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225Y1 - 과대 포장 방지용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과대 포장 방지용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225Y1
KR200464225Y1 KR2020100004024U KR20100004024U KR200464225Y1 KR 200464225 Y1 KR200464225 Y1 KR 200464225Y1 KR 2020100004024 U KR2020100004024 U KR 2020100004024U KR 20100004024 U KR20100004024 U KR 20100004024U KR 200464225 Y1 KR200464225 Y1 KR 2004642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container
base
base container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0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032U (ko
Inventor
윤권선
윤태웅
윤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윤태우
윤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윤태우, 윤태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1000040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225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0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0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2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2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5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edicinal tablets or 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알약이나 캡슐 등의 포장 내용물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과대 포방지용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과대 포장방지용 포장용기(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방으로 개방된 형태의 베이스 용기(100)와; 상기 베이스 용기의 개방단(110)에 대해 결합수단(300)을 통해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고 동시에 일방으로 개방된 내부로는 포장 내용물(1)이 담겨 짐과 동시에 포장용량을 달리하는 크기를 갖는 수납용기(200);로 구성하여 기본이 되는 하나의 베이스 용기에 대하여 포장용량에 맞추어 다양한 용량 크기로 제작된 수납용기를 상호 결합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용량의 포장을 매우 효율적이면서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과대 포장 방지용 포장용기{Package courage for exaggeration package prevention}
본 고안은 알약이나 캡슐 등의 포장 내용물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본이 되는 하나의 베이스 용기에 대하여 포장용량에 맞추어 다양한 용량 크기로 제작된 수납용기를 상호 결합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용량의 포장을 매우 효율적이면서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과대 포장 방지용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약과 같은 포장 내용물을 포장하는 경우에는 포장량에 따른 각각의 포장용기가 갖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왜냐하면, 포장량이 포장 내용물의 성분이나 약효, 포장 내용물의 크기 등 여러 가지 사정을 감안하여 적정한 용량으로 포장을 해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해당 포장 용량에 맞는 각각의 포장용기를 갖추어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각각의 포장용기 제작에 따른 비용이나 관리를 비롯하여 해당 용량의 크기에 맞는 포장라인 구성 등 여러 가지 사정에 의해 이를 모두 갖춘 상태에서 포장하기란 현실적으로 매우 불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대략적으로 포장용기를 대.중.소로 구분하여 제작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가장 작은 크기의 포장용기라 하더라도 용기 외주면에 대한 라벨 부착 작업 등을 고려하여 그 크기를 무한정 작게 할 수는 없고, 최소한의 용량 크기는 가져야 한다.
사정이 이러하다 보니, 현재 각 제약업계에서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맞추어 포장 내용물을 다양한 크기의 포장용기를 이용하여 포장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과대 포장이 되는 경우가 많다. 즉, 소량의 포장 내용물을 포장하는 경우, 사전에 제작된 포장용기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해당 포장 내용물의 용량에 근접한 포장용기를 찾아 포장하더라도 포장 내용물에 비추어 포장용기가 클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점은 결국 포장량에 비추어 포장용기가 크게 됨에 따라 과대 포장을 유발하게 되고, 이러한 과대 포장은 내부에 포장 내용물을 포장하고 남는 공간을 많이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공간은 결국 포장용기의 취급시 포장 내용물의 훼손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상기한 과대 포장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포장 내용물이 과다하게 포장되는 경우 포장용기의 내부 공간에 충진물, 예컨대 수축필름 등을 충진하여 포장 내용물의 유동을 방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포장 작업의 불편함이나 번거로움을 가져오게 되고, 포장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로 이어지게 되며, 포장 용량에 비하여 과도하게 큰 포장용기를 사용함에 따른 단위 면적당 포장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낳고 있어, 현재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베이스 용기에 대하여 다양한 포장용량 크기를 갖는 수납용기를 선택적으로 결합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일정한 포장 용량 범위 내에서 포장 내용물의 용량에 적합한 포장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기존의 포장 작업 라인의 증설이나 교체를 하지 않고서도 라벨 작업이 가능하면서도 포장 내용물의 포장 작업이 얼마든지 가능할 뿐 아니라 포장 보조재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포장 내용물의 과대 포장을 방지하면서도 매우 효율적으로 포장할 수 있도록 한 과대 포장방지용 포장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과대 포장방지용 포장용기는, 과대 포장 방지용 포장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과대 포장 방지용 포장용기는, 일방으로 개방된 형태의 베이스 용기와, 상기 베이스 용기의 개방단에 대해 결합수단을 통해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지지 됨과 동시에 일방으로 개방된 내부로는 포장 내용물이 담겨지는 수납용기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수납용기는 이에 담겨지는 포장 내용물의 포장용량에 맞추어 각기 다른 크기로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 용기에 선택적으로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납용기에는 상기 베이스 용기의 개방단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일방으로 개방된 관체 형태의 텐션 지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용기에 결합되는 수납용기는, 베이스 용기의 개방단 상면에 안착지지 되도록 텐션 지지편에 형성된 플렌지와 결합돌기 및 상기 베이스 용기의 개방단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요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탄성적으로 결합 고정된 점에 그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포장용기로는, 베이스 용기의 개방단 내주면으로 형성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에 상호 걸림 조작되도록 텐션 지지편에 대응 형성된 걸림돌조부로 이루어진 겉돔방지수단을 더 구비하여 안전마개의 개폐 조작시 수납용기가 베이스 용기로부터 겉도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고안에 따르면, 일정한 크기를 갖는 베이스 용기의 내부에 대하여 다양한 크기의 포장용량을 갖는 수납용기를 상호 결합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포장라인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베이스용기에 대한 라벨 작업 등이 가능함은 물론 포장 내용물의 포장 용량에 맞는 수납용기를 선택하여 포장함으로써 포장 내용물의 과대 포장을 방지할 수 있고, 불필요한 충진물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수납용기의 공간을 최소화하여 보다 안정되고 효율적인 포장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르면, 베이스 용기와 수납용기의 결합 후 발생되는 베이스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는 상품의 각종 이력이 저장된 전자태그(RFID Tag)를 집어넣어 사용할 수도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의 분리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 측 단면도이다.
도 3a, 도 3b, 도 3c는 도 2의 조립 측 단면도로서, 수납용기의 포장용량 크기를 각각 달리하여 도시한 조립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4a의 A-A선 내의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a의 "가"부 확대 발췌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과대 포장방지용 포장용기(10)는, 일방으로 개방된 형태의 베이스 용기(100)와; 상기 베이스 용기의 개방단에 대해 결합수단(300)을 통해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고 동시에 일방으로 개방된 내부로는 포장 내용물(1)이 담겨 짐과 동시에 포장용량을 달리하는 크기를 갖는 수납용기(20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용기(100) 및 수납용기(200)는 포장 내용물의 용도에 맞는 소재를 이용하여 사출성형방식으로 생산되어 지기 때문에 다량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 용기(100)의 내부로 결합되는 수납용기(200)는 포장 내용물(1)의 용량에 맞추어 그 용량을 달리하는 크기를 갖도록 사전에 제작된다. 예컨대 도 3a, 도 3b, 도 3c와 같이 포장용량을 각각 다르게(L1,L2,L3) 형성하여 상기 하나의 베이스 용기(100)에 결합 사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수납용기(200)의 포장용량을 각각 다르게 하고, 이를 포장 내용물의 포장용량에 맞는 수납용기(200)가 베이스 용기(100)에 결합된 포장용기(10)를 선택하여 포장함으로써 최소의 포장 공간을 통해 포장 내용물의 포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과대 포장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용기(100)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나, 종래 포장용기의 포장 라인을 그대로 이용하여 포장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고려하여 사전에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포장용기(10)를 구성함으로써 종래 포장 라인을 그대로 이용하여 베이스 용기(100)에 대한 인쇄나 라벨 작업이 가능함과 동시에 그 내부로 결합되어진 수납용기(200)에 대한 포장 내용물의 적정한 포장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새로운 포장용기의 개발 사용에 따른 포장라인의 증설이나 교체 없이 포장 작업을 그대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필요한 비용의 지출을 최소로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결합수단(300)은,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용기(100)의 개방단 (110)내주면으로 형성되는 결합 요홈(120)과, 상기 베이스 용기의 개방단(110) 내주면으로 삽설되도록 상기 수납용기(200)의 외측으로 구비된 텐션 지지편(210)과, 상기 텐션 지지편으로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용기(100)의 개방단(110) 상면에 안착 지지되는 플렌지(220)와, 상기 결합요홈에 상호 끼워 맞춤되는 결합돌기(23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포장용기(10)는 안전마개 개폐시 수납용기가 베이스 용기로부터 겉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겉돔방지수단(400)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겉돔방지수단(400)은, 베이스 용기(100)의 개방단 (110) 내주면으로 형성되는 걸림요홈부(130) 및 상기 베이스 용기(100)의 걸림요홈부(130)에 상호 걸림 조작되도록 텐션 지지편(210)에 대응 형성된 걸림돌조부(24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걸림요홈부(130)와 걸림돌조부(2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 지지편(210)의 텐션 지지력에 의해 상호 걸림 조작되는 것으로서, 베이스 용기(100)의 내주면 둘레 또는 텐션 지지편(210)의 외주면 둘레 전체에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부분적으로 분할 형성되어 질 수도 있고, 또한 그 형태 역시 요철 형상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상호 걸림되는 구조라면 특정의 형태에 구애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베이스 용기(100)에 대하여 수납용기(200)를 상기한 결합수단(300) 구조에 의해 일체로 조립 사용될 수도 있으나, 필요한 경우 상기 베이스 용기(100)에 대하여 수납용기(200)를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텐션 지지편(210)으로 형성된 플렌지(220)와 베이스 용기(100)의 개방단(110) 상면을 서로 고주파 접착에 의해 일체로 접합함으로써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납용기(200)를 베이스 용기(100)에 대하여 결합수단(300)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조립함은, 필요한 경우 예컨대, 수납용기(200)의 파손이나 훼손으로 인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주파 접합을 통해 일체로 분리가 불가능하게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수납용기(200)의 교체 분리는 불가능하더라도 베이스 용기의 개방단(110) 상면에 안착되는 텐션 지지편(210)의 플렌지(220) 와의 사이로는 틈새가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되어 상품의 유통 과정에서 습기의 유입이나 충격에 의한 수납용기의 분리 등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베이스 용기의 개방단(110) 상면과 플렌지(220)를 고주파로 접합하는 경우,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용기(100)와 수납용기(200)의 결합시 발생되는 내부공간(500)으로 상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 예컨대 전자태그(600)를 집어넣어 사용하더라도 안정된 수납 보관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상 미설명 부호 250은 수납용기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 나사부이며, 700은 상기 수납용기의 체결 나사부에 결합되는 안전마개이며, 710은 안전마개의 내부에 조립되어 포장 내용물에 대한 인습을 위한 건조제, 예컨대 실리카겔이 내장된 건조제 용기를 나타낸다. 상기 안전마개나 건조제 용기 구조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포장용기(10)는, 하나의 베이스 용기(100)에 대하여 포장용량을 달리하는 수납용기(200)를 선택적으로 결합 사용하도록 함으로서, 포장 내용물의 포장량에 맞추어 포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베이스 용기에 대한 수납용기의 결합은 수납용기(200)의 텐션 지지편(210)을 베이스 용기(100)의 개방단(110)을 통해 밀어 끼우면, 상기 텐션 지지편에 형성된 플렌지(220)가 개방단(110) 상면에 압착 지지 됨과 동시에 결합돌기(230)가 결합요홈(120)에 상호 탄력적으로 결합 고정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한 텐션 지지편(210)의 텐션력 지지력에 의해 결합돌기(230)가 결합요홈(120)에 단단히 결합된 수납용기(200)는 일부러 빼내지 않는 이상 베이스 용기(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플렌지(220)와 베이스 용기(100)의 개방단(110) 상면을 서로 고주파로 접합하는 경우에는 아예 분리가 되지않게 된다.
한편, 수납용기(200)에 수납된 포장 내용물을 꺼집어 내어 사용하기 위하여 나사 결합된 안전마개(700)를 강제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베이스 용기(100) 및 수납용기(200)에 대응 형성된 겉돔 방지수단(400)인 걸림요홈부(130)와 걸림돌조부(240)의 결합 구성에 의해 상호 겉도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마개(700)의 분리에 따른 수납용기(200)의 겉돔이 방지되어 안전마개의 분리 및 체결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수납용기의 겉돔은, 플렌지(220)와 베이스 용기(100)의 개방단(110) 상면이 서로 고주파로 접합되어 지는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다.
이와 같이 조립 구성되는 본 고안의 포장용기(10)를 이용하여 포장 내용물을 포장함으로써 포장 내용물의 과대 포장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그만큼 이용 효율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10)는 제약회사에서 알약이나 캡슐 형태 등의 내용물을 포장함에 따른 과대 포장을 방지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개발되었으나, 필요한 경우 이와 유사한 내용물을 포장하는 업계에서도 얼마든지 사용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1: 포장 내용물 10: 포장용기
100: 베이스용기 110: 개방단
120: 결합요홈 130: 걸림 요홈부
200: 수납용기 210: 텐션 지지편
220: 플렌지 230: 결합돌기
240: 걸림돌조부 300: 결합수단
400: 겉돔방지수단 700: 안전마개

Claims (5)

  1. 과대 포장 방지용 포장용기(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과대 포장 방지용 포장용기(10)는, 일방으로 개방된 형태의 베이스 용기(100)와, 상기 베이스 용기의 개방단(110)에 대해 결합수단(300)을 통해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지지 됨과 동시에 일방으로 개방된 내부로는 포장 내용물(1)이 담겨지는 수납용기(20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수납용기(200)는 이에 담겨지는 포장 내용물(1)의 포장용량에 맞추어 각기 다른 크기로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 용기(100)에 선택적으로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납용기(200)에는 상기 베이스 용기의 개방단(110)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일방으로 개방된 관체 형태의 텐션 지지편(210)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용기(100)에 결합되는 수납용기(200)는, 베이스 용기의 개방단(110) 상면에 안착지지 되도록 텐션 지지편(210)에 형성된 플렌지(220)와 결합돌기(230) 및 상기 베이스 용기의 개방단(110)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요홈(120)을 포함여 구성되는 결합수단(300)에 의해 상호 탄성적으로 결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대포장방지용 포장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10)로는, 베이스 용기(100)의 개방단(110) 내주면으로 형성되는 걸림부(130) 및 상기 걸림부에 상호 걸림 조작되도록 텐션 지지편(210)에 대응 형성된 걸림돌조부(240)로 이루어진 겉돔방지수단(400)을 더 구비하여 안전마개(700)의 개폐 조작시 수납용기(200)가 베이스 용기(100)로부터 겉도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대포장 방지용 포장용기
  5. 삭제
KR2020100004024U 2010-04-16 2010-04-16 과대 포장 방지용 포장용기 KR2004642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024U KR200464225Y1 (ko) 2010-04-16 2010-04-16 과대 포장 방지용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024U KR200464225Y1 (ko) 2010-04-16 2010-04-16 과대 포장 방지용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032U KR20110010032U (ko) 2011-10-24
KR200464225Y1 true KR200464225Y1 (ko) 2012-12-18

Family

ID=7288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024U KR200464225Y1 (ko) 2010-04-16 2010-04-16 과대 포장 방지용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2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032U (ko) 2011-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62082B (zh) 用于医疗容器的包装件
US8887905B2 (en) Plastic closure having a capsule for dispensing active ingredients
RU2524897C2 (ru) Контейнер с двумя противостоящими крышками
EP2627300B1 (en) Desiccant container
US20040182740A1 (en) Tray for packaging of an article
US20110062176A1 (en) Closure cap for a container
KR20150138156A (ko) 어린이-안전형 포장 및 압출가능 튜브의 조합체 및 그 이용 방법
KR200484205Y1 (ko) 계란 포장 용기
KR200464225Y1 (ko) 과대 포장 방지용 포장용기
CN111448148B (zh) 用于容器的可膨胀二级包装
KR101136989B1 (ko) 박스 보호대
KR20090063427A (ko) 티백 포장용 용기
KR101972392B1 (ko) 배출부 커버부를 구비한 포장재
KR20080004312U (ko) 제품용기 포장상자
CN201058716Y (zh) 具有双层盖的包装盒
KR101255677B1 (ko) 전시용 포장박스의 포장방법
KR200312186Y1 (ko) 지관 포장재
JP2001180636A (ja) 超薄肉プラスチック製液体容器の搬送システム
KR200456925Y1 (ko) 팩키지 캐리어
KR20080107746A (ko) 드럼통용 봉인마개
ITMI20060566A1 (it) Contenitore di protezione e trasporto di bottiglie
JP2004275640A (ja) リフィル皿用保護容器
KR20190000453U (ko) 음료용기의 유통기한을 보여지도록 하면서도 운반하기 용이한 포장박스
KR20100128625A (ko) 포장재 어셈블리
JP2005289459A (ja) 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