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645B1 - 의약용 용기 - Google Patents

의약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645B1
KR101238645B1 KR1020100136453A KR20100136453A KR101238645B1 KR 101238645 B1 KR101238645 B1 KR 101238645B1 KR 1020100136453 A KR1020100136453 A KR 1020100136453A KR 20100136453 A KR20100136453 A KR 20100136453A KR 101238645 B1 KR101238645 B1 KR 101238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member
vertical partition
container
container body
medica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4574A (ko
Inventor
김종현
임동엽
Original Assignee
리드메디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드메디 (주) filed Critical 리드메디 (주)
Priority to KR1020100136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645B1/ko
Publication of KR20120074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64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Hem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의약용 용기는 용기 몸체, 및 용기 몸체의 바닥으로부터 용기 몸체의 개구를 향하여 돌출되며, 용기 몸체의 전체 깊이보다 짧은 높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구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약용 용기{MEDICAL BOTTLE}
본 발명은 물질을 수납할 수 있는 의약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알약이나 가루 혹은 액상의 약품을 저장하는 캡슐, 혹은 과립형상의 다양한 약품을 수납할 수 있는 의학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에 수납되는 물질은 화학약품, 화장품, 주류, 음료수 등 그 종류와 용도가 다양하며, 용기는 수납되는 물질의 특성에 맞춰서 플라스틱, 유리, 목재, 고무 등의 다양한 재질 중 선택되어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알약(tablet, pill)이나 가루 혹은 액상의 약품을 저장하기 위한 캡슐(capsule), 혹은 과립형상의 다양한 약품을 저장할 수 있는 의학용으로 사용되는 용기의 경우에는 화학적 내구성이 좋은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조하고 있다.
한편, 일반으로 용기는 내부에 수납되는 물질의 용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용기의 크기 자체를 여러 가지 크기로 제조하고 있다.
하지만, 수납되는 물질의 용량을 조절하고자 서로 다른 크기의 용기를 제조하는 것은 생산 비용의 측면에서 여러 가지로 불리한 점이 있다. 예를 들면,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을 용기의 크기에 맞도록 여러 개를 마련하거나, 용기를 제조하는 생산 라인을 용기의 크기 별로 서로 분리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하며, 이는 초기 설비 비용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용량 별로 크기가 다양한 용기는 생산 후 포장에 있어서도 서로 다른 포장 박스를 주문 생산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 단가가 증가할 수 있으며, 크기 별로 용기를 따로 포장하여야 하기 때문에 포장 과정도 번거롭다. 또한, 서로 다른 크기의 용기는 보통 여러 층으로 적재해야 하는 보관이나 운반 시에도 불편한 점이 많다.
본 발명은 수납되는 물질 및 수납되는 물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인식 태그를 서로 분리된 공간에 수납할 수 있는 의약용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동일한 크기의 용기를 가지고 용이하게 수납 공간의 부피를 조절함으로써, 서로 다른 용량의 물질을 수납할 수 있는 의약용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기를 생산하기 위한 초기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의약용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용량의 물질을 수납할 수 있으나 그 크기는 동일하여 동일한 포장 박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여러 층으로 적재해야 하는 보관 및 운반 시에 편리한 의약용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약용 용기는 용기 몸체, 및 용기 몸체의 바닥으로부터 용기 몸체의 개구를 향하여 돌출되며, 용기 몸체의 전체 깊이보다 짧은 높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구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몸체의 내부 공간에는 알약이나 가루 혹은 액상의 저장을 위한 캡슐, 혹은 과립형상의 다양한 약품을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몸체의 내측벽 및 수직 구획부재 사이의 공간 또는 서로 이웃하는 수직 구획부재 사이의 공간에는 내부 공간에 수납되는 물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인식 태그를 수납함으로써, 수납되는 물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인식 태그를 수납되는 물질과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다. 참고로, 용기 몸체의 내측벽 및 수직 구획부재 사이의 공간 또는 서로 이웃하는 수직 구획부재 사이의 공간에는 무선인식 태그 외에도 흡습제를 수납할 수도 있다.
또한, 의약용 용기는 수직 구획부재 중 선택된 하나에 대응하는 수평 구획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수직 구획부재에 지지되는 수평 구획부재를 이용하여 용기 몸체의 내부 공간을 분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 몸체의 내부 공간을 수평 구획부재를 기준으로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상부 공간은 실질적으로 물질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고, 하부 공간은 무선인식 태그 혹은 흡습제를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수직 구획부재에 대응하는 수평 구획부재는, 선택된 수직 구획부재의 외측으로 이웃하는 다른 수직 구획부재 또는 용기 몸체의 내측벽에 밀착되는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수평 구획부재가 용기 몸체 내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의약용 용기가 복수개의 수직 구획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개의 수직 구획부재 중 하나는 외측으로 이웃하는 다른 수직 구획부재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 구획부재를 여러 개의 수직 구획부재 중에서 선택된 수직 구획부재의 상단에 올려놓아 수평 구획부재의 상부 공간의 부피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용기 내부에 수납시키고자 하는 물질의 양에 맞춰서 상부 공간의 부피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동일한 용기를 가지고 실질적인 물질의 수납 공간인 상부 공간의 부피를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부피를 갖는 수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 용기 자체의 크기를 다르게 제조해야 했던 종래와는 다르게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을 하나만 가지고 제조할 수 있으며, 생산 라인의 단순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초기 설비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용기의 포장 과정에 있어서도 한 종류의 포장 박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용량의 물질이 수납된 의약용 용기의 부피가 서로 동일하여, 포장된 의약용 용기를 여러 층으로 적재해야 하는 보관 및 운반 시에도 편리하다.
한편, 수평 구획부재는 선택된 수직 구획부재에 올려지는 판상의 중간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판상의 중간판, 선택된 수직 구획부재의 외측에서 이웃하는 다른 수직 구획부재에 올려지는 판상의 걸림판, 및 중간판과 걸림판을 연결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걸림판의 가장자리는 다른 수직 구획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는 또 다른 수직 구획부재 또는 용기 몸체의 내측벽에 밀착될 수 있다.
상술한 수평 구획부재의 하부 공간에는 무선인식 태그 및 흡습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용할 수 있으며, 중간판을 사이에 두고 구획된 상부 및 하부 공간을 공간적으로 연통시키는 미세한 통공을 중간판에 형성하고, 하부 공간에는 흡습제를 수납할 수 있다.
한편, 중간판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빈 공간 내에 흡습제를 수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중간판에는 빈 공간과 중간판 상부 공간을 공간적으로 연통시키는 미세한 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흡습제는 실직적인 수납 공간인 상부 공간에 수납된 알약 등이 오랜 시간이 지나도 변질되지 않도록 상부 공간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용 용기는 수직 구획부재를 이용하여 물질이 수납되는 상부 공간과 수납되는 물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인식 태그를 서로 분리된 공간에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용 용기는 수평 구획부재를 이용하여 동일한 내부 공간을 갖는 용기의 수납 공간을 간단하게 조절함으로써, 서로 다른 용량의 물질을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용 용기는 수납 공간 즉 상부 공간의 용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용기 자체의 크기 변경이 필요 없기 때문에 생산 라인의 단순화를 구현할 수 있고, 이에 초기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용 용기는 서로 다른 용량의 물질을 수납할 수 있으나 그 크기는 동일하여 동일한 포장 박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용량의 물질이 수납된 의약용 용기의 부피가 서로 동일하여, 포장된 의약용 용기를 여러 층으로 적재해야 하는 보관 및 운반 시에도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약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약용 용기에 알약, 무선인식 태그, 및 흡습제를 수납시킨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약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약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의약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약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약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약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의약용 용기(100)는 뚜껑(110), 용기 몸체(120), 제1 수직 구획부재(130), 제2 수직 구획부재(140), 및 수평 구획부재(150)를 포함한다.
뚜껑(110)은 용기 몸체(120) 상단에 형성된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제공되며, 뚜껑(110) 내측에는 용기 몸체(120)의 상단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뚜껑(110)을 용기 몸체(120)에 대해서 회전시켜 뚜껑(110)을 용기 몸체(120)로부터 분리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다.
용기 몸체(120)는 원통형으로 제공되며, 그 내부에는 물질을 수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121)이 마련되어 있다. 내부 공간(121)은 본 실시예와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 다른 기둥 형상 예를 들면 사각 기둥이나 다각 기둥의 형상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직 구획부재(130, 140)는 각각 용기 몸체(120)의 바닥으로부터 용기 몸체(120)의 개구를 향하여 돌출되며, 용기 몸체(120)의 전체 깊이보다 짧은 높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직 구획부재는 2개가 제공되나, 하나 또는 3개 이상이 제공될 수도 있다. 수직 구획부재가 여러 개 제공되는 경우에 안쪽에 배치되는 수직 구획부재가 외측에 배치되는 수직 구획부재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기준에서 제1 수직 구획부재(130)는 그 내측에 배치된 제2 수직 구획부재(140) 보다 긴 길이를 가진다.
수평 구획부재(150)는 제1 수직 구획부재(130)에 올려지는 판상의 중간판(152)을 포함하며, 제1 수직 구획부재(130)의 상단에 올려져 용기 몸체(120)의 내부 공간(121)을 상부 공간(122)과 하부 공간(123)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으로 도시된 수평 구획부재(150) 대신에 점선으로 도시된 수평 구획부재(160)로 대체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물질이 수납되는 상부 공간(122)의 부피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일정한 크기로 이미 결정된 내부 공간(121)을 상하로 구획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용기 내부에 수납되는 알약(tablet, pill)이나 가루 혹은 액상의 약품을 저장하기 위한 캡슐(capsule), 혹은 과립형상의 다양한 약품 등이 보관되는 상부 공간(122)의 용량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선으로 도시된 수평 구획부재(150)는 제1 수직 구획부재(130)에 올려져 내부 공간(121)을 상하로 분할하며, 그 가장자리는 용기 몸체(120)의 내측벽에 밀착된다. 한편, 점선으로 도시된 수평 구획부재(160)는 제2 수직 구획부재(140)에 올려져 내부 공간(121)을 상하로 분할할 수 있으며, 그 가장자리는 제1 수직 구획부재(130)의 내측벽에 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 구획부재를 수평 구획부재가 올려지는 선택된 수직 구획부재의 외측으로 이웃하는 다른 수직 구획부재 또는 용기 몸체의 내측벽에 밀착되는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수평 구획부재(150)가 용기 몸체 내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및 제2 수직 구획부재(130, 140)를 용기 몸체(120)의 내측벽을 따라 일체로 연결된 중공형의 기둥 형상으로 제공함으로써, 제1 수직 구획부재(130)와 용기 몸체(120) 내측벽 사이의 공간 및 서로 인접한 제1 및 제2 수직 구획부재(130, 140) 사이의 공간을 용기 몸체(120)의 상부 공간(122)과 공간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에, 상부 공간(122)에 수납되는 물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인식 태그를 수납되는 물질과 서로 분리된 공간에 수납할 수 있다.
동일한 용기를 가지고 실질적인 물질의 수납 공간인 상부 공간(122)의 부피를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부피를 갖는 수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 용기 자체의 크기를 다르게 제조해야 했던 종래와는 다르게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을 하나만 가지고 제조할 수 있으며, 생산 라인의 단순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초기 설비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용기의 포장 과정에 있어서도 한 종류의 포장 박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용량의 물질이 수납된 의약용 용기의 부피가 서로 동일하여, 포장된 의약용 용기를 여러 층으로 적재해야 하는 보관 및 운반 시에도 편리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약용 용기에 알약, 무선인식 태그, 및 흡습제를 수납시킨 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의약용 용기의 구성요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의약용 용기의 구성요소와 사실상 동일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 및 실지로 의약용 용기에 알약, 무선인식 태그, 및 흡습제를 수납한 의약용 용기의 활용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의약용 용기(200)는 뚜껑(210), 용기 몸체(220), 제1 수직 구획부재(230), 제2 수직 구획부재(240), 및 수평 구획부재(250)를 포함한다.
수평 구획부재(250)는 제2 수직 구획부재(240)의 상단에 올려지며, 그 가장자리는 제1 수직 구획부재(230)의 내측벽에 밀착된다. 이에, 의약용 용기(200)가 뒤집어져도 쉽게 수평 구획부재(250)가 원래의 위치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 수평 구획부재(250)의 중간판(252)의 저면에는 제2 수직 구획부재(240)의 상단부와 끼워 맞춰져 결합되는 결합부(254)가 더 제공되어 수평 구획부재(250)와 제2 수직 구획부재(240)간의 결합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한편, 알약(10)은 실질적인 수납 공간 즉, 수평 구획부재(250)의 상부 공간(222)에 수납되며, 무선인식 태그(30)는 제1 수직 구획부재(230) 및 제2 수직 구획부재(240) 사이 공간에 수납된다. 물론, 무선인식 태그(30)는 용기 몸체(220)의 내측벽과 제1 수직 구획부재(230) 사이 공간에 수납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무선인식 태그(30)는 탄성적으로 형태가 복원될 수 있는 필름 형태로 제공되며, 무선인식 태그(30)를 구부려 제1 수직 구획부재(230) 및 제2 수직 구획부재(240) 사이 공간에 수납하면, 무선인식 태그(30)는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펼쳐지게 된다.
무선인식 태그(30)는 의약용 용기(200)의 상부 공간(222)에 저장되는 물질에 대한 정보, 예를 들면, 저장된 물질의 종류, 성분이나 성질, 제조연월일, 및 위험성 등 물질이 고유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외부에서 의약용 용기(200)의 뚜껑(210)을 개폐하지 않고도, 의약용 용기(200) 내부에 수용된 물질에 대한 정보를 리더기를 통해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유통과정이나 보관 시 물질의 이력관리나 재고관리, 또는 위험관리 등이 용이하다.
흡습제(20)는 수평 구획부재(250)의 하부 공간(223)에 수납되며, 흡습제(20)는 미세한 알갱이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수납이 용이하도록 별도의 종이나 부직포와 같은 재질로 제조된 다공성 포장지에 담겨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 구획부재(250)의 중간판(252)에는 중간판(252)의 상부 공간(222)과 하부 공간(223)을 서로 공간적으로 연통시키는 통공(253)이 형성되며, 이에 앞서 설명한 흡습제(20)가 상부 공간(222)에 수납된 보관물질 예를 들면 습기에 민감한 알약 등이 오랜 시간이 지나도 변질되지 않도록 상부 공간(222)의 습도를 낮게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약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의약용 용기의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의약용 용기의 구성요소와 사실상 동일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의약용 용기(300)는 뚜껑(310), 용기 몸체(320), 제1 수직 구획부재(330), 제2 수직 구획부재(340), 및 수평 구획부재(350)를 포함한다.
수평 구획부재(350)는 중간 케이스(352)를 포함하는데, 중간 케이스(352)은 내부에 빈 공간(355)을 형성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빈 공간(355) 내에 흡습제(20)를 수납한다. 중간 케이스(352)에는 빈 공간(355)과 중간 케이스(352)의 상부 공간(322)을 공간적으로 연통시키는 미세한 통공(353)을 형성하여, 상부 공간(322)에 수납된 알약 등이 오랜 시간이 지나도 변질되지 않도록 상부 공간(322)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 구획부재(350)는 앞선 실시예들의 수평 구획부재와 비교할 때, 그 두께가 더 두꺼우며, 이에 수평 구획부재(350)의 가장자리와 수직 구획부재 또는 용기 몸체의 내측벽과 밀착되는 밀착면이 더 증가되어 있다. 이에, 의약용 용기(300)가 뒤집어져도 쉽게 수평 구획부재(350)가 원래의 위치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고, 도 3에 도시된 수평 구획부재(250)와 같이 별도의 결합부(254)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수평 구획부재(350)가 쉽게 원래의 위치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는다.
참고로, 무선인식 태그(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직 구획부재(330)와 제2 수직 구획부재(340) 사이에 배치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 제1 수직 구획부재와 용기 몸체의 내측벽 사이의 공간에 배치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약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의약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의약용 용기의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의약용 용기의 구성요소와 사실상 동일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의약용 용기(400)는 뚜껑(410), 용기 몸체(420), 제1 수직 구획부재(430), 제2 수직 구획부재(440), 및 수평 구획부재(4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 구획부재(450)는 제2 수직 구획부재(440)에 올려지는 판상의 중간판(452), 제2 수직 구획부재(440)의 외측에서 이웃하는 제1 수직 구획부재(430)에 올려지는 판상의 걸림판(456), 및 중간판(452)과 걸림판(456)을 연결하는 연장부(457)를 포함하는 뒤집어진 모자 형태로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판(456)의 가장자리는 용기 몸체(420)의 내측벽에 밀착되나, 경우에 따라서, 제1 수직 구획부재의 외측에 또 다른 수직 구획부재가 위치한다면 걸림판의 가장자리는 다른 수직 구획부재의 내측벽에 밀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수평 구획부재(450)는 내부 공간(421)을 상부 공간(422) 및 하부 공간(423)으로 분할하며, 이에 상부 공간(422)에는 알약(10)과 같은 수납 물질을 수납하고, 하부 공간(423)에는 흡습제(20)를 배치할 수 있다. 중간판(452)에는 별도의 통공(453)이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무선인식 태그(30)는 용기 몸체(420)의 내측벽과 제1 수직 구획부재(430) 사이에 배치되나, 경우에 따라서, 수직 구획부재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약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의약용 용기의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의약용 용기의 구성요소와 사실상 동일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의약용 용기(500)는 뚜껑, 용기 몸체(520), 및 수직 구획부재(5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직 구획부재(530)는 용기 몸체(520)의 내측벽을 따라 일체로 연결된 중공형의 기둥 형상의 내측 격벽(531)을 포함하며, 하나만 제공된다.
한편, 수평 구획부재는 용기 제조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별도로 수평 구획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용기 몸체(520) 내부의 내부 공간은 전체적으로 알약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고, 별도의 수평 구획부재를 수직 구획부재(530)의 상단에 올려 놓아 사용할 경우에는 수평 구획부재에 의해서 상하로 분할되는 내부 공간 중 상부 공간을 수납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하부 공간은 흡습제나 무선인식 태그를 수납하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무선인식 태그의 경우에는 수직 구획부재(530)와 용기 몸체(520) 사이에 형성된 길고 좁은 공간 내에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약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의약용 용기의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의약용 용기의 구성요소와 사실상 동일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의약용 용기(600)는 뚜껑, 용기 몸체(620), 및 제1 내지 제3 수직 구획부재(630, 640, 650)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수직 구획부재(630, 640, 650)는 각각 용기 몸체(620)의 내측벽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배치된 4개씩의 내측 격벽(631, 641, 651)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수직 구획부재에 포함된 내측 격벽의 수는 그 상부에 올려지는 수평 구획부재를 지지할 수 있으며, 무선인식 태그를 삽입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내지 제3 수직 구획부재(630, 640, 650)의 상단에는 별도의 수평 구획부재를 위에 올려 용기 몸체(620)의 내부 공간을 분할할 수 있고, 용기 몸체의 내측벽과 제1 수직 구획부재 사이 혹은 수직 구획부재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흡습제나 무선인식 태그를 배치할 수 있고, 수평 구획부재의 상부 공간에는 수납되는 물질을 그 하부에는 흡습제, 무선인식 태그 등을 배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용기 110:뚜껑
120:용기 몸체 121:내부공간
122:상부공간 123:하부공간
130:제1 수직 구획부재 140:제2 수직 구획부재
150:수평 구획부재 152:중간판

Claims (13)

  1. 용기 몸체; 및
    상기 용기 몸체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용기 몸체의 개구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용기 몸체의 전체 깊이보다 짧은 높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구획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구획부재 중 선택된 하나에 대응하는 수평 구획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 구획부재에 지지되는 상기 수평 구획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 몸체의 내부 공간을 분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용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수직 구획부재에 대응하는 상기 수평 구획부재는,
    상기 선택된 수직 구획부재의 외측으로 이웃하는 다른 수직 구획부재 또는 상기 용기 몸체의 내측벽에 밀착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용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수직 구획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수직 구획부재 중 하나는 외측으로 이웃하는 다른 수직 구획부재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용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구획부재는 상기 용기 몸체의 내측벽을 따라 일체로 연결된 중공형의 기둥 형상의 내측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용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구획부재는 상기 용기 몸체의 내측벽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배치된 내측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용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구획부재는 상기 선택된 수직 구획부재에 올려지는 판상의 중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용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구획부재는 상기 선택된 수직 구획부재에 올려지는 판상의 중간판, 상기 선택된 수직 구획부재의 외측에서 이웃하는 다른 수직 구획부재에 올려지는 판상의 걸림판, 및 상기 중간판 및 상기 걸림판을 연결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용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판의 가장자리는 상기 다른 수직 구획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는 또 다른 수직 구획부재 또는 상기 용기 몸체의 내측벽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용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구획부재 및 상기 용기 몸체 사이, 서로 이웃하는 상기 수직 구획부재 사이에는 무선인식 태그 및 흡습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용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구획부재의 하부 공간에는 무선인식 태그 및 흡습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용 용기.
  12.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에는 상기 중간판을 사이에 두고 구획된 상부 및 하부 공간을 공간적으로 연통시키는 미세한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공간에는 흡습제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용 용기.
  13.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며, 상기 중간판에는 상기 빈 공간과 상기 중간판 상부 공간을 공간적으로 연통시키는 미세한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용 용기.
KR1020100136453A 2010-12-28 2010-12-28 의약용 용기 KR101238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453A KR101238645B1 (ko) 2010-12-28 2010-12-28 의약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453A KR101238645B1 (ko) 2010-12-28 2010-12-28 의약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574A KR20120074574A (ko) 2012-07-06
KR101238645B1 true KR101238645B1 (ko) 2013-02-28

Family

ID=4670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453A KR101238645B1 (ko) 2010-12-28 2010-12-28 의약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6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148B1 (ko) 2019-01-21 2020-06-11 소윤섭 밀봉성이 유지되는 이중구조 인덕션리드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0919A (en) 1997-06-11 1998-12-22 Freed; Anna B. Compliance closure
US20030196927A1 (en) 2002-04-18 2003-10-23 Medcount Systems, L.L.C. Medication dosage container
JP2006199372A (ja) 2004-06-11 2006-08-03 Sakurai Takehisa Kenchiku Sekkei Kenkyusho:Kk 容器及び食品容器
KR100980768B1 (ko) 2008-04-29 2010-09-10 문재성 이중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0919A (en) 1997-06-11 1998-12-22 Freed; Anna B. Compliance closure
US20030196927A1 (en) 2002-04-18 2003-10-23 Medcount Systems, L.L.C. Medication dosage container
JP2006199372A (ja) 2004-06-11 2006-08-03 Sakurai Takehisa Kenchiku Sekkei Kenkyusho:Kk 容器及び食品容器
KR100980768B1 (ko) 2008-04-29 2010-09-10 문재성 이중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148B1 (ko) 2019-01-21 2020-06-11 소윤섭 밀봉성이 유지되는 이중구조 인덕션리드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574A (ko) 201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6123B2 (en) Lockable and compartmentalized package
US6196412B1 (en) Multi-compartment container
CA2578918C (en) Consumables container with nested insert
RU2534502C1 (ru) Пластмассовый запорный элемент с капсулой для выдачи действующих веществ
EP2627300B1 (en) Desiccant container
US20040182740A1 (en) Tray for packaging of an article
KR101238645B1 (ko) 의약용 용기
KR101237981B1 (ko) 의약용 용기
JP5092633B2 (ja) 緩衝材兼用中栓と該中栓が取り付けられた錠剤用容器
EP3253681B1 (en) Inserts for bottles
US20130152515A1 (en) Tablet storage system and use thereof
JP2006240709A5 (ko)
KR200487612Y1 (ko) 냉동식품 보관 용기
CN220148096U (zh) 药品包装
JP2020037423A (ja) 振り出し容器
JP5163325B2 (ja) 粒状物収納容器
JP3218923U (ja) 検体輸送用容器
JP3028198U (ja) 弁当容器
KR200350931Y1 (ko) 수용부를 구비한 용기뚜껑
JP2640643B2 (ja) トレーパック収容容器
JP3160818U (ja) 小出し可能な錠剤等粒状物収納容器
US8708179B2 (en) Product packaging
KR200464225Y1 (ko) 과대 포장 방지용 포장용기
RU39819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и/или лекарственных веществ
JP2010052782A (ja) 粒状物収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