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767B1 -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767B1
KR101737767B1 KR1020160160855A KR20160160855A KR101737767B1 KR 101737767 B1 KR101737767 B1 KR 101737767B1 KR 1020160160855 A KR1020160160855 A KR 1020160160855A KR 20160160855 A KR20160160855 A KR 20160160855A KR 101737767 B1 KR101737767 B1 KR 101737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air
carrier
air supply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헌주
Original Assignee
이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주 filed Critical 이헌주
Priority to KR1020160160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6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 B63C7/1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using inflatable floats external to vessel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8Adaptations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to life-sav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5/00Tethers
    • B63B2205/08Tethers with means for recovering submerged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41/00Design characteristics
    • B63B2241/20Designs or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738/02
    • B63B2738/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는: 운송체 침수시 운송체에서 이탈되어 물에 뜨는 플로트부와, 플로트부와 운송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플로트부에 설치되며 연결부재를 통해 운송체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WITH PREPARE FOR INUNDATION OF WATER TRANSPORT}
본 발명은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송체가 침수되는 경우, 운송체의 침수를 저지하는 부력을 제공하여 침수를 지연시키며, 운송체의 내측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탑승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화물이나 승객을 운반하는 장치이다. 선박의 내부에는 승객과 승무원이 탑승할 수 있도록 복수의 격실이 설치된다. 격실은 침실, 식당, 휴게실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운송체가 해상을 운항할 때에 해난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운송체가 침수되거나 전복되는 등의 해난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선박의 해난사고시 선체의 내부에 산소공급이 안되면 탑승원의 생존율이 급격하게 낮아진다. 따라서, 탑승원의 구출될 때까지 선체에 산소 공급이 필요하다.
또한 선박이나 잠수함 침수시, 구조대가 선박이나 잠수함의 침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므로 구조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16566호(2011. 10. 26 공개, 발명의 명칭: 생체신호를 이용한 선박 내 응급구조구난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송체가 침수되는 경우, 운송체의 침수를 저지하는 부력을 제공하여 침수를 지연시키며, 운송체의 내측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탑승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는: 운송체 침수시 운송체에서 이탈되어 물에 뜨는 플로트부와, 플로트부와 운송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플로트부에 설치되며 연결부재를 통해 운송체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플로트부는, 연결부재를 통해 운송체와 연결되며, 공기공급부를 지지하는 지지플로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플로트부는, 공기공급부의 하부를 지지하며 물에 뜨는 제1플로트몸체 및 지지플로트부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을 지지플로트부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플로트부는, 공기공급부를 감싸며 공기공급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제2플로트몸체 및 제2플로트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탑승원의 파지가 이루어지는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플로트몸체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개별적으로 팽창이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플로트몸체는, 폭발가스에 의해 팽창이 이루어지는 제1전개셀 및 공기공급부를 통하여 공기를 공급받아 팽창이 이루어지는 제2전개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부재는, 지지플로트부 또는 공기공급부와 운송체를 연결하며 지지플로트부의 부력에 의해 운송체를 부양시키는 제1연결부재 및 공기공급부와 운송체에 설치된 에어허브부를 연결하며 공기공급부에서 에어허브부로 이동되는 공기의 통로를 형성하는 에어관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허브부에서 연장되어 운송체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공기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공급관로부 및 공급관로부에서 분지되어 운송체의 격실로 공기를 공급하는 복수의 분지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플로트부는, 연결부재를 통해 운송체와 연결되며, 운송체를 부양시키는 부력을 제공하는 부양플로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부재는, 부양플로트부와 운송체를 연결하며, 부양플로트부의 부력에 의해 운송체를 부양시키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기공급부는, 전기에너지의 공급으로 동작되며 외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연결부재를 통해 운송체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몸체 및 공급몸체에 연이어 설치되며 공급몸체 외측의 공기가 공급몸체로 이동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는, 플로트부가 부력을 제공하며 운송체의 침수를 지연시키므로 탑승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송체 침수시 수면에 떠 있는 공기공급부가 연결부재를 통해 운송체의 내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므로 탑승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가 설치된 운송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로트부와 공기공급부가 운송체의 측면에 보관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로트부와 공기공급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로트부의 내측에 설치된 공기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로트부와 공기공급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로트부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로트부와 공기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부가 동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허브부와 공급관로부와 분지관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부의 내측에 공기공급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가 설치된 운송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로트부와 공기공급부가 운송체의 측면에 보관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로트부와 공기공급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로트부의 내측에 설치된 공기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로트부와 공기공급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로트부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허브부와 공급관로부와 분지관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1)는, 운송체(10) 침수시 운송체(10)에서 이탈되어 물에 뜨는 플로트부(20)와, 플로트부(20)와 운송체(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60)와, 플로트부(20)에 설치되며 연결부재(60)를 통해 운송체(10)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70)와, 운송체(10)에 설치되며 운송체(10) 내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에어허브부(90)와 공급관로부(92) 및 제어신호에 의해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에어허브부(90)의 크기 및 공급관로부(92)와 분지관(94)의 직경은 필요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1)는 화재나 좌초와 같이 운송체(10)의 해양 사고시, 운송체(10)와 구조자가 운송체(10)에 도착할 때까지 운송체(10)의 내측으로 산소를 공급하여 탑승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1)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동작되어 운송체(10)의 에어허브부(90)로 공기를 공급하므로 사망자를 줄일 수 있다. 즉 해양사고시 플로트부(20)와 함께 수면(15)에 떠있는 공기공급부(70)가 운송체(10)의 내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므로 조난자의 생존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플로트부(20)에 구비된 손잡이부재(38,48)를 조난자가 파지할 수 있으므로, 탑승원의 운송체(10) 외부 표류를 막으며 구명백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피난이 가능한 탑승원은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호흡이 가능하므로, 운송체(10)의 외측으로 탑승자들이 용이하게 탈출 할 수 있다.
운송체(10)에는 복수의 격실(미도시)이 설치된다. 격실은 탑승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침실, 식당, 무도회장, 회의실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격실은 벽체에 의해 구획되는 독립된 공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체(10)는 수중 운송체(10)인 잠수함과 수상 운송체(10)인 선박이나 군함 등을 포함한다.
플로트부(20)는 운송체(10) 침수시 운송체(10)에서 이탈되어 물에 뜨는 부력을 갖는 장치로 단독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공기공급부(70)와 결합되어 같이 설치될 수도 있다. 플로트부(20)는 운송체(10)의 기울기가 일정각을 벗어나면 자동으로 운송체(10)에서 이탈하여 작동이 이루어지거나, 수동으로 운송체(10)에서 이탈되어 작동될 수 있다. 플로트부(20)는 운송체(10)의 좌초시간을 연장하는 기능을 하며, 운송체(10)의 침몰시 운송체(10)의 침몰 지점을 알리는 부표 기능을 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로트부(40)는, 가스발생부(41)와 제2플로트몸체(42)와 손잡이부재(48)와 공기연결배관(49)을 포함한다.
제2플로트몸체(42)는 공기공급부(70)를 감싸며 공기공급부(7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부력을 제공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플로트몸체(42)는, 격벽(44)에 의해 구획되어 개별적으로 팽창이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셀을 포함한다.
즉 제2플로트몸체(42)는, 폭발가스에 의해 팽창이 이루어지는 제1전개셀(46) 및 공기공급부(70)를 통하여 공기를 공급받아 팽창이 이루어지는 제2전개셀(47)을 포함한다. 각 셀과 셀 사이는 격벽(44)에 의해 구획되므로 각각의 셀은 독립적인 팽창이 가능하다. 제2플로트몸체(42)는 가스발생부(41)의 작동으로 팽창되는 제1전개셀(46)과 공기공급부(70)의 동작으로 팽창되는 제2전개셀(4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개셀(46)과 제2전개셀(47)이 전부 가스발생부(41)의 폭발로 팽창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일부는 가스발생부(41)의 작동으로 팽창되며, 나머지는 공기공급부(70)의 동작으로 팽창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전개셀(46)과 제2전개셀(47)은 서로 번갈아가며 설치된다. 공기공급부(70)가 제2플로트몸체(42)의 내측 가운데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제1전개셀(46)과 제2전개셀(47)을 포함한 제2플로트몸체(42)는 공기공급부(7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격벽(44)은 천이나 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2플로트몸체(42)의 내측에 막을 형성하므로, 제1전개셀(46)과 제2전개셀(47)의 독립적 팽창이 가능할 수 있다.
제2플로트몸체(42)의 12시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각 셀마다 번호를 부여하는 경우, 홀수 번호인 곳은 에어백처럼 순간 폭발로 셀이 팽창되는 제1전개셀(46)로 설정하며, 짝수 번호인 곳은 산소공급부에서 공급받는 산소로 팽창되는 제2전개셀(47)로 설정할 수 있다.
인플레이터를 사용하는 가스발생부(41)는 제1전개셀(46)의 내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전개셀(47)은 공기연결배관(49)을 통해 공기공급부(70)와 연결되므로, 공기공급부(7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전달받아 제2전개셀(47)의 팽창이 이루어진다.
복수의 제1전개셀(46)과 제2전개셀(47)은 공기공급부(70)의 주변에 원주 형상을 따라 교차로 배치되며, 서로 번갈아가며 설치된 제1전개셀(46)과 제2전개셀(47)은 공기공급부(70)의 측면과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지지플로트부(40)의 내측에는 공기나 가스가 충진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므로 부력을 구비하게 되며, 지지플로트부(40)의 내측에 연결된 공기공급부(70)가 수면(15)에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한편 공기연결배관(49)은 제2전개셀(47)과 공기공급부(70)를 연결하는 관로 형상으로, 공기연결배관(49)에는 별도의 체크밸브나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될 수도 있다.
손잡이부재(48)는 제2플로트몸체(4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탑승원의 파지가 이루어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재(48)는 "ㄷ"자 형상이며, 제2플로트몸체(42)의 상측과 측면에 복수로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부(20)는, 연결부재(60)를 통해 운송체(10)와 연결되며 운송체(10)를 부양시키는 부력을 제공하는 부양플로트부(50)를 포함한다. 공기공급부(70)와 결합되지 않은 부양플로트부(50)는 단독 부양을 하며 운송체(10)의 침수시간을 지연시킨다. 부양플로트부(50)는 공기가 가스가 내측에 들어가 있는 구 형상으로, 운송체(10)의 크기와 스텔스 기능 여부에 따라 설치 개수 및 위치가 가변된다.
부양플로트부(50)에 연결된 연결부재(60)는, 부양플로트부(50)와 운송체(10)를 연결하므로 부양플로트부(50)의 부력에 의해 운송체(10)를 부양시키거나, 운송체(10)의 침수를 지연시킨다. 연결부재(60) 중 부양플로트부(50)와 운송체(10)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66)는 체인이나 와이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66)의 일측은 부양플로트부(50)에 연결되며 제2연결부재(66)의 타측은 운송체(10)의 측면에 구비된 권선장치에 권선된 상태로 연결되므로, 필요에 따라 제2연결부재(66)의 길이는 가변될 수 있다.
연결부재(60)는 플로트부(20)나 공기공급부(70)와 운송체(10)를 연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60)는 제1연결부재(62)와 에어관로부재(64)를 포함한다.
제1연결부재(62)는 지지플로트부(40) 또는 공기공급부(70)와 운송체(10)를 연결하며, 지지플로트부(40)의 부력에 의해 운송체(10)를 부양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재(62)는 체인이나 와이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62)의 일측은 지지플로트부(40) 또는 공기공급부(70)에 연결되며 제1연결부재(62)의 타측은 운송체(10)의 측면에 구비된 권선장치에 권선된 상태로 연결되므로, 필요에 따라 제1연결부재(62)의 길이는 가변될 수 있다.
에어관로부재(64)는 공기공급부(70)와 운송체(10)에 설치된 에어허브부(90)를 연결하며, 공기공급부(70)에서 에어허브부(90)로 이동되는 공기의 통로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관로부재(64)는 고무튜브나 특수섬유 튜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에어관로부재(64)의 일측은 공기공급부(70)에 연결되며 에어관로부재(64)의 타측은 운송체(10)의 측면에 구비된 권선장치에 권선된 상태로 연결되므로, 필요에 따라 에어관로부재(64)의 길이는 가변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70)는 플로트부(20)에 설치되며, 연결부재(60)를 통해 운송체(10)로 공기나 산소를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공기공급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70)는 전기에너지와 내연기관에 의해 발생된 동력에너지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전기에너지만을 사용하거나 내연기관의 에너지 만을 사용하는 형태로 작동될 수도 있다.
공기공급부(70)를 지지하는 플로트부(20)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셀로 이루어지며, 플로트부(20)의 중앙에는 공기공급부(70)가 위치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부(70)는, 전기에너지의 공급으로 동작되며 외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연결부재(60)를 통해 운송체(10)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몸체(71) 및 공급몸체(71)에 연이어 설치되며 공급몸체(71) 외측의 공기가 공급몸체(71)로 이동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헤드부(80)를 포함한다.
공기공급부(70)의 하측을 형성하는 공급몸체(71)는, 펌프부(72)와 배출모터(74)와 유입공(75)과 배터리(76)를 포함한다.
공급몸체(71)는 지지플로트부(40)에 의해 지지된다. 공급몸체(71)는 상측이 개구되며 내측에는 각종 장비들이 설치되기 위한 내측공간을 구비한다. 공급몸체(71)의 하측에는 에어관로부재(64)가 연결되므로, 공기공급부(70)에서 흡입한 공기는 에어관로부재(64)를 통해 운송체(10)의 에어허브부(90)로 전달된다.
공급몸체(71)의 내측에는 펌프부(72)와 배출모터(74)와 배터리(76)가 설치되므로, 공기흡입을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펌프부(72)는 전기, 경우, 휘발유 등의 공급으로 동작되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배출모터(74)는 지지플로트부(40)의 내측이나 공기공급부(70)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을 공기공급부(70)의 외측으로 배출시켜 공기공급부(70)와 지지플로트부(40)의 침수를 방지한다.
펌프부(72)에 별도의 산소 분리장치가 구비되므로, 흡입된 공기에서 산소를 분리하여 산소만 운송체(10)로 공급할 수도 있다.
공급몸체(71)의 하측에 복수의 구멍을 형성하는 유입공(75)을 통해 지지플로트부(40)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이 흡입된다. 유입공(75)을 통해 흡입된 물은 배출모터(74)를 통해 헤드부(80)에 형성된 배출공(88)을 통해 공기공급부(7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배터리(76)는 태양전지판(84)의 작동으로 충전될 수 있으며, 펌프부(72)의 동작에 의해 발생된 회전동력을 이용하는 제너레이터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배터리(76)는 펌프부(72)와 배출모터(74)가 동작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헤드부(80)는 공급몸체(71)의 상측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80)는, 공기유입공(82)과 태양전지판(84)과 작동버튼(86)과 배출공(88)을 포함한다.
공급몸체(71)의 상측에 결합된 헤드부(80)에는 공기유입공(82)이 구비된다. 따라서 공기유입공(82)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펌프부(72)를 통해 에어관로부재(64)로 이동된다. 헤드부(80)의 외측과 공급몸체(71)의 외측에는 태양전지판(84)이 설치될 수 있다. 태양전지판(84)에서 발생된 전기는 배터리(76)를 충전하거나 펌프부(72)를 동작시킬 수 있다.
헤드부(80)의 상측에는 공기공급부(70)를 수동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작동버튼(86)이 설치된다. 따라서 설정된 조건 아래에서 공기공급부(70)가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으며, 작동버튼(86)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수동으로 공기공급부(70)가 동작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1)는 에어허브부(90)와 공급관로부(92)와 분지관(94)을 더 포함한다.
에어허브부(90)는 공기공급부(70)로 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연결부재(60)의 에어관로부재(64)에 연결된다. 에어허브부(90)에는 공기공급부(70) 또는 산소 공급기(미도시)가 연결된다. 산소 공급기는 운송체(10)의 산소 저장 탱크나 다른 운송체(10)의 산소 저장 탱크일 수 있다.
또한 에어허브부(90)에는 공기공급부(70) 또는 산소 공급기의 튜브가 연결되므로, 운송체(10)의 격실에 산소 또는 공기의 공급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공급관로부(92)는 에어허브부(90)에서 연장되어 운송체(10)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공기의 이동통로를 형성한다. 공급관로부(92)는 운송체(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운송체(10)의 덕트 내측을 따라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공급관로부(92)를 따라 복수의 지점에 에어허브부(90)가 설치되어 외부로 부터 공기나 산소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복수 개 구비된 분지관(94)은 공급관로부(92)에서 분지되어 운송체(10)의 격실로 공기를 공급한다.
에어허브부(90)는 공급관로부(92)에 복수개 설치된다. 예를 들면, 에어허브부(90)는 선수, 선미, 운송체(10)의 양측에 복수개 설치된다. 에어허브부(90)가 운송체(10)의 여러 곳에 배치되므로, 운송체(10)가 기울어지거나 전복되는 방향에 상관없이 구조선이나 사람들이 에어허브부(90)로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공급부(70)의 설치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운송체(10)에 산소 공급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에어허브부(90)는 운송체(10)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운송체(10)가 기울어지거나 전복되었을 때에 잠수사나 구조원이 운송체(10)에 접근하여 에어허브부(90)에 산소 공급기의 튜브를 연결하기 용이하며, 공기공급부(70)와 연결된 에어관로부재(64)의 연결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에어허브부(90)에는 에어허브부(90)의 위치를 알리도록 조명(미도시)이 설치된다. 따라서, 야간이나 어두운 환경에서도 잠수사나 구조원이 에어허브부(90)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또한, 해수가 탁한 경우에도 에어허브부(90)를 보다 신속하게 찾을 수 있다.
에어허브부(90)에는 에어허브부(90)의 위치를 통신을 이용하여 알릴 수 있도록 통신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통신장치는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GPS 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무선통신장치일 수 있다. 해난사고시 통신장치와 통신을 통해 에어허브부(90)의 위치를 신속하게 찾을 수 있다.
공급관로부(92)는 운송체(10)에 배치된다. 공급관로부(92)는 에어허브부(90)에 연결되어 공기공급부(70)를 통하여 공기를 공급받거나, 산소 공급기를 통해 산소를 공급받는다. 공급관로부(92)는 운송체(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복수의 에어허브부(90)와 연결된다. 또한 공급관로부(92)의 일부는 운송체(10)를 가로지르며 운송체(1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부는 운송체(10)의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각 공급관로부(92)에서 분기된 복수의 분지관(94)의 운송체(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므로, 격실의 위치에 상관없이 산소나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며, 산소 또는 공기의 공급 경로를 보다 세분화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가스발생부(41)와 펌프부(72)와 배출모터(74)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에어허브부(90)에 부착된 센서장치에 의해 에어허브부(90)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황실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광원을 점등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를 보고 생존자가 존재하는 격실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생존자가 존재하는 위치를 보다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하게 생존자를 구조할 수 있다.
따라서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1)는 능동적 피구조자와 수동적 피구조자에게 산소나 공기 등을 공급하므로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운송체(10)의 침몰과 동시에 플로트부(20)와 공기공급부(70)가 동작되어 기존 산소공급장치 보다 신속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플로트부(20)에 손잡이부재(48)가 구비되므로, 운송체(10)를 탈출한 탑승원들이 바다에서 표류하지 않게 구명백 역할을 하여, 탈출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플로트부(20)와 공기공급부(70)는 기존 선박이나 잠수함에 추가로 설치가 용이하므로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1)의 설치 및 운용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플로트부(20)의 부력으로 침몰하는 배를 상측으로 끌어당기므로, 운송체(10)의 침몰시간을 늦출 수 있으며, 이로 인한 탑승원들의 생존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운송체(10)의 측면이나 외측에 플로트부(20)와 공기공급부(70)가 장착되며, 스텔스 기능을 구비한 운송체(10)에서는 운송체(10)의 내측이나 구명정이 설치되는 부분에 플로트부(20)와 공기공급부(70)가 설치될 수 있다.
플로트부(20)와 공기공급부(70)에 연결된 연결부재(60)는 운송체(10)에 구비된 권선장치에 감겨진 상태로 보관되며, 비상시에는 권선장치가 동작되어 연결부재(6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운송체(10) 침수시 운송체(10)가 기울어지게 되며, 이러한 운송체(10)의 기울어짐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플로트부(20)가 운송체(10)에서 분리되어 수면(15)에 떠올르게 된다.
공기공급부(70)와 연결되지 않은 부양플로트부(50)는 부력에 의해 운송체(10)의 침수를 저지하게 된다. 그리고, 공기공급부(70)를 지지하는 지지플로트부(40)도 공기공급부(70)와 함께 수면(15)에 떠올른다. 지지플로트부(40)의 부력에 의해 운송체(10)의 침수를 저지하는 한편, 공기공급부(70)에서 흡입된 공기가 연결부재(60)를 통해 운송체(10)에 구비된 에어허브부(90)로 공급된다.
지지플로트부(40)에 구비된 가스발생부(41)가 동작되며 제1전개셀(46)이 가스압에 의해 팽창되므로, 제1전개셀(46)의 신속한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운송체(10)의 침수 초기에 공기공급부(70)가 물에 침수되어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전개셀(47)은 공기연결배관(49)을 통해 공기공급부(70)로 부터 전달받은 공기에 의해 팽창이 이루어지므로 공기공급부(70)의 지지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공기공급부(70)는 흡입된 공기를 그대로 연결부재(60)를 통해 에어허브부(90)로 전달하거나, 공기 중에 포함된 산소만 분리하여 산소를 에어허브부(9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에어허브부(90)를 통해 공급된 공기 또는 산소는 공급관로부(92)와 분지관(94)을 통해 운송체(10)의 내측으로 이동되며 운송체(10)의 내측으로 공기나 산소를 공급하므로 탑승원들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로트부와 공기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부가 동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트부(20)는, 연결부재(60)를 통해 운송체(10)와 연결되며, 공기공급부(110)를 지지하는 지지플로트부(30)를 포함한다. 다른 종류의 공기공급부(110)를 지지하는 지지플로트부(30)는 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플로트부(30)는, 제1플로트몸체(32)와 배수부(34)와 손잡이부재(38)를 포함한다.
제1플로트몸체(32)는 구명정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가스나 공기가 충진되어 부력을 구비한다. 제1플로트몸체(32)는 공기공급부(110)의 하부를 지지하며 물에 뜨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배수부(34)는 지지플로트부(30)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을 지지플로트부(3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배수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수부(34)는 배수관로(35)와 배수모터(36)를 포함하며, 제1플로트몸체(32)의 내측으로 물이 유입된 경우, 제1플로트몸체(32)의 외측으로 물을 배수시킨다.
배수관로(35)는 제1플로트몸체(3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설치되며, 배수모터(36)는 배수관로(35)에 연결되어 배수관로(35)를 통한 물의 이동을 강제한다. 제1플로트몸체(32)의 측면에는 복수의 손잡이부재(38)가 설치되므로 운송체(10)의 외측으로 탈출한 승조원의 생존확률을 높인다. 제1플로트몸체(32)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는 공기공급부(110)는, 공급몸체(112)와 태양전지판(114)과 공기유입공(116)을 포함한다.
공급몸체(112)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플로트몸체(32)의 상측에 올려진 상태로 수면(15)에 떠 있는다. 공급몸체(112)의 외측에는 태양전지판(114)이 설치되며, 공급몸체(112)의 상측에는 공기를 흡입하깅 위한 복수의 공기유입공(116)이 설치된다.
지지플로트부(30)와 운송체(10)는 제1연결부재(62)에 의해 연결되며, 공기공급부(110)와 에어허브부(90)는 에어관로부재(64)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부의 연결로 침수된 운송체(10)는 상측으로 견인되는 견인력을 제공받는 동시에 산소나 공기를 공급받게 되므로, 탑승원의 생존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플로트부(20)를 공기공급부(110)를 지지하는 지지플로트부(40)를 사용하므로 운송체(10)의 내측으로 공기 공급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운송체(10)로 잠수함이 사용되는 경우, 고무보트와 같은 구명정의 내측에 공기공급부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로 압축된 공기는 잠수함이나 선박과 같이 침수된 운송체(10)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침수된 선박이나 좌초된 잠수함의 내측으로 공기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으므로 탑승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부의 내측에 공기공급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된 내측공간을 구비하는 플로트부(25)의 내측에 압축공기를 이송시킬 수 있는 공기공급부(120)가 설치된다. 그리고 공기공급부(120)는 에어관로부재(64)와 연결되므로 침수된 선박이나 잠수함 등 해양사고가 발생된 운송체(10)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플로트부(25)가 침수된 잠수함이나 선박에서 이탈되어 수면으로 떠오르는 경우에도, 플로트부(25)의 내측 밀폐된 공간에 설치된 공기공급부(120)로 물의 침수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공기공급부(120)의 정상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공급부(120)가 수면으로 올라올 때, 공기공급부(120)와 연결된 원웨이 밸브가 잠기므로 물이 공기공급부(120)로 유입됨을 차단한다. 공기공급부(120)가 수면 위로 올라온 경우, 별도의 센서에 의해 원웨이 밸브가 동작되어 관로를 개방하므로 플로트부(25) 외측의 공기가 원웨이 밸브를 통해 공기공급부(120)로 유입될 수 있다. 즉 공기공급부(120)의 흡기부는 별도의 원웨이 밸브 등을 통하여 플로트부(25)의 외측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므로 플로트부(25) 외측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플로트부(20)가 부력을 제공하며 운송체(10)의 침수를 지연시키므로 탑승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운송체(10) 침수시 수면(15)에 떠 있는 공기공급부(70,110)가 연결부재(60)를 통해 운송체(10)의 내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므로 탑승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운송체(10)는 수중 운송체(10)인 잠수함과 수상 운송체(10)인 선박이나 군함 등을 포함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
10: 운송체 15: 수면
20, 25: 플로트부
30: 지지플로트부 32: 제1플로트몸체 34: 배수부 35: 배수관로 36: 배수모터 38: 손잡이부재
40: 지지플로트부 41: 가스발생부 42: 제2플로트몸체 44: 격벽 46: 제1전개셀 47: 제2전개셀 48: 손잡이부재 49: 공기연결배관
50: 부양플로트부
60: 연결부재 62: 제1연결부재 64: 에어관로부재 66: 제2연결부재
70: 공기공급부 71: 공급몸체 72: 펌프부 74: 배출모터 75: 유입공 76: 배터리 80: 헤드부 82: 공기유입공 84: 태양전지판 86: 작동버튼 88: 배출공
90: 에어허브부 92: 공급관로부 94: 분지관
100: 제어부
110: 공기공급부 112: 공급몸체 114: 태양전지판 116: 공기유입공
120: 공기공급부

Claims (11)

  1. 운송체 침수시 상기 운송체에서 이탈되어 물에 뜨는 플로트부;
    상기 플로트부와 상기 운송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플로트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운송체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로트부는,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운송체와 연결되며, 상기 공기공급부를 지지하는 지지플로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플로트부는, 상기 공기공급부를 감싸며 상기 공기공급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개별적으로 팽창이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셀을 포함하는 제2플로트몸체; 및
    상기 제2플로트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탑승원의 파지가 이루어지는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플로트몸체는, 폭발가스에 의해 팽창이 이루어지는 제1전개셀; 및
    상기 공기공급부를 통하여 공기를 공급받아 팽창이 이루어지는 제2전개셀;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전개셀과 상기 제2전개셀은 서로 번갈아가며 설치되며,
    상기 지지플로트부는, 상기 제1전개셀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전개셀을 팽창시키는 가스발생부; 및
    상기 제2전개셀과 상기 공기공급부를 연결하는 관로인 공기연결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로트부는, 상기 공기공급부의 하부를 지지하며 물에 뜨는 제1플로트몸체; 및
    상기 지지플로트부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지지플로트부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플로트부 또는 상기 공기공급부와 상기 운송체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플로트부의 부력에 의해 상기 운송체를 부양시키는 제1연결부재; 및
    상기 공기공급부와 상기 운송체에 설치된 에어허브부를 연결하며, 상기 공기공급부에서 상기 에어허브부로 이동되는 공기의 통로를 형성하는 에어관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허브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운송체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공기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공급관로부; 및
    상기 공급관로부에서 분지되어 상기 운송체의 격실로 공기를 공급하는 복수의 분지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부는,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운송체와 연결되며, 상기 운송체를 부양시키는 부력을 제공하는 부양플로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부양플로트부와 상기 운송체를 연결하며, 상기 부양플로트부의 부력에 의해 상기 운송체를 부양시키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는, 전기에너지의 공급으로 동작되며, 외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운송체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몸체; 및
    상기 공급몸체에 연이어 설치되며, 상기 공급몸체 외측의 공기가 상기 공급몸체로 이동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
KR1020160160855A 2016-11-29 2016-11-29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 KR101737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855A KR101737767B1 (ko) 2016-11-29 2016-11-29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855A KR101737767B1 (ko) 2016-11-29 2016-11-29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767B1 true KR101737767B1 (ko) 2017-05-19

Family

ID=59049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855A KR101737767B1 (ko) 2016-11-29 2016-11-29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7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565A (ko) * 2018-11-15 2020-05-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KR20200145204A (ko) * 2019-06-21 2020-12-30 최진호 인명구호 시스템을 갖는 선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568B1 (ko) * 2011-09-30 2012-03-06 주식회사 오션이엔지 관측장비 내장형 중공구체 해양관측용 부이
KR200471996Y1 (ko) * 2014-01-07 2014-03-28 이재홍 해수욕장 안전관리용 해상부이
KR101570488B1 (ko) * 2014-12-12 2015-11-19 정지윤 선박의 생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568B1 (ko) * 2011-09-30 2012-03-06 주식회사 오션이엔지 관측장비 내장형 중공구체 해양관측용 부이
KR200471996Y1 (ko) * 2014-01-07 2014-03-28 이재홍 해수욕장 안전관리용 해상부이
KR101570488B1 (ko) * 2014-12-12 2015-11-19 정지윤 선박의 생존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565A (ko) * 2018-11-15 2020-05-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KR102590603B1 (ko) 2018-11-15 2023-10-16 한화오션 주식회사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KR20200145204A (ko) * 2019-06-21 2020-12-30 최진호 인명구호 시스템을 갖는 선박
KR102210078B1 (ko) * 2019-06-21 2021-01-29 최진호 인명구호 시스템을 갖는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2191C (zh) 防倾覆水上救生设备
CN103459249A (zh) 用于从倾覆舰船中疏散人员的系统
US4365579A (en) Survival capsule module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US20070051294A1 (en) Submarine emergency evacuation system
CN209241272U (zh) 一种防侧翻的救生艇
KR101737767B1 (ko)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
WO2014125503A2 (en) Rounded life boat
US3259926A (en) Life sphere
CN108891560A (zh) 一种能水陆两用超远距离快速自动靶向救生装置和使用方法
US3704678A (en) Submarine tanker
TW416921B (en) Submersible boat
KR20150139242A (ko) 선박용 침몰 구조 시스템
KR101743285B1 (ko) 선박용 공기 공급장치
KR101732496B1 (ko)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
SE507965C2 (sv) Räddningsflotte
US10683071B2 (en) Submerged compartment fluid transfer system
KR102086037B1 (ko)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
KR102210078B1 (ko) 인명구호 시스템을 갖는 선박
RU2333864C1 (ru) Спасательное судно
CN110203364A (zh) 海底高压管充气自救系统
EP2045182A2 (en) Fluid displacement body for emergency floatation of marine craft
CN108609132A (zh) 一种船舶航海用集体救生筏
RU2299831C2 (ru) Способ спасения и подъема судов и комплекс средств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CN214356586U (zh) 单人救生船
CN103342158A (zh) 四面体救生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