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407B1 - 마이크로 캡슐, 및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캡슐, 및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407B1
KR101655407B1 KR1020150123952A KR20150123952A KR101655407B1 KR 101655407 B1 KR101655407 B1 KR 101655407B1 KR 1020150123952 A KR1020150123952 A KR 1020150123952A KR 20150123952 A KR20150123952 A KR 20150123952A KR 101655407 B1 KR101655407 B1 KR 101655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gum
microcapsules
gelat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50123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4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코어; 및 도미 비늘 유래의 젤라틴, 및 하나 이상의 천연 고분자가 가교 결합되어 형성된 쉘;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캡슐, 및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A MICROCAPSULE,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마이크로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미 비늘 유래의 젤라틴에 의해 안정화된 마이크로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멜라닌은 색소 세포 내에 존재하는 타이로시네이즈의 작용에 의해 타이로신으로부터 생성된다. 멜라닌은 피부에 존재하여 자외선 등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체내 호르몬 분비 조절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 그러나, 멜라닌이 과잉생산되면 기미, 주근깨 등을 형성하고 피부노화를 촉진하며, 피부암 유발에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멜라닌의 과잉생산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이미 아스코르빈산(일본특개평 4-9320), 하이드로퀴논(일본특개평 6-192062), 코직산(일본특개소 56-7710), 알부틴(일본특개평 4-93150) 및 식물 추출물 등이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을 나타내므로, 이를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에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미백 성분들은 화장품 제형 중에서 안정성이 미흡하므로 분해되어 착색되거나, 이취를 발생시키고, 미백 효과가 충분히 구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마이크로 캡슐은 의약품, 도료, 전자산업 및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반기술로서, 특히 약물 또는 활성 성분의 초기 역가를 유지하기 위해 의약품 및 화장품 개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마이크로 캡슐은 강도가 불충분하여 충격에 의해 손쉽게 파열되므로 활성 성분을 장시간 보유할 수 없었으며, 캡슐 외층의 두께를 보강하는 경우에는 로딩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활성 성분의 안정화 및 서방성 개선을 위하여, 리포좀(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70093호) 및 고분자 마이크로 캡슐(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51557호)을 이용한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상기 기술은 활성 성분의 담지율이 총 10%이내로 저조하며, 피부 도포시 고유의 사용성 및 기능성이 발현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생리활성 성분이 장시간 보존될 수 있는 마이크로 캡슐 안정화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마이크로 캡슐 내에 다양한 활성 성분을 도입하여 그 기능성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안정성이 개선된 마이크로 캡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이크로 캡슐 내에 지용성 성분 및 천연 추출물을 함께 도입하여 미백효과가 현저히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코어; 및 도미 비늘 유래의 젤라틴, 및 하나 이상의 천연 고분자가 가교 결합되어 형성된 쉘;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젤라틴은 상기 마이크로 캡슐 총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효성분은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유비퀴논(Ubiquinone), 및 식물성스쿠알란(Phytosqual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어는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물 추출물은 클라리(Salvia Sclarea) 추출물, 히아신스(Hyacinthus orientalis) 추출물, 캐모마일(Matricaria recutica) 추출물, 보리지(Borago officinalis) 추출물, 상백피(Morus alba L. / Morus bombycis Coidz .) 추출물, 마치현(Portulaca oleracea L.) 추출물 및 수레국화꽃(Centaurea cyanus L.)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천연 고분자는 젤란 검, 잔탄 검, 카라게난 검, 알지네이트 검, 카라얀 검 및 아라비아 검, 또는 상기 검의 염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도미 비늘 유래의 젤라틴에 의해 안정화되어 구조적 강도 및 불투과성이 우수하며, 다량의 유효성분을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도미 비늘 유래의 젤라틴에 의해 안정화된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여 안정성이 우수하며 피부 개선 효과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코어; 및 도미 비늘 유래의 젤라틴, 및 하나 이상의 천연 고분자가 가교 결합되어 형성된 쉘;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이 제공된다.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내부에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코어가 상기 코어의 외주면을 감싸는 쉘에 의해 안정화된 코어-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도미 비늘 유래의 젤라틴, 및 하나 이상의 천연 고분자가 가교 결합되어 형성된 쉘에 의해 안정화될 수 있다. 상기 쉘은 피쉬 젤라틴, 천연 고분자가 망상 구조의 캡슐 벽제를 형성하여 내부의 유효성분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향 또는 오일과 같은 향장품, 미백성분, 미백성분, 주름개선성분, 항산화성분, 항노화성분, 항아토피 성분 등 최종 제품의 특성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젤라틴”은 담색, 투명, 무미, 무취의 젤리형 유도 단백질로서 콜라겐을 인위적으로 처리하여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젤라틴은 평균 분자량 61000 내지 67000의 고분자 단백질로서, 각종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소 내피(Hide), 소 뼈(Ossein), 돼지 껍질(Pig Skin), 생선 비늘(Fish Scale), 생선 껍질(Fish Skin) 등 다양한 생체 원료에서 유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젤라틴은 도미 비늘에서 유래할 수 있다.
상기 “도미(Sparidae)”는 척삭동물문 경골어류강 농어목 도미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의 총칭으로서, 상기 도미에 속하는 어종으로 참돔, 감성돔, 청돔, 새눈치, 황돔, 붉돔, 녹줄돔, 실붉돔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참돔(Pagrus major)일 수 있다.
상기 “도미 비늘 유래의 젤라틴”은 도미의 비늘에 트립신 등의 가수분해 효소를 처리하여 수득될 수 있으며, 젤화 온도가 15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은 약 500 내지 1500, 바람직하게는 약 1000 내지 150일 수 있다. 상기 도미 비늘 유래의 콜라겐은 타 콜라겐에 비하여 세린의 함량이 높아 피부에 탄력을 부여하고, 프롤린이 풍부하여 견고한 쉘 구조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하다.
통상적으로 마이크로 캡슐의 쉘은 다공질의 특성에 의해 외부의 산소가 코어 내부로 분산될 수 있으며, 상기 산소는 코어 내부의 유효성분을 산화 및 변질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미 비늘 유래의 젤라틴은 상기 쉘의 가교수를 증가시켜 다공 특성을 저감시키므로, 코어 내부의 유효성분을 장시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도미 비늘 유래의 젤라틴에 의해 안정화된 마이크로 캡슐은 구조적 강도, 불투과성, 및 담지 특성(high payload)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아세르베이션은 친수성 콜로이드 용액에 이물질을 첨가하거나 온도를 변화시켜 2종류의 액상으로 분리시킬 수 있으며, 상기 분리된 액상 중에서 일 측은 콜로이드 농도가 높아지며, 타 측은 콜로이드 농도가 낮아지게 된다. 즉,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양이온성 고분자 및 음이온성 고분자가 이온성 결합에 의해 응집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는 콜라겐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는 천연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피부 개선을 위한 유효성분 및 젤라틴을 유화시킨 유화액에 천연 고분자를 첨가하여 유수계면에서 젤라틴 및 천연 고분자를 응집시킨 후 가교제를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천연 고분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컨대, 젤란 검, 잔탄 검, 카라게난 검, 알지네이트 검, 카라얀 검 및 아라비아 검, 또는 상기 검의 염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젤라틴은 상기 마이크로 캡슐 총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젤라틴이 5 중량% 미만이면 쉘 두께가 얇아져서 안정적으로 유효성분을 포집할 수 없으며, 15 중량% 초과이면 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져서 사용감이 저하되고 캡슐 내부에 유효성분이 충분히 도입될 수 없어 제품 본연의 기능성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도미 비늘 유래의 젤라틴에 의해 안정화되었으므로 적은 함량에도 불구하고 구조적 강도 및 불투과성이 유지될 수 있으며, 다량의 유효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기능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효성분은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유비퀴논(Ubiquinone), 및 식물성스쿠알란(Phytosqual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는 비타민 E 아세테이트(vitamin E acetate)로 불리는 에몰리언트제(emollient)로서, 피부속에 유분을 공급하여 피부를 유연하게 하고 피부 탄력 및 윤기를 부여하며,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미백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유비퀴논(Ubiquinone)”은 코엔자임 Q10으로도 불리우는 보조효소로서 생체 내에서의 반복적인 산화 및 환원반응에 관여하며, 항산화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하며 전자 전달에 있어 담체 성분으로 작용하는 천연 물질이다.
상기 “식물성스쿠알란(Phytosqualane)”은 주로 올리브유에서 추출된 스쿠알렌에 수소를 첨가하여 수득된 것으로 피부에 유분 및 산소를 제공하고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므로 미백 효과가 우수하다.
특히, 상기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유비퀴논 및 식물성스쿠알란은 상기 도미 비늘 유래의 젤라틴과 함께 피부에 작용할 때 각 유효성분의 상승 작용으로 인해 더욱 우수한 피부 개선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 캡슐의 코어는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용매와 추출재료를 특정 조건하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추출재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전이된 용매를 지칭하는 것으로, 천연물로부터 원료에 함유된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수득된 물질이라면, 추출 방법이나 성분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물이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해 낸 것, 천연물의 특정 성분, 예컨대 오일과 같은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물 추출물은 클라리(Salvia Sclarea) 추출물, 히아신스(Hyacinthus orientalis) 추출물, 캐모마일(Matricaria recutica) 추출물, 보리지(Borago officinalis) 추출물, 상백피(Morus alba L. / Morus bombycis Coidz .) 추출물, 마치현(Portulaca oleracea L.) 추출물 및 수레국화꽃(Centaurea cyanus L.)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식물 추출물은 클라리 추출물, 히아신스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보리지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및 수레국화꽃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각 식물원료에서 유래한 유효성분간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피부 개선효과가 현저히 상승될 수 있으며, 상기 지용성의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유비퀴논 및 식물성스쿠알란과 함께 피부에 작용하여 미백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 추출물은 클라리 추출물 10 내지 20중량부, 히아신스 추출물 10 내지 20중량부, 캐모마일 추출물 10 내지 20중량부, 보리지 추출물 10 내지 20중량부, 상백피 추출물 10 내지 20중량부, 마치현 추출물 10 내지 20중량부 및 수레국화꽃 추출물 10 내지 20중량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의 혼합 비율의 편차가 큰 경우 각 추출물의 유효성분에서 유래한 미백 활성이 적절하게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상기 복합 추출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복합 추출물의 혼합 비율에 따라 피부 개선 효과가 상이해질 수 있으므로 각 추출물의 동시 적용에 따른 상가 효과(additive effect)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혼합 비율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원료의 추출 공정에 있어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용매를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식물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으며, 상기 추출 공정은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냉침, 온침, 가열 등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물 추출물은 각 원료를 물로 수세한 후 건조 및 분쇄하여, 각 원료 중량의 8 내지 12배에 달하는 부피의 용매로 약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감압 증류 또는 동결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공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수득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물 추출물은 상기 코어 총 중량 대비 1.0 내지 20.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식물 추출물에 의한 피부 개선 효과를 충분히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20.0 중량% 초과이면 첨가량만큼의 효과가 구현되지 않아 비용 효율이 저하되고, 과도하게 많은 추출물이 함유되어 제품 본연의 품질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도미 비늘 유래의 젤라틴에 의해 안정화된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므로, 피부에 적용될 때까지 유효성분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사용에 따른 피부 개선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마이크로 캡슐은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유비퀴논 및 식물성스쿠알란 등의 유효성분을 안정적으로 보유할 수 있으며, 피부에 도포시 젤라틴과 함께 피부에 흡수되어 우수한 미백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필수성분 외에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실시예 1 : 도미 비늘 유래 젤라틴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
젤란 검 1g및 알지네이트 검 1g을 물 100g에 넣고 55℃로 가온하여 용해하였다. 또한, 참돔에서 분리된 비늘 유래의 젤라틴 12g을 추가로 투입하고 60℃로 가온하여 완전히 녹인 후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유비퀴논, 및 식물성스쿠알란으로 구성된 지용성 성분을 투입하여 교반하였다.
상기 분산액을 호모 믹서(Homo mixer)로 1,000rpm으로 5분 동안 유화한 후, 40℃에서 3시간 동안 500rpm으로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글루타알데히드 0.05g을 투입하여 가교 반응을 유도하였으며, 1시간 동안 서서히 교반하였다. 이후 상기 교반액을 약 100mesh 여과포로 여과하였으며, 물에 세척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한 후 진공오븐에서 건조시켜 분말형태의 고분자 입자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 도미 비늘 유래 젤라틴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
실시예 1의 분산액에 동결건조된 클라리 추출물, 히아신스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보리지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및 수레국화꽃 추출물이 동일 비율로 혼합된 추출물을 5g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고등어 부레 유래 젤라틴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
고등어 부레에서 추출한 젤라틴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 돼지 피부 유래 젤라틴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
돼지 피부에서 추출한 젤라틴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 소 피부 유래 젤라틴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
소 피부에서 추출한 젤라틴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 난백 알부민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
젤라틴 대신 난백 알부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고온 변색 시험
마이크로 캡슐의 열에 의한 변색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마이크로 캡슐을 각각 물에 분산하여 45℃에서 보관한 후 색차계(MINOLTA, Spectrophotometer CM-2002)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변색 여부를 측정하였다.
색상을 측정하기 전에 화이트-캘러브래이션(white-calibration)을 하고 (L, a, b)모드로 각 시료의 색상을 측정하였다. 측정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각 샘플당 5회 측정한 후 그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하기 표 1은 시간 경과에 따른 마이크로 캡슐의 밝기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밝기 측정값(L)]
구분 5일 경과 10일 경과 15일 경과 20일 경과 25일 경과
실시예 1 35 34 34 33 31
실시예 2 34 35 34 32 32
비교예 1 31 28 25 21 17
비교예 2 32 30 28 25 23
비교예 3 33 29 26 24 20
비교예 4 29 25 20 18 15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참돔 비늘 유래의 젤라틴에 의하여 안정화된 마이크로 캡슐은 고온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밝기의 변화가 미약하였으나, 비교에 1 내지 4의 마이크로 캡슐은 시간 경과에 따라 색상이 어두워져 열에 의한 변색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 고온 변취 시험
고온에서 산화에 의해 부패될 수 있는 마이크로 캡슐의 변취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마이크로 캡슐을 45℃에서 각각 보관한 후, 평가단 20인을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하기 표 2는 시간 경과에 따른 마이크로 캡슐의 변취 여부를 측정한 결과이다. 변취 정도에 따라 5: 매우 양호 / 4: 양호 / 3: 보통 / 2: 미흡 / 1: 매우 미흡으로 기준을 부여하였으며, 20인의 평가결과에 대한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구분 5일 경과 10일 경과 15일 경과 20일 경과 25일 경과
실시예 1 4.9 4.9 4.5 4.1 4.0
실시예 2 4.9 4.8 4.4 4.3 4.1
비교예 1 4.8 4.2 3.7 3.2 2.5
비교예 2 4.9 4.3 3.5 3.0 2.6
비교예 3 4.9 4.1 3.6 2.8 2.5
비교예 4 4.8 4.3 3.4 2.9 2.3
상기 표 2을 참조하면, 참돔 비늘 유래의 젤라틴에 의하여 안정화된 마이크로 캡슐은 고온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변취가 거의 없었으나, 비교에 1 내지 4의 마이크로 캡슐은 고온에서 쉽게 변취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험예 3 : 기미 및 색소침착 면적 개선 평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기미 및 색소침착 면적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기 표 3과 같이 제형화 하였다. 다만, 제형화된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제형화 후 10일간 상온에서 방치한 뒤 피험자에게 적용하였다.
구분 함량(중량%)
마이크로캡슐(실시예 1, 2 및 비교예 1내지 4) 10.0
1,3-부틸렌 글리콜 3.0
글리세린 3.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친 1.0
옥틸도데카놀 3.0
트리옥타노 2.0
스테아릭에씨드 1.5
세토스테아릴알콜 2.0
폴리솔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2.0
디메치콘 3.0
항산화제 0.3
산탄검 0.2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정제수 잔량
상기 제형화된 화장료 조성물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정된 22명의 여성에게 적용하고 전안촬영시스템을 기미 및 색소침착 면적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일관된 촬영을 위하여 균일한 조명과 동일한 포지션에서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모든 피 시험자의 안면부위를 측정하였다. 피시험자 이마의 헤어라인을 확보하기 위하여 모발을 헤어밴드로 고정시킨 후 동일한 상의 가운을 착용하였으며 얼굴을 케이지 하단에 있는 툴바의 상단에 고정시킨 채 얼굴의 정면을 측정하였다.
측정의 재현성을 위하여 시험물질 사용 전 안면 촬영 이미지의 특징점들과 오버랩시켜 동일부위를 측정하였다. 기미 및 색소침착 면적 개선에 대한 평가는 기미 및 색소침착 면적을 분석하였으며, 측정단위는 ㎟이다.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측정값이 감소할수록 기미 및 색소침착 면적이 개선되었음을 의미한다. 기기측정은 시험물질 사용 전과 4주 사용 후의 시점에서 이루어졌으며, 측정값의 변화량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피시험자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1 2.00 3.00 1.00 2.00 0.00 1.00
2 2.00 2.00 3.00 1.00 1.00 2.00
3 10.00 8.00 2.00 2.00 2.00 1.00
4 4.00 5.00 1.00 1.00 1.00 1.00
5 8.00 9.00 2.00 3.00 3.00 1.00
6 0.00 1.00 2.00 4.00 1.00 3.00
7 3.00 4.00 1.00 1.00 1.00 0.00
8 2.00 1.00 3.00 2.00 0.00 1.00
9 6.00 5.00 1.00 3.00 0.00 2.00
10 10.00 8.00 2.00 4.00 3.00 1.00
11 3.00 6.00 1.00 1.00 1.00 0.00
12 1.00 4.00 3.00 2.00 2.00 1.00
13 9.00 7.00 4.00 1.00 1.00 0.00
14 1.00 4.00 1.00 0.00 1.00 0.00
15 11.00 10.00 2.00 0.00 1.00 1.00
16 6.00 8.00 3.00 1.00 0.00 2.00
17 1.00 5.00 1.00 1.00 0.00 2.00
18 4.00 7.00 2.00 2.00 1.00 1.00
19 1.00 3.00 1.00 2.00 0.00 2.00
20 3.00 6.00 3.00 0.00 1.00 1.00
21 3.00 5.00 1.00 1.00 2.00 2.00
22 6.00 7.00 1.00 2.00 1.00 1.00
평균 4.36 5.36 1.86 1.64 1.05 1.18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의 기미 및 색소 침작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식물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마이크로 캡슐(실시예 2)을 제형화한 화장료 조성물이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마이크로 캡슐(실시예 1)을 제형화한 화장료 조성물 보다 기미 및 색소 침작 개선 효과가 우수하였다.
실험예 4 : 멜라닌양 개선 평가
상기 제형화된 화장료 조성물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정된 22명의 여성에게 적용하고 ANTERA 3D를 통해 멜라닌양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다만, 제형화된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제형화 후 10일간 상온에서 방치한 뒤 피험자에게 적용하였다.
상기 평가를 위해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모든 피시험자의 왼쪽 볼 부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의 재현성을 위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에 측정한 이미지와 오버랩시켜 동일부위를 측정하였다. 촬영된 이미지는 ANTERA 3D 전 용 소프트웨어인 ANTERA pro software를 이용하여 매칭시킨 후 일치된 측정부위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값은 멜라닌양을 나타내는 melanin값을 분석하였으며, 기기측정은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과 4주 사용 후의 시점에서 이루어졌다.
하기 표 5는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 사용에 따른 피시험자의 4주 후 melanin값의 변화량을 나타낸다. 즉, 멜라닌 양 개선 효과가 우수할수록 melanin값의 변화량은 크게 나타난다.
피시험자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1 0.018 0.026 0.001 0.001 0.001 0.013
2 0.021 0.032 0.005 0.003 0.010 0.002
3 0.023 0.033 0.010 0.011 0.004 0.002
4 0.008 0.015 0.011 0.015 0.003 0.002
5 0.009 0.018 0.006 0.002 0.009 0.002
6 0.025 0.041 0.003 0.001 0.002 0.003
7 0.006 0.011 0.001 0.002 0.005 0.001
8 0.005 0.027 0.001 0.002 0.005 0.001
9 0.013 0.013 0.002 0.002 0.003 0.002
10 0.009 0.041 0.004 0.002 0.001 0.004
11 0.012 0.025 0.009 0.009 0.001 0.023
12 0.032 0.021 0.002 0.001 0.004 0.001
13 0.003 0.003 0.003 0.003 0.006 0.003
14 0.001 0.051 0.002 0.002 0.002 0.002
15 0.005 0.029 0.029 0.011 0.013 0.003
16 0.012 0.021 0.021 0.031 0.001 0.021
17 0.005 0.011 0.009 0.009 0.009 0.009
18 0.004 0.015 0.011 0.011 0.011 0.023
19 0.016 0.022 0.018 0.002 0.018 0.005
20 0.002 0.032 0.013 0.002 0.003 0.004
21 0.021 0.017 0.011 0.002 0.005 0.007
22 0.009 0.023 0.007 0.001 0.007 0.003
평균 0.012 0.024 0.008 0.006 0.006 0.006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의 멜라닌양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식물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마이크로 캡슐(실시예 2)을 제형화한 화장료 조성물이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마이크로 캡슐(실시예 1)을 제형화한 화장료 조성물 보다 멜라닌양 개선 효과가 우수하였다.
실험예 5: 브라이트닝 효과 평가
상기 제형화된 화장료 조성물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정된 22명의 여성에게 적용하고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CM-2600D, Konica Minolta, Japan) 및 전안촬영시스템(Robo Skin Analyzing CS50, Inforward, Inc, Japan)을 통해 브라이트닝 효과를 평가하였다. 다만, 제형화된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제형화 후 10일간 상온에서 방치한 뒤 피험자에게 적용하였다.
분광광도계는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모든 피시험자의 오른쪽 볼부위를 3회 연속 측정하고, 그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분광광도계의 측정값은 L*, a*, b* 3가지 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L*값은 명암(brightness), a*값은 붉은색(redness), b* 값은 노란색(yellowness)을 나타낸다. 피부 밝기를 나타내는 L* value을 통해 브라이트닝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과 비교하여 측정값이 증가할 수록 브라이트닝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전안촬영시스템은 일관된 촬영을 위하여 균일한 조명과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모든 피시험자의 안면부위를 측정하였다. 피시험자 이마의 헤어라인을 확보하기 위하여 모발을 헤어밴드로 고정시킨 후 동일한 상의 가운을 착용하였으며 얼굴을 케이지 하단에 있는 툴바의 상단에 고정시킨 채 얼굴의 정면을 촬영하였다. 기기측정은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과 4주 사용 후의 시점에서 이루어졌다.
하기 표 6은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 사용에 따른 피시험자의 4주 후 L* value의 변화량을 나타낸다. 즉, 브라이트닝 효과가 우수할수록 L* value의 변화량은 크게 나타난다.
피시험자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1 2.40 2.70 0.90 0.65 0.90 0.90
2 0.11 0.16 0.76 0.82 0.76 0.76
3 2.28 3.15 1.54 1.13 1.33 1.05
4 0.84 1.25 0.06 0.12 0.55 0.33
5 0.14 0.54 0.75 0.52 0.75 1.21
6 1.69 1.97 1.22 0.76 1.12 1.53
7 1.94 2.15 1.43 0.96 1.43 0.69
8 0.76 1.16 1.33 0.65 1.33 0.28
9 0.29 0.79 0.55 0.13 0.15 0.96
10 0.59 1.79 0.75 0.41 1.05 0.87
11 1.70 2.57 1.12 0.84 0.33 1.94
12 2.31 3.03 1.94 0.23 1.94 0.84
13 0.15 0.61 0.84 0.36 0.82 0.51
14 0.30 0.31 0.51 0.29 1.13 0.51
15 1.69 1.13 0.06 0.14 0.12 0.06
16 0.13 0.51 0.15 0.19 0.52 0.96
17 1.51 2.17 1.05 0.56 0.76 0.65
18 0.12 0.53 0.33 0.28 0.13 0.13
19 2.28 2.96 1.21 0.96 0.41 0.28
20 2.69 2.31 1.53 0.87 0.84 0.96
21 0.14 0.69 0.69 0.69 0.23 0.41
22 1.42 2.13 1.75 0.68 1.75 0.84
평균 1.16 1.57 0.93 0.56 0.83 0.76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의 브라이트닝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식물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마이크로 캡슐(실시예 2)을 제형화한 화장료 조성물이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마이크로 캡슐(실시예 1)을 제형화한 화장료 조성물 보다 브라이트닝 효과가 우수하였다.
실험예 6 : 피부 주름 개선 효과 평가
상기 제형화된 화장료 조성물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정된 22명의 여성에게 적용하고 ANTERA 3D (Miravex, Ireland)를 사용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모든 피시험자의 왼쪽 눈꼬리부위를 측정하였고, 측정의 재현성을 위하여 시험 물질 사용 전에 측정한 이미지와 오버랩시켜 동일부위를 측정하였다. 촬영된 이미지는 ANTERA 3D 전용 소프트웨어인 ANTERA pro software를 이용하여 매칭시킨 후 일치된 측정부위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값은 측정변수인 Indentation index를 이용하여 피부의 주름을 나타내는 Wrinkles small값을 분석하였다. 하기 표 7은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 사용에 따른 피시험자의 4주 후의 Wrinkles small값의 변화량을 나타낸다. 즉,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할수록 Wrinkles small 값의 변화량은 크게 나타난다.
피시험자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1 0.86 0.74 1.74 0.54 0.74 0.14
2 1.05 1.22 0.73 0.95 0.55 0.15
3 0.59 0.94 0.63 0.71 0.61 0.06
4 1.55 1.14 1.28 0.99 0.53 0.61
5 0.61 0.58 0.78 0.93 0.65 1.61
6 1.61 1.72 0.32 0.86 0.32 1.74
7 1.94 1.94 0.37 0.87 0.37 0.73
8 0.28 0.23 0.62 0.42 0.62 0.63
9 1.84 2.52 0.67 0.37 0.67 0.96
10 0.51 0.45 0.43 0.62 0.31 0.84
11 1.85 2.31 1.74 0.67 0.55 0.05
12 0.57 1.21 0.52 0.32 0.29 0.42
13 0.65 0.82 0.65 0.75 0.37 0.87
14 0.82 0.92 0.73 0.73 0.31 0.53
15 1.25 1.09 0.37 0.63 0.25 0.09
16 1.37 1.51 0.31 0.65 1.84 0.13
17 1.25 1.23 0.25 0.32 0.51 0.21
18 0.76 2.51 1.64 0.37 1.54 0.13
19 0.86 3.10 0.53 0.62 0.36 0.07
20 0.65 1.51 0.09 0.06 0.55 0.06
21 0.58 1.27 0.13 0.61 0.24 0.08
22 0.89 0.65 1.34 1.74 0.46 0.11
평균 1.02 1.35 0.72 0.67 0.57 0.46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식물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마이크로 캡슐(실시예 2)을 제형화한 화장료 조성물이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마이크로 캡슐(실시예 1)을 제형화한 화장료 조성물 보다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코어; 및
    도미 비늘 유래의 젤라틴, 및 하나 이상의 천연 고분자가 가교 결합되어 형성된 쉘;을 포함하되,
    상기 유효성분은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유비퀴논(Ubiquinone) 및 식물성스쿠알란(Phytosqualane)으로 구성된 지용성 성분, 및 클라리(Salvia Sclarea) 추출물, 히아신스(Hyacinthus orientalis) 추출물, 캐모마일(Matricaria recutica) 추출물, 보리지(Borago officinalis) 추출물, 상백피(Morus alba L. / Morus bombycis Coidz.) 추출물, 마치현(Portulaca oleracea L.) 추출물 및 수레국화꽃(Centaurea cyanus L.) 추출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젤라틴은 상기 마이크로 캡슐 총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 포함된 마이크로 캡슐.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고분자는 젤란 검, 잔탄 검, 카라게난 검, 알지네이트 검, 카라얀 검 및 아라비아 검, 또는 상기 검의 염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마이크로 캡슐.
  7. 제1항, 제2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마이크로 캡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피부 미백용인 화장료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123952A 2015-09-02 2015-09-02 마이크로 캡슐, 및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55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952A KR101655407B1 (ko) 2015-09-02 2015-09-02 마이크로 캡슐, 및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952A KR101655407B1 (ko) 2015-09-02 2015-09-02 마이크로 캡슐, 및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407B1 true KR101655407B1 (ko) 2016-09-08

Family

ID=5695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952A KR101655407B1 (ko) 2015-09-02 2015-09-02 마이크로 캡슐, 및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4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0436A (zh) * 2018-03-14 2018-06-29 佛山市迭蓓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微胶囊眼部紧致肌底液及制备方法
KR101953858B1 (ko) * 2017-01-13 2019-03-06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히알루론산과 오일이 포함된 안정성이 증가된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 캡슐
US20190290575A1 (en) 2018-03-23 2019-09-26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11672754B2 (en) 2020-06-16 2023-06-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54479A1 (en) * 2004-06-11 2007-02-21 Ono Pharmaceutical Co., Ltd. Capsule stable against mastication
KR20100026441A (ko) * 2008-08-29 2010-03-10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성분 함유 마이크로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49716B1 (ko) * 2010-07-13 2013-04-05 코웨이 주식회사 이중 쉘 구조를 갖는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54479A1 (en) * 2004-06-11 2007-02-21 Ono Pharmaceutical Co., Ltd. Capsule stable against mastication
KR20100026441A (ko) * 2008-08-29 2010-03-10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성분 함유 마이크로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49716B1 (ko) * 2010-07-13 2013-04-05 코웨이 주식회사 이중 쉘 구조를 갖는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C. Gomez-Guillen 등, Functional and bioactive properties of collagen and gelatin from alternative sources: A review(2011)*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858B1 (ko) * 2017-01-13 2019-03-06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히알루론산과 오일이 포함된 안정성이 증가된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 캡슐
CN108210436A (zh) * 2018-03-14 2018-06-29 佛山市迭蓓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微胶囊眼部紧致肌底液及制备方法
US20190290575A1 (en) 2018-03-23 2019-09-26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11701322B2 (en) 2018-03-23 2023-07-18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11672754B2 (en) 2020-06-16 2023-06-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21104B (zh) 一种美白霜及其制备方法
KR101655407B1 (ko) 마이크로 캡슐, 및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87328B1 (ko) 마크로 크기의 지질 캡슐 입자를 갖는 에멀젼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1244149B1 (ko) 줄기세포 증식 촉진 기능을 갖는 피부 미백용 펩타이드 조성물
CN110314118A (zh) 具有抗衰老、修复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007469B1 (ko) 이데베논 또는 코엔자임q10을 함유하는 니오좀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09099167A1 (ja) 養毛化粧料
JP2006225310A (ja) 皮膚外用剤
CN109893463A (zh) 一种美白多肽组合物及其制备和用途
EP3442662B1 (en) Method of improving the appearance of periorbital dyschromia
JP2006028148A (ja) 外用組成物
KR100475255B1 (ko) 캐비어 추출물을 포함하는 나노좀의 유액 조성물 및 그를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3160463A (ja) 皮膚外用剤
KR101050237B1 (ko)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CN112587439B (zh) 一种抗氧化肽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90010482A (ko)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모 방지 및 흑모 촉진용 조성물 및 제품
JP2013006775A (ja) コラーゲンゲル収縮促進剤及びアクチン蓄積増強剤
JP2011207778A (ja) 皮膚外用剤又は化粧料
JP3885243B2 (ja) 皮膚化粧料
JP3390549B2 (ja) 皮膚化粧料
US7829068B2 (en) Cosmetic bronzing agent based on dihydroxyacetone
KR102464344B1 (ko) 연어 유래 프로테오글리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dtc 유전자 개인 맞춤형 색소 침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JPH10218729A (ja) 老化防止化粧料
CN106821832B (zh) 一种包含人参提取物和牛蒡提取物的组合物
KR20150018065A (ko) 아스타잔틴-포함 액상 성분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