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827B1 - 사용자 이동패턴을 고려한 자동문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이동패턴을 고려한 자동문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827B1
KR101242827B1 KR1020110086808A KR20110086808A KR101242827B1 KR 101242827 B1 KR101242827 B1 KR 101242827B1 KR 1020110086808 A KR1020110086808 A KR 1020110086808A KR 20110086808 A KR20110086808 A KR 20110086808A KR 101242827 B1 KR101242827 B1 KR 101242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door
user
sensor
doo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3788A (ko
Inventor
김종정
Original Assignee
김종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정 filed Critical 김종정
Priority to KR1020110086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827B1/ko
Publication of KR20130023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5Control modes
    • E05Y2400/456Control modes for programming, e.g. learning or AI [artificial intellige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 E05Y2400/854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자동문 제어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패턴을 고려한 자동문 제어 장치는, 자동문 주위에서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 사용자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사용자 터치에 의해 자동문 개방 신호를 생성하는 개방 스위치부; 상기 사용자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문을 개방하는 센서모드 또는 상기 자동문 개방 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문을 개방하는 스위치모드로 동작하는 도어 구동부; 및 상기 도어 구동부가 상기 센서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센서부가 상기 자동문 주위의 지역들 중 소정 지역으로부터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도어 구동부의 동작 모드를 상기 스위치모드로 전환하는 동작모드 전환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은 물론 에너지 효율성 및 건물의 보안성을 개선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이동패턴을 고려한 자동문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door control considering moving pattern of user}
본 발명은 자동문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동패턴을 고려하여 자동문의 개폐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은 물론 에너지 효율성 및 보안성을 개선하는 자동문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문 시스템(automatic door system)이란, 건물의 출입문 내지 현관문 등 다양한 형태의 문(door)들을 인력에 의하지 아니하고 모터(motor)나 액추에이터(actuator) 등 동력 발생 수단과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자동으로 개폐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최근, 건물의 자동화 내지 인텔리전트화 경향과 아파트, 연립주택 등 공동 주거 환경에서의 방범 및 보안에 대한 요청이 높아짐에 따라, 자동문 시스템에 대한 수요와 연구·개발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5-232915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기술들은 단순히 자동문 부근에서 통행인이 감지되면 자동문을 개방하고 더 이상 통행인이 감지되지 않으면 자동문을 폐쇄하기 때문에, 통행자가 단지 자동문 부근 지역을 지나가거나 자동문 부근 지역에 머물고 있는 경우에도 자동문이 개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130844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기술들은 카메라, 스피커 등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여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기 때문에, 비용 부담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불필요한 도어 개방에 의한 외부인의 출입을 방지하는 기술을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건물 내부에서의 사용자 이동패턴을 고려하여 자동문을 개폐하거나 자동문의 개폐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은 물론 에너지 효율성 및 보안성을 개선하는 자동문 제어 기술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자동문을 개폐하거나 개폐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이동패턴을 고려하여 자동문의 불필요한 개방 동작을 최소화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성 및 보안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변형 설계가 용이한 단순한 구조와 간단한 연산을 통해 자동문을 제어함으로써, 낮은 비용으로 다양한 건물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범 및 보안용 자동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패턴을 고려한 자동문 제어 장치는, 자동문 주위에서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 사용자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사용자 터치에 의해 자동문 개방 신호를 생성하는 개방 스위치부; 상기 사용자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문을 개방하는 센서모드 또는 상기 자동문 개방 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문을 개방하는 스위치모드로 동작하는 도어 구동부; 및 상기 도어 구동부가 상기 센서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센서부가 상기 자동문 주위의 지역들 중 소정 지역으로부터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도어 구동부의 동작 모드를 상기 스위치모드로 전환하는 동작모드 전환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자동문의 근접지역으로부터 사용자를 감지하는 근접지역 센서; 및 상기 근접지역의 외부 지역들 중 소정 참조지역으로부터 사용자를 감지하는 참조지역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모드 전환부는, 상기 도어 구동부가 상기 센서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참조지역 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가 상기 근접지역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도어 구동부의 동작 모드를 상기 스위치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자동문의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모드 전환부는, 상기 참조지역 센서에 의해 감지된 다음 상기 근접지역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가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자동문 주위에서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도어 구동부의 동작 모드를 상기 스위치모드에서 상기 센서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구동부는, 상기 센서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근접지역 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자동문을 개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 구동부는, 상기 자동문 개방 후 상기 감지된 사용자가 상기 근접지역 센서에 의해 소정 시간 이상 계속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자동문을 폐쇄하고, 상기 동작모드 전환부는, 상기 자동문 폐쇄 후 상기 도어 구동부의 동작 모드를 상기 센서모드에서 상기 스위치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자동문의 개폐 경로를 포함하는 위험지역으로부터 사용자를 감지하는 위험지역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구동부는, 상기 자동문 개방 후 상기 감지된 사용자가 상기 위험지역 센서에 의해 계속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자동문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문 제어 장치는, 상기 자동문이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건물의 외부에 위치하여 소정 인증 정보 확인 절차를 통해 사용자의 출입 권한을 인증하는 권한 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구동부는, 상기 건물의 외부에서 상기 자동문으로 접근한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권한 인증부에 의해 상기 자동문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출입 권한이 인증되면 상기 자동문을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패턴을 고려한 자동문 제어 방법은, 센서에 의해 자동문 주위의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자동문을 개방하는 센서모드 또는 개방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자동문을 개방하는 스위치모드로 동작하는 도어 구동부가 상기 센서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자동문 주위의 지역들 중 소정 지역으로부터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도어 구동부의 동작 모드가 상기 스위치모드로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내부에서 이동하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자동문을 개폐하거나 개폐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자동문을 통과하는 사용자 및 단지 자동문 근접지역을 지나가는 사용자 등 사용자 이동패턴을 고려하여 자동문의 불필요한 개방 동작을 최소화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성 및 보안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등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변형 설계가 용이한 단순한 구조와 간단한 연산을 통해 자동문을 제어함으로써, 낮은 비용으로 다양한 건물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범 및 보안용 자동문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제어 장치가 적용된 건물 환경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관한 해결 방안을 명확화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기술에 관한 설명이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제어 장치가 적용된 건물 환경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문 제어 장치(100)를 포함하는 자동문 시스템(automatic door system)은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건물의 출입구는 건물 내부와 외부의 경계가 되는 건물 자체의 출입구일 수 있으며, 또한 건물의 각 층이나 각각의 독립된 공간을 출입하는 개별 출입구일 수 있다.
한편, 자동문 시스템을 사용하는 건물의 구조는 매우 다양한 형태를 지닌다. 예컨대, 도 1과 같이 자동문(140) 주위의 근접지역(AREA1)이 지하 주차장으로부터 올라오는 계단지역(AREA4)과 인접하거나, 또는 자동문(140)의 근접지역(AREA1)과 극히 인접한 지역(AREA3)에 우편함 내지 게시판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순히 자동문(140)의 근접지역(AREA1)에서 사용자를 감지하여 자동문(140)을 개방하는 방식을 사용한다면, 지하 주차장으로부터 올라온 사용자(occupant2)가 건물 내부로 들어가거나 또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기 위해 상기 근접지역(AREA1)을 통과할 뿐인 경우, 또는 우편함에서 우편물을 확인하거나 게시판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근접지역(AREA1)에서 머무는 경우 등, 일상 생활에서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경우에 자동문(140)이 불필요하게 개방되거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결과,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게 될 뿐만 아니라 외부인의 무단 침입을 허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문 제어 장치(100)는, 다양한 건물 환경에서 사용자의 이동패턴(moving pattern)을 고려하여 자동문(140)의 개폐 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상기 자동문 제어 장치(100)는, 공동 주거용 건물 내부에서 이동하는 거주자(occupant1, occupant2) 또는 건물 외부에서 건물 내부로 진입하려는 방문자(Visitor)의 이동 방향 내지 현재 위치 등을 고려하여 각각의 상황에 따라 자동문(140)을 개방 또는 폐쇄하거나 자동문(140)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자동문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 및 보안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제어 장치가 블록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제어 방법이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문 제어 장치(100)는 센서부(110), 개방 스위치부(120), 동작모드 전환부(240) 및 도어 구동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110)는 자동문(140) 주위에서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 사용자 감지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개방 스위치부(120)는 사용자의 터치(touch)에 의해 자동문 개방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도어 구동부(250)는 상기 센서부(110)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문(140)을 개방하는 센서모드로 동작하거나, 상기 개방 스위치부(12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자동문 개방 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문(140)을 개방하는 스위치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 구동부(250)는 도어 구동을 위한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부(미도시)와 상기 모터부의 동작 시점,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등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잇다. 그리고, 상기 동작모드 전환부(240)는 상기 도어 구동부(250)가 상기 센서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센서부(110)가 상기 자동문(140) 주위의 지역들 중 소정 지역으로부터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도어 구동부의 동작 모드를 상기 스위치모드로 전환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도어 구동부(250)는 일반적으로 상기 센서모드로 동작한다. 즉, 상기 센서부(110)가 상기 자동문(140) 주위의 근접지역(AREA1)에서 사용자(occupant1)를 감지하여 사용자 감지 신호를 생성하면(S310, S312, S314), 상기 도어 구동부(250)는 상기 사용자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자동문(140)을 개방한다(S320). 이와 같이, 자동문(140)을 통과하려는 사용자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도어(140)을 개방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 구동부(250)가 상기 센서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센서부(110)가 상기 근접지역(AREA1)의 외부 지역들 중 소정 참조지역(AREA4)에서 사용자를 감지하고(S310, S312), 상기 감지된 사용자가 상기 근접지역(AREA1)으로 접근하는 경우(S316), 상기 동작모드 전환부(240)는 상기 도어 구동부(250)의 동작 모드를 상기 스위치모드로 전환한다(S360). 이를 위해,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근접지역(AREA1)으로부터 사용자를 감지하는 근접지역 센서(210) 및 상기 참조지역(AREA4)으로부터 사용자를 감지하는 참조지역 센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동작모드 전환부(240)는 이동 중인 사용자가 상기 참조지역 센서(220)에 의해 감지된 다음 상기 근접지역 센서(210)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도어 구동부(250)의 동작 모드를 상기 센서모드에서 상기 스위치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자동문(140)의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S360). 이 경우, 상기 참조지역(AREA4)은, 사용자들의 일반적인 이동패턴 내지 통계적인 이동패턴에 비추어 상기 자동문(140)의 근접지역(AREA1)을 경유하되 상기 자동문(140)을 통과하지는 않는 사용자들의 이동 경로 상에 설정된다. 예컨대, 일반적인 이동패턴 내지 통계적인 이동패턴을 고려할 때, 도 1과 같이 지하 주차장에서 계단을 통해 올라오는 사용자(occupant2)는 상기 근접지역(AREA1)으로 들어오더라도 상기 자동문(140)을 통해 외부로 나갈 확률보다 엘레베이터 이용하거나 계단을 이용하기 위해 건물 내부로 들어갈 확률이 훨씬 높다. 따라서, 상기 참조지역(AREA4)은 이러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 중 지하 주차장으로부터 올라오는 계단지역에 설정될 수 있다. 요컨대, 이러한 참조지역(AREA4)을 경유하는 사용자(occupant2)는 상기 자동문(140)의 근접지역(AREA1)을 단순히 지나갈 확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상기 참조지역(AREA4)에서 감지된 사용자(occupant2)가 상기 근접지역(AREA1)으로 들어오는 경우에는 도어(140)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대신, 상기 사용자(occupant2)가 개방 스위치(open switch: 120)를 터치하는 경우에만(S362) 도어(140)를 개방하도록 하는 것이다(S320). 이와 같이, 도어 구동부(250)의 불필요한 도어 개방 동작을 최소화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량을 감소시키고 외부인의 무단 침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동작모드 전환부(240)는 상기 참조지역(AREA4)에서 감지된 사용자(occupant2)가 상기 근접지역(AREA1)에서 감지되지 않는 경우(S316), 상기 도어 구동부(250)의 동작 모드를 상기 센서모드로 유지한다. 또한, 상기 동작모드 전환부(240)는 상기 참조지역(AREA4)에서 감지된 사용자(occupant2)가 상기 근접지역(AREA1)에서 감지되더라도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개방 스위치(120)에 대한 터치없이 상기 근접지역(AREA1)을 벗어난 경우에는 상기 도어 구동부(250)의 동작 모드를 상기 스위치모드에서 상기 센서모드로 다시 전환한다(S370).
그리고, 상기 도어 구동부(250)가 상기 센서모드 또는 상기 스위치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자동문(140)을 개방한 후에 상기 자동문(140)의 개폐 경로를 포함하는 위험지역(AREA2)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S322), 상기 도어 구동부(250)는 상기 자동문(140)의 개방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위험지역(AREA2)으로부터 사용자를 감지하는 위험지역 센서(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문(140)이 개폐되는 위험지역(AREA2)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자동문(140)의 개방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발생 가능한 안전 사고를 예방하고 시스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 구동부(250)는 상기 자동문(140)을 개방한 후 상기 근접지역(AREA1)에서 감지된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 상기 근접지역 센서(210)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S324), 상기 자동문(140)을 폐쇄한다(S330). 예컨대, 사용자(occupant1)가 상기 근접지역(AREA1)에 극히 인접한 지역(AREA3)에서 우편함의 우편물을 확인하거나 게시판 내용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근접지역 센서(210)에 의해 상기 사용자(occupant1)가 감지되어 상기 자동문(140)이 개방되더라도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자동문(140)을 다시 폐쇄한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동작모드 전환부(240)는 상기 도어 구동부(250)의 동작 모드를 상기 스위치모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자동문(140)의 불필요한 개방 상태를 최소화함으로써 외부자의 무단 침입을 방지하고 건물의 보안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동문 제어 장치(100)는 권한 인증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한 인증부(130)는 상기 자동문(140)이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건물의 외부에 위치하여 소정 인증 정보(Authentication Information) 확인 절차를 통해 사용자의 출입 권한을 인증한다. 이를 위해, 상기 권한 인증부(130)는 비밀번호 입력 방식을 적용하거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의 태그(tag) 및 리더(reader) 방식을 적용하거나, 지문, 음성, 얼굴, 또는 홍체 인식 등의 생체 인식 방식을 적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 구동부(250)는 상기 건물의 외부에서 상기 자동문(140)으로 접근한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권한 인증부(130)에 의해 상기 자동문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출입 권한이 인증되어야만 상기 자동문(140)을 개방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10), 상기 개방 스위치부(120), 상기 도어 구동부(250) 및 상기 동작모드 전환부(240)는 상기 건물의 내부에서 이동하거나 상기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로 진출하려는 사용자에 대해서만 상술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건물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하려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상기 권한 인증부(130)를 통한 인증에 의해서만 자동문을 개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건물의 보안성을 확보하면서 건물 외부 지역을 감지하기 위해 필요한 센서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설비 원가를 절감하고 시스템 구성을 더욱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센서부(110)에 포함되는 센서들은 열이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Infrared Ray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센서(Optical Sensor)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상기 센서부(110)가 상기 자동문(140)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건물의 구조나 센서의 종류 또는 설계자의 의도 내지 목적 등에 따라 건물의 벽면, 천장, 상기 자동문(140)의 상, 하, 좌, 우 프레임 등 다양한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구동부(250)의 모터 제어부(미도시) 또는 상기 동작모드 전환부(240)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어들일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행되는 경우,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또한,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컴퓨터의 프로세서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을 통해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컴퓨터 시스템이 읽어들일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분산 배치하여 컴퓨터가 읽어들일 수 있는 코드가 분산 방식으로 저장되고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내부에서 이동하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자동문을 개폐하거나 개폐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자동문을 통과하는 사용자 및 단지 자동문 근접지역을 지나가는 사용자 등 사용자 이동패턴을 고려하여 자동문의 불필요한 개방 동작을 최소화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성 및 보안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등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변형 설계가 용이한 단순한 구조와 간단한 연산을 통해 자동문을 제어함으로써, 낮은 비용으로 다양한 건물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범 및 보안용 자동문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는 물론 관련 기술 분야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내용 이외의 다른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이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자동문 제어 장치 110 : 센서부
120 : 개방 스위치부 130 : 권한 인증부
140 : 도어 210 : 근접지역 센서
220 : 참조지역 센서 230 : 위험지역 센서
240 : 동작모드 전환부 250 : 도어 구동부

Claims (8)

  1. 자동문(automatic door) 주위에서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 사용자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사용자 터치에 의해 자동문 개방 신호를 생성하는 개방 스위치부;
    상기 사용자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문을 개방하는 센서모드 또는 상기 자동문 개방 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문을 개방하는 스위치모드로 동작하는 도어 구동부; 및
    상기 도어 구동부가 상기 센서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센서부가 상기 자동문 주위의 지역들 중 소정 지역으로부터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도어 구동부의 동작 모드를 상기 스위치모드로 전환하는 동작모드 전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자동문의 근접지역으로부터 사용자를 감지하는 근접지역 센서; 및
    상기 근접지역의 외부 지역들 중 소정 참조지역으로부터 사용자를 감지하는 참조지역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모드 전환부는, 상기 도어 구동부가 상기 센서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참조지역 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가 상기 근접지역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도어 구동부의 동작 모드를 상기 스위치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자동문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이동패턴을 고려한 자동문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전환부는, 상기 참조지역 센서에 의해 감지된 다음 상기 근접지역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가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자동문 주위에서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도어 구동부의 동작 모드를 상기 스위치모드에서 상기 센서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이동패턴을 고려한 자동문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구동부는, 상기 센서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근접지역 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자동문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이동패턴을 고려한 자동문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구동부는, 상기 자동문 개방 후 상기 감지된 사용자가 상기 근접지역 센서에 의해 소정 시간 이상 계속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자동문을 폐쇄하고,
    상기 동작모드 전환부는, 상기 자동문 폐쇄 후 상기 도어 구동부의 동작 모드를 상기 센서모드에서 상기 스위치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이동패턴을 고려한 자동문 제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자동문의 개폐 경로를 포함하는 위험지역으로부터 사용자를 감지하는 위험지역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구동부는, 상기 자동문 개방 후 상기 감지된 사용자가 상기 위험지역 센서에 의해 계속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자동문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이동패턴을 고려한 자동문 제어 장치.
  7.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문 제어 장치는, 상기 자동문이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건물의 외부에 위치하여 소정 인증 정보(Authentication Information) 확인 절차를 통해 사용자의 출입 권한을 인증하는 권한 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구동부는, 상기 건물의 외부에서 상기 자동문으로 접근한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권한 인증부에 의해 상기 자동문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출입 권한이 인증되면 상기 자동문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이동패턴을 고려한 자동문 제어 장치.
  8. 자동문(automatic door)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센서에 의해 상기 자동문의 근접지역으로부터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근접지역의 외부 지역들 중 소정 참조지역으로부터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자동문을 개방하는 센서모드 또는 개방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자동문을 개방하는 스위치모드로 동작하는 도어 구동부가 상기 센서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참조지역에서 감지된 사용자가 상기 근접지역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도어 구동부의 동작 모드가 상기 스위치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이동패턴을 고려한 자동문 제어 방법.
KR1020110086808A 2011-08-30 2011-08-30 사용자 이동패턴을 고려한 자동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42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808A KR101242827B1 (ko) 2011-08-30 2011-08-30 사용자 이동패턴을 고려한 자동문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808A KR101242827B1 (ko) 2011-08-30 2011-08-30 사용자 이동패턴을 고려한 자동문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788A KR20130023788A (ko) 2013-03-08
KR101242827B1 true KR101242827B1 (ko) 2013-03-12

Family

ID=48175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808A KR101242827B1 (ko) 2011-08-30 2011-08-30 사용자 이동패턴을 고려한 자동문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8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1060A (ja) * 1998-04-28 1999-11-09 Hiisuto Kk 自動ドアの開閉制御方法
JP2000186465A (ja) * 1998-12-21 2000-07-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自動開閉扉装置
JP2003293654A (ja) * 2002-04-03 2003-10-15 Optex Co Ltd 自動ドア開閉装置
JP2006112048A (ja) * 2004-10-12 2006-04-27 Chikura Kogyo Kk 自動ドアの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1060A (ja) * 1998-04-28 1999-11-09 Hiisuto Kk 自動ドアの開閉制御方法
JP2000186465A (ja) * 1998-12-21 2000-07-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自動開閉扉装置
JP2003293654A (ja) * 2002-04-03 2003-10-15 Optex Co Ltd 自動ドア開閉装置
JP2006112048A (ja) * 2004-10-12 2006-04-27 Chikura Kogyo Kk 自動ドアの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788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23335A (zh) 智能门岗系统及其门禁检测方法
KR20170060552A (ko)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U2014230867A1 (en) Access control for areas with multiple doors
JP2008065763A (ja) 生体認証とロボット装置を組み合わせた入退室管理システム、入退室管理ロボット装置、および入退室管理ロボット装置のプログラム
KR101570463B1 (ko)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되는 도어락
US20230313595A1 (en) Access control system comprising a sliding door and visualization of status information
EP2034116B1 (en) Switching device control system
JP2006096517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2015020888A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466505B1 (ko)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관리장치
KR101242827B1 (ko) 사용자 이동패턴을 고려한 자동문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124751A (ko) 주차면 개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KR102289772B1 (ko) 2차 출입 통제 방법,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 통제 시스템
JP6988529B2 (ja) 共連れ検出装置
US20220415108A1 (en) Indic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generating an indication
KR102010428B1 (ko) 스피드 게이트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KR101249940B1 (ko) 출입문 관리장치 및 방법
KR20200101641A (ko) 출입 관리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329035B1 (ko)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U2020233914B2 (en) Access control system comprising a sliding door that is opened contactlessly from the inside
WO2014016906A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TWM560674U (zh) 停車場管理系統
CN115668317A (zh) 针对建筑物门的附加的区域监控
JP5336137B2 (ja) 入室管理装置
KR20100009660U (ko) 엘리베이터 지문인식 운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