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677B1 -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 - Google Patents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4677B1 KR102004677B1 KR1020190047309A KR20190047309A KR102004677B1 KR 102004677 B1 KR102004677 B1 KR 102004677B1 KR 1020190047309 A KR1020190047309 A KR 1020190047309A KR 20190047309 A KR20190047309 A KR 20190047309A KR 102004677 B1 KR102004677 B1 KR 1020046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unit
- water
- recognizing
- dus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30—Screens or collapsible cabinets for showers or baths
- A47K3/32—Collapsible cabinets
- A47K3/325—Collapsible cabinets movable, e.g. for easy transportation to the site of us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38—Curtain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5—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 E03C1/057—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touchless, i.e. using sens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16—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Landscapes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능동적으로 사용자 몸의 세척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식의 샤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입장 및 위치를 인식하여 사용자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더스트를 이탈시키는 클리닝 유닛; 클리닝 유닛을 통과한 사용자를 인식하고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워싱 유닛; 및 워싱 유닛을 통과한 상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고 에어를 분사하여 사용자 상의 물을 건조시키는 드라잉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식 샤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작업 현장, 행사장, 해수욕장 등에 작업 기간, 행사 기간, 개장 기간 동안에 임시로 설치하여 해당되는 사람들의 신체를 구간별로 그리고 섹터별로 능동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샤워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욕실에서 휴식의 의미를 찾는 소비자가 많아지면서, 샤워 시스템은 다양한 측면으로 개발이 이뤄졌다. 특히 기능에 집중한 제품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감성까지 고려한 제품을 선보임으로써 실용성과 심리적 만족감을 모두 잡는다. 환경에 따라 각자의 방식으로 쾌적한 샤워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가고 있는 것인데, 최적의 솔루션을 제안하는 모듈형 커스터마이징 제품이 인기를 끄는 원인 역시 비슷한 맥락이다.
이에 따라, 욕실과 관련된 여러가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실내 욕실을 넘어서 이동이 용이한 샤워 부스에 최신 기술을 융합하여 파생되는 기술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샤워 시스템에 관한 기술적인 시도는 여러 존재해 왔었는데, 그 중 대표적으로는"샤워 시스템과 그것의 제어장치 및 방법 (등록번호 제10-0996679호,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 1의 경우, 샤워 시스템으로, 감성 샤워를 위한 음악과 조명이 제공되며 사용자의 존재 유무에 따라 물의 분사 및 차단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발명은 샤워 시스템의 사용에 따른 다양한 기능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키 선택부, 샤워 시스템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인체감지부, 선택에 따라 칼라 조명 및 테마별 감성조명, 샤워모드, 물의 분사, 분위기에 매칭되는 음악의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부, 선택된 동작모드를 설정된 소정방법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헤드 샤워기에 설치되는 조명을 다양하게 동작시키는 조명 구동부, 거실이나 침실에 설치된 A/V시스템을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하여 A/V시스템에서 재생되는 음악을 샤워 시스템에 설치되는 스피커로 송출시키는 블루투스 모듈, 헤드 샤워기 및 핸드 샤워기에 공급되는 물의 차단여부와 공급량,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밸브 구동부, 밸브 구동부에 의해 동작되는 다수개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이동식 샤워부스용 배수발판, 이를 이용한 샤워부스 및 샤워시스템 (등록번호 제10-1159904호, 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 2의 경우, 석면 해체 공사장이나 기타 야외의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동식 샤워부스용 배수발판과 이를 이용한 샤워부스 및 샤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발명은 현장으로의 운반이 쉽고,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며, 샤워 후 배출되는 석면 등의 유해 미립자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샤워부스에 관한 것이다.
발명에서는, 석면 해체 등의 공사현장이나 야외에서 사용하기 위한 이동식 샤워부스용 배수발판에 있어서, 바닥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촉하는 것으로서 넓은 판상의 기반을 이루며, 그 외곽 테두리를 따라 단턱이 돌출하여 형성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일정한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하여 샤워 후 오염수가 수집될 수 있도록 하고, 수집된 오염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내측면이나 바닥면에 배수구멍이 형성되는 배수로; 및 상기 배수로의 내측면에 위에서 아래로 순서대로 형성되는 제1 센서, 제2 센서 및 제3 센서로 이루어져 외부의 제어부에 연결되는 센서 유닛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배수로에 수집되는 오염수의 수위가 상기 제1 센서 높이에 도달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펌프에 의하여 오염수의 수위가 상기 제2 센서 높이에 도달할때까지 오염수를 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샤워브스용 배수발판과 이를 구비한 이동식 샤워부스 및 이동식 샤워시스템에 관하여 개시한다.
또한, "샤워수전 외부 컨트롤 시스템 (등록번호 제10-1523628호, 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 3의 경우, 샤워부스 내의 샤워수전을 샤워부스 외부 원거리에서 토수 시키는 샤워수전 외부 컨트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샤워수전으로 유입되는 온수배관을 분기어댑터로 분기하고 분기되는 한쪽에는 샤워수전 쪽으로 제1온수배관이 연결되고 다른 한쪽에는 제2온수배관이 외부개폐수단의 급수 쪽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온수배관 내의 물이 샤워수전과 외부개폐수단으로 공급되며 외부개폐수단의 배수 쪽에는 배수배관이 샤워수전의 토수관에 연결되어 외부개폐수단의 조작상태에 따라 온수배관 내에 식은 차가운 물이 샤워수전의 조절부를 직접 조절하지 않고도 샤워수전의 토수구로 토수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수전 외부 컨트롤 시스템은 특히,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노약자나 어린이가 겨울철 샤워도중 갑자기 차가운 물을 맞아 심장마비가 발생되거나 차가운 물을 피하려다 넘어져 발생될 수 있는 욕실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겨울철에는 샤워하기 적당한 온수가 나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데 샤워수전의 조절부의 조절위치가 냉수가 차단되는 완전온수 위치가 아니면, 온수와 냉수가 일정비율로 혼합되어 나오게 되어 냉수배관을 차단한 완전온수의 상태보다 온수가 나오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불필요한 물 낭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절수효과 및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다.
또한, "캠핑트레일러 또는 캠핑카의 생활용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등록번호 제10-1715574호, 이하 특허문헌4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 4의 경우, 캠핑트레일러 또는 캠핑카의 생활용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캠핑트레일러 또는 캠핑카에 적재된 생활용수의 수위를 자동으로 측정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생활용수의 보충을 간편하게 이룰 수 있는 캠핑트레일러 또는 캠핑카의 생활용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캠핑용 트레이너 또는 캠핑카에 구비되어 생활용수로 사용되는 물이 충전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부와; 상기 물탱크에 물을 보충하기 위한 예비물통과; 상기 예비물통 내에 구비되어 물을 물탱크에 보충하는 보충수단과; 상기 수위부 및 보충수단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사용자에게 생활용수 부족을 경고하는 알림부로 구비되고, 캠핑용 트레이너 또는 캠핑카에 구비된 물탱크에 충전되어 생활용수로 사용되는 물을 사용하는 물 사용단계와; 물 사용에 따른 물탱크의 수위를 수위부에 의해 측정하는 수위측정단계와; 수위측정단계에서 물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 일때 예비물통의 보충수단이 작동되는 물 보충단계와; 보충수단의 작동에 의한 사용 전류값을 검침하여 예비물통의 수위를 측정하는 예비물통 수위측정단계와; 상기 예비물통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로 떨어질 때 알림부에 의해 사용자에게 생활용수 부족을 경고하는 보충수 경보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샤워 시스템 (공개번호 제10-2018-0069316호, 이하 특허문헌 5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 5의 경우, 욕실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식 샤워기와, 욕실에 거치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하는 이동식 샤워기와, 상기 고정식 샤워기 및 이동식 샤워기의 물공급 유로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고정식 샤워기 또는 이동식 샤워기로 능동적인 물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욕실 외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최초 접근을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와, 상기 고정식 샤워기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와, 상기 제2감지센서의 감지정보가 수신될 경우 상기 고정식 샤워기 또는 이동식 샤워기를 통해 자동으로 물이 토출되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 및 사용자에 의해 물의 토출 제어 모드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컨트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제1감지센서와 제2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자동으로 고정식 샤워기 또는 이동식 샤워기를 통해 물이 토출되도록 하는 자동모드(Auto mode)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고정식 샤워기로 공급되는 물공급 유로를 차폐하고, 이동식 샤워기로 공급되는 물공급 유로만 개방하여 사용자 조작에 의해 이동식 샤워기를 통한 물의 토출 제어가 이루어지는 안전모드(Safe mode)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이동식 샤워기로 공급되는 물공급 유로를 차폐하고, 고정식 샤워기로 공급되는 물공급 유로만 개방하여 사용자 조작에 의해 고정식 샤워기를 통한 물의 토출 제어가 이루어지는 수동모드(Manual mode)가 선택 가능하며, 상기 자동모드(Auto mode)에서만 상기 제1감지센서와 제2감지센서가 작동된다.
종래 특허 문헌들의 경우, IT의 접목을 통해, 샤워시 무드와 감성을 자극하는 기술이 존재하고, 사람의 등장에 따른 선택적인 샤워가 가능하도록 하는 점만 개시하고 있다.
현장에서 발생되는 모래와 흙을 능동적으로 분리하여 세척한 후, 이후 샤워 위치마다 사람의 신체에 맞게 능동적으로 세척을 하도록 돕는 기술적 사상은 존재하지 않으며, 세척 후 신체의 건조를 위한 기술적 사상 역시 존재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신체에 묻은 모래, 흙, 기타 더스트(dust)와 신체의 피부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분리하여 능동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샤워 시설 내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는 파티션 등을 도입하지 않고도, 샤워기 위치마다 사람이 자동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셋째, 신체의 세척을 능동적으로 수행한 후, 건조와 말림이 단계별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의 입장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의 더스트를 이탈시키는 클리닝 유닛(cleaning unit); 상기 클리닝 유닛을 통과한 상기 사용자의 진입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세척하는 워싱 유닛(washing unit); 및 상기 워싱 유닛을 통과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의 물을 건조시키는 드라잉 유닛(drying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를 향하여 소정의 파장대의 전자기파를 송출하여, 송출된 상기 전자기파의 인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복수 개의 위치 인식부; 상기 복수 개의 위치 인식부 각각에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위치 인식부 중 상기 사용자의 입장이 감지된 것에 인접한 것만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에어 조절부; 및 상기 사용자의 하부 바닥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의 에어를 흡입하여 상기 복수 개의 에어 조절부가 이탈시킨 상기 더스트를 수거하는 더스트 석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클리닝 유닛을 상기 사용자의 진입 경로를 따라 복수 개의 파트(part)로 분할하여 지정하고, 분할된 상기 복수 개의 파트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파타 각각에 속한 상기 위치 인식부, 상기 에어 조절부와 상기 더스트 석션부가 개별적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파트 지정부; 및 상기 파트 지정부가 지정한 상기 복수 개의 파트 각각의 경계를 상기 사용자가 넘어서는 것으로 상기 위치 인식부가 인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퇴장한 파트의 상기 에어 조절부와 상기 더스트 석션부의 구동을 멈추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가 입장한 파트의 상기 에어 조절부와 상기 더스트 석션부의 구동을 개시하도록 하는 핸드 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상기 더스트 석션부는, 중앙에 형성된 석션홀(suction hole)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 배치되어, 상호 겹치는 면적의 증감에 따라 상기 석션홀의 확장과 축소를 관장하는 석션 블레이드(suction blade); 상기 석션 블레이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석션홀로부터 하향 인입되는 상기 더스트의 인입 경로를 제공하는 더스트 튜브(dust tube); 하면이 상기 더스트 튜브의 하단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단이 상기 더스트 튜브의 하단 보다 높이 형성되어, 상기 더스트 튜브의 하단으로부터 유입되는 더스트를 공기와 분리시켜 하면부터 축적시키는 더스트 케이지(dust cage); 및 상기 더스트 튜브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와 상기 더스트 케이지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의, 상기 더스트 케이지의 측부에 제공되어, 더스트와 분리된 공기만을 흡입하는 석션 파이프(suction pip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상기 워싱 유닛은, 상기 워싱 유닛의 진입 경로를 따라 복수 개의 섹터로 분할하여 지정하는 섹터 지정부; 상기 사용자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분할된 상기 복수 개의 섹터 각각에 상기 사용자의 진입 여부를 인식하는 복수 개의 진입 인식부; 분할된 상기 복수 개의 섹터 각각의 상부와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워터 폴링부; 및 상기 워터 폴링부 중 상기 복수 개의 섹터 각각의 상부에 배치된 헤드 노즐 프레임의 하부의 영역으로 상기 사용자가 위치되도록 상기 헤드 노즐 프레임에 배치된 복수 개의 헤드 노즐 각각의 물 분사 여부를 제어하는 진입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상기 워싱 유닛은, 상기 섹터 지정부가 구획한 복수 개의 섹터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복수 개의 섹터 사이에 하향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워터 폴링부에 의한 물이 구획된 상기 복수 개의 섹터 사이를 넘나드는 것을 방지하는 커튼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상기 워싱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하부 바닥에 제공되어, 상기 워터 폴링부에 의해 낙하한 물을 배출시키는 토출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상기 토출 개폐부는, 중앙에 형성된 토출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 배치되어, 상호 겹치는 면적의 증감에 따라 상기 토출홀의 확장과 축소를 관장하는 토출 블레이드; 상기 토출 블레이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홀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유입 경로를 제공하는 토출 튜브; 하면이 상기 토출 튜브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단이 상기 토출 튜브의 하단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토출 튜브의 하단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수용하는 워터 탱크; 및 상기 토출 튜브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와 상기 워터 탱크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의, 상기 워터 탱크의 측부에 제공되어, 상기 위터 탱크에 수용된 물을 인입하는 워터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상기 워터 폴링부는, 상기 복수 개의 섹터 각각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머리 위로 이격되어 제공되는 헤드 노즐 프레임; 상기 헤드 노즐 프레임의 하면에 복수 개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상부에서 물을 하향 낙하시키는 복수 개의 헤드 노즐; 및 상기 사용자의 측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를 향하여 고압의 물을 분사시키는 복수 개의 측벽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상기 진입 유도부는, 상기 진입 인식부가 인식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헤드 노즐 프레임 하부의 사용자의 세부 위치를 인식하는 포지션 인식부; 상기 복수 개의 헤드 노즐을 복수 개의 소정의 영역으로 각각 지정하고, 지정된 상기 복수 개의 소정의 영역 각각에 주소를 할당한 후, 할당된 상기 주소의 상기 소정의 영역마다 하향 분사하는 헤드 노즐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주소 할당부; 및 상기 포지션 인식부가 인식한 상기 사용자의 세부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평면적 위치가 상기 헤드 노즐 프레임의 하부에 모두 진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소 할당부가 할당한 상기 소정의 영역 중 물을 선택적으로 하향 분사하는 영역을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헤드 노즐 프레임의 하부에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폴링 전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이동식의 조립 가능한 샤워 부스는 각 유닛의 결합을 통하여 현장에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사람이 터널 형태의 공간으로 들어서면, 사람의 신체로부터 모래나 흙을 먼저 비산시켜 흡입하여 1차적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셋째, 신체에 부착된 물질의 경우, 낙하하는 물과 측벽에서 분사하는 물을 통하여 신속하게 제거하게 된다.
넷째, 샤워기 마다 파티션을 두지 않고, 사람으로 하여금 샤워기 하부로 정확하게 정렬하도록 하여, 물리적인 구획 시설이 필요 없게 하며, 좁은 내부가 넓게 보이도록 함은 물론 거추장스러운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클리닝 유닛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클리닝 유닛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클리닝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클리닝 유닛의 석션 블레이드의 평면도(a)와 그 하부의 측단면도(b)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워싱 유닛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워싱 유닛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클리닝 유닛의 토출 블레이드의 평면도(a)와 그 하부의 측단면도(b)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클리닝 유닛의 석션 블레이드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클리닝 유닛의 워터 폴링부의 하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클리닝 유닛의 진입 유도부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클리닝 유닛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클리닝 유닛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클리닝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클리닝 유닛의 석션 블레이드의 평면도(a)와 그 하부의 측단면도(b)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워싱 유닛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워싱 유닛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클리닝 유닛의 토출 블레이드의 평면도(a)와 그 하부의 측단면도(b)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클리닝 유닛의 석션 블레이드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클리닝 유닛의 워터 폴링부의 하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클리닝 유닛의 진입 유도부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클리닝 유닛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클리닝 유닛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클리닝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클리닝 유닛의 석션 블레이드의 평면도(a)와 그 하부의 측단면도(b)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워싱 유닛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워싱 유닛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클리닝 유닛의 토출 블레이드의 평면도(a)와 그 하부의 측단면도(b)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클리닝 유닛의 석션 블레이드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클리닝 유닛의 워터 폴링부의 하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클리닝 유닛의 진입 유도부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장, 해수욕장, 기타의 현장에 배치되는 이동식의 샤워 시스템에 해당한다.
임시 혹은 일정한 기간 동안 설치되어, 해당 현장에 구비된 수도 시설로부터 물을 공급받은 후, 현장의 작업자나 수영장의 이용객들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간으로 좌측부터 우측으로 차례 차례 진입하게 되면, 먼지의 이탈, 세척 및 건조까지 일련의 과정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해당한다.
기존 샤워 시설의 경우, 일정한 공간에 샤워기를 설치한 후, 해당 샤워기에 이용객이 서서 물을 틀고 샤워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현장에서 설치되는 샤워 시설들의 경우, 아파트 등의 주거 공간에서 사용되는 샤워 시설과는 차별화된 기술이 필요하다. 이는 현장에서는 모래나 흙의 이물질이 많은 상태로 사람들이 샤워를 해야하고, 이러한 상황에서는 샤워기를 점유하는 시간이 늘어나서 샤워기 자체의 설치 대수가 많아져야할 뿐만 아니라, 물과 함께 흘러 내려가는 이물질인 흙과 모래는 하수도관의 막힘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에 따라 이동식 샤워 시설에 크고 작은 고장이 발생되기 마련이다.
천정이 돔 형태 혹은 플랫(flat)한 형태로 존재하고, 사람들이 입구로 차례로 들어가면 분화된 일련의 과정 속에서 샤워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1과 같은 기술적 사상이 이하에서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의 경우, 클리닝 유닛(cleaning unit, 100), 워싱 유닛(washing unit, 200) 및 드라잉 유닛(drying unit, 3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클리닝 유닛(100)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화된 일련의 샤워 프로세스 중에 가장 먼저 진행되는 프로세스를 담당하게 된다.
클리닝 유닛(100)의 경우, 좌측에서 입장하는 사용자의 입장을 감지하며, 이러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신체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의 모래, 먼지, 흙과 같은 더스트(dust)를 이탈 시키게 된다.
도 1의 클리닝 유닛(100)에 입장하여 더스트를 1차적으로 이탈시킨 사용자의 경우, 계속 진입하여 워싱 유닛(200)으로 진입하게 된다.
워싱 유닛(200)에서는 클리닝 유닛(100)을 통과한 사용자의 진입을 인식한 후,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고압의 물을 분사한 후, 사용자의 신체를 물로 세척하는 프로세스를 담당하게 된다.
이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잉 유닛(300)의 경우, 워싱 유닛(200)을 통과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한 후,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에 잔존하는 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더스트의 이탈 후, 물 세척을 하며, 이후 에어로 건조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되면, 물의 불필요한 낭비 방지는 물론, 물을 이용하여 세척하는데 걸리는 시간 즉, 샤워기를 점유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줄어들어 실질적으로 샤워시설의 빠른 순환이 일어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더스트의 분리 이탈를 통해, 물과 함께 배출되는 더스트의 양이 현저히 줄어들어, 배수되는 설비에서 막힘 현상 역시 현저히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 유닛(100)은 단순히 사용자의 입장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에어를 단순하게 분사하는 것은 아니며, 구간별로 구획되어 이런 구간에 따라 독립적인 모듈화를 통하여 독자적인 에어를 분사하도록 하여, 에어와 에어 상호간의 간섭에 의한 비효율적인 더스트 이탈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 유닛(100)의 경우, 복수 개의 위치 인식부(120), 복수 개의 에어 조절부(130), 및 더스트 석션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위치 인식부(120)의 경우,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용자가 지나가는 경로를 향하여 소정의 전자기파를 전송하여, 전송된 전자기파의 되돌아옴 혹은 막힘 현상을 이용하여 입장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게 된다.
위치 인식부(120)는 복수 개로 배치되고, 복수 개의 위치 인식부(120)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로 좌우에 배치된 측벽의 내면에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위치 인식부(120)는 소정의 전자기파, 바람직하게는, 적외선을 조사하여, 사용자의 몸으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적외선을 인식하거나, 사용자의 몸에 의하여 막히어 인식되지 않는 적외선의 영역을 인식하여, 실내에 진입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위치 인식부(120)는 가시광선의 영역의 전자기파 송출은 가급적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비산되는 더스트로 인하여 가시광선에 따른 위치 인식에 오류가 발생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적외선은 파장이 가시광선보다 길며, 미세한 입자의 존재에 따른 간섭이 가시광선보다 적기 때문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 조절부(130)의 경우,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는데, 복수 개의 에어 조절부(130)의 각각은 복수 개의 위치 인식부(120) 각각의 것과 쌍으로 배치되고, 이에 따라 에어 조절부(130)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곳에서만 선택적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스트 석션부(150)의 경우, 에어 조절부(130)가 비산시키거나 이탈시켜 낙하시킨 더스트를 흡입시켜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이다.
더스트 석션부(150)의 경우,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하부 바닥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의 에어(air)를 흡입하고 이에 따라 더스트를 수거하게 되는 구성이다.
클리닝 유닛(100)의 경우, 파트 지정부(110) 및 핸드 오버부(1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먼저, 파트 지정부(110)의 경우,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영역으로 보여지는 클리닝 유닛(100)의 공간을 복수 개의 파트(part)로 분할하여 지정하게 된다.
파트 지정부(110)는 클리닝 유닛(100)의 공간을 사용자가 진입하는 경로를 따라 분할하여 지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각각의 파트 상에서는 위치 인식부(120), 에어 조절부(130), 및 더스트 석션부(150)가 독립적으로, 개별적으로 구동되도록 하여, 이들 각 파트가 하나의 모듈처럼 개념화되어 모듈화된 각 파트는 타 파트와 독립적으로 위치 인식부(120)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 인식과 이에 따라, 에어 조절부(130)에 의한 더스트 이탈 및 더스트 석션부(150)에 의한 더스트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핸드 오버부(140)는 파트 지정부(110)가 지정한 복수 개의 파트 각각의 경계를 사용자가 넘어서는 경우, 예컨대, 제1 파트(part #1)에서 그 다음 파트인 제2 파트(part #2)로 사용자가 진행하는 경우, 이러한 위치의 변경에 따른 파트의 넘어감을 위치 인식부(120)가 인식하게 되면, 사용자가 퇴장한 파트 즉 제1파트(part #1)의 에어 조절부(130)와 더스트 석션부(150)의 구동은 멈추도록 한다. 단, 후속하는 사용자가 제1파트(part #1)로 진입하는 것으로 위치 인식부(120)가 인식하면, 당연히 해당 제1파트(part #1)는 후속하는 사용자 때문에 해당 제1파트(part #1) 내 존재하는 에어 조절부(130)와 더스트 석션부(150)의 구동이 진행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핸드 오버부(140)는 제1 파트(part #1)에서 제2 파트(part #2)로의 사용자가 진입하게 되면, 제2파트(part#2)에서의 에어 조절부(130)와 더스트 석션부(150)의 구동은 개시되도록 한다.
더스트 석션부(150)의 경우,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션 블레이드(152), 더스트 튜브(153), 더스트 케이지(154), 및 석션 파이프(155)를 포함할 수 있다.
석션 블레이드(152)의 경우, 도 2,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형성된 석션홀(suction hole, h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것으로 배치되며, 일부 면적이 상호 중첩되는 면적의 증감에 따라 석션홀(h1)의 확장과 축소가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석션 블레이드(152)의 경우, 석션홀(h1)의 개폐는 물론, 개방된 석션홀(h1)의 크기를 관장하는 구성이다.
더스트 튜브(dust tube, 153)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션 블레이드(152)의 하부에 배치되어, 석션홀(h1)로부터 하향 인입되는 더스트의 인입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더스트 튜브(153)의 하단의 위치는 후술하게 되는 석션 파이프(155)의 높이와 중요한 상관관계를 가지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더스트 케이지(154)의 경우, 그 하면에는 더스트 튜브(153)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단이 더스트 튜브(153)의 하단보다는 높게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더스트 케이지(154)의 경우, 하단으로 유입되는 더스트를 공기와 분리시켜 하면으로부터 더스트를 축적하게 된다.
석션 파이프(155)의 경우, 더스트 튜브(153)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해야 하며, 그와 동시에 더스트 케이지(154)의 상단보다는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석션 파이프(155)의 일측에는 석션 작용을 위한 모터(M2)가 배치되어, 모터(M2)를 통하여 더스트가 포함된 공기를 인입하고, 공기로부터 더스트는 더스트 케이지(154)에 분리 배출시킨 후, 공기만을 석션 파이프(155)를 통해 빨아들이게 된다.
석션 파이프(155)에서 인입되는 공기의 흐름은 더스트 케이지(154)에 수용된 더스트가 흩날리지 않은 정도의 유속을 가지는 흐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워싱 유닛(200)의 경우, 도 6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섹터 지정부(210), 진입 인식부(220), 워터 폴링부(240) 및 진입 유도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섹터 지정부(210)의 경우, 워싱 유닛(200)의 진입 경로를 따라 복수 개의 섹터로 구획하여 분할하여, 섹터 마다 별개의 섹터 넘버를 지정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각각의 섹터에는 개별적인 샤워 공간으로 할당되는데, 이렇게 샤워 공간으로 할당되는 수단은 기존의 물리적인 파티션(partition)이 아니라,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계 라인을 넘나드는 물튀김 등의 방지를 위해서는 커튼 설정부(250)에 의한 기작이 작용하게 되는데,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진입 인식부(220)의 경우, 사용자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측벽에 배치되는 구성이다.
진입 인식부(220)의 경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고, 각각의 섹터에 사용자의 진입의 인식은 물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섹터 내의 워터 폴링부(240)의 하부로 사용자가 정확히 진입하였는지도 판단하는 구성이다.
진입 인식부(220)는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진입 인식부(220)는 복수 개의 것으로 사용자의 측부로부터 이격되는 측벽에 균일하게 배치되어, 사용자 쪽을 향하여 전자기파를 송출하는데, 위치 인식부(120)의 것과는 달리 가시광선의 영역도 가능할 수 있다. 이는 워싱 유닛(200) 영역에서는 더스트에 의한 전자기파의 간섭이나 차단의 영향이 약하기 때문이며, 진입 인식부(220)에 의한 소정의 빛은 섹터들 마다 파장을 달리하여 개별적인 무드(mood)를 구현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진입 인식부(220)는 조사되는 전자기파 예컨대, 적외선, 가시광선 등의 반사나 차단을 인식하여 해당 섹터 내의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히 인식하게 된다.
워터 폴링부(240)의 경우, 분할된 복수 개의 섹터 각각의 상부와 측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노즐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고압의 물을 분사하게 된다.
워터 폴링부(240)의 경우, 진입 인식부(220)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반사되거나 간섭되거나 방해되는 빛의 영역을 통해 사용자의 키나 신체적 특징의 인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워터 폴링부(240)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로 독립적으로 물 세척이 가능하게 조절도 가능하다.
진입 유도부(230)의 경우, 워터 폴링부(240) 중, 복수 개의 섹터 마다 사용자의 머리 위에 배치된 노즐 프레임(241)의 하부의 영역으로 정확히 사용자가 위치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헤드 노즐 프레임(241)에 배치된 복수 개의 헤드 노즐(241a) 각각의 물 분사 조절을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헤드 노즐 프레임(241)의 하부로 정확히 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워싱 유닛(200)의 경우, 도 6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 설정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튼 설정부(250)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섹터 지정부(210)가 구획한 복수 개의 섹터 사이 사이에 제공되어, 복수 개의 섹터 사이에 하향하는 에어를 강하게 분사하여 에어 커튼(air curtain)을 형성하게 된다.
커튼 설정부(250)는 하향하는 에어 나이프(air knife) 등을 배치하여,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섹터 지정부(210)가 지정한 섹터를 넘나드는 물튀김을 방지하여, 물리적인 파티션이 구비되지 않아도 되도록 한다.
워싱 유닛(200)의 경우, 토출 개폐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토출 개폐부(2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하부 바닥에 제공되어, 워터 폴링부(240)에 의해 낙하한 물을 배출시키는 구성에 해당한다.
나아가 토출 개폐부(260)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블레이드(261), 토출 튜브(262), 워터 탱크(263), 및 워터 파이프(26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블레이드(261)의 경우, 중앙에 형성된 토출홀(h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상호 겹치는 면적의 증감에 따라 토출홀(h2)의 확장과 축소를 관장할 수 있게 되는 구성이다.
토출 튜브(262)의 경우, 토출 블레이드(261)의 하부에 배치되어, 토출홀(h2)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유입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토출 튜브(262)의 경우, 그 하단부가 워터 파이프(264)의 높이보다 낮으면서, 그 하단부가 워터 탱크(263)의 바닥보다 살짝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워터 탱크(263)의 경우, 그 하면이 토출 튜브(262)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측면의 상단이 토출 튜브(262)의 하단보다는 높게 형성되되, 토출 튜브(262)의 하단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수용하여, 워터 탱크(263)의 바닥에 축적되는 기타 불순물을 수용하도록 한다.
워터 파이프(264)의 경우, 워터 탱크(263)의 측면에 배치되어, 워터 탱크(263)에 수용된 물을 사이드로 배출시키는 구성이다.
워터 파이프(264)의 경우, 토출 튜브(262)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되, 워터 탱크(263)의 측벽의 상단보다는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워터 파이프(264)는 모터(미도시)를 통해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워터 폴링부(240)의 경우,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노즐 프레임(241)과 헤드 노즐 프레임(241)의 하면에 배치된 복수 개의 헤드 노즐(241a) 및 복수 개의 측벽 노즐(242)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노즐 프레임(241)의 경우, 복수 개의 섹터 각각의 상부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섹터에 기립하여 서 있으면, 사용자의 머리 위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구성이다.
헤드 노즐 프레임(241)의 하면에는 복수 개의 헤드 노즐(241a)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헤드 노즐(241a)의 경우 사용자의 상부에서 물을 하향 낙하시키는 구성에 해당한다.
복수 개의 측벽 노즐(242)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측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사용자를 향하여 고압의 물을 분사시키는 구성에 해당한다.
복수 개의 측벽 노즐(242)의 각각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인식 장치에 해당하는 포지션 인식부(231)의 기능에 기초하여 각각 그 기능을 발휘하게 되며, 복수 개의 헤드 노즐(241a) 역시 포지션 인식부(231)의 기능에 기초하여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진입 유도부(230)의 경우,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지션 인식부(231), 주소 할당부(232), 및 폴링 전이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포지션 인식부(231)의 경우, 진입 인식부(220)가 섹터 내 진입한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게 된다. 즉, 포지션 인식부(231)의 경우, 진입 인식부(220)가 인식한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 인식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섹터 내에서의 세부 위치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소 할당부(232)의 경우, 복수 개의 헤드 노즐(241a)을 복수 개의 소정의 영역으로 나누고 각각 영역으로 지정한 후, 이들 소정의 영역에 각각 주소를 할당하게 된다. 이후, 할당된 주소마다 개별적으로 하향 분사하는 헤드 노즐(241a)의 물 분사 여부를 관장하게 된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소 할당부(232)의 경우, 헤드 노즐 프레임(241)의 하면에 가상의 경계 및 구획을 설정한 후, 이렇게 구획된 영역마다 소정의 주소를 부여한다. 도 10에서 부여된 주소는 add 1-1, add1-2 등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들 add1-1, add1-2, add3-2 등의 주소로 묶인 헤드 노즐(241a)들은 각각 영역별로 함께 물의 분사가 이루어지고 끊기게 된다.
폴링 전이부(233)의 경우, 포지션 인식부(231)가 인식한 사용자의 세부 위치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평면적 위치가 헤드 노즐 프레임(241)의 하부에 오롯이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주소 할당부(241)가 할당한 소정의 영역 중 물을 선택적으로 하향 분사하는 영역을 제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헤드 노즐 프레임(241)의 하부에 정확히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섹터 1의 영역으로 충분히 진입하게 되면, 도 10의 주소 중 대부분의 영역의 하부에 사용자가 배치된 것으로 포지션 인식부(231)가 인식하게 되며, 이 경우에는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가 섹터 1의 영역으로 충분히 진입하지 않고 일정 부분 덜 진입하게 되면, 도 10의 영역 중 사용자는 add 1-1, add 2-1, add 3-1의 영역을 중심으로 위치하고, add 1-3, add 2-3, add 3-3 의 하부에는 사용자가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포지션 인식부(231)는 인식하게 된다. 물론 포지션 인식부(231)의 위치 인식의 기반은 진입 인식부(220)의 센서가 입수한 정보에 기초하게 된다.
사용자가 섹터 1의 영역으로 충분히 진입하지 않고 일정 부분 덜 진입하게 되면, 폴링 전이부(233)은 헤드 노즐 프레임(241)의 영역 중 add 1-3, add 2-3, add 3-3의 영역에만 물이 쏟아지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add 1-1, add 2-1, add 3-1의 밑에 머무르지 않고 물이 쏟아지는 영역의 하부로 더 다가오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섹터1의 영역에서 헤드 노즐 프레임(241)의 하부로 정확히 들어온 것으로 인식하게 되면, 폴링 전이부(233)는 영역들 중에서 고르게 물이 하향 분사되도록 한다.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은, 커튼 설정부(250)는 에어 나이프(미도시)를 통해 하향 에어를 분사하여 섹터와 섹터 사이에 에어 커튼을 형성하고, 섹터를 넘나드는 물 튀김을 방지하게 함과 동시에, 물리적인 파티션이 없이도 사용자로 하여금 섹터 마다 자연스럽게 질서 정연하게 위치하여 샤워를 마칠 수 있도록 돕는다.
이후, 워싱 유닛(200)에서 세척을 마친 사용자는 드라잉 유닛(300)으로 진입하면, 드라잉 유닛(300)에서 위치 인식 센서와 에어 블로우어(air blower)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잔존하는 수분을 대부분 제거하도록 한다.
드라잉 유닛(300)의 세부 구성은 클리닝 유닛(100)의 파트 지정부(110), 위치 인식부(120), 에어 조절부(130) 및 핸드 오버부(140)의 구성을 차용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능동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클리닝 유닛 101: 중앙 제어부
110: 파트 지정부 120: 위치 인식부
121: 전파인식부 130: 에어 조절부
131: 에어건 140: 핸드 오버부
150: 더스트 석션부 151: 하판
152: 석션 블레이드 153: 더스트 튜브
154: 더스트 케이지 155: 석션 파이프
200: 워싱 유닛 210: 섹터 지정부
220: 진입 인식부 221: 광인식부
230: 진입 유도부 231: 위치 인식부
232: 주소 할당부 233: 폴링 전이부
240: 워터 폴링부 241: 헤드 노즐 프레임
241a: 헤드 노즐 242: 측벽 노즐
250: 커튼 설정부 260: 토출 개폐부
261: 토출 블레이드 262: 토출 튜브
263: 워터 탱크 264: 워터 파이프
270: 타임 체크부 280: 로킹 설정부
300: 드라잉 유닛
110: 파트 지정부 120: 위치 인식부
121: 전파인식부 130: 에어 조절부
131: 에어건 140: 핸드 오버부
150: 더스트 석션부 151: 하판
152: 석션 블레이드 153: 더스트 튜브
154: 더스트 케이지 155: 석션 파이프
200: 워싱 유닛 210: 섹터 지정부
220: 진입 인식부 221: 광인식부
230: 진입 유도부 231: 위치 인식부
232: 주소 할당부 233: 폴링 전이부
240: 워터 폴링부 241: 헤드 노즐 프레임
241a: 헤드 노즐 242: 측벽 노즐
250: 커튼 설정부 260: 토출 개폐부
261: 토출 블레이드 262: 토출 튜브
263: 워터 탱크 264: 워터 파이프
270: 타임 체크부 280: 로킹 설정부
300: 드라잉 유닛
Claims (10)
- 삭제
- 삭제
- 사용자의 입장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의 더스트를 이탈시키는 클리닝 유닛(cleaning unit);
상기 클리닝 유닛을 통과한 상기 사용자의 진입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세척하는 워싱 유닛(washing unit); 및
상기 워싱 유닛을 통과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의 물을 건조시키는 드라잉 유닛(drying unit)을 포함하되,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를 향하여 소정의 파장대의 전자기파를 송출하여, 송출된 상기 전자기파의 인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복수 개의 위치 인식부;
상기 복수 개의 위치 인식부 각각에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위치 인식부 중 상기 사용자의 입장이 감지된 것에 인접한 것만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에어 조절부;
상기 사용자의 하부 바닥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의 에어를 흡입하여 상기 복수 개의 에어 조절부가 이탈시킨 상기 더스트를 수거하는 더스트 석션부;
상기 클리닝 유닛을 상기 사용자의 진입 경로를 따라 복수 개의 파트(part)로 분할하여 지정하고, 분할된 상기 복수 개의 파트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파타 각각에 속한 상기 위치 인식부, 상기 에어 조절부와 상기 더스트 석션부가 개별적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파트 지정부; 및
상기 파트 지정부가 지정한 상기 복수 개의 파트 각각의 경계를 상기 사용자가 넘어서는 것으로 상기 위치 인식부가 인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퇴장한 파트의 상기 에어 조절부와 상기 더스트 석션부의 구동을 멈추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가 입장한 파트의 상기 에어 조절부와 상기 더스트 석션부의 구동을 개시하도록 하는 핸드 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
- 사용자의 입장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의 더스트를 이탈시키는 클리닝 유닛(cleaning unit);
상기 클리닝 유닛을 통과한 상기 사용자의 진입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세척하는 워싱 유닛(washing unit); 및
상기 워싱 유닛을 통과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의 물을 건조시키는 드라잉 유닛(drying unit)을 포함하되,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를 향하여 소정의 파장대의 전자기파를 송출하여, 송출된 상기 전자기파의 인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복수 개의 위치 인식부;
상기 복수 개의 위치 인식부 각각에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위치 인식부 중 상기 사용자의 입장이 감지된 것에 인접한 것만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에어 조절부; 및
상기 사용자의 하부 바닥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의 에어를 흡입하여 상기 복수 개의 에어 조절부가 이탈시킨 상기 더스트를 수거하는 더스트 석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더스트 석션부는,
중앙에 형성된 석션홀(suction hole)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 배치되어, 상호 겹치는 면적의 증감에 따라 상기 석션홀의 확장과 축소를 관장하는 석션 블레이드(suction blade);
상기 석션 블레이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석션홀로부터 하향 인입되는 상기 더스트의 인입 경로를 제공하는 더스트 튜브(dust tube);
하면이 상기 더스트 튜브의 하단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단이 상기 더스트 튜브의 하단 보다 높이 형성되어, 상기 더스트 튜브의 하단으로부터 유입되는 더스트를 공기와 분리시켜 하면부터 축적시키는 더스트 케이지(dust cage); 및
상기 더스트 튜브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와 상기 더스트 케이지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의, 상기 더스트 케이지의 측부에 제공되어, 더스트와 분리된 공기만을 흡입하는 석션 파이프(suction pip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
- 삭제
- 사용자의 입장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의 더스트를 이탈시키는 클리닝 유닛(cleaning unit);
상기 클리닝 유닛을 통과한 상기 사용자의 진입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세척하는 워싱 유닛(washing unit); 및
상기 워싱 유닛을 통과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의 물을 건조시키는 드라잉 유닛(drying unit)을 포함하되,
상기 워싱 유닛은,
상기 워싱 유닛의 진입 경로를 따라 복수 개의 섹터로 분할하여 지정하는 섹터 지정부;
상기 사용자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분할된 상기 복수 개의 섹터 각각에 상기 사용자의 진입 여부를 인식하는 복수 개의 진입 인식부;
분할된 상기 복수 개의 섹터 각각의 상부와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워터 폴링부;
상기 워터 폴링부 중 상기 복수 개의 섹터 각각의 상부에 배치된 헤드 노즐 프레임의 하부의 영역으로 상기 사용자가 위치되도록 상기 헤드 노즐 프레임에 배치된 복수 개의 헤드 노즐 각각의 물 분사 여부를 제어하는 진입 유도부; 및
상기 섹터 지정부가 구획한 복수 개의 섹터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복수 개의 섹터 사이에 하향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워터 폴링부에 의한 물이 구획된 상기 복수 개의 섹터 사이를 넘나드는 것을 방지하는 커튼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워싱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하부 바닥에 제공되어, 상기 워터 폴링부에 의해 낙하한 물을 배출시키는 토출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개폐부는,
중앙에 형성된 토출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 배치되어, 상호 겹치는 면적의 증감에 따라 상기 토출홀의 확장과 축소를 관장하는 토출 블레이드;
상기 토출 블레이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홀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유입 경로를 제공하는 토출 튜브;
하면이 상기 토출 튜브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단이 상기 토출 튜브의 하단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토출 튜브의 하단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수용하는 워터 탱크; 및
상기 토출 튜브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와 상기 워터 탱크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의, 상기 워터 탱크의 측부에 제공되어, 상기 워터 탱크에 수용된 물을 인입하는 워터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
- 삭제
- 사용자의 입장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의 더스트를 이탈시키는 클리닝 유닛(cleaning unit);
상기 클리닝 유닛을 통과한 상기 사용자의 진입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세척하는 워싱 유닛(washing unit); 및
상기 워싱 유닛을 통과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의 물을 건조시키는 드라잉 유닛(drying unit)을 포함하되,
상기 워싱 유닛은,
상기 워싱 유닛의 진입 경로를 따라 복수 개의 섹터로 분할하여 지정하는 섹터 지정부;
상기 사용자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분할된 상기 복수 개의 섹터 각각에 상기 사용자의 진입 여부를 인식하는 복수 개의 진입 인식부;
분할된 상기 복수 개의 섹터 각각의 상부와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워터 폴링부; 및
상기 워터 폴링부 중 상기 복수 개의 섹터 각각의 상부에 배치된 헤드 노즐 프레임의 하부의 영역으로 상기 사용자가 위치되도록 상기 헤드 노즐 프레임에 배치된 복수 개의 헤드 노즐 각각의 물 분사 여부를 제어하는 진입 유도부을 포함하며,
상기 진입 유도부는,
상기 진입 인식부가 인식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헤드 노즐 프레임 하부의 사용자의 세부 위치를 인식하는 포지션 인식부;
상기 복수 개의 헤드 노즐을 복수 개의 소정의 영역으로 각각 지정하고, 지정된 상기 복수 개의 소정의 영역 각각에 주소를 할당한 후, 할당된 상기 주소의 상기 소정의 영역마다 하향 분사하는 헤드 노즐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주소 할당부; 및
상기 포지션 인식부가 인식한 상기 사용자의 세부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평면적 위치가 상기 헤드 노즐 프레임의 하부에 모두 진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소 할당부가 할당한 상기 소정의 영역 중 물을 선택적으로 하향 분사하는 영역을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헤드 노즐 프레임의 하부에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폴링 전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7309A KR102004677B1 (ko) | 2019-04-23 | 2019-04-23 |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7309A KR102004677B1 (ko) | 2019-04-23 | 2019-04-23 |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04677B1 true KR102004677B1 (ko) | 2019-07-26 |
Family
ID=67469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7309A KR102004677B1 (ko) | 2019-04-23 | 2019-04-23 |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467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39304A (zh) * | 2020-07-22 | 2020-10-30 | 浙江大学 | 一种全方位自动淋浴装置及其控制方法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8270Y1 (ko) * | 2003-07-07 | 2003-09-26 | 성순만 | 자동 전신 샤워 부스 |
KR100711212B1 (ko) * | 2006-05-17 | 2007-04-27 | 수공테크 주식회사 | 터널형 소독장치 |
KR100996679B1 (ko) | 2008-05-26 | 2010-11-25 | 세비앙 주식회사 | 샤워 시스템과 그것의 제어장치 및 방법 |
KR101159904B1 (ko) | 2009-07-10 | 2012-06-25 | 이동명 | 이동식 샤워부스용 배수발판, 이를 이용한 샤워부스 및 샤워시스템 |
KR101523628B1 (ko) | 2013-12-12 | 2015-05-28 | 로얄앤컴퍼니 주식회사 | 샤워수전 외부 컨트롤 시스템 |
KR101715574B1 (ko) | 2016-10-12 | 2017-03-13 | 주식회사 희성 | 캠핑트레일러 또는 캠핑카의 생활용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KR20180069316A (ko) | 2016-12-15 | 2018-06-25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마트 샤워 시스템 |
KR20180130808A (ko) * | 2017-05-30 | 2018-12-10 | 주식회사 프로젝트 융 | 에어샤워 게이트 |
-
2019
- 2019-04-23 KR KR1020190047309A patent/KR10200467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8270Y1 (ko) * | 2003-07-07 | 2003-09-26 | 성순만 | 자동 전신 샤워 부스 |
KR100711212B1 (ko) * | 2006-05-17 | 2007-04-27 | 수공테크 주식회사 | 터널형 소독장치 |
KR100996679B1 (ko) | 2008-05-26 | 2010-11-25 | 세비앙 주식회사 | 샤워 시스템과 그것의 제어장치 및 방법 |
KR101159904B1 (ko) | 2009-07-10 | 2012-06-25 | 이동명 | 이동식 샤워부스용 배수발판, 이를 이용한 샤워부스 및 샤워시스템 |
KR101523628B1 (ko) | 2013-12-12 | 2015-05-28 | 로얄앤컴퍼니 주식회사 | 샤워수전 외부 컨트롤 시스템 |
KR101715574B1 (ko) | 2016-10-12 | 2017-03-13 | 주식회사 희성 | 캠핑트레일러 또는 캠핑카의 생활용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KR20180069316A (ko) | 2016-12-15 | 2018-06-25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마트 샤워 시스템 |
KR20180130808A (ko) * | 2017-05-30 | 2018-12-10 | 주식회사 프로젝트 융 | 에어샤워 게이트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39304A (zh) * | 2020-07-22 | 2020-10-30 | 浙江大学 | 一种全方位自动淋浴装置及其控制方法 |
CN111839304B (zh) * | 2020-07-22 | 2022-04-29 | 浙江大学 | 一种全方位自动淋浴装置及其控制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1180B1 (ko) |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 | |
KR102004677B1 (ko) |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 | |
WO2020247380A1 (en) | Toilet seat assembly with cleaning system | |
WO2014206685A1 (en) | Comfort shower | |
JPH09248325A (ja) | ミスト発生装置 | |
EP2105251B1 (en) |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grinding water of lens grinding device | |
CN110367137B (zh) | 一种智能宠物笼 | |
JP2022001710A (ja) | 「跳ね返り水の無い、臭い止め構造」を有する排便アシスト吸引式水洗トイレシステム | |
KR20180069316A (ko) | 스마트 샤워 시스템 | |
CN209789709U (zh) | 一种可调节高度的智能洗手器 | |
US1979623A (en) | Recreation pool | |
KR101767105B1 (ko) | 셀프 세차용 컨테이너 | |
JPH08232329A (ja) | トイレ室内自動洗浄装置 | |
KR102176916B1 (ko) | 고압분사 공기순환방식 우산 빗물 제거기 | |
KR20220084962A (ko) |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20190072080A (ko) | 절수형 자동 수전 | |
JP2006280697A (ja) | 手乾燥装置 | |
JP2009144395A (ja) | 車庫及び建物 | |
CN2829925Y (zh) | 一种可自动清洗鞋底的风淋室 | |
JP2013072220A (ja) | 便器洗浄装置 | |
KR102539682B1 (ko) | 에어 워시 장치 | |
CN202010136U (zh) | 鞋底清洗机 | |
KR102555972B1 (ko) |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 | |
CN216041524U (zh) | 一种智能感应型泡沫洗手台 | |
KR20240030848A (ko) | 인공지능 에어클렌징 부스 및 에어클렌징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