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603B1 -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 Google Patents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603B1
KR102590603B1 KR1020180140387A KR20180140387A KR102590603B1 KR 102590603 B1 KR102590603 B1 KR 102590603B1 KR 1020180140387 A KR1020180140387 A KR 1020180140387A KR 20180140387 A KR20180140387 A KR 20180140387A KR 102590603 B1 KR102590603 B1 KR 102590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boarding
ring
hole
subma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565A (ko
Inventor
임종일
김동현
김상규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0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603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6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40Rescue equipment for personnel
    • B63G8/41Capsules, chambers, water-tight boats or the like, detachable from the submar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63B2702/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수함의 침몰 등의 긴급상황 발생 시 잠수함 내 승조원이 압력선체 관통구와 연결된 해치를 통해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탑승 완료 후 핸들조작을 통해 압력선체 관통구와의 연결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외부 도움없이 수면으로 부상되도록 하여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ESCAPE CHAMBER APPLIED TO SUBMARINE}
본 발명은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잠수함의 침몰 등의 긴급상황 발생 시 잠수함 내 승조원이 압력선체 관통구와 연결된 해치를 통해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탑승 완료 후 핸들조작을 통해 압력선체 관통구와의 연결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외부 도움없이 수면으로 부상되도록 하여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수함의 고장, 파손 등에 의해 잠수함이 침몰하여 부상할 수 없는 긴급상황 발생 시, 함에 부착된 트렁크를 통해 소수의 인원이 순차적으로 탈출하거나, 구조설비를 이용하여 일부의 인원을 순차적으로 탈출시키게 된다.
현재는 낮은 수심에서 소수의 개별인원을 탈출 시키기 위한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이후에는 구명 뗏목(Life Raft) 등을 통해 생존하게 된다.
하지만, 깊은 수심에서 승조원을 탈출 시키기 위해서는 외부의 구조(도움)이 반드시 필요한데, 바다의 경우 해저면의 깊이가 대륙붕 수심 미만인 낮은 수심의 구간이 전체 바다면적의 1% 미만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망망대해에서 침몰함을 승조원 생존 가능 시간 내에 찾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는 대륙붕 심도 이상의 깊은 심도에서 외부 도움없이 자력으로 승조원들을 수면으로 안전하게 부상시킴은 물론 안정적인 생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15573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잠수함의 침몰 등의 긴급상황 발생 시 잠수함 내 승조원이 압력선체 관통구와 연결된 해치를 통해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탑승 완료 후 핸들조작을 통해 압력선체 관통구와의 연결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외부 도움없이 수면으로 부상되도록 하여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는 압력선체 관통구 내측 상부로 수용되며, 승조원이 탑승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탑승 챔버, 상기 탑승 챔버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마련되는 상부 해치 및 하부 해치, 상기 하부 해치와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압력선체 관통구 내측에 마련된 함내해치 관통구와 하나 이상의 볼트를 통해 볼트결합되는 하부해치 관통구, 상기 탑승 챔버의 측면에 설치되며, 하측면이 상기 압력선체 관통구의 상측면에 안착 및 거치되는 탑승 챔버 고정용 링, 상기 탑승 챔버 고정용 링과 상기 압력선체 관통구의 상측면을 밀착 고정시킨 상태를 유지하다가,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탑승 챔버 고정용 링이 상기 압력선체 관통구의 상측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고정상태 해제용 링, 상기 고정상태 해제용 링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회전기어부 및 상기 탑승 챔버를 상측 방향으로 부상시키기 위한 부력을 가지는 부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기어부에 의해 상기 고정상태 해제용 링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 동작함에 따라, 상기 탑승 챔버 고정용 링과 상기 압력선체 관통구의 상측면 간의 밀착 고정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부력수단에 의해 상기 탑승 챔버가 상측 방향으로 부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탑승 챔버는 상기 탑승 챔버 내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공기 제공 수단, 수면으로의 부상 후,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풍수단 및 수면으로의 부상 후, 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부력을 형성하는 부력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 제공 수단은 산소통(oxygen cylinder)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풍수단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상기 탑승 챔버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탑승 챔버의 수면으로의 부상 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통풍관 및 상기 통풍관의 일측 말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통풍관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탑승 챔버는 탑승한 승조원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사다리 및 탑승한 승조원이 착석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접이식 의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해치 관통구는 상기 함내해치 관통구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볼트체결홈과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볼트체결홈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볼트체결홈 각각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볼트체결홈 각각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볼트와, 상기 하나 이상의 볼트와 볼트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너트의 결합에 의해 상기 탑승 챔버가 상기 함내해치 관통구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탑승 챔버 고정용 링은 상기 탑승 챔버의 측면 둘레를 따라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원형의 고리 형태를 가지되,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돌출형성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상태 해제용 링은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가지는 원형의 고리 형태를 가지되, 상측부에는 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음각부가 형성되며, 하측부에는 상기 압력선체 관통구의 측면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탑승 챔버 고정용 링이 상기 압력선체 관통구의 상측면에 안착 및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상태 해제용 링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돌출부와 음각부가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일치하지 않고 어긋나는 경우 상기 탑승 챔버 고정용 링이 상기 압력선체 관통구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고정상태 해제용 링이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돌출부와 음각부가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탑승 챔버 고정용 링과 상기 압력선체 관통구 간의 밀착 고정 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탑승 챔버 고정용 링이 상측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탑승 챔버 고정용 링의 하측면에는 상기 압력선체 관통구의 상측면과 밀착 고정 시, 상기 탑승 챔버 고정용 링의 하측면과 상기 압력선체 관통구의 상측면 사이를 수밀하는 수밀용 실링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기어부는 상기 탑승 챔버로 연결되는 회전핸들, 상기 회전핸들과 연결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회전핸들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고정상태 해제용 링을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기어 및 상기 고정상태 해제용 링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 기어와 연동되는 제3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해치 관통구와 상기 함내해치 관통구 사이에는 디스턴스 피스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탑승 챔버는 2개 이상 마련되며 각각의 탑승 챔버 별로 마련되는 고정상태 해제용 링은 상기 제2 기어에 의해 동시에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2개 이상 마련되는 탑승 챔버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탑승 챔버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부력튜브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대륙붕 심도 이상의 심도에서도 외부 도움없이 자체 부력을 통해 수면으로 부상되도록 하여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높은 강도의 챔버를 통해 탈출 가능한 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만큼 승조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챔버 내 다수의 인원이 탑승할 수 있기 때문에, 일시에 다수의 승조원을 탈출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수면 부상 후 공기주입을 통해 튜브를 펼쳐 수면에서의 안정성을 가질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부해치 관통구(14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탑승 챔버 고정용 링(150)과 고정상태 해제용 링(160)의 체결상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탑승 챔버 고정용 링(150)과 고정상태 해제용 링(160)의 체결상태 및 체결해제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100)는 크게 탑승 챔버(110), 상부 해치(120) 및 하부 해치(130), 하부해치 관통구(140), 탑승 챔버 고정용 링(150), 고정상태 해제용 링(160), 회전기어부(170) 및 부력수단(1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탑승 챔버(110)는 압력선체 관통구 내측 상부로 수용되며, 실제 승조원이 탑승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탑승 챔버(110)는 함의 붕괴심도 이상의 심도에서 수압을 견딜 수 있는 강도로 설계되는데, 유사 시 탑승 챔버(110)가 함으로부터 분리되어 수면으로 부상하게 된다.
이러한 탑승 챔버(110)는 탑승 챔버(110) 내의 공기 부족시 부족한 공기를 보충하기 위한 공기 제공 수단(111), 수면으로의 부상 후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풍수단(112), 수면으로의 부상 후 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부력을 형성하는 부력튜브(113) 및 부력튜브(113)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공기 제공 수단(111)은 일종의 산소통(oxygen cylinder)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통풍수단(112)은 탑승 챔버(110)의 상부에서 외측방향으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인출될 수 있는 통풍관(pipe)(112a) 및 통풍관(112a)을 개폐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개폐 밸브(11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통풍관(112a)은 함이 수면으로 완전히 부상된 후 외측 방향으로 돌출 및 설치될 수 있다.
부력튜브(113)는 탑승 챔버(110)가 수면으로 부상한 후, 안정적으로 수면에 떠있을 수 있도록 공기 주입기(114)에 의해 주입되는 공기를 통해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탑승 챔버(110)는 수면으로의 부상 후 안정적으로 수면에 떠있게 된다.
이러한 탑승 챔버(11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원통형의 프레임을 가지는데, 그에 따라 수면으로의 부상 시 함 내 인접한 구조물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탑승 챔버(110)는 2개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탑승 챔버(110)는 함 내 각각의 압력선체 관통구의 내측 상부에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탑승 챔버(110)는 금속재의 연결구조물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2개가 동시에 수면으로 부상하게 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탑승 챔버(110) 내에는 탑승한 승조원이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사다리(115)와, 탑승한 승조원이 안전하게 착석할 수 있는 접이식 의자(116)가 마련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탑승 챔버(110)의 내측에는 탑승한 승조원이 사용 가능한 각종 생필품 및 구조요청 장치가 포함된 생존키트(117)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해치(120)는 탑승 챔버(110)에 탑승한 승조원이 추후 수면 부상 완료 후 탑승 챔버(110) 밖으로 탈출하기 위한 탈출로 역할을 하고, 하부 해치(130)는 압력선체 관통구 내측에 마련된 함내해치를 통해 승조원이 탑승 챔버(110) 내로 탑승하기 위한 탑승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하부 해치(130)와 함내해치는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하부 해치(130)가 닫히는 경우(CLOSE) 탑승 챔버(110) 내로 해수가 유입되지 않게 되며 탑승 챔버(110)의 내부압력이 유지된다.
하부해치 관통구(140)는 하부 해치(130)와 인접하게 위치되며, 함내해치 관통구와 하나 이상의 볼트를 통해 볼트결합됨에 따라, 평상 시에는 부력수단(180)의 부력에 의해 탑승 챔버(110)가 수면으로 부상되지 않도록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추후 승조원이 탈출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하부해치 관통구(140)와 함내해치 관통구 간의 볼트결합이 해제됨에 따라 고정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해치 관통구(140)는 함내해치 관통구와 대응하는 형태의 일종의 관통로 형태를 가지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부해치 관통구(14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도 2는 하부해치 관통구(140)와 함내해치 관통구를 상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하부해치 관통구(140)의 내측에는 함내해치 관통구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볼트체결홈(a)과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볼트체결홈(140a)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때, 도 2에서의 하부해치 관통구(140)와 함내해치 관통구는 서로 겹쳐지게 되는데, 하나 이상의 제1 볼트체결홈(a)과 하나 이상의 제2 볼트체결홈(140a)이 서로 일치하게 겹쳐진 상태에서 제1 볼트체결홈(a)과 제2 볼트체결홈(140a)을 서로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미도시)에 의해 볼트결합이 이루어지는 경우, 하부해치 관통구(140)는 함내해치 관통구에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추후, 탑승 챔버(110)의 분리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볼트 및 너트의 볼트결합을 해제함으로써 하부해치 관통구(140)는 함내해치 관통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탑승 챔버 고정용 링(150)은 탑승 챔버(110)의 측면에서 탑승 챔버(110)의 측면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원형의 고리 형태를 가진다.
또한,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고정상태 해제용 링(160)은 탑승 챔버 고정용 링(150)과 압력선체 관통구의 상측면을 서로 밀착 고정시킨 상태를 유지시키다가, 일측 방향(예컨대,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탑승 챔버 고정용 링(150)이 압력선체 관통구의 상측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측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음각부가 형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탑승 챔버 고정용 링(150)과 고정상태 해제용 링(160)의 체결상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살펴보면, 탑승 챔버 고정용 링(150)과 고정상태 해제용 링(160)은 상측에서 봤을 때 서로 상응하는 형태를 가지되, 탑승 챔버 고정용 링(150)보다 고정상태 해제용 링(160)의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된다.
또한, 탑승 챔버 고정용 링(150)은 측면에서 외측을 향해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51)가 형성되고, 고정상태 해제용 링(160)은 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는 음각부(161)가 형성된다.
이때, 고정상태 해제용 링(160)의 단면은 ㄷ자 형태를 가지게 되는데, ㄷ자 형태의 내측으로는 탑승 챔버 고정용 링(150)의 돌출부(151)와, 압력선체 관통구의 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나사 결합되게 된다.
즉, 고정상태 해제용 링(160)을 단면으로 봤을 때, 압력선체 관통구의 상측면과 탑승 챔버 고정용 링(150)의 하측면은 서로 밀착하게 되고, 이때 탑승 챔버 고정용 링(150)의 돌출부(151)의 상측면이 고정상태 해제용 링(160)의 내부 상측면과 접하는 경우(이 경우는 도 4(b)의 좌측 상태와 같이 돌출부(151)와 음각부(161)가 서로 어긋난 상태를 의미함) 탑승 챔버 고정용 링(150)의 하측면과 압력선체 관통구의 상측면은 강하게 밀착 고정되게 된다.
반대로, 고정상태 해제용 링(160)을 단면으로 봤을 때, 압력선체 관통구의 상측면과 탑승 챔버 고정용 링(150)의 하측면이 서로 밀착되고, 이때 탑승 챔버 고정용 링(150)의 돌출부(151)의 상측면이 고정상태 해제용 링(160)의 내부 상측면과 접하지 않는 경우(이 경우는 도 4(b) 우측 열림 상태와 같이 돌출부(151)와 음각부(161)가 서로 일치함에 따라 탑승 챔버 고정용 링(150)이 고정상태 해제용 링(160)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상태를 의미함) 탑승 챔버 고정용 링(150)은 고정상태 해제용 링(160)으로부터 간섭되지 않고 상측 방향으로 자유롭게 분리될 수 있다.
이때, 탑승 챔버 고정용 링(150)이 고정상태 해제용 링(160)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자유롭게 분리된다는 의미는, 탑승 챔버(110)가 압력선체 관통구로부터의 구속 상태가 해지됨에 따라 상측으로 부상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이러한 고정상태 해제용 링(160)은 단면으로 봤을 때 ㄷ자 형태를 가지는데, 하측에는 나사산(162)이 형성됨에 따라, 압력선체 관통구의 측면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상태 해제용 링(160)은 후술되는 회전기어부(170)를 통해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고정상태 해제용 링(160)의 회전에 의해 상술한 탑승 챔버 고정용 링(150)의 밀착 고정이 진행되거나 해제되게 된다.
회전기어부(170)는 상술한 고정상태 해제용 링(160)을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탑승 챔버 고정용 링(150)의 하측면과 압력선체 관통구의 상측면이 서로 밀착 고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회전기어부(170)는 탑승 챔버(110)의 내측으로 연결되는 회전핸들(171), 회전핸들(171)과 연결되며, 회전핸들(171)의 회전방향을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을 수직방향의 회전으로써 변경시키는 일종의 기어박스에 해당하는 제1 기어(172), 제1 기어(172)와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핸들(171)의 회전 동작에 따라 고정상태 해제용 링(160)을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기어(173) 및 고정상태 해제용 링(160)의 일부 구간에 부착되며 제2 기어(173)와 연동되는 제3 기어(1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컨대, 탑승자가 탑승 챔버(110) 내에서 회전핸들(171)을 제1 방향(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핸들(171)의 회전에 따라 제1 기어(172) 및 제2 기어(173)가 회전하면서 고정상태 해제용 링(16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고정상태 해제용 링(160)의 음각부(161)와 탑승 챔버 고정용 링(150)의 돌출부(151)가 서로 일치되면서 탑승 챔버 고정용 링(150)과 압력선체 관통구 간의 밀착 고정 상태가 해제되어 탑승 챔버(110)가 부력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부상하게 된다.
한편, 제2 기어(173)는 다수의 탑승 챔버 각각에 마련되는 고정상태 해제용 링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는데, 따라서 제2 기어(173)의 회전에 의해 각각의 탑승 챔버에 마련되는 고정상태 해제용 링이 동시에 제1 방향 혹은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부력수단(180)은 자체 부력을 통해 탑승 챔버(110)를 상측 방향으로 부상시키기 위한 부력을 가지는 재료를 의미하며, 탑승 챔버(110)의 외측에서 다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탑승 챔버 고정용 링(150)의 하측면에는 압력선체 관통구의 상측면과 밀착 고정 시, 탑승 챔버 고정용 링(150)의 하측면과 압력선체 관통구의 상측면 사이를 수밀하는 수밀용 실링수단(152)이 마련된다.
따라서, 수밀용 실링수단(152)에 의해, 탑승 챔버(110)가 상측 방향으로 부상하기 전까지는 압력선체 관통구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지 않아 승조원이 안전하게 탑승 챔버(110) 내부로 탑승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해치 관통구(140)와 함내해치 관통구 사이에는 하부해치 관통구(140)와 함내해치 관통구 간의 간극을 없애기 위한, 정밀하고 정확한 치수로 가공된 디스턴스 피스가 설치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라 평상 시에는 하부해치 관통구, 탑승 챔버 고정용 링 및 고정상태 해제용 링의 상호결합을 통해 탑승 챔버가 압력선체 관통구에 고정되어 있다가, 유사 시 승조원의 탈출이 필요한 경우에는 하부해치 관통구의 볼트결합 해제와 함께 고정상태 해제용 링의 회전을 통한 탑승 챔버 고정용 링의 분리를 통해, 탑승 챔버가 부력수단의 부력에 의해 수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자력으로 부상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110: 탑승 챔버
111: 공기 제공 수단
112: 통풍수단
112a: 통풍관
112b: 개폐 밸브
113: 부력튜브
114: 공기 주입기
115: 사다리
116: 접이식 의자
117: 생존키트
120: 상부 해치
130: 하부 해치
140: 하부해치 관통구
140a: 제2 볼트체결홈
150: 탑승 챔버 고정용 링
151: 돌출부
152: 수밀용 실링수단
160: 고정상태 해제용 링
161: 음각부
170: 회전기어부
171: 회전핸들
172: 제1 기어
173: 제2 기어
174: 제3 기어
180: 부력수단

Claims (15)

  1. 압력선체 관통구 내측 상부로 수용되며, 승조원이 탑승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탑승 챔버;
    상기 탑승 챔버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마련되는 상부 해치 및 하부 해치;
    상기 하부 해치와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압력선체 관통구 내측에 마련된 함내해치 관통구와 하나 이상의 볼트를 통해 볼트결합되는 하부해치 관통구;
    상기 탑승 챔버의 측면에 설치되며, 하측면이 상기 압력선체 관통구의 상측면에 안착 및 거치되는 탑승 챔버 고정용 링;
    상기 탑승 챔버 고정용 링과 상기 압력선체 관통구의 상측면을 밀착 고정시킨 상태를 유지하다가,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탑승 챔버 고정용 링이 상기 압력선체 관통구의 상측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기어를 포함하는 고정상태 해제용 링;
    상기 고정상태 해제용 링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회전기어부; 및
    상기 탑승 챔버를 상측 방향으로 부상시키기 위한 부력을 가지는 부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기어부에 의해 상기 고정상태 해제용 링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 동작함에 따라, 상기 탑승 챔버 고정용 링과 상기 압력선체 관통구의 상측면 간의 밀착 고정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부력수단에 의해 상기 탑승 챔버가 상측 방향으로 부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챔버는,
    상기 탑승 챔버 내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공기 제공 수단;
    수면으로의 부상 후,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풍수단; 및
    수면으로의 부상 후, 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부력을 형성하는 부력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제공 수단은,
    산소통(oxygen cylinder)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수단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상기 탑승 챔버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탑승 챔버의 수면으로의 부상 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통풍관; 및
    상기 통풍관의 일측 말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통풍관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챔버는,
    탑승한 승조원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사다리; 및
    탑승한 승조원이 착석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접이식 의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해치 관통구는,
    상기 함내해치 관통구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볼트체결홈과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볼트체결홈;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볼트체결홈 각각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볼트체결홈 각각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볼트와, 상기 하나 이상의 볼트와 볼트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너트의 결합에 의해 상기 탑승 챔버가 상기 함내해치 관통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챔버 고정용 링은,
    상기 탑승 챔버의 측면 둘레를 따라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원형의 고리 형태를 가지되,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돌출형성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상태 해제용 링은,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가지는 원형의 고리 형태를 가지되, 상측부에는 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음각부가 형성되며,
    하측부에는 상기 압력선체 관통구의 측면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탑승 챔버 고정용 링이 상기 압력선체 관통구의 상측면에 안착 및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상태 해제용 링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돌출부와 음각부가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일치하지 않고 어긋나는 경우 상기 탑승 챔버 고정용 링이 상기 압력선체 관통구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고정상태 해제용 링이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돌출부와 음각부가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탑승 챔버 고정용 링과 상기 압력선체 관통구 간의 밀착 고정 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탑승 챔버 고정용 링이 상측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챔버 고정용 링의 하측면에는,
    상기 압력선체 관통구의 상측면과 밀착 고정 시, 상기 탑승 챔버 고정용 링의 하측면과 상기 압력선체 관통구의 상측면 사이를 수밀하는 수밀용 실링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부는,
    상기 탑승 챔버로 연결되는 회전핸들;
    상기 회전핸들과 연결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회전핸들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고정상태 해제용 링을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 기어와 연동되는 제3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해치 관통구와 상기 함내해치 관통구 사이에는 디스턴스 피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챔버는 2개 이상 마련되며,
    각각의 탑승 챔버 별로 마련되는 고정상태 해제용 링은 상기 제2 기어에 의해 동시에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13. 제12항에 있어서,
    2개 이상 마련되는 탑승 챔버는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챔버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튜브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KR1020180140387A 2018-11-15 2018-11-15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KR102590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387A KR102590603B1 (ko) 2018-11-15 2018-11-15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387A KR102590603B1 (ko) 2018-11-15 2018-11-15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565A KR20200056565A (ko) 2020-05-25
KR102590603B1 true KR102590603B1 (ko) 2023-10-16

Family

ID=70914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387A KR102590603B1 (ko) 2018-11-15 2018-11-15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60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1971A (en) 1935-04-24 1936-05-26 Sheplin Frank Lifesaving equipment for submarines
JP2004322939A (ja) 2003-04-28 2004-11-18 Fumitsugu Matsuba 津波又は洪水に対する防災用として地上設置される浮遊型シェルタ
JP2009511343A (ja) 2005-10-11 2009-03-19 ストラチャン アンド ヘンショウ リミテッド ペイロードを潜水艦から展開させるアッセンブリ
KR101737767B1 (ko) 2016-11-29 2017-05-19 이헌주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
CN207809740U (zh) 2018-01-03 2018-09-04 上海市东方海事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水下载人潜水器的逃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37951B4 (de) * 2004-08-05 2006-05-04 Howaldtswerke-Deutsche Werft Gmbh Unterseeboot
KR20130015573A (ko) 2011-08-04 2013-02-14 안길수 오뚝이형 구명챔버
KR20160139717A (ko) * 2015-05-28 2016-12-07 주식회사 나라씨앤티 선박의 자동 부력 제공장치와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1971A (en) 1935-04-24 1936-05-26 Sheplin Frank Lifesaving equipment for submarines
JP2004322939A (ja) 2003-04-28 2004-11-18 Fumitsugu Matsuba 津波又は洪水に対する防災用として地上設置される浮遊型シェルタ
JP2009511343A (ja) 2005-10-11 2009-03-19 ストラチャン アンド ヘンショウ リミテッド ペイロードを潜水艦から展開させるアッセンブリ
KR101737767B1 (ko) 2016-11-29 2017-05-19 이헌주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
CN207809740U (zh) 2018-01-03 2018-09-04 上海市东方海事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水下载人潜水器的逃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565A (ko) 202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333180B2 (en) Straight cylinder type floating platform with extension cylinder body, and swim ring type buoy group
US2699321A (en) Deepwater oil drilling and storage craft
JP2014512299A (ja) 転覆した船舶から乗員を避難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
US4087980A (en) Safety submarine spherical air chamber
WO2013167805A1 (en) Marine vessel
KR102590603B1 (ko)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US9227702B2 (en) Ballast system for floating offshore platforms
KR101346174B1 (ko) 분리 유동이 가능한 추진 장치를 구비한 선박
RU2346849C2 (ru) Способ эвакуации экипажа с аварийной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9677567A (zh) 一种海上卫星发射和火箭回收平台
US20200031444A1 (en) Submarine support ship
RU183928U1 (ru) Всплывающая спасательная камера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KR102117387B1 (ko)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
RU2469903C1 (ru) Аварийно-спас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CN110217362B (zh) 一种子母式逃逸型载人潜水器
US5347944A (en) Deep sea super port
CN108248781A (zh) 一种浮岛式海洋装备
CN201914404U (zh) 渗潜型双复合胆式结构船体
US1061153A (en) Ship structure.
KR20160004321U (ko) 데크하우스의 교체가 용이한 다목적 폰툰보트
KR101513069B1 (ko) 잠수함의 승조원 출입구조
US3291087A (en) Life saving rescue capsule
US389915A (en) Life-boat
US1398451A (en) Lifeboat
KR20160001000U (ko) 선박내 에어포켓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