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971B1 - 잠수함으로부터의 탑재체 전개용 조립체 - Google Patents

잠수함으로부터의 탑재체 전개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971B1
KR101245971B1 KR1020087011065A KR20087011065A KR101245971B1 KR 101245971 B1 KR101245971 B1 KR 101245971B1 KR 1020087011065 A KR1020087011065 A KR 1020087011065A KR 20087011065 A KR20087011065 A KR 20087011065A KR 101245971 B1 KR101245971 B1 KR 101245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marine
pressure vessel
payload
assembly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1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1559A (ko
Inventor
마이클 울브라이트
크리스 머피
제임스 도빈
Original Assignee
밥콕 인터그레이티드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밥콕 인터그레이티드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밥콕 인터그레이티드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71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40Rescue equipment for personnel
    • B63G8/41Capsules, chambers, water-tight boats or the like, detachable from the submar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2Devices for holding or launching life-buoys, inflatable life-rafts, or other floatable life-sav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잠수함(1)은 구명벌(life-raft)(5)을 전개시키기 위한 조립체(3)를 구비하며, 이 조립체(3)는 잠수함의 압력 선체(11)의 외측에 형성된 구멍(7) 내에 위치한다. 조립체는 구명벌(5)을 일정 기압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압력 용기(4)를 포함한다. 수중에서 전개시키기 위해, 구멍(7)에 대한 개구에 덮인 뚜껑(71)이 해제되어, 부양성을 갖는 조립체(3)가 수면을 향해 상승할 수 있게 한다. 센서(43)가 수면에 대한 근접 정도를 결정하고, 이에 의해 압력 용기 내의 공압 램(42)이 작동하여 압력 용기(4)로부터 구명벌(5)을 배출시키게 된다.
잠수함, 비상 사태, 구명벌, 수면, 압력 용기, 커버

Description

잠수함으로부터의 탑재체 전개용 조립체{ASSEMBLY FOR DEPLOYING A PAYLOAD FROM A SUBMARINE}
본 발명은 잠수함으로부터 탑재체(payload), 예를 들면 구명벌(life raft)을 전개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명벌은 잠수함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것으로서, 비상 사태에서 사용하여 잠수함을 안전하게 포기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다.
표준 구명벌은 잠수함의 깊은 잠수 깊이에서의 압력에 견디도록 설계되어 있지는 않다. 따라서, 구명벌은 통상 잠수함의 압력 선체(pressure hull) 내에, 즉 잠수함에서 일정한 기압으로 유지된 메인 내부 용적 내에 통상 저장되고 있다. 이는 구명벌이 잠수함의 탈출 해치(hatch)를 통해 사람이 운반할 정도로 충분히 작아야 함은 물론, 전개(deployment)를 위한 준비 상태로 저장되어 있는 동안에는 잠수함의 압력 선체 내의 유용 공간이 소비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잠수함으로부터의 탑재체를 전개시키기 위한 조립체를 포함하는 잠수함으로서, 그 조립체는 잠수함의 압력 선체의 외부의 소정 위치에서 잠수함 상에 또는 그 내에 방출 가능하게 유지되는 한편, 내부에 있는 탑재체를 일정 기압 상태로 저장하는 압력 용기를 구비하며, 내부에 탑재체가 있는 압력 용기는 수중에서 부양성(buoyant)을 가지며, 이 압력 용기에는 또한 해제 가능 커버로 덮인 개구와, 이 개구를 통해 탑재체를 밀어내는 램(ram)이 마련되며, 이 램은 탑재체에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는 맞물림면을 구비하며, 이 맞물림면과 개구 사이에 탑재체가 위치하게 되는 그러한 탑재체 전개용 조립체를 포함하는 잠수함이 제공될 수 있다.
해제 가능 커버는 부서지기 쉬운 것이거나, 압력 용기의 내부 용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압력에 대해 최저 저항성을 갖는 일방향 압력 캡일 수 있다. 따라서, 램의 작동시에, 램은 탑재체를 해제 가능 커버에 대해 압박하여, 커버가 파괴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는 탑재체가 개구를 통해 밀어내어 지는 것을 저지할 수 없게 된다. 대안적으로, 커버는 랩이 작동하기 전에 예를 들면 단일 부재로서 해제될 수도 있다. 이 램은 바람직하게는 공압 램이다. 공압 램은, 밸브(이하, "시동 밸브(firing valve)"라고도 함)를 통해 압축 공기 저장조(이하, "시동 저장조"라고도 함)에 연결되어 있는 공기 잭(air jack)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잭은 탑재체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는 맞물림면으로서 작용을 하는 평탄면을 일단부에 구비할 수 있다. 시동 저장조는 표준 압축 공기 용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기가 시동 저장조로부터 공기 잭으로 유입되는 경우, 공기 잭이 팽창하여, 탑재체를 예를 들면 부서지기 쉬운 커버나 일방향 압력 캡을 통해 압력 용기 밖으로 밀어내게 된다.
공압 램 대신에, 다른 형태의 램이 사용될 수 있는 데, 예를 들면 그 램은 소형 유압 어큐뮬레이터 및 피스톤일 수 있고, 심지어는 폭발식(pyrotechnic), 전자기계식, 공압식 또는 유압식 소형 락 볼트(lock bolt)에 의해 해제되는 기계적 스프링일 수 있다. 하지만, 그러한 램을 작동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조건은 물론, 압력 용기의 개구를 통해, 예를 들면 부서지기 쉬운 캡 또는 일방향 압력 캡을 통해 탑재체를 밀어낸다는 궁극적인 결과는 공압 램과 동일할 수 있다.
탑재체가 압력 용기 내에 위치함으로써, 탑재체가 적절한 압력, 즉 그 탑재체의 실질적 손상을 야기하지 않는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어, 탑재체를 잠수함의 압력 선체 외부에 저장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탑재체의 저장 중에 잠수함 내부의 유용 공간을 소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탑재체는 예를 들면 압력 선체의 탈출 해치를 통해 넣어질 정도로 충분히 작을 필요도 없다.
압력 용기의 내부와 관련한 "일정 기압 상태(pressurized state)"란 용어는, 그 용기 내의 압력이 용기의 외부의 압력과는 다르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그러한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압력 용기 내의 압력이 예를 들면 잠수함이 잠수 중인 경우에 그 용기 외부의 압력보다 낮음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압력 용기의 내부 압력은 대기압, 즉 1bar와 대략 동일하다. 따라서, 단지 대기압에서만 사용하도록 설계된 탑재체를 수심이 깊은 곳의 잠수함이 손상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압력 용기는 탑재체를 건조한 환경에서 유지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탑재체 전개용 조립체는 잠수함의 압력 선체와 케이싱(외부 선체) 사이의 자유 충수 공간(free-flood space)과 같은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그 조립체는 예를 들면 잠수함의 케이싱의 외측에 장착된 포드(pod) 내에나 자수함의 브리지 핀(bridge fine) 내에와 같은 다른 곳에 저장될 수도 있다.
잠수함은 압력 용기가 내부에 저장될 포켓 또는 구멍(well)을 구비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포켓 또는 구멍은 바람직하게는 잠수함의 압력 선체와 케이싱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다.
탑재체 전개용 조립체는 지지 케이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지지 케이지는 압력 용기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하나 이상의 완충 마운트(shock mount)를 통해 잠수함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해제 가능 커버는 유지 스트랩에 의해 압력 용기 상에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유지 스트랩의 양단부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해제 가능 기구를 통해 지지 케이지에 부착되어, 양단부 사이의 스트랩의 중앙 부분이 압력 용기의 해제 가능 커버에 접촉 상태로 그 위를 지나도록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지 스트랩은 충격 시에 압력 용기의 개구에서 내압 밀봉을 유지하는 데에 도움되고, 또한 충격 시에 압력 용기를 지지 케이지에 대해 제위치에 유지하게 된다.
유지 스트랩은 잠수함의 압력 선체 내부의 스트랩 해제 기구나 잠수함의 외부 케이싱 상에 장착된 해제 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지지 케이지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잠수함이 잠수 중인 경우, 그러한 해제 기구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면 스트랩이 해제되어, 압력 케이지가 그 자신의 부력으로 인해 지지 케이지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잠수함이 잠수 중이 아닌 경우, 그러한 해제 기구의 작동은 탑재체가 램에 의해 전개되게 할 것이다.
스트랩 해제 기구는 하나 이상의 강성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샤프트는 용기의 상부 위에서부터 유지 스트랩을 해제시키도록 래치가 작동하게 되는 위치로 축방향 이동하거나, 회전 이동하거나, 이들 두 이동의 조합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트랩 해제 기구는 단부에 폐쇄 유압 실린더를 갖는 하나 이상의 유압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 실린더는 적절한 다이어프램에 의해 유지되는 가압 상태의 유압유를 수용할 수 있다. 해제 기구의 작동시에, 마스터 실린더의 다이어프램이 천공되어, 그러한 폐쇄 시스템 내로 추가적으로 유압유가 배출되게 함으로써 각 래치 기구에 인접한 실린더들이 작동하여 스트랩을 해제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탑재체 전개용 조립체는 잠수함의 구명벌 전개 시스템을 구성하거나 그 일부를 이루게 되는 데, 이 경우 탑재체는 구명벌, 가장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화 구명벌(containerised life raft)이다.
바람직하게는, 잠수함은 압력 용기를 잠수함(예를 들면, 잠수함의 포켓 또는 구멍)으로부터 방출시키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포켓 또는 구멍의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잠수함 외부의 환경으로 개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는 해제 가능 뚜껑으로 덮여있다. 이 뚜껑은 포켓 또는 구멍에 대한 수밀 밀봉을 제공하거나, 포켓 또는 구멍이 자유로이 물로 채워질 수 있게 하는 데, 그 뚜껑은 단지 잠수함의 케이싱의 "윤곽선"을 유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포켓 또는 구멍은 잠수함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며, 이 포켓 또는 구멍의 개구는 포켓 또는 구멍의 상부 영역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압력 용기는 수중에서 부양성이 있기 때문에, 뚜껑(유지 스트랩이 마련된 경우에는 유지 스트랩도 함께)이 해제된 경우, 압력 용기의 구속이 해제되어, 압력 용기는 물이 채워진 포켓 또는 구멍의 개구를 통해 위로 상승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압력 용기를 잠수함으로부터 진수(launching)시키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는 단지 포켓 또는 구멍의 뚜껑을 해제하는 기구(뚜껑 해제 기구)(스트랩이 마련된 경우에는 스트랩 해제 기구도 함께)이면 된다. 이상적으로는, 뚜껑이 부양성을 갖기 때문에, 뚜껑이 해제되는 경우 포켓 또는 구멍으로부터 수면을 향해 부상하게 되어, 뚜껑으로 인해 포켓 또는 개구가 막히는 것이 방지된다. 대안적으로, 뚜껑은 중심선을 따라 분할되어, 포켓 또는 구멍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게 선회함으로써 개구가 차단되지 않게 하는 2개의 부재로 된 뚜껑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부, 상향, 하부, 위, 아래 등과 같은 용어는 정상적인 사용시, 즉 잠수함이 수평이 잡힌 상태로 있는 경우 탑재체 전개용 조립체 및 잠수함의 구성 요소들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고자 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압력은 절대 압력이다.
바람직하게는, 뚜껑 해제 기구는 하나 이상의 강성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샤프트는 포켓 또는 구멍의 개구 위에 뚜껑을 고정시키는 하나 이상의 래치를 해제시키는 위치로 축방향 이동하거나, 회전 이동하거나, 이들 두 이동의 조합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뚜껑 해제 기구는 단부에 폐쇄 유압 실린더를 갖는 하나 이상의 유압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유압 실린더는 적절한 다이어프램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가압 상태의 유압유를 수용한다. 해제 기구의 작동시에, 마스터 실린더의 다이어프램이 천공되어, 그러한 폐쇄 시스템 내로 추가적으로 유압유가 배출되게 함으로써 각 래치 기구에 인접한 실린더들이 작동하여 뚜껑을 해제시키게 된다.
뚜껑 해제 기구 및/또는 스트랩 해제 기구는 어느 경우에든지 하나 이상의 강성 샤프트를 이동시키거나, 마스터 실린더의 다이어프램을 천공하기 위해 손잡이 또는 수동 유압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유압 펌프는 잠수함에서 선체 천공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데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손잡이 또는 수동 펌프는 잠수함의 제어실에 있거나, 승무원이 접근할 수 있는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뚜껑 및/또는 스트랩 해제 기구의 전술한 내부 손잡이 또는 펌프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로, 잠수함의 케이싱의 외측에 하나 이상의 손잡이를 마련하여, 그 작동에 의해 뚜껑 및/또는 스트랩 해제 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러한 외부 손잡이의 수동 해제는 잠수함이 수면으로 부상하였을 때에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잠수함이 잠수중인 경우에도, 외부 손잡이의 작동을 다이버에 의해 여전히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손잡이의 작동이 외부 손잡이를 거꾸로 구동하게 된다거나 그 반대로 되는 일 없도록 해제 기구에는 어느 정도의 "로스트 모션(lost motion)"이 존재한다.
압축 용기를 진수시키는 액추에이터, 즉 뚜껑 및/또는 유지 스트랩을 해제하는 기구는 그러한 압축 용기가 잠수함의 표준 전원(플랫폼 전원)을 이용할 수 없는 비상 사태에서 진수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뚜껑 해제 기구는 뚜껑 해제 기구의 작동이 유지 스트랩 해제 기구를 작동시키도록 유지 스트랩 해제 기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들 기구의 연결은 해제 손잡이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강성 링크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뚜껑 및 유지 스트랩을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저장 에너지의 방출하게 되는 폐쇄 유압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력 용기로부터 탑재체를 밀어내는 램은 단지 압력 용기를 진수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가 작동되었을 때(즉, 유지 스트랩이 마련된 경우에는 유지 스트랩은 물론 뚜껑을 고정시키는 래치들이 수동 또는 기타 방식으로 해제된 경우)에만 활성화, 즉 사용 준비 상태로 된다. 본질적으로, 이는 탑재체가 압력 용기로부터 배출될 수 있기 전에 충족해야하는 "제1 조건"이라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 압력 용기가 잠수 중인 잠수함으로부터 진수되면, 압력 용기는 그 부양성으로 인해 수면을 향해 상승(그 내에 탑재체가 있는 상태로 상승)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압력 용기는 수면을 향해 상승할 때에 밀봉 상태로 유지되어, 탑재체를 위한 바람직한 내부 환경(예를 들면, 1bar의 압력)을 유지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수면에 또는 그에 근접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램은 탑재체를 자동적으로 압력 용기로부터 밀어내도록 구성된다.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램은 압력 용기가 수면에 또는 그 근처에 있는 지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질적으로, 압력 용기가 수면에 또는 그 근처에 있음을 센서가 감지한 경우, 탑재체를 진수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제2 조건"(전술한 제1 조건에 추가적으로)이 충족될 수 있다. 센서는 압력 용기 외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대기압(예를 들면, 1bar) 또는 그에 근사한 압력과 같은 미리 정해진 압력에서 램은 압력 용기를 압박하도록 구성된다. 대기압에 근사한 압력을 가리키게 되면 압력 용기가 수면에 또는 그 근처에 있음을 나타낸다.
대안적으로, 센서는 예를 들면 음파 탐지 장치일 수 있다. 이 음파 탐지 장치는 음파를 발신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음파가 그 장치에서부터 이동하여 수면에서 반사된 후에 다시 장치로 돌아오는 데에 걸리는 시간을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음파를 발신하였다가 다시 수신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짧을수록 음파 탐지 장치가 수면에 보다 근접해 있게 된다. 따라서, 그러한 시간을 기록함으로써 수면에 대한 압력 용기의 근접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램은, 일단 "제1 조건" 및 "제2 조건" 모두가 충족된 경우에만, 즉 압력 용기를 진수시키는 액추에이터가 작동되었고(예를 들면, 뚜껑과, 유지 스트랩이 마련된 경우 유지 스트랩은 물론 뚜껑을 고정시키는 래치들이 수동 또는 기타 방식으로 해제된 경우), 센서에 의해 압력 용기가 수면에 또는 그 근처에 있음이 감지된 경우에만, 압력 용기의 개구를 통해 탑재체를 밀어내도록(즉, 탑재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이 충족된 경우, 공압 램의 시동 밸브는 개방, 즉 시동 저장조에서 공기 잭으로 공기가 흐를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충족해야할 전술한 두 조건을 필요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잠수함이 정상적인 작동 중에 수면으로 부상하고 있고 탑재체를 전개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탑재체 램이 탑재체를 배출시키려고 하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탑재체가 구명벌인 경우, 그 구명벌을 압력 용기로부터 밀어내는 작용은 구명벌의 팽창 절차가 시작되게 한다. 예를 들면, 구명벌이 (대부분의 컨테이너화 구명벌에 대해 공통적인) 핀(pin)의 제거시에 팽창하도록 구성된 경우, 핀과 압력 용기 사이에 끈(lanyard)이 연결되어, 구명벌의 배출시에 끈이 팽팽하게 당겨져 핀이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 탑재체가 전개되면 그 탑재체는 잠수함과 연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압력 용기와 잠수함 사이에 밧줄이 설치될 수 있고, 다른 밧줄이 압력 용기와 탑재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은 상기한 조립체가 구명벌 전개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경우, 전개된 구명벌이 잠수함으로부터 표류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특히 유리하다. 이와 같이, 전개된 구명벌이 잠수함에, 예를 들면 전개된 구명벌이 잠수함에 대해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가요성 밧줄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최종 상태"에서, 구명벌은 본질적으로 잠수함을 위한 조난 표시용 부표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조난 표시용 부표로서 기능을 하는 구명벌의 능력은, 구명벌이 일단 전개되었을 때에 작동하게 되는 표준적인 로케이터 무선 표지(locator beacon) 및 위성 항법 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의 바람직한 특징들을 구명벌이 갖고 있는 경우 향상될 수 있다.
물론, 다른 형태의 탑재체를 위한 적절한 "최종 상태"는 탑재체의 사양에 좌우될 것이다.
압력 용기와 잠수함 사이에 설치된 밧줄은 화전 가능한 밧줄 드럼 상에 저장되어, 압력 용기가 사용 중에 수면까지 상승하는 경우에 그 밧줄이 드럼으로부터 풀리게 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밧줄 드럼은 드럼이 회전하는 속도를 제어하여 밧줄이 드럼으로부터 풀리는 속도를 제어하는 마찰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찰 브레이크는 압력 용기가 상승하는 동안에 밧줄을 팽팽하게 유지하여, 상승 중에 밧줄이 엉키거나 잠수함의 일부 또는 다른 물체에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밧줄과 잠수함 간의 연결은 잠수함이 밧줄의 가용 길이보다 더 깊게 내려간 경우에, 밧줄이 잠수함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약하게 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밧줄은 잠수함의 최대 잠수 깊이에서 압력 용기가 수면에 도달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길 수 있다. 그보다 감소된 위치에서는 압력 용기가 수면에 도달하는 것이 밧줄에 의해 전혀 저지되지 않게 될 것이다.
압력 용기와 탑재체 사이에 설치된 밧줄은 탑재체가 압력 용기 내에 있는 동안에 압력 용기 내에 코일 형태로 감겨있을 수 있지만, 탑재체가 예를 들면 수면에서 압력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경우, 풀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밧줄은 수면에서 압력 용기와 탑재체가 멀리 떨어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잠수함과 압력 용기 사이에 설치된 밧줄보다 짧다.
본 발명의 조립체가 잠수 중인 잠수함으로부터 탑재체를 전개시키기에 적합하지만, 잠수함이 수면에 부상해 있는 경우에도 탑재체를 전개시키기에 적합할 수 있다. 잠수함이 수면에 부상해 있는 경우, 압력 용기는 잠수함의 포켓 또는 구멍으로부터 부상할 수 없고, 그 내에 위치하여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에서는 램이 탑재체를 배출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조건들 중 하나(제2 조건)가 충족되어 있을 수 있다(예를 들면, 1bar의 압력이 압력 센서에 의해 기록될 수 있음). 따라서, 유지 스트랩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 유지 스트랩은 물론 뚜껑을 고정시키는 래치들이 예를 들면 손으로 직접 해제되거나, 강성 샤프트 또는 유압 시스템 등을 통해 해제되고, 램 "활성화" 기구가 작동한 경우, 탑재체는 압력 용기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기한 조립체가 구명벌, 특히 컨테이너화 구명벌을 전개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경우, 구명벌은 배출시에 팽창하기 시작할 수 있고, 잠수함의 케이싱의 표면에 여전히 남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구명벌과 압력 용기를 연결하는 밧줄은 그 구명벌이 주변으로 물로 미끄러져 들어가 탑승을 위해 준비가 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립체가 동일한 절차를 이용하여 잠수 중이거나 수면에 부상해 있는 잠수함 모두로부터 탑재체를 전개시킬 수 있다는 구성의 간이함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주요한 이점이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잠수함으로부터의 탑재체를 전개시키기 위한 조립체를 포함하는 잠수함으로서, 그 조립체는 잠수함의 압력 선체의 외부의 소정 위치에서 잠수함 상에 또는 그 내에 방출 가능하게 유지되는 한편, 내부에 있는 탑재체를 일정 기압 상태로 저장하는 압력 용기를 구비하며, 내부에 탑재체가 있는 압력 용기는 수중에서 부양성을 가지며, 압력 용기에는 압력 용기가 수면에 또는 그 근처에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마련되며, 압력 용기에는 또한 해제 가능 커버로 덮인 개구와, 압력 용기가 수면에 또는 그 근처에 있음을 센서가 감지한 경우에 개구로부터 커버를 해제시키는 커버 해제 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그러한 탑재체 전개용 조립체를 포함하는 잠수함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센서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한 센서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예를 들면, 센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 센서이거나 음파 탐지 장치일 수 있다.
해제 기구는 커버를 해제하도록 커버에 대해 압박되는 탑재체 자체 또는 몇몇 적절한 추가적인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래치, 스프링 등의 다른 해제 기구가 가능할 수도 있다.
커버는 단일 부재로서 해제될 수 있거나, 부서지기 쉽게 이루어져 이 부서지기 쉬운 커버를 파괴함으로써 개구로부터 커버를 제거하도록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탑재체는 예를 들면, 컨테이너화 구명벌과 같은 구명벌이다. 바람직하게는, 커버 해제 기구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은 램을 포함하며, 센서는 램의 구성 요소이다. 바람직하게는, 커버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커버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바람직하게는, 압력 용기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밧줄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잠수함으로부터 탑재체를 전개시키기 위한 압력 용기로서, 해제 가능 커버로 덮인 개구와, 이 개구를 통해 탑재체를 밀어내는 램을 구비하며, 이 램이 탑재체에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는 맞물림면을 구비하며, 이 맞물림면과 개구 사이에 탑재체를 일정 기압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압력 용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램 및 커버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은 램 및 커버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바람직하게는, 탑재체는 예를 들면 컨테이너화 구명벌과 같은 구명벌이다. 바람직하게는 압력 용기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압력 용기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은 뚜껑 및/또는 밧줄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탑재체를 일정 기압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잠수함으로부터 탑재체를 전개시키기 위한 압력 용기로서, 이 압력 용기에는 수면에 또는 그 근처에 있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하는 센서가 마련되며, 압력 용기가 또한 해제 가능 커버에 의해 덮인 개구와, 압력 용기가 수면에 또는 그 근처에 있음을 센서가 감지하는 경우에 개구로부터 커버를 해제시키는 커버 해제 기구를 포함하는 그러한 압력 용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은 센서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예를 들면, 센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 센서이거나 음파 탐지 장치일 수 있다.
해제 기구는 적절한 압력에서 커버를 해제하도록 커버에 대해 압박되는 탑재체 자체 또는 몇몇 적절한 추가적인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래치, 스프링 등의 다른 해제 기구가 가능할 수도 있다.
커버는 단일 부재로서 해제될 수 있거나, 부서지기 쉽게 이루어져 그 부서지기 쉬운 커버를 파괴함으로써 개구로부터 커버를 제거하도록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탑재체는 예를 들면, 컨테이너화 구명벌과 같은 구명벌이다. 바람직하게는, 커버 해제 기구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은 램을 포함하며, 센서는 램의 구성 요소이다. 바람직하게는, 커버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커버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바람직하게는, 압력 용기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밧줄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따르면, 잠수함의 압력 선체의 외부의 소정 위치에서 잠수함에 방출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잠수함으로부터의 탑재체 전개용 조립체로서, 내부에 탑재체가 배치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양태에 따른 압력 용기를 포함하며, 내부에 탑재체가 배치되어 있는 압력 용기는 수중에 있는 경우 부양성을 갖는 것인 탑재체 전개용 조립체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탑재체는 예를 들면 컨테이너화 구명벌과 같은 구명벌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로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잠수한 상태의 잠수함으로부터 구명벌을 전개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는 구명벌을 전개하기 전의 상태에 있는 도 1의 잠수함의 조립체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구명벌 전개의 초기 단계 중에 있는 도 1의 잠수함의 조립체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는 구명벌 전개의 후반 단계 중에 있는 도 1의 잠수함의 조립체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구명벌을 전개하기 전의 상태에 있는 도 1의 잠수함의 조립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6은 구명벌 전개의 초기 단계 중에 있는 도 1의 잠수함의 조립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은 구명벌 전개의 후반 단계 중에 있는 도 1의 잠수함의 조립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8은 잠수함이 수면에 부상한 후에 구명벌을 전개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 1의 잠수함의 조립체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는 물(2)(예를 들면, 바다) 속에 잠수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1)이 도시되어 있다. 물(2)의 수면(21)은 물결 모양 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잠수함(1)에는 조립체(3)가 장착되어 있다. 이 조립체(3)는 압력 용기(4) 및 컨테이너화 구명벌(5)을 포함하는 구명벌 전개 시스템을 구성한다. 전개 전에, 구명벌(5)은 대기압 상태로 압력 용기(4) 내에 저장되며, 이 압력 용기(4)는 잠수함의 메인 압력 선체(11)의 외부의 잠수함의 상부 영역에 위치한 엔클로져, 예를 들면 구멍(well)(7) 내에 저장된다. 간략화를 위해, 도 1에서 구멍(7)은 잠수함(1)으로부터 돌출하는 원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 구멍은 예를 들면, 도 2 내지 도 4, 도 5 내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수함의 압력 선체(11)와 외부 케이싱(12) 사이에 그러한 시스템을 설치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존재한다면 케이싱과 압력 선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잠수함의 윤곽선은 조립체(3)를 구비함으로 인해 영향을 받지 않으며, 잠수함의 압력 선체 내부의 유용 공간을 소비할 필요가 없다.
압력 용기(4)를 구멍(7)으로부터 진수시키는 기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진수 되는 경우 압력 용기는 도 1에서 도면 부호 "A" 및 "B"의 상대적 위치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부양성으로 인해 수면을 행해 상승할 수 있다. 상승 중에, 구명벌(5)은 압력 용기(4) 내에서 대기압 상태로 밀봉된 채로 유지된다.
도 1에 도면 부호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면(21)에 도달한 경우, 램에 의해 압력 용기(4)로부터 구명벌(5)이 진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구명벌(5)은 팽창되어 승선하도록 준비가 된다.
잠수함(1)과 압력 용기(4) 사이에는 밧줄(8)이 설치되며, 압력 용기(4)와 구명벌(5) 사이에는 밧줄(9)이 설치된다. 따라서, 구명벌(5)이 전개된 경우, 구명벌(5)과 잠수함(1) 간의 접속이 유지될 수 있다. 이는 구명벌(5)이 전개 후에 잠수함(1)으로부터 표류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구명벌(5)이 본질적으로 잠수함(1)을 위한 조난 표시용 부표로서 기능을 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세 가지 실시예의 압력 용기(4), 컨테이너화 구명벌(5), 구멍(7) 및 기타 구성 요소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 도 2 내지 도 4, 도 5 내지 도 7 및 도 8을 각각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조립체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 는 전개 전에 구멍(7) 내에 위치하는 압력 용기(4)를 도시하고 있다. 구멍(7)의 개구는 그 구멍(7)의 상단에 위치하여, 잠수함의 외부 케이싱(12)과 동일면으로 맞춰진 부양성 뚜껑(71)에 의해 덮여있다. 이 뚜껑(71)은 해제 가능 걸쇠(72)에 의해 제위치에 유지된다. 뚜껑(71)은 그 구멍(7)을 밀봉하여 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있지만, 구멍은 자유로이 충수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구멍(7)의 외부에는 래치 해제 기구(73)가 마련되어 있다. 이 래치 해제 기구(73)는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강성 샤프트(74)를 포함한다. 제1 단부는 압력 선체(11)의 내부에 위치하여 손잡이(75)에 연결된다. 강성 샤프트는 손잡이(75)에서부터 압력 선체(11)의 샤프트 밀봉공(shaft sealed hole)(76)을 거쳐 압력 선체(11)와 외부 케이싱(12) 사이의 영역을 통과하게 된다. 강성 샤프트(74)의 제2 단부는 래치(72)와 협력하는 요소(77)에 연결되어 있다. 사용 중에, 뚜껑 해제 기구(73)는 손잡이(75)를 이동시킴으로써 작동하게 되는 데, 이러한 손잡이의 이동은 래치(72)를 해제하도록 강성 샤프트가 요소(74)를 이동시키게 한다.
도 3에서는 래치 해제 기구(73)의 작동 바로 후의 상태에 있는 본 실시예의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이 래치 해제 기구(73)는 래치(72)를 해제하도록 작동되어 뚜껑(71)을 자유롭게 하였다. 뚜껑(71)이 부양성이 있기 때문에, 뚜껑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7)의 개구로부터 멀어지게 떠올라, 개구를 차단하지 않은 채로 둘 수 있다. 또한, 압력 용기(4)가 부양성이 있기 때문에, 도 3에 역시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 용기가 구멍(7)의 차단되지 않은 개구를 통하여 수면(21)을 향해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단지 래치(72)의 해제만으로도 구멍(7)으로부터 압 력 용기(4)를 진수시키기에는 충분하다.
밧줄(8)은 구멍(7)의 하부에 있는 포트(82)를 통해 압력 용기(4)의 하부(48)와 밧줄 드럼(81)[구멍(7)의 외부에 위치함] 사이에 설치된다. 이 밧줄(8)은 압력 용기가 구멍(7)으로부터 진수되기 전에는 저장을 위해 밧줄 드럼(81) 둘레에 감겨있다. 압력 용기(4)가 수면(21)을 향해 상승함에 따라, 밧줄 드럼(81)이 회전하여 이 밧줄 드럼(81)으로부터 밧줄(8)이 풀리게 된다.
밧줄 드럼(81)은, 수면(21)을 향한 압력 용기(4)의 상승 중에 밧줄(8)을 팽팽하게 유지하도록 밧줄 드럼(81)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밧줄(8)이 드럼(81)으로부터 풀릴 수 있는 속도를 제어하는 마찰 브레이크(83)를 포함한다. 이는 상승 중에 밧줄(8)이 엉키게 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밧줄(8)과 밧줄 드럼(81) 사이의 연결은 잠수함이 밧줄(8)의 가용 길이보다 더 깊이 있는 경우에, 밧줄(8)이 잠수함(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약하게 되어 있다. 이는 압력 용기(4)가 수면(21)에 도달하는 것을 밧줄(8)이 결코 방해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 용기(4) 내에는 컨테이너화 구명벌(5)이 있다. 압력 용기(4)는 그 상단에서 커버[일방향 압력 캡(41)]에 의해 밀봉되어 있고, 그 압력 용기(4)의 내부 압력은 대기압, 즉 1bar로 되어 있다.
압력 용기(4)에는 이 압력 용기(4)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면(21)에 도달할 때에 압력 용기(4)로부터 구명벌(5)을 배출시키도록 작동하는 램(42)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램(42)은 래치 해제 기구(73)가 래치(72)를 해제시키도록 작동되었을 경우에만 활성화된다. 이는 래치 해제 기구(73)와 램(42) 모두와 협력하는 사실상 기계적인 연동 기구(78)를 이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압력 용기(4)가 수면(21)에 또는 그 근처에 있음을 램(42)이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 램(42)은 압력 용기(42) 외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43)를 구비한다. 압력 센서(43)가 1bar의 절대 압력(대기압)을 가리키게 되면, 압력 용기(4)가 수면(21)에 또는 그 근처에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램(42)은 구명벌(5) 아래에 위치하여 밸브[시동 밸브(46)]를 통해 압축 공기의 저장조[시동 저장조(45)]에 연결된 공기 잭(44)을 구비한다. 시동 저장조(45)는 예를 들면 표준 압축 공기 용기이다. 래치 해제 기구(73)가 래치(72)를 해제시키도록 작동되었을 때에 시동 밸브(46)를 활성화시키도록[즉, 시동 밸브(46)가 사용 준비 상태로 되도록) 연동 기구(78)가 시동 밸브(46)에 연결되어 있다. 일단 시동 밸브(46)가 활성화되면, 압력 센서가 1bar를 가리킬 때에 시동 밸브는 개방되도록, 즉 공기가 시동 저장조(45)에서부터 공기 잭(44)으로 흐를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시동 밸브(46)가 작동할 수 있기 전에 그러한 방식으로 활성화되기 때문에, 정상적인 사용 중에 잠수함이 수면에 부상해 있는 경우(즉, 구명벌의 전개가 필요치 않은 경우)에 램(42)이 구명벌(5)을 배출시키려하는 것이 방지된다.
시동 밸브(46)가 개방되는 경우, 공기는 시동 저장조(45)에서 공기 잭(44) 안으로 유입되어, 공기 잭(44)을 팽창시키게 된다. 구명벌(5)은 공기 잭(44) 위의 플랫폼(47) 상에 위치하고 있다. 공기 잭(44)이 팽창함에 따라, 플랫폼(47)은 위쪽으로 밀어지며, 이에 따라 구명벌(5)이 캡(41)에 대해 압박된다. 캡(41)은 압력 용기의 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압력에 대해 최저 저항성을 갖는 일방향 압력 캡이다. 따라서, 구명벌(5)이 캡(41)에 대해 압박되는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41)이 떨어져, 구명벌(5)을 압력 용기(4)로부터 배출된다. 일방향 압력 캡(41) 대신에 부서지기 쉬운 캡이 동일한 효과를 달성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조립체(3)는 압력 용기(4)로부터 구명벌(5)의 배출에 의해 구명벌(5)의 팽창이 시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커넥터(52)를 통해 압력 용기(41)와 구명벌(5)의 핀(53) 사이에 끈(51)이 연결되어 있다. 작동시, 구명벌(5)이 배출될 때에 끈(51)이 팽팽하게 당겨져 핀(3)이 제거된다. 이러한 핀(53)의 제거에 의해 구명벌(5)의 팽창이 시작된다. 구명벌(5)은 밧줄(9)을 통해 압력 용기(4)와 접속 상태를 유지한다.
도 5 내지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예의 대응 요소와 유사 또는 동일한 제2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수함(1)에는 조립체(3)가 장착되어 있다. 이 조립체(3)는 구명벌 전개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부양성 압력 용기(4) 및 그 내에 위치한 컨테이너화 구명벌(5)을 구비하고 있다. 압력 용기(4)는 그 상단부에서 일방향 압력 캡(41)에 의해 밀봉되어 있고, 그 압력 용기(4)의 내부 압력은 대기압, 즉 1bar로 되어 있다. 도 5에서는 압력 용기(4)가 전개 전에 잠수함(1)의 구멍(7) 내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구멍(7)의 개구 및 이 구멍의 부양성 뚜껑(71)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구멍(7) 내에는 압력 용기(4)를 둘러싸는 지지 케이지(30)가 마련되어 있다. 이 지지 케이지(30)는 압력 용기(4)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완충 마운트(31)를 통해 구멍(7) 내에 제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지지 케이지(30)에는 유지 스트랩(34)의 양단부(34a, 34c)가 연결되어 있는 한편, 압력 용기(4)의 캡(41)에는 유지 스트랩(34)의 중앙부(34b)가 접촉하여, 캡(41)을 제위치에 유지하고 있다. 스트랩(34)은 턴버클 장치를 이용하여 스트랩(34)에 장력을 가함에 따라 압력 용기(4)의 내압 밀봉을 유지하는 한편, 해제 기구(173)의 작동에 의해 해제될 수도 있다. 또한, 스트랩(34)은 충격시에 지지 케이지(30)에 대해 압력 용기(4)를 유지하고, 잠수함(1)이 잠수할 때에 구멍(7)이 자유로이 물로 채워지는 경우에 용기(4)가 구멍(7) 내에서 위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한다.
구멍(7) 외부의 해제 기구(173)는 서로 연결된 복수의 가요성 유압 호스를 폐쇄 유압 시스템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해제 기구(73)와 상이하다. 잠수함(1)의 압력 선체(11)와 외부 케이싱(12) 사이의 영역에 있는 메인 호스(174)는 그 제1 단부가 압력 선체(11) 내의 손잡이(175)에 샤프트(176)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 샤프트(176)는 손잡이(175)에서부터 압력 선체(11)의 밀봉공을 거쳐 잠수함(1)의 압력 선체(11)와 외부 케이싱(12) 사이의 영역 안으로 연장한다. 메인 호스(174)의 제2 단부는 래치(72)와 협력하는 제1 요소(177)에 연결되어, 이 제1 요소(177)의 작동에 의해 래치(72)를 로킹 상태와 언로킹 상태 사이에서 이동시키 도록 되어 있다.
메인 호스(174)를 따른 부분에 제1 및 제2 유체 분기부(178, 179)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유체 분기부(178)에서부터 램(42)에 연결된 시동 밸브(46)까지 제1 분기 호스가 연장하고 있다. 이 시동 밸브(46) 및 램(42)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제2 분기 호스는 제2 유체 분기부(179)에서부터, 유지 스트랩(34)의 단부(34a)와 협력하는 제2 요소(180)까지 연장하여, 이 제2 요소(180)의 작동에 의해 스트랩(34)의 단부(34a)를 지지 케이지(30)로부터 해제시키도록 되어 있다.
손잡이(175)의 작동은 저장된 에너지를 배출하여 아래와 같은 세 가지의 작동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래치(72)를 이와 협력하는 요소(177)에 의해 해제시켜 뚜껑(71)이 구멍(7)의 개구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게 하며, 스트랩(34)의 단부(34a)를 지지 케이지(30)로부터 분리시켜 압력 용기(4)의 캡(41)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시키며, 그리고 시동 밸브(46)를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활성화시킨다[본 발명에 있어서, 손잡이(75)의 작동에 의해 스트랩(34)을 지지 케이지(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강성 샤프트(74)에 위치한 추가적인 연동 기구와 함께 제1 실시예의 기계적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유사한 세 가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손잡이(175)의 작동 및 이에 따른 해제 기구(173)의 작동 후에는 도 6에 도시한 상태에 이르게 된다. 도 6에서는 부양성 뚜껑(71)이 떨어져 구멍(7)의 개구로부터 멀리 부상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는 또한 유지 스트 랩(34)의 단부(34a)가 더 이상 지지 케이지(30)에 부착되어 있지 않음을 도시하고 있다. 스트랩(34)의 다른쪽 단부(34c)는 지지 케이지(30)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양단부(34a, 34c) 모두가 지지 케이지(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래치(72)를 작동시키고 유지 스트랩(34)을 지지 케이지(30)로부터 분리시키도록 단지 손잡이(175)를 작동하는 것만으로도 부양성 압력 용기(4)를 구멍(7)으로부터 수면(21)을 향해 진수시키기에는 충분하다.
잠수함(1)과 압력 용기(4) 사이의 밧줄(8), 압력 용기(4)와 구명벌(5) 사이의 밧줄(9), 밧줄 드럼(81) 및 브레이크(83)에 대한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다. 그러나, 밧줄(8)은 지지 케이지(30)의 하부(32)에 형성된 포트(33) 및 구멍(7)의 하부에 형성된 포트(82)를 통과한다. 압력 용기(4)가 수면(21)을 향해 상승함에 따라, 밧줄 드럼(81)이 회전하여 이 밧줄 드럼(81)으로부터 밧줄(8)이 풀리게 된다. 이 밧줄(8)은 압력 용기(4)가 잠수함(1)의 최대 잠수 깊이에서부터 수면(21)에 도달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길게 되어 있다.
압력 용기(4)가 수면(21)에 접근함에 따라, 압력 용기(43)가 1.54bar 미만의 절대 압력(즉, 대기압보다 약간 높은 압력)을 가리키게 되면 압력 용기(4)가 수면(21)에 또는 그 근처에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압력 용기(4)가 수면(21)에 또는 그 근처에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감지되어야 할 압력은 1.24bar 미만의 절대 압력일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해제 기구(173)의 작동 후에 시동 밸브(46)가 일단 활성화되면, 압력 센서(43)가 요구되는 압력(전술한 압력)을 가리키는 경우, 시동 밸브(46)는 개방되도록, 즉 시동 저장조(45)에서부터 공기 잭(44)으로 공기가 흐를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면, 압력 용기(4)로부터 구명벌(5)의 배출 및 구명벌(5)의 팽창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루어진다. 압력 용기(4)와 구명벌(5)의 핀 사이에 끈(51)이 연결된다. 따라서, 구명벌(5)의 배출 시에, 끈(51)이 팽팽하게 당겨지고 핀이 구명벌(5)로부터 제거되어, 구명벌(5)의 팽창이 시작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상태에 이르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플랫폼(47)은 제1 실시예에 도시한 중앙부에 추가로 날개부(47a)를 구비하여, 플랫폼(47) 및 날개부(47a)가 구명벌(5)의 주위에 보조 컨테이너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날개부(47a)는 플랫폼(47)의 둘레부로부터 돌출하여, 압력 용기(4)의 밖으로의 구명벌(5)의 안내를 보조하여, 구명벌이 배출될 때에 압력 용기(4)의 벽에 문질러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수면에서 팽창시에, 구명벌은 항로 이동, 파도 및 바람의 작용을 받게되고, 압력 용기에 끌리게 된다. 밧줄(9)과 구명벌(5) 사이의 연결은 대부분의 기후 조건에서도 구명벌이 잠수함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정도로 충분히 튼튼해야 한다. 기후가 구명벌에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부하를 유발하는 경우에, 구명벌(5)과 밧줄(9) 간의 연결은 구명벌이 압력 용기에 부착되었음으로 인해 손상을 입기 전에 그 구명벌을 압력 용기(4)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약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립체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 것과 동일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구명벌은 잠 수함이 수면에 부상한 후에 전개되어 있다.
도 8에서의 손잡이(175)는 래치(72)를 해제하여 뚜껑(71)이 제거될 수 있게 하는 한편, 유지 스트랩(34)의 단부(34a)를 지지 케이지(30)로부터 해제하여 캡(41)이 변위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시동 밸브(46)를 활성화시키도록 작동되었다. 그러나, 잠수함이 수면(21)에 있기 때문에, 압력 용기(4)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멍(7)에서부터 상승하지 않아, 밧줄(8)이 밧줄 드럼(81)으로부터 풀어지지 않는다. 대신에, 압력 센서(43)가 대기압과 동등한 압력을 검출하기 때문에, 시동 밸브(46)가 개방되어, 공기가 시동 저장조(45)에서부터 공기 잭(44)으로 흐를 수 있게 한다. 구명벌(5)은 공기 잭(44)에 의해 위쪽으로 압박되어 캡(41)을 변위시킨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명벌(5)은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플랫폼(47)으로부터 돌출한 날개부(47a)를 포함하는 보조 컨테이너 내에 위치한다. 제2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보조 컨테이너의 이점 외에도, 제3 실시예에서 보조 컨테이너는 구명벌(5)이 배출될 때에 지지 케이지(30)와 잠수함(1)의 케이싱(12) 사이에 갇히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추가적인 이점을 갖는다. 플랫폼(47)이 공기 잭(44)에 의해 상승된 후에 보조 컨테이너의 날개부(47a)가 벌어지면서, 구명벌(5)이 리세스 밖으로 올려보내져 손상을 입지 않고 케이싱(12) 상에 올려질 수 있게 된다(그러한 보조 컨테이너는 또한 제1 실시예의 시스템, 즉 지지 케이지 또는 유지 스트랩이 없는 시스템에 이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구명벌(5)(및 보조 컨테이너)을 공기 잭(44)에 의해 위로 압박하는 작용은 압력 용기(4)와 구명벌(5)의 핀 사이에 연결된 끈(51)에 장력을 가하게 되어, 핀을 구명벌(5)로부터 잡아당겨 구명벌(5)을 팽창시키게 된다. 구명벌(5)은 압력 용기(4)에 이들 사이의 밧줄(9)을 통해 부착 상태로 유지되며,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잠수함(1)의 외부 케이싱(갑판)(12) 상에 놓이게 되거나, 바다(2)로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게 된다.

Claims (25)

  1. 잠수함(1)으로부터 탑재체(payload)(5)를 전개시키기 위한 조립체(3)를 포함하는 잠수함(1)으로서, 상기 조립체(3)는 잠수함(1)의 압력 선체(11)의 외부의 소정 위치에서 잠수함(1) 상에 또는 그 내에 방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한편, 탑재체(5)를 일정 기압 상태로 저장하는 압력 용기(4)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체(3)는 탑재체(5)가 압력 용기(4) 내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수중에서 부양성(buoyant)을 갖고 있으며,
    상기 압력 용기(4)에는 해제 가능 커버(41)로 덮인 개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인 잠수함(1)에 있어서,
    상기 압력 용기(4)는 상기 개구를 통해 탑재체(5)를 밀어내는 램(ram)(42)을 더 구비하며, 이 램(42)은 탑재체(5)에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는 맞물림면을 구비하며, 이 맞물림면과 상기 개구 사이에 탑재체(5)가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3)는 잠수함(1)으로부터 방출된 후에 램(42)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인 잠수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램(42)은 공압식인 것인 잠수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램(42)은 시동 밸브(46)를 통해 압축 공기 저장조(45)에 연결된 팽창 가능 공기 잭(air jack)(44)을 구비하는 것인 잠수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3)는 이 조립체가 수면(21)에 또는 그 근처에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43)를 구비하며, 상기 램(42)은 센서(43)에 의해 조립체가 수면(21)에 또는 그 근처에 있음이 감지된 경우 상기 개구를 통해 탑재체(5)를 밀어내도록 구성되는 것인 잠수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가능 커버(41)는 유지 스트랩(34)에 의해 압력 용기(4) 상에 유지되며,
    상기 잠수함(1)은, 유지 스트랩(34)에 연결되어 액추에이터(75, 175)의 작동시에 해제 가능 커버(41)로부터 유지 스트랩(34)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스트랩 해제 기구를 포함하는 것인 잠수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3)는 잠수함(1)의 외부 환경에 대한 개구를 갖는 구멍(well)(7) 내에 위치하며, 이 구멍의 개구는 분리 가능 뚜껑(71)에 의해 덮여 있고,
    상기 잠수함(1)은, 상기 뚜껑(71)에 연결되어 액추에이터(75, 175)의 작동시에 분리 가능 뚜껑(71)을 개구로부터 해제하도록 구성된 뚜껑 해제 기구를 포함하는 것인 잠수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75, 175)는 스트랩 해제 기구와 뚜껑 해제 기구 모두에 연결되어, 액추에이터(75, 175)의 작동에 의해 스트랩 해제 기구와 뚜껑 해제 기구 모두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인 잠수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3)는 지지 케이지(30) 내에 위치하며, 이 지지 케이지(30)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 마운트(shock mount)(31)를 통해 잠수함(1)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것인 잠수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3)는 유지 스트랩(34)에 의해 지지 케이지(30) 내에 유지되며,
    상기 잠수함(1)은, 유지 스트랩(34)에 연결되어 액추에이터(75, 175)의 작동시에 지지 케이지(30)로부터 유지 스트랩(34)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스트랩 해제 기구를 포함하는 것인 잠수함.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3)를 잠수함(1)으로부터 진수(launching)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75, 175)를 포함하는 것인 잠수함.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3)는 잠수함의 압력 선체(11)와 외부 선체(12) 사이의 형성된 구멍(7) 내에 위치하는 것인 잠수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7)은 잠수함(1)의 외부 환경에 대한 개구를 포함하며, 이 개구는 분리 가능 뚜껑(71)에 의해 덮여 있고, 뚜껑(71)의 분리는 잠수함(1)으로부터 조립체(3)가 진수되게 하는 것인 잠수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71)은 수동으로 분리 가능한 것인 잠수함.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체(5)는 압력 용기(4)로부터 방출된 후에 잠수함(1)에 연결되어 있는 것인 잠수함.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체(5)는 압력 용기(4)에 연결되어 있고, 이 압력 용기(4)는 잠수함(1)에 연결되어 있는 것인 잠수함.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용기(4)는 분리 가능한 밧줄(8)에 의해 잠수함(1)에 연결되어 있는 것인 잠수함.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가능 커버(41)는 부서지기 쉬운 것인 잠수함.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체(5)는 구명벌(life raft)을 포함하는 것인 잠수함.
  20. 해제 가능 커버(41)로 덮인 개구를 구비하는 한편, 탑재체(5)를 일정 기압 상태로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잠수함(1)으로부터 탑재체(5)를 전개시키기 위한 압력 용기(4)에 있어서,
    상기 압력 용기(4)는 상기 탑재체(5)를 상기 개구를 통해 밀어내는 램(42)을 구비하며, 이 램(42)은 탑재체(5)에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는 맞물림면을 구비하며, 상기 압력 용기(4)는 상기 맞물림면과 상기 개구 사이에 탑재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용기.
  21. 잠수함(1)의 압력 선체(11)의 외부의 소정 위치에서 잠수함에 방출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잠수함(1)으로부터 탑재체(5)를 전개시키기 위한 조립체(3)에 있어서,
    청구항 제20항에 따른 압력 용기(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재체 전개용 조립체.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087011065A 2005-10-11 2006-10-09 잠수함으로부터의 탑재체 전개용 조립체 KR101245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520653.7A GB0520653D0 (en) 2005-10-11 2005-10-11 Assembly for deploying a payload from a submarine
GB0520653.7 2005-10-11
PCT/GB2006/003747 WO2007042783A1 (en) 2005-10-11 2006-10-09 Assembly for deploying a payload from a submarin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694A Division KR101245981B1 (ko) 2005-10-11 2006-10-09 잠수함으로부터의 탑재체 전개용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559A KR20080071559A (ko) 2008-08-04
KR101245971B1 true KR101245971B1 (ko) 2013-03-21

Family

ID=354301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065A KR101245971B1 (ko) 2005-10-11 2006-10-09 잠수함으로부터의 탑재체 전개용 조립체
KR1020117023694A KR101245981B1 (ko) 2005-10-11 2006-10-09 잠수함으로부터의 탑재체 전개용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694A KR101245981B1 (ko) 2005-10-11 2006-10-09 잠수함으로부터의 탑재체 전개용 조립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171873B2 (ko)
EP (2) EP2138395B1 (ko)
JP (2) JP2009511343A (ko)
KR (2) KR101245971B1 (ko)
AT (2) ATE510763T1 (ko)
CA (1) CA2625217A1 (ko)
ES (2) ES2365412T3 (ko)
GB (1) GB0520653D0 (ko)
WO (1) WO20070427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20653D0 (en) * 2005-10-11 2005-11-16 Strachan & Henshaw Ltd Assembly for deploying a payload from a submarine
US8091461B1 (en) * 2008-03-05 2012-01-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ystem for water-based launch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DE102009025111B3 (de) * 2009-06-11 2010-12-16 Howaldtswerke-Deutsche Werft Gmbh Unterseeboot
DE102009044479B3 (de) * 2009-11-10 2011-03-31 Dsb Deutsche Schlauchboot Gmbh Auslösevorrichtung für eine Aufblaseinrichtung zum Aufblasen von aufblasbaren Schwimmkörpern
DE202009013701U1 (de) 2009-11-10 2011-03-24 Dsb Deutsche Schlauchboot Gmbh & Co Kg Auslösevorrichtung für eine Aufblaseinrichtung zum Aufblasen von aufblasbaren Schwimmkörpern
RU2489308C2 (ru) * 2011-04-07 2013-08-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Центра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Лазурит" Герметичн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лота спасательного комплекса
US8601970B1 (en) * 2011-06-13 2013-12-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Tethered buoy housing and deployment assembly
KR101340339B1 (ko) * 2012-05-04 2013-1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용 함교탑 커버
FR3001436B1 (fr) * 2013-01-28 2015-02-27 Dcns Engin sous marin du type comportant un logement de reception de moyens formant balise largable
CN104085515B (zh) * 2013-12-18 2016-08-17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北仑科学艺术实验中心 救捞装置及救捞方法
US10112686B2 (en) 2015-01-30 2018-10-30 Woods Hole Oceanographic Institution System for the deployment of marine payloads
TW201700351A (zh) 2015-04-20 2017-01-01 洛克希德馬丁公司 潛水艇壓力管發射筒
RU2611859C2 (ru) * 2015-07-10 2017-03-01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Центра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Лазурит"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ержания спасательного плота над аварийной подводной лодкой, лежащей на грунте, и способ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US20170081005A1 (en) * 2015-09-21 2017-03-23 Lockheed Martin Corporation Autonomous unmanned underwater vehicles
US11072406B2 (en) * 2016-01-29 2021-07-27 Woods Hole Oceanographic Institution System for the deployment of marine payloads
US10287022B2 (en) 2016-08-29 2019-05-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ressure activated release for deployment of surface, aerial and subsea payloads
KR200484386Y1 (ko) * 2016-09-09 2017-09-12 김철우 잠수함용 구명부이 장치
US10271121B2 (en) 2016-09-23 2019-04-23 Apple Inc. Shock mounted transducer assembly
CN106585922B (zh) * 2016-12-15 2018-06-29 湖北工业大学 可自动报警的游泳穿戴设备
DE102017203961B4 (de) 2017-03-10 2022-07-21 Thyssenkrupp Ag Unterseeboot mit einem Unterwasserrettungsgerät
FR3065196B1 (fr) 2017-04-14 2019-12-13 Thales Bouee
CN109018257B (zh) * 2018-09-13 2023-05-26 浙江海洋大学 一种蛛网式水下搜救设备
KR102065553B1 (ko) * 2018-11-14 2020-01-13 주식회사 포어시스 인명 구조용 튜브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590603B1 (ko) * 2018-11-15 2023-10-16 한화오션 주식회사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JP2020142671A (ja) * 2019-03-07 2020-09-10 新明和工業株式会社 救命具射出ドローンおよび水難救助システム
CN110203350A (zh) * 2019-05-29 2019-09-06 潍坊新力蒙水产技术有限公司 柔性深水逃生自救系统
CN113044187B (zh) * 2021-04-08 2021-09-17 中国人民解放军92578部队 救生筏机械释放装置
DE102021206306A1 (de) 2021-06-21 2022-12-22 Thyssenkrupp Ag Absetzsystem für Schlauchboote für ein Unterseeboot
CN113443102B (zh) * 2021-08-19 2022-05-03 江苏科技大学 一种救生筏解锁释放方法
CN113443101B (zh) * 2021-08-19 2022-04-01 江苏科技大学 一种气胀式救生筏装备
CN113501116B (zh) * 2021-08-19 2022-04-12 江苏科技大学 一种气胀式救生筏系统释放操作方法
CN114132459B (zh) * 2021-12-07 2023-07-14 浙江海洋大学 可控的潜水自航u型动力救生圈及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5973333B (zh) * 2022-12-29 2023-10-31 中国人民解放军92578部队 一种救生筏系统承压球壳紧固解锁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1559A (ko) * 2005-10-11 2008-08-04 스트라찬 앤드 헨쇼 리미티드 잠수함으로부터의 탑재체 전개용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1307796A (en) 1913-04-02 1913-12-18 Percy Clark Means for Saving Life from and Marking the Position of Sunken Submarine Vessels.
GB130612A (en) 1914-06-22 Jacobs Jacques A Salvage Device for Submarines
US1741827A (en) * 1928-03-03 1929-12-31 John W Cooke Escape device for submarines
US1721039A (en) * 1928-05-31 1929-07-16 James F Risher Submarine escaping apparatus
FR755198A (fr) 1932-05-17 1933-11-21 Dispositif de sauvetage pour sous-marins
FR870898A (fr) 1939-09-04 1942-03-27 Bouée permettant à un équipage immergé de signaler sa position, de se procurer de l'air frais et de recevoir de la nourriture
US2355918A (en) * 1943-03-30 1944-08-15 Serge G Kotelev Reconnaissance and attack buoy for submarines
US2592461A (en) * 1950-11-30 1952-04-08 Perkins Aircraft crash marker
DE1117432B (de) 1959-03-11 1961-11-16 Adolf Neitzer Einrichtung zur Rettung der Besatzung von untergegangenen Schiffen, insbesondere Unterseebooten
US3499364A (en) * 1959-11-19 1970-03-10 Us Navy Apparatus for submerged launching of missiles
DE1176019B (de) 1963-04-03 1964-08-13 Adolf Neitzer Einrichtung zur Rettung der Besatzung von untergegangenen Schiffen, insbesondere Unterseebooten
FR2130791A5 (ko) 1971-02-03 1972-11-10 Moutier Robert
JPS5930598B2 (ja) * 1978-07-07 1984-07-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救難ブイ離脱膨張装置
JPS6064200A (ja) * 1983-09-17 1985-04-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水中航走体の浮上位置表示装置
JPS6396997U (ko) * 1986-12-16 1988-06-23
GB8813625D0 (en) * 1988-06-09 1988-07-13 Clifford & Snell Ltd Mounting arrangement for marine radio distress beacon
JPH03126787U (ko) * 1990-04-03 1991-12-20
US5170005A (en) * 1991-09-30 1992-12-08 Newport News Shipbuilding And Dry Dock Company System for underwater storage and launching of rockets
GB2288152B (en) 1994-04-07 1997-09-24 Cash Read Simon Hydrostatic release device
GB0212374D0 (en) 2002-05-29 2002-07-10 Whiteley John Submarine escape capsu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1559A (ko) * 2005-10-11 2008-08-04 스트라찬 앤드 헨쇼 리미티드 잠수함으로부터의 탑재체 전개용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23166B2 (ja) 2013-10-23
US8171873B2 (en) 2012-05-08
ES2367158T3 (es) 2011-10-28
JP2009511343A (ja) 2009-03-19
EP1934088A1 (en) 2008-06-25
WO2007042783A1 (en) 2007-04-19
ES2365412T3 (es) 2011-10-04
KR20080071559A (ko) 2008-08-04
ATE508938T1 (de) 2011-05-15
JP2012071828A (ja) 2012-04-12
EP1934088B1 (en) 2011-05-11
KR101245981B1 (ko) 2013-03-20
US20090126619A1 (en) 2009-05-21
KR20110116073A (ko) 2011-10-24
GB0520653D0 (en) 2005-11-16
EP2138395A1 (en) 2009-12-30
EP2138395B1 (en) 2011-05-25
CA2625217A1 (en) 2007-04-19
ATE510763T1 (de)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971B1 (ko) 잠수함으로부터의 탑재체 전개용 조립체
US9853360B2 (en) Inflatable radar signal device
US8096257B2 (en) Emergency encapsulated lift system
KR0137226B1 (ko) 수상 구명기구
US7232354B2 (en) Inflatable buoyancy device with water-dependant triggering mechanism
US6021731A (en) Ballast system for underwater vehicle
RU2525248C2 (ru)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плавучести
US7681515B1 (en) Life raft launcher
EP3275776B1 (en) Water landing parachute trap and method
KR100875469B1 (ko) 잠수함
US7032530B1 (en) Submarine air bag launch assembly
US3657752A (en) Locator devices
EP0598601A1 (en) Automatic activator
US10464693B2 (en) Launch canister with air bag ram
US6968802B1 (en) Buoyant retrieval of unmanned seawater vehicles
RU2174088C1 (ru) Система коллективного спасения экипажа с пл-танкера в аварийном положении при значительных крене и дифференте
JPS5930598B2 (ja) 救難ブイ離脱膨張装置
KR20240024943A (ko) 잠수함용의 팽창가능한 딩기들을 위한, 특히 은밀한 작전을 위한 사출 시스템
UA104457C2 (uk) Глибоководний автономний піднімальний пристрі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