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380B1 - 에어백 모듈 - Google Patents
에어백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3380B1 KR101243380B1 KR1020100119814A KR20100119814A KR101243380B1 KR 101243380 B1 KR101243380 B1 KR 101243380B1 KR 1020100119814 A KR1020100119814 A KR 1020100119814A KR 20100119814 A KR20100119814 A KR 20100119814A KR 101243380 B1 KR101243380 B1 KR 1012433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ute
- airbag
- guide
- door
- relativ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4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hi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1—Use of a material of the hooks-and-loop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에어백 모듈은, 내부에 인플레이터 및 쿠션이 수용되며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에어백 하우징;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슈트; 및 차량에 미리 결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하여진 경우 상기 쿠션의 전개에 따라 상기 슈트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슈트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한 후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전면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슈트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을 하도록 상기 슈트에 결합되는 에어백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충돌 등의 상황 발생시 비교적 낮은 압력에도 쿠션을 용이하게 전개하고 힌지의 파손을 방지하는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 및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에어백 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에어백 장치는 안전벨트와 더불어 자동차의 충돌 사고시에 대표적인 탑승객 보호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에어백 장치는 탑승객의 머리 및 흉부를 보호하여 스티어링 휠 또는 윈드글래스에 2차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차량의 충돌 형태 및 충돌속도에 의해서 각각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충돌로부터 충돌판정까지의 시간은 10㎳이고 전기신호가 출력되어 에어백의 쿠션이 전개되어 완전히 팽창하기까지의 시간은 30-40㎳로 극히 짧은 시간에 이루어져야만 한다.
1은 종래의 에어백 장치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에어백 장치(1)는 크래시패드(2)의 내부에 장착되며 인플레이터(3) 및 쿠션(4)이 수용되는 에어백 하우징(5)과, 에어백 하우징(5)에 대하여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에어백 도어(6)를 포함한다. 한편 크래시패드(2)의 내측에는 티어라인(T, tear line)이 형성되어 차량의 충돌 등의 상황 발생시 티어라인(T)을 기준으로 크래시패드(2)가 절개됨으로써 에어백 도어(6)가 열릴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차량에 소정의 충격이 발생하면, 센서(미도시)가 충돌상태를 감지하게 되며, 센서에 연결되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인플레이터(3)의 가스가 폭발되고, 그 폭발된 가스로 인해 에어백 하우징(5) 내에 수납된 쿠션(4)이 순간적으로 팽창되면서 티어라인(T)이 절개되어 에어백 도어(6)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쿠션(4)이 탑승객을 향해 돌출 전개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에어백 장치는 크래시패드(2)에 형성되는 티어라인(T)의 절개를 위해서 반드시 인플레이터로(3)부터 높은 압력의 가스가 쿠션(4)으로 공급되어야 했기 때문에 인플레이터(3)의 가스 압력이 비교적 낮은 경우에는 에어백 도어(6)의 회전운동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게 되어 쿠션(4)의 전개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순간적인 쿠션의 전개에 따라 에어백 하우징(5)과 에어백 도어(6)의 연결지점인 힌지(H)에 과도한 충격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힌지(H)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힌지(H)의 파손은 에어백 도어(6)의 분리를 의미하므로 자칫 잘못하면 에어백 도어(6)가 탑승객에게 심각한 인명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힌지(H)의 강성을 높게 하면, 힌지(H)의 강성으로 인해 에어백 도어(6)가 열리지 않거나 티어라인(T)이 아닌 곳으로 에어백 도어(6)가 열리게 되어, 쿠션(4)의 신속한 전개가 저해되므로 에어백 장치(1)가 탑승객을 신속히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에 인플레이터(3)의 가스 압력이 낮은 경우에도 쿠션(4)을 용이하게 전개하고 쿠션(4)의 전개시 힌지(H)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백 구조에 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어 왔으며, 이에 본 출원인은 경기도 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본 발명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충돌 등의 상황 발생시 비교적 낮은 압력에도 쿠션을 용이하게 전개하고 힌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인플레이터 및 쿠션이 수용되며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에어백 하우징;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슈트; 및 차량에 미리 결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하여진 경우 상기 쿠션의 전개에 따라 상기 슈트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슈트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한 후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전면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슈트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을 하도록 상기 슈트에 결합되는 에어백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에어백 도어는, 상기 슈트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쿠션전개공을 덮도록 마련되는 도어 본체; 및 상기 슈트에 대한 상기 에어백 도어의 상대 선형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로드: 및 상기 에어백 도어가 상기 슈트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로드와 상기 도어 본체를 상호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슈트는,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쿠션전개공이 마련되는 슈트 본체; 상기 에어백 하우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슈트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슈트 측벽; 및 상기 안내로드를 상기 슈트에 대한 상기 에어백 도어의 상대 선형운동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슈트에 마련되는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안내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슈트 본체의 일측에 상기 슈트 측벽의 외측 경계를 따라 관통 형성되는 슬롯공; 및 상기 안내로드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슈트 측벽의 외측에 마련되는 안내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로드는, 상기 힌지부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안내로드이며,
상기 안내벽은, 상기 슈트 측벽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내로드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안내벽일 수 있다.
상기 안내로드에는, 상기 슈트에 대한 상기 에어백 도어의 상대 선형운동 정도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안내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에어백 하우징은, 상기 안내공에 삽입 걸림되기 위해 표면으로부터 상기 슈트 측벽에 형성된 걸림공을 관통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걸림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슈트는,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하는 고온 및 고압의 가스가 상기 힌지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부 인접하는 상기 슈트 측벽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도어 본체 측으로 경사지게 돌출 연장되어 가스의 영향에 의한 상기 힌지부의 파손을 방지하며 상기 쿠션의 전개방향을 탑승객 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백 도어는, 상기 슈트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쿠션전개공을 덮도록 마련되는 도어 본체; 및 상기 슈트에 대한 상기 에어백 도어의 상대 선형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로드는, 상기 도어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안내로드일 수 있다.
상기 슈트는,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쿠션전개공이 마련되는 슈트 본체; 상기 에어백 하우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슈트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슈트 측벽; 및 상기 안내로드를 상기 슈트에 대한 상기 에어백 도어의 상대 선형운동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슈트에 마련되는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안내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슈트 본체의 일측에 상기 슈트 측벽의 내측 경계를 따라 관통 형성되되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슬롯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로드에는, 상기 슈트에 대한 상기 에어백 도어의 상대 선형운동 정도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안내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에어백 하우징은, 상기 안내공과 상기 슈트 측벽에 형성된 걸림공에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걸림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의 전개방향을 탑승객 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부가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상기 도어 본체의 하면을 따라 돌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안내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백 도어는, 상기 슈트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도어 본체를 보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안내로드가 마련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상기 도어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에는, 하면 둘레를 따라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슈트 측벽은, 상면 둘레를 따라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공의 길이는 상기 걸림공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안내공은, 상기 슈트에 대한 상기 에어백 도어의 상대 선형운동에 따라 크래시패드의 티어라인이 절개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로드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전면을 개방하도록 상기 도어 본체가 상기 슈트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도어 본체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힘 변형을 갖는 연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쿠션의 전개에 따라 에어백 하우징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슈트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하여 크래시패드의 티어라인을 절개한 후 에어백 하우징의 전면을 개방하도록 슈트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에어백 도어에 의하여, 차량의 충돌 등의 상황 발생시 인플레이터의 낮은 가스압으로도 에어백 도어의 도어 본체를 용이하게 열 수 있고, 힌지부의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쿠션이 탑승객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백 장치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에어백 모듈의 슈트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슈트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도어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에어백 도어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7c는 도 2의 에어백 모듈의 쿠션 전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을 상측에서 바라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에어백 모듈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에어백 모듈의 쿠션 전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에어백 모듈의 슈트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슈트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도어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에어백 도어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7c는 도 2의 에어백 모듈의 쿠션 전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을 상측에서 바라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에어백 모듈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에어백 모듈의 쿠션 전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에어백 모듈의 슈트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슈트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도어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에어백 도어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7a 내지 7c는 도 2의 에어백 모듈의 쿠션 전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을 상측에서 바라본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에어백 모듈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에어백 모듈의 쿠션 전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100)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되는 에어백 하우징(110)과, 에어백 하우징(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슈트(120)와, 슈트(120)에 에어백 하우징(110)의 전면을 개방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에어백 도어(130)를 포함한다.
에어백 하우징(110)은, 에어백 모듈(100)의 하부 프레임을 형성하며 내부에 인플레이터 및 쿠션이 수용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인플레이터는, 에어백 하우징(110)의 하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인플레이터 수용부(111)에 수용되어 충돌 등에 따라 차량에 미리 결정된 범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고온 및 고압의 가스를 분출시킴으로써 쿠션(C)이 전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쿠션(C)은, 인플레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에어백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된 후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압에 의해 차량의 탑승객 측으로 신속하게 전개되어 탑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구성이다.
에어백 하우징(110)은, 상측의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어 쿠션(C)이 전개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며, 양측면에는 한 쌍의 체결브래킷(112)이 마련되어 후술하는 슈트(120)의 양측에 마련된 체결부(124a)에 체결된다.
에어백 하우징(110)은, 체결브래킷(112)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일측면에 횡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고리(114)가 마련되며, 걸리고리(114)는 후술하는 슈트(120)에 마련된 걸림공(124b)을 관통하여 에어백 도어(130)에 마련된 안내공(134a)에 삽입 걸림된다.
즉, 걸림고리(114)는 슈트(120)에 마련된 걸림공(124b)을 관통하도록 에어백 도어(130)에 마련된 안내공(134a)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구성이다.
슈트(120)는, 에어백 하우징(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메인프레임을 구성하는 슈트 본체(122)와, 슈트 본체(122)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슈트 측벽(124)과, 슈트(120)에 대해 에어백 도어(130)의 상대 선형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안내부(128)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슈트 본체(122)는, 판재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에어백 하우징(110)의 상측에 결합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슈트 본체(122)는 일정한 곡면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슈트 본체(122)는, 중앙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쿠션전개공(122a)이 마련되어 쿠션(C)이 전개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슈트 측벽(124)은, 슈트 본체(122)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에어백 하우징(110)의 상측 전면부가 삽입되는 구성이며, 양측면에 에어백 하우징(110)의 체결브래킷(112)과 볼트, 나사 등과 같은 공지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호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124a)가 마련되어 에어백 하우징(110)과 체결된다. 또한, 에어백 하우징(110)에 마련된 걸림고리(114)가 형성된 영역과 대응되는 일측면에는 표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걸림공(124b)이 마련되어 걸림고리(114)가 삽입 걸림되도록 한다. 이에 슈트(120)는 에어백 하우징(110)과 견고한 체결성을 확보하게 된다.
슈트 측벽(124)은, 안내부(128)와 인접하는 상면으로부터 후술하는 에어백 도어(130)에 마련된 도어 본체(132) 측으로 경사지게 돌출 연장되는 격벽(126)이 마련되어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하는 고온 및 고압의 가스가 에어백 도어(130)에 마련된 힌지부(136)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격벽(126)은, 안내부(128)로 삽입되는 에어백 도어(130)의 힌지부(136)가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하는 고온 및 고압의 가스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차단하는 구성이며, 이에 가스에 의한 힌지부(136)의 파손을 방지하고 쿠션(C)의 전개방향을 탑승객 측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슈트 측벽(124)의 상면에는, 안내부(128)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둘레를 따라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125)가 마련되어 에어백 도어(130)에 마련된 보강부(133)의 결합홈(133a)에 결합되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안내부(128)는, 슈트(120)에 대한 에어백 도어(130)의 상대 선형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슈트 본체(122)에 마련되는 슬롯공(128a)과, 슈트 측벽(124)에 마련되는 안내벽(128b)을 포함한다.
슬롯공(128a)은, 슈트(120)에 대한 에어백 도어(130)의 상대 선형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슈트 본체(122)의 일측에 슈트 측벽(124)의 외측 경계를 따라 관통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후술하는 에어백 도어(130)의 안내로드(134)가 삽입되는 구성이다.
안내벽(128b)은, 슈트(120)에 대해 에어백 도어(130)가 상대 선형운동을 하는 경우 안내로드(134)가 이동하는 경로를 안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슬롯공(128a)을 구획하도록 슈트 측벽(124)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안내로드(134)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안내벽(128b)으로 구성된다.
즉, 안내벽(128b)은 슈트(120)에 대하여 에어백 도어(130)가 상대 선형운동을 하는 경우 안내로드(134)를 에어백 하우징(110)의 상측 방향을 향해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에어백 도어(130)는, 슈트(120)에 형성된 쿠션전개공(122a)을 덮도록 슈트(120)의 상측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도어 본체(132)와, 도어 본체(132)의 일측에 마련되는 안내로드(134)와, 도어 본체(132)와 안내로드(134)를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힌지부(136)를 포함한다.
도어 본체(132)는, 슈트(12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쿠션전개공(122a)을 덮도록 마련되는 판재 형상의 구성이다. 이러한 도어 본체(132)는 슈트(120)의 상부에 결합됨으로써 쿠션전개공(122a)을 완전히 덮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도어 본체(132)는, 슈트 본체(122)와 마찬가지로 판재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슈트(120)의 상측에 결합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어 본체(132)는 일정한 곡면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어 본체(132)는, 안내로드(134)가 마련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하면으로부터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보강부(133)가 마련되어 슈트(120)에 대해 에어백 도어(130)가 상대 선형운동을 하여 크래시패드(140)의 티어라인(T)을 분리할 때 작용하는 충격으로부터 견딜 수 있도록 한다.
보강부(133)는, 슈트(120)에 대해 에어백 도어(130)가 상대 선형운동을 하여 크래시패드(140)의 티어라인(T)을 분리하는 경우 발생하는 강한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도어 본체(132)를 보강하는 구성이며, 이를 통해 도어 본체(132)의 강건한 견고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보강부(133)는, 슈트 측벽(124)의 상면에 마련된 결합돌기(125)와 결합되도록 둘레를 따라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결합홈(133a)이 마련되어 쿠션전개공(122a)을 덮는 도어 본체(132)와 슈트(120)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인플레이터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압에 의한 쿠션(C)의 전개에 따라 도어 본체(132)가 용이하게 열릴 수 있도록 한다.
즉, 차량에 미리 결정된 범위 이상의 충격, 다시 말해 에어백이 전개되어야만 할 정도의 충격이 차량에 가하여 지는 경우 에어백 도어(130)의 도어 본체(132)는 결합홈(133a) 및 결합돌기(125)를 매개로 슈트(120)와 결합되는 구조에 의해 쿠션(C)의 전개에 따라 작용하는 비교적 낮은 압력에도 보다 쉽게 열릴 수 있는 것이다.
안내로드(134)는, 슈트(120)에 대한 에어백 도어(130)의 상대 선형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도어 본체(132)의 일측에 힌지부(136)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안내로드(134)는, 안내부(128)에 마련된 슬릿공(128a)으로 삽입된 후 슈트 측벽(124)의 외벽에 밀착된 상태로 안내벽(128b)에 의해 이동하는 경로가 안내되도록 지지되어 에어백 도어(130)의 선형운동을 안내할 수 있는 다수의 안내로드로 구성되며, 표면에는 슈트(120)에 대한 에어백 도어(130)의 상대 선형운동 정도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관통 형성되는 안내공(134a)이 마련되어 에어백 하우징(110)에 마련된 걸림고리(114)가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한다.
이에 에어백 도어(130)는 쿠션(C)의 전개에 따라 슈트(120)에 대한 상대 선형운동을 하여 에어백 하우징(110)으로 전면 측으로 돌출되는 경우 안내로드(134)에 마련된 안내공(134a)과 걸림고리(114)를 통해 에어백 도어(130)의 돌출 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됨과 동시에 설정된 길이로 돌출될 수 있게 된다.
즉, 안내로드(134)는 슈트(120)에 대한 에어백 도어(130)의 상대 선형운동 정도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안내공(134a)에 의해 안내되어 에어백 하우징(110)의 전면 측으로 이동된 후 걸림고리(114)에 걸림되어 이동이 정지됨으로써 에어백 도어(130)가 에어백 하우징(110)의 전면 측으로 안정적으로 안내되어 이동되면서도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안내공(134a)은 에어백 도어(130)가 슈트(120)에 대한 에어백 도어(130)의 상대 선형운동을 하도록 안내함과 아울러 에어백 하우징(110)의 전면 측을 향해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안내공(134a)은 에어백 하우징(110)의 전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에어백 도어(130)가 슈트(120)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하도록 안내하면서도 에어백 하우징(110)의 전면 측으로 설정된 길이 이상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걸림고리(114)에 걸림된다.
즉, 안내공(134a)은 슈트(120)에 대한 에어백 도어(130)의 상대 선형운동에 따라 크래시패드(140)의 티어라인(T)이 절개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에어백 도어(130)가 슈트(120)에 대한 상대 선형운동을 하여 에어백 하우징(110)의 전면(상측)으로 돌출되는 경우 티어라인(T)의 용이한 절개를 통해 도어 본체(132)가 힌지부(136)를 기준으로 신속하게 회전운동하도록 함으로써 쿠션(C)이 원활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안내공(134a)의 길이는 걸림공(124b)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하게 된다. 이는 에어백 도어(130)가 슈트(120)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하여 에어백 하우징(110)의 전면 측으로 원활하게 돌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힌지부(136)는, 도어 본체(132)와 안내로드(134)를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쿠션(C)의 전개에 따라 슈트(120)에 대한 도어 본체(132)의 회전운동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에어백 도어(130)는 차량에 미리 결정된 범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쿠션(C)의 전개에 따라 슈트(120)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하여 에어백 하우징(110)의 전면 측으로 이동되어 돌출된 후 에어백 하우징(110)의 전면을 개방하도록 슈트(120)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쿠션(C)이 원활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작동과정으로 설명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에어백 모듈(100)은 에어백 도어(130)가 결합된 슈트(120)의 하부에 에어백 하우징(110)이 결합되도록 마련되어 크래시패드(140)의 내부에 장착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 등의 원인에 따라 차량에 미리 결정된 범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에어백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된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며 이에 따라 쿠션(C)이 에어백 하우징(110)의 개방된 상측으로 전개되기 시작한다.
쿠션(C)이 전개되면, 안내로드(134)는 안내부(128)를 따라 이동되어 에어백 하우징(110)의 전면 측으로 상승하게 되므로 안내로드(134)와 힌지부(136)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마련된 도어 본체(132)가 에어백 하우징(11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승하기 시작한다. 즉, 에어백 도어(130)는 인플레이터의 가스압으로 전개되는 쿠션(C)에 의해 쿠션전개공(122a)을 개방하도록 슈트(120)로부터 분리된 후 슈트(120)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에어백 도어(130)의 상승은 안내로드(134)의 안내공(134a)이 에어백 하우징(110)의 걸림고리(114)에 걸림되기 전까지 계속 진행되며, 안내로드(134)가 안내공(134a)에 의해 에어백 하우징(110)의 상측으로 설정된 길이만큼만 상승되도록 이동되어 걸림고리(114)에 걸림되면 멈추게 된다.
즉, 에어백 도어(130)는 슈트(120)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하여 쿠션전개공(122a)을 개방한 뒤 크래시패드(140)의 티어라인(T)이 절개될 때까지 에어백 하우징(110)의 상측을 향해 상승 돌출된 후 걸림고리(114)에 걸림되어 멈추게 되며 에어백 도어(130)의 상승력에 의해 크래시패드(140)의 티어라인(T)이 절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에어백 도어(130)의 상승력에 의해 티어라인(T)이 절개된 후 비교적 낮은 인플레이터의 가스압으로 전개되는 쿠션(C)에 의해 슈트(120)의 쿠션전개공(122a)을 덮고 있는 도어 본체(132)를 용이하게 열 수 있게 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120)의 쿠션전개공(122a)을 개방한 도어 본체(132)는 계속 진행되는 쿠션(C)의 전개에 따라 힌지부(136)를 기준으로 슈트(120)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완전히 열리게 되어 쿠션(C)을 용이하게 전개할 수 있게 된다.
에어백 도어(130)가 열리게 되면, 쿠션(C)이 티어라인(T) 및 오픈된 쿠션전개공(122a)을 통해 차량의 탑승객 측으로 전개되면서 탑승객을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에어백 모듈(100)은, 쿠션(C)의 전개에 따라 에어백 하우징(11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슈트(120)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하여 크래시패드(140)의 티어라인(T)을 절개한 후 에어백 하우징(110)의 전면을 개방하도록 슈트(120)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에어백 도어(130)에 의하여, 차량의 충돌 등의 상황 발생시 인플레이터의 낮은 가스압으로도 슈트(120)의 쿠션전개공(122a)을 덮고 있는 에어백 도어(130)를 용이하게 열 수 있으면서도 쿠션(C)을 용이하게 전개할 수 있다.
아울러, 슈트(120)의 안내부(128)와 인접하는 슈트 측벽(124)의 상면으로부터 에어백 도어(130)에 마련된 도어 본체(132) 측으로 경사지게 돌출 연장되는 격벽(126)을 구비함으로써,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하는 고온 및 고압의 가스가 에어백 도어(130)에 마련된 힌지부(136)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가스의 영향에 의한 힌지부(136)의 파손을 방지하고 쿠션(C)이 탑승객 측으로 전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을 상측에서 바라본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에어백 모듈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에어백 모듈의 쿠션 전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20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되는 에어백 하우징(210)과, 에어백 하우징(2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슈트(220)와, 슈트(220)에 에어백 하우징(210)의 전면을 개방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에어백 도어(230)를 포함한다.
에어백 하우징(21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것이므로 이하에서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백 하우징(210)에 마련된 걸림고리(214)는 후술하는 에어백 도어(230)에 마련된 안내공(234a)을 관통하여 슈트(220)에 마련된 걸림공(224b)에 삽입 걸림된다.
즉, 걸림고리(214)는 에어백 도어(230)에 마련된 안내공(234a)에 삽입 걸림되도록 관통하여 슈트(220)에 마련된 걸림공(224b)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구조를 갖는다.
슈트(220)는, 에어백 하우징(210)의 상측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메인프레임을 구성하는 슈트 본체(222)와, 슈트 본체(222)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슈트 측벽(224)과, 슈트(220)에 대해 에어백 도어(230)의 상대 선형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안내부(228)를 포함한다.
슈트 본체(222)와 슈트 측벽(224)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것이므로 이하에서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슈트 측벽(224)은, 안내부(228)가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도어 본체(232)의 하면을 따라 돌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안내판(226)이 마련되어 쿠션(C)의 전개방향을 탑승객 측으로 안내하도록 한다.
안내판(226)은, 안내부(228)가 마련되는 쿠션전개공(222a)의 일측으로부터 도어 본체(232)의 하면을 따라 일정길이로 돌출 연장되는 구성이며, 이에 쿠션(C)은 안내판(226)의 돌출된 구조에 의해 탑승객을 향해 전개되도록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안내부(228)는, 슈트(220)에 대한 에어백 도어(230)의 상대 선형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슈트 본체(222)에 마련되는 슬롯공(228a)을 포함한다.
슬롯공(228a)은, 슈트(220)에 대한 에어백 도어(230)의 상대 선형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슈트 본체(222)의 일측에 슈트 측벽(224)의 내측 경계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슬롯공으로 마련되며 후술하는 에어백 도어(230)의 안내로드(234)가 삽입되는 구성이다.
즉, 슬롯공(228a)은 슈트(220)에 대해 에어백 도어(230)가 상대 선형운동을 하는 경우 안내로드(234)를 에어백 하우징(210)의 상측 방향을 향해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에어백 도어(230)는, 슈트(220)에 형성된 쿠션전개공(222a)을 덮도록 슈트(220)의 상측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도어 본체(232)와, 도어 본체(232)의 일측에 마련되는 안내로드(234)를 포함한다.
도어 본체(232)는, 슈트(22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쿠션전개공(222a)을 덮도록 마련되는 판재 형상의 구성이다. 이러한 도어 본체(232)는 슈트(220)의 상부에 결합됨으로써 쿠션전개공(222a)을 완전히 덮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도어 본체(232)는, 슈트 본체(222)와 마찬가지로 판재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슈트(220)의 상측에 결합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어 본체(232)는 일정한 곡면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어 본체(232)는, 슈트(220)에 대해 에어백 도어(230)가 상대 선형운동을 하여 크래시패드(240)의 티어라인(T)을 분리할 때 작용하는 충격으로부터 견딜 수 있도록 안내로드(234)가 마련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하면으로부터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보강부(233)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보강부(233)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안내로드(234)는, 슈트(220)에 대한 에어백 도어(230)의 상대 선형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도어 본체(232)의 일측에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안내로드(234)는, 슬롯공(228a)에 삽입되어 슈트 측벽(224)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슈트(220)에 대한 에어백 도어(230)의 상대 선형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안내로드로 구성되며, 표면에는 슈트(220)에 대한 에어백 도어(230)의 상대 선형운동 정도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관통 형성되는 안내공(234a)이 마련되어 에어백 하우징(210)에 마련된 걸림고리(214)가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한다.
이에 에어백 도어(230)는 쿠션(C)의 전개에 따라 슈트(220)에 대한 상대 선형운동을 하여 에어백 하우징(210)으로 전면 측으로 돌출되는 경우 안내로드(234)에 마련된 안내공(234a)과 걸림고리(214)를 통해 에어백 도어(230)의 돌출 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됨과 동시에 설정된 길이로 돌출될 수 있게 된다.
즉, 안내로드(234)는 슈트(220)에 대한 에어백 도어(230)의 상대 선형운동 정도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안내공(234a)에 의해 안내되어 에어백 하우징(210)의 전면 측으로 이동된 후 걸림고리(214)에 걸림되어 이동이 정지됨으로써 에어백 도어(230)가 에어백 하우징(210)의 전면 측으로 안정적으로 안내되어 이동되면서도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안내공(234a)은 에어백 도어(230)가 슈트(220)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하도록 안내함과 아울러 에어백 하우징(210)의 전면 측을 향해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 안내공(234a)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에어백 도어(230)는 차량에 미리 결정된 범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쿠션(C)의 전개에 따라 슈트(220)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하여 에어백 하우징(210)의 전면 측으로 이동되어 돌출된 후 에어백 하우징(210)의 전면을 개방하도록 슈트(220)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쿠션(C)이 원활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에어백 도어(230)의 안내로드(234)는, 슈트(220)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을 하는 도어 본체(232)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휨 변형을 갖는 합성수지, 금속 등과 같은 연질의 소재로 형성한다.
즉, 안내로드(234)는 도어 본체(232)와 일체로 연결되어 에어백 도어(230)가 슈트(220)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한 뒤 에어백 하우징(210)의 전면을 개방하도록 슈트(220)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을 하는 경우 휨 변형을 일으켜 힌지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도어 본체(232)의 회전운동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작동과정으로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에어백 모듈(200)은, 본 발명의 전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쿠션(C)의 전개에 따라 에어백 하우징(21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슈트(220)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하여 크래시패드(240)의 티어라인(T)을 절개한 후 에어백 하우징(210)의 전면을 개방하도록 슈트(220)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에어백 도어(230)에 의하여, 차량의 충돌 등의 상황 발생시 인플레이터의 낮은 가스압으로도 에어백 도어(230)의 도어 본체(232)를 용이하게 열어 쿠션(C)을 전개할 수 있다.
또한, 슈트(220)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을 하는 도어 본체(232)를 안내로드(234)의 휨 변형에 의해 회전 지지하여 기존의 에어백 도어에 마련된 힌지부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에어백 도어(23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즉, 안내로드(234)는 슈트(220)에 대한 에어백 도어(230)의 상대 선형운동을 안내한 뒤 에어백 도어(230)가 에어백 하우징(210)의 전면을 개방하도록 슈트(220)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을 하는 경우 휨 변형을 일으켜 힌지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본체(232)의 회전운동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안내부(228)가 마련되는 쿠션전개공(222a)의 일측으로부터 도어 본체(232)의 하면을 따라 일정길이로 돌출 연장되는 안내판(226)을 구비함으로써, 쿠션(C)의 전개방향을 탑승객 방향으로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에어백 모듈
110: 에어백 하우징
114: 걸림고리
120: 슈트
122: 슈트 본체 122a: 쿠션전개공
124: 슈트 측벽 124b: 걸림공
126: 격벽 128: 안내부
128a: 슬롯공 128b: 안내벽
130: 에어백 도어
132: 도어 본체 133: 보강부
134: 안내로드 134a: 안내공
136: 힌지부
C: 쿠션
110: 에어백 하우징
114: 걸림고리
120: 슈트
122: 슈트 본체 122a: 쿠션전개공
124: 슈트 측벽 124b: 걸림공
126: 격벽 128: 안내부
128a: 슬롯공 128b: 안내벽
130: 에어백 도어
132: 도어 본체 133: 보강부
134: 안내로드 134a: 안내공
136: 힌지부
C: 쿠션
Claims (19)
- 내부에 인플레이터 및 쿠션이 수용되며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에어백 하우징;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슈트; 및
차량에 미리 결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하여진 경우 상기 쿠션의 전개에 따라 상기 슈트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슈트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한 후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전면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슈트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을 하도록 상기 슈트에 결합되는 에어백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 도어는,
상기 슈트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쿠션전개공을 덮도록 마련되는 도어 본체;
상기 슈트에 대한 상기 에어백 도어의 상대 선형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안내로드: 및
상기 에어백 도어가 상기 슈트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로드와 상기 도어 본체를 상호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슈트는,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쿠션전개공이 마련되는 슈트 본체;
상기 에어백 하우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슈트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슈트 측벽; 및
상기 안내로드를 상기 슈트에 대한 상기 에어백 도어의 상대 선형운동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슈트에 마련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안내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슈트 본체의 일측에 상기 슈트 측벽의 외측 경계를 따라 관통 형성되는 슬롯공; 및
상기 안내로드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슈트 측벽의 외측에 마련되는 안내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드는, 상기 힌지부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안내로드이며,
상기 안내벽은, 상기 슈트 측벽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내로드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안내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드에는,
상기 슈트에 대한 상기 에어백 도어의 상대 선형운동 정도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안내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에어백 하우징은,
상기 안내공에 삽입 걸림되기 위해 표면으로부터 상기 슈트 측벽에 형성된 걸림공을 관통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걸림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는,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하는 고온 및 고압의 가스가 상기 힌지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부와 인접하는 상기 슈트 측벽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도어 본체 측으로 경사지게 돌출 연장되어 가스의 영향에 의한 상기 힌지부의 파손을 방지하며 상기 쿠션의 전개방향을 탑승객 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 내부에 인플레이터 및 쿠션이 수용되며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에어백 하우징;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슈트; 및
차량에 미리 결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하여진 경우 상기 쿠션의 전개에 따라 상기 슈트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슈트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한 후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전면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슈트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을 하도록 상기 슈트에 결합되는 에어백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 도어는,
상기 슈트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쿠션전개공을 덮도록 마련되는 도어 본체; 및
상기 슈트에 대한 상기 에어백 도어의 상대 선형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안내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슈트는,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쿠션전개공이 마련되는 슈트 본체;
상기 에어백 하우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슈트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슈트 측벽; 및
상기 안내로드를 상기 슈트에 대한 상기 에어백 도어의 상대 선형운동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슈트에 마련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드는, 상기 도어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안내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안내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슈트 본체의 일측에 상기 슈트 측벽의 내측 경계를 따라 관통 형성되되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슬롯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드에는,
상기 슈트에 대한 상기 에어백 도어의 상대 선형운동 정도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안내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에어백 하우징은,
상기 안내공과 상기 슈트 측벽에 형성된 걸림공에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걸림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는,
상기 쿠션의 전개방향을 탑승객 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부가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상기 도어 본체의 하면을 따라 돌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안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도어는,
상기 슈트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도어 본체를 보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안내로드가 마련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상기 도어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에는,
하면 둘레를 따라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슈트 측벽은,
상면 둘레를 따라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 제6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의 길이는 상기 걸림공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은, 상기 슈트에 대한 상기 에어백 도어의 상대 선형운동에 따라 크래시패드의 티어라인이 절개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드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전면을 개방하도록 상기 도어 본체가 상기 슈트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도어 본체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힘 변형을 갖는 연질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9814A KR101243380B1 (ko) | 2010-11-29 | 2010-11-29 | 에어백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9814A KR101243380B1 (ko) | 2010-11-29 | 2010-11-29 | 에어백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8155A KR20120058155A (ko) | 2012-06-07 |
KR101243380B1 true KR101243380B1 (ko) | 2013-03-13 |
Family
ID=46609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19814A KR101243380B1 (ko) | 2010-11-29 | 2010-11-29 | 에어백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338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6158B1 (ko) * | 2015-03-05 | 2016-10-18 | 덕양산업 주식회사 | 에어백 도어 회전결합구조를 갖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어셈블리 |
JP7041314B1 (ja) | 2021-08-16 | 2022-03-23 | マレリ株式会社 | エアバッグ取付構造 |
KR102386992B1 (ko) * | 2021-10-06 | 2022-04-15 |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주식회사 | 슈트 분리형 구조를 갖는 승객 에어벡용 도어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00800A (ja) * | 2001-07-02 | 2003-07-15 | Takata Corp | 外面展開型エアバッグ装置 |
US20080073885A1 (en) * | 2006-09-26 | 2008-03-27 | Lear Corporation | Airbag assembly |
JP2008143502A (ja) | 2006-12-07 | 2008-06-26 | Hyundai Motor Co Ltd | 車両用助手席エアバッグドア |
KR101071733B1 (ko) | 2008-12-01 | 2011-10-11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에어백장치 |
-
2010
- 2010-11-29 KR KR1020100119814A patent/KR10124338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00800A (ja) * | 2001-07-02 | 2003-07-15 | Takata Corp | 外面展開型エアバッグ装置 |
US20080073885A1 (en) * | 2006-09-26 | 2008-03-27 | Lear Corporation | Airbag assembly |
JP2008143502A (ja) | 2006-12-07 | 2008-06-26 | Hyundai Motor Co Ltd | 車両用助手席エアバッグドア |
KR101071733B1 (ko) | 2008-12-01 | 2011-10-11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에어백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8155A (ko) | 2012-06-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6155B1 (ko) |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 | |
KR101846710B1 (ko) | 차량용 커튼에어백 | |
EP2363327B1 (en) | Guide plate for side air bag | |
KR101491276B1 (ko) | 에어백 장치 | |
KR101143987B1 (ko) | 안전성능이 개선된 후방에어백 장치 | |
JP2010274898A (ja) | ルーフエアバッグ装置 | |
KR20150128051A (ko) | 에어백 모듈 | |
JP2007106403A (ja) | 車両用サイドエアーバックガイドプレート | |
KR101113667B1 (ko) | 차량의 에어백 장착용 크래쉬패드 | |
CN114375267B (zh) | 安全气囊装置及车辆用座椅 | |
JP5522383B2 (ja) | 車両の内装構造 | |
KR101243380B1 (ko) | 에어백 모듈 | |
KR101260853B1 (ko) | 에어백 모듈 | |
KR101305870B1 (ko) |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 |
KR101371621B1 (ko) |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 |
KR20130136102A (ko) | 에어백 장치 | |
KR101003885B1 (ko) | 커튼 에어백 | |
KR101356202B1 (ko) | 크래쉬패드의 에어백쿠션 및 에어백모듈 | |
KR101230042B1 (ko) | 에어백 모듈 | |
KR101594774B1 (ko) | 커튼에어백 장치 | |
KR101243376B1 (ko) | 에어백 모듈 | |
KR100736007B1 (ko) | 커튼 에어백 모듈 | |
KR102362316B1 (ko) | 후드 에어백 장치 | |
KR101430197B1 (ko) | 커튼 에어백 모듈 | |
JP6744113B2 (ja) | 乗員保護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