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360B1 -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360B1
KR101050360B1 KR1020100135022A KR20100135022A KR101050360B1 KR 101050360 B1 KR101050360 B1 KR 101050360B1 KR 1020100135022 A KR1020100135022 A KR 1020100135022A KR 20100135022 A KR20100135022 A KR 20100135022A KR 101050360 B1 KR101050360 B1 KR 101050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discharge
housing body
rotating body
accommod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오
Original Assignee
김용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오 filed Critical 김용오
Priority to KR1020100135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는, 내부에 수용된 곡물을 공급하는 곡물 공급부가 구비된 곡물 저장고의 일 측에 설치되며, 곡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거나 차단하는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에 있어서, 길게 형성된 몸체의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몸체의 일 측으로부터 수직하게 관통하여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몸체와, 관통홀을 통해 하우징 몸체에 삽입되어 상부면이 수용 공간의 내부면과 인접하게 설치되며, 곡물 공급부와 연통하도록 내부가 관통되어 곡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곡물 토출관 및 하우징 몸체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 몸체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곡물 토출관을 개폐하여 곡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거나 차단하는 곡물 토출 개폐부를 포함하며, 곡물 토출 개폐부는, 하우징 몸체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몸체부 및 회전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얇은 막의 형태로 연장되며, 상부면은 수용 공간의 내부면에 맞닿도록 수용 공간의 내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곡물 토출관의 단면에 상당하는 면적을 가지는 차단막을 포함하며, 회전 몸체부가 하우징 몸체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차단막이 곡물 토출관의 상부면을 개폐하여 곡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곡물을 아래 방향으로 토출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에 따르면, 하우징 몸체의 내부에 곡물 토출관을 설치하고, 하우징 몸체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곡물 토출 개폐부를 이용하여 곡물을 토출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토출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소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Apparatus for discharging grain of a grain-container}
본 발명은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적으로 토출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소형화할 수 있고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water purifier)라 함은, 물리적, 화학적 방법으로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계장치(機械裝置)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정수대상의 물을 공급하는 형태로써 정수기를 분류하면,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하는 직결형(直結形)과 물을 용기에 담아서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는 저장형(貯藏形)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정수된 물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하여 토출밸브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토출밸브는 작동레버를 작동시켜 정수된 물이 토출구를 통하여 나오도록 하되, 작동레버를 밀거나 돌림으로써 토출구가 오픈(open)되도록 레버식 토출밸브로 구성하거나, 푸쉬버튼(push button)을 한번 밀면 오픈(open)된 상태에 서 걸림으로써 정수된 물이 지속적으로 나오다가, 한번 더 푸쉬버튼을 눌러서 작동시켜, 걸림상태가 해제됨으로써 나오던 물이 멈추도록 하는 버튼식 토출밸브로 구성하는데, 후자의 방식은 일반적으로 온수버튼에 주로 적용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종래의 푸쉬버튼식 토출밸브에 따르면, 내부 구조를 이루는 구성요소가 많아 제작이 어려우며 유지보수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실린더 내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구성요소가 직렬 및 병렬로서 복합적인 구조로 배치되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푸쉬버튼에 가해지는 작동력의 전달방향이 각 구성요소에 하여 동일한 방향만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아 작동이 원활하기 않을 뿐만 아니라, 토출밸브 전체의 외형 크기가 커짐으로써, 제품을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종래의 쌀 저장고에 따르면, 하단부로 토출되는 곡물을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는 저장함에 쏟아서 담은 후, 이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꺼내야만 하는데, 주부들이 상기 저장함을 다룸에 있어서, 허리를 굽혀야 하는 등 취급이 불편하고, 이에 따라 척추 건강에도 유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통상의 정수기 형태를 취하면서 저장용기에 담겨있는 쌀알 등과 같은 곡물을 하측방향으로 토출시키되, 전체적으로 토출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소형화할 수 있고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우징 몸체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곡물 토출 개폐부를 이용하여 곡물 토출관을 개폐하여 곡물을 토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토출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소형화할 수 있고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는, 내부에 수용된 곡물을 공급하는 곡물 공급부가 구비된 곡물 저장고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곡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거나 차단하는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에 있어서, 길게 형성된 몸체의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일 측으로부터 수직하게 관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몸체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 몸체에 삽입되어 상부면이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면과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곡물 공급부와 연통하도록 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곡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곡물 토출관 및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몸체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곡물 토출관을 개폐하여 상기 곡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거나 차단하는 곡물 토출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곡물 토출 개폐부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몸체부 및 상기 회전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얇은 막의 형태로 연장되며, 상부면은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면에 맞닿도록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곡물 토출관의 단면에 상당하는 면적을 가지는 차단막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몸체부가 상기 하우징 몸체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차단막이 상기 곡물 토출관의 상부면을 개폐하여 상기 곡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곡물을 아래 방향으로 토출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에 따르면, 하우징 몸체의 내부에 곡물 토출관을 설치하고, 하우징 몸체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곡물 토출 개폐부를 이용하여 곡물을 토출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토출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에 따르면, 하우징 몸체를 중심으로 곡물 토출관 및 곡물 토출 개폐부를 쉽게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으므로 토출 장치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에 따르면, 곡물 토출 개폐부에서 곡물의 토출을 차단하는 차단막을 얇게 형성함으로써 곡물 토출관을 통해 토출되는 곡물이 곡물 토출관과 곡물 토출 개폐부 사이에 끼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토출 장치의 작동 불량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에 따르면, 곡물 토출 개폐부의 회전 가이드부는 고정 캠, 캠 팔로워 및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여 단순하고 소형화된 구조로 반자동 회전 동작을 구현함으로써 곡물을 용이하게 연속적으로 토출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토출 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토출 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토출 장치에서 하우징 몸체 및 곡물 토출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의 하우징 몸체에서 주 실린더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의 하우징 몸체에서 보조 실린더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토출 장치에서 보조 실린더, 곡물 토출 개폐부 및 회전 가이드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곡물 토출 걔폐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토출 장치에서 회전 가이드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8의 회전 가이드부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는 도 8의 회전 가이드부에서 캠 팔로워가 고정 캠의 캠 프로파일의 상사점에 위치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도 1의 토출 장치에서 곡물 토출 개폐부가 초기 상태에 위치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의 토출 장치에서 곡물 토출 개폐부를 회전시켜 곡물을 토출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토출 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토출 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장치(1)는 내부에 수용된 곡물을 공급하는 곡물 공급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 곡물 저장고(도시되지 않음)의 일 측에 설치되며, 곡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1)는 하우징 몸체(100), 곡물 토출관(200) 및 곡물 토출 개폐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몸체(100)는 길게 형성된 몸체의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몸체의 일 측을 통해 수용 공간이 곡물 공급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곡물 토출관(200)은 하우징 몸체(100)의 수용 공간(114) 내에 수용 공간(114)의 내부면과 인접하게 설치되며, 곡물 공급부와 연통하도록 내부가 관통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1)의 하우징 몸체(100) 및 곡물 토출관(200)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의 토출 장치에서 하우징 몸체 및 곡물 토출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는 도 4의 하우징 몸체에서 주 실린더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4의 하우징 몸체에서 보조 실린더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몸체(100)는, 주 실린더(110)와 보조 실린더(120)로 구성될 수 있다. 주 실린더(11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몸체(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를 관통하여 수용 공간(114)을 형성하는 제1 관통홀(112)과, 곡물 공급부(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고 제1 관통홀(112)에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2 관통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통홀(112)을 중심으로 제2 관통홀(113)의 상부(113a)는 곡물 공급부와 연결되고, 제2 관통홀(113)의 하부(113b)는 후술할 곡물 토출관(200)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관통홀(113)의 직경은 상부(113a)보다 하부(113b)가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관통홀(113)의 상부(113)는 곡물 공급부와 연결하기 위해 돌출된 연결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실린더(120)는 주 실린더(110)에 형성된 수용 공간(114)의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제2 관통홀(113)과 상하로 연통되는 제3 관통홀(121a)이 형성된 제1 몸체부(121)와, 제1 관통홀(112)의 중심축을 따라 제1 몸체부(121)와 교차하는 제2 몸체부(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 실린더(120)는 주 실린더(110)의 개구된 일단을 통해 수용 공간(114)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제3 관통홀(121a)의 상부는 곡물 공급부와 연통되고, 제3 관통홀(121a)의 하부는 곡물 토출관(200)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도 5b에서는 보조 실린더(120)가 전체적으로 십자(十字)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b에서는 제2 몸체부(122)의 내부에 제4 관통홀(122a)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2 몸체부(122)의 내부는 꽉 찬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즉, 보조 실린더(120)는 상하로 관통하는 제3 관통홀(121a)이 형성되고 일단에 후술할 곡물 토출 개폐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
한편, 보조 실린더(120)의 일단에는 후술할 곡물 토출 개폐부(30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원판 형상의 수직 가이드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판 형상의 수직 가이드부(123)와 제1 몸체부(121)의 상단부를 따라 후술할 곡물 토출 개폐부(300)의 차단막(320)의 하부면을 지지하기 위한 차단막 가이드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차단막 가이드부(124)는 얇은 철판과 같이, 잘 굽혀지지 않도록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b에서는 차단막 가이드부(124)가 수직 가이드부(123)와 제1 몸체부(121)의 상단부 각각에 분리되어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곡물 토출관(200)은 하우징 몸체(100)의 수용 공간(114) 내에 수용 공간(114)의 내부면과 인접하게 설치되며, 곡물 공급부와 연통하도록 내부가 관통되어 곡물 공급부로부터 곡물을 공급 받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물 토출관(200)은 내부가 관통된 중공 홀(211)이 구비된 수직한 원통 형태의 몸체(210)를 가지며, 곡물 토출관(200)의 몸체(210)의 상부면(212)은 하우징 몸체(100)의 수용 공간(114)의 내부면, 보다 정확하게는, 주 실린더(110)의 내주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주 실린더(110)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곡물 토출관(200)은 중공 홀(211)이 구비된 몸체(210)를 통해 곡물 공급부와 연통되며, 관통된 내부를 통해 곡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곡물을 하부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곡물 토출 개폐부(300)는 하우징 몸체(10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 몸체(100)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곡물 토출관(200)을 개폐하여 곡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토출 장치에서 보조 실린더, 곡물 토출 개폐부 및 회전 가이드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곡물 토출 걔폐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물 토출 개폐부(300)는 크게 회전 몸체부(310)와 차단막(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 몸체부(310)는 하우징 몸체(10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몸체부(310)는 보조 실린더(120)의 일단에 형성된 원판 형상의 수직 가이드부(12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몸체부(310)는 양 단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지는 몸체(311)와, 몸체(311)의 중심부에 보조 실린더(120)의 일단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부(3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몸체부(310)는 보조 실린더(120)의 일단에 결합되어 회전할 때에 보조 실린더(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멈춤단(313)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몸체부(310)는 관통부(312)와 인접한 위치에 캠 팔로워(420)의 타단이 삽입되어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홈(314)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회전 몸체부(310)의 일측에는 회전 몸체부(3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는 회전 손잡이(330)가 결합되는 홈(315)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회전 몸체부(31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몸체부(3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노브(Knob)가 형성될 수도 있다.
차단막(320)은 회전 몸체부(310)의 일단으로부터 얇은 막의 형태로 연장되며, 상부면은 수용 공간(114)의 내부면에 맞닿도록 수용 공간(114)의 내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곡물 토출관(200)의 단면에 상당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막(320)은 주 실린더(110)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조금 작은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아주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몸체부(310)가 하우징 몸체(100)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차단막(320)이 곡물 토출관(200)의 상부면을 개폐하여 곡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곡물을 아래 방향으로 토출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곡물의 토출을 차단하는 차단막(320)을 얇게 형성함으로써 곡물 토출관(200)을 통해 토출되는 곡물(예를 들어, 쌀)이 곡물 토출관(200)과 곡물 토출 개폐부(300) 사이에 끼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토출 장치(1)의 작동 불량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곡물 토출 개폐부(30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장치(1)는, 회전 몸체부(310)와 하우징 몸체(100)의 일단 사이에 구비되며, 회전 몸체부(310)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가이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토출 장치에서 회전 가이드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a는 도 8의 회전 가이드부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b는 도 8의 회전 가이드부에서 캠 팔로워가 고정 캠의 캠 프로파일의 상사점에 위치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이드부(400)는 고정 캠(410), 캠 팔로워(420) 및 코일 스프링(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 가이드부(400)는 회전 몸체부(310)와 하우징 몸체(100)(보다 정확하게는, 보조 실린더(120))의 일단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 몸체부(310)를 회전시킬 때에 축 방향으로 반자동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고정 캠(410)은 대략 얇은 원판 형상의 몸체(411)와, 몸체(411)의 중심부에 보조 실린더(120)의 일단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부(412)로 이루어지며, 몸체(411)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캠 프로파일(Cam Profile)(413)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캠(410)은 그 윤곽 또는 홈이 평면 곡선으로 나타나는 평면 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 캠(410)의 일측에는 캠 프로파일(413)의 상사점(413a)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캠(410)의 몸체(411)의 일측에는 코일 스프링(430)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414)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캠(410)은 회전 몸체부(310)를 마주보도록 하우징 몸체(100)의 일단, 보다 정확하게는, 고정 캠(410)은 보조 실린더(120)의 일단에 형성된 원판 형상의 수직 가이드부(123)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캠(410)은 캠 프로파일(413)의 상사점(413a)이 회전 방향으로 약간 회전한 위치에 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캠 팔로워(420)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일단은 코일 스프링(430)의 타단(433)에 삽입 고정되어 고정 캠(410)의 캠 프로파일(41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회전 몸체부(310)의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31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430)은 그 몸체(431)가 보조 실린더(120)의 일단을 통해 고정 캠(410)의 상부면에 장착되며, 일단(432)은 고정핀(414)에 연결되고, 타단(433)은 캠 팔로워(420)에 연결되며, 회전 몸체부(310)가 하우징 몸체(100)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회전 몸체부(31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430)의 양 끝단(432, 433)은 고정핀(414) 또는 캠 팔로워(4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 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회전 가이드부(400)의 구조에 따른 작동 원리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a에 도시된 초기 상태에서는, 고정 캠(410)에 형성된 캠 프로파일(413)의 상사점(413a)이 회전 방향으로 약간 회전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430)의 타단(433)에 연결된 캠 팔로워(420)는 캠 프로파일(413)의 상사점(413a)에 인접한 위치에서 캠 프로파일(413)과 맞닿아 있을 수 있다. 도 9a의 초기 상태에서 회전 몸체부(310)를 회전(도 9a 및 도 9b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 몸체부(310)의 슬라이딩 홈(314)에 삽입된 캠 팔로워(420)는 캠 프로파일(41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팔로워(420)가 캠 프로파일(413)의 상사점(413a)에 위치할 때까지는 사용자는 일정 이상의 힘을 제공해야 하지만, 캠 팔로워(420)가 캠 프로파일(413)의 상사점(413a)을 지나는 순간, 코일 스프링(430)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반대 방향으로 회전(도 9a 및 도 9b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도 상기 동작과 같은 원리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도 8,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고정 캠(410) 및 캠 프로파일(413)의 형상, 상사점(413a)의 위치 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서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장치(1)의 회전 가이드부(400)는 고정 캠(410), 캠 팔로워(420) 및 코일 스프링(430)을 이용하여 일정 이상의 힘이 제공되어 고정 캠(410)의 캠 프로파일(413)의 상사점(413a)을 지나면 자동으로 회전하는 반자동 회전 동작을 구현함으로써 곡물을 용이하게 연속적으로 토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하고 소형화된 구조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한편, 도 8,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회전 가이드부의 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전 가이드부의 변형 예로, 회전 가이드부는, 회전 몸체부(310)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고정핀, 하우징 몸체(100)의 일단에 형성된 제2 고정핀 및 일단은 제1 고정핀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고정핀에 연결되며, 회전 몸체부(310)가 하우징 몸체(100)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회전 몸체부(3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회전 가이드는 회전 몸체부(310)를 회전시킨 후 놓게 되면 회전 몸체부(310)는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으므로, 곡물을 원하는 시간 동안 토출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1)는 사용자의 조작 상의 안전을 도모하고 의도하지 않는 곡물의 토출을 방지하기 위해 곡물 토출 개폐부(300)와 가까운 위치에 잠금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잠금 장치는 공지의 버튼 방식 또는 회전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10a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a는 도 1의 토출 장치에서 곡물 토출 개폐부가 초기 상태에 위치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의 토출 장치에서 곡물 토출 개폐부를 회전시켜 곡물을 토출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물 토출 개폐부(300)의 회전 몸체부(310)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곡물 토출 개폐부(300)의 차단막(320)은 곡물 토출관(200)의 상부면을 막아 곡물의 토출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5a의 초기 상태에서 회전 몸체부(310)를 일정 각도 이상 회전시키면, 도 15b에 도시된 곡물 토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때에, 곡물 토출 개폐부(300)의 차단막(320)은 곡물 토출관(200)의 상부면으로부터 벗어나 곡물을 곡물 토출관(200)을 통해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은 회전 가이드부(400)가 구비된 경우에는, 회전 몸체부(310)를 어느 정도 회전시키면 회전 가이드부(400)의 반자동 회전 작동에 의해 회전 몸체부(310)는 곡물 토출 상태가 될 때까지 자동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회전 몸체부(310)를 다시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때까지 곡물의 토출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1)는 하우징 몸체(100)의 내부에 곡물 토출관(200)을 설치하고, 하우징 몸체(10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곡물 토출 개폐부(300)를 이용하여 곡물을 토출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토출 장치(1)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몸체(100)를 중심으로 곡물 토출관(200) 및 곡물 토출 개폐부(300)를 쉽게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으므로 토출 장치(1)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곡물 토출 개폐부(300)에서 곡물의 토출을 차단하는 차단막(320)을 얇게 형성함으로써 곡물 토출관(200)을 통해 토출되는 곡물이 곡물 토출관(200)과 곡물 토출 개폐부(300) 사이에 끼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토출 장치(1)의 작동 불량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곡물 토출 개폐부(300)의 회전 가이드부(400)는 고정 캠(410), 캠 팔로워(420) 및 코일 스프링(430)을 이용하여 단순하고 소형화된 구조로 반자동 회전 동작을 구현함으로써 곡물을 용이하게 연속적으로 토출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토출 장치(1)가 적용되는 예로서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1)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어떤 물질에 대한 토출 장치라면 얼마든지 다양한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토출 장치
100: 하우징 몸체 110: 주 실린더
120: 보조 실린더 200: 곡물 토출관
210: 토출관 몸체 220: 유출관
300: 곡물 토출 개폐부 310: 회전 몸체부
320: 차단막 400: 회전 가이드부
410: 고정 캠 420: 캠 팔로워
430: 코일 스프링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내부에 수용된 곡물을 공급하는 곡물 공급부가 구비된 곡물 저장고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곡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거나 차단하는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에 있어서,
    길게 형성된 몸체의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일 측으로부터 수직하게 관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몸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 몸체에 삽입되어 상부면이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면과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곡물 공급부와 연통하도록 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곡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곡물 토출관; 및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몸체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곡물 토출관을 개폐하여 상기 곡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거나 차단하는 곡물 토출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곡물 토출 개폐부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몸체부; 및
    상기 회전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얇은 막의 형태로 연장되며, 상부면은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면에 맞닿도록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곡물 토출관의 단면에 상당하는 면적을 가지는 차단막;
    상기 회전 몸체부와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일단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 몸체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 몸체부를 마주보도록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일단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소정의 캠 프로파일이 형성되며, 일측에 고정핀이 구비된 고정 캠;
    상기 회전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캠 프로파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캠 팔로워; 및
    일단은 상기 고정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캠 팔로워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 몸체부가 상기 하우징 몸체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회전 몸체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몸체부가 상기 하우징 몸체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차단막이 상기 곡물 토출관의 상부면을 개폐하여 상기 곡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곡물을 아래 방향으로 토출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
  4. 내부에 수용된 곡물을 공급하는 곡물 공급부가 구비된 곡물 저장고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곡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거나 차단하는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에 있어서,
    길게 형성된 몸체의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일 측으로부터 수직하게 관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몸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 몸체에 삽입되어 상부면이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면과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곡물 공급부와 연통하도록 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곡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곡물 토출관; 및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몸체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곡물 토출관을 개폐하여 상기 곡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거나 차단하는 곡물 토출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곡물 토출 개폐부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몸체부; 및
    상기 회전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얇은 막의 형태로 연장되며, 상부면은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면에 맞닿도록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곡물 토출관의 단면에 상당하는 면적을 가지는 차단막;
    상기 회전 몸체부와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일단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 몸체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고정핀;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일단에 형성된 제2 고정핀; 및
    일단은 상기 제1 고정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고정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 몸체부가 상기 하우징 몸체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회전 몸체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몸체부가 상기 하우징 몸체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차단막이 상기 곡물 토출관의 상부면을 개폐하여 상기 곡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곡물을 아래 방향으로 토출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
KR1020100135022A 2010-12-24 2010-12-24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 KR101050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022A KR101050360B1 (ko) 2010-12-24 2010-12-24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022A KR101050360B1 (ko) 2010-12-24 2010-12-24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0360B1 true KR101050360B1 (ko) 2011-07-19

Family

ID=44923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022A KR101050360B1 (ko) 2010-12-24 2010-12-24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3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760B1 (ko) 2013-12-11 2015-03-16 한강회 곡물 보관장치 및 곡물 보관장치용 인출유닛
CN110419969A (zh) * 2019-09-04 2019-11-08 浙江师范大学 一种容量可调的智能储米桶
CN111374536A (zh) * 2020-03-31 2020-07-07 中山市元亨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自动定时放料的高压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2642A (ja) * 1996-06-10 1997-12-16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装置
KR19990064670A (ko) * 1999-04-27 1999-08-05 조무철 쌀저장용기
JP2000018405A (ja) 1998-07-02 2000-01-18 Fuji Koki Corp 四方切換弁
KR20000014645U (ko) * 1998-12-30 2000-07-25 전주범 다종 곡물용 쌀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2642A (ja) * 1996-06-10 1997-12-16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装置
JP2000018405A (ja) 1998-07-02 2000-01-18 Fuji Koki Corp 四方切換弁
KR20000014645U (ko) * 1998-12-30 2000-07-25 전주범 다종 곡물용 쌀통
KR19990064670A (ko) * 1999-04-27 1999-08-05 조무철 쌀저장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760B1 (ko) 2013-12-11 2015-03-16 한강회 곡물 보관장치 및 곡물 보관장치용 인출유닛
CN110419969A (zh) * 2019-09-04 2019-11-08 浙江师范大学 一种容量可调的智能储米桶
CN111374536A (zh) * 2020-03-31 2020-07-07 中山市元亨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自动定时放料的高压锅
CN111374536B (zh) * 2020-03-31 2021-07-02 中山市元亨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自动定时放料的高压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360B1 (ko) 곡물 저장고의 토출 장치
EP2356928B1 (en) Adapter for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particularly for making espresso coffee
MX2007014452A (es) Interconexion de conector de valvula de bobina para un sistema de filtro.
CN103140635A (zh) 带净水功能的水龙头
US11649619B2 (en) Faucet device
TWM262133U (en) Coffee grinder and coffee machine with such grinder
KR20110036052A (ko) 유체 조절기
JPH06193103A (ja) 給水栓切換弁および給水栓切換装置組体
JP7163146B2 (ja) 水栓装置
KR101214682B1 (ko) 냉온수 일체형 코크 구조
CN103657224A (zh) 净水器
WO2017193577A1 (zh) 一种主控阀芯
KR101047900B1 (ko) 정수기 겸용 곡물 저장고의 이중 토출 장치
KR101171581B1 (ko) 곡물토출기능을 구비한 푸쉬버튼 조립체
KR200390589Y1 (ko) 정량배출쌀통
KR101589627B1 (ko)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
JP2530289B2 (ja) ワンタッチ開閉式バルブ装置
WO2007029219A3 (en) Tap
JP4638201B2 (ja) 混合水栓
KR20240050782A (ko) 유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N218981955U (zh) 一种易控制的顶喷装置
JP2007032798A (ja) プッシュ式水栓
CN219117197U (zh) 净饮机
CN220870149U (zh) 一种按压切换阀芯
US20240102562A1 (en) Valve Core and a Pull-out Faucet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