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641A - 출입 관리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출입 관리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641A
KR20200101641A KR1020190019753A KR20190019753A KR20200101641A KR 20200101641 A KR20200101641 A KR 20200101641A KR 1020190019753 A KR1020190019753 A KR 1020190019753A KR 20190019753 A KR20190019753 A KR 20190019753A KR 20200101641 A KR20200101641 A KR 20200101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ccess
entrance
closing
do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1323B1 (ko
Inventor
김영수
김동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드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드리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드리온
Priority to KR1020190019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32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1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65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passive electrical ke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2Comprising means for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l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출입 관리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출입 관리 제어 방법으로서, (a) 출입문을 통해 진입 또는 진출하고자 하는 자의 출입 의사를 확인하는 단계; (b) 출입 허용자가 상기 출입문을 통해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출입문에 설치된 출입문 개폐 장치를 통한 출입문 개방 동작을 실행시키는 단계; (c) 상기 출입 허용자의 상기 출입문을 통한 상기 진입 또는 상기 진출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d) 상기 진입 또는 상기 진출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출입문이 폐쇄될 수 있도록 상기 출입문 개폐 장치를 통한 출입문 폐쇄 동작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출입문 자동 개폐 기술이 적용되는 케이스에 특화된 출입 보안 및 안전 확보 방안이 마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출입 관리 제어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ACCESS MANAGEMENT AND CONTROL OF ENTRANCE DOOR}
본 발명은 현관 등 출입 공간에 설치된 출입문을 통해 입출입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출입을 관리 및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입 공간에서의 보안 및 안전에 관한 이슈가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상용화된 출입 보안 및 안전 관련 기술은 물론, 아래에 제시된 바와 같은 선행특허기술의 경우에도 출입문 밖의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출입 보안 및 안전을 확보하고자 하는 목적의 기술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반면, 종래기술에 의하면, 출입 권한을 가진 자(혹은 출입 권한이 일시 부여된 자)와 출입 권한이 없는 자를 구분 인지하고 그 상황에서 출입문을 자동 개폐하는 기술이 적용되는 케이스에 맞춘 출입 보안 및 안전 확보 방안에 관해서는 아직 그 구체적인 프로세스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출입문 자동 개폐 기술이 적용되는 케이스에 맞춘 출입 보안 및 안전 확보 방안이 요구된다.
한국특허등록 제10-1490583호 (2015년 1월 30일 등록)
본 발명은 현관 등 출입 공간에 설치된 출입문을 통해 입출입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출입을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출입문 자동 개폐 기술이 적용되는 케이스에 맞춘 출입 보안 및 안전 확보 방안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출입 관리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출입 관리 제어 방법으로서, (a) 출입문을 통해 진입 또는 진출하고자 하는 자의 출입 의사를 확인하는 단계; (b) 출입 허용자가 상기 출입문을 통해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출입문에 설치된 출입문 개폐 장치를 통한 출입문 개방 동작을 실행시키는 단계; (c) 상기 출입 허용자의 상기 출입문을 통한 상기 진입 또는 상기 진출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d) 상기 진입 또는 상기 진출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출입문이 폐쇄될 수 있도록 상기 출입문 개폐 장치를 통한 출입문 폐쇄 동작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출입문 자동 개폐 기술이 적용되는 케이스에 특화된 출입 보안 및 안전 확보 방안이 마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일 구성부인 관리부에 관한 일 실시예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출입 관리 절차로서 출입문 밖에서 출입문 안쪽으로 들어갈 때의 상황에 관한 일 실시예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출입 관리 절차로서 출입문 안쪽에서 출입문 밖으로 나갈 때의 상황에 관한 일 실시예의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일 구성부인 관리부에 관한 일 실시예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출입 관리 절차로서 출입문 밖에서 출입문 안쪽으로 들어갈 때의 상황에 관한 일 실시예의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출입 관리 절차로서 출입문 안쪽에서 출입문 밖으로 나갈 때의 상황에 관한 일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 시스템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 출입문 장치(Entrance door),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출입관리 앱(App)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는 유선 또는/및 무선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입문 장치로 소정의 제어 명령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출입관리 앱과의 상호간 통신 연동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외 모니터링 센서(110), 실내 모니터링 센서(115), 관리부(120)를 포함할 수 있고, 관리부(120)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121), 모니터링 정보 처리부(123), 운영 제어부(125), 메모리(127), 경보/알람부(12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외 모니터링 센서(110)는 출입문 밖의 사전 지정된 공간 범위(도 1의 R1 참조)의 실외 현관 공간을 커버하는 모니터링 동작을 실행하고, 실내 모니터링 센서(115)는 출입문 안의 사전 지정된 공간 범위(도 1의 R2 참조)의 실내 현관 공간을 커버하는 모니터링 동작을 실행한다. 여기서,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와 관련된 상세한 기능 및 역할에 관한 설명은 이후 도 4 및 도 5의 설명 과정에서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출입문 장치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도어락 장치(50), 모터 드라이버(60), 도어 구동 모터(70)를 포함함으로써,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도어 개폐 제어 명령 신호(예를 들어, 후술할 도어락 잠금 해제 신호, 출입문 개방 신호, 출입문 폐쇄 신호 등)에 따라 출입문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출입문 자동 개폐 동작이란, 도어락 잠금을 자동으로 해제하거나 또는 다시금 잠금 상태로 자동 전환시킴으로써 출입자가 출입문을 직접 수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단순 잠금/해제 자동 제어 방식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명세세에서는 출입문 잠금/해제의 단순 자동화를 넘어서 출입자에 의한 도어 개폐 행위 없이도 도어 패널 자체가 모터 구동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서 자동 개방되거나 다시금 자동 폐쇄되도록 하는 개폐 동작이 실행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때, 출입문은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열고 닫는 미닫이 방식의 문이든 또는 앞뒤 방향으로 열고 닫는 여닫이 문이든 별도의 개폐 방식적 제한은 없으나, 발명 설명의 편의 및 집중을 위해 출입문 기준으로 실외 현관 공간 방향으로만 열리는 단방향의 여닫이 문이 적용되는 케이스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물론, 양방향 여닫이 문이 본 발명에서 배제되는 것도 아님은 자명하다).
또한 도 2에 의할 때,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와 출입문 장치는 별개의 독립된 장치인 것으로 예시되고 있지만, 시스템 설계 방식에 따라서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출입문 장치 자체가 IoT 기술과의 결합을 통해서 스마트화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 및 역할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도 있음이 바로 그것이다.
상술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에 의하면, (a) 출입문을 통해 진입 또는 진출하고자 하는 자의 출입 의사를 확인하는 단계; (b) 출입 허용자가 상기 출입문을 통해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출입문에 설치된 출입문 개폐 장치를 통한 출입문 개방 동작을 실행시키는 단계; (c) 상기 출입 허용자의 상기 출입문을 통한 상기 진입 또는 상기 진출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d) 상기 진입 또는 상기 진출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출입문이 폐쇄될 수 있도록 상기 출입문 개폐 장치를 통한 출입문 폐쇄 동작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제어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이하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출입 관리 제어 방법에 관한 일 예시의 구현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4는 출입문 밖의 실외 공간에서 출입문 안의 실내 공간으로 진입하는 케이스(이하, 아웃/인 케이스)의 일 예시이고, 도 5는 출입문 안의 실내 공간에서 출입문 밖의 실외 공간으로 진출하는 케이스(이하, 인/아웃 케이스)의 일 예시이다.
또한 하기의 예시들에서, 출입문은 주택의 현관문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외에도 사무실 출입문, 집합건물 등의 건물 출입문 혹은 출입구, 행사장 진입문 등과 같이 매우 다양한 케이스에 적용될 수 있으며, 각 상황에 맞춰 출입자에 관한 출입 관리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CASE #1 > 아웃/인 케이스
[A1. 출입(진입) 의사 확인 단계]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에서, 출입문을 통해 댁내 실내 공간(또는 옥내)로 진입하고자 하는 자의 출입 의사를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정상적인 케이스로서, 거주자가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락 장치 등을 통한 소정 방식(예를 들어, 패스워드, 보안 패턴 등의 수동 입력/ 발화 명령어(voice command) 입력/ 지문, 음성, 홍채, 얼굴 등의 각종 생체 인식/ RFID, NFC 등의 태그 인증, 블루투스(예, BLE) 인증, 비콘 인증 등과 같은 각종 근거리 무선 신호를 통한 유저 인증)으로 출입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해당 출입문을 통한 출입 의사가 직접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이는 거주자는 아니지만 출입 인증 방법을 익히 알고 있거나 혹은 해당 인증 방법으로 사전에 등록해둔 친척, 지인 등의 케이스도 마찬가지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해당인의 출입 의사는 물론 후술할 [A-1 단계]의 출입 권한 및 출입 허용 여부에 관한 인증도 동시에 확인 및 판별되는 케이스라 할 것이다. 만일 이때,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 장치와 일체로 통합 구현되지 않고 분리 독립된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출입 인증이 이루어졌음을 출입문 장치(혹은 이에 설치된 도어락 장치)에서만 확인할 수 있는 경우라면, 상호 간의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출입 인증이 이루어졌음을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로 통보해줌으로써,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는 해당인에 관한 출입 의사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은 출입 인증이 이루어졌음이 거주자 등이 소지한 스마트폰(이에 설치된 출입관리 앱)에서도 확인되는 경우라면, 스마트폰과의 상호 통신 연동을 통해서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가 해당인의 출입 의사를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른 케이스로서, 출입 인증 방법을 모르는 그 외의 방문자인 경우, 그 방문자가 출입문 또는 그 주변에 설치된 방문벨을 누르는 경우, 방문자가 거주자와의 연락을 통해 출입문 앞에 도착하였음을 알리는 경우 등의 경우도 출입 의사가 확인되는 케이스라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거주자(이때, 거주자가 실제 댁 내에 있는 상황인지 아니면 외부에 있는 상황인지는 무관함)는 댁 내 주거 공간에 설치된 월 패드(Wall pad) 혹은 자신이 소지한 스마트폰에 설치된 출입관리 앱을 통해서 직접 방문자 확인(즉, 출입 의사를 갖고 있는 자의 확인)이 가능하며,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가 월 패드 또는 스마트폰 앱과의 통신 연동이 가능하도록 시스템 구현된 경우 그 해당인의 출입 의사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A1-2. 출입 권한 & 출입 허용여부 결정 단계]
앞선 [A1 단계]의 설명 중, 출입 의사의 확인과 동시에 출입 권한 및 출입 허용여부에 관한 판별이 함께 이루어지는 케이스가 아닌 그 외의 케이스도 존재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라면 출입 의사가 확인되더라도 출입 권한의 존부 및 출입 허용 유무에 관한 판별이 더 요청될 수 있다.
이에 관한 일 예로서, 도 4의 S101, S102, S103에는 BLE(저전력 블루투스) 신호를 통해 출입 권한에 관한 판별을 수행하는 케이스가 예시되고 있다. 출입 의사를 갖는 자가 출입문을 향해 접근함에 따라 BLE 신호가 상호간(예를 들어, 해당인이 소지한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모듈과, 출입문 장치(혹은 이에 설치된 도어락 장치) 또는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에 설치된 블루투스 모듈 간) 신호 교환이 가능하게 된 경우, 스마트폰으로부터 송출된 BLE 신호에 실린 식별정보(예를 들어, BLE 모듈 ID, 스마트폰 UUID, Mac Address, 스마트폰 전화번호 등)에 근거하여 그 수신측에서는 해당 식별정보가 출입 권한이 있는 것으로 사전 등록된 등록자와 관련된 식별정보인지를 비교 대조함으로써, 해당인에 관한 출입 권한을 판별할 수 있다. 이의 비교 결과, 출입 권한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출입 불허 처리를 바로 진행할 수도 있지만, 시스템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그 이후에 다른 출입 인증 방법에 의한 정상적인 출입 인증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또는 거주자에 의해 출입이 허가되고 있는지 등을 재차 확인한 이후에 그에 맞춘 상황별 처리를 진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출입 의사의 확인 및 권한 판별 등은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의 운영 제어부(125)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A2. 출입문 자동 개방 단계]
상술한 [A1 단계] 및 [A1-2 단계]를 통한 출입 의사 및 권한 판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출입이 허용된 경우,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보다 구체적으로 운영 제어부(125))는, 상기 출입문 개폐 장치의 도어락 장치(50)로 잠금 해제 신호를 전달하고, 이와 함께 상기 출입문 개폐 장치의 도어 구동 모터(70)의 구동에 따라 출입문 자동 개방 동작이 실행될 수 있도록 도어 구동 모터(70)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60)로 출입문 개방 신호를 전달한다[도 4의 S104 참조].
이 과정에서,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보다 구체적으로 운영 제어부(125))는, 실내로 진입하려는 자가 출입문 자동 개방 과정에서 출입문과 충돌하는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해당 출입문 개방 동작을 인지시키기 위한 개방 동작 알람 신호를 생성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의 경보/알람부(129)는 이와 관련된 경보/알람을 실행할 수 있다. 물론 시스템 설계 방식에 따라,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의 운영 제어부(125)는 개방 동작 알람 신호만을 생성 출력하고, 이는 다시 출입문 장치(혹은 이에 설치된 도어락 장치)에 전달됨으로써 해당 장치에서 경보/알람을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경보/알람은, 출입자에 의해 인지 가능한 한도 내에서, 음성 문구 안내(예, "출입문이 자동 개방됩니다. 출입문 밖으로 물러서 주시기 바랍니다" 등), 사운드 출력 안내(예, 경보 사운드 출력 등)과 같은 청각적 경보/알람, 출입문 또는 그 주변의 라이팅 경보 점멸 등의 시각적 경보/알람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의 경보/알람이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입문 자동 개방 동작이 실행되게 되며, 이때의 출입문 개방 속도는 소정의 기준 속도를 갖도록 사전에 지정될 수 있다. 다만 시스템 설계 방식에 따라서, 출입문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미리 익히 인지하고 있는 출입자(예를 들어, 거주자 등) 이외의 출입자(예를 들어, 택배 배달원 등 최초 방문자 등)에 의한 출입인 것이 확인되는 케이스라면 전자의 케이스와 구분하여 출입문 개방 속도를 기준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개방되도록 제어한다든지 또는 경보/알람을 보다 강하게 혹은 보다 길게 실행함으로써, 출입문 개방 과정에서의 충돌 위험을 줄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입문 자동 개방 과정에서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은 존재한다고 할 것인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다음과 같은 조치가 실행될 수 있다.
즉,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운영 제어부(125))는, 출입문 자동 개방 동작이 실행되는 도중에, 그 개방 동작을 방해하는 소정 세기 이상의 외력이 출입문에 설치된 외력 감지 센서(예를 들어, 충돌 감지 센서, 충격 감지 센서, 접촉 감지 센서, 모터 토크 과부하 검출 센서 등)에 의해 감지되는지를 확인하고, 소정 세기 이상의 외력이 감지된 경우 출입문 자동 개폐 동작을 정지하거나, 개폐 동작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즉, 원래 속도보다 저속 구동시키거나), 출입문 자동 개폐 모드를 수동 개폐 모드로 전환시키거나, 안전 사고의 발생 또는 가능성을 알리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등과 같은 조치가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위 설명에서는 외력 감지 센서를 통해서 안전 사고의 발생 또는 가능성을 판단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이 외에도 시스템 설계 방식에 따라서, 출입문에 설치된 진동 감지 센서, 근접 센서, 출입문 또는 그 주변 등에 설치된 소음 감지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즉, 안전 사고의 발생 상황 또는 이에 이를 수 있는 예비 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상황 감지 센서)가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출입문 자동 개방 과정에서의 안전 사고 발생 케이스를 주로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상황 감지 센서를 이용하게 되면 그 외의 각종 비정상적인 상황(예를 들어, 침입자가 출입문을 강제로 열려고 하는 경우 등)에 관한 예방도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황 감지 센서를 이용한 각종 사고 예방 과정은 간혹 시스템 오류에 의한 오동작 가능성도 존재하므로, 출입자가 자신이 소지한 스마트폰의 출입관리 앱 또는 출입문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혹은 도어락 장치의 조작을 통해서, 해당 오류 시정을 위한 명령(command)을 입력할 수 있도록 시스템 구현할 수도 있다.
[A3. 실내 진입 확인 단계]
상술한 [A2 단계]를 통해 출입문의 자동 개방이 이루어진 이후,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는, 출입자가 개방된 출입문을 통해서 실내 현관 공간으로 완전히 진입한 상황인지를 확인한다[도 4의 S105 참조]. 이때, 실내 진입 여부의 확인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는, 실외 모니터링 센서(110)와 실내 모니터링 센서(115)에서 동일 시점에 각각 획득되는 센싱 결과에 근거한 정보 처리를 수행하고[도 3의 모니터링 정보 처리부(123) 참조], 이에 따라 상기 실내 진입 여부의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도 3의 운영 제어부(125) 참조].
도 1에 의할 때, 실외 모니터링 센서(110)와 실내 모니터링 센서(115)는 각각 출입문(Entrance door)의 외측 패널(outdoor panel)과 내측 패널(indoor panel)의 각각의 상측에 설치되는 경우가 예시되고 있지만, 그 설치 위치는 이외에도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각각의 센서는 반드시 출입문 자체에 설치되지 않아도 무방하며, 천정 또는 바닥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별도의 독립된 장비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의할 때, 실외 모니터링 센서(110)와 실내 모니터링 센서(115)가 각각 1개씩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실외 현관 공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가 각각 별개의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고, 실내 현관 공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의 경우에도 복수의 센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센서의 종류도 모두 동종의 센서가 이용될 수도 있지만, 이종의 센서의 조합이 이용될 수도 있다. 다만, 각 센서로부터 센싱된 센싱 결과가 관리부(120)로 전송될 수 있도록 각 센서와 관리부(12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 연결될 필요는 있다.
또한 상술한 모니터링 센서로는 출입 공간에서의 출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도플러 효과에 의해 사람의 움직임(즉, 사람의 이동, 이동이 없는 상태에서의 호흡, 심박 등)을 센싱할 수 있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근접 센서, 레이저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영상 촬영을 통한 사람의 움직임 감지를 위한 영상 센서가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의할 때,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는, 출입문 진입시의 출입자의 이동 방향성(즉, 출입문 밖에서 안쪽으로의 이동 방향성)에 근거할 때, 실외 모니터링 센서(110) 및 실내 모니터링 센서(115)에 의한 동일 시점의 센싱 결과가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둔 2개의 판단 시점 각각에서 서로 상이하게 뒤집혀서 나타나는 경우, 실내로의 진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출입자가 출입문 밖에 위치할 때의 특정 동일 시점에서 실외 모니터링 센서(110)는 출입자 감지의 센싱값을 출력하고 실내 모니터링 센서(115)는 출입자 비감지의 센싱값을 출력하게 됨에 반해, 그 이후 출입자가 출입문 안으로 완전히 진입하여 위치할 때의 특정 동일 시점에서 실외 모니터링 센서(110)는 출입자 비감지의 센싱값을 출력하고 실내 모니터링 센서(115)는 출입자 감지의 센싱값을 출력하게 되므로, 출입자가 출입문 밖에서 안으로 진입하는데 소요되는 그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둔 2개의 판단 시점에서는 그 센싱값이 서로 반대로 뒤집혀서 나타나게 되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출입자가 모바일 기기를 소지한 경우라면, 무선 수신 장치 자체가 모니터링 센서로서 역할하여, 무선 신호의 감도(예를 들어, BLE 신호의 세기 등) 변화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실내 진입의 완료 여부의 판별도 가능할 것이다.
즉,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는, 출입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장치측 근거리 무선 수신기(즉, 출입문 장치 등에 설치된 근거리 무선 수신기)를 통해서 수신함에 따라 확인되는 무선신호의 세기 변화가, 실내 진입시의 출입자의 이동 방향성에 맞춰 사전 지정된 기준치 이상의 변화율을 갖는 경우, 실내로의 진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소음 감지, 음성 감지 등을 통해서 사람의 움직임 또는 사람의 실내 진입 완료 여부에 관한 음성 확인(예, "실내 진입 완료" 등의 음성 입력)이 가능할 수도 있는 바 마이크로폰 센서가 이용되는 경우,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는 이를 근거로 실내 진입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A4. 출입문 자동 폐쇄 단계]
상술한 [A4 단계]를 통한 출입자의 출입문을 통한 실내로의 진입이 완료되었음이 확인된 이후,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운영 제어부(125))는, 상기 출입문 개폐 장치의 도어 구동 모터(70)의 구동에 따라 출입문 자동 폐쇄 동작이 실행될 수 있도록 도어 구동 모터(70)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60)로 출입문 폐쇄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출입문 개폐 장치의 도어락 장치(50)로 출입문 잠금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도 4의 S106 참조], 또한 출입문 폐쇄 동작을 출입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폐쇄 동작 알람 신호를 생성 출력할 수 있다.
출입문 자동 폐쇄 동작은 출입문 자동 개방 동작의 반대 동작에 해당할 뿐, 기본적인 제어 프로세스는 앞서 설명한 [A2 단계]에서와 대동소이한 바, 이에 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안전 사고의 위험은 출입문 폐쇄 과정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앞서 설명한 상황 감지 센서를 통한 안전 사고 예방 동작 및 그 조치에 관한 부분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ASE #2 > 인/아웃 케이스
이상에서는 출입문 밖에서 출입문을 통해 실내로 진입하는 아웃/인 케이스에 관하여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그 반대 상황인 인/아웃 케이스(즉, 실내에서 출입문을 통해 출입문 밖의 실외로 진출하려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 설명될 인/아웃 케이스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아웃/인 케이스의 반대 상황일 뿐 본질적인 기술 구현 방식은 대동소이할 수 있는 바, 후술할 설명 과정에서 중복될 수있는 부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 및 집중을 위해,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5의 예시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댁 내 거주자가 댁 외로 퇴거하는 케이스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B1. 출입(진출) 의사 확인 단계]
댁 내에 있던 거주자가 출입문을 통해 댁 외로 퇴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출입문을 통한 외부로의 퇴거(실외 진출) 의사가 있는지 여부에 관한 명확한 의사 확인이 필요하다. 댁 내 거주자가 출입문 근처의 실내 현관 공간으로 진입하였다 하더라도 그것만으로는 실제 퇴거 의사가 있는지를 장담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때, 퇴거 의사는 단순하게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락 장치 등을 통한 출입문 개방 버튼의 조작 등을 통해서도 확인될 수 있을 것이지만, 도 5에서는 S201, S202, S203에 따라 퇴거 의사를 확인하는 절차에 의하고 있다.
즉, 도 5에 의할 때, 스마트폰을 소지한 거주자가 출입문 근처의 실내 현관 공간으로 진입함에 따라 BLE 신호로 출입문 근처로의 진입이 감지되고(S201 참조), 이후 스마트폰에 설치된 출입관리 앱을 통한 퇴거 확인에 의해 퇴거 의사 확인용 코맨드가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로 전달되는 경우(S202)가 주로 예시되고 있는 것이다. 다만, 거주자가 스마트폰을 소지하지 않은 채 퇴거하는 경우라면 퇴거 의사 확인을 위한 매뉴얼 입력(예를 들어, 상술한 출입문 개방 버튼의 조작)이 있어야만 퇴거 의사가 확인된 것으로 처리될 수 있다(S203 참조).
[B2. 출입문 자동 개방 단계]
상술한 [B1 단계]를 통한 퇴거 의사가 확인된 경우,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는 출입문 개방 동작의 실행을 지시하게 되며, 이는 앞서 설명한 [A2 단계]에서와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다만, 이와 같은 퇴거 케이스에서는, 출입문 개방이 출입문 밖의 실외 현관 공간 방향을 향하여 여닫이 방식으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할 때, 그 출입문 개방 범위 내에 소정의 방해 요소(예를 들어, 방해물 또는 사람)가 존재하는 경우, 그 출입문 개방 동작 과정에서 그 외부에 위치한 방해 요소와의 충돌이 문제될 수 있다.
따라서,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는, 퇴거 상황의 출입문 개방 동작을 실제 실행하기에 앞서, 실외 모니터링 센서(110)를 통해 실외 현관 공간을 모니터링하여, 출입문 개방 동작에 따른 개방 범위 이내에 출입문 개방을 방해하는 방해요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도 5의 S204 참조).
[B3. 실외 진출 확인 단계]
상술한 [B2 단계]를 통해 출입문 밖의 상황 판별에 이상이 없어 정상적인 출입문 개방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는 그 퇴거자가 출입문을 지나 실외 현관 공간으로 완전히 진입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도 5의 S205 참조). 이때, 퇴거자의 실외 진출 여부에 관한 확인 방법도 앞서 설명한 [A3 단계]에서와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B4. 출입문 자동 폐쇄 단계]
상술한 [B3 단계]를 통해 실외 진출 여부에 관한 확인이 완료되면, 출입 관리 제어 장치(100)는 출입문 자동 폐쇄의 실행을 지시한다(도 5의 S206 참조). 이의 제어 방법 또한 앞서 설명한 [A4 단계]에서와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또한 이 과정에서 퇴거자가 개방된 출입문을 통해서 퇴거하는 과정에서 출입문과의 충돌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퇴거자가 출입문 밖으로 완전히 빠져나간 이후라도 출입문은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놓고 온 물건이 있어 다시 문을 열고 댁 내로 진입하려고 문을 잡는 등의 접촉이 발생된 경우 등과 같은 예외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A4 단계]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상황 감지 센서를 이용한 다양한 조치가 실행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도 5의 S207 참조).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출입 관리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출입 관리 제어 방법으로서,
    (a) 출입문을 통해 진입 또는 진출하고자 하는 자의 출입 의사를 확인하는 단계;
    (b) 출입 허용자가 상기 출입문을 통해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출입문에 설치된 출입문 개폐 장치를 통한 출입문 개방 동작을 실행시키는 단계;
    (c) 상기 출입 허용자의 상기 출입문을 통한 상기 진입 또는 상기 진출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d) 상기 진입 또는 상기 진출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출입문이 폐쇄될 수 있도록 상기 출입문 개폐 장치를 통한 출입문 폐쇄 동작을 실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전에,
    (e) 상기 출입문을 통해 진입하고자 하는 자의 출입 권한을 판별하고, 출입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입 관리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또는 상기 출입 관리 제어 장치에 모바일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장치측 송수신기가 설치 또는 탑재되는 경우,
    상기 (e) 단계에서의 출입 권한의 판별은,
    상기 출입문을 통해 진입하고자 하는 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상기 장치측 송수신기를 통해서 수신함에 따라 해당 근거리 무선신호에 의해 확인되는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식별정보가 출입 권한이 있는 것으로 사전 등록된 등록자에 대한 식별정보인지 여부를 비교함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관리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출입문 개폐 장치의 도어락 장치로 잠금 해제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출입문 개폐 장치의 도어 구동 모터의 구동에 따라 출입문 자동 개방 동작이 실행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구동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로 출입문 개방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출입문 개방 동작을 상기 출입 허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개방 동작 알람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 제어 장치는, 출입문 밖의 사전 지정된 공간 범위의 실외 현관 공간의 모니터링 동작을 실행하는 실외 모니터링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출입문은 상기 실외 현관 공간 방향으로 개방되는 여닫이 문에 해당하고, 출입자가 상기 출입문을 통해서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a) 단계 이후 및 상기 (b) 단계 이전에,
    (f) 상기 실외 모니터링 센서를 통해 상기 실외 현관 공간을 모니터링하여, 출입문 개방 동작에 따른 개방 범위 이내에 출입문 개방을 방해하는 방해요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입 관리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 제어 장치는, 출입문 밖의 사전 지정된 공간 범위의 실외 현관 공간의 모니터링 동작을 실행하는 실외 모니터링 센서; 및 출입문 안의 사전 지정된 공간 범위의 실내 현관 공간의 모니터링 동작을 실행하는 실내 모니터링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상기 진입 또는 상기 진출시의 출입자의 이동 방향성에 근거할 때, 상기 실외 모니터링 센서 및 상기 실내 모니터링 센서에 의한 동일 시점의 센싱 결과가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둔 2개의 판단 시점 각각에서 서로 상이하게 뒤집혀서 나타나는 경우, 상기 진입 또는 상기 진출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관리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또는 상기 출입 관리 제어 장치에 모바일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장치측 송수신기가 설치 또는 탑재되는 경우,
    상기 (c) 단계는,
    상기 출입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상기 장치측 송수신기를 통해서 수신함에 따라 확인되는 무선신호의 세기 변화가, 상기 진입 또는 상기 진출시의 출입자의 이동 방향성에 맞춰 사전 지정된 기준치 이상의 변화율을 갖는 경우, 상기 진입 또는 상기 진출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관리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출입문 개폐 장치의 도어 구동 모터의 구동에 따라 출입문 자동 폐쇄 동작이 실행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구동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로 출입문 폐쇄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출입문 폐쇄 동작을 상기 출입 허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폐쇄 동작 알람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제어 방법.
  9. 제4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에는 상황 감지 센서가 설치되되,
    상기 (b) 단계 또는 상기 (d) 단계는,
    상기 출입문 개방 동작 또는 상기 출입문 폐쇄 동작이 실행되는 도중에 상기 개방 동작 또는 상기 폐쇄 동작을 방해하는 상황이 상기 상황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소정 세기 이상의 외력이 감지된 경우, 출입문 자동 개폐 동작을 정지하거나, 개폐 동작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또는 출입문 자동 개폐 모드를 수동 개폐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제어 방법.
KR1020190019753A 2019-02-20 2019-02-20 출입 관리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291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753A KR102291323B1 (ko) 2019-02-20 2019-02-20 출입 관리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753A KR102291323B1 (ko) 2019-02-20 2019-02-20 출입 관리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641A true KR20200101641A (ko) 2020-08-28
KR102291323B1 KR102291323B1 (ko) 2021-08-20

Family

ID=72292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753A KR102291323B1 (ko) 2019-02-20 2019-02-20 출입 관리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3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957B1 (ko) * 2021-01-19 2021-06-01 (주)한컴인텔리전스 얼굴 인식을 기반으로 출입문의 잠금 및 해제를 제어하는 출입문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57353B1 (ko) * 2021-05-21 2022-02-08 주식회사 한국씨씨앤 수신신호강도 및 근접센서를 이용한 이엠락 제어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583B1 (ko) 2013-03-06 2015-02-05 주식회사 스마트시스템즈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101612745B1 (ko) * 2015-08-05 2016-04-26 주식회사 미래산업 현관 보안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32944B1 (ko) * 2015-04-30 2016-07-04 창신정보통신(주) 무선 신호 검출기를 이용한 출입 통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08132A (ko) * 2016-07-15 2018-01-24 주식회사 다온이앤씨 지하철 환기구 출입 통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53128A (ko) * 2016-11-11 2018-05-21 주식회사 나라컨트롤 출입통제시스템과 이것을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583B1 (ko) 2013-03-06 2015-02-05 주식회사 스마트시스템즈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101632944B1 (ko) * 2015-04-30 2016-07-04 창신정보통신(주) 무선 신호 검출기를 이용한 출입 통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612745B1 (ko) * 2015-08-05 2016-04-26 주식회사 미래산업 현관 보안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08132A (ko) * 2016-07-15 2018-01-24 주식회사 다온이앤씨 지하철 환기구 출입 통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53128A (ko) * 2016-11-11 2018-05-21 주식회사 나라컨트롤 출입통제시스템과 이것을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957B1 (ko) * 2021-01-19 2021-06-01 (주)한컴인텔리전스 얼굴 인식을 기반으로 출입문의 잠금 및 해제를 제어하는 출입문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2158681A1 (ko) * 2021-01-19 2022-07-28 (주)한컴인텔리전스 얼굴 인식을 기반으로 출입문의 잠금 및 해제를 제어하는 출입문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57353B1 (ko) * 2021-05-21 2022-02-08 주식회사 한국씨씨앤 수신신호강도 및 근접센서를 이용한 이엠락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323B1 (ko) 202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8002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632944B1 (ko) 무선 신호 검출기를 이용한 출입 통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570463B1 (ko)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되는 도어락
US20190392691A1 (en) Entry security system and method
KR102291323B1 (ko) 출입 관리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A3176554A1 (en) Natural language user interface
US10837216B2 (en) Garage entry system and method
KR20130040408A (ko) 다중 인증수단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보안 시스템
KR20160010009A (ko) 원격 방문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82623B1 (ko)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
KR102227461B1 (ko) 멀티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잠금해제 방법
KR101535411B1 (ko) 보안 자동 해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291211B1 (ko) 서브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문에서의 도어 관리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73109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KR100643125B1 (ko) 엘리베이터 보안시스템
KR101640802B1 (ko) 출입문 모바일 알람 카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문 알람 세트 해제 방법
JP2019094627A (ja) 扉制御システム
JP2008293437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アクセス許可システム
KR2018005515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
JP2009214971A (ja) エレベータ運行システム
KR20220114338A (ko)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 및 디지털 도어락
KR20090014893A (ko) 방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