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581B1 -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 - Google Patents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581B1
KR101171581B1 KR1020100103174A KR20100103174A KR101171581B1 KR 101171581 B1 KR101171581 B1 KR 101171581B1 KR 1020100103174 A KR1020100103174 A KR 1020100103174A KR 20100103174 A KR20100103174 A KR 20100103174A KR 101171581 B1 KR101171581 B1 KR 101171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hole
vertical cylinder
rod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632A (ko
Inventor
김용오
Original Assignee
김용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오 filed Critical 김용오
Priority to KR1020100103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581B1/ko
Publication of KR20120041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는, 내부에 곡물을 수용하고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곡물을 하부 방향으로 공급하는 곡물 공급부로부터 제공된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거나 차단하는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 있어서, 길게 형성된 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를 관통하는 제1 관통홀과 제1 관통홀에 수직하게 형성된 제2 관통홀을 구비하는 수평 실린더와, 수평 실린더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수평 실린더의 내측에서 제1 관통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은 수평 실린더의 일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푸쉬버튼이 결합되는 작동 로드와, 제2 관통홀에 수직하게 끼움 결합되고, 내부에 작동 로드가 제1 관통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곡물 공급부로부터 곡물을 공급 받아 외부로 토출하는 수직 실린더 및 일단은 작동 로드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수평 실린더의 타단에 연결되며, 작동 로드가 제1 관통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작동 로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작동 로드의 일측에는 슬라이딩 이동 방향에 수직하게 관통된 토출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토출홈의 일부에는 수직 실린더의 단면에 상당하는 면적을 가지는 차단막이 형성되고, 작동 로드가 제1 관통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차단막이 수직 실린더의 단면을 개폐하여 토출홈을 통해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는 곡물의 토출을 차단하는 차단막을 얇게 형성함으로써 수직 실린더를 통해 토출되는 곡물이 수직 실린더와 작동 로드 사이에 끼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푸쉬버튼 조립체의 작동 불량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Push button assembly for discharging of grain}
본 발명은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물의 토출을 차단하는 차단막을 얇게 형성하여 푸쉬버튼 조립체의 작동 불량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water purifier)라 함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으로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계장치(機械裝置)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정수대상의 물을 공급하는 형태로써 정수기를 분류하면,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하는 직결형(直結形)과 물을 용기에 담아서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는 저장형(貯藏形)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정수된 물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하여 토출밸브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토출밸브는 작동레버를 작동시켜 정수된 물이 토출구를 통하여 나오도록 하되, 작동레버를 밀거나 돌림으로써 토출구가 오픈(open)되도록 레버식 토출밸브로 구성하거나, 푸쉬버튼(push button)을 한번 밀면 오픈(open)된 상태에 서 걸림으로써 정수된 물이 지속적으로 나오다가, 한번 더 푸쉬버튼을 눌러서 작동시켜, 걸림상태가 해제됨으로써 나오던 물이 멈추도록 하는 버튼식 토출밸브로 구성하는데, 후자의 방식은 일반적으로 온수버튼에 주로 적용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종래의 푸쉬버튼식 토출밸브에 따르면, 내부 구조를 이루는 구성요소가 많아 제작이 어려우며 유지보수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실린더 내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구성요소가 직렬 및 병렬로서 복합적인 구조로 배치되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푸쉬버튼에 가해지는 작동력의 전달방향이 각 구성요소에 하여 동일한 방향만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아 작동이 원활하기 않을 뿐만 아니라, 토출밸브 전체의 외형 크기가 커짐으로써, 제품을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종래의 쌀 저장고에 따르면, 하단부로 토출되는 곡물을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는 저장함에 쏟아서 담은 후, 이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꺼내야만 하는데, 주부들이 상기 저장함을 다룸에 있어서, 허리를 굽혀야 하는 등 취급이 불편하고, 이에 따라 척추 건강에도 유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통상의 정수기 형태를 취하면서 저장용기에 담겨있는 쌀알 등과 같은 곡물을 하측방향으로 토출시키되, 푸쉬버튼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 곡물의 토출기능을 구비한 기계 장치가 요구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곡물의 토출을 차단하는 차단막을 얇게 형성함으로써 수직 실린더를 통해 토출되는 곡물이 수직 실린더와 작동 로드 사이에 끼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푸쉬버튼 조립체의 작동 불량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는, 내부에 곡물을 수용하고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곡물을 하부 방향으로 공급하는 곡물 공급부로부터 제공된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거나 차단하는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 있어서, 길게 형성된 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를 관통하는 제1 관통홀과 상기 제1 관통홀에 수직하게 형성된 제2 관통홀을 구비하는 수평 실린더와, 상기 수평 실린더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 실린더의 내측에서 상기 제1 관통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수평 실린더의 일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푸쉬버튼이 결합되는 작동 로드와, 상기 제2 관통홀에 수직하게 끼움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제1 관통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곡물 공급부로부터 곡물을 공급 받아 외부로 토출하는 수직 실린더 및 일단은 상기 작동 로드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평 실린더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제1 관통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상기 작동 로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로드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 방향에 수직하게 관통된 토출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홈의 일부에는 상기 수직 실린더의 단면에 상당하는 면적을 가지는 차단막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제1 관통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차단막이 상기 수직 실린더의 단면을 개폐하여 상기 토출홈을 통해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는, 내부에 곡물을 수용하고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곡물을 하부 방향으로 공급하는 곡물 공급부로부터 제공된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거나 차단하는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 있어서, 길게 형성된 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를 관통하는 제1 관통홀과 상기 제1 관통홀에 수직하게 형성된 제2 관통홀을 구비하는 수평 실린더와, 상기 수평 실린더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 실린더의 내측에서 상기 제1 관통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수평 실린더의 일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푸쉬버튼이 결합되는 작동 로드와, 상기 제2 관통홀에 수직하게 끼움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제1 관통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곡물 공급부로부터 곡물을 공급 받아 외부로 토출하는 수직 실린더 및 상기 작동 로드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제1 관통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수평 실린더 내에서 걸림 상태가 되거나 걸림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걸림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 로드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 방향에 수직하게 관통된 토출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홈의 일부에는 상기 수직 실린더의 단면에 상당하는 면적을 가지는 차단막이 형성되고, 상기 푸쉬버튼을 제1 압압할 때에, 상기 작동 로드가 걸림 상태가 되어, 상기 차단막이 상기 수직 실린더의 단면을 열어 상기 토출홈을 통해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며, 상기 푸쉬버튼을 제2 압압할 때에, 상기 작동 로드가 걸림 해제 상태가 되어, 상기 작동 로드가 원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차단막이 상기 수직 실린더의 단면을 막아 곡물의 토출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는 곡물의 토출을 차단하는 차단막을 얇게 형성함으로써 수직 실린더를 통해 토출되는 곡물이 수직 실린더와 작동 로드 사이에 끼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푸쉬버튼 조립체의 작동 불량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 따르면, 수직 실린더를 작동 로드의 차단막을 사이에 두고 제1 수직 실린더와 제2 수직 실린더로 구성함으로써 수직 실린더의 직경을 작동 로드의 토출홈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푸쉬버튼 조립체의 크기를 전체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 따르면, 작동 로드의 걸림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푸쉬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곡물을 연속적으로 토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작동 로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작동 로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작동 로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작동 로드와 수직 실린더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작동 로드가 초기 상태에 위치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작동 로드가 곡물 토출 상태에 위치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작동 로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작동 로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회전 로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가이드 캡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가이드 캡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작동 로드가 초기 상태에 위치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1c 및 도 11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작동 로드가 푸쉬 상태에 위치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1e 밍 도 11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작동 로드가 곡물 토출 상태에 위치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푸쉬버튼 조립체(100)는 내부에 곡물을 수용하고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곡물을 하부 방향으로 공급하는 곡물 공급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제공된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거나 차단하여 곡물토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100)는 수평 실린더(110), 수직 실린더(120), 작동 로드(130), 푸쉬버튼(140) 및 탄성 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과 같이, 수평 실린더(11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를 관통하는 제1 관통홀(111)과 제1 관통홀(111)에 수직하게 형성된 제2 관통홀(11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수평 실린더(110)의 일단은 개구되어 있으며, 타단은 막힌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개구된 일단은 후술할 푸쉬버튼(140)과 작동 로드(130)를 조립한 후 수평 실린더 캡(113)이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 실린더(110)의 타단에는 후술할 탄성 부재(150)를 삽입 지지하는 고정 샤프트(114)가 형성될 수 있다.
수직 실린더(120)는 제2 관통홀(112)에 수직하게 끼움 결합되고, 내부에 작동 로드(130)가 제1 관통홀(1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곡물 공급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곡물을 공급 받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수직 실린더(120)의 상단에는 곡물 공급부의 개구부(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는 수직 실린더 캡(123)이 결합될 수 있다. 수직 실린더(12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작동 로드(130)는 수평 실린더(1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몸체(131)를 가지고, 수평 실린더(110)의 내측에서 제1 관통홀(1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은 수평 실린더(110)의 일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푸쉬버튼(140)이 결합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작동 로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작동 로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작동 로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100)의 경우, 작동 로드(130)의 일측에는 슬라이딩 이동 방향에 수직하게 관통된 토출홈(132)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토출홈(132)의 일부에는 수직 실린더(120)의 단면에 상당하는 면적을 가지는 차단막(133)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막(133)은 토출홈(132)의 상단의 작동 로드(130)의 외주면으로부터 안쪽으로 약간 들어간 위치에 작동 로드(130)의 몸체(131)의 직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아주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곡물의 토출을 차단하는 차단막(133)을 얇게 형성함으로써 수직 실린더(120)를 통해 토출되는 곡물(예를 들어, 쌀)이 수직 실린더(120)와 작동 로드(130) 사이에 끼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푸쉬버튼 조립체(100)의 작동 불량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이러한 작동 로드(130)가 제1 관통홀(1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차단막(133)이 수직 실린더(120)의 단면을 개폐하여 토출홈(132)을 통해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도 3b에서는 작동 로드(130)를 기준으로 수직 실린더(120)의 위치에 따라 곡물을 토출하거나 차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데, 수직 실린더(120)가 A 위치(초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차단막(133)이 곡물의 토출을 차단한 상태이고, B 위치(토출 위치)에 있을 때에는 곡물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로드(130)의 타단에는 후술할 탄성 부재(15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 홈(13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d 및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작동 로드의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막(133a)은 작동 로드(130a)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작동 로드(130a)의 몸체(131a)의 직경과 동일한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막(133b)은 작동 로드(130b)에 수직하게 관통된 토출홈(132b) 내에서 토출홈(132b)의 단면에 평행하게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a, 도 3d 및 도 3e에 도시된 차단막(133, 133a, 133b)의 위치 및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작동 로드와 수직 실린더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100)의 경우, 수직 실린더(120)는 작동 로드(130)의 차단막(133)을 사이에 두고 제1 수직 실린더(121)와 제2 수직 실린더(12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직 실린더(121)는 제2 관통홀(112)의 상부에 수직하게 끼움 결합되며, 곡물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곡물을 수평 실린더(110) 내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직 실린더(122)는 제2 관통홀(112)의 하부에 수직하게 끼움 결합되며, 제1 수직 실린더(121)를 통해 공급되는 곡물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이 때, 제1 수직 실린더(121)의 하단은 차단막(133)의 상부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차단막(133)의 상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차단막(133)의 상부면과 맞닿으며, 제2 수직 실린더(122)의 상단은 차단막(133)의 하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차단막(133)의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직 실린더(121)의 하단과 제2 수직 실린더(122)의 상단은 이격됨으로써 작동 로드(130)가 제1 관통홀(1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수직 실린더(120)와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 실린더(120)를 작동 로드(130)의 차단막(133)을 사이에 두고 제1 수직 실린더(121)와 제2 수직 실린더(122)로 구성하는 경우, 수직 실린더(120)의 직경을 작동 로드(130)의 토출홈(13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푸쉬버튼 조립체(100)의 크기를 전체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수직 실린더(120)가 작동 로드(130)의 차단막(133)을 사이에 두고 제1 수직 실린더(121)와 제2 수직 실린더(122)로 분리된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작동 로드(130)의 차단막(133)을 중심으로 수직 실린더를 상하 일체형으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수직 실린더의 내경을 작동 로드(13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한 후, 작동 로드(130)가 제1 관통홀(1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로에 관통홀(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수직 실린더(121)는 수평 실린더(110)과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제2 수직 실린더(122)만 수평 실린더(110)의 제2 관통홀(112)의 하부에 수직하게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탄성 부재(150)는 일단은 작동 로드(130)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수평 실린더(110)의 타단에 연결되며, 작동 로드(130)가 제1 관통홀(1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작동 로드(13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150)는 수평 실린더(110)의 타단에 형성된 고정 샤프트(114)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100)는 사용자의 조작 상의 안전을 도모하고 의도하지 않는 곡물의 토출을 방지하기 위해 푸쉬버튼(140)과 가까운 위치에 잠금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잠금 장치는 공지의 버튼 방식 또는 회전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작동 로드가 초기 상태에 위치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작동 로드가 곡물 토출 상태에 위치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로드(130)가 초기 위치(도 3b에서의 A 위치)에 있을 때에는, 푸쉬 버튼은 작동 로드(130)의 타단에 연결된 탄성 부재(150)에 의한 탄성력을 제공 받아 외부로 최대한 노출되어 있으며, 작동 로드(130)의 차단막(133)은 수직 실린더(120)의 단면(보다 자세하게는, 제1 수직 실린더(121)의 하단면)을 막아 곡물의 토출을 차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푸쉬버튼(140)을 누르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로드(130)는 제1 관통홀(1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곡물 토출 위치(도 3b에서의 B 위치)로 이동하고, 작동 로드(130)의 차단막(133)은 수직 실린더(120)의 단면(보다 자세하게는, 제1 수직 실린더(121)의 하단면)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곡물을 수직 실린더(120)(보다 자세하게는, 제2 수직 실린더(122))를 통해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푸쉬버튼(140)을 누르고 있는 동안에는 곡물의 토출이 계속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푸쉬버튼(140)을 누르지 않으면 작동 로드(130)는 그 타단에 연결된 탄성 부재(150)에 의한 탄성력을 제공 받아 슬라이딩 이동하여 다시 도 5a에서와 같은 초기 위치로 복귀하며 푸쉬버튼(140)은 다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100)는 곡물의 토출을 차단하는 차단막(133)을 얇게 형성함으로써 수직 실린더(120)를 통해 토출되는 곡물이 수직 실린더(120)와 작동 로드(130) 사이에 끼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푸쉬버튼 조립체(100)의 작동 불량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수직 실린더(120)를 작동 로드(130)의 차단막(133)을 사이에 두고 제1 수직 실린더(121)와 제2 수직 실린더(122)로 구성함으로써 수직 실린더(120)의 직경을 작동 로드(130)의 토출홈(13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푸쉬버튼 조립체(100)의 크기를 전체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11f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푸쉬버튼 조립체(2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실시예의 도면(도 1 내지 도 5b)에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그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푸쉬버튼 조립체(200)의 구성 요소 중, 수평 실린더(210)와 수직 실린더(220)의 주요 특징은 거의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작동 로드(230)와 걸림 수단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푸쉬버튼 조립체(200)는, 도 1에 도시된 푸쉬버튼 조립체(200)와는 달리, 작동 로드(230)의 타단에 연결되어, 작동 로드(230)가 제1 관통홀(2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작동 로드(230)가 수평 실린더(210) 내에서 걸림 상태가 되거나 걸림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걸림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푸쉬버튼 조립체(200)는 걸림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푸쉬버튼(240)을 누르지 않아도 곡물을 연속적으로 토출할 수 있다. 즉, 푸쉬버튼(240)을 제1 압압할 때에, 작동 로드(230)가 걸림 상태가 되어, 차단막(233)이 수직 실린더(220)의 단면을 열어 토출홈(232)을 통해 곡물을 외부로 연속적으로 토출하며, 푸쉬버튼(240)을 제2 압압할 때에, 작동 로드(230)가 걸림 해제 상태가 되어, 작동 로드(230)가 원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차단막(233)이 수직 실린더(220)의 단면을 막아 곡물의 토출을 차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수단(H)은 회전 로드(250), 가이드 캡(260) 및 탄성 부재(2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푸쉬버튼 조립체(200)에서 걸림 수단(H)이 작동 로드(230)를 수평 실린더(210) 내에서 걸림 상태 또는 걸림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작동 로드(230)의 구조는 도 3a 내지 도 3c의 구조와 다르게 변경될 수 있는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작동 로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작동 로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로드(230)는 수평 실린더(2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수평 실린더(210)의 내측에서 제1 관통홀(2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은 수평 실린더(210)의 일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푸쉬버튼(240)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작동 로드(230)의 일측에는 슬라이딩 이동 방향에 수직하게 관통된 토출홈(232)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토출홈(232)의 일부에는 수직 실린더(220)의 단면에 상당하는 면적을 가지는 차단막(23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작동 로드(230)의 타단에는 후술할 탄성 부재(27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200)의 경우, 작동 로드(230)의 타단은 외주면을 따라 후술할 회전 로드(250)에 형성된 복수의 회전 돌기(252)의 경사면(252a)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복수의 톱니부(236)가 형성될 수 있다. 작동 로드(230)에 형성된 복수의 톱니부(236)는 회전 돌기(252)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회전 돌기(252)에 맞물려 복수의 회전 돌기(252)를 안내함으로써 회전 로드(2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동 로드(230)가 제1 관통홀(2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차단막(233)이 수직 실린더(220)의 단면을 개폐하여 토출홈(232)을 통해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도 8b에서는 작동 로드(230)를 기준으로 수직 실린더(220)의 위치에 따라 곡물을 토출하거나 차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데, 수직 실린더(220)가 A 위치(초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차단막(233)이 곡물의 토출을 차단한 상태이고, C 위치(토출 위치)에 있을 때에는 곡물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상태이며, B 위치(푸쉬 위치)는 작동 로드(230)를 걸림 상태로 만들기 위해 푸쉬버튼(240)을 토출 위치보다 더 깊이 눌러 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작동 로드(230)에 의한 회전 로드(250)의 회전 구동 및 그에 따른 작동 로드(230)의 걸림 상태 및 걸림 해제 상태에 대해서는 도 11a 내지 도 11f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로드(23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복수의 회전방지돌기가 후술할 가이드 캡(260)의 내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홈(263)을 따라 안내됨으로써 작동 로드(230)가 제1 관통홀(2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회전 로드(250)는 일단이 작동 로드(230)의 타단에 형성된 삽입 홈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작동 로드(230)의 슬라이동 이동에 따라 회전하여 작동 로드(230)를 걸림 상태 또는 걸림 해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회전 로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로드(250)는 그 타단에 외주면을 따라 회전 방향으로 경사면(252a)을 가지는 복수의 회전 돌기(252)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로드(250)는 복수의 회전 돌기(252)가 작동 로드(230)의 타단에 형성된 복수의 톱니부(236)와 맞물려 그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짐으로써 회전을 할 수 있다. 경사면(252a)의 방향은 원하는 회전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도 9에서는 푸쉬버튼(240)에서 바라볼 때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경사면(252a)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회전 돌기(252)가 원주면을 따라 4 개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작동 로드(230)에 의한 회전 로드(250)의 회전 구동에 대해서는 도 11a 내지 도 11f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전 로드(250)가 작동 로드(230)의 타단에 형성된 삽입 홈에 삽입될 때에 작동 로드(230)의 내주면과 회전 로드(25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걸림 턱을 이용하여 체결하며, 걸림 턱에 체결이 된 후에는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회전 로드(250)는 작동 로드(23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복수의 회전 돌기(252)는 복수의 톱니부(236)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서만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로드(250)의 타단에는 후술할 탄성 부재(27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 캡(260)은 수평 실린더(210)의 타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결합되고, 내주면에는 복수의 가이드 홈(263)과 복수의 가이드 돌기(264)가 교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가이드 캡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가이드 캡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캡(260)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회전 돌기(252)를 안내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가이드 홈(26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캡(260)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가이드 홈(263)의 사이에는 회전 로드(250)가 회전할 때에 복수의 회전 돌기(252)가 안착되어 걸림 상태가 되거나 걸림 해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264a, 264b)을 가지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26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도 9의 회전 로드(250)에서 4 개의 회전 돌기(252)를 가진 것에 대응하여 4 개의 가이드 홈(263)과 그 사이에 4개의 가이드 돌기(264)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 돌기(264)는 2 개의 경사면(264a, 264b)을 가지는데, 이 중 하나는 가이드 홈(263)으로부터 벗어난 회전 돌기(252)가 걸림 상태로 갈 때에 맞닿는 경사면(264a)이고, 다른 하나는 걸림 상태에서 벗어난 회전 돌기(252)가 다시 가이드 홈(263)으로 들어갈 때에 맞닿는 경사면(264b)이다. 따라서, 푸쉬버튼(240)을 제1 압압할 때에, 복수의 회전 돌기(252)가 복수의 가이드 홈(263)을 따라 이동하다가 회전 로드(250)가 회전하여 복수의 회전 돌기(252)가 복수의 가이드 돌기(264)의 경사면(264a)에 안착되어 걸림 상태가 되고, 푸쉬버튼(240)을 제2 압압할 때에, 회전 로드(250)가 회전하여 복수의 회전 돌기(252)가 복수의 가이드 돌기(264)의 경사면(264b)으로부터 걸림 해제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잠조하면, 탄성 부재(270)는 일단은 회전 로드(250)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가이드 캡(260)의 타단에 연결되며, 작동 로드(230)가 제1 관통홀(2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회전 로드(25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270)는 가이드 캡(260)의 타단에 형성된 고정 샤프트(214)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하, 도 11a 내지 도 11f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작동 로드가 초기 상태에 위치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1c 및 도 11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작동 로드가 푸쉬 상태에 위치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11e 밍 도 11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서 작동 로드가 곡물 토출 상태에 위치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로드(230)가 초기 위치(도 8b에서의 A 위치)에 있을 때에는, 푸쉬 버튼은 작동 로드(230)의 타단에 연결된 탄성 부재(270)에 의한 탄성력을 제공 받아 외부로 최대한 노출되어 있으며, 작동 로드(230)의 차단막(233)은 수직 실린더(220)의 단면(보다 자세하게는, 제1 수직 실린더(220)의 하단면)을 막아 곡물의 토출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초기 위치에서는 회전 로드(250)에 형성된 복수의 회전 돌기(252)는 작동 로드(230)에 형성된 복수의 톱니부(236)와 맞닿아 있으며, 사용자가 푸쉬버튼(240)을 누르게 되면 작동 로드(230)에 형성된 복수의 톱니부(236)는 회전 로드(250)에 형성된 복수의 회전 돌기(252)를 밀어 전진시키며, 이 때 회전 로드(250)에 형성된 복수의 회전 돌기(252)는 가이드 캡(260)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브 홈을 따라 안내되어 작동 로드(230)와 회전 로드(250)는 회전 없이 제1 관통홀(2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도 11c 및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푸쉬버튼(240)을 푸쉬 위치(도 8b에서의 B 위치)까지 누르게 되면, 회전 로드(250)에 형성된 복수의 회전 돌기(252)는 가이드 캡(260)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홈(263)을 벗어나게 되고, 그 순간, 회전 로드(250)에 형성된 복수의 회전 돌기(252)는 작동 로드(230)에 형성된 복수의 톱니부(236)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가이드 캡(260)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돌기(264)의 경사면(264a)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로드(250)는 작동 로드(23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 로드(250)에 형성된 복수의 회전 돌기(252)가 작동 로드(230)에 형성된 복수의 톱니부(236)를 완전히 벗어나는 순간, 도 11e 및 도 1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로드(250)는 타단에 연결된 탄성 부재(270)의 탄성력에 의해 푸쉬버튼(240)의 누름 방향과 반대로 약간 이동하여 회전 로드(250)에 형성된 복수의 회전 돌기(252)는 가이드 캡(260)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돌기(264)에 걸림 상태로 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전 로드(250)는 작동 로드(230)의 내주면과 회전 로드(25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걸림 턱을 이용하여 체결되므로, 작동 로드(230)는 초기 위치(도 8b에서의 A 위치)로 완전히 복귀하지 않으며 곡물 토출 위치(도 8b에서의 C 위치)로 유지될 수 있어, 작동 로드(230)의 차단막(233)은 수직 실린더(220)의 단면(보다 자세하게는, 제1 수직 실린더(220)의 하단면)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곡물을 수직 실린더(220)(보다 자세하게는, 제2 수직 실린더(220))를 통해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이후 사용자가 푸쉬버튼(240)을 누르지 않는 상태에서도, 작동 로드(230)의 걸림 상태는 유지되어 곡물은 연속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작동 로드(230)가 걸림 상태에 있을 때에 사용자가 푸쉬버튼(240)을 푸쉬 위치(도 8b에서의 B 위치)까지 누르게 되면, 회전 로드(250)에 형성된 복수의 회전 돌기(252)는 가이드 캡(260)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돌기(264)를 벗어나게 되고, 그 순간, 회전 로드(250)에 형성된 복수의 회전 돌기(252)는 가이드 캡(260)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돌기(264b)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가이드 캡(260)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홈(263)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로드(250)는 작동 로드(23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 로드(250)에 형성된 복수의 회전 돌기(252)가 가이드 캡(260)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돌기(264)를 완전히 벗어나는 순간, 회전 로드(250)와 작동 로드(230)는 타단에 연결된 탄성 부재(270)의 탄성력에 의해 푸쉬버튼(240)의 누름 방향과 반대로 이동하여,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도 8b에서의 A 위치)로 완전히 복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200)는 곡물의 토출을 차단하는 차단막(233)을 얇게 형성함으로써 수직 실린더(220)를 통해 토출되는 곡물이 수직 실린더(220)와 작동 로드(230) 사이에 끼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푸쉬버튼 조립체(200)의 작동 불량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수직 실린더(220)를 작동 로드(230)의 차단막(233)을 사이에 두고 제1 수직 실린더(220)와 제2 수직 실린더(220)로 구성함으로써 수직 실린더(220)의 직경을 작동 로드(230)의 토출홈(23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푸쉬버튼 조립체(200)의 크기를 전체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작동 로드(230)의 걸림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푸쉬버튼(240)을 누르지 않아도 곡물을 연속적으로 토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푸쉬버튼 조립체가 적용되는 예로서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푸쉬버튼을 이용한 토출 장치라면 얼마든지 다양한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푸쉬버튼 조립체
110: 수평 실린더 120: 수직 실린더
130: 작동 로드 140: 푸쉬버튼
150: 탄성 부재
200: 푸쉬버튼 조립체
210: 수평 실린더 220: 수직 실린더
230: 작동 로드 240: 푸쉬버튼
250: 회전 로드 260: 가이드 캡
270: 탄성 부재

Claims (7)

  1. 곡물 공급부로부터 제공된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거나 차단하는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 있어서,
    길게 형성된 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를 관통하는 제1 관통홀과 상기 제1 관통홀에 수직하게 형성된 제2 관통홀을 구비하는 수평 실린더;
    상기 수평 실린더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 실린더의 내측에서 상기 제1 관통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수평 실린더의 일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푸쉬버튼이 결합되는 작동 로드;
    상기 제2 관통홀에 수직하게 끼움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제1 관통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곡물 공급부로부터 곡물을 공급 받아 외부로 토출하는 수직 실린더; 및
    일단은 상기 작동 로드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평 실린더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제1 관통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상기 작동 로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로드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 방향에 수직하게 관통된 토출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홈의 일부에는 상기 수직 실린더의 단면에 상당하는 면적을 가지는 차단막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제1 관통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차단막이 상기 수직 실린더의 단면을 개폐하여 상기 토출홈을 통해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실린더는,
    상기 제2 관통홀의 상부에 수직하게 끼움 결합되며, 상기 곡물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곡물을 상기 수평 실린더 내로 공급하는 제1 수직 실린더; 및
    상기 제2 관통홀의 하부에 수직하게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제1 수직 실린더를 통해 공급되는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제2 수직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 실린더의 하단은 상기 차단막의 상부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막의 상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차단막의 상부면과 맞닿으며, 상기 제2 수직 실린더의 상단은 상기 차단막의 하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차단막의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
  3. 곡물 공급부로부터 제공된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거나 차단하는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에 있어서,
    길게 형성된 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를 관통하는 제1 관통홀과 상기 제1 관통홀에 수직하게 형성된 제2 관통홀을 구비하는 수평 실린더;
    상기 수평 실린더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 실린더의 내측에서 상기 제1 관통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수평 실린더의 일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푸쉬버튼이 결합되는 작동 로드;
    상기 제2 관통홀에 수직하게 끼움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제1 관통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곡물 공급부로부터 곡물을 공급 받아 외부로 토출하는 수직 실린더; 및
    상기 작동 로드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제1 관통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수평 실린더 내에서 걸림 상태가 되거나 걸림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걸림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 로드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 방향에 수직하게 관통된 토출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홈의 일부에는 상기 수직 실린더의 단면에 상당하는 면적을 가지는 차단막이 형성되고,
    상기 푸쉬버튼을 제1 압압할 때에, 상기 작동 로드가 걸림 상태가 되어, 상기 차단막이 상기 수직 실린더의 단면을 열어 상기 토출홈을 통해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며,
    상기 푸쉬버튼을 제2 압압할 때에, 상기 작동 로드가 걸림 해제 상태가 되어, 상기 작동 로드가 원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차단막이 상기 수직 실린더의 단면을 막아 곡물의 토출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실린더는,
    상기 제2 관통홀의 상부에 수직하게 끼움 결합되며, 상기 곡물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곡물을 상기 수평 실린더 내로 공급하는 제1 수직 실린더; 및
    상기 제2 관통홀의 하부에 수직하게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제1 수직 실린더를 통해 공급되는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제2 수직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 실린더의 하단은 상기 차단막의 상부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막의 상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차단막의 상부면과 맞닿으며, 상기 제2 수직 실린더의 상단은 상기 차단막의 하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차단막의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수단은,
    일단은 상기 작동 로드의 타단에 형성된 삽입 홈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외주면을 따라 회전 방향으로 경사면을 가지는 복수의 회전 돌기가 형성되는 회전 로드;
    상기 수평 실린더의 타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결합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복수의 회전 돌기를 안내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내주면을 따라 상기 복수의 가이드 홈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 로드가 회전할 때에 상기 복수의 회전 돌기가 안착되어 걸림 상태가 되거나 걸림 해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가지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가이드 캡; 및
    일단은 상기 회전 로드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 캡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제1 관통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상기 회전 로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푸쉬버튼을 제1 압압할 때에, 상기 복수의 회전 돌기가 상기 복수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회전 로드가 회전하여 상기 복수의 회전 돌기가 상기 복수의 가이드 돌기의 경사면에 안착되어 걸림 상태가 되고,
    상기 푸쉬버튼을 제2 압압할 때에, 상기 회전 로드가 회전하여 상기 복수의 회전 돌기가 상기 복수의 가이드 돌기의 경사면으로부터 걸림 해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로드의 타단은 외주면을 따라 상기 복수의 회전 돌기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회전 돌기에 맞물려 상기 복수의 회전 돌기를 안내하여 상기 회전 로드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톱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로드의 외주면에는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제1 관통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가이드 홈을 따라 안내되는 복수의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
KR1020100103174A 2010-10-21 2010-10-21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 KR101171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174A KR101171581B1 (ko) 2010-10-21 2010-10-21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174A KR101171581B1 (ko) 2010-10-21 2010-10-21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632A KR20120041632A (ko) 2012-05-02
KR101171581B1 true KR101171581B1 (ko) 2012-08-07

Family

ID=46262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174A KR101171581B1 (ko) 2010-10-21 2010-10-21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5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67591B (zh) * 2014-02-20 2016-04-27 张志雄 一种微颗粒调料定量投放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561B1 (ko) 2002-03-19 2008-09-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쌀 저장고의 자동 이동장치가 구비된 김치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561B1 (ko) 2002-03-19 2008-09-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쌀 저장고의 자동 이동장치가 구비된 김치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632A (ko)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6595B2 (en) Cigar cutter
KR101556809B1 (ko) 어린이 안전용 약제 컨테이너
RU2664394C2 (ru) Прибор для рез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101183427B1 (ko)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
US20100000092A1 (en) Shaver having a space for collecting cut-off hairs
US20110068130A1 (en) Dispensing device
KR101238324B1 (ko) 스탬핑 장치
US7475838B2 (en) Shredder
US9009978B2 (en) Shaver having spaces for collecting cut-off hairs
US11259661B2 (en) Snack containment and dispensing apparatus and use thereof
MX2010010863A (es) Dispositivo de recipiente con seguro.
KR20180006456A (ko) 로크 배열체를 포함하는 로드 캐리어
US20140283693A1 (en) Electrical Food Preparation Device Comprising a Pressing Screw
US5553739A (en) Tablet dispenser
KR101171581B1 (ko)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
JP5862343B2 (ja) ドア装置
KR101050360B1 (ko)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
KR20090120132A (ko) 핸들중앙 비상키겸용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
US9981233B2 (en) Portable mixer and dispenser for multi-component substances
CN104870150A (zh) 具有安全控制装置的往复运动式食物切割设备
EP2079488B1 (en) Evaporator device for volatile substances
KR101047900B1 (ko) 정수기 겸용 곡물 저장고의 이중 토출 장치
CN101547580B (zh) 用于开关电气盒的门的装置
RU2459061C2 (ru) Узел запираемого контейнера
WO2011058936A1 (ja) スライ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