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764B1 -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764B1
KR101238764B1 KR1020110073148A KR20110073148A KR101238764B1 KR 101238764 B1 KR101238764 B1 KR 101238764B1 KR 1020110073148 A KR1020110073148 A KR 1020110073148A KR 20110073148 A KR20110073148 A KR 20110073148A KR 101238764 B1 KR101238764 B1 KR 101238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device
disabled
wheelchair
vehic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761A (ko
Inventor
김창영
Original Assignee
김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영 filed Critical 김창영
Priority to KR1020110073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764B1/ko
Publication of KR20130011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3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separate from the vehicle, e.g. fixed on the pa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7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with compartment for horizontally storing the ramp or li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00Devices, e.g. jacks, for lifting loads in predetermined steps
    • B66F1/02Devices, e.g. jacks, for lifting loads in predetermined steps with locking elements, e.g. washers, co-operating with posts
    • B66F1/04Devices, e.g. jacks, for lifting loads in predetermined steps with locking elements, e.g. washers, co-operating with posts the posts being toothed
    • B66F1/06Devices, e.g. jacks, for lifting loads in predetermined steps with locking elements, e.g. washers, co-operating with posts the posts being toothed and the devices being actuated mechan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인 승합차량에 설치되어 장애인이 사용하는 휠체어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합차량 내에 설치된 리프트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자인 장애인 스스로 운전석에 승하차 할 수 있고, 또한 휠체어도 승하차 시킬 수 있는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는, 차량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 측과 실외 측으로 회동되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에 구비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장애인이나 휠체어를 승하강 시켜주는 리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일반적인 승합차량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휠체어와 장애인 스스로 상기 승합차량에 승하차 할 수 있도록 리프트장치를 구비함으로서, 제3자의 도움 없이 차량을 운행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Lift apparatus for disabled wheelchair}
본 발명은 일반적인 승합차량에 설치되어 장애인이 사용하는 휠체어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합차량 내에 설치된 리프트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자인 장애인 스스로 운전석에 승하차 할 수 있고, 또한 휠체어도 승하차 시킬 수 있는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 차량을 이용해 이동할 경우, 휠체어와 함께 승하차 시킬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하는 리프트장치가 설치된 장애인 전용차량을 이용한다. 상기 장애인 전용차량은, 차량의 실내공간이 비교적 넓은 승합차 이상의 차량을 대상으로 구조변경을 하는데, 그 구조변경은 차량의 측면도어 또는 리어도어를 출입구로 하여 그 내부에 리프트장치를 설치하여 휠체어를 탄 장애인을 승하차 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장애인 전용차량은, 운전석과 조수석을 제외한 실내의 좌석을 제거하고, 그 공간에 구조적으로 복잡한 리프트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다. 즉, 상기 리프트장치를 구비함에 따라 공간 활용의 제약성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장애인이 승차하지 않고, 일반인이 차량을 이용할 경우 불필요한 공간이 되어 불편한 점이 많은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559615호의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이하, "종래의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 라 한다.)"에 기재된 바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차실내의 루프를 따라 운전석 위치에서 뒤쪽으로 일정구간 연장 설치되는 전후이송용 레일 및 이것의 뒤쪽 끝부분에서 90°옆쪽으로 일정구간 연장 설치되는 좌우이송용 레일과, 시트를 올려서 잡고 있거나 내려서 놓아줄 수 있으며 상기 전후이송용 레일과 좌우이송용 레일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리프터와, 상기 전후이송용 레일과 좌우이송용 레일의 교차 부위에 설치되어 리프터를 90°회전시켜 주는 회전장치로 구성되는 리프트장치이다.
즉, 상기 시트는 휠체어 겸용 운전석시트로서, 상기 리프트장치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되어 있던 운전석 및 상기 운전석 후방에 있는 기존 시트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는 차실내의 루프에 설치된 리프트장치에 의해 승하차 되는 것이다.
이로써, 차실내의 루프에 레일 및 회전장치를 포함한 리프트장치를 구비하여, 차실내의 하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의 경우, 상기 레일 및 회전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여 설치비용이 부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리프트장치는 장애인을 위한 전용차량에만 적용되어 사용할 수 있지만, 일반차량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시트는 휠체어 겸용으로 사용하는 장애인 전용시트로서, 일반차량에 적용하여 사용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일반적인 승합차량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휠체어와 장애인 스스로 상기 승합차량에 승하차 할 수 있는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합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리프트장치의 회전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프트장치의 승하강 벨트가 간섭 없이 작동될 수 있는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합차량의 운행 시, 상기 승합차량 내에 설치되어 있는 리프트장치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프트장치의 회동을 자동으로 작동 할 수 있는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 측과 실외 측으로 회동되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에 구비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장애인이나 휠체어를 승하강 시켜주는 리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차량 실내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에 삽입되어 회동되는 회전봉으로 구성되는 회전지지부와 상기 회전봉의 상부에 설치되는 장착프레임과, 상기 장착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권취롤러와 제1가이드롤러를 구비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과 회동가능 하도록 힌지결합 되고 제2가이드롤러와 제3가이드롤러를 구비하는 가이드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가로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권취롤러에 연결되는 감속기어와, 상기 감속기어와 연결되어 구동시키는 제1모터와, 일측단이 상기 권취롤러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통과하고 타측단이 상기 리프터와 연결되는 승하강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터는, 상기 승하강 벨트의 타측단에 연결 고정시키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와 연결고리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현수대와, 상기 현수대와 탈착고리로 연결되는 방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승하강 벨트의 방향이 전환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봉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프레임부 및 리프터에는, 차량의 운행 시, 실내에서 흔들림 없이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에 고정고리를 구비한 고정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부에는, 상기 회전봉에 구비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맞물리는 제2모터와 연결된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회전구동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적인 승합차량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휠체어와 장애인 스스로 상기 승합차량에 승하차 할 수 있도록 리프트장치를 구비함으로서, 제3자의 도움 없이 차량을 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합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리프트장치의 회전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힌지로 결합된 가로프레임부를 구비함으로서, 차량의 실내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는 효과도 있다.
또한, 리프트장치의 승하강 벨트가 간섭 없이 작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프레임에 안내봉을 구비함으로서, 승하강 벨트의 작동을 보다 원활히 해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승합차량의 운행 시, 상기 승합차량 내에 설치되어 있는 리프트장치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가로프레임부 및 리프터에 고정밴드를 구비함으로서, 흔들리는 리프트장치로 인하여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리프트장치의 회동을 자동으로 작동 할 수 있도록 회전지지부에 회전구동부를 구비함으로서, 사용자인 장애인이 조작함에 있어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a는 장애인을 승차하기 전의 차량 실내에 리프트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b는 장애인을 승차하기 위해 리프트장치가 운전석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승합차량에 설치되어 장애인이 사용하는 리프트장치로서, 차량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 측과 실외 측으로 회동되는 회전수단(10)과 상기 회전수단(10)에 구비되는 구동수단(20)과 상기 구동수단(20)에 의해 장애인이나 휠체어를 승하강 시켜주는 리프터(30)를 포함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수단(10)은, 차량 실내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봉(111)과, 상기 고정봉(111)에 삽입되어 회동되는 회전봉(112)으로 구성되는 회전지지부(11)와, 상기 회전봉(112)의 상부에 설치되는 장착프레임(121)과, 상기 장착프레임(121)의 일측에 설치되어 권취롤러(21)와 제1가이드롤러(122a)를 구비하는 연결프레임(122)과, 상기 연결프레임(122)과 회동가능 하도록 힌지(H)결합 되고 제2가이드롤러(123a)와 제3가이드롤러(123b)를 구비하는 가이드프레임(123)으로 구성되는 가로프레임부(12)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지지부(11)는, 상기 회전지지부(11)의 일측으로 연결된 가로프레임부(12)을 지지하면서 회동하고, 상기 리프터(30)에 안착되는 장애인의 하중을 견디며 지지하는 것으로서, 그 재질과 결합은 견고하게 제작되어야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봉(111)은, 일반적인 승합차량의 운전석 후방에 위치한 측면도어 내측 실내바닥에 볼트 등으로 체결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실내 내부공간을 활용하기 위해서 차량의 측면으로 들어가는 입구에 가깝게 설치하며, 상기 고정봉(111)의 상부는 상기 회전봉(1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봉(112)은, 상기 고정봉(111)의 개방된 상부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봉(111)에 삽입되는 상기 회전봉(112)의 끝단에는 축방향으로 하중이 받는 스러스트베어링을 구비하여 회동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봉(111) 상부의 개방된 삽입구에도 베어링을 구비하여 회동을 보다 원활하게 돕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봉(111)의 상부와 회전봉(112)의 하부에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봉(112)이 일정각도로만 회전되도록 제한함으로서, 과도하게 회전되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이다.
상기 가로프레임부(12)는, 상기 구동수단(20)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수단(20)과 연결되는 리프터(30)를 지지하면서, 상기 회전봉(112)의 상부에 견고하게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다.
상기 장착프레임(121)은, 상기 장착프레임(121)의 하부가 상기 회전봉(11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봉(112)과 일체로 회동되는 것으로서, 일측방향으로 상기 연결프레임(122)과 가이드프레임(123)을 연결하도록, 상부로 갈수록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갖는 것이다.
상기 연결프레임(122)은, 상기 장착프레임(121)의 상부 일측면에 일측이 설치 고정되고,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23)과 힌지(H)결합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122)은,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어 그 사이에 축을 가지는 제1가이드롤러(122a)를 구비하는 것이다. 제1가이드롤러(122a)는, 후술할 상기 권취롤러(21)에 권취되는 승하강 벨트(24)를 초입부에서 안내해줌으로서 상기 승하강 벨트(24)의 작동을 원활하게 해 주는 것이다. 이때, 제1가이드롤러(122a)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그 사이로 상기 승하강 벨트(24)가 통과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23)은, 상기 연결프레임(122)과 일측이 힌지(H) 결합되고, 타측에는 제3가이드롤러(123b)를 구비하며, 상기 승하강 벨트(24)가 통과하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힌지(H) 결합 또한 견고하게 설치되어 장애인이 안착되는 상기 리프터(30)를 지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가이드롤러(122a)에 의해 안내된 상기 승하강 벨트(24)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23)의 일측 내부에 구비된 한 쌍의 제2가이드롤러(123a)에 의해 중간에서 안내를 받고, 마지막으로 상기 제3가이드롤러(123b)의 의해 안내를 받아 상기 리프터(30)와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권취롤러(21)와 제1 및 제2가이드롤러(123a)는 수직방향으로 위치하여 승하강 벨트(24)를 권취 및 안내하여 수평방향으로 위치한 제3가이드롤러(123b)에 의해 승하강 벨트(24)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23)의 내부에서 방향이 전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20)은, 장애인의 하중을 받는 상기 리프터(30)를 승하강 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프레임(122)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설치되는 권취롤러(21)와, 상기 권취롤러(21)에 연결되는 감속기어(22)와, 상기 감속기어(22)와 연결되어 구동시키는 제1모터(23)와, 일측단이 상기 권취롤러(21)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123)을 통과하고 타측단이 상기 리프터(30)와 연결되는 승하강 벨트(24)를 포함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권취롤러(21)는, 상기 연결프레임(122)의 상, 하부판 사이에 설치된 축을 중심으로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권취롤러(21)에는 상기 승하강 벨트(24)의 일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부가 형성되어야 바람직하다.
상기 감속기어(22)는, 상기 권취롤러(21)와 일체로 회전되는 축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1모터(23)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감속기어(22)의 회전운동을 상기 축에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모터(23)에서 공급되는 빠른 회전력을 상기 감속기어(22)에 의해 회전력을 감속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감속기어(22)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기어박스 내부에 구비되어야 바람직하다.
상기 제1모터(23)는, 차량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비되며, 정,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로서, 상기 제1모터(23)의 회전축과 상기 감속기어(22)와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모터(23)의 정, 역회전 조작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조작부(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서 조작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하강 벨트(24)는, 상기 권취롤러(21)에 일측단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권취되고, 타측단은 상기 리프터(30)와 연결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모터(23)의 정, 역회전에 따라 작동되는 상기 권취롤러(21)에, 감기거나 풀리어 상기 리프터(30)를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승하강 벨트(24)는 장애인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재질이어야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프터(30)는, 장애인이 안착하여 차량에 승하차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단으로서, 그 구성은 상기 승하강 벨트(24)의 타측단에 연결 고정시키는 고정구(31)와, 상기 고정구(31)와 연결고리(32)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현수대(33)와, 상기 현수대(33)와 탈착고리(34)로 연결되는 방석(35)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구(31)는, 상기 승하강 벨트(24)의 타측단에 금속판을 양측에 대고 볼트로 견고하게 체결한 것으로, 상기 금속판의 하부에는 연결고리(32)가 연결되도록 연결구멍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고리(32)는, 상기 연결구멍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한 쌍의 현수대(33)와 연결시켜 주는 것이다.
상기 현수대(33)는, 옷걸이 형상으로서,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상기 연결고리(32)와 연결 고정되어 상기 방석(35)과 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방석(35)의 전, 후방에 구비되어 있는 체결고리에 탈착 될 수 있도록 탈착고리(34)가 상기 현수대(33)의 양측 하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전, 후방 한 쌍으로 구비된 현수대(33)의 탈착고리(34)는 전방에 구비되는 탈착고리(34)보다 후방에 구비된 탈착고리(34)의 길이를 길게 하여 장애인이 상기 방석(35)에 안착했을 때, 무게 중심을 잡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상기 방석(35)은, 일반적인 방석의 형상으로서, 상기 방석(35)의 전, 후방에 체결고리를 한 쌍씩 구비하고, 후방에 구비된 체결고리 사이에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허리밴드로 인하여 장애인이 상기 방석(35)에 안착했을 때, 허리를 감싸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허리밴드와 함께 상기 체결고리에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안전밸트를 더 구비하여 상기 방석(35)으로부터 장애인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야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a는 장애인을 승차하기 전의 차량 실내에 리프트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b는 장애인을 승차하기 위해 리프트장치가 운전석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는, 일반적인 승합차량의 실내바닥 중 운전석 후방의 측면도어 측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측면도어 측 가까운 곳에 회전지지부(11)가 설치되어 상기 회전지지부(11)를 중심으로 회전수단(10) 및 리프터(30)가 회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수단(10) 및 리프터(30)의 회전반경을 상기 회전지지부(11)에 구비된 스토퍼가 제한함으로서, 운전석으로 회전되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122)과 가이드프레임(123)를 힌지(H) 결합함으로서, 회전반경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를 이용한 장애인이 일반적인 승합차량에 승차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실내에 구비된 리프트장치를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이 시계방향으로 차량의 실외로 일정 각도까지 회전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스토퍼에 의해 회전반경을 제한하여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가이드프레임(123) 및 리프터(30)를 운전석 측면으로 가깝게 회전시키고, 차량의 운전석에 탑승할 장애인은 운전석 측면으로 휠체어로 이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휠체어에 상기 방석(35)을 깔고 착석한 장애인은 상기 방석(35)에 구비된 체결고리와 상기 현수대(33)에 구비된 탈착고리(34)를 연결시켜 조작부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20)을 작동시켜 상기 현수대(33)를 승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운전석의 높이까지 승강된 장애인은 팔을 이용해 운전석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방석(35)의 체결고리와 연결된 상기 탈착고리(34)를 분리하여 다시, 현수대(33)를 조작부에 의해 하강시킨 후, 현수대(33)에 구비되는 탈착고리(34) 또는 밴드를 이용해 상기 휠체어와 연결시키고 상기 휠체어를 반으로 접은 후, 차량의 실내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순서로 일반적인 승합차량에 승차한 후, 하차는 승차의 역순으로 하면 되는 것이다.
이로써, 장애인 중 특히, 양다리를 사용하지 못하는 장애인이 제3자의 도움 없이 스스로 일반적인 승합차량에 승하차할 수 있는 우수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23)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23)의 내부에서 상기 승하강 벨트(24)의 방향이 전환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123)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봉(40)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승하강 벨트(24)의 작동을 보다 원활히 해주는 것으로서, 상기 안내봉(40) 또는 안내롤러를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가로프레임부(12) 및 리프터(30)에는, 차량의 운행 시, 실내에서 흔들림 없이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에 고정고리(51)를 구비한 고정밴드(50)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가로프레임부(12)에는 상기 고정고리(51)와 연결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123)의 측하부에 고정부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밴드(50)의 일측에 구비된 고정고리(51)와 연결하고, 타측에 구비된 고정고리(51)는 차량의 실내에 구비되어 있는 손잡이 또는 옷걸이 고리에 연결하여 안정되게 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리프터(30)는, 상기 리프터(30)에 구비된 연결고리(32)와 상기 고정밴드(50)의 일측에 구비된 고정고리(51)와 연결하고, 타측에 구비된 고정고리(51)는 차량의 실내바닥에 구비된 고정부와 연결하여 안정되게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밴드(50)는 탄성을 가지며 복원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차량 운행 시, 흔들리는 리프트장치로 인하여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부(11)에는, 상기 회전봉(112)에 구비되는 종동기어(61)와, 상기 종동기어(61)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맞물리는 제2모터(63)와 연결된 구동기어(62)를 포함하는 회전구동부(60)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2모터(63)는 정, 역회전을 하면서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셋팅 되어야 바람직하며, 상기 제2모터(63)와 연결된 구동기어(62)와 상기 구동기어(62)와 맞물리는 종동기어(61)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기어박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동부(60)의 조작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조작부(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서 조작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사용자인 장애인이 상기 회전수단(10)을 조작함에 있어 보다 간편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는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 : 회전수단
11 : 회전지지부
111 : 고정봉 112 : 회전봉
12 : 가로프레임부
121 : 장착프레임
122 : 연결프레임
122a : 제1가이드롤러
123 : 가이드프레임
123a : 제2가이드롤러 123b :제3가이드롤러
20 : 구동수단
21 : 권취롤러 22 : 감속기어 23 : 제1모터 24 : 승하강 벨트
30 : 리프터
31 : 고정구 32 : 연결고리 33 : 현수대 34 : 탈착고리 35 : 방석
40 : 안내봉
50 : 고정밴드
51 : 고정고리
60 : 회전구동부
61 : 종동기어 62 : 구동기어 63 : 제2모터
H : 힌지

Claims (7)

  1. 차량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 측과 실외 측으로 회동되는 회전수단(10)과;
    상기 회전수단(10)에 구비되는 구동수단(20)과;
    상기 구동수단(20)에 의해 장애인이나 휠체어를 승하강 시켜주는 리프터(3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20)은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 1모터(23),
    상기 제 1 모터(23)와 연결되는 감속기어(22)와,
    상기 감속기어(22)와 연결되는 권취롤러(21)와,
    일측단이 상기 권취롤러(21)에 고정되고 타측단이 상기 리프터(30)와 연결되는 승하강 벨트(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10)은 차량 실내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봉(111)과, 상기 고정봉(111)에 삽입되어 회동되는 회전봉(112)으로 구성되는 회전지지부(11)와;
    상기 회전봉(112)의 상부에 설치되는 장착프레임(121)과, 상기 장착프레임 (121)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가이드롤러(122a)를 구비하는 연결프레임(122)과, 상기 연결프레임(122)과 회동가능 하도록 힌지(H)결합되고 제2가이드롤러 (123a)와 제3가이드롤러(123b)를 구비하는 가이드프레임(123)으로 구성되는 가로프레임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30)는 상기 승하강 벨트(24)의 타측단에 연결 고정시키는 고정구(31)와,
    상기 고정구(31)와 연결고리(32)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현수대(33)와,
    상기 현수대(33)와 탈착고리(34)로 연결되는 방석(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
  5.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23)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23)의 내부에서 상기 승하강 벨트(24)의 방향이 전환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123)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봉(4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
  6.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프레임부(12) 및 리프터(30)에는 차량의 운행 시, 실내에서 흔들림 없이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에 고정고리(51)를 구비한 고정밴드(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
  7.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부(11)에는 상기 회전봉(112)에 구비되는 종동기어(61)와,
    상기 종동기어(61)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맞물리는 제2모터(63)와 연결된 구동기어(62)를 포함하는 회전구동부(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
KR1020110073148A 2011-07-22 2011-07-22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 KR101238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148A KR101238764B1 (ko) 2011-07-22 2011-07-22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148A KR101238764B1 (ko) 2011-07-22 2011-07-22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761A KR20130011761A (ko) 2013-01-30
KR101238764B1 true KR101238764B1 (ko) 2013-03-07

Family

ID=47840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148A KR101238764B1 (ko) 2011-07-22 2011-07-22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7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536A (ko) 2019-09-06 2021-03-1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 수납장치
KR20240047858A (ko) 2022-10-05 2024-04-12 김기수 차량용 휠체어 리프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129B1 (ko) * 2015-05-21 2017-01-02 주식회사 엘피케이 리프트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보조로봇
KR102493887B1 (ko) * 2022-09-20 2023-01-31 (주)동아금속 환자 이승용 리프트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525Y1 (ko) * 1991-04-10 1994-03-18 박정웅 경운기의 화물 하역장치
JP2000043634A (ja) * 1998-07-30 2000-02-15 Araco Corp 車両用の車椅子積降し装置
JP2004033684A (ja) 2002-06-28 2004-02-05 Nakayama Michiko 障害者用の車両乗降装置
JP2004173925A (ja) 2002-11-27 2004-06-24 Michiko Nakayama 被介護者用の車両乗降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525Y1 (ko) * 1991-04-10 1994-03-18 박정웅 경운기의 화물 하역장치
JP2000043634A (ja) * 1998-07-30 2000-02-15 Araco Corp 車両用の車椅子積降し装置
JP2004033684A (ja) 2002-06-28 2004-02-05 Nakayama Michiko 障害者用の車両乗降装置
JP2004173925A (ja) 2002-11-27 2004-06-24 Michiko Nakayama 被介護者用の車両乗降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536A (ko) 2019-09-06 2021-03-1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 수납장치
KR20240047858A (ko) 2022-10-05 2024-04-12 김기수 차량용 휠체어 리프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761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764B1 (ko)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
US201102046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wheelchair in a vehicle
NO160176B (no) Anordning for vertikal og horisontal transport av lasten inn i og utav et kjoeretoey eller lignende.
JP2017196408A (ja) 車椅子とカーシートとの結合機構
JP2009082568A (ja) 障害者用車両の補助椅子
CA2512220A1 (en) Manually driven bathtub lift
KR20130020711A (ko) 장애인 차량용 리프트 장치
JP4632120B2 (ja) 身体障害者車両用リフト装置
KR20140094279A (ko) 화장실용 환자리프트
JP3062715B2 (ja) 車両又は自動車における座席の旋回・車外昇降装置
AU2006235966B2 (en) Personnel hoist
JP2926319B2 (ja) 移動支援機器
CN110547931A (zh) 一种助力老人起床的装置
JP3395067B2 (ja) 車両用乗用座席回転昇降装置
JP2001037811A (ja) 車上移乗リフト装置
JP3032294U (ja) 車両の後部からの車椅子の乗降装置
JPH10129335A (ja) 車両の車椅子収納装置
KR100345927B1 (ko) 장애자용 철도차량 휠체어리프트
JP2004267705A (ja) 簡易移乗クレーン装置
JPH05137755A (ja) 車両用介護リフト
DE202012004435U1 (de) Krankentransporteinrichtung
JP2002224165A (ja) 車両用介護リフト装置
JP3023975U (ja) 車両用移動・昇降装置
AU4579102A (en) Personnel hoist
JP2005192663A (ja) 車輛用人員乗降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