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300B1 -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위한 전력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위한 전력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300B1
KR101237300B1 KR1020120000956A KR20120000956A KR101237300B1 KR 101237300 B1 KR101237300 B1 KR 101237300B1 KR 1020120000956 A KR1020120000956 A KR 1020120000956A KR 20120000956 A KR20120000956 A KR 20120000956A KR 101237300 B1 KR101237300 B1 KR 101237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resonant
frequency
primary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0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0136A (ko
Inventor
히로시 가츠나가
유이치 다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20080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22Circuits or methods for driving the primary coil, e.g.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c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26Methods for pairing a vehicle and a charging station, e.g. establishing a one-to-one relation between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6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by positioning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30A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40DC to A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Abstract

일차 코일, 일차 공진 코일, 이차 공진 코일, 이차 코일 및 부하는 공진계를 형성한다. 부하가 변동할 때 주파수 정합부가 공진계의 공진 주파수와 고주파 전원의 출력 주파수를 서로 정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임피던스 정합부는 공진 주파수에서 일차 코일의 입력 단자에서 부하까지의 임피던스와 고주파 전원에서 일차 코일의 입력 단자까지의 임피던스를 서로 정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위한 전력 전송 방법{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POWER TRANSMISSION METHOD THEREFOR}
본 개시는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10-141976 호에 개시되어 있는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는 공진계의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가변 임피던스 회로의 임피던스를 조절한다. 상기 공진계는 일차 코일, 일차 공진 코일, 이차 공진 코일, 이차 코일 및 부하를 포함한다. 고주파 전원이 일차 코일에 전력을 공급한다. 임피던스는 공진계의 공진 주파수에서의 공진계의 입력 임피던스와 일차 코일 보다 고주파 전원에 더 가까운 부분의 임피던스가 서로 정합되도록 조절된다.
부하가 변동하면, 임피던스 정합 상태가 변하고 공진계의 공진 주파수 또한 변하게 된다. 그러므로 예컨대, 고주파 전원의 출력 주파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임피던스 정합이 수행되더라도, 전력 전송의 최대 효율이 얻어지지 않는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10-141976 호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부하가 변동하더라도 고주파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그 부하에 효율적으로 공급하는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는 고주파 전원, 고주파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받기 위한 입력 단자를 갖는 일차 코일, 전자기 유도에 의해 일차 코일로부터 전력을 받기 위한 일차 공진 코일, 자기장 공진에 의해 일차 공진 코일로부터 전력을 받기 위한 이차 공진 코일, 이차 공진 코일이 받은 전력을 전자기 유도로 추출하기 위한 이차 코일, 및 이차 코일이 받은 전력이 공급되는 부하를 포함한다. 일차 코일, 일차 공진 코일, 이차 공진 코일, 이차 코일 및 부하는 공진계를 형성한다.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는 주파수 정합부와 임피던스 정합부를 더 포함한다. 주파수 정합부는 부하가 변동할 때 공진계의 공진 주파수와 고주파 전원의 출력 주파수를 서로 정합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임피던스 정합부는 주파수 정합부가 공진계의 공진 주파수와 고주파 전원의 출력 주파수를 서로 정합시킨 상태에서 공진 주파수에서 일차 코일의 입력 단자에서 부하까지의 임피던스와 고주파 전원에서 일차 코일의 입력 단자까지의 임피던스를 서로 정합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부하가 변동할 때, 주파수 정합부가 공진계의 공진 주파수와 고주파 전원의 출력 주파수를 서로 정합시킨다. 공진계의 공진 주파수와 고주파 전원의 출력 주파수가 서로 정합된 상태에서는 임피던스 정합부가 공진계의 공진 주파수에서 일차 코일의 입력 단자에서 부하까지의 임피던스와 고주파 전원에서 일차 코일의 입력 단자까지의 임피던스를 서로 정합시킨다.
그러므로, 부하가 변동할 때도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는 고주파 전원으로부터 젼력을 부하에 효율적으로 공급한다.
"일차 코일의 입력 단자에서 부하까지의 임피던스"는 일차 코일의 양 단부에서 측정된 전체 공진계의 임피던스를 말하는 것이다. "일차 코일의 입력 단자에서 부하까지의 임피던스와 고주파 전원에서 일차 코일의 입력 단자까지의 임피던스가 서로 정합한다"라는 말은, 양 임피던스가 완전히 정합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예컨대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의 전력 전송 효율이 80% 이상인 경우 및 AC 전원으로의 반사 전력이 5% 이하인 경우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원하는 성능이 얻어지는 범위내에서 차이가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일차 코일의 입력 단자에서 부하까지의 임피던스와 고주파 전원에서 일차 코일의 입력 단자까지의 임피던스가 서로 정합한다"라는 말은, 예컨대 이들 임피던스 사이의 차가 ±10% 및 더 바람직하게는 ±5% 이내인 것을 의미한다. "공진계의 공진 주파수"는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주파수를 말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주파수 정합부는 고주파 전원의 출력 주파수를 공진계의 공진 주파수와 정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주파수 정합부는 공진계의 공진 주파수를 고주파 전원의 출력 주파수와 정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는 부하의 변동을 검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임피던스 측정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는 임피던스 측정 기구로 부하의 변동을 검출하게 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공진계에서의 비접촉 전력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공진계는 고주파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받기 위한 입력 단자를 갖는 일차 코일, 전자기 유도에 의해 일차 코일로부터 전력을 받기 위한 일차 공진 코일, 자기장 공진에 의해 상기 일차 공진 코일로부터 전력을 받기 위한 이차 공진 코일, 이차 공진 코일이 받은 전력을 전자기 유도로 추출하기 위한 이차 코일, 및 이차 코일이 받은 전력이 공급되는 부하를 포함한다. 상기 비접촉 전력 전송 방법은, 부하가 변동할 때 공진계의 공진 주파수와 고주파 전원의 출력 주파수를 서로 정합시키는 단계, 및 공진계의 공진 주파수와 고주파 전원의 출력 주파수가 서로 정합된 상태에서는 공진 주파수에서 일차 코일의 입력 단자에서 부하까지의 임피던스와 고주파 전원에서 일차 코일의 입력 단자까지의 임피던스를 서로 정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와 이점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첨부 도면과 함께하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신규하다고 생각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그 목적 및 이점과 함께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함께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타임 챠트이다.
도 3 은 비교예의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에 따른 부하 저항과 전력 전송 효율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에 따른 부하 저항과 전력 전송 효율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 는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타임 챠트이다.
이제 본 개시의 제 1 실시 형태를 도 1 ∼ 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10)는 고주파 전원(11), 이 고주파 전원(11)에 연결되어 있는 일차 코일(12), 일차 공진 코일(13), 이차 공진 코일(14), 이차 코일(15), 이차 코일(15)에 연결되어 있는 부하(16) 및 가변 임피던스 회로(17)를 포함한다. 이 가변 임피던스 회로(17)는 고주파 전원(11)과 일차 코일(12) 사이에 위치된다. 커패시터(capacitor: 18)가 일차 공진 코일(13)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차 공진 코일(14)에는 커패시터(19)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일차 코일(12), 일차 공진 코일(13) 및 커패시터(18)는 일차 공진기를 형성한다. 이차 공진 코일(14), 이차 코일(15) 및 커패시터(19)는 이차 공진기를 형성한다. 일차 코일(12), 일차 공진 코일(13), 이차 공진 코일(14), 이차 코일(15), 부하(16) 및 커패시터(18, 19)는 공진계(20)를 형성한다.
고주파 전원(11)은 고주파 전압을 출력하는 전원이며, 이 고주파 전압은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AC 전압이다. 고주파 전원(11)에서 출력된 AC 전력의 주파수는 가변적이다.
일차 코일(12), 일차 공진 코일(13), 이차 공진 코일(14) 및 이차 코일(15)은 각각 전선으로 형성된다. 코일을 형성하는 이 전선은 예컨대 비닐 절연된 선이다. 각 코일의 권경(winding diameter)과 권수(the number of windings)는 필요에 따라 전송될 전력의 레벨에 따라 설정된다. 제 1 실시 형태에서, 일차 코일(12), 일차 공진 코일(13), 이차 공진 코일(14) 및 이차 코일(15)은 동일한 권경을 갖는다. 일차 공진 코일(13)과 이차 공진 코일(14)은 서로 동일하다. 커패시터(18, 19)는 서로 동일하다. 일차 코일(12)은 가변 임피던스 회로(17)를 통해 고주파 전원(11)으로부터 전력을 받기 위한 입력 단자(12a, 12b)를 포함한다.
가변 정합(matching) 회로(제 1 실시 형태에서는 가변 임피던스 회로(17))는 두개의 가변 커패시터(21, 22)와 인덕터(23)를 포함한다. 가변 커패시터(21)는 고주파 전원(11)에 병렬로 연결된다. 가변 커패시터(22)는 일차 코일(12)에 병렬로 연결된다. 인덕터(23)는 가변 커패시터(21, 22) 사이에 연결된다. 가변 커패시터(21, 22)의 용량이 각각 변하면, 가변 임피던스 회로(17)의 임피던스가 변하게 된다. 가변 임피던스 회로(17)는 일차 코일(12) 보다 고주파 전원(11)에 더 가까운 부분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킨다. "일차 코일(12) 보다 고주파 전원(11)에 더 가까운 부분의 임피던스"는 고주파 전원(11)에서 일차 코일(12)의 입력 단자(12a, 12b)까지의 임피던스"를 말한다. 즉, 가변 임피던스 회로(17)는 고주파 전원(11)에서 일차 코일(12)의 입력 단자(12a, 12b)까지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킨다.
고주파 전원(11)의 출력 라인에는 임피던스 측정 기구(25)가 연결되어 있다. 이 임피던스 측정 기구(25)에는 제어기(24)가 연결되어 있다. 임피던스 측정 기구(25)는 공진계(20)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기 위한 공진 주파수 검출부 및 정합 상태 검출부로서 기능하게 된다.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10)는 차량에 탑재되는 이차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유도 충전을 이용하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차 공진 코일(14), 이차 코일(15), 커패시터(19) 및 부하(16)는 차량에 탑재된다. 제 1 실시 형태에서, 부하(16)는 이차 배터리로서 역할한다. 고주파 전원(11), 일차 코일(12), 커패시터(18), 일차 공진 코일(13), 가변 임피던스 회로(17), 임피던스 측정 기구(25) 및 제어기(24)는 비접촉으로 이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에 설치된다. 이 충전기는 지상의 설비에 제공되며, 제 1 실시 형태에서 이 설비는 충전소이다.
제 1 실시 형태에서, 제어기(24)는 주파수 정합부를 형성한다. 가변 임피던스 회로(17) 및 제어기(24)는 임피던스 정합부를 형성한다.
이제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1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차량이 전력 공급 위치(충전기) 근처의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 전력이 부하(16)에 공급된다.
제어기(24)는 전력 공급 동안 가변 커패시터(21, 22)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가변 커패시터(21, 22)의 용량을 적절한 용량으로 변화시킨다. 그 결과, 가변 커패시터(21, 22)의 용량은 부하(16)의 크기에 적절한 값으로 변하게 된다.
그런 다음, 고주파 전원(11)이 공진계(20)의 공진 주파수에서 일차 코일(12)에 고주파 전력을 출력한다. 일차 코일(12)이 전력을 받으면, 전자기 유도로 자기장이 발생된다. 이 자기장은 일차 공진 코일(13)과 이차 공진 코일(14)의 자기장 공진으로 강화된다. 이차 코일(15)은 전자기 유도를 사용하여 그 강화된 이차 공진 코일(14)의 부근에서 자기장으로부터 전력을 추출하게 된다. 이 추출된 전력은 부하(16), 즉 이차 배터리에 공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차 코일(12)은 고주파 전원(11)으로부터 전력을 받는다. 일차 코일(12)로부터 전력은 전자기 유도에 의해 일차 공진 코일(13)에 공급된다. 이차 공진 코일(14)은 자기장 공진에 의해 일차 공진 코일(13)로부터 전력을 받게 된다. 이차 코일(15)은 이차 공진 코일(14)이 받은 전력을 전자기 유도로 추출한다. 이차 코일(15)이 받은 전력은 부하(16)에 공급된다.
부하(16)의 값은 도 2 의 시간 t1 에서 α 에서 β 로 변동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공진계(20)의 공진 주파수는 시간 t2 에서 A [Hz] 에서 B [Hz] 로 변하게 된다. 제 1 실시 형태에서, α 는 β 보다 크고 (α > β), A 는 B 보다 크다 (A > B).
임피던스 측정 기구(25)는 공진계(20)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공진 주파수를 제어기(24)에 보낸다. 즉, 이 제어기(24)는 공진계(20)의 공진 주파수가 A [Hz] 에서 B [Hz] 로 변한 것을 검출한다.
그러면 제어기(24)는 고주파 전원(11)의 출력 주파수를 공진계(20)의 공진 주파수와 정합하도록 조절한다. 즉, 고주파 전원(11)의 출력 주파수는 시간 t3 에서 A [Hz] 에서 B [Hz] 로 변하게 된다.
이어서, 제어기(24)는 도 2 의 시간 t3 ∼ t4 동안 가변 임피던스 회로(17)의 커패시터 용량을 조절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어기(24)는 임피던스 측정 기구(25)로부터 검출 값을 얻어서 정합 상태를 확인하면서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것이다.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기(24)는 공진계(20)의 공진 주파수에서의 공진계(20)의 입력 임피던스와 일차 코일(12) 보다 고주파 전원(11)에 더 가까운 부분의 임피던스가 서로 정합하도록 가변 임피던스 회로(17)의 커패시터 용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공진계(20)의 입력 임피던스"는 "일차 코일(12)의 입력 단자(12a, 12b)에서 부하(16)까지의 임피던스"를 말한다. "일차 코일(12) 보다 고주파 전원(11)에 더 가까운 부분의 임피던스"는 "고주파 전원(11)에서 일차 코일(12)의 입력 단자(12a, 12b)까지의 임피던스"를 말한다. 즉, 제어기(24)는 일차 코일(12)의 입력 단자(12a, 12b)에서 부하(16)까지의 임피던스와 고주파 전원(11)에서 일차 코일(12)의 입력 단자(12a, 12b)까지의 임피던스가 서로 정합하도록 가변 임피던스 회로(17)의 커패시터 용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 결과, 고주파 전원으로의 반사 전력이 감소된다. 고주파 전원(11)으로부터의 전력은 부하(16), 즉 이차 배터리에 효율적으로 공급된다.
이제 부하 변동과 전력 전송 효율간의 관계를 설명하도록 한다.
부하(16)가 변하면, "정합 상태"가 변하게 되며, "공진계의 공진 주파수" 도 변하게 된다.
그러므로, 비교예로서, 만약 고주파 전원의 출력 주파수가 임의의 주파수로 고정된 상태에서 임피던스 정합이 수행된다면, 전력 전송의 최대 효율은 도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얻어질 수 없게 된다. 도 3 에서, 부하 저항이 예컨대 800 Ω 일 때, 전력 전송 효율은 대략 60% 이다. 따라서, 최대 효율이 얻어지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부하(16)가 변동할 때 공진계(20)의 공진 주파수를 찾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 고주파 전원의 출력 주파수가 변하여 공진계(20)의 공진 주파수와 정합하게 된다. 이리 하여 임피던스 정합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 부하 저항이 약 330 Ω 또는 800 Ω 로 변하면, 전력 전송 효율은 도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의 90% 로 유지된다.
임피던스 정합이 이루어지기 전의 효율을 나타내는 도 3 의 그래프와 임피던스 정합이 이루어지기 전의 효율을 나타내는 도 4 의 그래프를 비교해 보면, 고주파 전원의 출력 주파수가 도 4 의 경우에는 변하기 때문에, 전력 전송 효율은 도 3 의 그래프에서 보다 도 4 의 그래프에서 더 좋다. 제 1 실시 형태에서, 임피던스 정합은 고주파 전원의 출력 주파수의 변화 후에 더 수행되므로, 전력 전송 효율이 더 증대된다.
제 1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1) 부하(16)가 변동하면, 제어기(24)가 공진계(20)의 공진 주파수와 고주파 전원(11)의 출력 주파수를 서로 정합시킨다. 공진계(20)의 공진 주파수와 고주파 전원(11)의 출력 주파수가 서로 정합된 상태에서, 제어기(24)와 가변 임피던스 회로(17)는 공진 주파수에서의 공진계(20)의 입력 임피던스와 일차 코일(12) 보다 고주파 전원(11)에 더 가까운 부분에서의 임피던스가 서로 정합하도록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전력이 부하 변동에 상관 없이 최대 효율로 전송된다.
(2) 주파수 정합부(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기(24))가 고주파 전원(11)의 출력 주파수를 공진계(20)의 공진 주파수와 정합시킨다.
(3) 임피던스 측정 기구(25)가 부하(16)의 변동을 검출한다.
도 5 및 6 은 본 개시의 제 2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제 1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을 주로 설명할 것이다.
도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변 커패시터(30)가 일차 공진 코일(13)에 병렬로 연결된다. 이차 공진 코일(14)에는 가변 커패시터(31)가 병렬로 연결된다. 제어기(24)는 가변 커패시터(30)의 용량과 가변 커패시터(31)의 용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실시 형태에서, 제어기(24)와 가변 커패시터(30, 31)는 주파수 정합부를 형성한다.
부하(16)의 값은 도 6 의 시간 t10 에서 α 에서 β 로 변동된다고 가정한다. 그 결과, 공진계(20)의 공진 주파수는 도 6 의 시간 t11 에서 A [Hz] 에서 B [Hz] 로 변하게 된다.
임피던스 측정 기구(25)는 공진계(20)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공진 주파수를 제어기(24)에 보낸다. 즉, 이 제어기(24)는 공진계(20)의 공진 주파수가 A [Hz] 에서 B [Hz] 로 변한 것을 검출한다.
도 6 에 나타나 있는 시간 t11 ∼ t12 동안 제어기(24)는 가변 커패시터(30, 31)의 용량을 조절하여 고주파 전원(11)의 출력 주파수와 정합되게 한다. 이런 방식으로 제 2 실시 형태의 제어기(24)는 공진계(20)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한다. 즉, 제어기(24)는 일차 공진기의 고유 주파수와 이차 공진기의 고유 주파수를 조절하여 공진계(20)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이다. 일차 공진기는 일차 코일(12) 및 일차 공진 코일(13)을 포함하며, 이차 공진기는 이차 공진 코일(14) 및 이차 코일(15)을 포함한다.
제어기(24)는 도 6 에 나타나 있는 시간 t12 ∼ t13 동안 가변 임피던스 회로(17)의 커패시터 용량을 조절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어기(24)는 임피던스 측정 기구(25)로부터 검출 값을 얻어서 정합 상태를 확인하면서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것이다.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기(24)는 공진 주파수에서의 공진계(20)의 입력 임피던스와 일차 코일(12) 보다 고주파 전원(11)에 더 가까운 부분의 임피던스가 서로 정합하도록 가변 임피던스 회로(17)의 커패시터 용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 결과, 고주파 전원(11)으로의 반사 전력이 감소된다. 고주파 전원(11)으로부터의 전력은 부하(16), 즉 이차 배터리에 효율적으로 공급된다.
제 2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4) 제어기(24)와 가변 커패시터(30, 31)는 공진계(20)의 공진 주파수를 고주파 전원(11)의 출력 주파수와 정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제 1 실시 형태에서, 일차부에 제공되는 임피던스 측정 기구(25)는 부하(16)의 변동을 검출하고, 제어기(24)에 피드백을 제공한다. 대신에, 부하 변동 검출부(26)(도 1 에 파선으로 나타나 있음)가 이차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예컨대, 부하(16)(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이차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를 얻어서 부하 변동 검출부(26)가 이차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부하(16)의 변동을 검출하게 된다.
유사하게, 제 2 실시 형태에서도, 부하 변동 검출부(32)(도 5 에 파선으로 나타나 있음)가 이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 부하 변동 검출부(32)는 예컨대 부하의 SOC 를 얻어서 그 부하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부하 변동을 검출하게 된다. 즉, 제 2 실시 형태에서도, 일차부에 제공되는 임피던스 측정 기구(25)가, 반드시, 부하(16)의 변동을 검출하여 제어기(24)에 피드백을 제공할 필요는 없다.
제 1 및 2 실시 형태에서, 일차부에 제공되는 임피던스 측정 기구(25)는 공진계(20)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기 위한 공진 주파수 검출부로서 기능하고, 또한 정합 상태 검출부로서도 기능하게 된다. 대신에, 공진계(20)의 공진 주파수 검출부와 정합 상태 검출부는 별개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공진계(20)의 공진 주파수 검출부는 임피던스 측정 기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정합 상태 검출부는 전압 정재파비(voltage standing wave ratio: VSWR) 측정 기구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가변 임피던스 회로(17)는, 반드시, 두 개의 가변 커패시터(21, 22) 및 하나의 인덕터(23)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예컨대, 가변 커패시터(21, 22) 중의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즉, 가변 임피던스 회로(17)는 하나의 가변 커패시터 및 하나의 인덕터(23)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가변 임피던스 회로(17)는 고정 커패시터 및 가변 인덕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차 코일(12), 일차 공진 코일(13), 이차 공진 코일(14) 및 이차 코일(15)의 외형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 외형은 사각형, 육각형 및 삼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도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외형은 타원형일 수도 있다.
일차 공진 코일(13) 및 이차 공진 코일(14)은 전선이 원통형으로 감겨 있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전선은 평면형으로 감길 수도 있다.
제 1 실시 형태에서, 커패시터(18, 19)의 용량을 사용하는 대신에, 일차 공진 코일(13) 및 이차 공진 코일(14)의 기생(parasitic) 용량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기생 용량이 사용되는 경우, 공진계(20)는 일차 코일(12), 일차 공진 코일(13), 이차 공진 코일(14), 이차 코일(15) 및 부하(16)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실시 형태에서, 일차 공진기의 고유 주파수가 이차 공진기의 고유 주파수와 같으면, 일차 공진 코일과 이차 공진 코일의 권경과 권수는 동일할 필요는 없다. 또한, 커패시터(18, 19)는 서로 같을 필요가 없다.
정류기, 정합 회로 및 DC/DC 컨버터 중의 적어도 하나가 부하(16)와 이차 코일(15)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것 중 어느 것이라도 제공된다면, 공진계(20)는 정류기, 정합 회로 및 DC/DC 컨버터를 포함한다.
10: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11: 고주파 전원
12: 일차 코일
12a, 12b: 입력 단자
13: 일차 공진 코일
14: 이차 공진 코일
15: 이차 코일
16: 부하
17: 가변 임피던스 회로
18: 커패시터
19: 커패시터
20: 공진계
21, 22: 가변 커패시터
23: 인덕터

Claims (5)

  1.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로서,
    고주파 전원;
    상기 고주파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받기 위한 입력 단자를 갖는 일차 코일;
    전자기 유도에 의해 상기 일차 코일로부터 전력을 받기 위한 일차 공진 코일;
    자기장 공진에 의해 상기 일차 공진 코일로부터 전력을 받기 위한 이차 공진 코일;
    상기 이차 공진 코일이 받은 전력을 전자기 유도로 추출하기 위한 이차 코일; 및
    상기 이차 코일이 받은 전력이 공급되는 부하를 포함하며,
    상기 일차 코일, 상기 일차 공진 코일, 상기 이차 공진 코일, 상기 이차 코일, 및 상기 부하는 공진계를 형성하고,
    상기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는,
    상기 부하가 변동할 때 상기 공진계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고주파 전원의 출력 주파수를 서로 정합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주파수 정합부; 및
    상기 주파수 정합부가 상기 공진계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고주파 전원의 출력 주파수를 서로 정합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일차 코일의 입력 단자에서 상기 부하까지의 임피던스와 상기 고주파 전원에서 상기 일차 코일의 입력 단자까지의 임피던스를 서로 정합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임피던스 정합부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정합부는 상기 고주파 전원의 출력 주파수를 상기 공진계의 공진 주파수와 정합시키는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정합부는 상기 공진계의 공진 주파수를 상기 고주파 전원의 출력 주파수와 정합시키는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변동을 검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임피던스 측정 기구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5. 고주파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받기 위한 입력 단자를 갖는 일차 코일; 전자기 유도에 의해 상기 일차 코일로부터 전력을 받기 위한 일차 공진 코일; 자기장 공진에 의해 상기 일차 공진 코일로부터 전력을 받기 위한 이차 공진 코일; 상기 이차 공진 코일이 받은 전력을 전자기 유도로 추출하기 위한 이차 코일; 및 상기 이차 코일이 받은 전력이 공급되는 부하를 포함하는 공진계에서의 비접촉 전력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부하가 변동할 때 상기 공진계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고주파 전원의 출력 주파수를 서로 정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공진계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고주파 전원의 출력 주파수가 서로 정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일차 코일의 입력 단자에서 상기 부하까지의 임피던스와 상기 고주파 전원에서 상기 일차 코일의 입력 단자까지의 임피던스를 서로 정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진계에서의 비접촉 전력 전송 방법.
KR1020120000956A 2011-01-06 2012-01-04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위한 전력 전송 방법 KR101237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01191 2011-01-06
JP2011001191A JP2012143117A (ja) 2011-01-06 2011-01-06 非接触電力伝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136A KR20120080136A (ko) 2012-07-16
KR101237300B1 true KR101237300B1 (ko) 2013-02-27

Family

ID=45440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956A KR101237300B1 (ko) 2011-01-06 2012-01-04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위한 전력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175968A1 (ko)
EP (1) EP2475073A1 (ko)
JP (1) JP2012143117A (ko)
KR (1) KR101237300B1 (ko)
CN (1) CN1025939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8884B2 (ja) * 2009-09-18 2013-07-17 株式会社東芝 無線電力伝送装置
JP5732870B2 (ja) * 2011-01-25 2015-06-10 株式会社明電舎 非接触給電装置および非接触給電方法
JP5594375B2 (ja) * 2011-02-15 2014-09-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受電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車両、非接触給電設備、非接触受電装置の制御方法、ならびに非接触給電設備の制御方法
US9553463B2 (en) * 2011-10-12 2017-01-24 Mechanical Energy Generating Systems,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a homopolar generator charger with integral rechargeable battery
JP5696058B2 (ja) 2012-01-13 2015-04-08 株式会社東芝 受電装置、送電装置および制御装置
WO2014031627A1 (en) * 2012-08-21 2014-02-27 Diodes Incorporated Wireless led lighting
EP2891218A4 (en) * 2012-08-31 2016-05-18 Auckland Uniservices Ltd NON-SELF-ADJUST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WITH IMPROVED EFFICIENCY
JP6076355B2 (ja) * 2012-09-05 2017-02-08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TWI565176B (zh) * 2012-09-28 2017-01-01 Wow Tech Corp Non - contact induction transmission equipment
JP2014168359A (ja) * 2013-02-28 2014-09-11 Nitto Denko Corp 無線電力伝送装置、無線電力伝送装置の供給電力制御方法、及び、無線電力伝送装置の製造方法
JP2014204469A (ja) * 2013-04-01 2014-10-27 日東電工株式会社 無線電力伝送装置、無線電力伝送装置の供給電力制御方法、及び、無線電力伝送装置の製造方法
WO2014203346A1 (ja) * 2013-06-19 2014-12-2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送電装置、非接触給電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6092017B2 (ja) 2013-06-25 2017-03-0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送電装置、非接触給電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US10432025B2 (en) 2013-06-28 2019-10-01 Polyvalor, Limited Partnership Smart multicoil inductively-coupled array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102098647B1 (ko) * 2013-07-22 2020-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멀티 타겟에 대한 임피던스 매칭 제어 방법 및 이를 채용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WO2015029221A1 (ja) * 2013-08-30 2015-03-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非接触電力受電システム、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4869678B (zh) * 2013-12-17 2017-04-12 Bsh家用电器有限公司 感应灶台适配器
KR101771804B1 (ko) * 2015-09-25 2017-08-25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공진 주파수 제어 방법
JP6487121B2 (ja) * 2015-11-02 2019-03-2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ワイヤレス誘導電力伝送
JP6538628B2 (ja) * 2016-09-05 2019-07-03 株式会社東芝 フィルタ回路及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WO2018229841A1 (ja) * 2017-06-12 2018-12-20 中国電力株式会社 無線給電装置
CN110112835A (zh) * 2019-05-16 2019-08-09 中南大学 频率可重构四线圈结构磁耦合谐振式无线能量传输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053A (ja) * 1998-06-16 2000-01-14 Nec Corp 自動同調周波数制御式誘導給電装置および方法
KR20040067669A (ko) * 2003-01-24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전극 조명 시스템의 공진주파수 조절장치
JP2010148174A (ja) * 2008-12-16 2010-07-01 Hitachi Ltd 電力伝送装置、電力送信装置および電力受信装置
KR20110081886A (ko) * 2008-12-09 2011-07-14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및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에 있어서의 전력 전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134A (ja) * 2001-03-08 2002-09-20 Mitsubishi Heavy Ind Ltd 高周波電力の非接触給電装置及び非接触給電方法
JP2010028819A (ja) * 2008-07-22 2010-02-04 Toshiba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読取装置
JP5375032B2 (ja) * 2008-11-04 2013-12-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非接触電力伝送装置及び非接触電力伝送装置の設計方法
JP5515659B2 (ja) * 2008-12-01 2014-06-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5114371B2 (ja) 2008-12-09 2013-01-0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5349069B2 (ja) * 2009-02-09 2013-11-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2010204212A (ja) * 2009-02-27 2010-09-1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制御方法、画像形成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515368B2 (ja) * 2009-03-31 2014-06-1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電力供給方法及び無線電力供給システム
KR101373208B1 (ko) * 2009-05-28 2014-03-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 장치,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그것의 전력 전송 방법
JP5211088B2 (ja) * 2010-02-12 2013-06-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給電装置および車両給電システム
JP5146488B2 (ja) * 2010-05-26 2013-0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給電システムおよび車両
JP5465640B2 (ja) * 2010-09-13 2014-04-0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共鳴型無線電力伝送装置および共鳴型無線電力伝送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053A (ja) * 1998-06-16 2000-01-14 Nec Corp 自動同調周波数制御式誘導給電装置および方法
KR20040067669A (ko) * 2003-01-24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전극 조명 시스템의 공진주파수 조절장치
KR20110081886A (ko) * 2008-12-09 2011-07-14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및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에 있어서의 전력 전송 방법
JP2010148174A (ja) * 2008-12-16 2010-07-01 Hitachi Ltd 電力伝送装置、電力送信装置および電力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75968A1 (en) 2012-07-12
CN102593959A (zh) 2012-07-18
KR20120080136A (ko) 2012-07-16
JP2012143117A (ja) 2012-07-26
EP2475073A1 (en)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300B1 (ko)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위한 전력 전송 방법
KR101140181B1 (ko) 공명형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KR101248453B1 (ko)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및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에 있어서의 전력 전송 방법
JP5114371B2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
US102500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and power transmission information
CN104167823B (zh) 检测装置、供电系统与检测装置的控制方法
KR101338654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JP6261978B2 (ja) 検知装置、送電装置、給電システムおよび検知方法
US20180138756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same
JP5365306B2 (ja) 無線電力供給システム
KR101947980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무선 전력 수신 장치
JP5515659B2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2014225961A (ja) 検知装置、給電システム、および、検知装置の制御方法
JP2010141977A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における電力伝送方法及び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6178107B2 (ja) 給電システム及び共振回路
WO2013002240A1 (ja) 給電システムの設計方法及び給電システム
US20140354075A1 (en) Electric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KR20130041870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의 무선 전력 송신 방법
KR101305828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JP2014017893A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
KR101822213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KR101905882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JP6615575B2 (ja) 給電システム
JP2012257374A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
KR20130096210A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