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614Y1 - 이중용기 - Google Patents

이중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614Y1
KR200250614Y1 KR2020010020913U KR20010020913U KR200250614Y1 KR 200250614 Y1 KR200250614 Y1 KR 200250614Y1 KR 2020010020913 U KR2020010020913 U KR 2020010020913U KR 20010020913 U KR20010020913 U KR 20010020913U KR 200250614 Y1 KR200250614 Y1 KR 2002506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beverage
partition
bever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9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병
Original Assignee
이완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병 filed Critical 이완병
Priority to KR20200100209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6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6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61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 등을 담아 야외로 외출 시에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음료 용기를 격벽을 성형하여 둘로 나누어진 이중용기로 구성한 것으로서,
이의 용기(1) 내에 담겨진 서로 각각의 다른 음료를 배출구(5,5')의 상측에 단일 두껑(6)을 끼움 시켜서 격벽(2)으로 나누어잔 일측의 음료를 배출구(5)로 부터 음료를 마실때 하나의 두껑(6)으로 각각의 용기(1)에 담겨진 음료를 마시거나 다른 그릇에 담을 때는 일측의 두껑(6)을 열고 또 다른 타측의 두껑(6)은 손으로 고정시켜서 두껑(6)의 완전 개방 없이 각각의 음료를 인출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두 음료가 섞이지 않토록 격벽(2)이 형성되고 이의 두껑(6)으로 고정시켜 마개(4)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용기{Doubele a vessel a case}
본 고안은 내용물 등을 담아 휴대하거나 각각의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로 외출 및 놀러 가거나 하여 음료 시설이 없는 장소에서음료수 등을 별도로 준비하여 음료수통에 담겨진 음료수는 필요에 따라 단일 두껑에 있어서 일측 두껑을 개방하고 이의 타측의 두껑은 손으로 잡고 개방된 부위를 통하여 산기 음료 등을 인출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종래에는 단일 내용물을 담은 용기와 또 다른 용기에 내용물을 사용할 시에 두 개의 용기를 재 각기 구입하여 사용 하였으므로 소비자의 부담과 또한 음료용기의 부피와 무게로 인해 상당히 불편한 점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음료수를 담아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내에 격벽을 형성하여 이중으로 구성하고 이 용기의 상부에는 하나의 독립적인 두껑은 둘로 나누어진 하나의 두껑으로 각각의 용기에 담겨진 음료를 마시거나 다른 그릇에 담을 때는 일측의 두껑을 열고 또 다른 타측의 두껑은 손으로 고정시켜서 두껑의 완전 개방 없이 각각의 음료를 인출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인 바,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용기 2; 격벽
3,3'; 공실 4; 마개
5,5'; 배출구 6; 두껑
음료수를 담는 용기(1)에 격벽(2)을 형성시켜 공실(3,3')을 구성하고 이의 공실(3,3')에는 각기 다른 음료를 매입하고 공실(3,3')의 상부에 위치한 각각의 배출구(5,5')를 구성하고 이의 상부에는 하나의 두껑(6)을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으로두껑(6)을 끼움고정 시키고, 이 두껑의 상부에는 마개(4)를 설치하도록 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용기(1)의 내부에는 격벽(2)을 형성시켜 격벽(2)의 상기 내부에 격벽(2)의 사이에는 공실(3,3')이 형성되어 그 내부로 각기 다른 음료를 매입하여 상기의 용기를 휴대하여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용기내의 음료를 인출하고져 할 때는 용기(1)의 상부에 위치한 하나의 독립적인 두껑(6)은 둘로 나누어진 각각의 단일 두껑에(6) 있어서 일측 두껑(6)을 개방하고 이의 타측의 두껑(6)은 손으로 잡고 일측의 개방 된 배출구(5,5') 부위를 통하여 음료가 인출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용기(1)의 내부에는 격벽(2)을 형성하여, 공실(3,3')을 구성한 이의 용기(1)는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각기 다른 음료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음료 용기 보다 강도 면에서도 강하기 때문에 용기를 보호할 수 있고 또, 상기 용기(1)의 상부에 위치한 하나의 독립적인 두껑(6)은 둘로 나누어진 각각의 단일 두껑에(6) 있어서 일측 두껑(6)을 개방하고 이의 타측의 두껑(6)은 손으로 잡고 개방 된 부위를 통하여 음료 등의 인출이 용이하며 상기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점 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2)

  1. 용기(1)의 내측 중앙에는 격벽(2)를 형성하여 각각의 공실(3,3') 상부에 위치한 배출구(5,5')를 형성 시킨 이중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용기(1)의 내측 중앙에는 격벽(2)를 형성하여 각각의 배출구(5,5')의 상부에 위치한 하나의 두껑(6)이 둘로 나누어진 독립적인 두껑(6)을 개재시킨 이중용기.
KR2020010020913U 2001-07-11 2001-07-11 이중용기 KR2002506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913U KR200250614Y1 (ko) 2001-07-11 2001-07-11 이중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913U KR200250614Y1 (ko) 2001-07-11 2001-07-11 이중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614Y1 true KR200250614Y1 (ko) 2001-10-19

Family

ID=7306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913U KR200250614Y1 (ko) 2001-07-11 2001-07-11 이중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61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322A (ko) * 2002-05-01 2002-05-18 황영호 다중 분할 용기
WO2010062118A2 (ko) * 2008-11-26 2010-06-03 Kim Dong Seok 분리형 음료수병
KR20170003840U (ko) 2016-04-29 2017-11-09 동아정밀공업(주) 이중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322A (ko) * 2002-05-01 2002-05-18 황영호 다중 분할 용기
WO2010062118A2 (ko) * 2008-11-26 2010-06-03 Kim Dong Seok 분리형 음료수병
WO2010062118A3 (ko) * 2008-11-26 2010-08-05 Kim Dong Seok 분리형 음료수병
KR20170003840U (ko) 2016-04-29 2017-11-09 동아정밀공업(주) 이중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78713A1 (en) Stackable container system
US5743423A (en) Snap-on package
MXPA04005893A (es) Dispositivo de envasado complejo.
US5332112A (en) Partitioned bottle
KR200250614Y1 (ko) 이중용기
KR100980768B1 (ko) 이중용기
US20030029867A1 (en) Partitioned cooler
KR200203751Y1 (ko)
GB2315057A (en) Two compartment drinks container
WO2006027234A1 (en) High-functionality beverage can
JP2006111268A (ja) 容器
KR200268257Y1 (ko) 페트병
KR200233642Y1 (ko) 음료 및 각종 양념용 용기
KR200230333Y1 (ko) 이중용기
KR200452054Y1 (ko) 2종 액체 개별 수납 및 혼합 용기
KR200195527Y1 (ko)
KR200282170Y1 (ko) 쌍둥이 음료수 용기
KR200398052Y1 (ko) 복수의 음료 저장 공간을 갖는 음료수 병
JPH07187167A (ja) 飲食物用容器
KR200284872Y1 (ko) 이중 유출구를 갖는 음료용기
CN208102787U (zh) 周转箱
KR200200551Y1 (ko) 병 뚜껑이 달린 용기
KR200244222Y1 (ko) 액체용기
KR200187691Y1 (ko) 음료수 캔
KR200171262Y1 (ko) 복수의 내용물을 저장하는 다실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