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563B1 - 전자 기기 및 촬상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촬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563B1
KR101244563B1 KR1020117001885A KR20117001885A KR101244563B1 KR 101244563 B1 KR101244563 B1 KR 101244563B1 KR 1020117001885 A KR1020117001885 A KR 1020117001885A KR 20117001885 A KR20117001885 A KR 20117001885A KR 101244563 B1 KR101244563 B1 KR 101244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om
case
displacement
unit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2711A (ko
Inventor
다카시 미우라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22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Focu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줌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전자 기기 및 촬상 방법을 제공한다. 휴대 전화기(1)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카메라부(23)와, 카메라부(23)가 촬상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21)와, 카메라부(23)에 촬상된 화상의 줌을 제어하는 제어부(30)를 구비하고, 제어부(30)는, 케이스의 변위를 가속도 센서(31)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검출하고, 검출된 케이스 변위에 기초하여, 촬상된 화상의 줌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및 촬상 방법{ELECTRONIC DEVICE AND IMAGING METHOD}
본 발명은, 촬상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 및 촬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 기기는, 줌 기능을 가진 촬상부를 가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리고, 촬상부는 줌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저는, 화상의 크기를 조정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2002-374450호 공보
그런데, 예를 들면, 상술한 줌 기능에 의한 촬상 화상의 확대 및 축소를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은, 전자 기기가 구비하고 있는 조작 키에서의 지시에 의해 행해진다. 따라서, 줌 기능의 조작은, 유저에게 있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촬상 화상에 대한 줌 기능을 가지는 전자 기기 및 촬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전자 기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촬상부에 촬상된 화상의 줌을 제어하는 줌 제어부와, 상기 케이스의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줌 제어부는, 상기 변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케이스의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된 화상의 줌을 제어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전자 기기는,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변위 검출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스의 변위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전자 기기는, 상기 촬상부의 촬상 화상의 포커싱의 정도를 판정 가능한 포커싱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변위 검출부는, 상기 포커싱 판정부에서 판정되는 상기 촬상 화상의 포커싱 정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스의 변위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변위 검출부는, 상기 촬상부의 촬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케이스의 변위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줌 제어부는, 상기 포커싱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상기 포커싱 정도가 소정 이상 변화한 경우에, 상기 촬상된 화상의 줌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줌 제어부는, 상기 변위 검출부가 피사체에 대해 가까워지는 방향의 케이스 변위를 검출했을 때, 상기 촬상된 화상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줌 제어부는, 상기 변위 검출부가 피사체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의 케이스 변위를 검출했을 때, 상기 촬상된 화상을 축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줌 제어부는, 상기 변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케이스 변위의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의 줌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전자 기기는, 상기 케이스 변위의 정도와 줌의 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줌 제어부는, 상기 변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케이스 변위의 정도에 대응한 줌의 정도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줌 정도에 따라 상기 촬상된 상기 화상의 줌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전자 기기는, 상기 화상의 줌의 정도의 변경을 지시하기 위한 줌 변경 지시부를 가지고, 상기 줌 제어부는, 검출된 상기 케이스 변위와 상기 줌 변경 지시부에서의 줌 변경 지시에 따라 상기 화상의 줌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줌 제어부는, 상기 케이스 변위가 검출되고 나서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줌 변경 지시부에서 줌 변경이 지시된 경우에, 상기 지시에 따른 상기 화상의 줌 변경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변위 검출부는, 상기 케이스 변위의 계속 시간을 계측하고, 상기 줌 제어부는, 상기 변위 검출부에 의해 계측되는 상기 계속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길 때, 상기 촬상된 화상의 줌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변위 검출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가속도의 최대값에 따라, 상기 케이스 변위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줌 제어부는, 접사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케이스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화상의 줌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촬상 방법은, 케이스에 설치되는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촬상 방법으로서, 상기 케이스의 변위를 검출하고, 당해 검출된 케이스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된 화상의 줌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 기기에 있어서, 촬상 화상에 대한 줌 제어가 간편해진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휴대 전화기(1)를 연 상태에 있어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휴대 전화기(1)를 연 상태에 있어서의 이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휴대 전화기(1)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가속도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휴대 전화기(1)를, 피사체로부터 멀리한 경우에 있어서의, 카메라부(23)의 화각(畵角)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휴대 전화기(1)를, 피사체에 가까이 한 경우에 있어서의, 카메라부(23)의 화각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제어부(30)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휴대 전화기(1)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제어부(30)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된 가속도 테이블이 보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제어부(30)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전자 기기의 일례로서 휴대 전화기(1)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 제1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PHS(Personal Handy phone System)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촬상 장치를 구비한 다양한 전자 기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휴대 전화기(1)를 연 상태에 있어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휴대 전화기(1)를 연 상태에 있어서의 이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는, 케이스로서의 조작부측 케이스(2)와, 표시부측 케이스(3)를 구비한다. 조작부측 케이스(2)와 표시부측 케이스(3)는, 힌지 기구를 구비하는 연결부(4)를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측 케이스(2)의 상단부와 표시부측 케이스(3)의 하단부는, 연결부(4)를 통하여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휴대 전화기(1)는, 힌지 기구를 통하여 연결된 조작부측 케이스(2)와 표시부측 케이스(3)를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즉, 휴대 전화기(1)는, 조작부측 케이스(2)와 표시부측 케이스(3)가 열린 상태(열림 상태)와, 조작부측 케이스(2)와 표시부측 케이스(3)가 접힌 상태(닫힘 상태)로 변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닫힘 상태란, 양쪽 케이스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된 상태이며, 열림 상태란, 양쪽 케이스가 서로 겹치지 않게 배치된 상태를 말한다.
조작부측 케이스(2)의 외면은, 프론트 케이스(2a)와 리어 케이스(2b)에 의해 구성된다. 조작부측 케이스(2)는, 프론트 케이스(2a)측에, 조작부(11)와, 휴대 전화기(1)의 사용자가 통화 시에 발한 음성을 도입하는 마이크(12)가 각각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측 케이스(2)은, 리어 케이스(2b)측에 카메라부(23)를 구성하는 렌즈부(23a)와 발광부(23b)를 노출하도록 배치한다.
조작부(11)는, 각종 설정이나 전화번호부 기능이나 메일 기능 등의 각종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능 설정 조작 키(13)와, 전화번호의 숫자나 메일의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조작 키(14)와, 각종 조작에 있어서의 결정이나 상하 좌우 방향의 스크롤 등을 행하는 조작 부재로서의 결정 조작 키(15)에 의해 구성된다. 결정 조작 키(15)는, 환형상 키(15a)와, 원형상 키(15b)에 의해 구성된다. 조작부(11)를 구성하는 각 키 각각에는, 조작부측 케이스(2)과 표시부측 케이스(3)의 개폐 상태나 각종 모드, 혹은 기동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등의 종류에 따라 소정의 기능이 할당된다(키·어사인). 그리고, 사용자가 각 키를 가압함으로써, 각 키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에 따른 동작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1)가 카메라 모드인 경우, 결정 조작 키(15)가 가압된 경우에는, 촬상 배율 등의 조정이나 촬상 지시가 이루어지도록 기능이 실행된다. 즉, 환형상 키(15a)가 가압됨으로써 촬상 배율의 조정이 이루어지고, 원형상 키(15b)가 가압됨으로써 소정의 촬상 배율 등에서의 촬상 지시가 이루어지도록, 각 키에는 기능이 할당된다.
마이크(12)는, 조작부측 케이스(2)의 긴 방향에 있어서의 연결부(4)측과 반대의 외단부측에 배치된다. 즉, 마이크(12)는, 휴대 전화기(1)가 열림 상태에 있어서 한쪽의 외단부측에 배치된다.
표시부측 케이스(3)의 외면은, 프론트 케이스(3a)와 리어 케이스(3b)에 의해 구성된다. 표시부측 케이스(3)에 있어서의 프론트 케이스(3a)에는, 촬상 화상 등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1)와, 통화의 상대측의 음성을 출력하는 리시버로서의 스피커(22)가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표시부(21)는, 액정 패널과, 이 액정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와, 이 액정 패널의 배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등의 광원부에 의해 구성된다.
표시부(21)는, 촬상 시에 있어서의 피사체의 화상을 연속적으로 표시 가능하게 구성된다. 표시부(21)는, 촬상 소자(201)(도 3 참조)로부터 순차적으로 읽어낸 전하 신호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묘화 처리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이다. 촬영자는, 표시부(21)에 표시되는 피사체의 화상을 보면서 결정 조작 키(15)에 있어서의 환형상 키(15a)로 화상 배율 등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원하는 화상 배율 등의 촬상 조건에서 원형상 키(15b)를 가압함으로써 인물 등의 피사체를 촬상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전화기(1)는, 이 환형상 키(15a)에 의한 배율 조정에 더하여, 후술하는 가속도 센서(31)(도 3)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배율 조정(줌 제어)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결부(4)에 의해 접는 것이 가능한, 접이식의 휴대 전화기(1)의 설명을 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 전화기는, 접이식이 아니어도, 조작부측 케이스(2)과 표시부측 케이스(3)을 겹친 상태로부터 한쪽의 케이스를 한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한 슬라이드식이나, 조작부측 케이스(2)과 표시부측 케이스(3)의 겹침 방향을 따르는 축선을 중심으로 한쪽의 케이스를 회전시키도록 한 회전(수평 회전)식이나, 조작부측 케이스(2)과 표시부측 케이스(3)이 하나의 케이스에 배치되어 연결부를 갖지 않는 형식(스트레이트 타입)이어도 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휴대 전화기(1)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휴대 전화기(1)는, 조작부(11)와, 표시부(21)와, 카메라부(23)와, 제어부(30)와, 가속도 센서(31)와, 메모리(32)와, 타이머(33)를 구비한다.
표시부(21)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화상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표시부(21)는,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에 모아, 소정의 타이밍에서 화면 출력한다.
카메라부(23)는, 렌즈부(23a)와, 촬상 소자(201)와, 화상 처리부(202)를 구비한다. 촬상 소자(201)는, 렌즈부(23a)를 통과하여 입력된 광을 전하 신호로 변환한다. 화상 처리부(202)는, 이 전하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어부(30)로 화상 데이터를 건네 준다.
제어부(30)(줌 제어부)는, 휴대 전화기(1)의 전체를 제어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표시부(21)나 카메라부(23) 등에 대해 소정의 제어를 행한다. 또, 제어부(30)는, 조작부(11), 가속도 센서(31), 타이머(33) 등으로부터 입력을 받아들여,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처리 실행 시에는, 메모리(32)를 제어하여,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의 읽어내기와, 데이터의 기록을 행한다.
가속도 센서(31)는, 프론트 케이스(2a)로부터 리어 케이스(2b)를 향하는 방향의 가속도를 검출한다. 가속도 센서(31)는, 외부로부터 가해진 힘(F)과 질량(m)에 기초하여, 가속도(a)를 측정한다(가속도(a)=힘(F)/질량(m)).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가속도 센서(31)는 1축 타입으로 했지만, 실시 형태는 1축 타입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게임이나 그 외의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설치된 2축 이상의 다축센서가 이용되어도 된다.
또, 렌즈부(23a)의 일부를 구성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는, 카메라부(23)가 흔들리면 전자 유도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가속도 센서(31)는, 이때에 발생한 전류에 의해 가속도를 검출한다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가속도 센서(31)는, 예를 들면, 압전 소자에 의해 소정의 질량에 가해지는 힘을 계측하여 축 마다의 가속도를 구하고, 수치 데이터화하여 버퍼링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주기적으로 버퍼링된 가속도 데이터를 읽어낸다. 또한, 가속도 센서(31)는, 압전 소자(압전식)에 한정되지 않고, 피에조 저항형, 정전 용량형, 열검지형 등에 의한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식이나, 가동 코일을 움직여 피드백 전류에 의해 원래로 되돌리는 서보식이나, 가속도에 의해 발생하는 변형을 변형 게이지에 의해 측정하는 변형 게이지식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메모리(32)는, 예를 들면, 워킹메모리를 포함하며, 제어부(30)에 의한 연산 처리에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메모리(32)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가속도 테이블(도 4) 등을 기억한다. 또한, 메모리(32)는, 착탈 가능한 외부 메모리를 겸하고 있어도 된다.
타이머(33)는, 제어부(30)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소정의 시간을 계측하고, 제어부(30)에 통지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부(30)는,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처리의 내용을 분기시킬 수 있다.
이하, 가속도 센서(31)와, 제어부(3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가속도 센서(31)는, 휴대 전화기(1)에 가해지는 가속도의 값을 정기적으로 가속도 데이터로서 검출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이 가속도 센서(31)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 데이터를 읽어낸다.
제어부(30)는, 검출된 가속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1)(케이스)의 촬상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변화(케이스 변위)를 검출한다. 위치 변화는, 구체적으로는, 촬상 방향으로의 정방향의 이동인지 역방향으로의 이동인지의 구별과, 가속도의 크기이다. 또한, 제어부(30)는, 위치 변화로서, 가속도의 크기 뿐만이 아니라, 검출된 가속도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변위 속도, 변위 시간, 변위 거리 등을 이용해도 된다.
그런데, 인간의 동작에는 반드시 떨림이 발생하기 때문에, 유저에 의한 휴대 전화기(1)의 이동에 수반하는 가속도는, 결코 일정값을 취할 수 없다. 즉, 이동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동안에 가속도는 변화하고, 값의 음양도 역전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초기의 가속도를 채용하는 것으로 하고, 그 중에 최대가 된 가속도를 가속도의 크기로 한다.
또한, 위치 변화의 검출 방법은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검출 룰을 설정해 두어도 된다. 예를 들면, 가속도의 음양 중, 지속 시간이 긴 방향을 이동의 방향으로 판단해도 된다. 가속도의 크기는, 최대값에 한정되지 않고, 평균값이나 적산값 등이어도 된다.
다음에, 제어부(30)는, 메모리(32)로부터, 위치 변화와 줌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읽어들인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읽어들인 테이블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부(23)를 제어하고, 카메라부(23)에 의해 촬상된 화상의 줌의 정도를 조정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위치 변화(케이스 변위)와 줌량의 관계를 규정한 가속도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위치 변화로서 검출된 가속도의 방향 및 크기를 나타내는 값(가속도 레벨)과, 줌 정도의 변화량이 관련지어진다.
제어부(30)는, 도 4의 가속도 테이블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가속도 레벨 「3」이 검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줌을 「+5」조정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휴대 전화기(1)를 전후로 움직임으로써, 그 방향과 강도에 따라 줌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휴대 전화기(1)를, 피사체로부터 멀리한 경우에 있어서의, 카메라부(23)의 화각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피사체의 위치가 피사체면 41로부터 피사체면 42로 변화되어, 피사체와 카메라부(23)의 거리가 길어진 경우에 있어서, 카메라부(23)의 화각이 화각 α일 때, 촬상 범위는 피사체면 42의 거리 a의 부분이 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해 제어부(30)가 줌 다운을 실행하여 화각을 β로 넓히면, 촬상 범위는 피사체면 42의 거리 b의 부분이 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휴대 전화기(1)를, 피사체에 가까이 한 경우에 있어서의, 카메라부(23)의 화각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와는 반대로, 피사체의 위치가 피사체면 43으로부터 피사체면 44로 변화되어, 피사체와 카메라부(23)의 거리가 짧아진 경우에 있어서, 카메라부(23)의 화각이 화각 θ일 때, 촬상 범위는 피사체면 44의 거리 c의 부분이 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해 제어부(30)가 줌 업을 실행하여 화각을 φ로 좁히면, 촬상 범위는 피사체면 44의 거리 d의 부분이 된다.
이와 같이, 휴대 전화기(1)를 피사체에 대해 가까이 하면 줌 업, 멀리하면 줌 다운이 실행되므로, 유저는, 자신의 감각에 맞는 줌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기(1)의 적은 이동으로 큰 줌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유저는, 피사체를 촛점 거리로부터 크게 벗어나게 하는 일 없이 원하는 크기로 촬상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제어부(30)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101에서는, 제어부(30)는, 유저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따라 카메라부(23)의 동작을 개시한다.
단계 S102에서는, 제어부(30)는, 가속도 센서(31)로부터 가속도값을 취득한다. 제어부(30)는, 가속도값을 주기적으로 취득하고 있기 때문에, 이 시점까지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가속도값의 추이를 참조 가능하다.
단계 S103에서는, 제어부(30)는, 단계 S102에서 취득한 가속도값이 변화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30)는, 과거부터의 가속도값의 추이를 감시하여, 소정의 임계값 이상의 변화가 있었던 경우에 변화했다고 판정한다. 혹은, 제어부(30)는, 휴대 전화기(1)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가속도값은 제로 부근이므로, 소정 이상의 값이 된 경우에 변화했다고 판정해도 된다. 이 판정이 YES인 경우는 처리를 단계 S104로 이동시키고, 판정이 NO인 경우는 처리를 단계 S112로 이동시킨다.
단계 S104에서는, 제어부(30)는, 단계 S103에서 판정된 가속도값의 변화(케이스 변위)가 소정 시간 계속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30)는, 이 판정이 YES인 경우는, 유저가 의도적으로 이동시켰다고 판단하여 처리를 단계 S105로 이동시키고, 판정이 NO인 경우는, 손떨림 등에 의한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이동이라고 판단하여 처리를 단계 S112로 이동시킨다.
단계 S105에서는, 제어부(30)는, 휴대 전화기(1)가 피사체로부터 멀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제어부(30)는, 케이스 변위로서의 가속도의 방향이 피사체를 향해 역방향이며, 휴대 전화기(1)가 피사체로부터 멀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이 YES인 경우, 즉 휴대 전화기(1)가 피사체로부터 멀어졌다고 판정했을 때, 제어부(30)는, 처리를 단계 S109로 이동시킨다. 또, 판정이 NO인 경우, 즉 휴대 전화기(1)가 피사체로부터 멀어지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때, 제어부(30)는, 처리를 단계 S106으로 이동시킨다.
단계 S106에서는, 제어부(30)는, 취득한 가속도의 레벨에 따라, 가속도 테이블(도 4)로부터 줌의 증가량을 취득한다.
단계 S107에서는, 제어부(30)는, 현재의 줌의 정도가, 줌 조정이 가능한 범위의 한계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30)는, 이 판정이 YES인 경우는, 처리를 단계 S112로 이동시키고, 판정이 NO인 경우는, 처리를 단계 S108로 이동시킨다.
단계 S108에서는, 제어부(30)는, 단계 S106에서 취득한 줌 증가량에 따라, 카메라부(23)를 제어하고, 카메라부(23)의 줌 단계를 올린다.
단계 S109에서는, 제어부(30)는, 취득한 가속도의 레벨에 따라, 가속도 테이블(도 4)로부터 줌의 감소량을 취득한다.
단계 S110에서는, 제어부(30)는, 현재의 줌의 정도가, 줌 조정이 가능한 범위의 한계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30)는, 이 판정이 YES인 경우는, 처리를 단계 S112로 이동시키고, 판정이 NO인 경우는, 처리를 단계 S111로 이동시킨다.
단계 S111에서는, 제어부(30)는, 단계 S109에서 취득한 줌 감소량에 따라, 카메라부(23)를 제어하고, 카메라부(23)의 줌 단계를 낮춘다.
단계 S112에서는, 제어부(30)는, 촬상의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0)는, 원형상 키(15b)(도 1) 등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에, 촬상의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한다. 제어부(30)는, 이 판정이 YES인 경우는, 처리를 단계 S115로 이동시키고, 판정이 NO인 경우는, 처리를 단계 S113으로 이동시킨다.
단계 S113에서는, 제어부(30)는, 단계 S112에서 촬상 조작의 실행이 판정되지 않은 채, 소정 시간이 경과(타임 아웃)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30)는, 이 판정이 YES인 경우는, 처리를 단계 S116으로 이동시키고, 판정이 NO인 경우는, 처리를 단계 S114로 이동시킨다.
단계 S114에서는, 제어부(30)는, 카메라 기능의 종료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0)는, 예를 들면, 기능 설정 조작 키(13)(도 1) 중 종료 버튼 등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에, 카메라 기능의 종료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한다. 제어부(30)는, 이 판정이 YES인 경우는, 처리를 단계 S116으로 이동시키고, 판정이 NO인 경우는, 처리를 단계 S102로 되돌려 줌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116에서는, 제어부(30)는, 카메라부(23)의 동작을 종료시키고, 처리를 종료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휴대 전화기(1)는, 조작부(11)에 의한 줌 설정을 받아들이는 일 없이, 피사체에 가까워졌는지 멀어졌는지를 검지함으로써 줌 제어를 행한다. 피사체에 가까이 하면 확대하고 피사체로부터 멀리하면 축소와 같은 조작은, 유저에게 있어 감각적으로 알기 쉬운 조작이다. 따라서, 유저는, 직감적인 동작에 의해 간단하게 줌 업 또는 줌 다운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30)는, 휴대 전화기(1)의 위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 가속도 센서(31)의 검출값을 이용한다. 종래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도, 가속도 센서는 게임이나 다른 기능에 사용할 목적으로 이미 탑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가속도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새롭게 부품을 추가하는 일 없이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의 기능이 실현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전화기(1)가 가지는 메모리(32)는, 가속도와 줌량의 관계를 미리 기억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어부(30)는, 복잡한 계산을 행하는 일 없이 줌량을 즉석에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위치 변화(케이스 변위)가 클수록 줌의 정도를 크게 함으로써, 유저는, 줌량의 조정이 용이해지고, 또한, 직감적인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 시간 내의 가속도 변화의 검출은, 손떨림으로 판단하여 줌 조정을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저가 의도하고 있지 않은 줌 처리가 실행되는 것이 억제된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더하여, 포커싱 정도의 판정 기능이 추가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휴대 전화기(1)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카메라부(23)는, 제1 실시 형태(도 3)에 더하여, 포커싱 처리부(203)를 더 구비한다.
포커싱 처리부(203)는, 화상 데이터의 소정의 영역을 잘라 내어, 미분 성분을 적산함으로써, 포커싱 정도를 나타내는 포커싱 평가값을 검출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30)는, 검출된 가속도 레벨에 기초하여 줌 제어를 행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30)는, 포커싱 처리부(203)에 의해 검출된 포커싱 평가값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1)의 위치 변화(케이스 변위)를 검출하고, 이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촬상된 화상의 줌 제어를 행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제어부(30)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제1 실시 형태(도 7)에 있어서의 단계 S102∼S104가 단계 S202∼S203으로, 단계 S106이 단계 S206으로, 단계 S109가 단계 S209로 변경되어 있으며, 그 외의 단계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단계 S202에서는, 제어부(30)는, 포커싱 처리부(203)로부터, 포커싱의 정도를 나타내는 포커싱 평가값을 취득한다. 여기서, 제어부(30)는, 포커싱 평가값을 주기적으로 취득하기 때문에, 이 시점까지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포커싱 평가값의 추이를 참조할 수 있다.
단계 S203에서는, 제어부(30)는, 단계 S202에서 취득한 포커싱 평가값이 변화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30)는, 과거부터의 포커싱 평가값의 추이를 감시하여, 소정의 임계값 이상의 변화가 있었던 경우에 변화했다고 판정한다. 혹은, 제어부(30)는, 포커싱 평가값이 크고, 또한 핀트가 맞은 경우에는, 휴대 전화기(1)의 이동에 의해 포커싱 평가값은 작아지므로, 포커싱 평가값이 소정값보다 작아졌을 때에 변화했다고 판정해도 된다. 이 때, 제어부(30)는, 포커싱 거리에 따라, 소정값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30)는, 이 판정이 YES인 경우는, 처리를 단계 S205로 이동시키고, 판정이 NO인 경우는, 처리를 단계 S212로 이동시킨다.
단계 S206 또는 단계 S209에서는, 제어부(30)는, 가속도 테이블(도 4)과 마찬가지로, 포커싱 평가값의 변화와 줌 정도의 증감량을 관련지은 테이블(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줌의 증가량 또는 줌의 감소량을 취득한다. 또한, 포커싱 평가값의 변화와 줌 증감량을 관련짓는 것은, 포커싱 거리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어부(30)는, 포커싱 거리에 따라, 소정의 계산 룰에 의해 줌 증감량을 검출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전화기(1)의 위치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포커싱 처리부(203)를 설치했다. 이것에 의해, 휴대 전화기(1)는, 가속도 센서(31) 등의 구성 부품을 추가하는 일 없이, 화상의 포커싱 정도를 이용함으로써 위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직감적인 동작에 의해 간단하게 줌 업 또는 줌 다운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30)는, 포커싱 평가값이 소정 이상의 변화를 한 경우에 줌 처리를 행했다. 따라서, 제어부(30)는, 손떨림 등에 기인하는 포커싱 정도의 작은 변화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줌 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30)는, 포커싱 평가값의 변화량이 소정 이상인 경우에 줌 처리를 행했다. 또한, 제어부(30)는, 포커싱 평가값이 감소하는 경우에 있어서, 줌 처리를 행해도 된다. 포커싱 평가값이 커지는 경우는, 유저가 핀트를 맞추기 위해서 휴대 전화기(1)를 움직이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30)는, 이 처리에 의해,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줌 처리를 억제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제3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부(30)는, 미리 가속도 테이블(도 4)을 기억하고, 기억된 줌 증감량에 기초하여 줌 제어를 행했다. 한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30)는, 이 가속도 테이블에 기억되는 데이터를 보정하는 기능을 더 구비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가속도 테이블이 보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휴대 전화기(1)가 가속도 레벨 「3」으로 움직여진 경우, 제어부(30)는, 보정 전의 테이블 A에 기초하여, 줌 단계를 「5」증가시킨다.
이어서, 소정의 시간 이내에, 조작부(11)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의해 줌 단계가 또한 「+2」변경된 경우, 제어부(30)는, 가속도 레벨 「3」에 대응하는 줌 증가량을 「5」에서 「7」로 보정하고, 보정 후의 테이블 B를 기억한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제어부(30)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여기에서는, 가속도 변화에 따라 줌 정도를 조정한 후의 처리를 나타낸다.
단계 S301에서는, 제어부(30)는, 조작부(11)로부터 줌 정도의 변경 입력을 받아들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30)는, 이 판정이 YES인 경우는, 처리를 단계 S302로 이동시키고, 판정이 NO인 경우는, 처리를 단계 S303으로 이동시킨다.
단계 S302에서는, 제어부(30)는, 단계 S301에서 받아들인 줌 정도의 변경 입력에 기초하여, 가속도 테이블의 데이터를 갱신한다.
단계 S303에서는, 제어부(30)는, 단계 S301에서 줌 정도의 변경 입력을 받아들이지 않은 채로 소정 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30)는, 이 판정이 YES인 경우는 처리를 종료하고, 판정이 NO인 경우는, 처리를 단계 S301로 되돌려, 입력을 받아들이는 것을 계속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유저의 조작 입력에 의해, 줌 제어의 제어량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기(1)는, 유저 각각에 있어 친화성이 높은 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단계 S303에 있어서의 소정 시간의 경과는, 제어부(30)가 줌 정도를 가속도 테이블에 기초하여 변경하고 나서의 시간 경과여도 된다. 그리고, 소정 시간은, 예를 들면 몇 초간이어도 된다.
이러한 실시 형태이면, 제어부(30)에 의해 줌이 행해진 직후의 유저의 보정만을 조작부(11)로부터 받아들이고, 제어부(30)는, 가속도 테이블의 데이터를 갱신한다. 따라서, 유저가 줌의 정도를 보정하고 싶다고 생각했을 때에 조작부(11)에 입력한 보정만을, 제어부(30)는 가속도 테이블에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는, 유저 각각에 있어 친화성이 높은 줌 기능을 제공하는 것 만이 아니라, 유저의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기재된 효과는, 본 발명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장 적합한 효과를 열거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위치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은, 휴대 전화기(1)의 촬상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촬상 화상 데이터의 천이(확대, 축소 등)나, 초음파 등에 의한 거리 계측 결과에 의해, 휴대 전화기(1)의 위치 변화를 검출해도 되고, 휴대 전화기(1)의 촬상 방향으로의 위치 변화(케이스 변위)를 검출하는 구성이면 된다.
또, 상술한 포커싱의 정도에 의한 줌 제어와, 가속도 센서에 의한 줌 제어는, 양쪽 모두 이용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어부(30)는, 보다 고정밀도의 줌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휴대 전화기(1)가 접사용으로 촛점 거리를 짧게 하는 매크로 모드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는, 제어부(30)는, 이 매크로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 상술한 줌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매크로 모드에서는, 핀트를 맞출 수 있는 거리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휴대 전화기(1)를 크게 움직일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줌 처리에 의해, 약간의 이동량으로 원하는 줌 설정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다.
또, 휴대 전화기(1)가 AF(Auto Focus:오토 포커스)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30)는, AF 기능에 의해 포커싱이 성공한 후에 상술한 줌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포커싱이 성공한 후의 휴대 전화기(1)의 위치 변화는, 줌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조건을 부가함으로써, 제어부(30)는, 유저가 의도하는 타이밍에서 줌 처리를 실행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술한 줌 처리는, AF 기능에 의해 포커싱이 성공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실행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줌 처리는, QR 코드(등록 상표) 등의 2차원 코드의 판독에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즉, 2차원 코드를 촬상했을 때의 화상의 크기나 포커싱 정도는, 판독의 정밀도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1)를 크게 이동시키는 일 없이 간편하게 줌 제어를 실행할 수 있음으로써, 유저는, 판독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카메라부(23)의 줌 기능은, 화상 처리에 의한 디지털 줌에는 한정되지 않으며, 렌즈부(23a)를 변위시키는 것에 의한 광학 줌이어도 된다.
1 : 휴대 전화기(전자 기기)
2 : 조작부측 케이스(케이스)
3 : 표시부측 케이스(케이스)
11 : 조작부(줌 변경 지시부)
21 : 표시부 23 : 카메라부(촬상부)
23a : 렌즈부
30 : 제어부(줌 제어부, 변위 검출부, 줌 변경 지시부)
31 : 가속도 센서 32 : 메모리(기억부)
33 : 타이머(변위 검출부) 201 : 촬상 소자
202 : 화상 처리부
203 : 포커싱 처리부(포커싱 판정부)

Claims (15)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촬상부에 촬상된 화상의 줌을 제어하는 줌 제어부와,
    상기 촬상부의 촬상 화상의 포커싱의 정도를 판정 가능한 포커싱 판정부와,
    상기 포커싱 판정부에서 판정되는 상기 촬상 화상의 포커싱 정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스의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줌 제어부는, 상기 변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케이스의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된 화상의 줌을 제어하는, 전자 기기.
  2.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촬상부에 촬상된 화상의 줌을 제어하는 줌 제어부와,
    상기 케이스의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 검출부와,
    상기 케이스 변위의 정도와 줌의 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줌 제어부는, 상기 변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케이스의 변위의 정도에 대응한 줌의 정도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줌 정도에 따라 상기 촬상된 화상의 줌을 제어하며, 상기 케이스 변위가 검출되고 나서 소정 시간 내에 줌 변경이 지시된 경우에, 상기 지시에 따른 상기 화상의 줌 변경을 행함과 함께,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를 변경하는, 전자 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변위 검출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스의 변위를 검출하는, 전자 기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변위 검출부는, 상기 촬상부의 촬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케이스의 변위를 검출하는, 전자 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줌 제어부는, 상기 포커싱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상기 포커싱 정도가 소정 이상 변화한 경우에, 상기 촬상된 화상의 줌을 제어하는, 전자 기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줌 제어부는, 상기 변위 검출부가 피사체에 대해 가까워지는 방향의 케이스 변위를 검출했을 때, 상기 촬상된 화상을 확대하는, 전자 기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줌 제어부는, 상기 변위 검출부가 피사체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의 케이스 변위를 검출했을 때, 상기 촬상된 화상을 축소하는, 전자 기기.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변위 검출부는, 상기 케이스 변위의 계속 시간을 계측하고,
    상기 줌 제어부는, 상기 변위 검출부에 의해 계측되는 상기 계속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길 때, 상기 촬상된 화상의 줌을 제어하는, 전자 기기.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변위 검출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가속도의 최대값에 따라, 상기 케이스 변위를 검출하는, 전자 기기.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줌 제어부는, 접사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케이스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의 줌을 제어하는, 전자 기기.
  11. 케이스에 설치되는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촬상 방법으로서,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의 포커싱의 정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스의 변위를 검출하고, 당해 검출된 케이스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된 화상의 줌을 제어하는, 촬상 방법.
  12. 케이스에 설치되는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촬상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케이스 변위의 정도와 줌의 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의 변위를 검출하고, 당해 검출된 케이스 변위의 정도에 대응한 줌의 정도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줌 정도에 따라 상기 촬상된 화상의 줌을 제어하며, 상기 케이스 변위가 검출되고 나서 소정 시간 내에 줌 변경이 지시된 경우에, 상기 지시에 따른 상기 화상의 줌 변경을 행함과 함께,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를 변경하는, 촬상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17001885A 2008-06-27 2009-06-26 전자 기기 및 촬상 방법 KR101244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69677 2008-06-27
JP2008169677A JP5330746B2 (ja) 2008-06-27 2008-06-27 電子機器および撮像方法
PCT/JP2009/061787 WO2009157569A1 (ja) 2008-06-27 2009-06-26 電子機器および撮像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711A KR20110022711A (ko) 2011-03-07
KR101244563B1 true KR101244563B1 (ko) 2013-03-20

Family

ID=41444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885A KR101244563B1 (ko) 2008-06-27 2009-06-26 전자 기기 및 촬상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117960A1 (ko)
JP (1) JP5330746B2 (ko)
KR (1) KR101244563B1 (ko)
WO (1) WO20091575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2107B (zh) * 2010-01-08 2014-03-0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拍照系统及方法
WO2011102406A1 (ja) 2010-02-18 2011-08-25 ロー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JP2011215539A (ja) * 2010-04-02 2011-10-27 Roh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CN102377934B (zh) * 2010-08-23 2016-01-13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自动变焦方法、装置和移动终端
EP2726929A4 (en) * 2011-06-30 2015-05-20 Nokia Corp ARRANGEMENT FOR MACROPHOTOGRAPHY
US9602801B2 (en) 2011-07-18 2017-03-21 Truality, Llc Method for smoothing transitions between scenes of a stereo film and controlling or regulating a plurality of 3D cameras
DE102011109301B4 (de) * 2011-08-03 2013-05-08 3Ality Digital Systems, Llc Verfahren zum Korrigieren der Zoom-Einstellung und/oder des vertikalen Versatzes von Teilbildern eines Stereofilms sowie Steuerung oder Regelung eines Kamerarigs mit zwei Kameras
US8840012B2 (en) 2011-11-22 2014-09-23 Hugo J. Soares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and sharing scheduling data
US9077884B2 (en) 2012-03-21 2015-07-07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s with motion response and related methods
DE102014002599B3 (de) 2014-02-24 2015-08-20 Mobotix Ag Kameraanordnung
CN106231176B (zh) * 2016-07-18 2019-11-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变焦处理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5170A (ja) * 2003-06-09 2005-01-27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025362B2 (ja) * 2006-02-15 2007-12-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撮影装置および撮影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4265A (ja) * 2002-03-15 2003-09-26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表示装置
JP2003348418A (ja) * 2002-05-29 2003-12-05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虫眼鏡
JP2004128712A (ja) * 2002-09-30 2004-04-22 Fuji Photo Film Co Ltd 携帯端末装置
JP2006186658A (ja) * 2004-12-27 2006-07-13 Sharp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携帯電話機
JP2006319578A (ja) * 2005-05-11 2006-11-24 Sharp Corp 奥行方向移動判定装置、その奥行方向移動判定装置を有する手ぶれ補正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プログラム、そ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計算機に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および手ぶれ補正システムを備える電子機器。
WO2007060794A1 (ja) * 2005-11-22 2007-05-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撮影装置、携帯端末装置、撮影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5170A (ja) * 2003-06-09 2005-01-27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025362B2 (ja) * 2006-02-15 2007-12-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撮影装置および撮影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17960A1 (en) 2011-05-19
JP5330746B2 (ja) 2013-10-30
KR20110022711A (ko) 2011-03-07
WO2009157569A1 (ja) 2009-12-30
JP2010008823A (ja) 201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563B1 (ko) 전자 기기 및 촬상 방법
JP4516985B2 (ja) デジタルカメラの焦点合わせ
US20180059511A1 (en) Continuous autofocus mechanisms for image capturing devices
EP1304872A1 (en) An image stabiliser for a microcamera module of a handheld device and method for stabilising a microcamera module of a hand-held device
KR101531167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움직임에 따른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08010559A1 (fr) Appareil d'imagerie
EP1943834A1 (en) Image stabilized digital imaging
JP6153354B2 (ja) 撮影機器及び撮影方法
JP6027308B2 (ja) 撮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9485413B2 (en) Imaging device,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and method for controlling area change
JP2010028364A (ja) 撮影装置
JP2011160067A (ja) 手振れ補正装置及び方法、並びにカメラモジュール、携帯電話機
JP2007206382A (ja) ぶれ検出装置、その制御方法、撮影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60095457A (ko) 촬상 장치, 이를 작동하는 작동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JP2008051938A (ja) カメラシステム及び合焦動作時の表示制御方法
JP2012147100A (ja) 撮像装置
JP2006279116A (ja) ディジタルカメラ装置
KR20160088081A (ko) 영상 촬영 기기의 햅틱 인터페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7288449A (ja) 撮像装置
JP2006091208A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9130592A (ja) カメラ
JP2018023086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起動処理方法および撮像装置の起動処理プログラム
JP2010262223A (ja) カメラ、携帯端末装置及びレンズの位置制御方法
KR10149955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JP4271545B2 (ja)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