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180B1 -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180B1
KR102141180B1 KR1020190145753A KR20190145753A KR102141180B1 KR 102141180 B1 KR102141180 B1 KR 102141180B1 KR 1020190145753 A KR1020190145753 A KR 1020190145753A KR 20190145753 A KR20190145753 A KR 20190145753A KR 102141180 B1 KR102141180 B1 KR 102141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control
panel
control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윤재
이한기
Original Assignee
남윤재
이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윤재, 이한기 filed Critical 남윤재
Priority to KR1020190145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18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manual data input [MDI] or by using control panel, e.g. controlling functions with the panel; characterised by control panel details or by setting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사용하여 바닥분수, 물놀이장, 유수풀, 부유분수,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 등의 수경 시설에 형성된 펌프, 배관, 수조와 배관의 물을 정화하는 정화장치, 오존살균기, 정화약품 등의 소독을 거쳐 배관의 끝단에 형성된 노즐을 인버터를 통해 제어함과 동시에 필요한 경우 조명과 음악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물의 연출이 가능하며, 제어판넬의 제어부가 급수 및 배수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수조의 관리가 용이하고 배수 시 수조 내부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자동 세척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LANDSCAPED FACILITIES CONTROL SYSTEM HAVING CONTROL PANEL WITH TOUCH SCREEN}
본 발명은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사용하여 바닥분수, 물놀이장, 유수풀, 부유분수,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 등의 수경 시설에 형성된 펌프, 배관, 수조와 배관의 물을 정화하는 정화장치, 오존살균기, 정화약품 등의 소독을 거쳐 배관의 끝단에 형성된 노즐을 인버터를 통해 제어함과 동시에 필요한 경우 조명과 음악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물의 연출이 가능하며, 제어판넬의 제어부가 급수 및 배수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수조의 관리가 용이하고 배수 시 수조 내부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자동 세척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는 수경 시설은 하부의 저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모터를 이용하여 끌어올려 노즐을 통해 분출시켜 장식적인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도시의 디자인화를 추구하는 시점에서 수경 시설은 단지 물만을 분출하는데 에서 벗어나 분출되는 물의 세기, 방향 또는 형태를 음악에 따라 변화시켜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물이 음악을 표현하는 하나의 예술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또한, 수경 시설의 인근이나 바닥에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설치하여 분출되는 물을 비춰줌으로써 디자인적인 효과를 부각시키고 조명 또한 음악에 따라 색깔을 달리하여 미관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수경 시설은 모터를 이용하여 저수조의 물을 파이프를 통해 끌어들인 후, 이를 노즐을 통해 분사시켜 주변의 분위기를 아름답게 장식하는데, 최근에는 노즐에서 분출되는 물에 역동감을 제공하기 위해 일정한 시간단위로 프로그램된 제어 패턴에 따라 각 노즐의 형상 및 종류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모터구동의 온/오프 및 구동력의 강약 조절에 의해 아름다운 분위기를 연출함으로써 관람객들에게 쾌적한 환경과 휴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수경 시설은 모터 구동의 온/오프를 통해 각 노즐을 통해 물이 나오거나 나오지 않는 것과 같이 단순한 동작을 함으로 인해 관람객들이 쉽게 식상하게 되는 문제점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경 시설은 수조의 급수 및 배수를 관리자가 수동으로 해야 했으며 배수 시에 수조에 물과 함께 존재하던 이물질이 깨끗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수조의 바닥에 쌓임으로써 수경시설의 청결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수경 시설에 관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479184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사용하여 바닥분수, 물놀이장, 유수풀, 부유분수,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 등의 수경 시설에 형성된 펌프, 배관, 수조와 배관의 물을 정화하는 정화장치, 오존살균기, 정화약품 등의 소독을 거쳐 배관의 끝단에 형성된 노즐을 인버터를 통해 제어함과 동시에 필요한 경우 조명과 음악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물의 연출이 가능하며, 제어판넬의 제어부가 급수 및 배수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수조의 관리가 용이하고 배수 시 수조 내부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자동 세척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은 전면에 터치스크린 또는 버튼조작레버가 형성되며 법규의 기준치 및 항목을 기반으로 제어기준이 설정되어 각 센서와 연동되어 자동 운영됨으로써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판넬;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펌프, 배관, 정화장치, 오존살균기, 정화약품 공급부 중 적어도 하나를 경유한 물을 배출하는 상기 배관의 끝단에 형성된 노즐의 구동을 제어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바닥분수, 물놀이장, 유수풀(수영장), 부유분수 및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바닥분수는, 내부에 물과 각 구성들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수조; 상기 수조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어 분사노즐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펌프; 상기 수조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을 상기 오존살균기와 정화약품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오존 및 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정화하는 정화장치; 상기 수조의 내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라인; 상기 수조의 내부 하단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조 내부의 물과 이물질을 배수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 및 상기 수조의 내부 상단에 형성되어 물을 분사함으로써 상기 수조의 내측에 설치된 각종 구성들과 상기 수조의 내벽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세척하는 1차 세척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물놀이장은, 내부에 물과 각 구성들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수조; 상기 수조와 일정거리 이격된 지면에 형성되며 상부에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형성된 놀이시설; 상기 놀이시설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된 물을 상기 수조의 내부로 회수하는 회수라인; 상기 수조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어 분사노즐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펌프; 상기 수조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을 상기 오존살균기와 정화약품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오존 및 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정화하는 정화장치; 상기 수조의 내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라인; 상기 수조의 내부 하단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조 내부의 물과 이물질을 배수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 및 상기 수조의 내부 상단에 형성되어 물을 분사함으로써 상기 수조의 내측에 설치된 각종 구성들과 상기 수조의 내벽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세척하는 1차 세척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유수풀(수영장)은, 내부에 물과 각 구성들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수조; 상기 수조와 일정거리 이격된 지면에 형성되며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풀장; 상기 풀장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양측에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형성되는 유수풀장; 상기 유수풀장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유수풀장에서 사용된 물을 상기 수조의 내부로 회수하는 회수라인; 상기 수조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어 분사노즐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펌프; 상기 수조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을 상기 오존살균기와 정화약품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오존 및 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정화하는 정화장치; 상기 수조의 내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라인; 상기 수조의 내부 하단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조 내부의 물과 이물질을 배수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 및 상기 수조의 내부 상단에 형성되어 물을 분사함으로써 상기 수조의 내측에 설치된 각종 구성들과 상기 수조의 내벽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세척하는 1차 세척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부유분수는, 수면에 뜰 수 있는 경량체로 형성되며 하단에 다수개의 고정부가 형성된 부체수단; 상기 고정부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부체수단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블록; 상기 부체수단의 중앙에 형성되어 메인노즐에 물을 공급하는 메인펌프; 및 상기 부체수단의 중앙에 형성되어 보조노즐에 물을 공급하는 보조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은, 상기 제어판넬의 측면에 형성되고 내부에 공급펌프, 정화장치, 오존살균기, 정화약품 공급부 및 필터 장치가 형성되며 직수라인이 연결되는 판넬케이스; 및 상기 판넬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급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판넬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복수개의 분사노즐이 형성되는 분무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판넬을 통해 급수 및 배수 시간을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가 설정시간에 급수 및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조의 내부 하단 일측에 수위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 세척 노즐을 통한 1차 세척이 일정 시간 진행되어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의 수위가 설정수위에 도달한 것이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급수라인을 통해 상기 수조의 내부로 물이 급수되도록 하여 급수 및 배수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바닥분수, 물놀이장 및 유수풀(수영장)의 각 구성들의 수위레벨을 설치된 현장의 여건에 맞추어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사용하여 바닥분수, 물놀이장, 유수풀, 부유분수,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 등의 수경 시설에 형성된 펌프, 배관, 수조와 배관의 물을 정화하는 정화장치, 오존살균기, 정화약품 등의 소독을 거쳐 배관의 끝단에 형성된 노즐을 인버터를 통해 제어함과 동시에 필요한 경우 조명과 음악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물의 연출이 가능하며, 제어판넬의 제어부가 급수 및 배수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수조의 관리가 용이하고 배수 시 수조 내부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자동 세척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판넬의 전면에 터치스크린을 형성하여 버튼을 없앰으로써 제어판넬의 전면 디자인이 깔끔해짐과 동시에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어를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제어 상황을 표시함으로써 관리자에 의한 제어 조작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판넬의 저장부를 통해 수조의 급수, 배수 및 세척을 수행한 시간, 횟수, 노즐의 물 분사 시간 등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의 제어에 관한 데이터를 축적하여 통계를 내고 필요시에 축적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수조의 내측에 수위센서를 형성하여 배수가 완료된 후 수조의 상단에 형성된 1차 세척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수조의 내측에 설치된 각종 구성들과 수조의 내벽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1차 세척을 수행한 다음 수위센서를 통해 수조 내부의 물의 수위가 설정된 높이에 도달한 것이 감지되면 제어판넬의 제어부에서 제2급수부를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여 1차 세척에 의해 수조의 바닥에 쌓인 이물질이 제2급수구를 통해 급수되는 물이 수조의 반대편 내벽에 부딪힌 후 수조의 바닥에 도달하여 배수펌프 방향으로 흐르는 속도에 의해 쓸려나가 배수라인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수조 내부에 존재하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법규의 기준치 및 항목을 기반으로 제어판넬의 제어기준을 설정함으로써 제어판넬이 각 센서와 연동되어 자동 운영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에서 제어판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이 바닥분수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이 물놀이장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이 유수풀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유수풀에 형성된 노즐의 동작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이 부유분수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이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의 급수 및 배수 자동제어에 의한 수조 세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에서 제어판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이 바닥분수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이 물놀이장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이 유수풀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유수풀에 형성된 노즐의 동작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이 부유분수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이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의 급수 및 배수 자동제어에 의한 수조 세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은 크게 제어판넬(10), 인버터(20) 및 오디오 출력장치(30)를 포함하며, 바닥분수(100), 물놀이장(200), 유수풀(300), 부유분수(400),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500)에 적용하여 상기 제어판넬(10)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제어판넬(10)은 바닥분수(100), 물놀이장(200), 유수풀(300), 부유분수(400) 및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500)에 설치되는 인버터(20), 오디오 출력장치(30), 노즐과 펌프 및 배관, 수조의 급수 및 배수 등 전체 구성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되며, 전면에 터치스크린(11)을 형성함으로써 버튼을 없애 제어판넬(10)의 전면 디자인이 깔끔해짐과 동시에 터치스크린(11)을 통해 제어를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제어 상황을 표시함으로써 관리자에 의한 제어 조작이 편리하도록 하였다. 또한, 저장부(14)를 통해 수조의 급수, 배수 및 세척을 수행한 시간, 횟수, 노즐의 물 분사 시간 등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의 제어에 관한 데이터를 축적하고 통계를 냄으로써 필요시에 축적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제어판넬(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 물 연출 편집부(13), 저장부(14), USB 접속부(15) 및 인터넷 접속부(16)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USB 접속부(15)는 물 연출용 프로그램, 연출하고자 하는 음원, 물 연출 패턴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스틱을 접속하여 해당 프로그램, 음악파일, 물 연출 패턴 데이터를 실행하거나 저장부(14)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넷 접속부(16)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물 연출용 프로그램, 연출하고자 하는 음원, 물 연출 패턴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아 저장부(14)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14)는 인터넷 접속부(16) 또는 USB 접속부(15)를 통해 제공된 물 연출용 프로그램, 연출하고자 하는 음원, 물 연출 패턴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수조의 급수, 배수 및 세척을 수행한 시간, 횟수, 노즐의 물 분사 시간 등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의 제어에 관한 데이터를 축적하여, 통계를 내고 필요시에 축적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물 연출 편집부(13)는 제어판넬(10)의 터치스크린(11)을 이용하여 다양한 물 연출 패턴을 입력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적인 모듈로서, 물 연출 프로그램을 인터넷 접속부(16)와 세션이 형성된 음원 제공 서버 또는 USB 접속부(15)에 접속된 메모리스틱으로부터 제공받아 실행하거나 자체 내장되어 있는 물 연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터치스크린(11)을 이용하여 새로운 물 연출 패턴 데이터를 제작하거나 저장부(14)에 기 저장된 물 연출 패턴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2)는 저장부(14)에 저장된 다양한 음원과 물 연출 패턴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장치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수경시설에서 물 연출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바닥분수(100), 물놀이장(200), 유수풀(300)에 형성된 각각의 노즐, 펌프, 배관 등의 작동을 제어하여 수조의 급수, 배수 및 세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바닥분수(100)의 수조(110), 물놀이장(200)의 수조(210)와 놀이시설(290), 유수풀(300)의 수조(310)와 풀장(391) 및 유수풀장(390) 각각의 수위레벨을 설치된 현장의 여건에 맞추어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에 열거한 수경시설의 각 구성들이 설치되는 현장의 바닥면 형태가 사각형, 반원형 등으로 다양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형태에 맞추어 제어부(12)에서 수경시설의 각 구성에 채워질 물의 수위레벨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판넬(10)의 내부에는 오존살균기(미도시) 및 정화약품 공급부(미도시)가 오존 및 정화약품 공급라인(17)을 통해 후술할 바닥분수(100), 물놀이장(200), 유수풀(300)의 수조(110, 210, 310)의 내측에 설치된 정화장치 및 배수라인과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어 수조의 내부와 급수 및 배수라인에 오존 및 정화약품을 공급함으로써 수조 내부와 공급라인 및 배수라인 내부의 물을 정화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판넬(10)은 모니터링 시스템(40)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50)을 통해 원격지에서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관리자는 바닥분수(100), 물놀이장(200), 유수풀(300), 부유분수(400) 및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500)에 형성된 각종 구성의 작동 상황 및 제어를 원격지에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장치(30)는 제어판넬(10)의 제어부(12)로부터 나오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앰프 및 스피커로 구성된다.
인버터(20)는 제어판넬(10)의 제어부(12)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바닥분수(100), 물놀이장(200), 유수풀(300), 부유분수(400) 및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500)에 형성된 각각의 펌프, 배관, 수조와 배관의 물을 정화하는 정화장치, 오존살균기, 정화약품 공급부, 배관의 끝단에 형성된 노즐 등의 작동을 위한 모터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바닥분수(100), 물놀이장(200), 유수풀(300), 부유분수(400) 및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5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수조(110, 210, 310)의 내측에 형성된 정화장치(150, 250, 350)가 공급펌프(140, 240, 340)의 상단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것은 정화장치(150, 250, 350)와 공급펌프(140, 240, 340)가 도면상에서 겹쳐서 식별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정화장치(150, 250, 350)가 수조(110, 210, 310)의 바닥면에 형성되되 동일하게 수조(110, 210, 310)의 바닥면에 형성된 공급펌프(140, 240, 340)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하기에 따라 정화장치(150, 250, 350)와 공급펌프(140, 240, 340)의 위치는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바닥분수(100)는 수조(110), 수조(110)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는 공급펌프(140), 수조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어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물줄기를 분사시키는 분사노즐(142), 수조(110)의 내측 하단에 공급펌프(140)와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정화장치(150), 수조의 내측 하단 일측에 형성되는 배수펌프(120) 및 세척수 공급펌프(160)를 포함하며, 바닥분수(100)는 제어판넬(10)과 통신전원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연결되어 제어부(12)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 구성의 동작이 제어된다.
수조(110)는 지면보다 낮게 매립되고, 내부에 물과 각 구성들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즉, 수조(110)는 지반을 굴착하여 철근 콘크리트에 의해 마련되는 것으로 지반을 굴착하여 굴착된 지반 바닥을 다진 후, 그 위에 잡석다짐층과, 버림콘크리트층, 이형철근, 철근콘크리트층, 방수층, 보호몰탈층의 순으로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수조(110)의 상단면에는 지반에 설치된 판석(10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102)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조(110)의 내부 일측에는 물을 수조(110)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라인(130)이 수조(110)의 내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수조(110)의 내측에 위치한 급수라인(130)의 단부에는 급수라인(130)과 수직하게 형성된 제1급수구(131)와 급수라인(130)과 수평하게 형성된 제2급수구(132)가 형성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급수라인(130)에는, 급수라인(130)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밸브(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급수라인(130)를 통해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미도시)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수조(110)의 내부 하단 일측에는 수조(110) 내부의 물과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120)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펌프(120)는 수조(110)의 내벽을 관통하여 형성된 배수라인(121)과 연결되어 수조(110) 내부의 물과 이물질을 배수라인(12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배수라인(121)에는, 배수라인(121)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밸브(미도시)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수조(110)의 내부 하단 일측에는 수위센서(111)가 마련되며, 수위센서(111)는 후술할 1차 세척 노즐(162)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수조(110) 내부에 설치된 각각의 장치 및 수조(110)의 내벽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세척할 때 물의 수위가 일정 높이가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판넬(10)의 제어부(12)로 감지 정보를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정화장치(150)는 수조(110)의 하단 일측에 공급펌프(140)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며, 오존 및 정화약품 공급라인(17)을 통해 제어판넬(10)의 오존살균기(미도시) 및 정화약품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물의 정화에 필요한 오존 및 약품을 공급받는다.
이에 따라, 정화장치(150)는 오염된 물을 유입구(151)를 통해 흡입한 후 오존 및 정화약품 공급라인(17)을 통해 제어판넬(10)의 오존살균기(미도시) 및 정화약품 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받은 오존 및 약품을 이용하여 오염된 물을 정화한 후 토출구(152)를 통해 수조(110)의 내부로 배출함으로써 수조(110) 내부의 물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오버플로우관(122)은 수조(110)의 내측 상단에 수조(110)의 내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수조(110) 내부의 물의 높이가 수위 한계를 초과하는 경우 오버플로우관(122)의 수조(110) 내측 쪽 단부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입구(123)로 수위 한계를 초과한 물이 유입되어 오버플로우관(1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수조(110) 내부의 물의 높이가 수위 한계를 초과하지 않도록 조절된다. 이때, 오버플로우관(122)은 오존 및 정화약품 공급라인(17)을 통해 제어판넬(10)의 오존살균기(미도시) 및 정화약품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물의 정화에 필요한 오존 및 약품을 공급받아 수위 한계를 초과하여 오버플로우 입구(123)를 통해 유입되어 오버플로우관(122) 내부를 흐르는 물을 정화한 후 외부로 배출한다.
세척수 공급펌프(160)는 세척수 공급라인(161)을 통해 수조(110) 내부의 상단에 형성된 1차 세척 노즐(162)과 연결되며, 1차 세척 시에 세척수 공급라인(161)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하여 1차 세척 노즐(162)을 통해 분사시킴으로써 수조(110)의 내측에 설치된 각종 구성들과 수조(110)의 내벽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분사노즐(142)은 수조(110)의 상부에 다수개로 형성되되, 지지프레임(102) 및 판석(101)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분사노즐(142)은 공급펌프(140)로부터 이어지는 공급라인(141)을 통해 들어오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물줄기를 분사시키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사노즐(142)이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하여 제어판넬(10)의 제어부(12)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인버터(20)가 구동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분사노즐(142)이 회전하면서 분사되는 물줄기를 여러 방향으로 돌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분사노즐(142)에는 조명(미도시)이 부착되어 분사노즐(142)을 통해 분사되는 물을 비추어 물에 색깔을 입히는 효과를 연출할 수 있으며, 제어판넬(10)의 제어부(12)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색깔 또는 밝기가 제어될 수 있어 음악의 소리 크기나 높낮이에 따라 조명이 밝게 또는 어둡게 빛나는 등의 연출에 사용될 수 있다.
공급펌프(140)는 분사노즐(142)과 공급라인(141)으로 연결되어 분사노즐(142)에 물을 공급하며, 인버터(20)를 통해 공급펌프(140)의 구동력을 조절할 수 있고, 구동력에 따라 공급하는 물의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제어판넬(10)의 제어부(12)에서 인버터(20)의 주파수를 높이면 공급펌프(140)의 구동력이 증가하고, 이로써 물의 압력이 증가한다. 물의 압력이 증가하면 분사노즐(142)로 분사되는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 물줄기가 높이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인버터(20)의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공급펌프(140)의 구동력을 조절하여 분사노즐(142)로 분사되는 물줄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판넬(10)의 제어부(12)의 인버터(20) 제어에 의한 공급펌프(140)의 구동력 조절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복수의 분사노즐(142) 모두에 각각 인버터(20)를 설치하여 제어부(12)가 각각의 분사노즐(142)에 설치된 인버터(20)를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분사노즐(142)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바닥분수(100)는 제어판넬(10)의 저장부(14)에 저장된 다양한 음원과 물 연출 패턴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어부(12)에서 각 장치에 인가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물 연출이 동작될 수 있도록 제어된다.
제어부(12)에서 각 장치를 제어하여 연출할 수 있는 물 연출 패턴은 운전형태, 인버터(20)의 주파수, 인버터(20)의 가감속도, 조명, 음악의 빠르기 등이 있다.
운전형태는 다수의 분사노즐(142)들이 연관되어 하나의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도록 각각의 분사노즐(142)과 공급펌프(140)를 제어하는 형태를 말한다. 운전형태에는 전체 동시 가동, 역방향 회전, 정 방향 회전, 중앙 좌우회전, 전체 동시 파도, 역 방향 파도, 정 방향 파도, 중앙좌우 파도 등이 있으며, 제어부(12)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인버터(20)가 분사노즐(142)의 구동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분사노즐(142)의 움직임을 제어함과 동시에 공급펌프(140)의 구동여부를 제어하여 다양한 운전형태의 연출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날개분수와 같이 V자형으로 분사노즐(142)을 배치한 분수대의 경우 중앙좌우 파도의 운전형태를 가동하면, V자형 중앙의 분사노즐(142)에서 좌우로 파도형태로 각각 물줄기를 분사시킨다.
이러한 운전형태는 소정의 시간 안에 가동되는 일련의 제어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운전형태는 각 분사노즐(142)들이 소정시간 동안 어떻게 물줄기를 분사하는지를 제어하는 신호들로 구성된다. 운전형태가 한번 가동되는 시간은 "주기"라고 말한다. 주기는 변화될 수 있다. 즉, 중앙좌우 파도를 10초 동안 가동할 수도 있고, 20초 동안 가동할 수도 있다. 즉, 주기에 따라 운전형태는 빠르게 진행될 수도 느리게 진행될 수도 있다.
또한, 운전형태는 반복되어 가동될 수도 있고, 여러 운전형태가 섞여 진행될 수도 있다.
음악의 빠르기는 제어부(12)의 제어 신호에 의해 오디오 출력장치(30)를 통해 출력되는 음악이 진행되는 속도, 즉, 박자가 조절되는 것을 말한다.
조명은 ON/OFF, 색깔, 빛의 세기 등에 의해 표현이 가능하다. 특히, 음의 크기 등은 빛의 세기로 표현할 수 있고, 음의 빠르기는 ON/OFF의 변화나 색깔의 변화 속도로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인버터(20)의 주파수와 인버터(20)의 가감속 시간은 공급펌프(140)를 제어하기 위한 연출변수이며, 인버터(20)의 주파수는 공급펌프(140)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변수이다. 즉, 주파수가 높을수록 공급펌프(140)의 구동력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물줄기도 높아진다. 인버터(20)의 가감속은 인버터(20)의 주파수가 변화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T시간 때에 인버터(20)의 주파수가 f(T)이고, T+1일 때에 인버터(20)의 주파수가 f(T+1)이면, 인버터(20)의 주파수를 f(T)에서 f(T+1)까지 변동시켜야 한다. 그런데 이를 급격히 변동시키면 공급펌프(140)에서 트립(Trip)이 발생하여 제대로 물줄기가 분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주파수가 변화하는 시간을 트립(Trip)이 발생되지 않도록 시간간격으로 주어야 한다.
그런데, 인버터(20)의 가감속 시간도 분수의 모양을 결정하는데 아주 중요한 연출변수 중에 하나이다. 예를 들면, 인버터(20)의 가감속 시간을 짧게 하면, 물줄기의 높이는 짧은 순간에 변화되므로 생동감이 있으나, 가감속 시간을 길게 하면 물줄기의 높이가 서서히 변화되므로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통상 인버터(20)의 가감속 시간은 0.1초에서 1.6초 사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는 물 연출 패턴 데이터에 의해 물 연출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악소리의 음을 분석하여 음의 크기와 음의 빠르기를 추출하고, 추출된 음의 크기와 빠르기에 따라 물 연출 동작을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물 연출 동작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어판넬(10)의 제어부(12)는 상기와 같이 저장부(14)에 저장된 다양한 음원과 물 연출 패턴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장치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바닥분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 이외에도 수조(110)의 급수 및 배수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어판넬(10)을 통해 관리자가 미리 급수와 배수 시간을 설정해 놓은 상태에서 설정된 급수 시간이 되면 제어부(12)가 급수라인(130)의 밸브(미도시)를 개방하고 급수펌프(미도시)를 가동하도록 제어하여 제1급수구(131) 및 제2급수구(132)를 통해 자동으로 수조(110)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설정된 배수 시간이 되면 제어부(12)가 배수라인(121)의 밸브(미도시)를 개방하고 배수펌프(120)를 가동하도록 제어하여 자동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급수 및 배수를 제어할 필요가 없어 수조(110)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의 급수 및 배수 자동제어에 의한 바닥분수(100)의 수조(110) 세척 기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배수 시간이 되면 제어부(12)가 배수라인(121)의 밸브(미도시)를 개방하고 배수펌프(120)가 가동되도록 제어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라인(121)을 통해 수조(110) 내부의 물이 배출된다.
다음으로, 배수가 완료되어 수조(110) 내부의 물이 모두 배출되면 제어부(12)가 배수펌프(120)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제어부(12)가 세척수 공급펌프(160)를 가동하도록 제어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10)의 상단에 형성된 1차 세척 노즐(162)을 통해 물이 분사하여 수조(110)의 내측에 설치된 각종 구성들과 수조(110)의 내벽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세척하여 수조(110)의 바닥에 모이도록 하는 1차 세척이 수행된다.
이후, 1차 세척이 일정시간 진행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10) 내부의 물의 수위가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게 되면 수위센서(111)에서 이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제어부(12)로 보내고, 제어부(12)는 급수라인(130)의 밸브(미도시)를 개방하고 급수펌프(미도시)가 가동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배수라인(121)의 밸브(미도시)를 개방하고 배수펌프(120)가 가동되도록 제어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급수구(132)를 통해 빠른 속도로 물이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1차 세척에 의해 수조(110)의 바닥에 쌓여 있는 이물질이 제2급수구(132)를 통해 급수되는 물이 수조(110)의 반대편 내벽에 부딪힌 후 수조(110)의 바닥에 도달하여 배수펌프(120) 방향으로 흐르는 속도에 의해 쓸려나간 후 배수라인(121)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수조(110) 내부에 존재하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급수구(132)를 통해 급수를 시작하는 설정수위는 2~10센티미터 범위에서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는데, 예를 들어 설정수위를 3센티미터로 설정한 경우 배수를 완료한 후 1차 세척을 시작하면 수조(110)의 수위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데 수위센서(111)에서 수위가 3센티미터인 것이 감지되면 제2급수구(132)를 통해 급수를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제2급수구(132)를 통한 급수 전반 구간에는 일정시간동안(2~3분) 강한 수압으로 다량의 급수를 하여 수조(110)의 바닥에 쌓인 이물질들이 배수펌프(120)를 향해 힘차게 쓸려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외력을 제공하게 되며, 급수 전반 구간 이후에는, 후반 구간으로서 급수 전반 구간보다 급수량을 줄여서 설정수위인 3센티미터가 유지되는 수준으로 급수량을 제어한다. 이렇게 수위를 유지하는 수준으로 급수를 3~5분간 진행하면 이 후반 구간동안에는 수조(110)의 바닥에 일정 수위를 유지하면서 물의 흐름이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흐르는 물에 떠있는 이물질들이 배수펌프(120)로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물의 수위를 유지하는 이유는 물에 뜨는 이물질들이 배수펌프(120)까지 이동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물의 수위가 유지되지 않고 물이 바닥에만 흐르는 경우에는 이물질을 조준해서 물을 분사하지 않는 한 이물질이 배수펌프(120)까지 이동하지 못한다. 그러나 물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물의 흐름을 한쪽 방향으로 지속시키면 물에 뜨는 이물질들이 배수펌프(120)를 향해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물에 뜨지 않고 잠겨 있는 이물질이더라도 일정 수위로 일정 시간 물의 흐름이 유발되면 이물질이 물의 흐름에 의한 외력을 받아 천천히 배수펌프(120)로 이동하면서 종국적으로는 배수라인(12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물놀이장(2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물놀이장(200)은 수조(210), 수조(210)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는 공급펌프(240), 놀이시설(290)의 상부에 형성되어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물줄기를 분사시키는 분사노즐(242), 수조(210)의 내측 하단에 공급펌프(240)와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정화장치(250), 수조의 내측 하단 일측에 형성되는 배수펌프(220) 및 세척수 공급펌프(260), 수조(210)와 일정거리 이격된 지면에 형성되되 노즐(242)에서 분사되는 물이 외부로 흐르지 않고 고여 있을 수 있도록 일정 높이만큼 낮게 형성된 곳에 설치되는 놀이시설(290)을 포함하며, 물놀이장(200)은 제어판넬(10)과 통신전원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연결되어 제어부(12)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 구성의 동작이 제어된다.
수조(210)는 지면보다 낮게 매립되고, 내부에 물과 각 구성들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즉, 수조(210)는 지반을 굴착하여 철근 콘크리트에 의해 마련되는 것으로 지반을 굴착하여 굴착된 지반 바닥을 다진 후, 그 위에 잡석다짐층과, 버림콘크리트층, 이형철근, 철근콘크리트층, 방수층, 보호몰탈층의 순으로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러한 수조(210)의 내부 일측에는 물을 수조(210)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라인(230)이 수조(210)의 내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수조(210)의 내측에 위치한 급수라인(230)의 단부에는 급수라인(230)과 수평하게 형성된 급수구(232)가 형성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급수라인(230)에는, 급수라인(230)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밸브(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급수라인(230)를 통해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미도시)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수조(210)의 내부 하단 일측에는 수조(210) 내부의 물과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220)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펌프(220)는 수조(210)의 내벽을 관통하여 형성된 배수라인(221)과 연결되어 수조(210) 내부의 물과 이물질을 배수라인(22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배수라인(221)에는, 배수라인(221)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밸브(미도시)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수조(210)의 내부 하단 일측에는 수위센서(211)가 마련되며, 수위센서(211)는 후술할 1차 세척 노즐(262)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수조(210) 내부에 설치된 각각의 장치 및 수조(210)의 내벽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세척할 때 물의 수위가 일정 높이가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판넬(10)의 제어부(12)로 감지 정보를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정화장치(250)는 수조(210)의 하단 일측에 공급펌프(240)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며, 오존 및 정화약품 공급라인(17)을 통해 제어판넬(10)의 오존살균기(미도시) 및 정화약품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물의 정화에 필요한 오존 및 약품을 공급받는다.
이에 따라, 정화장치(250)는 오염된 물을 유입구(251)를 통해 흡입한 후 오존 및 정화약품 공급라인(17)을 통해 제어판넬(10)의 오존살균기(미도시) 및 정화약품 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받은 오존 및 약품(염소)을 이용하여 오염된 물을 정화한 후 토출구(252)를 통해 수조(210)의 내부로 배출함으로써 수조(210) 내부의 물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오버플로우관(222)은 수조(210)의 내측 상단에 형성되되 배수라인(221)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수조(210) 내부의 물의 높이가 수위 한계를 초과하는 경우 오버플로우관(222)의 수조(210) 내측 쪽 단부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입구(223)로 수위 한계를 초과한 물이 유입되어 오버플로우관(2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수조(210) 내부의 물의 높이가 수위 한계를 초과하지 않도록 조절된다. 이때, 도면상에서는 오버플로우관(222)이 배수라인(221)과 겹쳐진 것으로 보이나, 실제로는 오버플로우관(222)이 배수라인(221)과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상태에서 오버플로우관(222)의 하단부가 배수라인(221)의 수평한 부분과 연결되어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세척수 공급펌프(260)는 세척수 공급라인(261)을 통해 수조(210) 내부의 상단에 형성된 1차 세척 노즐(262)과 연결되며, 1차 세척 시에 세척수 공급라인(261)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하여 1차 세척 노즐(262)을 통해 분사시킴으로써 수조(210)의 내측에 설치된 각종 구성들과 수조(210)의 내벽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놀이시설(290)은 수조(210)와 일정거리 이격된 지면에 형성되되 노즐(242)에서 분사되는 물이 외부로 흐르지 않고 고여 있을 수 있도록 일정 높이만큼 낮게 형성된 바닥면에 설치되며, 놀이시설(290)이 설치된 바닥면에는 노즐(242)에서 분사되어 바닥면에 고여 있던 물을 수조(210)의 내부로 회수하는 회수라인(270)과 노즐(242)에서 분사되어 바닥면에 고여 있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280)이 형성된다. 이때, 회수라인(270)과 배출관(280)은 물이 위치한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펌프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없이도 바닥면에 고여 있는 물을 회수하거나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회수라인(270)과 배출관(280)은 오존 및 정화약품 공급라인(17)을 통해 제어판넬(10)의 오존살균기(미도시) 및 정화약품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물의 정화에 필요한 오존 및 약품을 공급받아 놀이시설(290)의 하단 바닥면에 고여 있던 물을 정화한 후 수조(210)의 내부로 회수하거나 외부로 배출한다.
분사노즐(242)은 놀이시설(290)의 상부에 다수개로 형성된다.
이러한 분사노즐(242)은 공급펌프(240)로부터 이어지는 공급라인(241)을 통해 들어오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물줄기를 놀이시설(290)의 상부로 분사시키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사노즐(242)이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하여 제어판넬(10)의 제어부(12)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인버터(20)가 구동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분사노즐(242)이 회전하면서 분사되는 물줄기를 여러 방향으로 돌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분사노즐(242)에는 조명(미도시)이 부착되어 분사노즐(242)을 통해 분사되는 물을 비추어 물에 색깔을 입히는 효과를 연출할 수 있으며, 제어판넬(10)의 제어부(12)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색깔 또는 밝기가 제어될 수 있어 음악의 소리 크기나 높낮이에 따라 조명이 밝게 또는 어둡게 빛나는 등의 연출에 사용될 수 있다.
공급펌프(240)는 분사노즐(242)과 공급라인(241)으로 연결되어 분사노즐(242)에 물을 공급하며, 인버터(20)를 통해 공급펌프(240)의 구동력을 조절할 수 있고, 구동력에 따라 공급하는 물의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제어판넬(10)의 제어부(12)에서 인버터(20)의 주파수를 높이면 공급펌프(240)의 구동력이 증가하고, 이로써 물의 압력이 증가한다. 물의 압력이 증가하면 분사노즐(242)로 분사되는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 물줄기가 높이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인버터(20)의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공급펌프(240)이 구동력을 조절하여 분사노즐(242)로 분사되는 물줄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복수의 분사노즐(242) 모두에 각각 인버터(20)를 설치하여 제어부(12)가 각각의 분사노즐(242)에 설치된 인버터(20)를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분사노즐(242)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물놀이장(200)은 제어판넬(10)의 저장부(14)에 저장된 다양한 음원과 물 연출 패턴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어부(12)에서 각 장치에 인가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놀이시설(290)에서 물 연출이 작동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수조(210)의 급수 및 배수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물놀이장(200)의 수조(210)가 자동으로 세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에 의한 물놀이장(200)의 물 연출 동작 및 자동 세척을 위한 구성 및 작동 과정은 상술한 바닥분수(100)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바닥분수(100)의 제2급수구(132)는 물놀이장(200)의 급수구(232)와 대응되는 구성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유수풀(수영장)(3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유수풀(300)은 수조(310), 수조(310)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는 공급펌프(340), 수조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어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물줄기를 분사시키는 분사노즐(342), 수조(310)의 내측 하단에 공급펌프(340)와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정화장치(350), 수조의 내측 하단 일측에 형성되는 배수펌프(320) 및 세척수 공급펌프(360), 수조(310)와 일정거리 이격된 지면에 형성되되 물이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일정 높이만큼 낮게 형성된 곳에 설치되는 유수풀장(390) 및 풀장(391)을 포함하며, 유수풀(300)은 제어판넬(10)과 통신전원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연결되어 제어부(12)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 구성의 동작이 제어된다.
수조(310)는 지면보다 낮게 매립되고, 내부에 물과 각 구성들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즉, 수조(310)는 지반을 굴착하여 철근 콘크리트에 의해 마련되는 것으로 지반을 굴착하여 굴착된 지반 바닥을 다진 후, 그 위에 잡석다짐층과, 버림콘크리트층, 이형철근, 철근콘크리트층, 방수층, 보호몰탈층의 순으로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러한 수조(210)의 내부 일측에는 물을 수조(210)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라인(230)이 수조(210)의 내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수조(210)의 내측에 위치한 급수라인(230)의 단부에는 급수라인(230)과 수평하게 형성된 급수구(232)가 형성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급수라인(230)에는, 급수라인(230)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밸브(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급수라인(230)를 통해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미도시)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수조(210)의 내부 하단 일측에는 수조(210) 내부의 물과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220)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펌프(220)는 수조(210)의 내벽을 관통하여 형성된 배수라인(221)과 연결되어 수조(210) 내부의 물과 이물질을 배수라인(22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배수라인(221)에는, 배수라인(221)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밸브(미도시)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수조(210)의 내부 하단 일측에는 수위센서(211)가 마련되며, 수위센서(211)는 후술할 1차 세척 노즐(262)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수조(210) 내부에 설치된 각각의 장치 및 수조(210)의 내벽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세척할 때 물의 수위가 일정 높이가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판넬(10)의 제어부(12)로 감지 정보를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정화장치(250)는 수조(210)의 하단 일측에 공급펌프(240)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며, 오존 및 정화약품 공급라인(17)을 통해 제어판넬(10)의 오존살균기(미도시) 및 정화약품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물의 정화에 필요한 오존 및 약품을 공급받는다.
이에 따라, 정화장치(250)는 오염된 물을 유입구(251)를 통해 흡입한 후 오존 및 정화약품 공급라인(17)을 통해 제어판넬(10)의 오존살균기(미도시) 및 정화약품 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받은 오존 및 약품을 이용하여 오염된 물을 정화한 후 토출구(252)를 통해 수조(210)의 내부로 배출함으로써 수조(210) 내부의 물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오버플로우관(222)은 수조(210)의 내측 상단에 형성되되 배수라인(221)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수조(210) 내부의 물의 높이가 수위 한계를 초과하는 경우 오버플로우관(222)의 수조(210) 내측 쪽 단부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입구(223)로 수위 한계를 초과한 물이 유입되어 오버플로우관(2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수조(210) 내부의 물의 높이가 수위 한계를 초과하지 않도록 조절된다. 이때, 도면상에서는 오버플로우관(222)이 배수라인(221)과 겹쳐진 것으로 보이나, 실제로는 오버플로우관(222)이 배수라인(221)과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상태에서 오버플로우관(222)의 하단부가 배수라인(221)의 수평한 부분과 연결되어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세척수 공급펌프(260)는 세척수 공급라인(261)을 통해 수조(210) 내부의 상단에 형성된 1차 세척 노즐(262)과 연결되며, 1차 세척 시에 세척수 공급라인(261)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하여 1차 세척 노즐(262)을 통해 분사시킴으로써 수조(210)의 내측에 설치된 각종 구성들과 수조(210)의 내벽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유수풀장(390) 및 풀장(391)은 수조(310)와 일정거리 이격된 지면에 형성되되 물이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일정 높이만큼 낮게 형성되며, 풀장(391)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유수풀장(390)은 풀장(39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유수풀장(390)이 설치된 바닥면에는 공급라인(341)을 통해 유수풀장(390)에 공급되어 사용된 물을 수조(310)의 내부로 회수하는 회수라인(370)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380)이 형성된다. 이때, 회수라인(370)과 배출관(380)은 물이 위치한 유수풀장(390)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펌프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없이도 물을 회수하거나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회수라인(370)과 배출관(380)은 오존 및 정화약품 공급라인(17)을 통해 제어판넬(10)의 오존살균기(미도시) 및 정화약품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물의 정화에 필요한 오존 및 약품을 공급받아 유수풀장(390)에서 사용된 물을 정화한 후 수조(310)의 내부로 회수하거나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유수풀장(39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벽면에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다수개의 분사노즐(342)이 형성된다.
이러한 분사노즐(342)은 공급펌프(340)로부터 이어지는 공급라인(341)을 통해 들어오는 물을 유수풀장(390)에 고여 있는 물에 분사하여 유수풀장(390)에 고여 있는 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사노즐(342)이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하여 제어판넬(10)의 제어부(12)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인버터(20)가 구동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분사노즐(342)의 방향을 바꿈으로써 유수풀장(390)에 고여 있는 물이 흐르는 방향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분사노즐(342)에는 조명(미도시)이 부착되어 분사노즐(342)을 통해 분사되는 물을 비추어 물에 색깔을 입히는 효과를 연출할 수 있으며, 제어판넬(10)의 제어부(12)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색깔 또는 밝기가 제어될 수 있어 음악의 소리 크기나 높낮이에 따라 조명이 밝게 또는 어둡게 빛나는 등의 연출에 사용될 수 있다.
공급펌프(340)는 유수풀장(390), 풀장(391) 및 분사노즐(342)과 공급라인(341)으로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며, 인버터(20)를 통해 공급펌프(340)의 구동력을 조절할 수 있고, 구동력에 따라 공급하는 물의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제어판넬(10)의 제어부(12)에서 인버터(20)의 주파수를 높이면 공급펌프(340)의 구동력이 증가하고, 이로써 물의 압력이 증가한다. 물의 압력이 증가하면 분사노즐(342)로 분사되는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 유수풀(390)의 물이 흐르는 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인버터(20)의 주파수를 조절하여 공급펌프(340)이 구동력을 조절함으로써 분사노즐(342)로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유수풀(390)의 물이 흐르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수풀(300)은 제어판넬(10)의 제어부(12)에 의해 수조(310)의 급수 및 배수가 자동으로 제어되어 수조(310)가 세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에 의한 유수풀(300)의 자동 세척을 위한 구성 및 작동 과정은 상술한 바닥분수(100)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바닥분수(100)의 제2급수구(132)는 유수풀(300)의 급수구(332)와 대응되는 구성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부유분수(4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부유분수(400)는 호수나 강 등의 수면에 뜬 상태로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제어판넬(10)과 통신전원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연결되어 제어부(12)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 구성의 동작이 제어된다.
이러한, 부유분수(400)는 부체수단(440), 메인펌프(410) 및 보조펌프(420)를 포함한다.
부체수단(440)은 호수, 강 등의 수면에 충분히 뜰 수 있는 부력성을 제공하기 위해 크기가 어느 정도 크면서 무게가 충분히 가벼운 경량체로서 형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내부가 중공인 합성수지체로 구현될 수 있고, 호수 강 등에 부상된 상태에서 수면 아래에 위치되어 그 외부 노출이 차단됨으로써 외장미를 해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부체수단(440)의 측면은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부체수단(440)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고정부(432)가 형성되며, 고정부(432)는 호수 강 등의 바닥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고정블록(430)과 와이어(431)를 통해 연결되어 부체수단(440)의 위치를 고정한다.
메인펌프(410) 및 보조펌프(420)는 부체수단(440)의 중앙에 형성되어 메인노즐(412) 및 보조노즐(422)과 메인라인(411) 및 보조라인(421)을 통해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며, 메인라인(411)과 보조라인(421)의 상부에 복수개 형성된 메인노즐(412) 및 보조노즐(422)은 메인펌프(410) 및 보조펌프(420)로부터 이어지는 메인라인(411) 및 보조라인(421)을 통해 들어오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물줄기를 분사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노즐(412) 및 보조노즐(422)이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하여 제어판넬(10)의 제어부(12)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인버터(20)가 구동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메인노즐(412) 및 보조노즐(422)이 회전하면서 분사되는 물줄기를 여러 방향으로 돌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메인노즐(412) 및 보조노즐(422)에는 조명(미도시)이 부착되어 메인노즐(412) 및 보조노즐(422)을 통해 분사되는 물을 비추어 물에 색깔을 입히는 효과를 연출할 수 있으며, 제어판넬(10)의 제어부(12)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색깔 또는 밝기가 제어될 수 있어 음악의 소리 크기나 높낮이에 따라 조명이 밝게 또는 어둡게 빛나는 등의 연출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인버터(20)를 통해 메인펌프(410) 및 보조펌프(420)의 구동력을 조절할 수 있고, 구동력에 따라 공급하는 물의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제어판넬(10)의 제어부(12)에서 인버터(20)의 주파수를 높이면 메인펌프(410) 및 보조펌프(420)의 구동력이 증가하고, 이로써 물의 압력이 증가한다. 물의 압력이 증가하면 메인노즐(412) 및 보조노즐(422)로 분사되는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 물줄기가 높이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인버터(20)의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메인펌프(410) 및 보조펌프(420)의 구동력을 조절하여 분사노즐(142)로 분사되는 물줄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복수의 메인노즐(412) 및 보조노즐(422) 모두에 각각 인버터(20)를 설치하여 제어부(12)가 각각의 메인노즐(412) 및 보조노즐(422)에 설치된 인버터(20)를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메인노즐(412) 및 보조노즐(422)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부유분수(400)는 제어판넬(10)의 저장부(14)에 저장된 다양한 음원과 물 연출 패턴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어부(12)에서 각 장치에 인가하는 프로그램 된 제어신호에 의해 물 연출이 동작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에 의한 부유분수(400)의 물 연출 동작을 위한 구성 및 작동 과정은 상술한 바닥분수(100)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바닥분수(100)의 공급펌프(140)는 부유분수(400)의 메인펌프(410) 및 보조펌프(420)와 대응되는 구성이고, 바닥분수(100)의 분사노즐(142)은 부유분수(400)의 메인노즐(412) 및 보조노즐(422)과 대응되는 구성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5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500)은 제어판넬(10)과 통신전원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연결되어 제어부(12)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 구성의 동작이 제어되며, 제어판넬(10)의 측면에 판넬케이스(60)가 별도로 형성되고 급수구(532)가 형성된 직수라인(530)이 판넬케이스(60)와 연결되며, 단부에 복수개의 분사노즐(542)이 형성된 관구조의 분무라인(541)이 판넬케이스(60) 내부의 공급펌프(540)와 연결되어 판넬케이스(6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판넬케이스(60)의 내부에는 분무라인(541)에 형성된 복수개의 분사노즐(542)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펌프(540), 급수구(532)를 통해 공급된 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화장치(미도시), 상기 정화장치(미도시)에 오존 및 약품(염소)를 공급하기 위한 오존살균기(미도시) 및 정화약품 공급부(미도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 장치(미도시)가 형성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직수라인(530)의 급수구(532)에는 급수구(532)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밸브가 마련될 수 있으며, 급수구(532)를 통해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미도시)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수구(532)를 통해 공급되어 직수라인(530)의 내부에 흐르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 장치(미도시)를 통해 걸러낸 후 정화장치(미도시)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물을 흡입하여 오존살균기(미도시) 및 정화약품 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받은 오존 및 약품(염소)을 이용해 물을 정화한 후 분사노즐(542)로 공급함으로써 깨끗한 물을 분사노즐(542)을 통해 외부로 분사할 수 있다.
분사노즐(542)은 판넬케이스(60) 내부의 공급펌프(540)와 연결되어 판넬케이스(60)의 외측으로 연장된 분무라인(541)의 단부에 다수개로 형성된다.
이러한 분사노즐(542)은 공급펌프(540)로부터 이어지는 분무라인(541)을 통해 고압으로 들어오는 물을 안개 분무 방식으로 외부로 분사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사노즐(542)이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하여 제어판넬(10)의 제어부(12)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인버터(20)가 구동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복수의 분사노즐(542)을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분사노즐(542)에서만 물이 안개 분무 방식으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각각의 분사노즐(542)에서 안개 분무 방식으로 분사되는 물의 분사량, 세기 등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분사노즐(542)의 설치방향을 분무라인(541) 단부에서 상하좌우로 다양하게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분사노즐(542)에는 조명(미도시)이 부착되어 분사노즐(542)을 통해 분사되는 물을 비추어 물에 색깔을 입히는 효과를 연출할 수 있으며, 제어판넬(10)의 제어부(12)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색깔 또는 밝기가 제어될 수 있어 음악의 소리 크기나 높낮이에 따라 조명이 밝게 또는 어둡게 빛나는 등의 연출에 사용될 수 있다.
공급펌프(540)는 분사노즐(542)과 분무라인(541)으로 연결되어 분사노즐(542)에 물을 공급하며, 인버터(20)를 통해 공급펌프(540)의 구동력을 조절할 수 있고, 구동력에 따라 공급하는 물의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제어판넬(10)의 제어부(12)에서 인버터(20)의 주파수를 높이면 공급펌프(540)의 구동력이 증가하고, 이로써 물의 압력이 증가한다. 물의 압력이 증가하면 분사노즐(542)로 분사되는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 분사노즐(542)에서 안개 분무 방식으로 분사되는 물의 분사 세기가 강해지게 된다. 따라서 인버터(20)의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공급펌프(540)의 구동력을 조절하여 분사노즐(542)을 통해 안개 분무 방식으로 분사되는 물의 분사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500)은 제어판넬(10)의 저장부(14)에 저장된 물 연출 패턴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어부(12)에서 각 장치에 인가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500)에서 물 연출이 작동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도 있으며, 공원, 유적지, 테마파크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거나 필요시 실내에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은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사용하여 바닥분수, 물놀이장, 유수풀, 부유분수,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 등의 수경 시설에 형성된 펌프, 배관, 수조와 배관의 물을 정화하는 정화장치, 오존살균기, 정화약품 등의 소독을 거쳐 배관의 끝단에 형성된 노즐을 인버터를 통해 제어함과 동시에 필요한 경우 조명과 음악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물의 연출이 가능하며, 제어판넬의 제어부가 급수 및 배수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수조의 관리가 용이하고 배수 시 수조 내부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자동 세척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판넬의 전면에 터치스크린을 형성하여 버튼을 없앰으로써 제어판넬의 전면 디자인이 깔끔해짐과 동시에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어를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제어 상황을 표시함으로써 관리자에 의한 제어 조작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판넬의 저장부를 통해 수조의 급수, 배수 및 세척을 수행한 시간, 횟수, 노즐의 물 분사 시간 등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의 제어에 관한 데이터를 축적하여 통계를 내고 필요시에 축적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수조의 내측에 수위센서를 형성하여 배수가 완료된 후 수조의 상단에 형성된 1차 세척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수조의 내측에 설치된 각종 구성들과 수조의 내벽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1차 세척을 수행한 다음 수위센서를 통해 수조 내부의 물의 수위가 설정된 높이에 도달한 것이 감지되면 제어판넬의 제어부에서 제2급수부를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여 1차 세척에 의해 수조의 바닥에 쌓인 이물질이 제2급수구를 통해 급수되는 물이 수조의 반대편 내벽에 부딪힌 후 수조의 바닥에 도달하여 배수펌프 방향으로 흐르는 속도에 의해 쓸려나가 배수라인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수조 내부에 존재하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법규의 기준치 및 항목을 기반으로 제어판넬의 제어기준을 설정함으로써 제어판넬이 각 센서와 연동되어 자동 운영되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제어부
11 : 터치스크린
12 : 제어부
13 : 물 연출 편집부
14 : 저장부
15 : USB 접속부
16 : 인터넷 접속부
17 : 오존 및 정화약품 공급라인
20 : 인버터
30 : 오디오 출력장치
40 : 모니터링 시스템
50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100 : 바닥분수
101 : 판석
102 : 지지프레임
110 : 수조
111 : 수위센서
120 : 배수펌프
121 : 배수라인
122 : 오버플로우관
123 : 오버플로우 입구
130 : 급수라인
131 : 제1급수구
132 : 제2급수구
140 : 공급펌프
141 : 공급라인
142 : 분사노즐
150 : 정화장치
151 : 유입구
152 : 토출구
160 : 세척수 공급펌프
161 : 세척수 공급라인
162 : 1차 세척 노즐
200 : 물놀이장
210 : 수조
211 : 수위센서
220 : 배수펌프
221 : 배수라인
222 : 오버플로우관
223 : 오버플로우 입구
230 : 급수라인
232 : 급수구
240 : 공급펌프
241 : 공급라인
242 : 분사노즐
250 : 정화장치
251 : 유입구
252 : 토출구
260 : 세척수 공급펌프
261 : 세척수 공급라인
262 : 1차 세척 노즐
270 : 회수라인
280 : 배출관
290 : 놀이시설
300 : 유수풀
310 : 수조
311 : 수위센서
320 : 배수펌프
321 : 배수라인
322 : 오버플로우관
323 : 오버플로우 입구
330 : 급수라인
332 : 급수구
340 : 공급펌프
341 : 공급라인
342 : 분사노즐
350 : 정화장치
351 : 유입구
352 : 토출구
360 : 세척수 공급펌프
361 : 세척수 공급라인
362 : 1차 세척 노즐
370 : 회수라인
380 : 배출관
390 : 유수풀장
391 : 풀장
400 : 부유분수
410 : 메인펌프
411 : 메인라인
412 : 메인노즐
420 : 보조펌프
421 : 보조라인
422 : 보조노즐
430 : 고정블록
431 : 와이어
432 : 고정부
440 : 부체수단
500 :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
530 : 직수라인
532 : 급수구
540 : 공급펌프
541 : 분무라인
542 : 분사노즐
60 : 판넬케이스

Claims (9)

  1. 전면에 터치스크린 또는 버튼조작레버가 형성되며 법규의 기준치 및 항목을 기반으로 제어기준이 설정되어 각 센서와 연동되어 자동 운영됨으로써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판넬;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펌프, 배관, 정화장치, 오존살균기, 정화약품 공급부 중 적어도 하나를 경유한 물을 배출하는 상기 배관의 끝단에 형성된 노즐의 구동을 제어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바닥분수, 물놀이장, 유수풀(수영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바닥분수, 물놀이장 및 유수풀(수영장)은,
    내부에 물과 각 구성들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하단 일측에 수위센서가 설치된 수조;
    상기 수조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어 분사노즐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펌프;
    상기 수조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을 상기 오존살균기와 정화약품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오존 및 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정화하는 정화장치;
    상기 수조의 내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라인;
    상기 수조의 내부 하단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조 내부의 물과 이물질을 배수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 및
    상기 수조의 내부 상단에 형성되어 물을 분사함으로써 상기 수조의 내측에 설치된 각종 구성들과 상기 수조의 내벽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세척하는 1차 세척 노즐;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어판넬을 통해 급수 및 배수 시간을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가 설정시간에 급수 및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배수가 이루어진 후 배수가 완료되어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이 모두 배출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배수펌프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1차 세척 노즐을 통해 물이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수조의 내측에 설치된 각 구성들과 상기 수조의 내벽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세척하여 상기 수조의 바닥에 모이도록 하는 1차 세척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배수펌프의 작동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1차 세척 노즐을 통한 1차 세척이 일정 시간 진행되어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의 수위가 설정수위에 도달한 것이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급수라인의 밸브를 개방하고 급수펌프가 가동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배수라인의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배수펌프가 가동되도록 제어하여 급수 및 배수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며,
    급수구를 통한 급수 전반 구간에는 상기 제어부가 일정시간동안 일정량의 급수를 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수조의 바닥에 쌓인 이물질들이 상기 배수펌프를 향해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외력을 제공하고,
    상기 급수구를 통한 급수 후반 구간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급수 전반 구간보다 급수량을 줄여서 상기 설정수위가 유지되는 수준으로 급수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수조의 바닥에 상기 설정수위를 유지하면서 물의 흐름이 계속적으로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흐르는 이물질들이 물에 뜬 상태에서 물의 흐름에 의한 외력을 받아 상기 배수펌프로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물놀이장은,
    상기 수조와 일정거리 이격된 지면에 형성되며 상부에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형성된 놀이시설; 및
    상기 놀이시설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된 물을 상기 수조의 내부로 회수하는 회수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유수풀(수영장)은,
    상기 수조와 일정거리 이격된 지면에 형성되며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풀장;
    상기 풀장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양측에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형성되는 유수풀장; 및
    상기 유수풀장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유수풀장에서 사용된 물을 상기 수조의 내부로 회수하는 회수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바닥분수, 물놀이장 및 유수풀(수영장)의 각 구성들의 수위레벨을 설치된 현장의 여건에 맞추어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
KR1020190145753A 2019-11-14 2019-11-14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 Active KR102141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753A KR102141180B1 (ko) 2019-11-14 2019-11-14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753A KR102141180B1 (ko) 2019-11-14 2019-11-14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180B1 true KR102141180B1 (ko) 2020-08-04

Family

ID=72049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753A Active KR102141180B1 (ko) 2019-11-14 2019-11-14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18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266B1 (ko) * 2021-10-28 2022-05-09 주식회사 에스씨워터디자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483638B1 (ko) * 2022-07-05 2022-12-30 남윤재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
KR20230039921A (ko) * 2021-09-15 2023-03-22 디자인그룹 빅 주식회사 독립형 로봇 분수
KR102615242B1 (ko) * 2023-06-21 2023-12-18 한은희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시스템
KR102644335B1 (ko) * 2023-07-18 2024-03-07 주식회사 원스케이프 수경 시설물 구조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224B1 (ko) * 2007-02-21 2008-09-30 문동환 Dmx512 기반의 멀티미디어 음악분수시스템 및 이의연출방법
KR20090124557A (ko) * 2008-05-30 2009-12-03 김효상 회전식 수상분수대
JP2010179294A (ja) * 2009-02-05 2010-08-19 Shoei:Kk 濾過装置ユニット、入浴アトラクション付の浴槽又はプール及び水景施設の省エネルギー機器のデータ管理・遠隔データ管理システム・方法・管理プログラム、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014571B1 (ko) * 2010-07-07 2011-02-16 명인조경(주)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소형분수장치
KR20180016224A (ko) * 2016-08-04 2018-02-14 주식회사 엔에프 그레이팅룸이 구비된 수 처리 장치 시공구조 및 그 시공구조가 결합된 다양한 수공간/수경 시설물의 시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224B1 (ko) * 2007-02-21 2008-09-30 문동환 Dmx512 기반의 멀티미디어 음악분수시스템 및 이의연출방법
KR20090124557A (ko) * 2008-05-30 2009-12-03 김효상 회전식 수상분수대
JP2010179294A (ja) * 2009-02-05 2010-08-19 Shoei:Kk 濾過装置ユニット、入浴アトラクション付の浴槽又はプール及び水景施設の省エネルギー機器のデータ管理・遠隔データ管理システム・方法・管理プログラム、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014571B1 (ko) * 2010-07-07 2011-02-16 명인조경(주)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소형분수장치
KR20180016224A (ko) * 2016-08-04 2018-02-14 주식회사 엔에프 그레이팅룸이 구비된 수 처리 장치 시공구조 및 그 시공구조가 결합된 다양한 수공간/수경 시설물의 시공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921A (ko) * 2021-09-15 2023-03-22 디자인그룹 빅 주식회사 독립형 로봇 분수
KR102535203B1 (ko) * 2021-09-15 2023-05-26 디자인그룹 빅 주식회사 독립형 로봇 분수
KR102395266B1 (ko) * 2021-10-28 2022-05-09 주식회사 에스씨워터디자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 및 이의 구동방법
KR20230061230A (ko) *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에스씨워터디자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604155B1 (ko) * 2021-10-28 2023-11-20 주식회사 에스씨워터디자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483638B1 (ko) * 2022-07-05 2022-12-30 남윤재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
KR102615242B1 (ko) * 2023-06-21 2023-12-18 한은희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시스템
KR102644335B1 (ko) * 2023-07-18 2024-03-07 주식회사 원스케이프 수경 시설물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180B1 (ko)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
US3045829A (en) Cleaning and aerating circulatory system for swimming pools
US4828626A (en) Cleaning system for swimming pools and the like
US3506489A (en) Method and apparatus of cleaning a pool
US5107872A (en) Cleaning system for swimming pools and the like
US10792595B2 (en) Drum filter for water filtration and method therefor
KR102356648B1 (ko) 반영구적 여과스크린을 적용한 인공지능 제어 방식의 수처리용 정화장치 및 소독장치 시스템
KR102336640B1 (ko) 저류조 클리닝장치
KR101306797B1 (ko) 셀프 세차장의 세차부스
CN107568134A (zh) 鱼缸
KR101556669B1 (ko) 상향류식 다단 습지여상
JP5875148B2 (ja) 揚砂方法及び沈砂設備
SU1703787A1 (ru) Рыбо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одозаборного сооружени
CN206228639U (zh) 通道式自动水幕轮胎消毒系统
KR102088638B1 (ko) 폐차광막 재생 시스템
CN116533936B (zh) 车辆冲洗池
JP2000107718A (ja) 水槽自動清掃装置
CN207342316U (zh) 移动式除污装置
KR102709759B1 (ko) 반영구적 여과모듈을 적용한 iot 분수시설의 수처리 정화시스템
KR101767105B1 (ko) 셀프 세차용 컨테이너
KR102004677B1 (ko)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
KR20160042577A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바닥분수장치
CN206171419U (zh) 一种公共自行车的清洗装置
KR102198035B1 (ko) 이중 수조를 이용한 매직분수
JPH09195236A (ja) 多機能型排水性舗装清掃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