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094B1 - 스로어웨이식 절삭 회전 공구 - Google Patents

스로어웨이식 절삭 회전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094B1
KR101236094B1 KR1020117002636A KR20117002636A KR101236094B1 KR 101236094 B1 KR101236094 B1 KR 101236094B1 KR 1020117002636 A KR1020117002636 A KR 1020117002636A KR 20117002636 A KR20117002636 A KR 20117002636A KR 101236094 B1 KR101236094 B1 KR 101236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cutting
protrusion
shape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2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6605A (ko
Inventor
다스꾸 이또
야스오 하마따께
가쯔또시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오에스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에스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에스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6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23C5/109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with removable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28Grooving workpieces
    • B23C3/30Milling straight grooves, e.g. key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08Side or top views of the cutting edge
    • B23C2210/086Discontinuous or interrupted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28Arrangement of teeth
    • B23C2210/285Cutting edges arranged at different di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36Production of grooves
    • B23C2220/366Turbine blade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60Roug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1908Face or end mill
    • Y10T407/1924Specified tool sh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5Compound tooth arran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52Having peripherally spaced teeth
    • Y10T407/196Varying in cutting edge profi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52Having peripherally spaced teeth
    • Y10T407/1962Specified tooth shape or spa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5Having stepped cutting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중삭용 커터(70)에서는, 제2 내지 제4 단차부(76 내지 78)에 있어서, 직사각형 팁(91) 및 정사각형 팁(92)을 축선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하고 있으므로, 한 쌍의 직사각형 팁(91)과 정사각형 팁(92)으로 1날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 근원부에 대한 접촉 빈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중삭용 커터(70)에 의한 절삭 속도를 상승시켜 절삭 이송을 빠르게 할 수 있으므로, 중삭 공정에 있어서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직사각형 팁(91) 및 정사각형 팁(92)은 단순한 형상이므로, 시판되고 있는 종래의 스로어웨이 팁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비용이 들지 않고, 사용 편의성이 좋은 중삭용 커터(70)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로어웨이식 절삭 회전 공구{THROW-AWAY CUTTING ROTARY TOOL}
본 개시는, 스로어웨이식 절삭 회전 공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로터의 외주에 장착되는 터빈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근원부를 절삭하기 위한 스로어웨이식 절삭 회전 공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발전기용 터빈 블레이드를 제조하는 경우, 터빈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근원부를, 로터의 외주에 형성된 크리스마스 트리 형상의 홈에 장착시키기 위해, 그 윤곽을 홈의 형상에 맞출 필요가 있다. 블레이드 근원부는, 일반적으로 자신의 길이 방향에 대해 좌우 대칭이고, 또한 선단부측을 향해 역(逆) 크리스마스 트리 형상으로 근원부 폭이 증감하면서 서서히 좁아지도록 가공되고, 근원부 폭이 좁아진 협폭부와, 근원부 폭이 넓어진 광폭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 근원부를 1패스로 측면 가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역 크리스마스 트리 형상으로 형성된 공구 본체를 구비하고, 그 공구 본체에 형성된 복수개의 절삭 팁 시트에, 절삭 팁을 고정 설치할 수 있는 소위「스로어웨이」타입의 절삭 공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 타입의 절삭 공구는, 공구 본체는 그대로 두고 절삭 팁만을 교환할 수 있으므로, 공구의 폐기량이 감소하는 동시에 경제적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254812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절삭 공구에서는, 1개의 공구로 복잡한 블레이드 근원부를 황삭하므로, 공구에 걸리는 부하가 크고, 특히 직경 방향 내측으로 잘록한 부분은 다른 부위에 비해 약하다. 그로 인해, 가공 중에 진동이나 채터링 노이즈를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불안정한 상태에서 계속해서 가공한 경우, 그 잘록한 부분을 중심으로 파손될 우려도 있으므로, 공구의 절삭 이송을 억제하면서 가공해야 해, 효율적인 가공을 할 수 없었다. 또한, 절삭 팁의 형상을 블레이드 근원부의 윤곽 형상에 맞출 필요가 있으므로, 시판되고 있는 일반적인 직사각 형상의 절삭 팁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절삭 팁을 제조하기 위한 비용이 든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개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터빈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근원부를 효율적이고, 또한 안정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스로어웨이식 절삭 회전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로터의 외주에 장착되는 터빈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근원부이며, 당해 블레이드 근원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좌우 대칭이고, 또한 선단부측을 향해 역 크리스마스 트리 형상으로 근원부 폭이 증감하면서 서서히 좁아지도록 가공되고, 상기 근원부 폭이 좁아진 협폭부와, 상기 근원부 폭이 넓어진 광폭부를 교대로 갖는 상기 블레이드 근원부의 중삭 가공을 행하기 위한 스로어웨이식 절삭 회전 공구이며, 축선 주위로 회전하고, 축선 방향 선단부를 향해 단차 형상으로 소직경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 근원부에 형성된 상기 협폭부의 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단차부를 측면에 갖는 공구 본체와, 당해 공구 본체의 상기 축선 방향 선단부측의 단차부의 외주 또한 주위 방향으로 오목 형성된 적어도 짝수로 이루어지는 제1 팁 시트와, 상기 공구 본체의 상기 선단부측의 단차부보다도 후단부측에 배치된 단차부의 외주 또한 주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선 방향에 대해 지그재그 형상으로 오목 형성된 적어도 짝수로 이루어지는 제2 팁 시트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팁 시트에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직선 형상의 각 변의 양단부끼리를 원호로 연결한 제1 팁이 끼움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2 팁 시트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제2 팁과,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제3 팁이 상기 공구 본체의 주위 방향으로 교대로 끼움 삽입되어 각각 고정되고, 형성되어야 할 상기 블레이드 근원부의 예정 형상을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에서 본 경우에, 상기 제1 팁의 하나의 원호 부분과, 당해 원호 부분의 일단부에 연속되는 한 변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 근원부의 가장 후단부측에 형성되는 상기 협폭부가 절삭되고, 상기 제2 팁의 하나의 코너부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 근원부의 상기 협폭부가 절삭되고, 상기 제3 팁의 한 변에 의해, 상기 협폭부와 상기 협폭부 사이가 절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식 절삭 회전 공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블레이드 근원부(1)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블레이드 근원부 절삭 가공 공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황삭(rough cutting) 공정의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황삭 공정을 종료한 블레이드 근원부(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황삭용 커터(2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황삭용 커터(20)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황삭용 커터(20)의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8은 황삭용 커터(20)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정사각형 팁(51) 및 직사각형 팁(52)의 서로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각 단차부(25 내지 29)에 있어서의 정사각형 팁(51) 및 직사각형 팁(52)의 각 이동 궤적과, 블레이드 근원부(1)에 형성되는 황삭 형상(2)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중삭(semi-finishing) 공정의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중삭 공정을 종료한 블레이드 근원부(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중삭용 커터(70)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중삭용 커터(70)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중삭용 커터(70)의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5는 중삭용 커터(70)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직사각형 팁(91), 정사각형 팁(92), 씨앗 형상 팁(95), 원형 팁(96)의 서로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각 단차부(75 내지 79)에 있어서의 직사각형 팁(91), 정사각형 팁(92), 씨앗 형상 팁(95), 원형 팁(96)의 각 이동 궤적과, 블레이드 근원부(1)에 형성되는 중삭 형상(3)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정삭(finishing) 공정의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평가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인 중삭용 커터(70)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블레이드 근원부(1)는, 발전기로서 이용되는 로터(도시하지 않음)의 외주에 형성된 홈에, 터빈 블레이드(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하기 위한 베이스부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중삭용 커터(70)는, 그 블레이드 근원부(1)를 절삭하는 공정 중에서, 2번째로 행해지는 중삭 공정(도 2 : S11)에서 사용되는 스로어웨이식의 절삭 회전 공구이다.
우선, 블레이드 근원부(1)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터빈 블레이드의 베이스부인 블레이드 근원부(1)는, 자신의 길이 방향에 대해 좌우 대칭이고, 또한 선단부측을 향해 역 크리스마스 트리 형상으로 근원부 폭이 증감하면서 서서히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 근원부(1)의 외주면에는, 선단부측으로부터 후단부측을 향해, 제1 광폭부(11), 제2 광폭부(12), 제3 광폭부(13), 제4 광폭부(14)가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고, 그들의 근원부 폭은 서서히 넓어지고 있다.
또한, 제1 광폭부(11)와 제2 광폭부(12) 사이에 제1 협폭부(15)가 형성되고, 제2 광폭부(12)와 제3 광폭부(13) 사이에 제2 협폭부(16)가 형성되고, 제3 광폭부(13)와 제4 광폭부(14) 사이에 제3 협폭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제4 광폭부(14)의 후방에 제4 협폭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협폭부(16)의 근원부 폭은, 제1 협폭부(15)의 근원부 폭보다도 넓게 되어 있다. 제3 협폭부(17)의 근원부 폭은, 제2 협폭부(16)의 근원부 폭보다도 넓게 되어 있다. 제4 협폭부(18)의 근원부 폭은, 제3 협폭부(17)의 근원부 폭보다도 넓게 되어 있다.
다음에, 블레이드 근원부(1)의 절삭 가공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 근원부 절삭 가공 공정은, 황삭 공정(S10)과, 중삭 공정(S11)과, 정삭 공정(S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이들 3개의 공정의 내용에 대해, 차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황삭 공정(S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 근원부(1)에 대해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예정 블레이드 근원부 형상(10)(2점 쇄선)을 상정한 경우에, 우선 황삭용 커터(20)를 사용하여, 블레이드 근원부(1)에 황삭 형상(2)을 절삭한다. 황삭 형상(2)의 윤곽은, 예정 블레이드 근원부 형상(10)의 길이 방향을 향해, 단계적으로 직경이 가늘어지도록 계단 형상으로 절삭된다. 이 황삭 형상(2)을 절삭함으로써,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정 블레이드 근원부 형상(10)의 제1 광폭부(11), 제2 광폭부(12), 제3 광폭부(13), 제4 광폭부(14)에 있어서, 소정의 절삭 여유(65)를 남기도록 하여 절삭된다.
즉, 근원부 폭이 좁은 제1 협폭부(15), 제2 협폭부(16), 제3 협폭부(17), 제4 협폭부(18)에 대해서는, 다음의 중삭 공정에서 절삭하고, 근원부 폭이 넓은 제1 광폭부(11), 제2 광폭부(12), 제3 광폭부(13), 제4 광폭부(14)를, 최초의 황삭 공정에서 먼저 절삭해 버리는 것이다. 따라서, 후술하는 중삭용 커터(70)에 의해 절삭할 때에는, 제1 광폭부(11), 제2 광폭부(12), 제3 광폭부(13), 제4 광폭부(14)에 대해서는 이미 절삭 완료가 된다. 따라서, 중삭용 커터(70)(도 14 참조)에 있어서, 제1 광폭부(11), 제2 광폭부(12), 제3 광폭부(13), 제4 광폭부(14)에 대응하는 각 잘록 부분에는 블레이드 근원부(1)의 외주면이 접촉하지 않는다. 잘록 부분은 다른 부위에 비해 강도가 약하지만, 그 부분에 블레이드 근원부(1)가 접촉하지 않으므로, 중삭용 커터(70)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 황삭용 커터(2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황삭용 커터(20)는 절삭날을 갖는 팁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스로어웨이식」의 절삭 회전 공구이다. 황삭용 커터(20)는, 축선 방향 선단부측을 향해 계단 형상으로 직경 축소되는 공구 본체(23)를 구비하고 있다. 공구 본체(23)의 축선 방향 후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공작 기계의 주축의 선단부에 접촉하기 위한 대략 원기둥 형상의 받침대부(22)가 동일 축선 상에 설치되어 있다. 받침대부(22)의 축선 방향 후단부에는, 주축에 설치된 공구 장착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장착하기 위한 테이퍼부(21)가 동일 축선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황삭용 커터(20)는, 우측날, 좌측 비틀림의 절삭 회전 공구이다.
다음에, 공구 본체(23)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구 본체(23)는 형성되어야 할 황삭 형상(2)(도 3의 우측 참조)에 거의 대응하는 계단 형상의 윤곽을 갖는다. 공구 본체(23)는, 받침대부(22)측으로부터 축선 방향 선단부측을 향해 차례로,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십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단차부(25)와, 그 제1 단차부(25)의 축선 방향 선단부측에 동일 축선 상에 형성되고, 제1 단차부(25)보다도 작고 또한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제2 단차부(26)와, 그 제2 단차부(26)의 축선 방향 선단부측에 동일 축선 상에 형성되고, 제2 단차부(26)보다도 작고 또한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제3 단차부(27)와, 그 제3 단차부(27)의 축선 방향 선단부측에 동일 축선 상에 형성되고, 제3 단차부(27)보다도 작고 또한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제4 단차부(28)와, 그 제4 단차부(28)의 축선 방향 선단부측에 동일 축선 상에 형성되고, 제4 단차부(28)보다도 작고 또한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제5 단차부(29)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구 본체(23)를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5 단차부(29), 제4 단차부(28), 제3 단차부(27), 제2 단차부(26), 제1 단차부(25)의 각 위치는, 선단부측으로부터 후단부측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좌측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비틀어져 있다. 또한, 공구 본체(23)의 축선 방향에는 4개의 단차식 홈(37)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단차식 홈(37)은,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좌측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비틀어져 있다.
다음에, 공구 본체(23)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5 단차부(25 내지 29)의 각 구조에 대해,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공구 본체(23)의 축선 방향 선단부측에 있는 제5 단차부(29)를 우선 설명하고, 제4 단차부(28), 제3 단차부(27), 제2 단차부(26), 제1 단차부(25)의 순으로 설명한다.
우선, 제5 단차부(29)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5 단차부(29)는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십자 형상으로 형성된 각기둥이다. 제5 단차부(29)에는, 외측을 향해 대략 십자 형상으로 4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31), 제2 돌출부(32), 제3 돌출부(33), 제4 돌출부(3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돌출부(31)와 제2 돌출부(32) 사이, 제2 돌출부(32)와 제3 돌출부(33) 사이, 제3 돌출부(33)와 제4 돌출부(34) 사이, 제4 돌출부(34)와 제1 돌출부(31) 사이에는,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형상이 L자 형상인 홈이 형성되고, 각 단차식 홈(37)의 일부분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차식 홈(37)에 대향하는 제1 돌출부(31)의 내면의 후단부측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44)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37)에 대향하는 제2 돌출부(32)의 내면의 전단부측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49)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37)에 대향하는 제3 돌출부(33)의 내면의 후단부측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도시하지 않음)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37)에 대향하는 제4 돌출부(34)의 내면의 전단부측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49)(도 6 참조)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즉, 절삭 팁 시트(44, 49)는 서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돌출부(31)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44)에는, 직사각 형상의 직사각형 팁(52)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6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2 돌출부(32)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49)에도, 직사각형 팁(52)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3 돌출부(33)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도시하지 않음)에도, 직사각형 팁(52)(도 7 참조)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4 돌출부(34)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49)에도, 직사각형 팁(52)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6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때, 이들 직사각형 팁(52)의, 공구 본체(23)의 축선 방향에 대해 평행한 2개의 긴 변 중 외측의 한 변은, 예정 블레이드 근원부 형상(10)(도 4 참조)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다음에, 제4 단차부(28)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4 단차부(28)도, 제5 단차부(29)와 마찬가지로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십자 형상으로 형성된 각기둥이다. 제4 단차부(28)도, 제1 돌출부(31), 제2 돌출부(32), 제3 돌출부(33), 제4 돌출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돌출부(31)와 제2 돌출부(32) 사이, 제2 돌출부(32)와 제3 돌출부(33) 사이, 제3 돌출부(33)와 제4 돌출부(34) 사이, 제4 돌출부(34)와 제1 돌출부(31) 사이에는,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형상이 L자 형상인 홈이 형성되고, 각 단차식 홈(37)의 일부분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차식 홈(37)에 대향하는 제1 돌출부(31)의 내면의 후단부측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43)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37)에 대향하는 제2 돌출부(32)의 내면의 전단부측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48)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37)에 대향하는 제3 돌출부(33)의 내면의 후단부측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도시하지 않음)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37)에 대향하는 제4 돌출부(34)의 내면의 전단부측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48)(도 6 참조)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즉, 절삭 팁 시트(43, 48)는 서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돌출부(31)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43)에는, 정사각형 팁(51)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60)(도 5 참조)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2 돌출부(32)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48)에는, 직사각형 팁(52)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3 돌출부(33)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도시하지 않음)에는, 정사각형 팁(51)(도 7 참조)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4 돌출부(34)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48)에는, 직사각형 팁(52)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6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때, 정사각형 팁(51)의, 공구 본체(23)의 축선 방향에 대해 평행한 2개의 변 중 외측의 한 변과, 직사각형 팁(52)의, 공구 본체(23)의 축선 방향에 대해 평행한 2개의 긴 변 중 외측의 한 변은, 예정 블레이드 근원부 형상(10)(도 4 참조)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다음에, 제3 단차부(27)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단차부(27)도, 제5 단차부(29)와 마찬가지로,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십자 형상으로 형성된 각기둥이다. 제3 단차부(27)도, 제1 돌출부(31), 제2 돌출부(32), 제3 돌출부(33), 제4 돌출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돌출부(31)와 제2 돌출부(32) 사이, 제2 돌출부(32)와 제3 돌출부(33) 사이, 제3 돌출부(33)와 제4 돌출부(34) 사이, 제4 돌출부(34)와 제1 돌출부(31) 사이에는,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형상이 L자 형상인 홈이 형성되고, 각 단차식 홈(37)의 일부분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차식 홈(37)에 대향하는 제1 돌출부(31)의 내면의 후단부측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42)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37)에 대향하는 제2 돌출부(32)의 내면의 전단부측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47)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37)에 대향하는 제3 돌출부(33)의 내면의 후단부측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도시하지 않음)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37)에 대향하는 제4 돌출부(34)의 내면의 전단부측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47)(도 6 참조)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즉, 절삭 팁 시트(42, 47)는 서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돌출부(31)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42)에는, 정사각형 팁(51)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60)(도 5 참조)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2 돌출부(32)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47)에는, 직사각형 팁(52)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3 돌출부(33)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도시하지 않음)에는, 정사각형 팁(51)(도 7 참조)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4 돌출부(34)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47)에는, 직사각형 팁(52)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6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때, 정사각형 팁(51)의, 공구 본체(23)의 축선 방향에 대해 평행한 2개의 변 중 외측의 한 변과, 직사각형 팁(52)의, 공구 본체(23)의 축선 방향에 대해 평행한 2개의 긴 변 중 외측의 한 변은, 예정 블레이드 근원부 형상(10)(도 4 참조)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다음에, 제2 단차부(26)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단차부(26)도, 제5 단차부(29)와 마찬가지로,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십자 형상으로 형성된 각기둥이다. 제2 단차부(26)도, 제1 돌출부(31), 제2 돌출부(32), 제3 돌출부(33), 제4 돌출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돌출부(31)와 제2 돌출부(32) 사이, 제2 돌출부(32)와 제3 돌출부(33) 사이, 제3 돌출부(33)와 제4 돌출부(34) 사이, 제4 돌출부(34)와 제1 돌출부(31) 사이에는,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형상이 L자 형상인 홈이 형성되고, 각 단차식 홈(37)의 일부분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차식 홈(37)에 대향하는 제1 돌출부(31)의 내면의 후단부측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41)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37)에 대향하는 제2 돌출부(32)의 내면의 전단부측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46)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37)에 대향하는 제3 돌출부(33)의 내면의 후단부측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도시하지 않음)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37)에 대향하는 제4 돌출부(34)의 내면의 전단부측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46)(도 6 참조)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즉, 절삭 팁 시트(41, 46)는, 서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돌출부(31)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41)에는, 정사각형 팁(51)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60)(도 5 참조)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2 돌출부(32)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46)에는, 직사각형 팁(52)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60)(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3 돌출부(33)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도시하지 않음)에는, 정사각형 팁(51)(도 7 참조)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4 돌출부(34)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46)에는, 직사각형 팁(52)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6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때, 정사각형 팁(51)의, 공구 본체(23)의 축선 방향에 대해 평행한 2개의 변 중 외측의 한 변과, 직사각형 팁(52)의, 공구 본체(23)의 축선 방향에 대해 평행한 2개의 긴 변 중 외측의 한 변은, 예정 블레이드 근원부 형상(10)(도 4 참조)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다음에, 제1 단차부(25)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단차부(25)도, 제5 단차부(29)와 마찬가지로,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십자 형상으로 형성된 각기둥이다. 제1 단차부(25)도, 제1 돌출부(31), 제2 돌출부(32), 제3 돌출부(33), 제4 돌출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돌출부(31)와 제2 돌출부(32) 사이, 제2 돌출부(32)와 제3 돌출부(33) 사이, 제3 돌출부(33)와 제4 돌출부(34) 사이, 제4 돌출부(34)와 제1 돌출부(31) 사이에는,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형상이 L자 형상인 홈이 형성되고, 각 단차식 홈(37)의 일부분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차식 홈(37)에 대향하는 제2 돌출부(32)의 내면의 전단부측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45)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37)에 대향하는 제4 돌출부(34)의 내면의 전단부측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45)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즉, 절삭 팁 시트(45, 45)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 서로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돌출부(32)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45)에는, 직사각형 팁(52)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되어 있다. 제4 돌출부(34)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45)에도, 직사각형 팁(52)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60)(도 6 참조)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때, 직사각형 팁(52)의, 공구 본체(23)의 축선 방향에 대해 평행한 2개의 변 중 외측의 한 변은, 예정 블레이드 근원부 형상(10)(도 4 참조)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다음에, 황삭용 커터(20)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정사각형 팁(51) 및 직사각형 팁(52)의 서로의 위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제1 단차부(25)에 있어서, 제2 돌출부(32)에 고정된 직사각형 팁(52)과, 제4 돌출부(34)에 고정된 직사각형 팁(52)은 축선 방향에 있어서 서로 동열(同列) 상에 배치된다.
또한, 제2 단차부(26) 내지 제4 단차부(28)에 있어서, 제1 돌출부(31) 및 제3 돌출부(33)에 각각 고정된 정사각형 팁(51)과, 제2 돌출부(32) 및 제4 돌출부(34)에 각각 고정된 직사각형 팁(52)은, 축선 방향에 있어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다. 또한, 제5 단차부(29)에 있어서, 제1 돌출부(31) 및 제3 돌출부(33)에 고정된 직사각형 팁(52)과, 제2 돌출부(32) 및 제4 돌출부(34)에 각각 고정된 직사각형 팁(52)은, 축선 방향에 있어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다.
다음에, 정사각형 팁(51)의 회전 궤적과, 직사각형 팁(52)의 회전 궤적에 의한 황삭 형상(2)의 절삭 방법에 대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9에서는, 공구 본체(23)를 축선 방향을 따른 단면에서 본 경우의 각 팁(51, 52)의 회전 궤적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공구 본체(23)의 축선 방향 후단부측을「상측」으로 하고, 축선 방향 선단부측을「하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제1 단차부(25)에서는, 직사각형 팁(52)의 회전 궤적의 횡방향의 하측의 한 변에 의해, 예정 블레이드 근원부 형상(10)의 선단부가 평면 형상으로 절삭된다.
또한, 제2 단차부(26)에서는, 상측의 정사각형 팁(51)의 회전 궤적의 외측의 종방향의 한 변과, 하측의 직사각형 팁(52)의 회전 궤적의 외측의 종방향의 한 변이 동일선 상에 배치되어, 축선 방향에 평행한 직선 형상의 절삭 경로가 형성된다. 이 절삭 경로에 의해, 예정 블레이드 근원부 형상(10)의 제1 광폭부(11)에 대응하는 부분이 절삭된다. 이때, 제1 광폭부(11)에 대해 소정의 절삭 여유(65)를 남기고, 축선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절삭된다.
또한, 제3 단차부(27)에서도, 상측의 정사각형 팁(51)의 회전 궤적의 외측의 종방향의 한 변과, 하측의 직사각형 팁(52)의 회전 궤적의 외측의 종방향의 한 변이 동일선 상에 배치되어, 축선 방향에 평행한 직선 형상의 절삭 경로가 형성된다. 이 절삭 경로에 의해, 예정 블레이드 근원부 형상(10)의 제2 광폭부(12)에 대응하는 부분이 절삭된다. 이때, 제2 광폭부(12)에 대해 소정의 절삭 여유(65)를 남기고, 축선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절삭된다.
또한, 제4 단차부(28)에서도, 상측의 정사각형 팁(51)의 회전 궤적의 외측의 종방향의 한 변과, 하측의 직사각형 팁(52)의 회전 궤적의 외측의 종방향의 한 변이 동일선 상에 배치되어, 축선 방향에 평행한 직선 형상의 절삭 경로가 형성된다. 이 절삭 경로에 의해, 예정 블레이드 근원부 형상(10)의 제3 광폭부(13)에 대응하는 부분이 절삭된다. 이때, 제3 광폭부(13)에 대해 소정의 절삭 여유(65)를 남기고, 축선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절삭된다.
또한, 제5 단차부(29)에서는, 상측의 직사각형 팁(52)의 회전 궤적의 외측의 종방향의 한 변과, 하측의 직사각형 팁(52)의 회전 궤적의 외측의 종방향의 한 변이 동일선 상에 배치되어, 축선 방향에 평행한 직선 형상의 절삭 경로가 형성된다. 이 절삭 경로에 의해, 예정 블레이드 근원부 형상(10)의 제4 광폭부(14)에 대응하는 부분과, 제4 협폭부(18)에 대응하는 부분이 절삭된다. 이때, 제4 광폭부(14)에 대해 소정의 절삭 여유(65)를 남기고, 축선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절삭된다.
그리고 제2 단차부(26)의 각 팁(51, 52)에 의해 형성되는 종방향의 절삭 경로의 하단부와, 제3 단차부(27)의 각 팁(51, 52)에 의해 형성되는 종방향의 절삭 경로의 상단부의 사이는, 제2 단차부(26)에 고정된 직사각형 팁(52)의 회전 궤적의 하변에 의해 절삭된다. 또한, 제3 단차부(27)의 각 팁(51, 52)에 의해 형성되는 종방향의 절삭 경로의 하단부와, 제4 단차부(28)의 각 팁(51, 52)에 의해 형성되는 종방향의 절삭 경로의 상단부의 사이는, 제3 단차부(27)에 고정된 직사각형 팁(52)의 회전 궤적의 하변에 의해 절삭된다. 또한, 제4 단차부(28)의 각 팁(51, 52)에 의해 형성되는 종방향의 절삭 경로의 하단부와, 제5 단차부(29)의 각 팁(52)에 의해 형성되는 종방향의 절삭 경로의 상단부의 사이는, 제4 단차부(28)에 고정된 직사각형 팁(52)의 회전 궤적의 하변에 의해 절삭된다.
이와 같이 하여, 황삭 공정(S10)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정 블레이드 근원부 형상(10)의 제1 내지 제4 광폭부(11 내지 14)에 있어서 절삭 여유(65)를 남기도록 하여 단차 형상으로 절삭된 황삭 형상(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황삭용 커터(20)에서는, 제2 내지 제4 단차부(26 내지 28)에 있어서, 정사각형 팁(51) 및 직사각형 팁(52)을 축선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하고 있다. 종래의 하이스형 황삭용 커터의 각 단차부에 형성되는 1날에 대해, 황삭용 커터(20)에서는 한 쌍의 정사각형 팁(51)과 직사각형 팁(52)에 의해 1날을 형성하고 있다. 즉, 제2 내지 제4 단차부(26 내지 28)에서는, 4개의 팁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2날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된다. 종래의 하이스형 황삭용 커터에서는, 복잡한 형상인 황삭 형상(2)을 절삭하기 위해, 날수를 많이(예를 들어, 6날) 설치해야 했다.
따라서, 황삭용 커터(20)와 같이, 한 쌍의 정사각형 팁(51)과 직사각형 팁(52)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블레이드 근원부(1)의 외주면에 대한 접촉 빈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블레이드 근원부(1)로부터 받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어, 황삭용 커터(20)에 의한 절삭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절삭 이송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황삭 공정에 있어서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황삭용 커터(20)에서 사용되는 정사각형 팁(51) 및 직사각형 팁(52)은 단순한 형상이므로, 시판되고 있는 종래의 스로어웨이 팁을 이용할 수 있다. 즉, 황삭용 커터(20)를 사용하기 위해 새로운 형상의 팁을 제조할 필요도 없으므로, 비용이 들지 않고, 사용 편의성이 좋은 황삭용 커터(20)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중삭 공정(S11)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황삭 공정에서 블레이드 근원부(1)에 절삭된 황삭 형상(2)에 대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삭용 커터(70)를 사용하여, 블레이드 근원부(1)에 중삭 형상(3)을 절삭한다. 중삭 형상(3)의 윤곽은, 예정 블레이드 근원부 형상(10)에 대해 소정의 절삭 여유(65)(도 11 참조)를 남긴 상태에서 절삭된다. 즉, 중삭 형상(3)을 절삭함으로써,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절삭 여유(65)를 남기고 절삭된 예정 블레이드 근원부 형상(10)의 제1 광폭부(11), 제2 광폭부(12), 제3 광폭부(13), 제4 광폭부(14)에 더하여, 새롭게 제1 협폭부(15), 제2 협폭부(16), 제3 협폭부(17), 제4 협폭부(18)가 되는 부분에 대해서도 소정의 절삭 여유(65)를 남기고 절삭된다.
다음에, 중삭용 커터(7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삭용 커터(70)는 절삭날을 갖는 팁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스로어웨이식」의 절삭 회전 공구이다. 중삭용 커터(70)는, 축선 방향 선단부측을 향해 단차 형상으로 직경 축소되는 공구 본체(73)를 구비하고 있다. 공구 본체(73)의 축선 방향 후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공작 기계의 주축의 선단부에 접촉하기 위한 대략 원기둥 형상의 받침대부(72)가 동일 축선 상에 설치되어 있다. 받침대부(72)의 축선 방향 후단부에는, 주축에 설치된 공구 장착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장착하기 위한 테이퍼부(71)가 동일 축선 상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공구 본체(73)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구 본체(73)는 형성되어야 할 중삭 형상(3)(도 10 참조)에 거의 대응하는 윤곽을 갖는다. 공구 본체(73)는, 받침대부(72)측에 형성되고,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십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단차부(75)와, 그 제1 단차부(75)의 축선 방향 선단부측에 동일 축선 상에 형성되고, 제1 단차부(75)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제2 단차부(76)와, 그 제2 단차부(76)의 축선 방향 선단부측에 동일 축선 상에 형성되고, 제2 단차부(76)보다도 작고 또한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제3 단차부(77)와, 그 제3 단차부(77)의 축선 방향 선단부측에 동일 축선 상에 형성되고, 제3 단차부(77)보다도 작고 또한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제4 단차부(78)와, 그 제4 단차부(78)의 축선 방향 선단부측에 동일 축선 상에 형성되고, 제4 단차부(78)보다도 작고 또한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제5 단차부(79)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구 본체(73)를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5 단차부(79), 제4 단차부(78), 제3 단차부(77), 제2 단차부(76), 제1 단차부(75)의 각 위치는, 선단부측으로부터 후단부측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좌측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비틀어져 있다. 이러한 공구 본체(73)의 축선 방향에는 4개의 단차식 홈(57)이 형성되고, 이들 단차식 홈(57)은,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좌측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비틀어져 있다.
다음에, 공구 본체(73)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5 단차부(75 내지 79)의 각 구조에 대해,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공구 본체(73)의 축선 방향 선단부측에 있는 제5 단차부(79)를 우선 설명하고, 제4 단차부(78), 제3 단차부(77), 제2 단차부(76), 제1 단차부(75)의 순으로 설명한다.
우선, 제5 단차부(79)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5 단차부(79)는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십자 형상으로 형성된 각기둥이다. 제5 단차부(79)에는, 외측을 향해 대략 십자 형상으로 4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81), 제2 돌출부(82), 제3 돌출부(83), 제4 돌출부(8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돌출부(81)와 제2 돌출부(82) 사이, 제2 돌출부(82)와 제3 돌출부(83) 사이, 제3 돌출부(83)와 제4 돌출부(84) 사이, 제4 돌출부(84)와 제1 돌출부(81) 사이에는,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형상이 L자 형상인 홈이 형성되고, 각 단차식 홈(57)의 일부분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차식 홈(57)에 대향하는 제1 돌출부(81)의 내면에는, 대략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104)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57)에 대향하는 제2 돌출부(82)의 내면에는, 원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89)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57)에 대향하는 제3 돌출부(83)의 내면에는, 대략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도시하지 않음)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57)에 대향하는 제4 돌출부(84)의 내면에는, 원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89)(도 13 참조)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돌출부(81)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104)에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직선 형상의 각 변의 양단부끼리를 원호로 연결한 형상인 씨앗 형상 팁(95)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9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2 돌출부(82)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89)에는, 원반 형상의 원형 팁(96)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97)(도 13 참조)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3 돌출부(83)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104)에도, 씨앗 형상 팁(95)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4 돌출부(84)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89)에도, 원형 팁(96)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때, 씨앗 형상 팁(95)은, 2개의 원호 부분 중 1개의 원호 부분이, 공구 본체(73)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동시에, 그 길이 방향이, 공구 본체(73)의 축선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교차하도록 하여 배치된다. 또한, 원형 팁(96)은, 그 외주의 일부가, 공구 본체(73)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배치된다.
다음에, 제4 단차부(78)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4 단차부(78)는 제5 단차부(79)와 마찬가지로,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십자 형상으로 형성된 각기둥이다. 제4 단차부(78)에도, 제1 돌출부(81), 제2 돌출부(82), 제3 돌출부(83), 제4 돌출부(8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돌출부(81)와 제2 돌출부(82) 사이, 제2 돌출부(82)와 제3 돌출부(83) 사이, 제3 돌출부(83)와 제4 돌출부(84) 사이, 제4 돌출부(84)와 제1 돌출부(81) 사이에는,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형상이 L자 형상인 홈이 형성되고, 각 단차식 홈(57)의 일부분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차식 홈(57)에 대향하는 제1 돌출부(81)의 내면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103)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57)에 대향하는 제2 돌출부(82)의 내면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88)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57)에 대향하는 제3 돌출부(83)의 내면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103)(도 13 참조)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57)에 대향하는 제4 돌출부(84)의 내면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도시하지 않음)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돌출부(81)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103)에는, 가늘고 긴 직사각 형상의 직사각형 팁(91)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9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2 돌출부(82)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88)에는, 정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정사각형 팁(92)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97)(도 13 참조)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3 돌출부(83)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103)에는, 직사각형 팁(91)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4 돌출부(84)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도시하지 않음)에는, 정사각형 팁(92)(도 14 참조)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때, 직사각형 팁(91)은, 4개의 코너부 중 1개의 코너부가 공구 본체(73)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정사각형 팁(92)도, 4개의 코너부 중 1개의 코너부가 공구 본체(73)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다음에, 제3 단차부(77)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단차부(77)는 제5 단차부(79)와 마찬가지로,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십자 형상으로 형성된 각기둥이다. 제3 단차부(77)에도, 제1 돌출부(81), 제2 돌출부(82), 제3 돌출부(83), 제4 돌출부(8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돌출부(81)와 제2 돌출부(82) 사이, 제2 돌출부(82)와 제3 돌출부(83) 사이, 제3 돌출부(83)와 제4 돌출부(84) 사이, 제4 돌출부(84)와 제1 돌출부(81) 사이에는,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형상이 L자 형상인 홈이 형성되고, 각 단차식 홈(57)의 일부분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차식 홈(57)에 대향하는 제1 돌출부(81)의 내면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102)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57)에 대향하는 제2 돌출부(82)의 내면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87)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57)에 대향하는 제3 돌출부(83)의 내면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102)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57)에 대향하는 제4 돌출부(84)의 내면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도시하지 않음)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돌출부(81)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102)에는, 가늘고 긴 직사각 형상의 직사각형 팁(91)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9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2 돌출부(82)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87)에는, 정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정사각형 팁(92)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97)(도 13 참조)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3 돌출부(83)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102)에는, 직사각형 팁(91)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4 돌출부(84)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도시하지 않음)에는, 정사각형 팁(92)(도 14 참조)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때, 직사각형 팁(91)은, 4개의 코너부 중 1개의 코너부가 공구 본체(73)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정사각형 팁(92)도, 4개의 코너부 중 1개의 코너부가 공구 본체(73)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다음에, 제2 단차부(76)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단차부(76)는 제5 단차부(79)와 마찬가지로,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십자 형상으로 형성된 각기둥이다. 제2 단차부(76)에도, 제1 돌출부(81), 제2 돌출부(82), 제3 돌출부(83), 제4 돌출부(8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돌출부(81)와 제2 돌출부(82) 사이, 제2 돌출부(82)와 제3 돌출부(83) 사이, 제3 돌출부(83)와 제4 돌출부(84) 사이, 제4 돌출부(84)와 제1 돌출부(81) 사이에는,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형상이 L자 형상인 홈이 형성되고, 각 단차식 홈(57)의 일부분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차식 홈(57)에 대향하는 제1 돌출부(81)의 내면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101)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57)에 대향하는 제2 돌출부(82)의 내면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86)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57)에 대향하는 제3 돌출부(83)의 내면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101)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57)에 대향하는 제4 돌출부(84)의 내면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도시하지 않음)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돌출부(81)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101)에는, 가늘고 긴 직사각 형상의 직사각형 팁(91)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9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2 돌출부(82)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86)에는, 정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정사각형 팁(92)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97)(도 13 참조)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3 돌출부(83)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101)에는, 직사각형 팁(91)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4 돌출부(84)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도시하지 않음)에는, 정사각형 팁(92)(도 14 참조)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때, 직사각형 팁(91)은, 4개의 코너부 중 1개의 코너부가 공구 본체(73)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정사각형 팁(92)도, 4개의 코너부 중 1개의 코너부가 공구 본체(73)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다음에, 제1 단차부(75)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단차부(75)는 제5 단차부(79)와 마찬가지로,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십자 형상으로 형성된 각기둥이다. 제1 단차부(75)에도, 제1 돌출부(81), 제2 돌출부(82), 제3 돌출부(83), 제4 돌출부(8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돌출부(81)와 제2 돌출부(82) 사이, 제2 돌출부(82)와 제3 돌출부(83) 사이, 제3 돌출부(83)와 제4 돌출부(84) 사이, 제4 돌출부(84)와 제1 돌출부(81) 사이에는, 축선 방향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형상이 L자 형상인 홈이 형성되고, 각 단차식 홈(57)의 일부분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차식 홈(57)에 대향하는 제2 돌출부(82)의 내면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85)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홈(57)에 대향하는 제4 돌출부(84)의 내면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절삭 팁 시트(도시하지 않음)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돌출부(82)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85)에는, 정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정사각형 팁(92)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97)(도 13 참조)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4 돌출부(84)에 오목 형성된 절삭 팁 시트(도시하지 않음)에는, 정사각형 팁(92)(도 14 참조)이 끼움 삽입되어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때, 정사각형 팁(92)은, 4개의 코너부 중 1개의 코너부가 공구 본체(73)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다음에, 중삭용 커터(70)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직사각형 팁(91), 정사각형 팁(92), 씨앗 형상 팁(95) 및 원형 팁(96)의 서로의 위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제1 단차부(75)에 있어서, 제2 돌출부(82)에 고정된 정사각형 팁(92)과, 제4 돌출부(84)에 고정된 정사각형 팁(92)은 축선 방향에 있어서 서로 동열 상에 배치된다.
또한, 제2 단차부(76) 내지 제4 단차부(78)에 있어서, 제1 돌출부(81) 및 제3 돌출부(83)에 각각 고정된 직사각형 팁(91)과, 제2 돌출부(82) 및 제4 돌출부(84)에 각각 고정된 정사각형 팁(92)은, 축선 방향에 있어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다. 또한, 제5 단차부(79)에 있어서, 제1 돌출부(81) 및 제3 돌출부(83)에 각각 고정된 원형 팁(96)과, 제2 돌출부(82) 및 제4 돌출부(84)에 각각 고정된 씨앗 형상 팁(95)은, 서로 원호의 부분이 겹쳐지도록 하여 배치된다.
다음에, 직사각형 팁(91)의 회전 궤적과, 정사각형 팁(92)의 회전 궤적과, 씨앗 형상 팁(95)의 회전 궤적과, 원형 팁(96)의 회전 궤적에 의한 중삭 형상(3)의 절삭 방법에 대해,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6에서는, 공구 본체(73)를 축선 방향을 따른 단면에서 본 경우의 각 팁(91, 92, 95, 96)의 회전 궤적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공구 본체(73)의 축선 방향 후단부측을 「상측」으로 하고, 축선 방향 선단부측을「하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제1 단차부(75)에서는, 정사각형 팁(92)의 회전 궤적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코너부의 하측의 한 변에 의해 절삭 경로가 형성된다. 이 절삭 경로에 의해, 예정 블레이드 근원부 형상(10)의 제1 광폭부(11)의 후단부측에 대해, 소정의 절삭 여유(65)를 남기고 절삭된다.
또한, 제2 단차부(76)에서는, 직사각형 팁(91)의 회전 궤적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코너부와, 그 코너부를 중앙에 끼우는 2변과, 정사각형 팁(92)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코너부의 하측의 한 변에 의해 V자 형상의 절삭 경로가 형성된다. 이 V자 형상의 절삭 경로에 의해, 제1 협폭부(15)에 대해 소정의 절삭 여유(65)를 남기고 절삭된다.
또한, 제3 단차부(77)에서는, 직사각형 팁(91)의 회전 궤적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코너부와, 그 코너부를 중앙에 끼우는 2변과, 정사각형 팁(92)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코너부의 하측의 한 변에 의해 V자 형상의 절삭 경로가 형성된다. 이 V자 형상의 절삭 경로에 의해, 제2 협폭부(16)에 대해 소정의 절삭 여유(65)를 남기고 절삭된다.
또한, 제4 단차부(78)에서는, 직사각형 팁(91)의 회전 궤적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코너부와, 그 코너부를 중앙에 끼우는 2변과, 정사각형 팁(92)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코너부의 하측의 한 변에 의해 V자 형상의 절삭 경로가 형성된다. 이 V자 형상의 절삭 경로에 의해, 제3 협폭부(17)에 대해 소정의 절삭 여유(65)를 두고 절삭된다.
또한, 제5 단차부(79)에서는, 씨앗 형상 팁(95)의 원호 부분과, 그 원호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변과, 원형 팁(96)의 회전 궤적에 있어서의 원호 부분에 의해 원호 형상의 절삭 경로가 형성된다. 이 원호 형상의 절삭 경로에 의해, 제4 협폭부(18)에 대해 소정의 절삭 여유(65)를 남기고 절삭된다.
이와 같이, 중삭용 커터(70)에서는, 제2 내지 제4 단차부(76 내지 78)에 있어서, 직사각형 팁(91) 및 정사각형 팁(92)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하고 있다. 종래의 하이스형 중삭용 커터의 각 단차부에 형성되는 1날에 대해, 중삭용 커터(70)에서는, 한 쌍의 직사각형 팁(91)과 정사각형 팁(92)에 의해 1날을 형성하고 있다. 즉, 제2 내지 제4 단차부(76 내지 78)에서는, 4개의 팁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2날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된다. 종래의 하이스형 중삭용 커터에서는, 복잡한 형상인 중삭 형상을 절삭하기 위해, 날수를 많이(예를 들어, 6날) 설치해야 했다.
따라서, 중삭용 커터(70)와 같이, 한 쌍의 직사각형 팁(91)과 정사각형 팁(92)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블레이드 근원부(1)의 외주면에 대한 접촉 빈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블레이드 근원부(1)로부터 받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어, 중삭용 커터(70)에 의한 절삭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절삭 이송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중삭 공정에 있어서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중삭용 커터(70)에서는, 예정 블레이드 근원부 형상(10)의 제4 협폭부(18)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5 단차부(79)에 고정된 2매의 씨앗 형상 팁(95)과, 2매의 원형 팁(96)으로 절삭한다. 이들 4매의 팁은 축선 방향에 있어서 동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2 내지 제4 단차부(76 내지 78)에서는, 2날을 형성하고 있는 것에 대해, 제5 단차부(79)에서는 4날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은, 다른 부위에 비해 제4 협폭부(18)와 같이 절삭량이 많은 부분에 대해서는, 날수를 많게 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가공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중삭용 커터(70)에서 사용되는 직사각형 팁(91) 및 정사각형 팁(92)은, 상기한 황삭용 커터(20)와 마찬가지로 단순한 형상이므로, 시판되고 있는 종래의 스로어웨이 팁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중삭용 커터(70)를 사용하기 위해 새로운 형상의 팁을 제조할 필요도 없으므로, 비용이 들지 않고, 사용 편의성이 좋은 중삭용 커터(7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삭 공정에서는, 황삭 공정에 있어서, 예정 블레이드 근원부 형상(10) 중 제1 광폭부(11), 제2 광폭부(12), 제3 광폭부(13), 제4 광폭부(14)에 있어서는 이미 절삭 완료이므로, 이들을 제외한 제1 협폭부(15), 제2 협폭부(16), 제3 협폭부(17), 제4 협폭부(18)에 대해, 소정의 절삭 여유(65)를 남기고 절삭한다. 그리고 공구 본체(73) 중, 제1 광폭부(11), 제2 광폭부(12), 제3 광폭부(13), 제4 광폭부(14)에 대응하는 부분은 직경 방향 내측으로 직경 축소되어 있지만, 이미 절삭 완료이므로 블레이드 근원부(1)의 외주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다른 부위에 비해 강도가 약한 직경 축소된 부분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중삭용 커터(70)에 의한 절삭 이송을 빠르게 할 수 있으므로, 중삭 형상(3)을 효율적으로 절삭할 수 있다. 또한, 직경 축소된 부분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지 않으므로, 가공 중에 발생하는 채터링 노이즈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절삭 가공 중에 파손될 우려도 없다. 이와 같이, 중삭용 커터(70)를 사용함으로써, 황삭 형상(2)이 형성된 블레이드 근원부(1)에 대해, 예정 블레이드 근원부 형상(10)의 모든 부위에 대해, 소정의 절삭 여유(65)를 남기도록 하여, 중삭 형상(3)을 효율적으로 절삭할 수 있다.
다음에, 정삭 공정(S12)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삭 공정에서 중삭 형상(3)이 절삭된 블레이드 근원부(1)에 대해, 역 크리스마스 트리 형상으로 형성된 정삭용 커터(100)를 사용하여 중삭 형상(3)을 절삭함으로써, 소정의 절삭 여유(65)를 한 번에 절삭한다. 이와 같이 하여, 블레이드 근원부(1)의 절삭 가공 공정이 종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 근원부(1)를 절삭하기 위한 블레이드 근원부 절삭 가공 공정은, 황삭 공정, 중삭 공정, 정삭 공정의 3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황삭 공정에서는, 스로어웨이식의 황삭용 커터(20)를 사용하여, 블레이드 근원부(1)에 대해 황삭 형상(2)을 절삭한다. 황삭 형상(2)을 절삭함으로써, 예정 블레이드 근원부 형상(10)의 제1 광폭부(11), 제2 광폭부(12), 제3 광폭부(13), 제4 광폭부(14)에 있어서, 소정의 절삭 여유(65)를 남기고 절삭할 수 있다. 계속해서, 중삭 공정에서는, 본 실시 형태인 중삭용 커터(70)를 사용하여, 블레이드 근원부(1)에 대해 중삭 형상(3)을 절삭한다. 중삭용 커터(70)는, 황삭용 커터(20)와 마찬가지로, 스로어웨이식의 절삭 회전 공구이다. 중삭용 커터(70)는, 계단 형상으로 직경 축소되는 공구 본체(73)를 구비하고 있다. 공구 본체(73)는, 제1 내지 제5 단차부(75 내지 7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단차부에는, 짝수의 팁 시트가 주위 방향으로 오목 형성되고, 축선 방향에 있어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차부(76) 내지 제4 단차부(78)에 있어서의 각 팁 시트에는, 직사각형 팁(91) 및 정사각형 팁(92)이 주위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끼움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직사각형 팁(91)과 정사각형 팁(92)에 의해 1날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2 내지 제4 단차부(76 내지 78)에서는 2날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 근원부(1)의 외주면에 대한 접촉 빈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블레이드 근원부(1)로부터 받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것으로부터, 중삭용 커터(70)에 의한 절삭 속도를 상승시켜 절삭 이송을 빠르게 할 수 있으므로, 중삭 공정에 있어서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중삭용 커터(70)에서 사용되는 직사각형 팁(91) 및 정사각형 팁(92)은 단순한 형상이므로, 시판되고 있는 종래의 스로어웨이 팁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비용이 들지 않고, 사용 편의성이 좋은 중삭용 커터(7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황삭용 커터(20)를 사용함으로써, 황삭 형상(2)을 절삭할 수 있다. 황삭 형상(2)에서는, 예정 블레이드 근원부 형상(10)의 제1 광폭부(11), 제2 광폭부(12), 제3 광폭부(13), 제4 광폭부(14)에 있어서 절삭 여유(65)를 남기고 이미 절삭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다음 공정인 중삭 공정에서는, 제1 광폭부(11), 제2 광폭부(12), 제3 광폭부(13), 제4 광폭부(14)에 상당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절삭할 필요가 없다. 중삭 공정에서는, 역 크리스마스 트리 형상으로 형성된 중삭용 커터(70)를 사용하지만, 다른 부위에 비해 강도가 약한 직경 방향 내측으로 직경 축소되는 부분은, 이미 절삭 여유(65)를 남기고 절삭된 제1 광폭부(11), 제2 광폭부(12), 제3 광폭부(13), 제4 광폭부(14)에 대응한다. 즉, 중삭용 커터(70)의 직경 축소 부분은, 블레이드 근원부(1)의 외주면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삭용 커터(70)에 의한 절삭 이송을 빠르게 할 수 있으므로, 중삭 형상(3)을 효율적으로 절삭할 수 있다. 또한, 직경 축소된 부분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지 않으므로, 가공 중에 발생하는 채터링 노이즈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절삭 가공 중에 파손될 우려도 없다.
다음에, 중삭용 커터(70)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중삭 공정에 있어서, 중삭용 커터(70)(공구 A)를 사용한 경우와, 종래품인 하이스형 중삭용 커터(공구 B)를 사용한 경우로 비교를 행하였다. 이 비교 시험에서는, 스로어웨이 타입의 공구 A를 사용한 경우의 절삭 이송량과, 종래의 하이스 타입의 공구 B를 사용한 경우의 절삭 이송량을 각각 계측하여, 평가하였다. 각 공구의 조건(직경, 날수), 절삭 조건(절삭 속도, 날당 이송량, 회전수)은, 이하의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Figure 112011008086255-pct00001
즉, 공구 A의 직경은, 100.0㎜, 날수는 2매, 절삭 속도는 150㎜/min, 날당 이송량은 0.08㎜/날, 회전수는 477.5min-1로 설정하였다. 한편, 공구 B의 직경은, 100.0㎜, 날수는 8매, 절삭 속도는 20㎜/min, 날당 이송량은 0.02㎜/날, 회전수는 63.7min-1로 설정하였다. 또한, 공구 A인 중삭용 커터(70)의 날수는, 상기한 바와 같이, 2종류의 팁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하고 있으므로, 블레이드 근원부(1)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절삭하는 날의 수로서 계산하면, 2날이 된다.
도 18 및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구 B를 사용한 경우에는, 복잡한 중삭 형상(3)을 절삭하기 위해, 8날을 작업물에 대고 절삭시키므로, 절삭 속도나 회전수를 빠르게 할 수 없었다. 따라서, 공구 B를 사용한 경우의 절삭 이송량은, 10.2㎜/min이었다. 이에 대해, 공구 A를 사용한 경우에는, 2날을 작업물에 댈 뿐이므로, 작업물로부터 받는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공구 B에 대해 절삭 속도나 회전수를 빠르게 할 수 있었다. 이에 의해, 공구 A를 사용한 경우의 절삭 이송량은, 공구 B에 대해 비약적으로 빨라져, 76.4㎜/min이었다. 이들 결과에 의해, 공구 A를 사용함으로써, 블레이드 근원부(1)에 중삭 형상(3)을 효율적으로 절삭할 수 있는 것이 실증되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본 개시의「스로어웨이식 절삭 회전 공구」인 중삭용 커터(70)는, 예를 들어 엔드밀이나 사이드 커터이다.
또한, 본 개시는 각종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중삭용 커터(70)는 제1 내지 제5 단차부(75 내지 79)로 이루어지는 공구 본체(73)를 구비하고 있지만 단차부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형성되어야 할 블레이드 근원부의 윤곽 형상에 맞추어 조정하면 된다.
또한, 황삭 공정에 있어서, 제1 광폭부(11), 제2 광폭부(12), 제3 광폭부(13), 제4 광폭부(14)의 모든 광폭부에 대해 소정의 절삭 여유(65)를 남기고 먼저 절삭하였지만, 적어도 근원부 폭이 극도로 좁은 선단부측의 광폭부에 대해 절삭하면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개시의 스로어웨이식 절삭 회전 공구는, 터빈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근원부에 한정되지 않고, 트리 형상의 베이스부 형상을 절삭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Claims (3)

  1. 로터의 외주에 장착되는 터빈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근원부이며, 당해 블레이드 근원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좌우 대칭이고, 또한 선단부측을 향해 근원부 폭이 증감하면서 서서히 좁아지도록 가공된 상기 블레이드 근원부의 중삭 가공을 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로어웨이식 절삭 회전 공구이며,
    축선 주위로 회전하고, 축선 방향 선단부를 향해 단차 형상으로 소직경이 되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단차부를 측면에 갖는 공구 본체와,
    당해 공구 본체의 상기 축선 방향 선단부측의 단차부의 외주에 각각 오목 형성된 적어도 짝수로 이루어지는 제1 팁 시트와,
    상기 공구 본체의 상기 선단부측의 단차부보다도 후단부측에 배치된 단차부의 외주에 형성되고, 상기 축선 방향에 대해 지그재그 형상으로 각각 오목 형성된 적어도 짝수로 이루어지는 제2 팁 시트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팁 시트에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직선 형상의 각 변의 양단부끼리를 2개의 원호 부분으로 연결한 제1 팁이 끼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2 팁 시트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제2 팁과,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제3 팁이 상기 공구 본체의 주위 방향으로 교대로 끼움 삽입되어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1 팁은, 1개의 원호 부분이 상기 공구 본체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또한 상기 직선이 상기 축선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교차하도록 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팁은, 1개의 코너부가 상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팁은, 상기 제2 팁보다도 상기 직경 방향에 있어서 공구의 중심에 가깝고, 또한 축선 방향에 대해 지그재그 형상으로, 1개의 코너부가 상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팁의 하나의 원호 부분과, 당해 원호 부분의 일단부에 연속되는 한 변에 의해, 원호 형상의 절삭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팁의 상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게 한 상기 코너부와, 상기 제3 팁의 상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게 한 상기 코너부를 구성하는 2변 중 한 변에 의해 V자 형상의 절삭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식 절삭 회전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짝수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 팁 시트에는,
    상기 제1 팁과,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제4 팁이 상기 공구 본체의 주위 방향으로 교대로 끼움 삽입되어 각각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식 절삭 회전 공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과, 상기 제2 팁과, 상기 제3 팁과, 상기 제4 팁은, 상기 각 단차부에 있어서 우측날을 구성하고,
    상기 제1 팁 시트끼리의 사이 및 상기 제2 팁 시트끼리의 사이에 형성된 홈은 좌측 비틀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식 절삭 회전 공구.
KR1020117002636A 2008-08-29 2008-08-29 스로어웨이식 절삭 회전 공구 KR101236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65595 WO2010023761A1 (ja) 2008-08-29 2008-08-29 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回転工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605A KR20110036605A (ko) 2011-04-07
KR101236094B1 true KR101236094B1 (ko) 2013-02-21

Family

ID=41720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636A KR101236094B1 (ko) 2008-08-29 2008-08-29 스로어웨이식 절삭 회전 공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07881B2 (ko)
JP (1) JP5108106B2 (ko)
KR (1) KR101236094B1 (ko)
CN (1) CN102099139B (ko)
DE (1) DE112008003975B4 (ko)
WO (1) WO20100237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72869B (zh) * 2010-10-25 2012-07-04 东方电气集团东方汽轮机有限公司 汽轮机叶片叉形叶根铣刀
GB201121056D0 (en) * 2011-12-08 2012-01-18 Rolls Royce Plc A method of forming a slot in an article
CN102717138A (zh) * 2012-06-01 2012-10-10 上海交通大学 轮盘圆弧曲线榫槽精加工可重构成形铣刀
WO2014197761A1 (en) 2013-06-06 2014-12-1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Step drill bit
SG11201600599QA (en) * 2013-07-26 2016-02-26 Agency Science Tech & Res Method and positioning device for localiz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5562801A (zh) * 2014-10-17 2016-05-11 基准精密工业(惠州)有限公司 铣刀
JP2016190299A (ja) * 2015-03-31 2016-11-1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総形エンドミル
CN105171083B (zh) * 2015-08-28 2017-08-04 东方电气集团东方汽轮机有限公司 机夹式菌型叶根铣刀
CN105215444B (zh) * 2015-09-28 2018-05-04 长沙鼓风机厂有限责任公司 一种罗茨鼓风机叶轮曲面型线加工专用机夹铣刀
US10343224B2 (en) 2016-04-04 2019-07-09 Ford Motor Company Interpolated milling tools and methods
JP6691851B2 (ja) 2016-08-23 2020-05-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素材形状の決定方法、加工方法、素材形状の決定システム及び素材形状の決定プログラム
CN110494242B (zh) * 2017-08-09 2020-08-25 Osg株式会社 可转位式切削工具
GB2583213B (en) * 2017-11-01 2022-10-19 Kyocera Sgs Prec Tools Inc Slot milling sequence
JP6995973B2 (ja) * 2018-02-26 2022-01-17 京セラ株式会社 切削工具及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US10875201B2 (en) 2018-04-04 2020-12-29 Swanstrom Tools Usa Inc. Relief guard for hand tools
US11273501B2 (en) 2018-04-26 2022-03-1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Step drill bit
DE102018214192A1 (de) * 2018-08-22 2020-02-27 Gühring KG Zirkularfräswerkzeug und Zirkularfräsverfahren
USD941373S1 (en) 2019-09-16 2022-01-18 Kyocera Sgs Precision Tools, Inc. Rougher tool
USD941374S1 (en) 2020-03-16 2022-01-18 Kyocera Sgs Precision Tools, Inc. Finisher tool
CN113369547B (zh) * 2021-06-04 2023-05-05 重庆红江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推力块弧形定位凸台的加工方法
CN114192857B (zh) * 2021-12-10 2023-03-28 台州中驰智谷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加工航空发动机叶轮的刀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0234A (ja) 1998-05-18 1999-11-24 Hitachi Tool Eng Ltd 翼根部加工用総型カッタ
JP2000254812A (ja) 1998-11-28 2000-09-19 Barta Ag 切削工具、切削工具の準備方法及び切削工具の使用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8015A (ja) 1986-01-31 1987-08-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デイジタル論理fet回路
JPS62178015U (ko) * 1986-05-06 1987-11-12
US4844666A (en) 1986-08-22 1989-07-04 Izumo Industrial Co., Ltd. Insert rotary cutting tool
DE3807195A1 (de) * 1987-03-04 1988-09-15 Mitsubishi Metal Corp Umstellbarer schneideinsatz
JPH0497607A (ja) 1990-08-15 1992-03-30 Nec Corp 半導体集積回路
JPH081426A (ja) 1994-06-15 1996-01-09 Toshiba Tungaloy Co Ltd ラフィングエンドミル
JPH08155722A (ja) 1994-12-06 1996-06-18 Izumi Kogyo Kk T溝フライス
DE19611276C1 (de) * 1996-03-22 1997-03-20 Walter Ag Zerspanungswerk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interschnittenen Nuten
IL119114A0 (en) * 1996-08-22 1996-11-14 Iscar Ltd Cutting insert
JP3065020B2 (ja) 1998-03-20 2000-07-12 オーエスジー株式会社 総形回転切削工具
EP1289702B1 (de) 2000-06-13 2009-03-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fräsen von tannenbaumnuten
JP2003019619A (ja) * 2001-07-09 2003-01-21 Mitsubishi Materials Corp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ボールエンドミル
JP2003266231A (ja) 2002-03-15 2003-09-24 Mitsubishi Heavy Ind Ltd エンドミル及びこれを用いた加工方法並びに工作機械
US7399146B2 (en) 2003-09-29 2008-07-15 Kennametal Inc. Rotary cutting tool having irregular insert orientation
JP4489417B2 (ja) * 2003-12-08 2010-06-23 株式会社恵美須屋工具製作所 荒削り用回転切削工具の製造方法
CN2801351Y (zh) * 2005-07-20 2006-08-02 上海汽轮机有限公司 直柄大螺旋角圣诞树型叶根铣刀
JP2007030080A (ja) 2005-07-25 2007-02-08 Yih Troun Enterprise Co Ltd 多階段型ドリル
JP2007175830A (ja) * 2005-12-28 2007-07-12 Osg Corp クリスマスカッター
CN201073705Y (zh) * 2007-07-10 2008-06-18 上海电气电站设备有限公司 螺旋槽双梯型波刃叶根铣刀
CN201079861Y (zh) * 2007-07-23 2008-07-02 阿诺(苏州)刀具有限公司 一种加强型铣刀
CN201143571Y (zh) 2007-11-16 2008-11-05 东方电气集团东方汽轮机有限公司 两排齿可转位玉米铣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0234A (ja) 1998-05-18 1999-11-24 Hitachi Tool Eng Ltd 翼根部加工用総型カッタ
JP2000254812A (ja) 1998-11-28 2000-09-19 Barta Ag 切削工具、切削工具の準備方法及び切削工具の使用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99139A (zh) 2011-06-15
KR20110036605A (ko) 2011-04-07
DE112008003975T5 (de) 2011-06-22
DE112008003975B4 (de) 2016-04-28
US20110091297A1 (en) 2011-04-21
CN102099139B (zh) 2014-10-15
WO2010023761A1 (ja) 2010-03-04
JP5108106B2 (ja) 2012-12-26
US8807881B2 (en) 2014-08-19
JPWO2010023761A1 (ja) 201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094B1 (ko) 스로어웨이식 절삭 회전 공구
KR101236041B1 (ko) 스로어웨이식 절삭 회전 공구
US8511949B2 (en) Method of cutting tree-shaped groove and rotary cutting tool
JP4704495B2 (ja) タービン翼接続用溝の切削加工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クリスマスカッタ
CA2608291C (en) High helix/low lead cutting tool
JP2008279547A (ja) 溝加工方法および総形回転切削工具
EP2554309A1 (en) Endmill
US20150258616A1 (en) End mill
WO2011045781A1 (en) Twist drill
WO2016158602A1 (ja) ラフィングエンドミル
JP4677722B2 (ja) 3枚刃ボールエンドミル
JP5426555B2 (ja) 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回転工具
JP2009184043A (ja) 段付きツイストドリ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202748A (ja) エンドミル
JP2008279548A (ja) 切削加工方法および総形回転切削工具
JP2009184044A (ja) 段付きツイストドリ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45338A (ja) ミリングカッタ
JP4747283B2 (ja) 総形カッタ
JP5426572B2 (ja) 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回転工具
EP2897749B1 (en) Milling cutter and method of use
JP3185869U (ja) エンドミル
JP4498704B2 (ja) 穴加工工具
JP2010142925A (ja) 総型回転切削工具
JPH11235613A (ja) 穴あけ工具
JPH1094914A (ja) エンドミル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