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768B1 - 이중용기 - Google Patents

이중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768B1
KR100980768B1 KR1020080060130A KR20080060130A KR100980768B1 KR 100980768 B1 KR100980768 B1 KR 100980768B1 KR 1020080060130 A KR1020080060130 A KR 1020080060130A KR 20080060130 A KR20080060130 A KR 20080060130A KR 100980768 B1 KR100980768 B1 KR 100980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ontainer body
container
folding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4295A (ko
Inventor
문재성
Original Assignee
문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성 filed Critical 문재성
Publication of KR20090114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4Multi-cavity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내부에 두 개의 독립된 공간을 구비하여 두 가지 종류의 내용물을 용기 하나에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고, 단순한 구성으로 하나의 입구를 통해 각각의 내용물을 따를 수 있도록 하는 이중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 몸체의 내측 중앙에 격벽을 형성하여 두 개의 독립된 공간부를 갖는 이중용기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상부에는 용기 몸체의 내측 벽면을 따라 회전하여 두 개의 공간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마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중용기, 회전마개, 무게중심, 입구

Description

이중용기 {Duplex receptacle}
본 발명은 이중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내부에 두 개의 독립된 공간을 구비하여 두 가지 종류의 내용물을 용기 하나에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고, 단순한 구성으로 하나의 입구를 통해 각각의 내용물을 따를 수 있도록 하는 이중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 주류 등과 같은 식음료는 종류별로 각각의 용기에 보관되어 판매,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에 따라, 모임과 만남의 장소에서는 개인의 취향 및 선호에 따라 식음료의 종류가 선정되어 진다.
또한, 혼자서 두 종류의 식음료를 선택, 구매할 경우에는 두 가지 종류의 내용물이 보관되어 있는 용기를 모두 구매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의 추가발생이 생기며, 식음 후에 남는 내용물에 대해서는 버려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보관시에도 각각의 용기를 밀폐, 보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50614호에는 이중용기가 게시되어 있는데, 이는 용기의 중앙에 수직으로 격벽을 두고 공실로 구획하여 제 1 및 제 2 용기로 구분하고, 각 공실의 배출구는 내부 뚜껑으로 닫고, 마개로 전체를 다시 닫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은 하나의 용기에 두 개의 입구를 구비하고, 각각의 입구를 개폐하는 마개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각각의 내용물을 따를때에는 다른 한 쪽의 입구를 밀폐하고 따라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용기에 두 개의 독립된 공간을 조성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보관,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단순한 구성으로 하나의 입구를 통하여 각각의 내용물을 따를 수 있는 편리한 구조를 갖는 이중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마개가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두 개의 독립된 공간을 밀폐시키는 별도의 마개 없이도 용기 안에 보관된 내용물을 따를 수 있도록 하는 이중용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 몸체의 내측 중앙에 격벽을 형성하여 두 개의 독립된 공간부를 갖는 이중용기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상부에는 용기 몸체의 내측 벽면을 따라 회전하여 두 개의 공간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마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용기 몸체의 상부 내측에는 회전마개가 설치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벽은 용기몸체의 입구부와 수평이 되도록 형성되고, 격벽의 상부에는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전마개는 상기 돌기에 결합되어 용기몸체의 입구부와 외부마개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마개는 용기 몸체 내부의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밀폐부와, 용기 몸체 내부의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무게중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마개는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회전마개의 상부에는 손잡이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용기 몸체의 내측 중앙에 격벽을 형성하여 두 개의 독립된 공간을 갖는 이중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의 상단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절첩되어 두 개의 공간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첩마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용기 몸체의 상단 내측면에는 절첩마개가 설치되는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턱부의 양 측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절첩마개의 양 측면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절첩마개의 하면에는 격벽이 삽입 결합되는 격벽 결합홈이 형성되고, 절첩마개의 상면에는 절첩마개를 절첩시키기 위한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첩마개의 양 측면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의 단턱부 내측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중용기는 용기 몸체의 내측 중앙에 격벽을 형성하여 두 개의 독립된 공간을 갖는 이중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의 상단 입구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보조마개가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마개의 상단 내측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회전마개가 삽입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마개는 용기 몸체 내부의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밀폐부와, 용기 몸체 내부의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무게중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마개는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회전마개의 상부에는 손잡이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보조마개의 상단 내측면에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절첩되어 두 개의 공간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첩마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단턱부의 양 측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절첩마개의 양 측면에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에는 결합봉이 절첩마개의 양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용기에 의하면, 하나의 용기에 두 개의 독립된 공간을 조성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보관, 사용할 수 있어 하나의 제품 구입만으로도 두 가지의 내용물을 소비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이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입구를 가지는 구조이므로 마개의 이중설치가 필요하지 않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마개가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두 개의 독립된 공간을 밀폐시키는 별도의 마개 없이도 용기 안에 보관된 내용물을 따를 수 있어 단순한 구성으로 하나의 입구를 통하여 각각의 내용물을 따를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 몸체의 상단 입구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조마개를 별도로 제작하여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이중용기의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을 감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용기 몸체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즐길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 에 나타낸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10은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절첩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용기에 보조마개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2에 나타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용기 내부에 두 개의 독립된 공간을 구비하여 두 가지 종류의 내용물을 용기 하나에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고, 단순한 구성으로 하나의 입구를 통해 각각의 내용물을 따를 수 있도록 하는 이중용기(10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용기몸체(10)와, 격벽(20) 및 회전마개(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용기몸체(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중앙에 형성된 격벽(20)에 의해 두 개의 독립된 공간부(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 '제1공간부(16)', '제2공간부(18)'라 한다)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하나의 용기에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공간부(16)에는 콜라, 사이다와 같은 탄산음료를 보관하고, 제2공간부(18)에는 오렌지주스, 사과주스 등의 과일주스를 보관할 수 있고, 또한, 제1공간부(16)에는 적포도주를 보관하고 제2공간부(18)에는 백포도주를 보관하는 것과 같이 서로 다른 종류의 식음료를 하나의 용기 안에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격벽(20)은 용기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입구부(12)의 아래쪽까지만 오도록 설치되어 종래의 일반 용기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입구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공간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외부마개(50)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실시예에 따라서 격벽(20)의 높이가 약간씩 달라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전마개(30)는 입구부(12)의 내측 아래쪽 즉, 상기 격벽(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용기몸체(10)의 내측 벽면을 따라 좌,우로 회전하면서 제1공간부(16) 및 제2공간부(18)에 수용된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격벽(20)의 상단에는 돌기(22)가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회전마개(30)가 상기 돌기(22)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용기몸체(10)의 상부 내측에는 결합홈(14)이 형성되어 회전마개(3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탄낸 바와 같이, 상기 격벽(20)은 용기몸체(10)의 입구부(12)와 수평이 되도록 형성되고, 격벽(20)의 상부에는 돌기(2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전마개(30)는 상기 돌기(22)에 결합되어 용기몸체(10)의 입구부(12) 상부에 얹혀지도록 하여 입구부(12)와 외부마개(50)의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회전마개(30)의 회전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회전마개(30)는 밀폐부(32)와 개방부(34) 및 무게중심부(36)로 구성되는데, 먼저 상기 밀폐부(32)는 용기몸체(10)를 기울여 일측 공간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따를 때 타측 공간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새어 나 오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개방부(34)는 용기몸체(10) 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무게중심부(36)는 상기 개방부(34)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용기몸체(10)를 기울였을때 개방부(34)가 중력에 의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회전마개(3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공간부(16) 내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용기몸체를 제1공간부(16)측으로 기울이면 중력에 의해 무게가 많이 나가는 무게중심부(36)가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회전마개(30)가 회전하게 되고, 무게중심부(36)의 내측에 형성된 개방부(34)를 통해 제1공간부(16) 내에 수용되어 있던 음식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제2공간부(18) 내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은 밀폐부(32)에 의해 밀폐되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무게중심부(36)는 개방부(34)의 외주연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회전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보다 무거운 재질로 별도로 형성하여 개방부(34)의 외주연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마개(3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반원형의 회전마개(30') 역시 용기몸체(1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결합홈(14)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전마개(30')의 상부에는 손잡이(38)가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손잡이(38)는 사용자가 손 또는 다른 도구를 사용하여 회전마개(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공간부(16) 내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을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손잡이(38)를 회전시켜 반원형의 회전마개(30')가 제2공간부(18)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 후 용기몸체(10)를 기울이면 제1공간부(16) 내에 수용되어 있던 음식물만 외부로 배출되고, 제2공간부(18) 내에 수용되어 있던 음식물은 회전마개(30')에 의해 밀폐되어 배출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회전마개(30)(30')와 결합홈(14)의 사이에는 패킹부재가 삽입 설치되어 음식물 배출시 타측 공간부에 수용된 음식물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용기(10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중앙에 형성된 격벽(20)에 의해 두 개의 독립된 공간부, 즉 제1공간부(16)와 제2공간부(18)를 갖도록 구성된 용기몸체(1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지만, 용기몸체(10)의 상단 내측에 절첩마개(40)가 설치된 점에 차이가 있다.
즉, 용기몸체(10)의 내부를 제1공간부(16)와 제2공간부(18)로 구획하는 격벽(20)은 용기몸체(10)의 상단부 바로 아래쪽까지 형성되고, 상기 격벽(20)의 상부, 즉 용기몸체(10)의 상단 내측에는 절첩마개(40)가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절첩마개(40)는 제1 및 제2공간부(16)(18)에 수용된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격벽(20)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한 쪽이 외측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용기몸체(10)의 상단 내측면에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 이, 상기 절첩마개(40)가 안치되는 단턱부(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턱부(15)의 양 측면에는 삽입홈(17)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삽입홈(17)에는 절첩마개(4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결합봉(42)이 삽입 결합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절첩마개(40)의 중심부 외부 양측면을 관통하는 결합홀(4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44)에는 결합봉(42)이 절첩마개(40)의 양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결합봉(42)의 양 단부가 단턱부(15)의 양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7)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절첩마개(40)가 용기몸체(10)의 입구부(12) 내측에 결합됨과 동시에 결합봉(42)을 축으로 하여 일측으로 절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공간부(16)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용기몸체(10)를 제1공간부(16)측으로 기울이게 되면 제1공간부(16)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제1공간부(16)측 절첩마개(40)가 결합봉(42)을 축으로 하여 외측으로 절첩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첩마개(40')의 하면에는 격벽(20)이 삽입 결합되는 격벽 결합홈(48)이 형성되고, 절첩마개(40')의 상면에는 절첩마개(40')를 절첩시키기 위한 끼움홈(46)이 형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끼움홈(46)은 사용자가 손이나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절첩마개(40')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공간부(16)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배출시키려면 제1공간부(16)의 상부에 위치한 끼움홈(46)을 이용하여 절첩마개(40')를 외측으로 절첩시키면, 제1공간부(16)의 상부에 위치한 절첩마개(40')가 절첩되어 음식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격벽 결합홈(48)에 의해 절첩마개(40')의 중심부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어 절첩마개(40')의 양측이 용이하게 절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첩마개(40')의 양 측면에는 고정돌기(47)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47)와 대응되는 위치의 단턱부(15) 내측면에는 고정돌기(47)가 삽입되는 고정홈(19)이 형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고정돌기(47)는 제1공간부(16) 및 제2공간부(18)의 상부에 위치한 절첩마개(40')의 양 절첩부를 용기몸체(10)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절첩마개(40')를 한 번 이상 절첩하였을 경우 절첩마개(40')를 다시 닫으려고 해도 잘 닫히지 않는 경향이 있는데, 사용 후 절첩마개(40')를 위에서 눌러주기만 하면 절첩마개(40')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47)가 단턱부(15)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홈(19)에 결합되어 절첩마개(40')가 닫힌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와 같이 절첩마개(40)(40')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격벽(20)의 상단이 용기몸체(10) 입구부(12)와 수평이 되도록 하거나, 격벽(20)의 상단이 용기몸체(10)의 입구부(12) 상단으로 약간 돌출되도록 하여 절첩마개(40)(40')가 용기몸체(10)의 입구부(12) 상부에 얹혀지도록 하여 입구부(12)와 외부마개(50)의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용기(100)에는 상단이 개방되어 있는 보조마개(200)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는데, 이는 이중용기(100)에 저장된 음료 또는 주류를 판매하는 곳에서 사람들이 편리하게 이중용기(100)에 수용된 내용물을 따라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술한 실시예들은 이중용기(10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수단이 용기 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제조과정이 다소 복잡하므로, 별도의 보조마개(200)를 이중용기(100)에 설치함으로써 이러한 제조과정 및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보조마개(200)는 용기 몸체(10)의 상단 입구부(12)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필요에 따라서 외부마개(50)와 입구부(12) 사이에 설치되도록 하거나 용기 몸체(1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따라 마실 경우, 외부마개(50)를 용기 몸체(10)로부터 제거한 후 보조마개(200)를 용기 몸체(10)의 상단 입구부(12)에 결합하여 제1공간부(16) 및 제2공간부(18)에 수용된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따라 마실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조마개(200)의 상단 내측면에는 결합홈(21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14)에는 회전마개(230,230')가 삽입 결합되는데, 상기 회전마개(230,230')의 작용 및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의 회전마개(30,3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겠다.
즉, 상기 회전마개(230)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폐부(232)와 개방부(234) 및 무게중심부(236)로 구성되는데, 먼저 상기 밀폐부(232)는 용기몸체(10) 를 기울여 일측 공간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따를 때 타측 공간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개방부(234)는 용기몸체(10) 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무게중심부(236)는 상기 개방부(234)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용기몸체(10)를 기울였을때 개방부(234)가 중력에 의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회전마개(23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마개(230')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손잡이(238)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손잡이(238)는 사용자가 손 또는 다른 도구를 사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마개(2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기 보조마개(200)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마개(200)의 상단 내측면에는 단턱부(215)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215)의 상단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절첩되어 제1공간부(16) 및 제2공간부(18)에 수용된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첩마개(24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절첩마개(240) 또한 전술한 실시예의 절첩마개(40)와 작용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겠다.
즉, 상기 절첩마개(240)에는 중심부 외부 양측면을 관통하는 결합홀(24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244)에는 결합봉(242)이 절첩마개(240)의 양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결합봉(242)의 양 단부가 단턱부(215)의 양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217)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절첩마개(240)가 보조마개(200)의 상단 내측에 결합됨과 동시에 결합봉(242)을 축으로 하여 일측으로 절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원발명에 따른 이중용기(100)에 의하면 하나의 마개가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두 개의 독립된 공간을 밀폐시키는 별도의 마개 없이도 용기 안에 보관된 내용물을 따를 수 있어 단순한 구성으로 하나의 입구를 통하여 각각의 내용물을 따를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중용기 및 마개의 재질 및 형상 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중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내부에 두 개의 독립된 공간을 구비하여 두 가지 종류의 내용물을 용기 하나에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고, 단순한 구성으로 하나의 입구를 통해 각각의 내용물을 따를 수 있도록 하는 이중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0은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절첩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용기에 보조마개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4는 도 12에 나타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몸체 12 : 입구부
14, 214 : 결합홈 15, 215 : 단턱부
16 : 제1공간부 17, 217 : 삽입홈
18 : 제2공간부 20 : 격벽
22 : 돌기 30, 30', 230, 230' : 회전마개
32, 232 : 밀폐부 34, 234 : 개방부
36, 236 : 무게중심부 38, 238 : 손잡이
40, 40', 240 : 절첩마개 42, 242 : 결합봉
44, 244 : 결합홀 46 : 끼움홈
47 : 고정돌기 48 : 격벽 결합홈
50 : 외부마개 200 : 보조마개

Claims (16)

  1. 용기 몸체의 내측 중앙에 격벽을 형성하여 두 개의 독립된 공간부를 갖는 이중용기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상부에는 용기 몸체의 내측 벽면을 따라 회전하여 두 개의 공간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마개가 설치되되,
    상기 회전마개는 용기 몸체 내부의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밀폐부와, 용기 몸체 내부의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무게중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의 상부 내측에는 회전마개가 설치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용기몸체의 입구부와 수평이 되도록 형성되고, 격벽의 상부에는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전마개는 상기 돌기에 결합되어 용기몸체의 입구부와 외부마개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기.
  4. 삭제
  5. 삭제
  6. 용기 몸체의 내측 중앙에 격벽을 형성하여 두 개의 독립된 공간을 갖는 이중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의 상단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절첩되어 두 개의 공간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첩마개가 설치되고,
    상기 용기 몸체의 상단 내측면에는 절첩마개가 설치되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의 양 측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절첩마개의 양 측면에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에는 결합봉이 절첩마개의 양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용기 몸체의 내측 중앙에 격벽을 형성하여 두 개의 독립된 공간을 갖는 이중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의 상단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절첩되어 두 개의 공간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첩마개가 설치되고,
    상기 절첩마개의 하면에는 격벽이 삽입 결합되는 격벽 결합홈이 형성되며, 절첩마개의 상면에는 절첩마개를 절첩시키기 위한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첩마개의 양 측면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의 단턱부 내측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기.
  11. 용기 몸체의 내측 중앙에 격벽을 형성하여 두 개의 독립된 공간을 갖는 이중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의 상단 입구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보조마개가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보조마개의 상단 내측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는 회전마개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회전마개는 용기 몸체 내부의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밀폐부와, 용기 몸체 내부의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무게중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용기 몸체의 내측 중앙에 격벽을 형성하여 두 개의 독립된 공간을 갖는 이중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의 상단 입구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보조마개가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보조마개의 상단 내측면에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절첩되어 두 개의 공간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첩마개가 설치되고,
    상기 단턱부의 양 측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절첩마개의 양 측면에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에는 결합봉이 절첩마개의 양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기.
KR1020080060130A 2008-04-29 2008-06-25 이중용기 KR1009807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951 2008-04-29
KR20080040951 2008-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295A KR20090114295A (ko) 2009-11-03
KR100980768B1 true KR100980768B1 (ko) 2010-09-10

Family

ID=41555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130A KR100980768B1 (ko) 2008-04-29 2008-06-25 이중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7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645B1 (ko) 2010-12-28 2013-02-28 리드메디 (주) 의약용 용기
KR20190118048A (ko) * 2018-04-09 2019-10-17 (주)디자인엑스투 다기능 식용음료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260Y1 (ko) * 2015-05-22 2017-01-0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
KR102096186B1 (ko) * 2018-12-28 2020-04-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음료수병
KR102115255B1 (ko) * 2019-04-29 2020-05-26 김명섭 시각 장애우용 음료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8550A (en) 1995-10-10 1996-12-31 Pepsico, Inc. Compartmented container including closure with access to individual compartments
KR200311954Y1 (ko) 2003-02-11 2003-05-09 박남일 음료 용기
JP2005035633A (ja) 2003-07-17 2005-02-10 Art Japan Co Ltd 分割式飲料用容器
KR20070000613U (ko) * 2007-04-17 2007-05-28 김갑순 커플 음료수 페트병 및 그 내부 뚜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8550A (en) 1995-10-10 1996-12-31 Pepsico, Inc. Compartmented container including closure with access to individual compartments
KR200311954Y1 (ko) 2003-02-11 2003-05-09 박남일 음료 용기
JP2005035633A (ja) 2003-07-17 2005-02-10 Art Japan Co Ltd 分割式飲料用容器
KR20070000613U (ko) * 2007-04-17 2007-05-28 김갑순 커플 음료수 페트병 및 그 내부 뚜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645B1 (ko) 2010-12-28 2013-02-28 리드메디 (주) 의약용 용기
KR20190118048A (ko) * 2018-04-09 2019-10-17 (주)디자인엑스투 다기능 식용음료 용기
KR102086654B1 (ko) 2018-04-09 2020-03-09 (주)디자인엑스투 다기능 식용음료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295A (ko) 2009-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6888B2 (en) Multi-compartmented flowable-foodstuff storage container plus dispenser and related methods
US20080277310A1 (en) Segregated Container Packaging for Liquids
KR100980768B1 (ko) 이중용기
KR101348415B1 (ko) 2액형 음료용기
JP2008529919A (ja) 容器出口の蓋体構造
KR101424096B1 (ko) 음료 및 주류 용기
WO2002036444A1 (en) Container module and modular container formed therefrom
EP0117948A1 (en) Container for beverages
KR101376289B1 (ko) 혼합음료제조키트
JP2006321540A (ja) 飲料用ボトル
JP3055120B2 (ja) 詰替式容器
JP2019051955A (ja) 多種類の材料を収容し混合可能な飲料瓶
KR200311954Y1 (ko) 음료 용기
KR200491426Y1 (ko) 테이크아웃 용기
KR200250614Y1 (ko) 이중용기
JP3048228U (ja) 液体容器
KR200315702Y1 (ko) 음료용기의 마개
KR200294628Y1 (ko) 용기
KR200233642Y1 (ko) 음료 및 각종 양념용 용기
KR200244222Y1 (ko) 액체용기
KR200295520Y1 (ko) 마개조립체
US20160207668A1 (en) Container
TWI746629B (zh) 可供多種物料容納、混合之飲料瓶
JPH07187167A (ja) 飲食物用容器
KR20220089134A (ko)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