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916B1 - 고압분사 공기순환방식 우산 빗물 제거기 - Google Patents

고압분사 공기순환방식 우산 빗물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916B1
KR102176916B1 KR1020190113953A KR20190113953A KR102176916B1 KR 102176916 B1 KR102176916 B1 KR 102176916B1 KR 1020190113953 A KR1020190113953 A KR 1020190113953A KR 20190113953 A KR20190113953 A KR 20190113953A KR 102176916 B1 KR102176916 B1 KR 102176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gas
unit
input unit
gas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광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광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광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113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에 젖은 우산에서 빗물을 짧은 시간에 제거하거나 우산을 완전하게 건조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우산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는, 상면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일정한 내부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개구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긴 원통 형상의 우산 투입부; 상기 우산 투입부의 상단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우산 투입부로 우산이 투입 및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우산 감지 센서; 상기 우산 투입부 중 상기 우산 감지 센서 설치 위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우산 투입부 중앙 하측 방향으로 고압으로 기체를 분사하는 기체 분사부; 상기 우산 투입부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우산에서 분리된 물을 배출하는 물 배출부; 상기 우산 감지 센서에 의하여 우산이 상기 우산 투입부 내부로 진입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기체 분사부를 통하여 고압으로 기체가 분사되도록 상기 기체 분사부를 제어하고, 상기 우산 감지 센서에 의하여 상기 우산이 우산 투입부를 빠져나가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기체 분사부의 작동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압분사 공기순환방식 우산 빗물 제거기{A APPARATUS FOR DEWATERING THE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빗물에 젖은 우산에서 빗물을 짧은 시간에 제거하거나 우산을 완전하게 건조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우산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시에는 대부분의 우산 사용자들이 젖은 우산에서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실내공간, 예를 들면, 호텔, 백화점, 학교, 상가 및 사무용 빌딩으로 들어오게 된다.
따라서, 우산에 부착된 빗물 등은 우산으로부터 실내 바닥이나 계단으로 낙하되고, 이러한 빗물은 실내 바닥을 미끄럽게 하여 보행자가 넘어지는 등의 사고를 유발시키게 되고, 이러한 보행자의 미끄러짐 사고가 계단 등에서 발생하는 경우에는 매우 치명적인 사고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뿐만 아니라 바닥에 떨어진 빗물은 보행자의 신발에서 떨어져 나온 각종 오염물 등과 혼합되어 실내 바닥을 더럽히게 되어 청결 관리에도 어려움이 많다.
빌딩의 출입구에는 우천시 항상 우산을 담아두기 위한 우산통을 구비하거나 우산을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일회용 우산비닐커버 공급장치를 비치하게 된다. 이는 우산분실의 우려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주로 우산비닐커버를 사용하는데, 우산비닐공급장치는 장우산 또는 단우산(접이식 우산)을 넣을 수 있는 비닐봉투를 거치대상에 수 십장 세팅하여 사용자가 우산을 비닐에 넣은 상태로 휴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우산비닐커버는 우산의 천에 잔류하는 빗물로 인해 장시간 비닐봉투에 넣어두면 빗물이 우산의 천에 스며들어 우산 살대를 부식시키고, 우산을 재사용시 빗물이 우산의 천 내면에 맺혀 옷이나 신체에 일부가 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우산비닐공급장치는 사용 후에 젖은 일회용 비닐커버를 다량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는데에도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고, 또한 그 소모량도 일회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비용부담이 있으며, 쓰레기 처리부분에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비닐을 사용하지 않고 우산을 자동으로 탈수 또는 건조시킬 수 있는 기술들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6344호 등에 의하여 개시되고 있으나, 천으로 이루어진 우산에서 단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빗물을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빗물에 젖은 우산에서 빗물을 짧은 시간에 제거하거나 우산을 완전하게 건조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우산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는, 상면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일정한 내부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개구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긴 원통 형상의 우산 투입부; 상기 우산 투입부의 상단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우산 투입부로 우산이 투입 및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우산 감지 센서; 상기 우산 투입부 중 상기 우산 감지 센서 설치 위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우산 투입부 중앙 하측 방향으로 고압으로 기체를 분사하는 기체 분사부; 상기 우산 투입부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우산에서 분리된 물을 배출하는 물 배출부; 상기 우산 감지 센서에 의하여 우산이 상기 우산 투입부 내부로 진입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기체 분사부를 통하여 고압으로 기체가 분사되도록 상기 기체 분사부를 제어하고, 상기 우산 감지 센서에 의하여 상기 우산이 우산 투입부를 빠져나가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기체 분사부의 작동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기체 분사부는, 상기 우산 투입부의 측면에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설치되며, 공급되는 기체를 상기 우산 투입부 중앙 하측 방향으로 분사하는 다수개의 분사노즐; 상기 다수개의 분사노즐에 고압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부; 상기 기체 공급부와 각 분사 노즐을 연결하여 설치되며, 각 분사 노즐에 고압 기체를 공급하는 다수개의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우산 투입부의 상단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상층 분사 노즐; 상기 상층 분사 노즐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측에 설치되는 하층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에는, 상기 우산 투입부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 노즐의 고정 설치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분사 노즐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왕복 회전시키는 노즐 회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기체 공급부에는, 상기 기체 공급부 내의 기체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물 배출부는, 상기 우산 투입부의 하단을 차단하는 차단 플레이트;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물 배출공;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기 케이스로부터 여닫을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물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담아두는 물받이 서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우산 탈수장치에 의하면 빗물에 젖은 우산에서 빗물을 짧은 시간에 제거하는 모드와 우산을 완전하게 건조하는 모드를 선택하여 짧은 시간에 효과적으로 우산의 탈수와 건조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의 외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투입부와 기체 분사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의 외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 실시예 1 >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100)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 우산 투입부(120), 우산 감지 센서(130), 기체 분사부(140), 물 배출부(150)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케이스(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며, 일정한 내부 공간을 가지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 중앙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12)가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우산 투입부(120)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개구부(112)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긴 원통 형상의 구성요소이다. 이 우산 투입부(120) 내에 젖은 우산이 투입된 상태에서 빗물 제거 및 건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우산 투입부(120)의 상단은 상기 케이스(110)의 개구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하단은 상기 물 배출부(150)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우산 감지 센서(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산 투입부(120)의 상단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우산 투입부(120)로 우산이 투입 및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우산 감지 센서(130)는 일반적으로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산 감지 센서(130)는 감지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된 위치에 2개 이상이 배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체 분사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산 투입부(120) 중 상기 우산 감지 센서(130) 설치 위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우산 투입부(120) 중앙 하측 방향으로 고압으로 기체를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기체 분사부(140)는 상기 우산 투입부(120) 중앙 하측 방향으로 고압 기체를 분사하여 우산에 묻어 있는 빗물을 분리하여 하측으로 보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체 분사부(140)를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노즐(142), 기체 공급부(144) 및 공급관(146)을 포함하여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분사 노즐(142)은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산 투입부(120)의 측면에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설치되며, 공급되는 기체를 상기 우산 투입부(120) 중앙 하측 방향으로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개로 나뉘어 설치된다. 이때 개별 분사 노즐(142)은 원형 관으로 구성되며, 그 일단이 노즐 회전부(148) 또는 우산 투입부(120)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우산 투입부(120)의 중앙 하측 부분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 노즐(142)은,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산 투입부(120)의 상단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상층 분사 노즐(142a)과, 상기 상층 분사 노즐(142a)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측에 설치되는 하층 분사 노즐(142b)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서로 다른 높이에 상층 분사 노즐(142a)과 하층 분사 노즐(142b)가 각각 구비되면, 우산에 대한 빗물 제거 작업이 이중으로 진행되어 더욱 효과적이고 신속한 빗물 제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체 공급부(14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분사노즐(142)에 고압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기체 공급부(144)는 구체적으로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효과적인 기체 공급을 위하여 상기 우산 투입부(12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기체 공급부(144)는 전체 분사 노즐 중 절반에 기체를 공급하고, 반대편 기체 공급부(144)가 나머지 절반에 대하여 기체를 공급한다.
다음으로 상기 공급관(14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체 공급부(144)와 각 분사 노즐(142)을 연결하여 설치되며, 각 분사 노즐(142)에 고압 기체를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분사 노즐(142)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고압의 기체를 공급하므로, 상기 공급관(146)도 상기 분사 노즐(142)과 동일한 개수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공급관(146)은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공급관(146)이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은, 설치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노즐 회전부(148)를 회전시키는 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 회전부(148)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산 투입부(120)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 노즐(142)의 고정 설치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분사 노즐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왕복 회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노즐 회전부(148)는 원형의 밴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우산 투입부(120)의 중간에 삽입되어 설치되거나, 상기 우산 투입부(12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설치홈에 상기 분사 노즐들이 설치되도록 상기 우산 투입부(120)의 후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 회전부(148)는 이렇게 다수개의 분사 노즐(142)이 설치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일정 각도 간격으로 회전하여 이에 설치되어 있는 분사 노즐을 반복 회전시킨다.
이렇게 노즐 회전부(148)에 의하여 분사 노즐(142)들이 좌우로 반복하여 회전하면 상기 우산 투입부(120)에 투입되어 있는 우산의 원단을 긁어서 달라붙어 있는 원단을 떨어뜨리고 효과적인 건조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분사 노즐(142)이 상층 분사 노즐(142a)과 하층 분사 노즐(142b)로 나뉘어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층 분사 노즐(142a)이 설치되는 노즐 회전부(148a)와 하층 분사 노즐(142b)이 설치되는 노즐 회전부(148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우산의 원단을 더욱 효과적으로 긁어줄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체 공급부(144)에는 가열수단(141)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가열수단(141)은 상기 기체 공급부(144) 내부 또는 이어지는 공급관(146)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 공급부(144) 내의 기체 또는 상기 기체 공급부(144)에서 배출되는 기체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가열수단(141)에 의하여 가열된 고압 기체를 우산에 분사하면 물을 단순하게 제거할 뿐만아니라, 우산을 말려주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물 배출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산 투입부(120)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우산에서 분리된 물을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 배출부(150)를 구체적으로 차단 플레이트(152), 물 배출공(154) 및 물받이 서랍(156)으로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차단 플레이트(152)는 상기 우산 투입부(120)의 하단을 차단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물 배출공(154)는 상기 차단 플레이트(152)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물이 배출되는 통로이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 서랍(156)은 상기 차단 플레이트(152)의 하측에 상기 케이스(110)로부터 여닫을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물 배출공(154)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담아두는 구성요소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산 감지 센서(130)에 의하여 우산이 상기 우산 투입부(120) 내부로 진입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기체 분사부(140)를 통하여 고압으로 기체가 분사되도록 상기 기체 분사부(140)를 제어하고, 상기 우산 감지 센서(130)에 의하여 상기 우산이 우산 투입부(120)를 빠져나가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기체 분사부(140)의 작동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10)의 상면에 가열수단 조작버튼(160)이 더 구비되고, 사용자가 상기 가열수단 조작버튼(160)을 누르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가열수단(141)을 미리 특정한 일정한 시간 동안 가열시켜 우산을 건조시키는 동작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짧은 시간 안에 단순하게 우산에서 빗물만 떨어내는 정도의 작업만을 원하는 사용자는 상기 가열수단 조작버튼(160)을 누를 필요가 없고, 조금 시간을 더 투여하더라도 우산을 어느 정도 건조시키고 싶은 사용자는 상기 가열수단 조작버튼(160)을 눌러서 우산을 건조시키는 선택권을 부여하는 것이다.
< 실시예 2 >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 탈수 장치(200)는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 우산 통과홈(220), 우산 감지 센서(230), 기체 분사부(240), 물 배출부(250) 및 제어부(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본체(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 탈수 장치(20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며, 다른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본체(2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 탈수 장치(200)가 설치 및 작동 상태에서 그 형태를 유지하고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21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우산 통과홈(220)은 상기 본체(210)의 상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일정한 깊이로 길게 형성되는 공간이며, 우산이 이 우산 통과홈(220)을 통과하면서 빗물 제거 및 건조 과정이 진행된다. 따라서 상기 우산 통과홈(220)은 우산이 통과할 수 있는 폭과 깊이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우산 감지 센서(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우산 통과홈(220)으로 우산이 진입하는 것을 감지한다. 물론 상기 우산 감지 센서(230)는 상기 본체(210)의 후면에도 설치되어, 우산이 상기 우산 통과홈(220)을 빠져나가는 것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체 분사부(240)는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산 통과홈(22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우산 통과홈(220) 중앙 하측으로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기체 분사부(240)에 의하여 분사되는 고압의 기체에 의하여, 상기 우산 통과홈(220)을 통과하는 우산의 원단에 묻어 있는 빗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체 분사부(240)를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노즐(242), 기체 공급부(244), 공급관(246), 노즐 구동부(248)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분사 노즐(242)은 상기 우산 통과홈(220)의 중앙 하측 방향으로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는 구성요소로서, 다수개의 분사 노즐(242)이 일렬로 배치된다. 이때 다수개의 분사 노즐(242)의 이격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되며, 상기 우산 통과홈의 전단에서 후단까지 균일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분사 노즐(242)은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 분사 노즐(242a)와 하층 분사 노즐(242b)로 서로 다른 높이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서로 다른 높이에 분사 노즐이 설치되면, 서로 다른 길이의 우산에 대하여 대응가능하며, 하나의 우산에 묻어 있는 빗물도 더욱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기체 공급부(24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분사노즐(242)에 고압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기체 공급부(244)는 구체적으로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효과적인 기체 공급을 위하여 상기 우산 통과홈(22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기체 공급부(244)는 전체 분사 노즐 중 절반에 기체를 공급하고, 반대편 기체 공급부(244)가 나머지 절반에 대하여 기체를 공급한다.
다음으로 상기 공급관(24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체 공급부(244)와 각 분사 노즐(242)을 연결하여 설치되며, 각 분사 노즐(242)에 고압 기체를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분사 노즐(242)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고압의 기체를 공급하므로, 상기 공급관(246)도 상기 분사 노즐(242)과 동일한 개수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공급관(246)은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공급관(246)이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은, 설치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노즐 구동부(248)를 회전시키는 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 구동부(248)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10) 중 상기 우산 통과홈(220) 측 내면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 노즐(242)의 고정 설치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분사 노즐을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노즐 구동부(248)는 긴 직선 형상의 밴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우산 통과홈(220) 측 내면의 중간에 삽입되어 설치되거나, 상기 우산 통과홈(220) 측 내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설치홈에 분사 노즐들이 설치되도록 상기 본체 내측 판넬(212)의 후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 구동부(248)는 이렇게 다수개의 분사 노즐이 설치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에 설치되어 있는 분사 노즐을 반복 이동시킨다. 이렇게 노즐 구동부에 의하여 분사 노즐들이 좌우로 반복하여 이동하면 상기 우산 통과홈을 통과하는 우산의 원단을 긁어서 달라붙어 있는 원단을 떨어뜨리고 효과적인 건조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 실시예 3 >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300)는 도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10), 우산 투입부(320), 우산 감지 센서(330), 기체 분사부(340), 물 배출부(350)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케이스(3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며, 일정한 내부 공간을 가지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케이스(300)의 상면 중앙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우산 투입부(320)는 도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개구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긴 원통 형상의 구성요소이다. 이 우산 투입부(320) 내에 젖은 우산이 투입된 상태에서 빗물 제거 및 건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우산 투입부(320)의 상단은 상기 케이스(310)의 개구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하단은 상기 물 배출부(350)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우산 감지 센서(3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산 투입부(320)의 상단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우산 투입부(320)로 우산이 투입 및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우산 감지 센서(330)는 일반적으로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산 감지 센서(330)는 감지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된 위치에 2개 이상이 배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체 분사부(340)는 도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산 투입부(320) 중 상기 우산 감지 센서(330) 설치 위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우산 투입부(320) 중앙 하측 방향으로 고압으로 기체를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기체 분사부(340)는 상기 우산 투입부(320) 중앙 하측 방향으로 고압 기체를 분사하여 우산에 묻어 있는 빗물을 분리하여 하측으로 보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체 분사부(340)를 구체적으로 도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노즐(342), 기체 공급부(344) 및 공급관(346)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분사 노즐(342)은 도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산 투입부(320)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기체를 상기 우산 투입부(320) 중앙 하측 방향으로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상기 분사 노즐(342)은 상기 우산 투입부(320)를 비스듬하게 잘라서 결합된 형태로 상기 우산 투입부(32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 노즐(342)에 의하여 분사되는 기체는 하측 방향을 향하게 되고, 우산의 일측 절반 이상을 동시에 불어서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사 노즐(342)은 우산에 대하여 빈 공간 발생 없이 균일하게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여 물기 제거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체 공급부(34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142)에 고압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기체 공급부(344)는 구체적으로 달팽이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효과적인 기체 공급을 위하여 상기 우산 투입부(32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공급관(346)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체 공급부(344)와 각 분사 노즐(342)을 연결하여 설치되며, 분사 노즐(342)에 고압 기체를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다음으로 상기 물 배출부(3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산 투입부(320)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우산에서 분리된 물을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 배출부(350)를 구체적으로 물 배출공(352) 및 물받이 서랍(354)으로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물 배출공(352)는 물이 배출되는 통로이ㅁ며, 상기 물받이 서랍(354)은 우산 투입부(320)의 하측에 상기 케이스(310)로부터 여닫을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물 배출공(352)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담아두는 구성요소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산 감지 센서(330)에 의하여 우산이 상기 우산 투입부(320) 내부로 진입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기체 분사부(340)를 통하여 고압으로 기체가 분사되도록 상기 기체 분사부(340)를 제어하고, 상기 우산 감지 센서(330)에 의하여 상기 우산이 우산 투입부(320)를 빠져나가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기체 분사부(340)의 작동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 실시예 4 >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 탈수 장치(400)는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410), 우산 투입부(420), 버퍼통(430), 기체 분사 펌프(440), 기체 분사부(450), 기체 배출부(460) 및 물 배출부(4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케이스(4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며, 일정한 내부 공간을 가지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케이스(410)의 상면 중앙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412)가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우산 투입부(420)는, 도 12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4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개구부(412)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긴 원통 형상의 구성요소이다. 이 우산 투입부(420) 내에 젖은 우산이 투입된 상태에서 빗물 제거 및 건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우산 투입부(420)의 상단은 상기 케이스(410)의 개구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하단은 상기 물 배출부(470)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우산 투입부(420)는 원통 형상 또는 각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버퍼통(430)은 도 11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산 투입부(420)를 외측에서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우산 투입부(420) 외부에서 기체 분사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버퍼통(430)은 상기 우산 투입부(420)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되, 상기 우산 투입부(420)의 외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버퍼통(430)과 우산 투입부(420) 사이에는 일정한 기체 분사 공간(432)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기체 분사 펌프(440)는 도 12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4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버퍼통(430) 내부로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기체 분사 펌프(440)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버퍼통(430) 내부로 기체 분사관(442)에 의하여 연통되어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기체 분사부(450)는 도 11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산 투입부(420)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버퍼통(430)에 채워진 기체를 상기 우산 투입부(420)의 하측방으로 분사하여 상기 우산 투입부(420)에 하향 기체 흐름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기체 분사부(450)는 상기 기체 분사 공간(432) 내에 채워진 고압의 기체를 상기 우산 투입부(420)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강하게 분사하여, 상기 우산 투입부(420) 내부에 강한 하강 기류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체 분사부(450)를 구체적으로 도 12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 통과홀(452), 상부 기체 유도판(454) 및 하부 기체 유도판(4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기체 통과홀(452)은 상기 우산 투입부(420)의 상단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며, 상기 기체 분사 공간의 기체가 통과하는 통로이다. 즉, 상기 기체 통과홀(452)은 우산 투입부(420) 둘레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며, 얇은 틈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기체 유도판(454)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체 통과홀(452)의 상단에 설치되며, 하측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상기 하부 기체 유도판(456)은 상기 기체 통과홀(452)의 하단에 상기 상부 기체 유도판(454)과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부 기체 유도판(454)과 함께 상기 우산 투입부(420) 하측 방향으로 기체 분사를 유도한다.
다음으로 상기 기체 배출부(46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산 투입부(430)의 하단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기체 분사부(450)에 의하여 분사되는 기체가 배출되는 통로이다. 상기 기체 배출부(460)는 상기 기체 분사부(450)에 의하여 하측 방향으로 강하게 분사되는 기체가 그 흐름을 유지하면서 배출되는 통로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체 배출부(460)를 구체적으로 도 12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 배출공(462), 배출 유도부(464) 및 외부 배출공(466)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기체 배출공(462)은 상기 우산 투입부 하단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우산 투입부 하단 면적의 절반 이상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기체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 유도부(464)는 상기 기체 배출공(462)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우산에 의하여 떨어지는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기체가 상기 기체 배출공(462)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한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 배출공(466)은, 상기 기체 배출공(462)의 하측에 상기 케이스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기체 배출공(462)을 통하여 배출되는 기체를 상기 케이스(410)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외부 배출공(466)에 의하여 배출되는 기체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산 투입부(420) 내부에서 발생하는 강한 하강 기류에 의하여 다시 상기 우산 투입부(420)로 일부가 유입되어 순환된다.
다음으로 상기 물 배출부(470)는 상기 우산 투입부(420)의 하단에 상기 기체 배출부(460) 외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우산 투입부에 투입된 우산에서 제거된 물을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400)에는 우산 감지 선서(480)와 제어부(도면에 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상기 우산 감지 센서(480)는 도 11,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산 투입부(420)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우산 투입부(420)로 우산이 투입 및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산 감지 센서(480)에 의하여 우산이 상기 우산 투입부(420) 내부로 진입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기체 분사 펌프(440)를 통하여 고압으로 기체가 분사되도록 상기 기체 분사 펌프(440)를 제어하고, 상기 우산 감지 센서(480)에 의하여 상기 우산이 우산 투입부(420)를 빠져나가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기체 분사 펌프(440)의 작동을 중단하도록 제어한다.
< 실시예 5 >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 탈수 장치(400)는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510), 우산 투입부(520), 버퍼통(530), 기체 분사 펌프(540), 기체 분사부(550), 기체 배출부(560), 물 배출부(570) 및 접힘우산 투입부(5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스(510), 우산 투입부(520), 버퍼통(530), 기체 분사 펌프(540), 기체 분사부(550), 기체 배출부(560) 및 물 배출부(570)는 실시예 4의 그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접힘우산 투입부(58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산 투입부(520)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접히는 우산이 투입되어 빗물이 제거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접힘우산 투입부(580)는 접히는 구조의 짧은 우산이 접힌 상태에서 투입되어 빗물이 제거되는 것이며, 상기 우산 투입부(520)는 장 우산이 투입되어 빗물이 제거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힘우산 투입부(580)를 구체적으로, 도 16,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함(581), 제2 기체 분사부(582), 말단 삽입홀(583) 및 배출부(58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투입함(581)은 상기 케이스(510) 상면에서 하측으로 기립되어 설치되며, 다각통 형상을 가지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투입함(581)의 상면은 개방되어 상기 접힘 우산이 투입될 수 있는 입구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기체 분사부(582)는 도 16 내지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함(581)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함(581)의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제2 기체 분사부(582)에 의하여 분사되는 고압의 기체에 의하여 상기 투입함(581)에 투입되는 접힘 우산의 외면에 묻어 있는 빗물이 제거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기체 분사부(582)는 구체적으로 상기 투입함(581) 외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일정한 버퍼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버퍼통(582a), 상기 제1 버퍼통(582a)과 투입함(581)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투입함(581)의 하측 중앙 방향으로 기체 분사를 안내하는 기체 분사 안내부(582b), 상기 버퍼 공간에 고압의 기체를 공급하는 공급 펌프(58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말단 삽입홀(583)은 도 17,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함(581)의 하단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접힘 우산(10)의 말단부(12)가 삽입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말단 삽입홀(583)은 접힌 상태에서 상기 투입함(581)으로 진입하는 접힘 우산(10)의 말단부(12)가 진입하면서 접힌 부분이 후술하는 빗물 흡수 부재(586)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부(584)는 도 17,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함(581)의 하단과 상기 말단 삽입홀(583)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접힘 우산(10)에서 제거된 빗물과 상기 기체 분사부(582)에서 분사된 기체가 하측으로 배출되는 배출구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배출부(584)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구멍들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접힘우산 투입부(580)에는 접힌부분 빗물제거부(58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 탈수 장치(50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힘 우산(10)이 접힌 상태에서 빗물 제거가 이루어지므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부분에 대한 빗물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접힌부분 빗물제거부(585)가 상기 배출부(584)와 상기 말단 삽입홀(583)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접힘 우산(10)의 접힌 부분(14)이 접촉되어 빗물을 흡수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접힌부분 빗물제거부(585)에는, 더욱 확실한 빗물 제거를 위하여 상기 말단 삽입홀(582)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면으로 설치되며, 그 외면에는 빗물흡수 부재(58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 흡수 부재(586) 수분 흡수 능력이 우수한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접힌부분 빗물제거부(585) 뿐만아니라, 상기 말단 삽입홀(582)의 내면에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
110 : 케이스(110) 120 : 우산 투입부
130 : 우산 감지 센서 140 : 기체 분사부
150 : 물 배출부 150 : 가열수단 조작버튼

Claims (8)

  1. 상면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일정한 내부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직으로 기립되어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개구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긴 통 형상의 우산 투입부;
    상기 우산 투입부를 외측에서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우산 투입부 외부에서 기체 분사 공간을 형성하는 버퍼통;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버퍼통으로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는 기체 분사 펌프;
    상기 우산 투입부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버퍼통에 채워진 기체를 상기 우산 투입부의 하측방으로 분사하여 상기 우산 투입부에 하향 기체 흐름을 형성하는 기체 분사부;
    상기 우산 투입부의 하단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기체 분사부에 의하여 분사되는 기체가 배출되는 기체 배출부;
    상기 우산 투입부의 하단에 상기 기체 배출부 외측으로 상기 기체 배출부와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우산 투입부에 투입된 우산에서 제거된 물을 배출하는 물 배출부; 및
    상기 우산 투입부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접히는 우산이 투입되어 빗물이 제거되는 접힘우산 투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체 배출부는,
    상기 우산 투입부 하단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기체 배출공;
    상기 기체 배출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배출 유도부;
    상기 기체 배출공의 하부에 상기 케이스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기체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기체를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하는 외부 배출공;을 포함하고,
    상기 접힘우산 투입부는,
    상기 케이스 상면에서 하측으로 기립되어 설치되며, 다각통 형상을 가지는 투입함;
    상기 투입함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함의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는 제2 기체 분사부;
    상기 투입함의 하단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접힘우산의 말단부가 삽입되는 말단 삽입홀;
    상기 투입함의 하단과 상기 말단 삽입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접힘 우산에서 제거된 빗물과 상기 기체 분사부에서 분사된 기체가 하측으로 배출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와 상기 말단 삽입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접힘 우산의 접힌 부분이 접촉되어 빗물이 제거되는 접힌부분 빗물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힌부분 빗물제거부는,
    상기 말단 삽입홀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면으로 설치되며, 그 외면에는 빗물흡수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기체 분사부는,
    상기 우산 투입부의 상단 전체에 걸쳐서 얇은 틈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체 분사 공간의 기체가 통과하는 기체 통과홀;
    상기 기체 통과홀의 상단에 설치되며, 하측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상부 기체 유도판;
    상기 기체 통과홀의 하단에 상기 상부 기체 유도판과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되는 하부 기체 유도판;을 포함하는 우산 탈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 투입부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우산 투입부로 우산이 투입 및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우산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우산 감지 센서에 의하여 우산이 상기 우산 투입부 내부로 진입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기체 분사 펌프를 통하여 고압으로 기체가 분사되도록 상기 기체 분사 펌프를 제어하고, 상기 우산 감지 센서에 의하여 상기 우산이 우산 투입부를 빠져나가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기체 분사 펌프의 작동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우산 탈수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113953A 2019-09-17 2019-09-17 고압분사 공기순환방식 우산 빗물 제거기 KR102176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953A KR102176916B1 (ko) 2019-09-17 2019-09-17 고압분사 공기순환방식 우산 빗물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953A KR102176916B1 (ko) 2019-09-17 2019-09-17 고압분사 공기순환방식 우산 빗물 제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916B1 true KR102176916B1 (ko) 2020-11-10

Family

ID=7354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953A KR102176916B1 (ko) 2019-09-17 2019-09-17 고압분사 공기순환방식 우산 빗물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506B1 (ko) * 2021-08-19 2022-07-29 (주)스페이스링크 제트블레이드 기술을 이용한 우산의 빗물제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953A (ko) * 2000-02-22 2001-08-31 구자홍 우산 건조기
KR20040098428A (ko) * 2003-05-15 2004-11-20 신황희 우산 빗물 흡수기
KR101141287B1 (ko) * 2011-08-22 2012-05-03 에치케이에코(주)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953A (ko) * 2000-02-22 2001-08-31 구자홍 우산 건조기
KR20040098428A (ko) * 2003-05-15 2004-11-20 신황희 우산 빗물 흡수기
KR101141287B1 (ko) * 2011-08-22 2012-05-03 에치케이에코(주)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506B1 (ko) * 2021-08-19 2022-07-29 (주)스페이스링크 제트블레이드 기술을 이용한 우산의 빗물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571B1 (ko) 신체 건조기
KR101235127B1 (ko) 우산 건조장치
KR200466098Y1 (ko) 터널식 우산건조기
KR20170099170A (ko) 우산 건조기
KR102176916B1 (ko) 고압분사 공기순환방식 우산 빗물 제거기
KR102485379B1 (ko) 신발 바닥면의 세정수단이 구비되는 먼지 털이장치
KR20160139561A (ko) 우산 건조기
KR200469310Y1 (ko) 우산 건조장치
KR102134369B1 (ko) 다용도 자동 우산 건조기
KR101260242B1 (ko) 우산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20210025803A (ko) 우산 탈수장치
KR20170097939A (ko)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는 우산 건조 장치
KR20140106848A (ko)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
KR102011662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120136230A (ko) 우산건조기
KR102030092B1 (ko) 우산 탈수장치
KR20210006082A (ko) 우산 탈수장치
KR20040098428A (ko) 우산 빗물 흡수기
KR20200119556A (ko) 우산 탈수장치
JP2004011315A (ja) 手の洗浄・乾燥・消毒セット
KR20200142920A (ko) 우산 건조장치
KR20160127924A (ko) 우산 건조기
KR102189863B1 (ko) 에어 타월
KR102407728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102004677B1 (ko)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