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127B1 - 우산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우산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127B1
KR101235127B1 KR1020110041830A KR20110041830A KR101235127B1 KR 101235127 B1 KR101235127 B1 KR 101235127B1 KR 1020110041830 A KR1020110041830 A KR 1020110041830A KR 20110041830 A KR20110041830 A KR 20110041830A KR 101235127 B1 KR101235127 B1 KR 101235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air
frame
reservo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4134A (ko
Inventor
신장화
Original Assignee
신아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아시스템(주) filed Critical 신아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10041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127B1/ko
Publication of KR20120124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시간에 자동으로 신속하고 확실하게 우산에 묻은 빗물을 제거하고, 우산의 원단에 흡수된 빗물을 건조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확보하고, 우산의 장수명을 보장할 수 있는 우산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우산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저수통이 내부로 삽탈되는 프레임과, 내부가 중공인 역원추 형상으로 상단이 상기 우산투입구와 연결되고, 하단이 개구되어 상기 저수통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건조실과, 우산이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우산투입구 내측으로 설치되고, 내부에 송풍팬으로부터 공급받은 공기가 유동하는 에어라인이 형성된 링블레이드와, 상기 링블레이드의 내측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에어라인에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건조실의 하방으로 분출하는 복수의 에어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우산 건조장치{APPARATUS FOR DRYING WET UMBRELLA}
본 발명은 장마 또는 우천시 비에 젖은 우산을 가지고 실내에 들어갈 때 우산에 묻은 빗물을 제거하고 젖은 우산을 건조할 수 있는 우산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펴고 접을 수 있어 비가 올 때에 펴서 손에 들고 머리 위를 가릴 수 있는 우비의 하나이다.
이러한 우산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와, 손잡이로부터 길게 연장된 손잡이대와, 손잡이대의 선단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살대와, 상기 손잡이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살대와 연결바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살대를 접거나 펼치는 슬라이더와, 각각의 상기 살대 사이를 덮을 수 있도록 결합된 원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산은 펼침 동작을 버튼의 누름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우산과,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슬라이더를 잡고 밀어 펼침 동작이 이루어지는 수동우산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우산은 손잡이대의 텔레스코프식 신축이 2단 또는 그 이상의 단수로 이루어지는 다단우산과, 손잡이대의 신축이 없는 장우산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우산의 살대 길이나 살대의 수에 따라 또는 원단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나눌 수 있다.
우산의 원단은 나이론, 폴리에스테르, 실크, 재생비닐 등이 있는데 어떠한 원단이든 방수기능이 구비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장시간 비를 맞게 되면 원단에 다량의 빗물이 묻게 되는 것은 물론 빗물이 흡수되기도 한다.
이러한 우산을 실내에서 들고다닐 경우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로 인하여 실내 바닥이 지저분해지거나 빗물에 의해 실내 바닥이 미끄럽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바닥에 떨어져 있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청소부들의 추가적인 인건비 손실도 문제가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실내에 들어오기 전에 우산에 비닐을 씌우는 비닐 커버링장치가 있다. 그러나, 다시 외출하게 되면 씌워진 비닐은 재활용되지 못하고 쓰레기통에 버려져 자원낭비 및 환경 문제 등이 심각하다. 더욱이, 우산의 원단에 빗물이 흡수 또는 묻은 채로 비닐을 씌워 보관하게 되므로 우산의 원단이나 살대가 대기 중의 오염물질이 함유된 빗물에 의해 부식되어 오래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비닐 커버링장치 이외에도 종래 우산에 묻은 빗물을 제거하기 위해 특정 형상의 흡착패드나 고무패드 등에 삽입하여 긁어내는 등의 우산의 빗물제거장치는 단순히 빗물만 제거할 뿐 우산의 원단에 흡수된 물기는 제거하지 못하고, 우산의 원단이 쉽게 찢어지거나 상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방이 막힌 격실에 우산을 삽입하고, 열풍을 불어 우산을 건조시키는 형태의 종래 열풍 건조장치는 단지 격실 내를 열풍으로 채워 고온의 분위기를 형성하기만 할 뿐으로서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고, 건조까지 하기에는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시간에 자동으로 신속하고 확실하게 우산에 묻은 빗물을 제거하고, 우산의 원단에 흡수된 빗물을 건조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확보하고, 우산의 장수명을 보장할 수 있는 우산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는, 상부에 우산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저수통이 내부로 삽탈되는 프레임과, 내부가 중공인 역원추 형상으로 상단이 상기 우산투입구와 연결되고, 하단이 개구되어 상기 저수통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건조실과, 우산이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우산투입구 내측으로 설치되고, 내부에 송풍팬으로부터 공급받은 공기가 유동하는 에어라인이 형성된 링블레이드와, 상기 링블레이드의 내측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에어라인에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건조실의 하방으로 분출하는 복수의 에어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링블레이드는, 단면 형상이 익형으로 내경면이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에어노즐 각각은, 상기 링블레이드의 상단 내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실은, 내측면으로부터 복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우산투입구로 투입되는 우산의 외주면이 상기 돌기에 의해 상기 내측면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돌기는, 각각이 상기 우산의 삽입에 의해 압박되어 탄성 변형하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블레이드의 에어라인으로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도록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선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는 상기 우산투입구에 우산의 투입 여부를 감지하는 우산감지센서와, 상기 저수통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우산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우산이 투입되면 상기 송풍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저수통의 수위가 설정된 높이 이상인 경우 상기 송풍팬의 작동을 중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우산의 감지여부, 상기 송풍팬의 작동여부 및 상기 저수통의 현재 수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는, 링블레이드 및 복수의 에어노즐을 통해 우산투입구로 투입된 우산의 원단을 향해 직접 하방으로 공기를 분출하여 단시간에 신속하고 확실하게 우산에 묻은 빗물을 제거하고, 우산의 원단에 흡수된 빗물을 건조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확보하고, 우산의 장수명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링블레이드의 단면 형상이 익형으로 제작되고, 복수의 에어노즐이 상기 링블레이드의 상단 내측에 형성되어 분출되는 공기가 베르누이법칙에 따라 링블레이드의 내경면을 타고 흐르면서 속도가 빨라짐은 물론 빨라진 공기가 역원추형의 건조실 하방으로 이동할수록 더욱 빠르게 이동하면서 우산에 묻은 빗물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더욱이, 건조실의 내측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빗물에 젖은 우산의 원단이 건조실의 내측면에 달라붙지 않고 이격되어 분출되는 공기에 의해 빗물의 제거 및 건조가 더욱 확실해진다.
또한, 우산감지센서 및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전송받는 제어부와 현재 상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자동으로 우산의 빗물 제거 및 건조를 수행함은 물론 사용자가 편리하게 인식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 중 건조실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실시예 중 링블레이드 및 에어노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C-C'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 건조실(200), 링블레이드(300), 에어노즐(400), 저수통(500) 및 송풍팬(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열선히터(700), 제어부(800), 우산감지센서(810), 수위감지센서(820) 및 디스플레이(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의 외관으로서, 프레임(100)의 내외부에 각종 구성요소가 취부 결합된다. 프레임(100)의 형상은 어떠한 형상이라도 상관없으나,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우산이 투입되는 우산투입구(110)가 형성되고, 하부에 우산으로부터 빗물을 받아 저장하는 저수통(500)이 삽탈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면 족하다.
건조실(200)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투입구(110)로부터 투입된 우산으로부터 빗물이 제거됨과 동시에 건조되도록 우산을 내부로 삽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건조실(200)은 내부가 중공인 역원추 형상으로 상단이 상기 우산투입구(110)와 연결되고, 하단이 개구되어 상기 저수통(50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건조실(200)의 내부가 중공이고 역원추 형상인 이유는 건조실(200)의 내부로 우산이 삽입되어 형합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후술하는 에어노즐(400)로부터 분출되는 공기가 벤투리 효과와 같이 건조실(200)의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므로 속도가 더욱 빨라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건조실(200)의 하단이 개구된 이유는 후술할 에어노즐(400)로부터 분출된 공기에 의해 우산에 묻은 빗물이 건조실의 하방으로 쓸려 내려가면서 건조실(200)의 개구된 하단으로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쓸려 내려간 빗물은 건조실(200)의 개구된 하단을 빠져나간 후 저수통(500)에 저장된다.
링블레이드(3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이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100)의 우산투입구(110) 내측으로 설치되고, 내부에 송풍팬(600)으로부터 공급받은 공기가 유동하는 에어라인(310)이 형성된다. 링블레이드(300)는 명칭 그대로 중앙이 개구된 링형상으로 상기 우산투입구(110)의 내측으로 설치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링블레이드(300)의 외주면이 상기 우산투입구(110)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우산투입구(110)로 투입되는 우산은 상기 링블레이드(3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이때,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블레이드(300)는 원형의 고리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타원형이나 다각형의 고리형상이라도 상관없고, 삽입되는 우산의 외주면에 형합되도록 내경부가 상부에서 바라볼 때 별모양과 같이 개구된 형상이라도 상관없다. 이러한 링블레이드(300)의 내부는 공기가 유동하는 에어라인(310)이 형성되고, 에어라인(310)으로 공급된 공기는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600)을 통해 공급되는 외부공기이다.
에어노즐(400)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블레이드(300)의 에어라인(310)으로 공급된 공기를 분출하는 공기분출구멍이다. 즉, 에어노즐(400)은 복수가 구비되어 상기 링블레이드(300)의 내측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에어라인(310)에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건조실(200)의 하방으로 분출한다. 건조실(200)에 삽입된 우산의 원단 외주면에 묻은 빗물이 상기 에어노즐(400)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에 의해 하방으로 쓸려 내려가고, 건조실(200) 내의 공기 유동에 의해 우산에 흡수된 빗물 역시 쉽게 건조될 수 있다.
상기 에어노즐(400)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는 건조실(200)에 삽입된 우산의 외주면 및 링블레이드(300)의 내경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분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빠르게 하여 우산에 묻은 빗물이 더욱 잘 쓸려 내려가도록 할 필요가 있다. 즉, 링블레이드(300)는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익형으로 내경면이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에어노즐(400) 각각은 상기 링블레이드(300)의 상단 내측에 형성된다. 베르누이의 법칙에 따르면 유체의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의 총합은 항상 일정하므로 익형의 내경면이 볼록한 곡면 형상일 때 그 위를 지나는 공기는 압력은 감소하되 속도는 빨라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링블레이드(300)의 상단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에어노즐(400)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는 링블레이드(300)의 내경면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볼록한 곡면 형상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유속이 더욱 빨라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건조실(200)의 내부로 우산이 삽입될 때 건조실(200)의 내측면에 우산의 젖은 원단이 쉽게 달라붙어 에어노즐(400)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이동을 방해하게 되고, 빗물의 제거 및 건조가 효과적으로 수행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건조실(200)의 내측면과 삽입된 우산의 외주면이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있다면, 에어노즐(400)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이동도 자유롭고, 빗물의 제거 및 건조 역시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즉,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실(200)은 내측면으로부터 복수의 돌기(21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우산투입구(110)로 투입된 우산의 외주면이 상기 돌기(210)에 의해 상기 내측면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건조된다. 이때, 상기 돌기(210)가 취성재료로서 강체라면 돌기(210)의 크기가 작은 경우 우산의 삽입시 쉽게 파괴될 수 있고 우산의 원단에 상처를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돌기(210)는 각각이 우산의 삽입에 의해 압박되어 탄성 변형하는 연질의 탄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건조실(200)의 내부로 삽입된 우산이 돌기(21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압박되지만 건조실(20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공기의 이동 및 건조가 더욱 용이해지고, 건조실(200)로부터 우산을 이탈시킬 때 역시 돌기(210)가 탄성 복원되면서 우산을 압박하며 쓸어내어 우산을 부드럽게 말아쥐면서 짜내게 됨으로써 흡수된 빗물 제거에도 더욱 좋다.
한편, 에어노즐(400)로부터 분출되는 공기가 열풍이라면 건조실(200)에 삽입된 우산의 건조가 더욱 용이할 것이다. 따라서,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선히터(7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열선히터(700)는 상기 링블레이드(300)의 에어라인(310)으로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도록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 상기 송풍팬(60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가열된 공기는 링블레이드(300)의 에어라인(310)으로 공급되고, 에어라인(310)으로 공급된 공기는 에어노즐(400)로 분출되어 건조실(200)의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우산의 빗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우산을 건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에 있어서, 송풍팬(600)의 구동을 버튼의 누름작동에 의한 수동조작이 아닌 자동으로 우산의 투입여부를 감지하여 작동하고, 저수통(500)에 저장된 빗물의 수위를 알려주어 더 이상의 작동을 중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산투입구(110)에 우산의 투입 여부를 감지하는 우산감지센서(810)와, 상기 저수통(500)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감지센서(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800)는 상기 우산감지센서(81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우산이 투입되면 상기 송풍팬(600)을 작동시키고, 상기 수위감지센서(82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저수통(500)의 수위가 설정된 높이 이상인 경우 상기 송풍팬(600)의 작동을 중지한다. 우산감지센서(810)나 수위감지센서(820)는 모두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센서 중 어떠한 센서라도 상관없으며, 이러한 센서는 종래 기술로 구현 가능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저수통(500)의 수위가 설정된 높이 이상인 경우란, 예컨대 80~90%정도로 저수통(500)에 빗물이 가득찬 경우로서 더 이상 다른 우산으로부터 빗물을 받게 되면 저수통(500)으로부터 빗물이 넘쳐 흐르게 되는 정도를 말한다. 이때는 저수통(500)을 프레임(100)으로부터 꺼낸 후 저장된 빗물을 비우고, 다시 프레임(100)에 삽입하여 또 다른 우산의 빗물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우산감지센서(810)나 수위감지센서(820) 등 현재 상태를 사용자가 눈으로 인지하고, 작동과정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900)를 통하여 식별할 필요가 있다. 즉, 디스플레이(90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우산의 감지여부, 상기 송풍팬(600)의 작동여부 및 상기 저수통(500)의 현재 수위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900)는 현재 진행과정을 표시할 수도 있고, 저수통(500)에 설정된 수위 이상으로 빗물이 가득찬 경우에는 저수통(500)에 저장된 빗물을 비워달라는 경고메시지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프레임 110 : 우산투입구
200 : 건조실 210 : 돌기
300 : 링블레이드 310 : 에어라인
400 : 에어노즐
500 : 저수통
600 : 송풍팬
700 : 열선히터
800 : 제어부
810 : 우산감지센서 820 : 수위감지센서
900 : 디스플레이

Claims (7)

  1. 상부에 우산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저수통이 내부로 삽탈되는 프레임과,
    내부가 중공인 역원추 형상으로 상단이 상기 우산투입구와 연결되고, 하단이 개구되어 상기 저수통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건조실과,
    우산이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우산투입구 내측으로 설치되고, 내부에 송풍팬으로부터 공급받은 공기가 유동하는 에어라인이 형성된 링블레이드와,
    상기 링블레이드의 내측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에어라인에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건조실의 하방으로 분출하는 복수의 에어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링블레이드는,
    단면 형상이 익형으로 내경면이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에어노즐 각각은,
    상기 링블레이드의 상단 내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건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은,
    내측면으로부터 복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우산투입구로 투입되는 우산의 외주면이 상기 돌기에 의해 상기 내측면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건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는,
    각각이 상기 우산의 삽입에 의해 압박되어 탄성 변형하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블레이드의 에어라인으로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도록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선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건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투입구에 우산의 투입 여부를 감지하는 우산감지센서와,
    상기 저수통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우산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우산이 투입되면 상기 송풍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저수통의 수위가 설정된 높이 이상인 경우 상기 송풍팬의 작동을 중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건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우산의 감지여부, 상기 송풍팬의 작동여부 및 상기 저수통의 현재 수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건조장치.
KR1020110041830A 2011-05-03 2011-05-03 우산 건조장치 KR101235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830A KR101235127B1 (ko) 2011-05-03 2011-05-03 우산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830A KR101235127B1 (ko) 2011-05-03 2011-05-03 우산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134A KR20120124134A (ko) 2012-11-13
KR101235127B1 true KR101235127B1 (ko) 2013-02-28

Family

ID=47509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830A KR101235127B1 (ko) 2011-05-03 2011-05-03 우산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1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195A (ko) 2018-12-28 2020-07-0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원심 우산 탈수기
KR20200140526A (ko) * 2019-06-07 2020-12-16 김학열 우산탈수장치
KR20210019140A (ko) * 2019-08-12 2021-02-22 박서연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27749A (zh) * 2013-11-25 2014-04-16 青岛盛嘉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雨伞速干器
CN105806043A (zh) * 2014-12-30 2016-07-27 庞迪妍 无线射频识别干伞机、系统及其方法
IT201700042105A1 (it) * 2017-04-14 2018-10-14 Roberto Apicella Dispositivo elettrico di asciugatura a getto d'aria per ombrelli
KR102017609B1 (ko) * 2018-06-29 2019-10-14 (주)디에스이노텍 우산 건조 장치
KR101973382B1 (ko) * 2018-10-11 2019-04-29 (주)스페이스링크 제트 블레이드 기술을 이용한 자동 우산건조기
KR102199547B1 (ko) * 2018-11-26 2021-01-07 양승호 우산 빗물 제거기
CN109458832A (zh) * 2018-12-21 2019-03-12 河北工业大学 鼓风机式雨水速干机
KR102134992B1 (ko) * 2019-02-01 2020-07-16 문명호 우산 건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273U (ja) * 1991-04-12 1993-10-05 憲男 興梠 傘雨滴絞り装置
KR960013830B1 (ko) * 1995-06-02 1996-10-10 이대근 젖은 우산의 건조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273U (ja) * 1991-04-12 1993-10-05 憲男 興梠 傘雨滴絞り装置
KR960013830B1 (ko) * 1995-06-02 1996-10-10 이대근 젖은 우산의 건조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195A (ko) 2018-12-28 2020-07-0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원심 우산 탈수기
KR20200140526A (ko) * 2019-06-07 2020-12-16 김학열 우산탈수장치
KR102277910B1 (ko) * 2019-06-07 2021-07-14 김학열 우산탈수장치
KR20210019140A (ko) * 2019-08-12 2021-02-22 박서연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기
KR102286251B1 (ko) * 2019-08-12 2021-08-09 박서연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134A (ko) 2012-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127B1 (ko) 우산 건조장치
KR101676966B1 (ko) 우산 탈수장치
CN206928103U (zh) 衣物整理机
KR20170140517A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170067327A (ko)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KR20160139561A (ko) 우산 건조기
KR200469310Y1 (ko) 우산 건조장치
KR101527602B1 (ko)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
CN206866794U (zh) 雨伞自动除水及雨水保存处理装置
KR101260242B1 (ko) 우산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2134369B1 (ko) 다용도 자동 우산 건조기
CN108131901A (zh) 快速干燥机
JP2003056982A (ja) 傘脱水装置
JPH09229554A (ja) 傘の乾燥装置
CN109137425A (zh) 衣物整理机
KR20110075102A (ko) 송풍식 우산 건조 장치
KR102176916B1 (ko) 고압분사 공기순환방식 우산 빗물 제거기
KR20200114539A (ko) 이동식 우산 건조기
KR102049555B1 (ko) 우산 건조장치
KR20150078370A (ko) 우산건조장치
KR20160127924A (ko) 우산 건조기
CN202202169U (zh) 快速干衣器
KR102286251B1 (ko)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기
CN105276943A (zh) 雨伞干燥机
CN206001820U (zh) 一种雨伞速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