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858B1 - 자동차용 격납식 키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격납식 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858B1
KR101240858B1 KR1020110051323A KR20110051323A KR101240858B1 KR 101240858 B1 KR101240858 B1 KR 101240858B1 KR 1020110051323 A KR1020110051323 A KR 1020110051323A KR 20110051323 A KR20110051323 A KR 20110051323A KR 101240858 B1 KR101240858 B1 KR 101240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topper
hole
gear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2922A (ko
Inventor
배성진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1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858B1/ko
Publication of KR20120132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4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 E05B19/046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the shank being slidingly mounted on the bow, e.g. for stor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격납식 키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거나 엔진을 시동 및 정지시키는 자동차용 키가 키 몸체의 일측 모서리 힌지를 중심으로 접히거나 펴지는 접이식이기 때문에, 키를 접거나 필 경우 사용자의 손 또는 다른 물체에 걸려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를 개폐시키거나 차량의 엔진을 운전 및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자동차용 키에 있어서, 일단에 키홀(110)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레일홈(120)이 상부에 가로로 길게 형성되고, 레일홈(120) 상부에는 중앙에 핀결합홀(130)이 마주보게 형성되는 스토퍼 결합홈(190)과 버튼결합홀(160)이 각각 형성되는 키 몸체(100);와 몸체에 형성되는 힌지핀홀(210)이 키 몸체(100)의 핀결합홀(130)에 힌지핀(150)을 중심으로 유동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며, 일단에는 하부로 일정간격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230)를 구비하고, 걸림돌기(230) 상부와 스토퍼 결합홈(190) 사이에는 탄발스프링(180)이 구비되며, 타단에는 버튼결합부(260)가 형성되는 스토퍼(200);와 하부는 스토퍼(200)의 버튼결합부(260)에 결합되고, 상부는 키 몸체(100)의 버튼결합홀(160)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버튼(300);과 일단이 키 몸체(100)의 키홀(110)로 출몰 가능하도록 레일홈(120)에 끼워지며, 타단에는 스토퍼(200)의 걸림돌기(230)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450)이 구비되는 키(400);와 키 몸체(100)의 레일홈(120) 끝단과 키(400)의 끝단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5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격납식 키{housing type key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격납식 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차량의 도어를 개폐시키거나 엔진을 운전 및 정지시키는 자동차용 키를 운전자 및 사용자가 키 몸체에 구비되는 버튼을 누르면 키 몸체의 키홀로 출몰가능하도록 격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키 몸체로부터 키를 출몰시킬 수 있도록 자동차용 격납식 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 및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하지 않았을 경우 외부인의 침입으로부터 차량을 보호하기 위해서 차량의 도어는 자동차용 키로 잠그게 되어 있다.
또한, 차량에 운전자가 탑승하여 차량의 엔진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차량에 구비되는 키홀에 자동차용 키를 삽입할 후 차량의 시동을 걸게 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의 시동을 거는 경우, 자동차용 키를 직접 키홀에 삽입하지 않고 스마트 키 시스템에 의해 시동을 거는 경우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자동차용 키는 운전자가 항상 휴대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키홀더에 자동차용 키를 장착하여 휴대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고급차종의 경우 별도의 키홀더 없이도 자동차용 키를 휴대하기 쉽게하고, 또한 자동차용 키를 고급스럽게 형성하여 소비자의 감성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키 몸체에 키를 장착하여 평소에는 자동차용 키를 키 몸체의 일측에 접어 두었다가 운전자 및 사용자가 키 몸체에 구비되는 버튼을 누르면 자동차용 키가 키 몸체로부터 펼쳐지는 접이식 키가 구비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자동차용 접이식 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운전자 및 사용자가 자동차용 키를 사용하기 위해서 키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버튼을 누르면, 자동차용 키가 키 몸체의 일측 모서리 힌지를 중심으로 펼쳐지기 때문에 키 몸체를 잡고 있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자동차용 키가 걸려 한번에 펼쳐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키 몸체의 일측 모서리 힌지를 중심으로 자동차용 키가 접혀지거나 펼쳐질 때, 자동차용 키에 차량이나 외부 물체가 닿아서 훼손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자동차용 키를 키 몸체로부터 꺼내거나 넣을 수 있게 하고, 또한 자동차용 키에 의해 외부 물체나 차량이 훼손되지 않도록, 운전자 및 사용자가 키 몸체에 구비되는 버튼을 누르면 키 몸체의 키홀로 출몰가능하도록 격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접이식 키의 자동차용 키가 키 몸체의 일측 모서리 힌지를 중심으로 펼쳐지기 때문에 키 몸체를 잡고 있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자동차용 키가 걸려 한번에 펼쳐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격납식 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자동차용 키를 키 몸체의 키홀에 출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격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접이식 키의 자동차용 키가 키 몸체의 일측 모서리 힌지를 중심으로 자동차용 키가 접혀지거나 펼쳐질 때, 자동차용 키에 차량이나 외부 물체가 닿아서 훼손되는 문제점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격납식 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를 개폐시키거나 차량의 엔진을 운전 및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자동차용 키에 있어서, 일단에 키홀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레일홈이 상부에 가로로 길게 형성되고, 레일홈 상부에는 중앙에 핀결합홀이 마주보게 형성되는 스토퍼 결합홈과 버튼결합홀이 각각 형성되는 키 몸체;와 몸체에 형성되는 힌지핀홀이 키 몸체의 핀결합홀에 힌지핀을 중심으로 유동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며, 일단에는 하부로 일정간격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걸림돌기 상부와 스토퍼 결합홈 사이에는 탄발스프링이 구비되며, 타단에는 버튼결합부가 형성되는 스토퍼;와 하부는 스토퍼의 버튼결합부에 결합되고, 상부는 키 몸체의 버튼결합홀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버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일단이 키 몸체의 키홀로 출몰 가능하도록 레일홈에 끼워지며, 타단에는 스토퍼의 걸림돌기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키;와 키 몸체의 레일홈 끝단과 키의 끝단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키의 일단에 기어결합홈를 형성하고, 기어결합홈에는 기어핀으로 회전기어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시키되, 회전기어의 기어 끝단이 일정간격 기어결합홈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고, 키 몸체의 레일홈 일측면에 회전기어와 치합되는 평기어를 구비하여, 키의 출몰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를 개폐시키거나 엔진을 운전 및 정지시키는 자동차용 키를 운전자 및 사용자가 키 몸체에 구비되는 버튼을 누르면 키 몸체의 키홀로 출몰가능하도록 격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키 몸체로부터 키를 출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용 키를 격납식으로 키 몸체로부터 출몰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운전자 및 사용자가 다른 물체나 차량에 인접한 상태에서 자동차용 키를 출몰시킬 경유에도 다른 물체나 차량을 훼손시키지 않고 자동차용 키를 출몰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격납식 키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격납식 키의 자동차용 키가 키 몸체 내부에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격납식 키의 자동차용 키가 키 몸체 외부에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격납식 키의 자동차용 키가 키 몸체 내부에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격납식 키의 자동차용 키가 키 몸체 외부에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격납식 키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격납식 키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격납식 키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격납식 키의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격납식 키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격납식 키의 자동차용 키가 키 몸체 내부에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격납식 키의 자동차용 키가 키 몸체 외부에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격납식 키의 자동차용 키가 키 몸체 내부에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격납식 키의 자동차용 키가 키 몸체 외부에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격납식 키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격납식 키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격납식 키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격납식 키의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를 개폐시키거나 차량의 엔진을 운전 및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자동차용 키에 있어서, 일단에 키홀(110)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레일홈(120)이 상부에 가로로 길게 형성되고, 레일홈(120) 상부에는 중앙에 핀결합홀(130)이 마주보게 형성되는 스토퍼 결합홈(190)과 버튼결합홀(160)이 각각 형성되는 키 몸체(1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몸체에 형성되는 힌지핀홀(210)이 키 몸체(100)의 핀결합홀(130)에 힌지핀(150)을 중심으로 유동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며, 일단에는 하부로 일정간격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230)를 구비하고, 걸림돌기(230) 상부와 스토퍼 결합홈(190) 사이에는 탄발스프링(180)이 구비되며, 타단에는 버튼결합부(260)가 형성되는 스토퍼(200);와 하부는 스토퍼(200)의 버튼결합부(260)에 결합되고, 상부는 키 몸체(100)의 버튼결합홀(160)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버튼(3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일단이 키 몸체(100)의 키홀(110)로 출몰 가능하도록 레일홈(120)에 끼워지며, 타단에는 스토퍼(200)의 걸림돌기(230)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450)이 구비되는 키(400);와키 몸체(100)의 레일홈(120) 끝단과 키(400)의 끝단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500);으로 이루어지며, 키(400)의 일단에 기어결합홈(460)를 형성하고, 기어결합홈(460)에는 기어핀(430)으로 회전기어(600)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되, 회전기어(600)의 기어 끝단이 일정간격 기어결합홈(46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고, 키 몸체(100)의 레일홈(120) 일측면에 회전기어(600)와 치합되는 평기어(700)를 구비하여, 키(400)의 출몰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격납식으로 형성되는 자동차용 키에 관한 것이다.
즉, 자동차의 키(400)가 구비되는 키 몸체(100)에는, 일단에 키홀(110)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레일홈(120)이 상부에 가로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키(400)가 레일홈(120)에 유동가능하도록 끼워져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레일홈(120) 상부에는 중앙에 핀결합홀(130)이 마주보게 형성되는 스토퍼 결합홈(190)과 버튼결합홀(160)이 형성되어, 스토퍼 결합홈(190)에는 스토퍼(200)가 결합되고, 버튼결합홀(160)에는 버튼(300)이 결합되는 것이다.
스토퍼 결합홈(190)에 결합되는 스토퍼(200) 몸체에는 힌지핀홀(210)이 형성되어 있어서, 키 몸체(100)의 핀결합홀(130)에 힌지핀(150)을 중심으로 유동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스토퍼(200)의 일단에는 걸림돌기(230)가 형성되어 있어서, 키 몸체(100)에 구비되는 스토퍼(200)의 걸림돌기(230)가 키 몸체(100)의 레일홈(120)에서 키(400)의 걸림턱(450)에 걸려 키(400)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키 몸체(100)의 스토퍼 결합홈(190)과 스토퍼(200)의 걸림돌기(230) 사이에 구비되는 탄발스프링(180)이 스토퍼(200)의 걸림돌기(230)가 키(400)의 걸림턱(450)에 걸려 키(400)를 고정시킨 상태로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운전자 및 사용자가 키(400)를 출몰시키는 버튼(300)이 키 몸체(100)의 버튼결합홀(160)에 장착되는데, 버튼(300)의 하부는 스토퍼(200)의 버튼결합부(260)에 결합되어, 운전자 및 사용자가 버튼(300)을 누르면 버튼(300)이 스토퍼(200)의 버튼결합부(260)를 누리고, 이렇게 버튼결합부(260)가 눌린 스토퍼(200)는 힌지핀(150)을 중심으로 걸림돌기(230)를 상승시켜 걸림돌기(230)가 키(400)의 걸림턱(45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이렇게 키(400)가 스토퍼(200)의 걸림돌기(230)로부터 분리되면, 키(400)의 끝단과 키 몸체(100)의 레일홈(120) 끝단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구비되는 스프링(500)의 탄발력에 의해 키(400)가 키홀(110)을 통해 키 몸체(100) 외부로 노출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운전자 및 사용자가 키(400)를 다시 키 몸체(100) 내부로 넣기 위해서 키(400)를 끝까지 키 몸체(100) 방향으로 누르면, 스프링(500)이 압축되면서 키(400)의 걸림턱(450)이 스토퍼(200)의 걸림돌기(230)에 걸리게 되고, 걸림돌기(230)의 탄발스프링(180)의 탄발력에 의해 다시 운전자 및 사용자가 버튼(300)을 누르기 전까지 키(400)는 키 몸체(100) 내부에 구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키(400)의 걸림턱(450) 사이에 회전기어(600)가 기어핀(43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기어결합홈(460)을 형성하고, 키 몸체(100)의 레일홈(120) 일측면 내벽에는 회전기어(600)와 치합되는 평기어(700)를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어결합홈(460)에 설치된 회전기어(600)를 상,하부 각각에 설치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키 몸체(100)의 레일홈(120) 일측면 내벽에는 회전기어(600)와 치합되는 평기어(700)가 동일하게 양측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버튼(300)을 해제할 경우, 탄발력에 의해 키(400)가 전방으로 출몰시 키의 속도조절은 물론 키(400)의 흔들림이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운전자 및 사용자가 키 몸체(100)의 버튼(300)을 누르면 키(400)가 키 몸체(100)의 키홀(110)을 통해 키 몸체(100)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때 키(400)의 기어결합홈(460)으로부터 일정간격 노출되게 구비되는 회전기어(600)가 레일홈(120)의 평기어(700)와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자동으로 키(400)의 출몰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키(400)의 출몰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운전자 및 사용자가 안전하게 키(400)를 키 몸체(100)로부터 출몰시킬 수 있게 되며, 특히, 운전자 및 사용자의 감성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키 몸체 110 : 키홀
120 : 레일홈 130 : 핀결합홀
180 : 탄발스프링 190 : 스토퍼 결합홈
200 : 스토퍼 210 : 힌지핀홀
230 : 걸림돌기 260 : 버튼결합부
300 : 버튼 400 : 키
450 : 걸림턱 460 : 기어결합홈
500 : 스프링 600 : 회전기어
700 : 평기어

Claims (3)

  1. 삭제
  2. 내부 일단에는 키홀(110)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레일홈(120)이 상부에 가로로 길게 형성되고,
    레일홈(120) 상부면에는 힌지핀(150)이 끼워지는 핀결합홀(130)이 중앙에 구비된 스토퍼 결합홈(190)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스토퍼 결합홈(190)의 상부면 일측에 버튼출입용 버튼결합홀(160)이 형성되는 키 몸체(100);와
    중앙에 형성된 힌지핀홀(210)이 키 몸체(100)의 핀결합홀(130)에 힌지핀(150)을 중심으로 유동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며, 일단에는 하부로 일정간격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230)를 구비하고, 걸림돌기(230) 상부와 스토퍼 결합홈(190) 사이에는 탄발스프링(180)이 구비되며, 타단에는 버튼결합부(260)가 형성되는 스토퍼(200);와
    하부는 스토퍼(200)의 버튼결합부(260)에 결합되고, 상부는 키 몸체(100)의 버튼결합홀(160)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버튼(300);과
    일단이 키 몸체(100)의 키홀(110)로 출몰 가능하도록 레일홈(120)에 끼워지며, 타단에는 스토퍼(200)의 걸림돌기(230)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450)이 구비되는 키(400);와
    키 몸체(100)의 레일홈(120) 끝단과 키(400)의 끝단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500);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도어를 개폐시키거나 차량의 엔진을 운전 및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자동차용 키에 있어서,
    키(400)의 일단에 기어결합홈(460)를 형성하고, 기어결합홈(460)에는 기어핀(430)으로 회전기어(600)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시키되, 회전기어(600)의 기어 끝단이 일정간격 기어결합홈(46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고,
    키 몸체(100)의 레일홈(120) 일측면에 회전기어(600)와 치합되는 평기어(700)를 구비하여,
    키(400)의 출몰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격납식 키.
  3. 제 2 항에 있어서,
    키(400)의 후면 기어 결합홈(460)에 설치되는 회전기어(600)는 상,하로 구성하고,
    회전기어(600)가 대응되는 키 몸체(100)의 레일홈(120)에는 이와 대응 되도록 평기어(700)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격납식 키.
KR1020110051323A 2011-05-30 2011-05-30 자동차용 격납식 키 KR101240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323A KR101240858B1 (ko) 2011-05-30 2011-05-30 자동차용 격납식 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323A KR101240858B1 (ko) 2011-05-30 2011-05-30 자동차용 격납식 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922A KR20120132922A (ko) 2012-12-10
KR101240858B1 true KR101240858B1 (ko) 2013-03-07

Family

ID=47516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323A KR101240858B1 (ko) 2011-05-30 2011-05-30 자동차용 격납식 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8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041U (ko) * 1999-01-09 1999-08-05 김연석 수납형 키어셈블리
KR20000006883U (ko) * 1998-09-23 2000-04-25 홍종만 자동차용 키 장치
KR100658592B1 (ko) 2004-11-19 2006-12-19 허곡지 자동 키홀더
KR100976215B1 (ko) 2008-04-16 2010-08-17 주식회사 신창전기 자동차용 접힘식 시동키 장치(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883U (ko) * 1998-09-23 2000-04-25 홍종만 자동차용 키 장치
KR19990033041U (ko) * 1999-01-09 1999-08-05 김연석 수납형 키어셈블리
KR100658592B1 (ko) 2004-11-19 2006-12-19 허곡지 자동 키홀더
KR100976215B1 (ko) 2008-04-16 2010-08-17 주식회사 신창전기 자동차용 접힘식 시동키 장치(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922A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046B1 (ko) 로크장치
KR100683225B1 (ko) 자동차의 트레이 록킹 구조
CN101618693B (zh) 托盘防打开装置
JP2013533405A (ja) 車両における把持部を備える開閉式ハンドル
JP2009062004A (ja) アームレストのロック構造
CN206346606U (zh) 汽车中央扶手箱锁
EP3072745B1 (en) Vehicle storage assembly
CN108725328B (zh) 车门护板地图袋
KR101240858B1 (ko) 자동차용 격납식 키
KR100811950B1 (ko) 차량용 어퍼트레이
JP4020424B2 (ja) 車両用収納装置
CN206352441U (zh) 一种汽车中央扶手锁
KR100470784B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
CN210526425U (zh) 带有行车记录仪的顶灯总成
KR200342732Y1 (ko) 자동차 도어의 벨로스 포켓
JP6187271B2 (ja) オープンカーにおけるルーフ部材のロック装置
JP5440865B2 (ja) 車両用ドア
CN217347629U (zh) 一种房车后折叠休息室
KR100550041B1 (ko) 다기능 오버 헤드 콘솔
JP3652178B2 (ja) 自動車のサイドドア装置
CN211765258U (zh) 安装于车辆的收纳盒盖装置
CN209756752U (zh) 用于车辆的遮阳板
WO2024109472A1 (zh) 门锁机构、车门总成及车辆
KR20120017979A (ko) 자동차 측면 보호장치
KR20120041353A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