 조건으로부터 생리 활성 성분들을 보호하며, 피부친화성을 높여 피부흡수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고기능성의 화장품을 제조하는 것에 많은 선행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고기능성 화장품으로 가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는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능이 입증된 화장품 고기능성 생리 활성 소재의 개발, 피부에서의 생리 활성 물질의 효능을 입증할 수 있는 평가기술, 그 요구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원하는 부위로의 생리 활성 물질의 기능을 정확히 전달할 수 있는 기술 등이 있다.
따라서 궁극적으로는 지속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고기능성 생리 활성 소재를 원하는 부위에서 기능을 구현시키기 위해, 피부 내의 원하는 부위로의 정확한 전달 (active targeting)이 가장 중요한 핵심 과제라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피부에 적합하고 안전한 소재의 전달체 (carrier)와 피부의 지질막 등을 투과하여 고기능성 생리 활성 물질을 안전/안정하게 전달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생체친화형 생분해성 고분자의 개발이 에멀젼 입자의 안정화 연구와 경피 흡수형 전달체 연구에 있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나, 화장품 산업의 특성상 계면화학, 생명공학, 피부 과학, 나노공학, 고분자공학, 화학공학 등 많은 관련 전문분야의 공동 관심을 가지고 기술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기에 많은 성과가 달성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생리 활성 성분을 안정하게 포접하고, 나노 수준의 입자 크기를 가져 피부에 대한 흡수율이 향상된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여 각종 기능성 화장료로서 적용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용성 생리 활성 성분 코어;
상기 코어를 포접하도록 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 글리콜) (PEG-PCL-PEG)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코어쉘; 및
상기 코어쉘을 포접하도록 인지질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외부쉘로 구성된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구조체는 산화, 빛, 열 등에 대하여 취약한 활성 성분들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고 나노 수준의 입자 크기로 제조가 가능하여, 높은 경피 흡수율을 보이며, 각종 주름 개선, 미백 생리 활성 성분 등을 안정하게 캡슐화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구조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입체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에멀젼의 입자 크기 분포도로서, (a) 코어쉘, (b) 외부쉘, (c)는 나노 구조체의 입자 크기 분포를 보여준다.
도 3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에멀젼의 피부 침투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로션,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등의 화장료 조성물에 다양한 기능을 하는 활성 성분의 사용에 따른 안정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중 구조의 쉘로 이루어진 나노 구조체를 제시하고, 그 크기를 나노 수준으로 제조하여 경피 흡수를 더욱 촉진하는 효과를 확보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구조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입체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나노 구조체 (10)는 수용성 생리 활성 성분 코어 (11); 상기 생리 활성 성분 코어 (11)를 둘러싸며 포접하기 위해 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 글리콜) (PEG-PCL-PEG)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코어쉘 (12); 및 상기 코어쉘 (12)을 둘러싸며 포접하기 위해 인지질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외부쉘 (13)로 이루어진다.
수용성 생리 활성 성분 코어 (11)는 다양한 화장료의 제형에서 입자 내에 들어갈 수 있는 생리 활성 성분으로서, 화장료에 일정한 효능 또는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알려진 대부분의 검증된 생리 활성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불안정한 생리 활성 소재로서 미백제, 콜라겐 합성 촉진제, 주름 제거제, 피부 장벽 강화제, 노화 억제제, 보습제 등의 화장료 조성에 사용되는 생리 활성 성분이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미백 효과가 있는 생리 활성 성분으로는 AA2G (아스코빅산 2-글루코시드, Ascorbic Acid 2-Glucoside), 비타민 C (아스코빅산), 니아시나미드 (Niacinamid), 알부틴, 상백피 추출물, 닥나무 추출물, 마그네슘 아스코빌 포스페이트 등을 포함하는 수용성 성분이 가능하다. 또한,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활성 성분으로는 하이드록시프롤린 (Hydroxyproline), 세포재생인자(EGF, EPIDERMAL GROWTH FACTOR), 섬유모세포성장인자(FGF, Fibroblast Growth Factor), 인슐린양 성장인자(IGF, Insulin-like Growth Factor), 펩타이드, N-아세틸 글루코사민 등을 포함하는 수용성 성분이 가능하다.
코어쉘 (12)은 PEG-PCL-PEG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이러한 트리블록 공중합체는 친수성인 폴리에틸렌글리콜 (Polyethyleneglycol; PEG) A-블록과 소수성인 폴리카프로락톤 B-블록 (Polycaprolactone; PCL)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트리블록 공중합체는 ABA-형 트리블록 공중합체이며, 바람직하게는 1,500∼20,000 g/mol의 평균 분자량을 갖고, 결정화 온도(Tc)가 10∼40℃인 생분해성 공중합체이다.
상기 트리블록 공중합체는 결정성을 가져 화장품 제형으로 제조시 에멀젼의 표면에 배향되어 얇은 박막이나 필름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A-블럭의 친수성을 나타내는 것과 소수성을 특징을 가진 B-블럭의 조합으로 자기회합 (self-assembly)이 가능한 양친매성 계면활성제 (amphiphilic surfactant)와 유화제의 특성을 동시에 갖는다. 이에 따라 유화 공정 시 입자의 표면에 쉽게 흡착 및 배향하여 얇은 박막이나 필름을 형성시켜 입자 내의 불안정한 유효 성분들을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경피 흡수 (transdermal penetration)시 에멀젼 입자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표피층 (epidermal layer)의 이중 지질층 (lipid double layer)을 더 쉽게 흡수 투과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의도하는 화장료의 기능을 배가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트리블록 공중합체는 직접 제조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트리블록 공중합체는 양친매성 계면활성제로서의 기능, 경피흡수 촉진제로서의 기능, 에멀젼계에서 안정성 향상에 대한 기능, 불안정한 생리 활성 성분의 입자 내에서의 안정성 향상 기능 등은 다양한 공중합체 블록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외부쉘 (13)을 사용하여 나노 수준의 입자 크기를 갖는 나노 구조체 (10)를 제조한다. 특허공개 제2008-105249호에서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활성 성분을 포접된 입자의 경우 입자 크기가 17∼20㎛로 마이크로 수준으로 제조되는데,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피부 투과도가 높아짐을 고려할 때 나노 수준으로 입자를 제조할 경우 경피 흡수율이 더욱 향상됨을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생리 활성 성분 코어 (11)를 포접한 코어쉘 (12)을 인지질로 한번 더 포접하는 과정에서 초고압 유화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종래 마이크로 수준의 입자를 나노 수준으로 입자 크기를 나노화할 수 있다.
나노 구조체 (10)의 외부쉘 (13)은 인지질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며, 코어쉘 (12)을 둘러싸며 포접한다.
인지질은 피부의 지질 성분과 유사하며 퍼짐성, 재응집 방지성 및 피부친화력이 우수하고 분산성 향상에 의한 색의 선명성 향상 기능이 있으며, 특히 피부 건조감을 효과적으로 막아주는 기능이 있다. 사용 가능한 인지질로는 대두 또는 난황에서 추출한 천연 유래의 포화 레시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천연 유래 포화 레시틴은 포스파티딜 콜린 23∼95 중량%,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이 20 중량% 이하를 포함된다. 또한, 레시틴의 구성성분인 포스파티딜콜린 (phosphatidylcholine), 라이조포스파티딜콜린 (lysophosphatidylcholine),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phosphatidylethanolamine) 등의 불포화 콜린계, 세린계, 에탄올아민계 화합물 및 이들의 수소첨가물 형태를 포함하는 유도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지질은 전체 나노 구조체의 조성 내에서 0.5∼15.0 중량%의 함량으로 사용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입자를 나노 수준으로 제조할 수 없다.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원료 및 제형의 특성상 점도가 너무 높고 제대로 분산 및 용해되지 않아 일반적인 제형이나 고압유화기(마이크로 플루다이저)를 사용한 초고압 유화를 수행할 수 없어, 제형 제조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시험예 1을 통해 입자 크기를 측정한 결과, 인지질의 함량이 부족하면 수십 마이크로 수준의 입자가 제조됨을 확인하였다.
추가로, 외부쉘 (13)은 인지질과 함께 사용되는 보조 유화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보조 유화제로는 음이온계, 양이온계, 비이온계 또는 양성이온계 유화제가 가능하며, 사용되는 인지질의 함량 및 구성성분에 따라 인지질 함량 대비 0.5∼5배, 바람직하게는 1∼3배의 비율로 사용이 가능하며, 일례로 폴리글리세릴-10-펜타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올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디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글리세릴계와 세틸 디메치콘코폴리올, 디메치콘코폴리올 등의 실리콘계를 단독으로 또는 혼용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코어쉘 (12)과 외부쉘 (13) 사이의 공간(A)에 유용성 활성 성분이 더욱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유용성 활성 성분은 전술한 바의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가 있는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미백 효과가 있는 생리 활성 성분으로는 유용성 감초, 에틸 아스코빌 에테르, α-비사보롤 등을 포함하는 유용성 성분이 가능하다. 또한,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활성 성분으로는 레티놀 및 이의 유도체 (예, 레티닐 팔미테이트), 아데노신 등과 같은 유용성 성분이 가능하다.
이러한 유용성 활성 성분의 첨가는 수용성 생리 활성 성분 코어 (11)를 포접하는 공정에서 오일 내 첨가하거나, 후속의 외부쉘 (13)을 통한 포접 공정에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코어쉘 조성은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i) 수용성 생리 활성 성분 0.1∼5.0 중량%,
ⅱ) 오일 50∼70.0 중량%,
ⅲ) 트리블록 공중합체 0.5∼20.0 중량%, 및
ⅳ) 물을 잔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구조체는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a) 생리 활성 성분 코어가 포접된 코어쉘 0.5∼20 중량%,
b) i) 오일 0.5∼10.0 중량%,
ⅱ) 레티놀 생리 활성 성분 5.0 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유상부; 및
c) i) 인지질 0.5∼15.0 중량%
ⅱ) 폴리올 10.0∼60.0 중량%, 및
삭제
ⅲ) 물을 잔부로 포함하는 수상부로 구성된다.
상기 오일은 생리 활성 성분과 계면활성제를 충분히 용해시킬 수 있도록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폴리데센 및 파라핀 오일과 같은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에스테르계 합성오일; 실리콘오일; 동식물성 오일; 에톡시레이티드 알킬에스테르계오일;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설페이트; 파이토스핑고신; 스핑고노이드 지질; C10∼40 지방알코올,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세라마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오일 이외에 하이드로카본; 및 라우린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지방산이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물은 증류수이고, 바람직하게는 탈이온화된 증류수를 사용한다.
상기 폴리올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바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메틸프로판디올, 이소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틸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을 사용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부틸렌글리콜을 사용한다.
이외에도, 필요한 경우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바의 용매 또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유용성 성분을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첨가제로는 방부제, pH 조절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차단제, 안료, 염료, 향료, 안정화제, 점증제 등일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유화 방법, 바람직하기로 고압 유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1) 수용성 생리 활성 성분 및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정제수에 용해시킨 후, 오일과 혼합하여 생리 활성 성분이 코어로 포접된 코어쉘 조성을 제조하고,
S2) 오일, 및 선택적인 유용성 생리 활성 성분이 용해된 유상부, 인지질, 폴리올, 선택적인 수용성 생리 활성 성분이 물에 용해된 수상부를 제조하고,
S3) 상기 수상부에 S1)의 코어쉘 조성 및 S2)의 유상부를 혼합하여 초고압 유화 공정을 통해 제조한다.
상기 용해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 교반하거나 50∼80℃, 바람직하게는 65∼75℃로 가열하여 수행할 수 있다.
유화는 통상의 혼합기 (일례로, 호모 믹서) 내에서 수행하며, 바람직하기로 2000∼4000rpm, 바람직하게는 3000rpm의 속도로 3∼10분 동안 교반을 수행하여 1차 유화 생성물을 얻는다.
유화를 통해 얻어진 유화 생성물은 50∼60℃로 냉각한 다음, 고압형 균질기 또는 고압 유화기를 사용하여 500bar, 바람직하게는 1000∼2500bar에서 3회 처리하여 나노 구조체를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나노 구조체는 나노 수준의 입자를 가지며 유화 조성물 형태로 제조된다. 수용성 생리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코어는 입자 크기가 80∼110nm이고, 인지질을 포함하는 외부쉘이 300∼350nm 수준으로서, 상기 외부쉘로 코어를 포접한 나노 구조체는 입자 크기가 300∼500nm, 바람직하기로 390∼460nm를 갖는다[도 2 참조]. 이러한 입자 크기 범위를 갖는 나노 구조체는 종래 미세 유화 입자와 비교하여 나노 수준으로 제조되어 피부에 적용시 피부와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증가함으로써 경피 흡수율 및 경피 흡수 면적 또한 증가한다.
또한, 피부 각질층의 세포 간 지질 사이의 틈이 약 50nm 내외라는 점과 유화입자의 유화막이 유연성을 가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구조체의 경우 피부 미세 유화입자가 세포 간 지질 내로의 흡수, 확산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구조체는 평균 입경이 나노 수준으로 제조되어 피부와의 접촉면적의 증가 및 세포 간 지질로의 침투 및 확산이라는 두 가지 경로를 통해, 코어를 구성하는 주름, 미백 등의 효능이 우수한 생리 활성 성분의 경피 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나노 구조체는 화장료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각종 기능성 화장품으로 응용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나노 구조체의 함량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30.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1∼5.0 중량%이다. 상기 나노 구조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효과를 나타내는데 문제점이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고,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공지된 바의 어떠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조성들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실리콘 폴리머, 체질안료,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 안정화제, 유기 용매,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증점제, 유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 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 (emollient), 실리콘, α-히드록시산, 소포제, 보습제, 비타민, 곤충 기피제, 향료, 보존제, 계면활성제, 소염제, 물질 P 길항제, 충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화 또는 산성화제, 또는 착색제 등 공지의 화합물을 포함하여 제조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
(1) 코어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 및 함량을 준비하였다.
수상 파트와 유상 파트를 50℃까지 가열하여 완전 용해한 후, 수상 파트에 유상 파트를 서서히 투입하여 호모 믹서로 2000rpm 속도로 3분간 유화시켜 1차 코어쉘을 포함하는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트리블록 공중합체는 PEG:PCL:PEG 비율이 1:2:1이고, 분자량이 1,000 g/mol인 PEG와 1,000 g/mol인 PCL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다(특허공개 제2008-0105249에서 개시한 방법을 사용).
코어쉘 조성
원료명 (중량%) 실시 조성 1 비교 조성 1
수상 정제수 40 40
트리블록 공중합체 15 -
AA2G 2.0 2.0
비타민 C 2.0 2.0
상백피 추출물 2.0 2.0
유상 트리글리세라이드 To 100 To 100
(2) 나노 구조체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 및 함량을 준비하여 상기 코어쉘을 포집한 나노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수상 파트와 유상 파트를 70℃까지 가열하여 완전 용해한 후, 수상 파트에 유상 파트를 서서히 투입하여 호모 믹서로 3000rpm 속도로 5분간 유화시켰다. 얻어진 유화액을 45℃로 온도를 낮춘 후, 상기 (1)에서 제조된 유화액을 천천히 적하하고 2000rpm으로 5분 동안 혼합한 다음 고압유화기 (Microfluidizer)를 사용하여 1,000Bar/3cycles로 시행하여 나노 구조체가 분산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외부쉘
수상부
정제수 To 100 To 100 - - To 100 To 100 To 100
부틸렌 글리콜 30 30 - - 30 30 30
레시틴 3.0 10 - - - 0.1 20
외부쉘유상부 미네랄 오일 5.0 5.0 - - 5.0 5.0 5.0
레티놀 1.0 1.0 - - 1.0 1.0 1.0
코어쉘 실시 조성 1 10 10 - 100 10 10 10
비교 조성 1 - - 100 - - - -
시험예 1: 입자 크기 측정
얻어진 나노 구조체의 입자 사이즈를 동적 광산란 입자 측정기 (Dynamic Light Scattering;DL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에멀젼의 입자 크기 분포도로서, (a) 코어쉘, (b) 외부쉘, (c)는 나노 구조체의 입자 크기 분포를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코어쉘이 약 80∼110nm 정도를, 외부쉘은 대략 300∼350nm 수준의 입자 크기 분포를 보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구조체의 경우 390∼460nm 수준의 입자 크기를 나타내었다. 이때 도 3의 (c)를 보면 포접되지 않은 일부 코어쉘이 90nm정도에서 관찰이 되었으며, 이는 여과를 통해 제거하였다.
이와 비교하여, 비교예 1의 에멀젼의 경우 입자 크기가 약 15㎛, 비교예 2의 에멀젼 (특허공개 제2007-105249호)의 경우 18㎛ 수준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의해 나노 수준으로 제조가 가능함을 보여준다.
이외 비교예 3 및 4의 에멀젼 또한 마이크로급 수준의 입자(10∼30㎛)가 제조되었다.
특히, 비교예 5의 경우 제조 공정에서 레시틴의 과도한 함량으로 인해 점도가 높아 에멀젼 조성의 제조가 불가능하였다.
시험예 2: 피부 침투 촉진 효과 평가
변형 프란즈 디퓨전 세포 (Modified Franz diffusion cell)를 사용하여 생분해성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한 나노 구조체의 약물의 방출량을 구하였다. 쥐에서 적출한 4㎠의 적출 피부에 AA2G를 포함한 생분해성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한 나노 구조체와 AA2G를 함유하는 일반 에멀션을 적용하고, 적출 피부를 도너 (donor)와 리셉터상 (receptor phase) 사이에 고정시킨 후, 리셉터 상으로는 실험 전 미리 37℃로 가온하여 준비한 pH 7.4 인산완충액을 사용하였다. 이때 셀의 부피는 11㎖, 실험 중 온도는 37℃±0.5℃, 교반 속도는 600rpm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5시간까지 20분 단위로 마이크로 피펫을 이용하여 1㎖씩 정확히 채취하여 AA2G 농도를 HPLC를 이용하여 각각의 값을 측정하였고, 얻어진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에멀젼의 피부 침투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나노 구조체는 빠른 시간 내 피부에 침투됨을 알 수 있으며, 피부 도포 후 200분 경과 약 4.5배의 정도로 피부 흡수 속도가 빨라짐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안정성 향상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25℃, 5℃, cycle, 45℃ 오븐에서 각각 1개월 보관한 후 상 안정도를 육안관찰 하였다. 이때 'cycle'은 25℃, 5℃, cycle, 45℃에서 각각 6시간씩 순환하는 조건을 의미하며, ◎은 "아주 좋음", ○는 "좋음", △는 "약간 나빠짐", ×는 "몹시 나쁨"을 의미한다.
45℃ cycle 25℃ 5℃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은 비교적 고온 및 저온에서도 분산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제형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제형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제형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 (스킨로션)
하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나노 구조체 2.0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PEG 1500 1.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5.0
에탄올 10.0
옥틸도데세스-16 0.2
폴리솔베이트 20 0.2
유니사이드-유 13 0.01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수렴화장수
하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렴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나노 구조체 2.0
글리세린 2.0
1,3-부틸렌글리콜 2.0
알란토인 0.2
DL-판테놀 0.2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3.0
에탄올 15.0
폴리솔베이트 20 0.3
위치하겔 추출물 2.0
구연산 미량
유니사이드-유 13 0.01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영양화장수
하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나노 구조체 2.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5
세테아릴알콜 1.5
라놀린 1.5
폴리솔베이트 60 1.3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경화식물유 1.0
광물유 5.0
스쿠알란 3.0
트리옥타노인 2.0
디메치콘 0.8
초산 토코페롤 0.5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2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5.0
트리에탄올아민 0.12
유니사이드-유 13 0.02
증류수 잔량
제형예 4: 영양크림
하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나노 구조체 2.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세테아릴알콜 2.2
스테아린산 1.5
밀납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경화식물유 1.0
스쿠알란 3.0
광물유 5.0
트리옥타노인 5.0
디메치콘 1.0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글리세린 5.0
베타인 3.0
트리에탄올아민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0
유니사이드-유13 0.02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5: 맛사지 크림
하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맛사지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나노 구조체 2.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5
세테아릴알콜 1.5
스테아린산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레이트 5.0
스쿠알란 5.0
광물유 35.0
디메치콘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6.0
트리에탄올아민 0.7
유니사이드-유13 0.02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6: 에센스
하기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센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나노 구조체 2.0
글리세린 10.0
베타인 5.0
PEG 1500 2.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8.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틸도데칸올 0.3
옥틸도데세스-16 0.4
에탄올 6.0
유니사이드-유 13 0.01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7: 팩
하기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나노 구조체 2.0
폴리비닐알콜 15.0
셀룰로오스 검 0.15
글리세린 3.0
PEG 1500 2.0
시이크데스트린 0.15
DL-판테놀 0.4
알란토인 0.1
글리시리진산 모노암모늄 0.3
니코틴아미드 0.5
에탄올 6.0
PEG 40 경화피마자유 0.3
유니사이드-유13 0.02
증류수 잔량
합계 100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구조체는 모든 화장료, 즉 로션, 크림, 아이크림, 주름관련 제품, 미백 관련 제품, 선 관련제품,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입술용 등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에 이용될 수 있다.
10: 나노 구조체 11: 수용성 생리 활성 성분 코어
12: 코어쉘 13: 외부쉘
A: 코어쉘과 외부쉘 사이의 공간

Claims (9)

  1. AA2G (아스코빅산 2-글루코시드, Ascorbic Acid 2-Glucoside), 비타민 C (아스코빅산), 상백피 추출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수용성 생리 활성 성분 코어;
    상기 코어를 포접하도록 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 글리콜) (PEG-PCL-PEG)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코어쉘; 및
    상기 코어쉘을 포접하도록 인지질과 유용성 생리 활성 성분인 레티놀을 포함하는 외부쉘로 구성된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블록 공중합체는 결정화 온도(Tc)가 10∼40℃이고, 분자량이 400∼3,000 g/mol인 PEG와 분자량이 400∼3,000 g/mol인 PCL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은 대두 또는 난황에서 추출한 천연 유래의 포화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 라이조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세린; 에탄올아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구조체는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a) 수용성 생리 활성 성분 코어가 포접된 코어쉘 0.5∼20 중량%,
    b) i) 오일 0.5∼10.0 중량%,
    ⅱ) 레티놀 5.0 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유상부; 및
    c) i) 인지질 0.5∼15.0 중량%
    ⅱ) 폴리올 10.0∼60.0 중량%, 및
    ⅲ) 물을 잔부로 포함하는 수상부로 구성되고,
    이때 상기 코어쉘 조성은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i) 수용성 생리 활성 성분 0.1∼5.0 중량%,
    ⅱ) 오일 50∼70.0 중량%,
    ⅲ) 트리블록 공중합체 0.5∼20.0 중량%, 및
    ⅳ) 물을 잔부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구조체는 평균 입경이 300∼500nm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구조체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30.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67350A 2010-07-13 2010-07-13 이중 쉘 구조를 갖는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49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350A KR101249716B1 (ko) 2010-07-13 2010-07-13 이중 쉘 구조를 갖는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2010106156462A CN102327199B (zh) 2010-07-13 2010-12-24 包含具有双壳结构的纳米结构体的化妆品成分
US13/023,804 US8541010B2 (en) 2010-07-13 2011-02-09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double-shell nano-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350A KR101249716B1 (ko) 2010-07-13 2010-07-13 이중 쉘 구조를 갖는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722A KR20120006722A (ko) 2012-01-19
KR101249716B1 true KR101249716B1 (ko) 2013-04-05

Family

ID=45467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350A KR101249716B1 (ko) 2010-07-13 2010-07-13 이중 쉘 구조를 갖는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41010B2 (ko)
KR (1) KR101249716B1 (ko)
CN (1) CN102327199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407B1 (ko) * 2015-09-02 2016-09-08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마이크로 캡슐, 및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7213318A1 (ko) * 2016-06-08 2017-12-14 주식회사 클린그린 장기보관이 가능한 간편 캡슐형 화장품
WO2019139380A1 (ko) * 2018-01-10 2019-07-18 주식회사 지투지바이오 비타민 c가 함유된 폴리카프로락톤 미립구 필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946B1 (ko) * 2014-11-28 2021-09-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68533B1 (ko) * 2015-03-02 2021-06-23 코웨이 주식회사 탈분화 식물 프로토플라스트 내에 활성 물질이 인입된 구조체 함유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1948A (ko) * 2017-01-09 2018-07-18 (주)아모레퍼시픽 투명 또는 반투명 수중유 제형용 가용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4192B1 (ko) * 2017-10-18 2019-05-30 진성현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코어-쉘 캡슐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1701322B2 (en) 2018-03-23 2023-07-18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KR20200002465A (ko) 2018-06-29 2020-01-08 한스텍주식회사 미백 개선 유효물질이 함유된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2238B1 (ko) 2018-10-31 2019-09-18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3893832A1 (en) 2018-12-14 2021-10-20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KR102206632B1 (ko) * 2019-01-31 2021-01-22 홍석봉 경피투과를 위한 생분해성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5249A (ko) * 2007-05-30 2008-12-04 (주)아르떼르화장품 화장료로서 유용한 특성을 가진 트리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115384A (ko) * 2008-05-02 2009-11-0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H 반응형 공중합체와 인지질로 구성된 이중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425706A (zh) * 2003-01-14 2003-06-25 天津大学 聚乙二醇嵌段修饰的聚己内酯及其制备方法
WO2005000258A1 (en) 2003-06-27 2005-01-06 Amorepacific Corporation Self-assembled polymeric nanoparticles containing physiologically active ingredients and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the nanoparticles
JP2006321763A (ja) 2005-05-20 2006-11-30 Hosokawa Funtai Gijutsu Kenkyusho:Kk 生体適合性ナノ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90036625A1 (en) * 2007-08-01 2009-02-05 Chung Yuan Christian University Amphiphilic Polymer, Method for Forming the Same and Application thereof
CN101306196B (zh) * 2008-07-03 2011-05-11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生物降解的键合了血红蛋白分子的纳米粒子及制法
CN101422615B (zh) * 2008-12-09 2013-01-23 沈阳药科大学 一种冬凌草甲素聚合物胶束给药制剂及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5249A (ko) * 2007-05-30 2008-12-04 (주)아르떼르화장품 화장료로서 유용한 특성을 가진 트리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115384A (ko) * 2008-05-02 2009-11-0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H 반응형 공중합체와 인지질로 구성된 이중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407B1 (ko) * 2015-09-02 2016-09-08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마이크로 캡슐, 및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7213318A1 (ko) * 2016-06-08 2017-12-14 주식회사 클린그린 장기보관이 가능한 간편 캡슐형 화장품
WO2019139380A1 (ko) * 2018-01-10 2019-07-18 주식회사 지투지바이오 비타민 c가 함유된 폴리카프로락톤 미립구 필러 및 그 제조방법
US11590258B2 (en) 2018-01-10 2023-02-28 G2Gbio, Inc. Vitamin C-containing polycaprolactone microsphere fill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27199A (zh) 2012-01-25
KR20120006722A (ko) 2012-01-19
US20120015011A1 (en) 2012-01-19
CN102327199B (zh) 2013-03-27
US8541010B2 (en) 201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716B1 (ko) 이중 쉘 구조를 갖는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0447318B1 (fr) Composition pour le traitement cosmétique et/ou pharmaceutique des couches supérieures de l'épiderme par application topique sur la peau et procédé de préparation correspondant
KR101624888B1 (ko) 자기유화형 나노 리포좀 및 다중층 액정 함유 베지클,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0394770B1 (ko) 토코페롤 유도체를 이용하여 나노유화입자를 안정화시키는방법 및 나노유화입자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EP2088986B1 (en) Skin external preparation in the form of water-in-oil emulsion comprising ceramide
WO2015082660A1 (fr) Microcapsules lipidiques comprenant de preference un actif lipophile et composition les contenant,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en dermatologie et en cosmetique
KR101762416B1 (ko) 화장료용 마이셀 조성물
KR102177196B1 (ko) 초임계 상태에서 거대 니오좀으로 형성되고 나노 입자화되어 형성된 다중층 라멜라 니오좀 및 이를 함유하여 경피 흡수력이 증진된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1705A (ko)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나노 에멀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80772B1 (ko) 다중층 나노겔 에멀젼을 함유한 세라마이드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및 다중층 나노겔 에멀젼의 제조방법
KR20080106618A (ko) 다중층 리포좀 및 단일막 나노 리포좀을 포함하는다중-유화 베시클
KR100949848B1 (ko) 비타민c 유도체 함유 나노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20130011800A (ko) 피부 유사 지질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S2613387T3 (es) Administración mejorada de agentes de beneficio de la piel
JP7384518B2 (ja) 難溶性成分安定化用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101841204B1 (ko) 발효 오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138733B1 (ko) 인지질 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42799B1 (ko) 안정화된 l-아스코르빈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중 나노 서스펜션좀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9624B1 (ko) 온도감응성 화장료 조성물
KR101870512B1 (ko) 고형 지질 나노입자로 안정화한 코디세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8177A (ko) 미리스틸 3-글리세릴아스코베이트를 포함하는 나노 전달체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1512190B1 (ko) 경피 전달용 아미덤 조성물
JP5706223B2 (ja) W/o/w型乳化組成物
KR102551901B1 (ko) 퀘세틴,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나노 리포좀 베지클과 액정 드롭렛에 이중 봉입하여 안정성이 향상되고 다기능의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5210B1 (ko)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안정화시킨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