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324B1 - 스탬핑 장치 - Google Patents

스탬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324B1
KR101238324B1 KR1020100128529A KR20100128529A KR101238324B1 KR 101238324 B1 KR101238324 B1 KR 101238324B1 KR 1020100128529 A KR1020100128529 A KR 1020100128529A KR 20100128529 A KR20100128529 A KR 20100128529A KR 101238324 B1 KR101238324 B1 KR 101238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oller
rotating body
opening
c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4095A (ko
Inventor
준 우시지마
Original Assignee
프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프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4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22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with curved stamping surfaces for stamping by rolling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22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with curved stamping surfaces for stamping by rolling contact
    • B41K1/24Rocking st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3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36Details
    • B41K1/38Inking devices; Stamping surfaces
    • B41K1/50Stamping surfaces impregnated with ink, or made of material leaving a mark after stamping contact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Sealing Device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과제] 롤러 스탬프에 있어서 사용시와 비사용시의 스위칭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비사용시에 있어서는 잘못하여 인면이 노출되어버리는 사태를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롤러의 압출 동작에 의해 롤러를 케이스의 개구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인면의 커버가 회전되어 인면이 개구에 있어서 노출된다. 따라서, 롤러 스탬프의 사용시와 비사용시의 스위칭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는 롤러가 압출되기 전에는 인면의 개구측을 덮고 있으므로 롤러 스탬프의 비사용시에 잘못하여 인면이 노출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탬핑 장치{STAMPING DEVICE}
본 발명은 회전체에 의해 피전사면에 대하여 인자(印字)하는 것이 가능한 스탬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스탬핑 장치의 비사용시에 있어서 회전체의 인면(印面)을 덮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전체를 종이 등의 피전사체에 압박하면서 회전시켜 그 피전사체에 인자하는 롤러 스탬프가 있었다. 이 롤러 스탬프는 외주에 인면을 갖는 대략 원기둥 또는 대략 원통 형상의 회전체, 및 그 회전체를 축지지(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수용하는 수용체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체 및 수용체 중 어느 한쪽에는 베어링이 설치되고, 대향하는 다른쪽에는 그 베어링에 지지되는 축부가 설치된다. 롤러 스탬프의 조작자는 이 수용체를 유지하면서 회전체를 압박함과 아울러 회전시켜 피전사체에 대하여 인자 조작을 행한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롤러 스탬프는 수용체로부터 회전체의 인면이 적어도 일부 노출되어 있지 않으면 피전사체에 대하여 인자를 행할 수 없다. 따라서, 수용체는 그 수용체의 유지부에 대한 반대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자는 유지부를 유지하여 개구부로부터 일부 노출된 회전체의 인면을 피전사체에 압박한다.
단, 롤러 스탬프는 비사용시에 어느 하나의 장소에 적재되게 된다. 이 비사용시에 있어서 인면이 노출된 상태가 되어 있으면 적재된 장소나 롤러 스탬프의 부근에 있는 것 등이 더럽혀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종래의 롤러 스탬프는 수용부의 개구부측에 덮개가 설치되어 있었다. 실질적으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롤러 스탬프는 수용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덮개를 구비하고 있다. 이 덮개는 회전체의 인면보다 외측에서 회전된다. 즉, 이 덮개는 회전됨으로써 수용부의 개구부측과 그 반대측이 되는 유지부측의 위치 사이에서 위치를 스위칭할 수 있다.
덮개는 수용부의 유지부측에 위치될 때 수용부와 회전체에 끼워진 상태가 되고 수용부의 개구부측이 개방되어 인자가 가능해진다. 이것에 대해, 덮개가 개구부 측에 위치될 때 회전체의 노출된 인면은 덮인 상태가 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롤러 스탬프는 덮개의 분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90577호 공보
특허문헌 1을 비롯한 종래의 롤러 스탬프는 비사용시에 있어서 덮개가 노출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롤러 스탬프를 비사용 상태로 한 후 어느 하나의 장소에 적재 또는 수용하고 있었다고 하여도 덮개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충격이나 특정 방향으로부터의 힘이 가해진 경우 덮개가 개방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롤러 스탬프가 가방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롤러 스탬프의 덮개에 접촉하고 있는 것이 이동되어 롤러 스탬프의 덮개를 개방시켜 버리는 상황이 상정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롤러 스탬프에 있어서도 잘못하여 덮개가 개방되는 사태를 회피하려고 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도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롤러 스탬프에 있어서도 의도와 반대로 덮개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덮개의 단부에 작은 돌기(특허문헌 1의 부호 16)를 형성하고 있다. 이 돌기는 인면을 막고 있을 때 수용부의 개구부측 단부에 접하고 있어 잘못하여 덮개가 개방되어 버리는 사태를 방지하는 의도로 형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의 덮개는 사용시에 개방되는 것이며, 적어도 조작자가 용이하게 개방할 수 없으면 롤러 스탬프로서 사용하기 어려운 것이 되어 버린다. 이것에 대하여, 덮개를 용이하게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 잘못하여 덮개가 개방되어 버릴 우려가 높아진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의 롤러 스탬프는 그 구조상 2개의 배반되는 과제가 있고, 쌍방을 해결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롤러 스탬프(스탬핑 장치)에 있어서 사용시와 비사용시의 스위칭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비사용시에 있어서는 잘못하여 인면이 노출되어 버리는 사태를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외주에 인면이 형성된 회전체, 상기 인면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개구부를 갖고 상기 회전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회전체를 그 축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인면의 일부가 상기 개구부측에 면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기 회전체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인면의 상기 개구부에 면하는 부분을 덮는 커버 부재, 상기 회전체가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상기 개구부측으로 압출됨으로써 상기 인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개구부로부터 돌출시키는 압출부, 상기 개구부와 반대측에 상기 압출부를 바이어싱(biasing)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압출부에 의해 상기 회전체가 압출되었을 때 그 압출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연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측을 향하여 회전되어 상기 인면의 상기 개구부측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핑 장치이다.
<발명의 효과>
상기 청구항 1에 의한 스탬핑 장치에 의하면 압출 동작에 의해 회전체를 개구부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인면의 커버가 회전되어 인면이 개구부에 있어서 노출된다. 따라서, 스탬핑 장치의 사용시 비사용시의 스위칭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는 회전체가 압출되기 전에는 인면의 개구부측을 덮고 있으므로 스탬핑 장치의 비사용시에 잘못하여 인면이 노출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의 수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의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의 수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의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2(a)에 있어서의 롤러 스탬프의 개략 A-A 단면도, 도 3(b)는 도 2(b)에 있어서의 롤러 스탬프의 개략 B-B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에 있어서 수납시의 내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에 있어서 노크(knock) 도중의 내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에 있어서 사용시의 내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의 캠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의 캠을 케이스의 개구부측으로부터 본 개략 저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의 스프링 로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의 스프링 로드를 케이스의 개구부측으로부터 본 개략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에 있어서의 각 부의 구성 및 각 부의 접속 관계의 개요를 나타내는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의 노브(knob)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7(b)는 도 7(a)에 있어서의 노브의 C-C 부분의 구성을 포함하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의 캠 케이스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의 캠 케이스를 케이스의 개구부측으로부터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의 캠 케이스의 내부 구성을 포함하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에 있어서의 커버의 측판 및 네일(nail)부와 롤러 유지 프레임의 오목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에 있어서 수납시의 내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절단 단부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에 있어서 노크 도중의 내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절단 단부면도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에 있어서 사용시의 내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절단 단부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에 있어서 도 3(a)의 상태와 도 3(b)의 상태 사이에 있어서의 노크 도중의 내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3(b)는 도 13(a)에 있어서의 상태를 측방으로부터 볼 경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에 있어서 제 1 케이스 부재의 록(lock)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14(b)는 도 14(a)의 상태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절단 단부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에 있어서 제 2 케이스 부재의 돌출부가 캠 케이스의 돌기에 록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에 있어서 돌출부와 돌기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6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에 있어서 돌출부와 돌기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어 가는 동작의 개략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에 있어서 돌출부와 돌기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어 가는 동작의 개략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6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에 있어서 돌출부와 돌기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어 가는 동작의 개략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에 있어서 제 2 케이스 부재가 개방되어 교환가능해진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절단 단부면도, 도 17(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에 있어서 카트리지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절단 단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해서 도 1 ~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의 전체 구성의 개략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의 수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의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의 수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의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롤러 스탬프(100)는 본 발명에 의한 「스탬핑 장치」의 일례에 해당한다. 록(lock)(102)은 본 발명에 의한 「록킹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가이드(103), 프레임(120) 및 캐처(catcher)(12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 「연동 기구」의 일례에 해당한다. 노크 기구(110)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출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스프링(112), 스프링(117)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 부재」의 일례에 해당한다. 롤러(200)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체」의 일례에 해당한다.
이 실시형태의 롤러 스탬프(100)는 소위 롤러 스탬프이며, 롤러의 인면(215)[도 1(b) 참조]을 지엽류 등의 피전사체에 압박하면서 회전시켜 그 피전사체에 인자하는 것이다. 여기서, 인자되는 내용은 임의의 문자열이나 도형, 기호 등이어도 좋고 또한 피전사면에 인쇄된 내용을 시인 불가능하게 한 시큐리티 스탬프여도 좋다. 또한, 시큐리티 스탬프란 인쇄 내용을 시인 불가능하게 하도록, 예를 들면 의미를 이루지 않는 문자열, 기호 또는 도형 중 어느 1종 또는 복수종의 조합을 소정의 밀도로 인면에 형성한 것이다.
또한, 롤러 스탬프(100)에 있어서의 롤러(200)에는 잉크가 함침되어 있다. 즉, 인면(215)이 피전사체에 압박되면 이 함침 잉크가 배어 나와서 인면(215)에 형성된 문자열, 기호 또는 도형이 피전사체에 전사되어 인자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 스탬프(100)는 피전사면에 인자하는 인면(215)이 형성된 롤러(200), 일단에 개구부(105)가 형성되어 그 롤러(200)를 수용하는 동시에 지지하는 케이스(101), 및 롤러(200)의 압출 조작을 행하기 위한 노크 기구(110)를 가지고 구성된다. 또한, 케이스(101)는 제 1 케이스 부재(101a)와 제 2 케이스 부재(101c)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제 2 케이스 부재(101c)는 케이스(101)의 개구부(105)측의 단부에 있어서 제 1 케이스 부재(101a)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도 2(a)의 X1 방향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 부재(101c)는 제 1 케이스 부재(101a)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다. 또한, 제 2 케이스 부재(101c)가 제 1 케이스 부재(101a)에 대하여 이격되는 방향에 대해서는 이하 간단히 「X1 방향」으로 기재할 것이다.
또한,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1)에 있어서 제 1 케이스 부재(101a)와 제 2 케이스 부재(101c)는 제 2 케이스 부재(101c)의 회동축과 반대측, 즉 노크 기구(110)측에 있어서 록(102)을 통하여 록킹되어 있다. 이 록(102)은 제 1 케이스 부재(101a)와 제 2 케이스 부재(101c)가 가장 근접한 상태에서 고정됨으로써 케이스(101)의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록(102)은 해제가능하다.
또한, 「제 2 케이스 부재(101c)의 회동축측」, 「개구부(105)측」에 대해서는 이하 간단히 「하단측」으로 기재할 것이다. 또한, 그 하단측과 반대측, 즉 노크 기구(110)(도 3 참조)측에 대해서는 이하 간단히 「상단측」으로 기재할 것이다. 또한, 롤러 스탬프(100)에 있어서의 상단측과 하단측 사이의 면에 대해서는 이하 간단히 「측면」으로 기재할 것이다. 여기서, 「상단」, 「하단」으로 기재하는 것은 설명의 편의상이며, 반드시 롤러 스탬프(100)의 실제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또한, 롤러 스탬프(100)는 노크 기구(110)를 개구부(105)측으로 압하(押下)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해 그 압하 조작이 이루어지면, 도 1(b)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1)에 수용된 롤러(200)가 개구부(105)측으로 압출되어 롤러(200)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부(105)로부터 돌출되고 인면(215)이 케이스(101) 외부로 노출된다.
(노크 기구의 구성 및 압하 동작의 개략)
이어서, 도 3 ~ 도 5를 참조하여 롤러 스탬프(100)의 노크 기구(110)의 구조의 개요 및 각 부의 동작과 함께 롤러(200)의 압하 동작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a)는 도 2(a)에 있어서의 롤러 스탬프(100)의 개략 A-A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b)에 있어서의 롤러 스탬프(100)의 개략 B-B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에 있어서 수납시의 내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에 있어서 노크 도중의 내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에 있어서 사용시의 내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의 캠(116)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의 캠(116)을 케이스(101)의 개구부(105)측으로부터 본 개략 저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의 스프링 로드(119)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의 스프링 로드(119)를 케이스(101)의 개구부(105)측으로부터 본 개략 저면도이다.
〔노크 기구의 개요〕
우선, 롤러 스탬프(100)의 노크 기구(110)에 관한 개요를 설명한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 부재(101a)의 상단측에는 노브(111)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수입구(受入口)가 형성되어 있다. 노브(111)는 거의 전체가 이 수입구에 수용되어 있다. 이 노브(111)는 하단측으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반드시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1) 상단의 수입구의 구경과 노브(111)의 외주의 길이를 거의 동일하게 형성할 필요는 없다. 단, 도 3(a)에 나타낸 롤러 스탬프(100)에서는 노브(111)가 제 1 케이스 부재(101a)에 대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할 정도로 노브(111)의 폭을 상기 수입구의 구경보다 약간 소경으로(좁게) 형성하고 있다. 노브(111)를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노브(111)의 하방 이동을 안정시킬 수 있고, 이어서 설명하는 노크 동작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브(111)의 거의 전체가 케이스(101)의 수입구에 수용되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지만, 롤러 스탬프(100)의 인자 조작을 원활하게 행하기 위해서는 수입구로부터 노브(111)가 돌출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a) ~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브(111)의 하방에는 스프링(112)을 통하여 간격을 두고 캠 케이스(114)가 배치되어 있다. 캠 케이스(114)는 하단측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면의 중앙은 노브(111)를 향하여 원통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 부분(114a)으로 되어 있다. 이 스프링(112)은 상기 원통 형상의 돌출 부분(114a)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112)의 상단은 노브(111)의 중앙부의 하단(도 7·부호 111c 참조)에 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스프링(112)의 하단은 캠 케이스(114)의 하단면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도 3(a), 도 3(b) 및 도 4(a) ~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브(111)는 스프링(112)에 바이어싱되어 상단측으로 바이어싱되어 있고, 또한 캠 케이스(114)의 하단면과의 사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도 3(a) ~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브(111)의 하방 또한 캠 케이스(114)의 중앙측에는 하단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볼록 형상의 캠(116)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캠(116)의 하단에는 캠 케이스(114)에 삽입된 스프링 로드(119)가 감입되어 있다. 이 스프링 로드(119)는 상단이,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116)의 내부의 볼록 형상과 일치하도록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로드(119)의 볼록 형상 부분의 하방측에는 플랜지(119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a) ~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로드(119)의 주위 또한 캠 케이스(114)의 원통 부분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스프링(117)이 배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117)의 상단은 플랜지(119a)의 하면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도 3(a) ~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케이스(114)의 하면에 인접하여 대략 평판 형상의 스프링 베이스(118)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 베이스(118)는 제 1 케이스 부재(101a)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베이스(118)는 중앙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 관통 구멍의 구경은 스프링 로드(119)를 삽입할 수 있는 크기이며, 스프링(117)을 통과시키지 않는 크기로 되어 있다.
스프링(117)은 하단이 스프링 베이스(118)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도 3(b) 및 도 4(a) ~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116)과 스프링 로드(119)는 스프링(117)에 바이어싱되어 상단측으로 바이어싱되어 있고, 또한 캠 케이스(114)의 돌출 부분(114a)으로부터 스프링 베이스(118)의 상단면과의 사이에서 스프링(117)의 신축가능한 거리만큼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도 5(c) 및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로드(119)의 하단, 환언하면 볼록 형상 부분에 대한 타단에는 맞물림부(119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맞물림부(119c)는 스프링 베이스(118)의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스프링 베이스(118) 하방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프레임(120)의 상면부의 맞물림 오목부에 맞물려진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프레임(120)에는 롤러 유지 프레임(204)에 유지된 롤러 샤프트(202), 캐처(124)를 통하여 롤러(200) 및 커버(210)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커버(210)와 롤러(200)의 조합에 대해서는 이하 「카트리지」로 기재할 것이다[카트리지(216)/도 3(a) 참조].
이상이 본 실시형태의 노크 기구(110)의 구성의 개요이다. 또한, 노크 기구(110)의 록 상태의 구성의 상세 및 노크 동작 및 커버(210)의 회전 동작의 상세에 대해서는 가이드(103), 캐처(124)의 구성을 설명한 후 기재된다. 이어서, 도 3 ~ 도 5를 참조하여 롤러 스탬프(100) 전체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한다.
〔압하 동작의 개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자에 의해 노브(111)가 하단측으로 압하되면 노브(111)의 하단에 접촉된 스프링(112)의 바이어싱 포오스(biasing force)에 저항하여 노브(111)가 압하된다. 이때, 노브(111)의 중앙의 돌출 부분(111a)이 캠(116)의 상단측에 접촉된 상태로 캠(116)을 압하한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116)이 계속해서 압하되면,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로드(119)가 스프링(117)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저항하여 압하된다. 그 결과, 스프링 로드(119)의 맞물림부(119c)에 맞물려진 프레임(120)이 개구부(105)를 향해서 압하된다. 이때, 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20)에 감입된 캐처(124)가 가이드(103)를 따라서 회전되어 캐처(124)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커버(210)가 회전된다. 즉, 개구부(105)로부터 케이스(101)의 외부에 면하는 커버(210)가 회전되어 케이스(101) 내부측으로 회전된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로드(119)는 스프링(117)이 가장 수축된 상태에서 하방 이동이 규제되어 그 하방 이동이 정지된다. 이때, 커버(210)는 회전에 의해 상단측으로 향하고 있고, 롤러(200)는 케이스(101)의 외부에 면하고 있다. 또한, 롤러(200)의 인면(215)은 압출 동작의 완료에 따라 그 외주면에 형성된 인면(215)의 일부가 개구부(105)로부터 노출된다. 이상이 압하 동작의 개요이다.
(롤러 스탬프의 각 부의 구성 및 접속 구조)
이어서, 도 4 ~ 도 11을 참조하여 롤러 스탬프(100)의 각 부의 구조 및 각 부의 접속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의 각 부의 구성 및 각 부의 접속 관계의 개요를 나타내는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의 노브(111)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있어서의 노브(111)의 C-C 부분의 구성을 포함하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의 캠 케이스(114)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의 캠 케이스(114)를 케이스(101)의 개구부(105)측으로부터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의 캠 케이스(114)의 돌출 부분(114a)을 포함하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의 커버(210)의 측판(210a) 및 네일부(210c)와 롤러 유지 프레임(204)의 오목부(204a)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 노크 기구의 개요에 있어서 설명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할애한다.
〔노브의 구성〕
도 6 및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브(111)는 표면이 곡면인 박스 부분, 및 그 곡면의 내측 중앙 부근으로부터 하단측, 즉 캠 케이스(114)의 돌출 부분(114a)을 향해서 원통 형상의 돌출 부분(111a)이 형성되어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부분(111a)의 돌출단(111b)은 측면이 지그재그로, 즉 대략 산(山)형 또는 대략 톱니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돌출단(111b)의 단부면은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단부면의 계단의 돌출 부분은 칼날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돌출단(111b), 단부면의 계단과 계단 사이는 상단을 향하여 경사진 테이퍼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노브(111)의 박스 부분의 내측에 있어서 돌출 부분(111a)의 기부를 둘러싸도록 압박부(111c)가 형성되어 있다. 압박부(111c)는 스프링(112)의 상단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또한, 노브(111)의 측면에는 그 노브(111)의 압하 방향 및 제 2 케이스 부재(101c)의 회동 방향 X1[도 2(a) 참조]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훅(hook)(111e)이 형성되어 있다. 이 훅(111e)은 이어서 설명하는 캠 케이스(114)의 가이드 홈(114f)에 맞물려져 있고, 가이드 홈(114f)을 따라서 노브(11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또한, 훅(111e)은 스프링(112)의 바이어싱 포오스 등에 의해 노브(111)가 케이스(10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캠 케이스의 구성〕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케이스(114)는 롤러 스탬프(100)의 상단측, 즉 노브(111)측을 향하여 개구된 박스 부분, 및 평면 형상의 저면의 대략 중앙 부근으로부터 상단측으로 돌출되는 원통 형상의 돌출 부분(114a)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돌출 부분(114a)의 돌출단(114c)은 캠(116)의 3개소의 날개부(116a)와 등간격으로 세 갈래로 분단되어 있다. 또한, 돌출단(114c)의 내주면에는 이 분단된 돌출단(114c)의 단부면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호와 호 사이로부터 하단을 향해서 직선상으로 홈부(114d)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114d)는 캠(116)의 날개부(116a)가 통과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캠(116)의 하단부분의 반경과 날개부(116a)가 측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더한 길이는 돌출 부분(114a)에 있어서의 반경과 홈부(114d)의 깊이를 더한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캠(116)은 노브(111)가 캠(116)을 하단측으로 압입하여 날개부(116a)가 돌출 부분(114a)의 홈부(114d)의 위치에 일치하는 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돌출 부분(114a)의 내부를 통과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부분(114a)의 대략 중앙에는 노브(111)의 돌출 부분(111a)과 같은, 측면이 대략 산형 또는 대략 톱니형이며 단부면이 계단 형상인 록킹부(114h)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돌출 부분(114a)의 대략 중앙이란 홈부(114d)를 따라 돌출단(114c)과 캠 케이스(114)의 저면을 연결한 선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부분(114a)에 있어서 록킹부(114h)보다 하단측은 날개부(116a)를 포함한 캠(116) 전체가 회전가능한 직경으로 되어 있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부분(114a)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캠 케이스(114)의 저면까지의 사이에 걸쳐 돌출 부분(114a)에 삽입되어 있는 날개부(116a)가 압하되고 있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직경(또는 폭)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케이스(114)의 측면에는 스프링 로드(119)가 압하되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직선상의 레일부(114e)가 형성되어 있다. 이 레일부(114e)는 제 1 케이스 부재(101a)에 형성된 가이드(104) 등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맞물린다. 가이드(104)는 레일부(114e)보다 약간 폭이 넓고, 또한 캠 케이스(114)보다 약간 길다. 즉, 레일부(114e)는 제 1 케이스 부재(101a)의 가이드(104)로 가이드되어 캠 케이스(114)를 가이드(104)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함과 아울러 캠 케이스(114)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또한,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케이스(114)의 측면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제 2 케이스 부재(101c)의 돌출부(101g)의 하단에 접촉되는 돌기(114g)가 형성되어 있다. 캠 케이스(114)의 측면에 있어서의 돌기(114g)의 위치는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측이며, 또한 제 2 케이스 부재(101c)가 회동되어 이격되어 가는 방향의 단부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캠에 있어서의 날개부의 구성〕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116)에 있어서의 날개부(116a)는 캠(116)의 측면에 있어서 등간격 또한 세 갈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날개부(116a)의 상단, 즉 노브(111)측의 면은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그 면의 경사는 돌출단(111b), 록킹부(114h)의 단부면의 경사에 대응한 경사가 된다. 이와 같이, 날개부(116a)의 경사를 대응시킴으로써 노브(111)가 압하되었을 때 이 날개부(116a) 상단면과 돌출단(111b)의 하단면이 마주 대하여 접한다. 따라서, 노브(111)가 압하되면 날개부(116a)의 상단면이 돌출단(111b)의 하단면에 대하여 슬라이딩되어 캠(116)이 하강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또한, 도 3(a) 또는 도 4(a)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브(111)는 제 1 케이스 부재(101a)의 수입구의 폭에 대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할 정도로 약간 좁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노브(111)는 제 1 케이스 부재(101a)의 수입구의 내면에 억제되어 회전되지 않고 캠(116)만 회전된다.
또한, 압하 조작에 의해 캠(116)이 노브(111)에 눌려 돌출 부분(114a) 내를 통과하면 날개부(116a)의 상단면은 록킹부(114h)의 하단면과 접한다. 이때, 날개부(116a)의 상단면은 스프링(117)에 밀어 올려져 록킹부(114h)의 하단면에 대하여 슬라이딩된다. 또한, 날개부(116a)가 회전되어감으로써 날개부(116a) 측면이 록킹부(114h)에 있어서의 돌출 부분의 측면에 접하고 그 슬라이딩이 정지된다. 날개부(116a)의 슬라이딩이 정지되면 캠(116)의 회전이 멈춘다.
〔스프링 베이스의 구성〕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베이스(118)는 평판 형상의 부분, 및 그 평판 부분의 측단에 형성되어 스프링 베이스(118)를 케이스(101)에 고정하기 위한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에 의해 스프링 베이스(118)는 케이스(101)에 고정된다. 또한, 스프링 베이스(118)의 평판 부분에는 그 대략 중앙 부분에 스프링 로드(119)를 삽입할 수 있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은 스프링(117)의 직경보다 약간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프링(117)은 그 관통 구멍을 통과하지 않는다.
〔프레임 및 롤러의 구성〕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20)은 스프링 베이스(118)의 하단측에 배치되어 평판 형상의 부분과, 그 평판 부분의 양측단으로부터 하단측을 향해 그 평판 부분과 직교하도록 돌출되는 한쌍의 측판 부분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20)의 평판 부분에는 그 대략 중앙 부분에 스프링 로드(119)의 맞물림부(119c)가 감입되는 맞물림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20)의 맞물림 오목부는 도 5(d)에 나타낸 스프링 로드(119)의 하단의 맞물림부(119c)를 감입가능하도록 맞물림부(119c)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맞물림부(119c)가 이 맞물림 오목부에 감입됨으로써 스프링 로드(119)와 프레임(120)이 고정된다.
또한, 프레임(120)의 측판 부분에는 돌출 방향의 선단측에 후술의 캐처(124)를 회전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 부분이 1쌍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20)은 그 유지 부분에 유지된 한쌍의 캐처(124) 및 롤러 유지 프레임(204)을 통하여 롤러(200)를 유지하고 있다. 캐처(124)의 중심 위치에는 롤러(200)의 회전축인 롤러 샤프트(202)를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롤러 샤프트(202)는 롤러 유지 프레임(204)에 설치되어 있고, 롤러(200)는 이 롤러 샤프트(202)를 축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200)의 회전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면은 롤러 유지 프레임(204)에 끼워져 있다. 이 롤러 유지 프레임(204)은 롤러(200)의 그 양단부면에 접하고 롤러 샤프트(202)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이 롤러 유지 프레임(204)에 있어서의 롤러(200)의 단부면측에 대한 반대측의 면에는 복수개의 오목부(20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204a)는 롤러 유지 프레임(204)의 외측면의 바깥 가장자리를 따라 원환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오목부(204a)는 이어서 서술하는 측판(210a)의 네일부(210c)가 맞물리는 것이다.
〔캐처, 제 1 케이스 부재의 가이드 및 커버의 구성〕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 부재(101a)에는 상단측에 가이드(104)가 형성되고, 가이드(104) 하단측에 캠 케이스(114)의 돌기(114g)를 수입하는 맞물림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단측에는 가이드(103), 제 2 케이스 부재(101c)의 회동축을 수입하는 회동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104)는 노브(111)의 압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다. 또한, 가이드(104)는 캠 케이스(114)의 레일부(114e)가 맞물리는 지지 홈이며, 레일부(114e)를 통하여 캠 케이스(114)를 제 1 케이스 부재(101a)에 있어서 가이드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 부재(101a)에 있어서의 가이드(103)는 노브(111)의 압하 방향이나 스프링 로드(119)의 하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고 있다. 이 가이드(103)는 프레임(120)을 사이에 둔 카트리지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롤러(20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가이드(103)는 캐처(124)와 함께 프레임(120)의 직선적인 운동을 커버(210)의 회전 운동으로 변경하고, 압하 조작에 의한 롤러(200)의 압출과 커버(210)의 개방을 연동하여 행하는 것이다.
이 캐처(124)는 대략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제 1 케이스 부재(101a)측과 대향한 면(베어링과 반대측의 면)의 대략 중심 위치에 있어서 캐처(124)와 동심원 형상의 피니언 기어(12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피니언 기어(124a)에 대하여 가이드(103)에는 캐처(124)의 피니언 기어(124a)에 맞물리는 랙 기어(103a)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210)는 롤러(200)의 인면(215)을 덮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롤러(200)의 인면(215)보다 외측에 배치된 곡면 부분을 갖고 있다. 그 커버(210)의 곡면 부분은 롤러(200)의 인면(215)의 곡률과 거의 같은 곡률이다. 또한, 커버(210)의 곡면 부분으로부터 회전축까지의 거리는 롤러(200)의 인면(215)과 그 회전축까지의 거리보다 약간 길게 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210)는 롤러(200)의 회전축의 축 방향의 양단부면을 끼운 롤러 유지 프레임(204)의 더욱 외측에 롤러 유지 프레임(204)을 끼우도록 형성된 측판(21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측판(210a)은 커버(210)의 곡면에 있어서의 원호 형상의 단부[커버(210)의 회전축의 축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커버(210)의 회전축까지의 영역을 덮는 평판 형상의 부재이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측판(210a)에 있어서의 롤러 유지 프레임(204)측의 면에는 롤러 유지 프레임(204)측으로 돌출되는 네일부(210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네일부(210c)는 롤러 유지 프레임(204)의 오목부(204a)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 네일부(210c)는 롤러(200)가 도 11의 X2 방향으로 회전되면 선단 부분이 롤러 유지 프레임(204)의 오목부(204a) 각각에 순차 접촉된다. 또한, 이 접촉이란 롤러(200)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을 정도의 접촉이다. 환언하면, 가볍게 걸리는 정도가 된다.
또한, 커버(210)의 측판(210a)에는 롤러 샤프트(202)보다 약간 직경이 크고, 또한 롤러 샤프트(202)에 의해 커버(210)를 롤러(200)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 구멍은 롤러 샤프트(20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즉, 커버(210)는 롤러 샤프트(20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롤러(200)와는 독립적으로 회전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처(124)에는 중심을 향하여 일부가 노치되어 있는 노치부(124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210)에는 지지 구멍에 인접하여 동기 돌기(2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캐처(124)의 노치부(124c)는 커버(210)의 동기 돌기(214)를 감입 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캐처(124)가 회전되면 동기 돌기(214)를 통하여 커버(210)가 회전된다.
이상이 본 실시형태의 롤러 스탬프(100)의 각 부의 구성과 각 부의 상호 접속 관계이다.
(롤러 스탬프의 각 부의 동작의 상세)
이어서, 도 12a ~ 도 12c 및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롤러 스탬프(100) 전체의 동작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에 있어서 수납시의 내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절단 단부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에 있어서 노크 도중의 내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절단 단부면도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에 있어서 사용시의 내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절단 단부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에 있어서 도 3(a)의 상태와 도 3(b)의 상태 사이에 있어서의 노크 도중의 내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에 있어서의 상태를 측방으로부터 본 경우의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롤러(200)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교환할 때의 케이스(101)의 동작에 대해서는 별도 설명한다.
〔카트리지 수납 상태로부터 노크 도중의 상태까지의 동작〕
조작자에 의해 노브(111)를 압하하는 조작이 이루어지면 롤러 스탬프(100)는 도 12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12b에 나타낸 상태로 변화된다. 즉, 노브(111)가 훅(111e)을 통하여 가이드 홈(114f)으로 가이드되고, 또한 스프링(112)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저항하여 압하된다. 노브(111)가 압하되면 돌출 부분(111a)의 돌출단(111b)이 날개부(116a)의 상단면을 압하시킴과 아울러 캠(116)이 회전된다. 즉, 돌출단(111b)의 하단면과 날개부(116a)의 상단면이 대응된 경사로 되어 있으므로 날개부(116a)의 상단면이 돌출단(111b)에 대하여 슬라이딩된다. 이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캠(116)이 회전된다.
캠(116)이 회전되면 날개부(116a)가 돌출단(114c) 상에서 회전되어 그 날개부(116a)가 캠 케이스(114)의 돌출 부분(114a)에 있어서의 홈부(114d)의 위치에 도달한다. 이때, 캠(116)은 돌출 부분(114a) 내부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캠(116)이 압하되면,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부(116a)는 상기 홈부(114d)를 통과하고 홈부(114d)에 가이드되어서 캠(116)과 하강한다. 캠(116)이 하강하면 캠(116)의 하단면에 의해 스프링 로드(119)가 압하되고 플랜지(119a)도 스프링(117)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저항해서 하강된다. 이 동작에 따라, 스프링 로드(119) 및 맞물림부(119c)에 고정된 프레임(120)도 하강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캐처(124)는 프레임(120)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되어 있으므로 프레임(120)이 압하되면 캐처(124)는 압하되는 방향으로 직선적인 힘을 받는다. 여기서, 피니언 기어(124a)는 랙 기어(103a)에 맞물려 있으므로 랙 기어(103a)를 따라 하강한다[도 13(a) 참조]. 이 캐처(124)에 작용하는 직선적인 힘은 피니언 기어(124a)와 랙 기어(103a)의 작용에 의해 피니언 기어(124a)의 회전으로 변한다. 또한, 피니언 기어(124a)의 회전과 프레임(120)의 직선적 운동은 연동한다.
캐처(124)의 노치부(124c)에는 커버(210)의 동기 돌기(214)가 감입되어 있다. 따라서,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처(124)의 회전에 의해 개구부(105)측에 위치하고 있었던 커버(210)가 회전되어 케이스(101)의 상단측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커버(210)는 노브(111)측으로 회전하여 롤러(200)의 인면(215)이 노출된다. 또한, 랙 기어(103a)의 길이, 가이드(103)의 위치, 피니언 기어(124a)의 직경은 커버(210)가 180°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롤러 스탬프의 사용 상태가 될 때까지의 동작〕
캠(116)이 돌출 부분(114a)의 내부를 통과하여 더욱 캠(116)이 압하되면 날개부(116a)의 상단면이 돌출 부분(114a)의 중간 위치에 있는 록킹부(114h)를 통과한다. 이 시점에서, 스프링(117)은 가장 단축된 상태가 된다. 이때, 롤러(200)에 있어서의 개구부(105)로부터 케이스(101) 밖에서 보는 부분은 그 개구부(105)의 위치로부터 돌출된다.
조작자에 의해 노브(111)가 가장 압하된 후 노브(111)를 개방하는 조작이 되면 노브(111)에 압하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112)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노브(111)가 케이스(101)의 상단측으로 이동된다. 아울러, 스프링 로드(119)에도 압하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때, 날개부(116a)의 상단면이 록킹부(114h)의 하단면을 넘고 있으면 스프링(117)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캠(116)이 상단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날개부(116a)의 상단면과 록킹부(114h)의 하단면이 접촉되고 또한 캠(116)이 상단측으로 이동되려고 하면 상기 하단면을 따라 상기 상단면이 슬라이딩되어 회전한다. 이 회전의 결과, 록킹부(114h)의 하단면의 돌출 부분에 날개부(116a)가 록킹되므로 캠(116)은 돌출 부분(114a)의 중간 위치에 머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롤러 스탬프(100)에 있어서는 이 캠(116)의 위치에 있어서 개구부(105)로부터 롤러(200)가 돌출되고 그 위치가 유지된다. 이 위치에 있어서도 롤러(200)는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처(124)와 랙 기어(103a)에 의해 커버(210)는 더욱 회전되고, 커버(210)의 원호의 외측의 면이 노브(111)측에 면하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이와 같이 하여, 롤러 스탬프(100)에 있어서의 롤러(200)의 인면(215)이 케이스(101) 외부로 노출되어 롤러 스탬프(100)로서의 사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커버(210)는 캐처(124)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구성이므로 프레임(120)의 위치가 이동하지 않는 한 회전되지 않는다. 즉, 노브(111)가 다시 캠(116)을 압하하지 않는 한 커버(210)는 이동되지 않는다.
〔롤러 스탬프의 사용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가 될 때까지의 동작〕
조작자가 롤러 스탬프(100)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노브(111)를 압하하여 노브(111)의 돌출단(111b)이 록킹부(114h)의 위치에 있는 캠(116)을 압하하면 그 사용 상태가 해제된다. 즉, 캠(116)이 돌출단(111b)에 의해 압하되므로 날개부(116a)가 록킹부(114h)에 록킹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개방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노브(111)가 개방되는 조작이 이루어지면 스프링(117)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스프링 로드(119)과 캠(116)이 상단측으로 이동한다.
게다가, 날개부(116a)의 상단면과 록킹부(114h)의 하단면이 접촉되고 또한 캠(116)이 상단측으로 이동되려고 하면 그 하단면을 따라 그 상단면이 슬라이딩되어 회전된다. 이 슬라이딩 이동의 결과, 날개부(116a)는 하단측으로부터 홈부(114d)으로 들어가고 스프링(117)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상기 홈부(114d)를 따라 상승한다. 이때, 프레임(120)은 스프링 로드(119)의 상승에 따라 상승된다. 그 결과, 캐처(124)가 피니언 기어(124a)를 통하여 랙 기어(103a)를 따라 회전되어 상승된다. 이 캐처(124)의 회전에 의해 노브(111)측에 위치하고 있던 커버(210)가 역회전되고 케이스(101)의 하단측으로 이동된다. 즉, 커버(210)는 개구부(105)측으로 회전되고, 롤러(200)에 있어서의 개구부(105)의 인면(215)은 다시 커버(210)로 덮인다.
(카트리지의 교환 동작)
이어서, 도 14 ~ 도 17을 참조하여 롤러 스탬프(100)의 케이스(101)에 있어서의 제 1 케이스 부재(101a)와 제 2 케이스 부재(101c)의 맞물림 부분의 구조 및 커버(210)의 회전에 작용하는 상기 맞물림 부분의 동작과 함께 카트리지(216)의 교환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에 있어서 제 1 케이스 부재(101a)의 록(102)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4(b)는 도 14(a)의 상태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절단 단부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에 있어서 제 2 케이스 부재(101c)의 돌출부(101g)가 캠 케이스(114)의 돌기(114g)에 록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에 있어서 돌출부(101g)와 돌기(114g)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6a ~ 도 16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에 있어서 돌출부(101g)과 돌기(114g)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어 가는 동작의 과정의 개략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에 있어서 제 2 케이스 부재(101c)가 개방되어 교환가능해진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절단 단부면도이다. 도 17(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에 있어서 카트리지(216)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절단 단부면도이다.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102)을 상단측으로 슬라이딩하는 등, 제 1 케이스 부재(101a)와 제 2 케이스 부재(101c)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조작이 이루어지면 제 2 케이스 부재(101c)의 훅(101e)이 제 1 케이스 부재(101a)의 록(102)으로부터 해방되어 제 2 케이스 부재(101c)가 회동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훅(101e)이 분리되면 돌출부(101g)와 캠 케이스(114)의 돌기(114g)(도 6 등 참조)의 맞물림 관계가 해제된다. 그 결과, 돌기(114g)를 통하여 캠 케이스(114)를 조금 압하한 돌출부(101g)[도 15(a) 참조]로부터의 압하력이 서서히 없어진다(도 16a ~ 도 16c 참조). 또한,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101g)와 돌기(114g)의 맞물림이 없어져 양자가 완전히 이간되면 돌출부(101g)가 압하되고 있던 것만큼 스프링(117)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프레임(120)이 상승된다. 그 결과,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처(124)가 랙 기어(103a)의 상단까지 회전된다. 그 결과, 커버(210)는 제 2 케이스 부재(101c)측으로 90°회전한다.
도 14(b)와 같이 제 1 케이스 부재(101a)와 제 2 케이스 부재(101c)의 록이 분리된 상태에 있어서 제 2 케이스 부재(101c)를 제 1 케이스 부재(101a)에 대하여 이격시키면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조작자가 롤러(200)를 파지하는 측을 커버(210)가 덮는다. 또한, 캐처(124)도 노치부(124c)의 노치 방향이 케이스(101)의 개방측으로 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210)와 롤러(200)가 분리가능하다. 즉, 카트리지(216)가 제거가능해 진다.
(작용·효과)
이어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의 작용·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는 노브(111)의 압출 조작에 의해 프레임(120)의 직선적인 이동을 캐처(124)의 회전 이동으로 변환한다. 이 직선적인 이동과 회전 이동은 연동되어 있다. 따라서, 롤러 스탬프(100)의 사용시와 비사용시의 스위칭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커버(210)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도, 비사용 상태에 있어서도 노브(111)가 가장 압입된 상태의 부근까지 이동되어서 처음으로 커버(210)의 위치가 이동되고 롤러(200)의 위치가 유지된다. 따라서, 비사용시에는 카트리지(216) 전체가 케이스(101)에 수용될 뿐만 아니라, 커버(210)가 개구부(105)측을 덮고 있어 그 비사용 상태도 조작자에 의한 의도적인 조작에 의하지 않으면 사용 상태로 이행되기 어렵다. 그 결과, 롤러 스탬프(100)의 비사용시에 잘못하여 롤러(200)의 인면(215)이 노출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시에 있어서도 조작자가 의도적으로 노브(111)의 압입 조작을 행하지 않으면 비사용시로 스위칭되기 어렵다. 따라서, 사용시에 잘못하여 롤러(200)를 포함하는 카트리지(216)가 수용되어버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스탬프(100)는 함침 잉크를 사용하고 있다. 함침 잉크는 사용에 따라서 감소되므로 잉크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조작자가 카트리지(216)를 교환함으로써 다시 롤러 스탬프(100)에 의한 피전사체로의 인자가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자가 인면(215)의 인자 내용(인자하는 종류, 인자 사이즈 등)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도 다른 종류의 인면(215)이 형성된 롤러(200)를 포함하는 카트리지(216)를 교환함으로써 조작자의 임의의 인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롤러 스탬프(100)는 카트리지(216)의 교환시에 있어서 카트리지(216)의 제거 방향으로 커버(210)가 회전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교환 작업시에 커버(210)를 파지하여 롤러(200)[카트리지(216)]를 제거함으로써 손을 더럽히지 않고 교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롤러 스탬프(100)는 사용시에 있어서 노브(111)가 케이스(101)의 상단위치까지 리턴되므로 인자 작업을 저해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롤러 스탬프(100)는 사용시에 있어서 롤러(200)의 회전에 따라 롤러 유지 프레임(204)의 오목부(204a) 각각에 커버(210)의 측판(210a)의 네일부(210c)가 접촉되어 롤러(200)의 회전 동작에 약간의 저항을 주고, 그 저항이 케이스(101)에 전달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인자 조작시에 롤러(200)의 회전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조작자에게 사용감을 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100: 롤러 스탬프 101: 케이스
101a: 제 1 케이스 부재 101c: 제 2 케이스 부재
101e: 훅 101g: 돌출부
102: 록 103: 가이드
103a: 랙 기어 104: 가이드
105: 개구부 110: 노크 기구
111: 노브 111a: 돌출 부분
111b: 돌출단 111c: 압박부
111e: 훅 112: 스프링
114: 캠 케이스 114a: 돌출 부분
114c: 돌출단 114d: 홈부
114e: 레일부 114g: 돌기
114h: 록킹부 116: 캠
116a: 날개부 117: 스프링
118: 스프링 베이스 119: 스프링 로드
119a: 플랜지 119c: 맞물림부
120: 프레임 124: 캐처
124a: 피니언 기어 124c: 노치부
200: 롤러 202: 롤러 샤프트
204: 롤러 유지 프레임 210: 커버
210a: 측판 214: 동기 돌기
215: 인면 216: 카트리지

Claims (4)

  1. 외주에 인면이 형성된 회전체;
    상기 인면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개구부를 갖고, 상기 회전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회전체를 그 축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인면의 일부가 상기 개구부 쪽에 면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기 회전체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인면의 상기 개구부에 면하는 부분을 덮는 커버 부재;
    상기 회전체가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상기 개구부 쪽으로 압출됨으로써 상기 인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개구부로부터 돌출시키는 압출부;
    상기 개구부와 반대측에 상기 압출부를 바이어싱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압출부에 의해 상기 회전체가 압출되었을 때 그 압출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연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측을 향하여 회전되어 상기 인면의 상기 개구부 쪽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분리가능하고;
    상기 케이스는 제 1 케이스 부재와 제 2 케이스 부재를 가지고 구성되며;
    상기 제 2 케이스 부재는 상기 제 1 케이스 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그 제 1 케이스 부재와의 인접 부분에 있어서 그 제 1 케이스 부재에 대하여 록킹되는 록킹부, 및 상기 제 1 케이스 부재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그 록킹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압출부에 접촉됨으로써 그 압출부를 통하여 상기 회전체를 상기 개구부 쪽에 근접시키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 2 케이스 부재와 상기 제 1 케이스 부재의 록킹이 해제되어서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회전체의 상기 제 2 케이스 부재측이 해방되어서 그 회전체가 교환가능해지고, 또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압출부가 이간됨으로써 그 압출부가 상기 탄성 부재에 바이어싱되어서 이동됨과 아울러 그 압출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커버 부재가 회전되고, 그 커버 부재가 상기 회전체에 있어서의 해방된 측의 부분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핑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회전체에 있어서의 상기 인면의 곡률에 대응한 원호 형상의 곡면, 상기 커버 부재의 회전축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원호 형상의 곡면과 상기 회전축 사이의 부분을 덮는 측판, 및 그 측판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체 쪽의 면에 형성된 네일부를 갖고;
    상기 회전체는 축방향 단부에 있어서 그 회전체를 끼워서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 프레임은 상기 회전체 쪽의 반대측이 되는 면에 있어서 원형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가 회전되면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네일부가 상기 유지 프레임에 있어서의 오목부에 접촉됨으로써 그 회전에 대한 저항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핑 장치.
  4. 외주에 인면이 형성된 회전체;
    상기 인면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제 1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제 1 케이스 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그 제 1 케이스 부재와의 인접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부에 대하여 록킹되어 그 록킹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를 상기 개구부 쪽에 근접시키는 제 2 케이스 부재를 갖고, 또한 상기 회전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회전체를 그 축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인면의 일부가 상기 개구부 쪽에 면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기 회전체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기 인면의 상기 개구부에 면하는 부분을 덮는 커버 부재;
    상기 회전체가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상기 개구부 쪽으로 압출됨으로써 상기 인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개구부로부터 돌출시키는 압출부;
    상기 개구부와 반대측에 상기 압출부를 바이어싱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제 2 케이스 부재와 상기 제 1 케이스 부재의 록킹이 해제되고 또한 그 제 1 케이스 부재에 대하여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됨과 아울러 돌출부와 상기 압출부가 이간되었을 때 그 압출부가 상기 탄성 부재에 바이어싱되어서 이동됨으로써 그 압출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연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커버 부재가 회전되고 그 커버 부재가 상기 회전체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케이스 부재측의 부분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핑 장치.
KR1020100128529A 2010-01-15 2010-12-15 스탬핑 장치 KR101238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06541 2010-01-15
JP2010006541A JP5336395B2 (ja) 2010-01-15 2010-01-15 スタン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095A KR20110084095A (ko) 2011-07-21
KR101238324B1 true KR101238324B1 (ko) 2013-03-04

Family

ID=44276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529A KR101238324B1 (ko) 2010-01-15 2010-12-15 스탬핑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36454B2 (ko)
JP (1) JP5336395B2 (ko)
KR (1) KR101238324B1 (ko)
CN (1) CN102180040B (ko)
AT (1) AT509374B1 (ko)
TW (1) TWI4393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3993B2 (ja) * 2009-09-17 2013-11-06 シヤチハタ株式会社 印判
USD668713S1 (en) * 2011-07-21 2012-10-09 Plus Corporation Roller stamp
KR102166058B1 (ko) * 2013-11-23 2020-10-15 원투씨엠 주식회사 롤러형 터치도장
CN203623176U (zh) * 2013-12-23 2014-06-04 深圳市万玺科技有限公司 一体式多印面套印彩色印章
CN105934353A (zh) * 2014-05-27 2016-09-07 深圳市万玺科技有限公司 一体式多印面套印彩色印章
CN105835548B (zh) * 2016-04-12 2018-06-29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电能表专用标识印码器
CN107776221B (zh) * 2017-12-01 2019-10-29 西安财经学院 一种组合式公章
USD920426S1 (en) 2020-04-16 2021-05-25 Davinci Ii Csj, Llc Stamp roller
CN113715530B (zh) * 2021-09-27 2023-07-14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可连续工作的印章集成装置
USD979645S1 (en) * 2022-01-20 2023-02-28 ShenZhen Miseyo E-Commerce Co., Ltd. Identity theft protection roller stamp with correctional fluid
USD980318S1 (en) * 2022-01-20 2023-03-07 ShenZhen Miseyo E-Commerce Co., Ltd. Identity theft protection roller stamp
AT525964B1 (de) * 2022-05-11 2023-10-15 Trodat Gmbh Stempel mit einer Schneid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nwendung einer Schneidvorrichtung
CN116021900B (zh) * 2023-02-07 2023-07-14 东莞市惠峰商业有限公司 一种横按键跳格双滚轮印章中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3186A (en) 1997-01-14 1998-04-28 Liao; Shu Chiao Stamp
US6615719B1 (en) 2000-10-10 2003-09-09 Jeffrey M. Winston Multi-function inking tools
JP2004090577A (ja) 2002-09-04 2004-03-25 Tanikawa Shoji Kk 蓋付ローラースタンプ
JP2008173919A (ja) 2007-01-22 2008-07-31 Sanbii Kk 印判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726A (en) * 1897-08-10 Mucilage-stamp
US3306192A (en) * 1964-09-23 1967-02-28 Marvin Glass & Associates Detent and aligning means for selective rotary print wheel
KR920000071Y1 (ko) * 1988-05-31 1992-01-15 샤찌하따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복수의 인면을 갖는 회전스탬퍼
JP2911348B2 (ja) * 1993-11-02 1999-06-23 ヤマハチケミカル株式会社 スタンプ
CN2183262Y (zh) * 1994-03-30 1994-11-23 黄茂林 自动着墨的模印装置
US6234700B1 (en) * 1999-02-04 2001-05-22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Stamping implement
JP3075044U (ja) * 2000-02-15 2001-02-09 株式会社横浜プラスチック ライト付き回転スタンプ
JP2002273996A (ja) * 2001-03-21 2002-09-25 Yamahachi Chemical Co Ltd 複数の印面を有する液浸透式スタンプ
JP5212786B2 (ja) * 2007-03-27 2013-06-19 シヤチハタ株式会社 マスター印付き回転印
CN101486280A (zh) * 2008-01-18 2009-07-22 普乐士文具株式会社 印章装置
JP4324929B1 (ja) * 2008-06-16 2009-09-02 株式会社豊田商会 回転印鑑
JP2009119876A (ja) * 2008-12-29 2009-06-04 Tsutomu Moromasa 消しコロ
DE202009014338U1 (de) * 2009-10-23 2009-12-24 Lin, Chang-Yi, Tanzi Ein Stemp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3186A (en) 1997-01-14 1998-04-28 Liao; Shu Chiao Stamp
US6615719B1 (en) 2000-10-10 2003-09-09 Jeffrey M. Winston Multi-function inking tools
JP2004090577A (ja) 2002-09-04 2004-03-25 Tanikawa Shoji Kk 蓋付ローラースタンプ
JP2008173919A (ja) 2007-01-22 2008-07-31 Sanbii Kk 印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095A (ko) 2011-07-21
JP2011143624A (ja) 2011-07-28
TW201130662A (en) 2011-09-16
TWI439378B (zh) 2014-06-01
US8336454B2 (en) 2012-12-25
CN102180040B (zh) 2013-08-28
AT509374B1 (de) 2017-04-15
JP5336395B2 (ja) 2013-11-06
CN102180040A (zh) 2011-09-14
US20110174175A1 (en) 2011-07-21
AT509374A2 (de) 2011-08-15
AT509374A3 (de)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324B1 (ko) 스탬핑 장치
EP3124276B1 (en) Tape cartridge
EP1232841B1 (en) Cutter cassette and cutting device using the same
JP5247147B2 (ja) カセットの固定及び排出構成
KR100922413B1 (ko) 프린터 장치
EP3549778B1 (en) Tape cartridge
JP5429090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US8061915B2 (en) Tape processing apparatus
CN107878051B (zh) 带盒
WO2016051948A1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EP2343166A1 (en) Cutter mechanism and printer with a cutter
CN102271880B (zh) 切割具
EP1746922A1 (en) Look mechanism for a dispenser, roll of material and end plug therefor, and method for inserting a roll of material into such lock mechanism
JP3654023B2 (ja) テープ印刷装置
JP6351502B2 (ja) 印字ユニット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
US7040208B2 (en) Cutter cassette and cutting device
KR100554503B1 (ko) 커터 장착 프린터
JP4986257B2 (ja) 開封阻止機構識別構造
JP6754861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US11203216B2 (en) Stamp with pivotable stamping insert and exchangeable ink cartridge
KR101171581B1 (ko)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
US20080086898A1 (en) Assisting apparatus and actuating apparatus
JP5849164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4449668B2 (ja) 印判
JP5731682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